KR101739072B1 -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 Google Patents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072B1
KR101739072B1 KR1020150073690A KR20150073690A KR101739072B1 KR 101739072 B1 KR101739072 B1 KR 101739072B1 KR 1020150073690 A KR1020150073690 A KR 1020150073690A KR 20150073690 A KR20150073690 A KR 20150073690A KR 101739072 B1 KR101739072 B1 KR 101739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ating
coating composition
photocu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206A (ko
Inventor
최호
이승구
Original Assignee
조광페인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페인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광페인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3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0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을 이용한 도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또는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의 형태로 마련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들을 기반으로 하도 도막층, 중도 도막층 및 상도 도막층을 형성하여 자동차 부품의 요구 물성을 갖춘 표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환경에 대해 기저가 되는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의 표면을 충분히 대응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와 만족 가능한 요구 물성을 갖춘 도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PAINT COMPOSITION FOR MATT DRY PLATING AND PAIN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을 비롯한 각종 장비의 마감처리는 기저가 되는 대상의 표면상에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도장을 수행함으로써, 요구되는 질감 및 광택과 같은 요구 물성을 만족시킨다.
이와 같은 부품의 마감처리를 위해 수행되는 도장의 방식은 일반적으로 습식도금 공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러한 습식 도금의 경우 환경규제물질에 해당되는 다양한 유해물질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건식 도금 공정을 통해 도장이 이루어지도록 대체되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건식 도금 방식을 이용해 자동자의 내외장재 부품의 표면상에 다층 코팅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847의"건식도금용 다층코팅,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소재"(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건식 도금 방식을 통해 형성되는 도막의 경우, 형성되는 두께 및 도막에 요구되고 있는 내마모성, 내습성 및 내스크레치성 등의 요구물성을 만족시키지 못함으로써, 외부환경에 취약한 도막층이 기저가 되는 대상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보호하고자 하는 부품의 표면상에 요구되어지는 물성을 만족시킴으로써, 외부환경의 요인에 대해 대응 가능한 도막층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은,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또는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우선,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은,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 내지 30 중량부;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제는 제1아크릴 폴리올 40 내지 60 중량부;에 대하여 제2아크릴 폴리올 15 내지 25 중량부;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경화촉진제 0.01 내지 0.1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2 내지 1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 실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아크릴 폴리올은 상기 제2아크릴 폴리올에 비해 높은 분자량과 낮은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은 상기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는 상기 에폭시 실란 30 내지 50 중량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30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유기용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아크릴 폴리올은 7,500 내지 8,500의 분자량과 30 내지 40℃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며, 상기 제2아크릴 폴리올은 4,500 내지 5,500의 분자량과 45 내지 55℃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진다.
그리고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은,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 내지 10 중량부;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 내지 1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소광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방법은,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및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무광건도금층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준비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을 기저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B단계; 상기 B단계를 통해 형성된 하도층의 표면에 금속의 진공증착을 통한 건식도금을 수행하여 건식도금층을 형성하는 C단계; 상기 C단계를 통해 형성된 건식도금층의 표면에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중도층을 형성하는 D단계; 및 상기 D단계를 통해 형성된 중도층의 표면에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E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은,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 내지 30 중량부;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은,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제는 제1아크릴 폴리올 40 내지 60 중량부;에 대하여 제2아크릴 폴리올 15 내지 25 중량부;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경화촉진제 0.01 내지 0.1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2 내지 1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 실란 30 내지 5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30 내지 50 중량부; 및 유기용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아크릴 폴리올은 7,500 내지 8,500의 분자량과 30 내지 40℃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며, 상기 제2아크릴 폴리올은 4,500 내지 5,500의 분자량과 45 내지 55℃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은,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 내지 10 중량부;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 내지 1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소광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해물질을 배출시키지 않는 건식 도금 방식을 통해 플라스틱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의 표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외부환경에 대해 기저가 되는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의 표면을 충분히 대응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와 만족 가능한 요구 물성을 갖춘 도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방법을 통해 형성된 도막층의 내스크래치성 물성 검사에 사용되는 긁힘자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은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및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로 구성되며, 각각의 하도, 중도, 상도 도료 조성물은 상이한 조성물의 구성 및 함량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층의 특성에 맞는 역할을 수행한다.
(1)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은 기저가 되는 소재층 및 건식도금층에 대한 우수한 부착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도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로써, 플라스틱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레벨링 첨가제; 부착증진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한다.
먼저,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liphatic urethane triacrylate oligomer) 및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liphatic urethane diacrylate oligomer)에 대해 설명하면, 단단한 건식도금층과의 변형율을 최소화하고 하도 도막층의 부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ENTIS사의 Ebecryl-284, Ebecryl-9260, Ebecryl-1290, Ebecryl-80, Ebecryl-830, Ebecryl-9970, 사토머사의 CN929, CN934, CN963, CN964, CN965, CN980, CN985, CN983, CN971, 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의 MIRAMER PU210, MIRAMER PU610, MIRAMER SC2010, MIRAMER SC2011, MIRAMER SC2020, MIRAMER SC2021, MIRAMER SC2054, MIRAMER SC2100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유리전이온도가 낮아 건식도금층과의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공지된 두 개 이상의 아크릴기를 가지는 다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5 내지 2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5 중량부 미만이면 하도 도막의 경도, 소재에 대한 부착성 및 경화성이 저하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증착 부착성 및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아울러,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5 내지 2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5 중량부 미만이면 소재에 대한 부착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증착 부착성 및 외관이 불량해지며, 하도 도막의 경도 및 경화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Diacrylate monomer)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하도 도막과 소재층 간의 부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10 내지 2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소재층에 대한 부착성이 저하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하도 도막에 백화현상이 발생하거나 경화성, 증착부착성, 내수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Diacrylate monomer)는 1,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에스테르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소재층과 하도 도막간의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아크릴기를 가지도록 공지된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Triacrylate monomer)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도막의 경화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20 내지 3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20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성 및 하도 도막의 경도가 저하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소재층에 대한 하도 도막의 부착성, 증착 부착성 및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 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하도 도막의 경화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세 개의 아크릴기를 가지도록 공지된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광개시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의 자외선 경화를 위한 요소로써, 1 내지 5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광개시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성이 저하되어 증착 백화 현상이 발생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증착 부착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광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1-(4-이소프로필-페놀)-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티오잔톤, 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등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Irgacure 184, 651, 500, 819, 907, 1800(BASF사) 등과 Darocure 1116, 1173(머크사), Lucirine LR8728, Lucirine TPO(바스프사), Micure HP-8, TPO, CP-4, BK-6(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하도 자외선 경화의 목적으로 공지된 광개시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레벨링 첨가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하도 도막에서의 평활성 및 스프레이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한 요소로써, 0.1 내지 1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레벨링 첨가제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레벨링 및 소지 습윤이 불량해지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증착 부착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레벨링 첨가제는 폴리에스테르변성 폴리실록산(Polyether modified polysiloxanes)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공지된 레벨링 첨가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부착증진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하도 도막의 내습성 및 냉열 싸이클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1 내지 5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부착증진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소재층과 하도 도막간의 부착성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부착증진제는 비닐 수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공지된 부착증진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기용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하도 도막의 두께를 유지시켜주고 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30 내지 5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유기용제가 30 중량부 미만이면 도장 작업성이 저하되고 외관이 불량해지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충분한 도막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용제는 아세테이트계 (Acetatebased), 케톤계(Ketonebased), 알콜계(Alcoholbased), 에스테르계(Esterbased), 방향족계(Aromaticbased), 지방족계(Aliphaticbased) 등의 유기용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공지된 유기용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용제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향족계(Aromaticbased)인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알콜계(Alcoholbased)인 이소부틸알콜(Isobutyl alcohol), n-부틸알콜(n-butyl alcohol),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에틸알콜(Ethyl alcohol), 메틸알콜(Methyl alcohol), 케톤계(Ketonebased)인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아세테이트계(Acetatebased)인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에스테르계(Esterbased)인 에틸셀루솔브(Ethyl cellosolve), 부틸셀루솔브(Butyl cellosolve), 셀루솔브아세테이트(Cellosolve acetate), 지방족계(Aliphaticbased)인 솔베소#100(Solvesso #100), 솔베소#150(Solvesso#15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 내지 30 중량부;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여 마련되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은 기저가 되는 소재층(특히 플라스틱 소재층)에 대한 높은 부착성과 하도 도막층의 형성 후 건식 도금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건식 도금층에 대한 높은 증착 부착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도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2)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은 건식도금층에 대한 우수한 밀착성 및 보호성을 가지며, 건식도금층과 상도 도막층 간의 부착을 중계할 수 있는 중도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로써, 주제와 경화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제는 제1아크릴 폴리올; 제2아크릴 폴리올;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부착증진제; 경화촉진제; 레벨링 첨가제; UV 안정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며, 경화제는 에폭시 실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한다.
먼저, 주제에 대해 설명하면, 아크릴 폴리올(Acrylic Polyol)은 3급 아민기를 함유한 양이온 타입의 열경화성 아크릴 폴리올로써,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중도 도막의 금속증착 부착성, 내습성, 건조성 등의 도막 물성을 우수하게 하는 요소로써, 제1아크릴 폴리올과 제2아크릴 폴리올로 구분되어 전제 중도 도료 상에 포함된다.
참고로, 아래에서 설명될 주제에 포함되는 각 조성물의 함량(중량부)에 대한 수치값의 범위는 주제를 구성하는 각 조성물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아크릴 폴리올은 고형분이 46 내지 56%, 수산화기 값(-OH Value)이 40 내지 60, 분자량이 7,500 내지 8,500, 유리전이온도(Tg)가 30 내지 40℃인 특성을 가지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의미하며, 제2아크릴 폴리올은 고형분이 50 내지 60%, 수산화기 값(-OH Value)이 30 내지 50, 분자량이 4,500 내지 5,500, 유리전이온도(Tg)가 45 내지 55℃인 특성을 가지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의미한다.
여기서, 분자량은 좀 더 구체적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을 의미하며, 아래 지속적으로 설명될 분자량이라는 표현 역시 중량평균분자량을 의미함을 밝히는 바이다.
또한, 제1아크릴 폴리올은 40 내지 6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1아크릴폴리올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금속증착 부착성, 내습성 및 건조성이 저하되며,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금속증착막과의 부착성이 불량해지고, 스프레이 작업성이 저하되며, 중도 도막의 평활성이 낮아지고, 과경도에 의한 내충격성의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아울러, 제2아크릴 폴리올은 15 내지 25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2아크릴폴리올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내수성이 불량해지며, 25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축에 따른 증착 부착성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중도 도막의 수축 방지성 및 건조성 등의 도막 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5 내지 2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가 5 중량부 미만이면 건조 및 수축에 따른 금속증착 부착성이 불량해지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수성 및 내습성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는 고형분이 35 내지 45%, 분자량이 60,000 내지 70,000, 유리전이온도(Tg)가 45 내지 55℃인 특성을 가진다.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의 주제 내 부착증진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중도 도막의 내습성 및 냉열 싸이클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1 내지 5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부착증진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건식도금층과 중도 도막간의 부착성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건조성이 떨어져 내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부착증진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형분이 55 내지 65%, 수산화기 값(-OH Value)이 30 내지 40, 분자량이 2,500 내지 3,500, 유리전이온도(Tg)가 15 내지 25℃인 특성을 가진다.
경화촉진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중도 도막의 건조성을 개선하기 위한 요소로써, 0.01 내지 0.1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경화촉진제가 0.01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촉진제로써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사시간이 짧아져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경화촉진제는 금속촉매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DBTL, Dibutyltin dilaurate)과 같은 주석계열의 경화촉진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공지된 경화촉진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의 주제 내 레벨링 첨가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중도 도막에서의 평활성 및 스프레이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한 요소로써, 0.2 내지 1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레벨링 첨가제가 0.2 중량부 미만이면 레벨링 및 금속증착 표면 습윤이 불량해지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건식도금층과 중도 도막 간 및 중도 도막과 상도 도막 간의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레벨링 첨가제는 폴리에스테르변성 폴리실록산(Polyether modified polysiloxanes)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공지된 레벨링 첨가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의 주제 내 UV 안정제(UVA, HALS)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중도 도막의 내후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1 내지 5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UV 안정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촉진내후성 시험 후 색차 불량이 발생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중도 도막의 황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UV 안정제는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Hydroxyphenyl-benzotriazole), 벤조트리아진(Benzotriazine) 및 펜타메틸피퍼리디닐 세바케트((Pentamethyl-4-piperidinyl)-sebacate)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CIBA사의 Tinuvin 1130, 292, 99-2, Everlight group사의 Eversorb 80, 93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공지된 UV 안정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의 주제 내 유기용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중도 도막의 두께를 유지시켜주고 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20 내지 3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유기용제가 20 중량부 미만이면 도장 작업성이 저하되고 외관이 불량해지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료가 흘러내려 도막에 맺히거나 충분한 도막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용제는 아세테이트계 (Acetatebased), 케톤계(Ketonebased), 알콜계(Alcoholbased), 에스테르계(Esterbased), 방향족계(Aromaticbased), 지방족계(Aliphaticbased) 등의 유기용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공지된 유기용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경화제에 대해 설명하면, 에폭시 실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는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을 가지며, 이는 경화제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중도 도막의 내습성 및 금속증착 부착성이 불량해지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중도 도막의 건조 상태가 불량해지며, 내 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참고로, 아래에서 설명될 경화제에 포함되는 각 조성물의 함량(중량부)에 대한 수치값의 범위는 경화제를 구성하는 각 조성물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에폭시 실란은 3급 아민기를 함유한 양이온 타입의 열경화성 아크릴 폴리올과의 반응을 통해 중도 도막의 건조를 바르게 하여 금속증착 부착성을 개선하기 위한 요소로써, 30 내지 5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에폭시 실란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금속 증착 부착과 내습성이 불량해지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3급 아민기를 함유한 양이온 타입의 열경화성 아크릴 폴리올의 수산기와 우레탄 반응을 일으켜 중도 도막의 물성을 확보하기 위한 요소로써, 30 내지 5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가 30 중량부 미만이면 내충격성 및 건식도금층과 중도 도막 간 및 중도 도막과 상도 도막 간의 부착성이 저하되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중도 도막의 건조성 및 내습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기를 함유하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공지된 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한 경화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의 경화제 내 유기용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중도 도막의 두께를 유지시켜주고 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10 내지 2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유기용제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도장 작업성이 저하되고 외관이 불량해지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료가 흘러내려 도막에 맺히거나 충분한 도막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용제는 아세테이트계 (Acetatebased), 케톤계(Ketonebased), 알콜계(Alcoholbased), 에스테르계(Esterbased), 방향족계(Aromaticbased), 지방족계(Aliphaticbased) 등의 유기용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공지된 유기용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아크릴 폴리올 40 내지 60 중량부;에 대하여 제2아크릴 폴리올 15 내지 25 중량부;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경화촉진제 0.01 내지 0.1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2 내지 1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와,
에폭시 실란 30 내지 5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30 내지 50 중량부; 및 유기용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가,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 경화제 10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마련되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은 도장 시 건조가 빠르고, 건식도금층에 대한 보호성 및 밀착성이 뛰어나며 건식도금층과 상도 도막 간의 중계역할을 제공할 수 있는 중도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3)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은 외부환경에 대한 보호성이 뛰어나 자동차 부품의 표면처리를 통한 코팅층으로써 요구되는 물리화학적 물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상도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로써,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UV 안정제; 레벨링 첨가제; 소광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한다.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liphatic urethane nonacrylate oligomer),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liphatic urethane hexacrylate oligomer) 및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liphatic urethane diacrylate oligomer)에 대해 설명하면,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막층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도 도막으로써 요구되는 경도, 내마모성, 경화성 및 부착성 등의 물성을 갖추기 위한 요소로써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ENTIS사의 Ebecryl-284, Ebecryl-9260, Ebecryl-1290, Ebecryl-80, Ebecryl-830, Ebecryl-9970, 사토머사의 CN929, CN934, CN963, CN964, CN965, CN980, CN985, CN983, CN971, 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의 MIRAMER PU210, MIRAMER PU610, MIRAMER SC2010, MIRAMER SC2011, MIRAMER SC2020, MIRAMER SC2021, MIRAMER SC2054, MIRAMER SC2100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유리전이온도가 낮아 건식도금층과의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공지된 두 개 이상의 아크릴기를 가지는 다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1 내지 1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1 중량부 미만이면 상도 도막의 경도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도 도막의 내광 변색 및 내충격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5 내지 2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5 중량부 미만이면 상도 도막의 경도, 중도 도막에 대한 부착성 및 경화성이 저하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도 도막의 내충격성 및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 내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5 내지 2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5 중량부 미만이면 상도 도막의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도 도막의 경도, 내마노성 및 내광 부착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 monomer)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상도 도막과 중도 도막간의 부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1 내지 1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1 중량부 미만이면 중도 도막에 대한 부착성 및 유연성이 저하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도 도막의 경화성 및 내수성이 불량해지고,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중도 도막간의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단일 아크릴기를 가지도록 공지된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 내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Triacrylate monomer)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도막의 경화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5 내지 2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5 중량부 미만이면 상도 도막의 경화성 및 경도가 저하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도 도막의 황변성 및 내충격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 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도 도막의 경화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세 개의 아크릴기를 가지도록 공지된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 내 광개시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의 자외선 경화를 위한 요소로써, 1 내지 5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광개시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성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도 도막의 내충격성 및 황변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 내 UV 안정제(UVA, HALS)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상도 도막의 내후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요소로써, 1 내지 5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UV 안정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촉진내후성 시험 후 색차 불량이 발생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도 도막의 경화성이 저하되어 내후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 내 레벨링 첨가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상도 도막에서의 평활성 및 스프레이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한 요소로써, 0.1 내지 1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레벨링 첨가제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레벨링 및 중도 도막 표면의 습윤이 불량해지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도 도막 상에 크레이터링 (Cratering)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소광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상도 도막에서의 광택을 낮추기 위한 요소로써, 1 내지 5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소광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광택의 정도가 너무 높아지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광택의 정도가 너무 낮아 경도 및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소광제는 미분화된 실리카 및 합성 폴리에틸렌 왁스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도 도막의 광택의 정도를 적절히 낮출 수 있도록 공지된 소광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 내 유기용제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상도 도막의 두께를 유지시켜주고 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소로써,30 내지 50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유기용제가 30 중량부 미만이면 도장 작업성이 저하되고 외관이 불량해지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료가 흘러내려 도막에 맺히거나 충분한 도막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용제는 아세테이트계 (Acetatebased), 케톤계(Ketonebased), 알콜계(Alcoholbased), 에스테르계(Esterbased), 방향족계(Aromaticbased), 지방족계(Aliphaticbased) 등의 유기용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공지된 유기용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 내지 10 중량부;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 내지 1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소광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여 마련되는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은 무황변형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로 합성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기반으로 하여 중도 도막과의 적절한 부착성 및 외부환경에 대해 강한 보호성을 통해 내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의 표면처리를 통해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상도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2.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방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1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준비단계<S100>
본 단계에서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과정에 사용되어 지는 하도, 중도, 상도 도료 각각을 제조하여 기 준비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중 하도 도료에 해당하는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 내지 30 중량부;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통해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중 중도 도료에 해당하는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아크릴 폴리올 40 내지 60 중량부;에 대하여 제2아크릴 폴리올 15 내지 25 중량부;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경화촉진제 0.01 내지 0.1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2 내지 1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와, 에폭시 실란 30 내지 5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30 내지 50 중량부; 및 유기용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가,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 경화제 10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마련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중 상도 도료에 해당하는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 내지 10 중량부;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 내지 1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소광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에 해당하는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 각각의 조성물 구성에 대한 함량 및 특징은 앞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하도층 형성단계<S200>
본 단계에서는 S100단계를 통해 제조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해 소지에 해당하는 소재 표면의 기저층에 도포함으로써, 하도 도막층을 마련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소지에 해당하는 소재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PC/ABS),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등의 플라스틱 재질 표면을 가지는 자동차 내외장 부품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재질의 내외장 부품이 본 발명의 도막건식도금 코팅용 도료를 이용한 도장 작업의 대상이 된다.
본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S100단계를 통해 제조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해 플라스틱 소재로 마련되는 기저층의 표면에 45 내지 50 μm의 두께(wet 도막)로 도포한 뒤, 60℃의 온도 환경에서 약 5분간 예열하고 나서 약 1,300 mJ/cm2 정도의 자외선을 UV조사기를 이용해 조사하여 하도 도막층을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하도 도막층은 경화 과정을 거친 뒤 20 내지 25 μm의 도막 두께를 가지게 된다.
(3) 건식도금층 형성단계<S300>
본 단계에서는 S200단계를 통해 기저층의 표면에 형성된 하도 도막층에 건식도금을 수행하여 소정의 건식도금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건식도금 공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진공증착기를 이용한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을 통해 건식도금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형성되는 건식도금층에 포함되는 금속의 종류는 도막에 부여하고자 하는 물성 및 색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크롬(Cr) 또는 알루미늄(Al)을 사용하여 건식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건식도금층은 0.1 내지 0.2 μm의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4) 중도층 형성단계<S400>
본 단계에서는 S300단계를 통해 형성된 건식도금층 상에 S100단계를 통해 제조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중도 도막층을 마련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본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S100단계를 통해 제조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해 건식도금층의 표면에 25 내지 30 μm의 두께(wet 도막)로 도포한 뒤, 70℃의 온도 환경에서 약 10분간 건조시켜 중도 도막층을 형성시킨다.
이를 통해 형성되는 중도 도막층은 12 내지 15 μm의 도막 두께를 가지게 된다.
(5) 상도층 형성단계<S500>
본 단계에서는 S400단계를 통해 형성된 중도 도금층 상에 S100단계를 통해 제조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상도 도막층을 마련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본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S100단계를 통해 제조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해 중도 도막층의 표면에 45 내지 50 μm의 두께(wet 도막)로 도포한 뒤, 60℃의 온도 환경에서 약 5분간 예열하고 나서 약 1,300 mJ/cm2 정도의 자외선을 UV조사기를 이용해 조사하여 상도 도막층을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하도 도막층은 경화 과정을 거친 뒤 20 내지 25 μm의 도막 두께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앞선 과정을 모두 수행한 후 80℃의 온도 조건에서 3시간 정도 후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S100 내지 S400의 모든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도막은 플라스틱 재질 표면을 가지는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의 표면인 기저층에 하도, 건식도금, 중도, 상도 도막층이 적층되어 형성됨으로써,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에 대한 코팅을 통해 외부환경으로부터 기저층을 보호하기 위해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유해물질의 배출 문제를 해소시킨 도막이 형성된다.
3.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의 도막 물성에 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다양한 실시예로 마련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전체 도막에 대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실험 방법들을 통해 내외장 부품에 적절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로써의 물성 등을 측정하였으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수단에 의한 성질등을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기 실험 방법들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여러 종류의 배합비로 제조하여 시험한 후, 기존의 습신도금 방식의 도장에 의해 형성되는 도막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플라스틱 재질의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의 표면 보호를 위해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적정 배합비를 검증하고자 구성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우선,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4를 구성하는 각각의 배합 형태는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10 15 12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5 10 5 8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1 21 21 16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10 10 15
광개시제 5 5 5 5
레벨링 첨가제 1 1 1 1
부착증진제 2 2 2 2
유기용제 41 41 41 41
합계 100 100 100 100
다음으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4를 구성하는 각각의 배합 형태는 하기 표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제1아크릴 폴리올 40 60 50 40
제2아크릴 폴리올 15 - 20 25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20 15 7 10
부착증진제 3 3 3 3
경화촉진제 0.05 - 0.05 0.05
레벨링 첨가제 0.2 0.2 0.2 0.2
UV 안정제 1.5 1.5 1.5 1.5
유기용제 20.25 20.3 18.25 20.25
합계 100 100 100 100
마지막,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4를 구성하는 각각의 배합 형태는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 3 3 5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5 11 13 9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5 15 13 15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 2 4 2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8.8 8.8 10 10
광개시재 3 3 3 3
UV 안정제 1.5 1.5 1.5 1.5
레벨링 첨가제 1 1 1 1
소광제 1.5 1.5 1.5 1.5
유기용제 49.2 53.2 50 52
합계 100 100 100 100
표1 내지 표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배합 형태로 제조된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및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 각각을 실시예 별로 앞서 설명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방법"의 과정을 거쳐 소정의 도막을 형성하고 아래에 기재된 다양한 실험방법으로 각각의 도막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14에 나타내었다.
(1) 외관 : 현대, 기아차 MS 600-35(도료 도막의 시험방법)을 따른다.
(2) 내스크래치성 : JIS K 6718에 따라 공시품 또는 이것과 동등한 조건으로 제조된 시험편의 표면을 아래 표4의 조건으로 긁은 후 표면 상태를 아래 표5을 참조하여 평가하였다.
항목 조건
하중(N) 4.9
STROKE (mm) 100
마찰 속도 (mm/sec) 100
긁힘자 [도2]에 도시
긁힘 횟수 1회
등 급 외 관
5 표면의 손상이 인지되지 않는다.
4 표면의 손상이 약간 인지된다.
3 표면의 손상이 약간 인지되나 심한 정도는 아니다.
2 표면의 손상이 인지된다.
1 표면의 손상이 현저히 눈에 띈다.
(3) 부착성 : ISO 2409 및 JIS K 5600-5-6에 따라 테이프 박리시험을 수행한다. 표면을 부드러운 솔로 깨끗이 하고 규정의 테이프(JIS Z 1522)를 단단히 부착시킨 후 테이프를 한쪽 90ㅀ 각도로 강하게 당겨 떼어낸 후 아래 표6을 참조하여 판정하였다.
분 류 외 관
M-1.0 (1) 컷팅의 교차점에 도막의 박리가 없음
(2) 직선에 따른 벗겨짐이 인지되지 않음
M-2.0 (1) 컷팅의 교차점에 도막의 박리가 약간 보임
(2) 직선에 따른 벗겨짐이 인지되지 않음
M-3.0 (1) 컷팅의 교차점에 도막의 박리가 5 내지 15% 수준
(2) 직선에 따른 벗겨짐이 인지됨
(3) 바둑눈 1면이 도막이 50% 이상 박리되지 않음
M-4.0 (1) 직선에 따른 벗겸짐이 상당히 인지됨
(2) 박리된 바둑판눈이 약 5개 정도
M-5.0 (1) 직선에 따라 벗겨짐이 많음
(2) 박리된 바둑판눈이 약 20개 정도
M-6.0 (1) 바둑판눈이 전부 벗겨짐
(참고로, M-1.0과 M-2.0의 중간은 M-1.5로 한다.)
(4) 내습성 : 아래 표7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 공시품을 방치한 후 꺼내어 공기분사기를 이용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도막의 표면상태를 조사하고 즉시 앞서 설명한 부착성 시험을 실시한다.
구 분 시험온도(℃) 상대습도(%RH) 시험시간(h)
내장재 50±2 95±2 168
외장재 50±2 95±2 240
(5) 내수성 : 아래 표8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 공시품을 수돗물에 침적시킨 후 꺼내어 공기분사기를 이용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도막의 표면상태를 조사하고 즉시 앞서 설명한 부착성 시험을 실시한다.
구 분 시험온도(℃) 시험시간(h)
외장재 40±2 240
(6) 내염수분무성 : ISO 7253 또는 JIS K 5600-7-1에 따라 아래 표9에 기재된 조건하에서 240시간 분무 후 꺼내어 물로 씻고, 공기분사기를 이용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뒤,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도막의 표면상태를 조사하고 즉시 앞서 설명한 부착성 시험을 실시한다.
분무실내온도(℃) 분무실내습도(℃) 분무량(ml/Hr) 염수액 농도(w/v%) 염수액 산성도(pH)
35±2 95 0.5 - 3 5±1 6.5 - 7.2
(7) 내산성 : 0.1 N 황산 또는 0.1 N 염산을 표면에 0.2ml 떨어뜨린 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물로 씻고 공기분사기를 이용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시험편의 표면상태를 조사한다.
(8) 내알칼리성 : 0.1 N 수산화나트륨을 표면에 0.2ml 떨어뜨린 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물로 씻고 공기분사기를 이용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시험편의 표면상태를 조사한다.
(9) 내약품성 : 아래 표10에 규정하는 약품을 사용하여 약 4.0 N(0.5 kgf)의 힘으로 10회 왕복하여 도막의 표면을 문질러 외관을 육안으로 조사한다. 이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80±2℃ 조건의 항온 챔버 내에 3시간 방치 후 꺼내어 도막의 표면 상태를 조사한다.
약 품 명 규 정
가솔린 무연가솔린
엔진오일 ILSAC GF-3급 이상 (공장충전용)
광택왁스 HMC/KMC 정품 또는 상당품
그리이스 MS511-07 LiG-2 그리이스
유리세정제 약알칼리성 GLASS CLEANER
에틸알코올 공업용 에틸알코올
(10) 내열성 : 아래 표11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 공시품을 방치 후 꺼내어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도막의 표면상태를 조사하고 즉시 앞서 설명한 부착성 시험을 실시한다.
구 분 시험온도(℃) 시험시간(h)
내장재 90±2 300
외장재 80±2 300
(11) 내열싸이클시험 : 아래 표12에 기재된 방식의 싸이클(Cycle) 시험을 실시한 후 꺼내어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도막의 표면 상태를 조사하고 즉시 앞서 설명한 부착성 시험을 실시한다. 또한, 도막의 표면상태를 1Cycle마다 조사한다.
구 분 1 CYCLE 조건 시험 CYCLE 수
내장재 80±2℃ × 3h → 실온 1h → -40±2℃ × 3h → 실온 1h → 50±2℃, 95±2%RH × 7h → 실온 1h 3
외장재 5
(12) 촉진내후성 : WEATHER-O-METER (ISO 105, JIS L 0843, ASTM D 6695, SAE J 1960, SAE J 2527에 규정하는 제논 아크)로 아래 표13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 조사한다. 단, 필터는 QUARTZ(내측필터)와 "TYPE S" BOROSILOCATE(외측필터)의 조합으로 구성되머 연속 조사한다. 아울러 공시품의 유효면에서 채취한 시험편을 사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여도 좋다.
이 후, 시험편의 표면을 중성세제로 세정한 후 공기분사기를 이용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시험편의 표면상태를 조사하고 즉시 앞서 설명한 부착성 시험을 실시한다. (단, 판정방법은 JIS D 0202의 외관시험방법에 따라 50cm 거리에서 실시한다.)
설정조건 BLACK PNL 온도 싸이클 조사조도
2500 KJ/m2
[340 nm]
70±2℃ (LIGHT)
38±2℃(DARK)
40분 조사(50±5 %RH)
20분 조사(표면 스프레이)
60분 조사(50±5 %RH)
60분 미조사 (90±5 %RH, 표면/이면 스프레이)
0.55±0.02W/(m2·nm)
[340 nm]
시험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외관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내스크레치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부착성 M-1.0 M-1.0 M-1.0 NG M-3.0
내습성 백화 M-2.5 M-1.5 M-1.5 M-1.5
내수성 백화 M-2.5 백화 M-1.5 M-1.5 NG M-4.0
내염수분무성 M-1.5 M-1.5 M-1.5 M-1.5
내산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내알칼리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내약품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내열성 M-1.5 M-1.5 M-1.5 M-1.5
내열싸이클성 M-1.5 M-1.5 M-1.5 M-1.5
촉진내후성 M-4.0 M-3.0 M-2.0 M-4.0
표14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3에 해당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및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형성된 도막이 각각의 물성 시험의 결과 상 기저가 되는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의 표면을 충분히 대응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와 만족 가능한 요구 물성을 갖추어 실시예3이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각각의 배합비 중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표14의 물성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유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보호하고자 하는 부품의 표면 상에 요구되어지는 물성을 만족시킴으로써, 외부환경의 요인에 대해 대응 가능한 도막층을 형성할 수 있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은 실시예3과 같이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 내지 30 중량부;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통해 마련되는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과, 제1아크릴 폴리올 40 내지 60 중량부;에 대하여 제2아크릴 폴리올 15 내지 25 중량부;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경화촉진제 0.01 내지 0.1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2 내지 1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와 에폭시 실란 30 내지 5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30 내지 50 중량부; 및 유기용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가,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 경화제 10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마련되는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및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 내지 10 중량부;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 내지 1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소광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여 마련되는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통해 최적의 요구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에 해당하는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및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은 순차적으로 보호하고자 하는 플라스틱 소재의 부품 표면 상에 적층되는 형식으로 도포되어 다층적 구조, 좀 더 명확히는 하도 도막층-건식도금층-중도 도막층-상도 도막층으로 구성되어 자동차 내외장재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부품 표면, 즉 외관을 외부환경으로부터 적절한 요구 물성을 갖추어 보호할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배출 또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3개의 아크릴기를 갖는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 내지 30 중량부;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2. 주제와 경화제가 포함된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주제는,
    제1아크릴 폴리올 40 내지 60 중량부;
    제2아크릴 폴리올 15 내지 25 중량부;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경화촉진제 0.01 내지 0.1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2 내지 1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 실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아크릴 폴리올은 상기 제2아크릴 폴리올에 비해 높은 중량평균 분자량과 낮은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은 상기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는,
    상기 에폭시 실란 30 내지 50 중량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30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유기용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크릴 폴리올은 7,500 내지 8,500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30 내지 40℃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며, 상기 제2아크릴 폴리올은 4,500 내지 5,500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45 내지 55℃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5.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 내지 10 중량부;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 내지 1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소광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
  6.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 및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무광건도금층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준비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을 기저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하도 도막층을 형성하는 B단계;
    상기 B단계를 통해 형성된 하도층의 표면에 금속의 진공증착을 통한 건식도금을 수행하여 건식도금층을 형성하는 C단계;
    상기 C단계를 통해 형성된 건식도금층의 표면에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중도 도막층을 형성하는 D단계; 및
    상기 D단계를 통해 형성된 중도층의 표면에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도 도막층을 형성하는 E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경화형 UV하도 도료 조성물은,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 내지 30 중량부;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열건조형 중도 도료 조성물은,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제는 제1아크릴 폴리올 40 내지 60 중량부;에 대하여 제2아크릴 폴리올 15 내지 25 중량부;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경화촉진제 0.01 내지 0.1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2 내지 1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 실란 30 내지 5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30 내지 50 중량부; 및 유기용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크릴 폴리올은 7,500 내지 8,500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30 내지 40℃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며, 상기 제2아크릴 폴리올은 4,500 내지 5,500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45 내지 55℃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경화형 UV상도 도료 조성물은,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 내지 10 중량부;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부;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 내지 10 중량부;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내지 2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 UV 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레벨링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부; 소광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방법.
KR1020150073690A 2015-05-27 2015-05-27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101739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690A KR101739072B1 (ko) 2015-05-27 2015-05-27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690A KR101739072B1 (ko) 2015-05-27 2015-05-27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206A KR20160139206A (ko) 2016-12-07
KR101739072B1 true KR101739072B1 (ko) 2017-05-26

Family

ID=5757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690A KR101739072B1 (ko) 2015-05-27 2015-05-27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198A (ko)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KR102203088B1 (ko) * 2018-11-12 2021-01-14 주식회사 케이씨씨 하드코팅 조성물
KR102234354B1 (ko) * 2020-05-25 2021-03-31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DE102022123666A1 (de) * 2022-09-15 2024-03-21 Mankiewicz Gebr. & Co. (Gmbh & Co. Kg) Zusammensetzungen zur Herstellung mattglänzender Inkjet-Tinten und deren Verwendung in Inkjet-Druckverfahren
CN115975487A (zh) * 2023-01-03 2023-04-18 湖南松井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pu真空电镀中漆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4084A (ja) 2006-02-21 2007-09-06 Chugoku Marine Paints Ltd 光硬化性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から形成される塗膜、ならびに塗膜の製造方法
KR101127952B1 (ko) * 2011-03-16 2012-03-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4084A (ja) 2006-02-21 2007-09-06 Chugoku Marine Paints Ltd 光硬化性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から形成される塗膜、ならびに塗膜の製造方法
KR101127952B1 (ko) * 2011-03-16 2012-03-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206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072B1 (ko)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US9266998B2 (en) Scratch-resistant-coated polycarbonates with high transparency,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JP5283485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及び該組成物の硬化被膜を有する成形品
KR101127932B1 (ko) 자외선 경화도료 수지 및 조성물, 및 그 코팅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렌즈
JP5057826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塗料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の硬化被膜を有する成形品
KR101540657B1 (ko)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1592735B1 (ko)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엠보 무늬 형성방법
KR102036100B1 (ko)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팅 도료 조성물
JP2009544825A (ja) ポリウレタンプライマーを有する自動車用窓パネル
KR20120097817A (ko) 플라스틱 기재의 표면코팅용으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EP2298842B1 (en) Coating composition and coating film formation method using same
JP5874971B2 (ja) ウレタン塗料組成物および樹脂部材
KR101497350B1 (ko) 베이스 코트 도료 조성물 및 복합 도막과 그 제조 방법
JP6451627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自動車ヘッドランプレンズ
US8445557B2 (en) Scratch- and weather-resistant varnish curable by means of actinic radiation or curable by heat and by means of actinic radiation
JP2015000876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及び該組成物の硬化被膜を有する合成樹脂成形品
JP5560516B2 (ja) コーティング材組成物、硬化塗膜形成方法および成型品
JP4366584B2 (ja) 塗料組成物及び塗膜形成方法
EP2635641A1 (en) Dual cure coating compositions, methods of coating a substrate, and related coated substrates
JP2008535952A (ja) Uv−a線で硬化可能な溶剤含有塗料をベースとする一体化した塗料システ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KR101540078B1 (ko) 크롬 도금 표면에 도포되는 이중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101230890B1 (ko) 나노 실리카 입자를 함유한 내스크래치성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101755101B1 (ko) 표면 보호용 자외선 경화 도료 조성물
JP6895270B2 (ja) 塗膜形成方法
KR101869203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