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850A - 중량물 선적 방법 - Google Patents

중량물 선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850A
KR20190034850A KR1020170123353A KR20170123353A KR20190034850A KR 20190034850 A KR20190034850 A KR 20190034850A KR 1020170123353 A KR1020170123353 A KR 1020170123353A KR 20170123353 A KR20170123353 A KR 20170123353A KR 20190034850 A KR20190034850 A KR 2019003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lifting
heavy object
plat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357B1 (ko
Inventor
오정육
이상민
양종호
박석근
Original Assignee
(주)상아개발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개발,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상아개발
Priority to KR102017012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3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선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중량물 하부에 이동선을 배치시키는 배치단계와, 상기 이동선에서 발라스트를 배출하여 상기 이동선을 부상시켜서 상기 이동선에 상기 중량물을 선적하는 선적단계를 포함하여, 단순한 구조로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는 중량물 선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량물 선적 방법{Shipment method for heavy}
본 발명은 중량물 선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중량물 하부에 이동선을 배치시키는 배치단계와, 상기 이동선에서 발라스트를 배출하여 상기 이동선을 부상시켜서 상기 이동선에 상기 중량물을 선적하는 선적단계를 포함하는 중량물 선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행해지고 있는 수면 상부에서의 대형 중량물의 가설방법은 수면 위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가교 또는 가도를 개설하는 것이다. 대형 중량물은 가교 또는 가도 상부에서 육상 장비가 인양할 수 있는 블록 단위로 순차적으로 가설되거나, 중량물 상부에 데릭 크레인을 설치하여 데릭 크레인으로 인양 가능한 블록 단위로 순차적으로 가설되거나, 대형 해상 크레인이 접근 가능한 장소에서는 대형 해상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 중량물을 일괄하여 가설하였다.
그러나, 가교 또는 가도 상부에서 육상 장비를 이용한 중, 소블럭 단위의 가설 공법은 각 블록단위 하부에 벤트로 지지하여 시공단계에서 시공하고자 하는 중량물을 변형을 방지하여야 하며, 시공하고자 하는 중량물을 수면상부의 공중에서 조립하여야 함으로 인해 시공의 정밀도 확보가 어려우며, 또한 공중에서 조립을 실시함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높다. 수상에 가교 또는 가도의 시공과 지지 지점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당한 인력과 비용을 필요로 하며, 시공된 가교 또는 가도가 우기에 하천의 유수에 의한 손실로 추가 인력과 비용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데릭 크레인을 이용한 캔틸레버 가설 공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시공 단계에서 캔틸레버 보의 강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므로 특수한 형상의 구조물에서만 시공 가능한 경우가 많다. 그리고 대형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일괄 가설 공법은 수심 및 크레인의 진출입에 제한 요소가 많음으로 해상구간이 아닌 곳에서의 시공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1026014호(이하, 종래기술 1 이라 함)에는 (a) 육상(30) 및 수상(20)에 말뚝을 설치하는 단계, (b) 육상(30)의 상기 말뚝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c) 지면과 물이 이루는 선에 수평이 되도록 양끝단이 수상(20)에 있는 말뚝 위에 설치되는 하부가로보, 받침이 하부가로보 윗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1벤트, 지면과 물이 이루는 선에 수평이 되도록 제1벤트 상부 윗면 위에 설치되는 상부가로보, 상부가로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부가로보 윗면 위에 설치되는 받침거더로 이루어진 운반가시설을 설치하는 단계, (d) 지면과 물이 이루는 선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콘크리트 및 받침거더 윗면 위에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레일 위에 이동판을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이동판 위에 교량상판을 조립하는 단계, (g) 이동선 위에 제2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제2벤트들 사이에 리프팅빔을 설치하는 단계, (h) 상기 제2벤트 상부 윗면에 인양잭을 설치하고,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리프팅빔과 상기 인양잭을 연결하는 단계, (i) 상기 이동판을 이동시켜 상기 이동선 위에 설치된 상기 리프팅빔에 상기 교량상판을 앉히는 단계, (j) 상기 교량상판을 태운 상기 이동선을 상기 교량상판을 설치할 교각사이로 이동하는 단계 및 (k) 상기 교각 사이에서 상기 리프팅빔을 상승시켜 상기 교량상판을 상기 교각위에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가설공법이 나타나 있다. 미설명부호 1,2,3은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인이다.
종래 기술은 리프팅빔에 교량상판을 앉히기 위해 선적하기 전에 이동선에 제2벤트와 인양잭을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제2벤트를 이동선에 설치한 상태로 설치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이미 설치된 교량 등에 간섭되어 이동선의 이동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2601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순한 구조로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는 중량물 선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량물 선적 방법은, 중량물 하부에 이동선을 배치시키는 배치단계와, 상기 이동선에서 발라스트를 배출하여 상기 이동선을 부상시켜서 상기 이동선에 상기 중량물을 선적하는 선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적단계에서 상기 이동선에 설치된 이동선 잭업장치를 상승시켜서 상기 중량물을 선적할 수 있다.
상기 이동선 잭업장치를 통해 리프팅부를 상승시켜서 상기 중량물을 상기 리프팅부의 상부에 올려놓을 수 있다.
상기 이동선 잭업장치는 상기 중량물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선은 여러 개의 바지선을 엮어서 형성되고, 여러 개의 상기 바지선 중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바지선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두 개의 상기 바지선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부를 고박부재를 통해 고박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부에는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중량물 지지부와, 스트랜드 잭의 와이어에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박부재를 통해 상기 와이어 연결부를 고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중량물 선적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중량물 하부에 이동선을 배치시키는 배치단계와, 상기 이동선에서 발라스트를 배출하여 상기 이동선을 부상시켜서 상기 이동선에 상기 중량물을 선적하는 선적단계를 포함하여, 단순한 구조로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다.
상기 선적단계에서 이동선 잭업장치를 통해 리프팅부를 상승시켜서 상기 중량물을 상기 리프팅부의 상부에 선적하여 선적단계에서 리프팅 타워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동선의 이동시 구조물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이동선 잭업장치는 상기 중량물의 하부에 배치되어, 추후 인양장치를 설치할 때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이동선은 여러대의 바지선을 엮어서 형성되어, 중블럭 및 대블럭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여러대의 상기 바지선 중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바지선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두 개의 상기 바지선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두 개의 바지선의 발라스트 용량 또는 발라스트 배출 조건이 다르더라도 2개의 바지선의 발라스트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프팅부에는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중량물 지지부와, 스트랜드 잭의 와이어에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박부재를 통해 상기 와이어 연결부를 고박하여, 상기 리프팅부를 안정적으로 고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육상에서 교량상판을 조립하고 수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이 설치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의 로드 인 경로 및 로드 아웃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 어셈블리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 어셈블리의 제1구간 측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 어셈블리의 제1구간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의 이동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의 이동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의 이동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 사시도(잭업장치 생략).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에 중량물이 올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의 로드 아웃 경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의 로드 아웃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선의 연결부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선의 연결부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의 중량물 선적을 위한 이동선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의 리프팅부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의 중량물 선적을 위한 이동선 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A-A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B-B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의 고박부재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의 선적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에서 구조물을 통과한 후에 인양장치를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에서 구조물을 통과한 후에 인양장치를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를 통해 중량물을 상승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을 기 설치된 부재의 상부에 배치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을 설치하기 위해 하강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교량 시공방법은, 조립될 부재를 로드 인 경로(41)를 통해 이동시키는 로드 인 단계와, 조립된 부재인 중량물(60)을 로드 아웃 경로로 이동 대차(200)를 통해 이동시키는 로드 아웃 단계와, 여러 개의 바지선을 엮어서 형성된 이동선(300)에 상기 조립된 부재인 중량물(60)을 선적하는 선적단계와, 상기 이동선(300)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상기 조립된 부재인 중량물(60)을 설치하는 설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 인 경로와 상기 로드 아웃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겹치며, 상기 로드 인 단계에서 상기 로드 인 경로와 상기 로드 아웃 경로의 겹치는 부분의 레일(161)을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로드 인 단계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 인 단계는 소블럭과 같은 조립될 부재를 로드 인 경로(41)를 통해 이동시킨다.
상기 조립될 부재는 바지선 등을 통해 수상(20)으로 이송된 후에, 수상(20)에서 육상(30)으로 이송될 수 있다.
바지선을 통해 이송된 상기 조립될 부재는 모듈 트레일러 등과 같은 이동장치를 통해 야적장(42)으로 이송된다.
상기 모듈 트레일러는 로드 인 경로(41)를 따라 이동된다.
로드 인 경로(41)는 이하 서술되는 로드 아웃 경로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로드 인할 때와 로드 아웃할 때의 선착장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경로가 이중으로 배치된 구조에 비하여 공사비가 저렴해진다.
상기 로드 인 단계에서 로드 인 경로(41)와 상기 로드 아웃 경로의 겹치는 부분의 레일(161)을 이탈시킨 후에 상기 조립될 부재를 로드 인 시킨다.
이로 인해, 경로가 겹치더라도 이하 서술되는 상기 로드 아웃 경로에 설치되는 레일(161) 등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레일(161) 등으로 인해 상기 모듈 트레일러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로드 아웃 단계]
상기 로드 아웃 단계는 조립된 부재인 중량물(60)을 로드 아웃 경로로 이동 대차(200)를 통해 이동시킨다.
상기 로드 아웃 경로는 육상(30)에서 수상(20)까지 형성된다. 즉, 상기 로드 아웃 단계에서 중량물(60)은 육상(30)에서 수상(20)으로 이동된다.
상기 로드 아웃 경로는 상기 선착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161)로 형성된다.
이동 대차(200)는 레일(161)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로드 아웃 단계는 로드 아웃 전에 이탈시킨 레일(161)을 다시 부착시킨다.
레일(161)은 레일 어셈블리(53)에 구비된다.
레일 어셈블리(53)는 상기 선착장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레일 어셈블리(53a)와 상기 선착장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레일 어셈블리(53b)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 어셈블리(53a)는 레일(161)이 탈착가능한 제1구간(54)과, 레일(161)이 고정 설치되는 제2구간(55) 및 제3구간(56)을 포함한다. 제1구간(54)과 제2구간(55)은 육상(30)에 배치되고, 제3구간(56)은 수상(20)에 배치된다.
제1구간(54)과 제2구간(55)의 지면(e)의 높이는 중량물(60)이 조립되는 조립장(5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레일(161)의 탈착이 가능하며 중량물(60)을 이동(로드 아웃)시키기 위한 제1구간(54)의 제1레일 어셈블리(53a)는 다음과 같다.
<제1레일 어셈블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량물 이동용 제1레일 어셈블리(53a)는, 레일 설치부와, 상기 레일 설치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레일(161)이 구비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의 탈착부위는 레일(161)의 최상단보다 지면(e)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 설치부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에 연결되는 노출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 설치부는 육상(30)에서 수상(20)까지 배치되며, 상기 탈착부위는 상기 레일 설치부의 일부 구간인 제1구간(54)에만 형성된다.
상기 매립부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파일(110)과, 파일(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파일캡(120)을 포함한다.
상기 매립부는 두 개가 구비되고, 두 개의 상기 매립부는 레일(161)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두 개의 상기 매립부의 파일캡(120)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파일캡(120)의 상부에는 콘크리트(130)가 타설되어 있다. 콘크리트(130)는 지면(e)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로 타설되어 있다.
노출부(121)는 파일캡(120)의 상단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노출부(121)는 상단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을 지지하는 설치판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판 지지부는 상기 설치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는 상기 설치판에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파일캡(120)에 연결된다.
상기 설치판 지지부는 상기 설치판의 양측 하부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설치판 지지판과, 상기 설치판의 하면과 양측의 상기 제1설치판 지지판과 파일캡(120)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2설치판 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2설치판 지지판은 상기 제1설치판 지지판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배치되도록 중간에 배치된다.
상기 설치판은 파일캡(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설치판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판에 형성된 체결공은 좌우측 및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노출부(121)의 상기 설치판은 지면(e)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노출부(121)의 상기 설치판의 최상단은 지면(e) 및 콘크리트(130)와 동일 유사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노출부(121)가 상기 모듈 트레일러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타설된 콘크리트(130)에는 노출부(121)의 둘레에 작업공간(131)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공간(131)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작업공간(131)은 노출부(121)의 전후 및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작업공간(131)으로 인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레일부를 탈착시킬 수 있다. 작업공간(131)에 비가 왔을 때 물이 차지 않도록 콘크리트(130)에 작업공간(131)에 연통되는 배수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일부는 노출부(121)에 설치되는 벤트부(140)와 벤트부(1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어퍼빔(150)과 어퍼빔(150)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161)을 포함한다.
벤트부(14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141)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제1프레임(141)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2프레임(142) 및 제3프레임(143)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41)은 H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이 구비된다.
제1프레임(141)의 하면은 노출부(121)의 상기 설치판에 접하며 볼팅체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레일부는 상기 레일 설치부에 탈착가능해진다.
제1프레임(141)에는 상면 또는 하면과 웨브를 연결하는 보강리브가 각각 형성된다.
제2프레임(142)은 레일(161)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프레임(141)을 연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프레임(143)은 레일(161)의 폭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프레임(141)을 연결한다.
벤트부(140)의 상면에는 어퍼빔(150)이 설치된다.
어퍼빔(150)은 수평하게 배치되며, 레일(161)의 폭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프레임(141)을 연결한다.
어퍼빔(150)은 H빔 형상으로 형성된다.
어퍼빔(150)에는 두 개의 플랜지와 웨브를 연결하는 보강리브가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여러 개 형성된다.
어퍼빔(150)의 상부에는 레일(161)이 세 개 설치된다. 세 개의 레일(161)은 레일(161)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세 개의 레일(161) 중 두 개의 레일(161)의 높이는 같으며, 높이가 같은 두 개의 레일(161) 사이에 높이가 다른 레일(161) 한 개가 배치된다. 중간에 배치되는 레일(161)은 다른 두 개의 레일(161)의 높이보다 높다.
어퍼빔(150)의 상기 보강리브는 레일(161)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기 레일부의 탈착부위인 제1프레임(141)의 하면은 레일(161)의 최상단보다 지면(e)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레일(161)을 따라 중량물(60)을 이동시키는 이동 대차(200)는 다음과 같다.
<이동 대차>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동 대차(200)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는 잭업장치(280)와, 상기 잭업장치(280)에 의해 승강되는 로딩 프레임(270)과, 상기 이동부와 상기 로딩 프레임(27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260)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는 레일(161)을 따라 이동되는 휠(210)과, 상기 휠(210)에 연결되는 새들(250)을 포함하며, 상기 새들(250)은 상기 레일(161)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휠(210)에 연결된다.
휠(210)은 4개가 구비되고,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양측에 배치되는 휠(210)은 높이가 같은 두 개의 레일(161)을 따라 이동된다.
이하에서 레일(161)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하고, 레일(161)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한다.
휠 축(211)은 수평하게 배치되며,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새들(250)은 레일(161)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휠(210)에 연결된다.
새들(250)은 제1브라켓(240)에 설치된다. 즉, 새들(250)은 제1브라켓(240)을 통해 휠(210)에 연결된다.
새들(250)은 제1브라켓(240)에 결합되는 결합부(251)와, 결합부(25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새들 판부(252)를 포함한다.
새들 판부(252)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결합부(251)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판으로 구비되며, 두 개의 판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결합부(251)에는 새들 축(253)이 관통되는 축관통공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새들 축(253)은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새들(250)은 레일(161)의 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즉, 새들(250)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가능하다.
결합부(251)는 새들 판부(252)의 하부에 형성된다.
결합부(251)는 새들 판부(252)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결합부(251)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결합부 연결판(254)에 의해 연결된다.
제1브라켓(240)은 새들(250)이 설치되는 두 개의 제1판(241)과, 두 개의 제1판(241)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판(242)과, 두 개의 제1판(241)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3판(243)을 포함한다.
두 개의 제1판(241)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제1판(241)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판(241)의 중간 상부에는 새들 축(253)이 관통되는 축관통공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판(241)은 결합부(251)의 두 개의 판 사이에 삽입된다.
나아가, 새들 축(253)에는 제1브라켓(240)에 대한 새들(250)의 각도를 조정한 후에 새들(250)의 조정된 각도를 유지시키는 제1로킹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로킹장치는 결합부(251) 및 제1판(241)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과, 구멍에 삽입되는 핀으로 구비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새들 판부(252)의 하부와 마주보는 부분인 제1판(241)의 상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축관통공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경사면은 제1판(241)의 중간부분에서 양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제1판(241)의 양측에는 절개부가 두 개씩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양 끝단에 배치되는 상기 절개부는 좌측 또는 우측도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이하 서술되는 제2브라켓(230)과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제2판(242)은 제1판(241)의 양측 상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2판(242)은 상기 경사면 위에 형성되어,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3판(243)은 제1판(241)의 중간 하부에 배치된다.
제1브라켓(240)의 양측에 제2브라켓(23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브라켓(230)에 제3브라켓(220)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브라켓(220)에 상기 휠(210)이 연결된다.
제2브라켓(230)은 제1브라켓(240)의 하부에 고정설치된다.
제2브라켓(230)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제2브라켓 판(231)과, 두 개의 제2브라켓 판(231)의 상부를 연결하며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 연결부(232)를 포함한다.
제2브라켓(230)의 두 개의 제2브라켓 판(231)은 제1판(241)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에 삽입된다. 제2브라켓(230)의 두 개의 제2브라켓 판(231)에는 제2브라켓 축(233)이 관통되는 축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새들(250)은 레일(161)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즉, 새들(250)은 전후방향으로 틸팅가능하다.
판 연결부(232)는 두 개의 제1판(241) 사이에 배치된다.
제3브라켓(220)은 두 개가 구비되어, 제2브라켓(230)의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3브라켓(220)은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휠(2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판을 포함하며, 두 개의 판은 연결되어 있다. 제3브라켓(220)의 두 개의 판은 제2브라켓(230)의 두 개의 제2브라켓 판(231) 사이에 배치된다. 제3브라켓(220)의 두 개의 판의 상부에는 제2브라켓 축(233)이 관통되는 축관통공이 형성된다. 제3브라켓(220)에 대한 제2브라켓(230)의 조정된 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로킹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로킹장치는 상기 제1로킹장치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3브라켓(220)의 두 개의 판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는 휠 축(211)이 관통되는 축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제2브라켓 축(233)은 두 개의 휠 축(211) 사이에 배치된다.
제1브라켓(240)의 제1판(241)과 마주보는 면인 제3브라켓(220)의 두 개의 판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휠(210)의 외주면에는 레일(161)의 상단이 삽입되는 홈이 온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업장치(280)는 상기 이동부의 새들(250)에 연결된다.
잭업장치(280)는 유압잭 등으로 구비되고, 두 개 이상 구비된다.
잭업장치(280)에서 로딩 프레임(270)에 접하는 면에는 고무 패드가 구비된다.
로딩 프레임(270)은 잭업장치(280)에 의해 승강된다.
로딩 프레임(270)에는 중량물(60)이 얹혀진다. 이와 같이 길이가 긴 로딩 프레임(270)을 통해 중량물(60)을 들어올려서 중량물(60)을 승강시킬 때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딩 프레임(270)의 전후길이는 잭업장치(280)의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하나의 로딩 프레임(270)을 두 개 이상의 잭업장치(280)가 승강시킨다.
로딩 프레임(270)은 로딩 프레임 제1판(271)과, 로딩 프레임 제1판(271)의 하부에 배치되는 로딩 프레임 제2판(272)과, 로딩 프레임 제1판(271)과 로딩 프레임 제2판(272)을 연결하는 로딩 프레임 제3판(273)과, 로딩 프레임 제1판(271)과 로딩 프레임 제2판(272)과 로딩 프레임 제3판(273)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로딩 프레임 제4판(274)을 포함한다.
로딩 프레임 제1판(271)과 로딩 프레임 제2판(272)은 수평하게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로딩 프레임 제3판(273)은 수직하게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로딩 프레임 제4판(274)은 수직하게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로딩 프레임 제1판(271)의 좌우폭은 로딩 프레임 제2판(272)의 좌우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로딩 프레임(270)은 H빔으로 구비되고, H빔의 두 개의 플랜지와 웨브를 연결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로딩 프레임 제1판(271)의 상부에는 다수 개의 고무패드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지지부(260)는 상기 이동부의 새들(250)의 상부에 설치된다. 하나의 지지부(260)에는 여러 개의 새들(250)이 설치된다.
지지부(260)는 잭업장치(280)가 잭업되어 있지 않을 때 로딩 프레임(270)을 지지한다. 이로 인해, 중량물(60)을 승강시키지 않을 때에는 지지부(260)를 통해 로딩 프레임(270) 및 중량물(60)을 지지하여 잭업장치(280)를 보호할 수 있다.
지지부(260)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는 하부판(262)과, 상기 로딩 프레임(270)을 지지하는 상부판(261)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262)과 상기 상부판(261)을 연결하는 중간판(263)과, 상기 중간판(263)과 상기 상부판(261) 또는 상기 하부판(262)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리브(264)를 포함한다.
하부판(262)과 상부판(261)은 수평하게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중간판(263)은 수직하게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리브(264)는 수직하게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부(260)는 H빔으로 구비되고, H빔의 두 개의 플랜지와 웨브를 연결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판(261)의 최상단의 높이는 잭업장치(280)의 최상단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잭업장치(280)를 잭다운 시키면 로딩 프레임(270)은 지지부(260)에 의해 지지된다.
하부판(262)과 상부판(261)의 좌우폭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지지부(260)의 전후길이는 로딩 프레임(270)의 전후길이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지지부(260)의 상부에는 잭업장치(280)가 안착되는 안착홈(265)이 형성된다. 안착홈(265)은 상부 및 좌우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안착홈(265) 내부에 배치되도록 지지부(260)에는 잭업장치(280)가 설치되는 잭업 설치판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잭업 설치판은 수평하게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잭업 설치판 하부에 리브(264)가 배치되어 잭업장치(28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안착홈(265)은 두 개의 상기 이동부 사이에 배치된다. 즉, 잭업장치(280)는 상기 이동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이동 대차(200)는 중량물(60)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동 대차(200)를 연결할 때에는 지지부(260)를 서로 연결시킨다.
이동 대차(2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동 대차(200)의 후방에는 추진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 대차(200)를 통해 중량물(60)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동 대차를 통해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방법]
본 실시예의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로딩 프레임(270)에 중량물(60)을 올려놓는 단계와,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와 상기 로딩 프레임(270) 사이에 배치된 잭업장치(280)로 상기 로딩 프레임(270)을 승강시켜서 상기 중량물(60)을 승강시키고, 상기 이동단계에서, 상기 로딩 프레임(270)을 상기 이동부와 상기 로딩 프레임(27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260)를 통해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잭업장치(280)를 잭업시켜서 로딩 프레임(270)을 들어올려서 조립장(51)에 있는 중량물(60)을 들어올린다. 이로 인해 로딩 프레임(270)의 상부에 중량물(60)이 올려진다.
이와 같이 잭업시킨 상태로 이동 대차(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조립장(51)을 빠져나오면 잭다운시킨다.
잭다운시키면 로딩 프레임(270) 및 중량물(60)은 하강되고, 로딩 프레임(270)은 지지부(260)에 의해 지지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로 중량물(60)을 육상(30)에서 수상(20)까지 이동시킨다.
중량물(60)의 이동이 완료(로드 아웃 완료)되면 중량물(60)을 이동선(300)에 선적한다.
이러한 중량물(6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선(300)은 다음과 같다.
<이동선>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동선(300)은, 제1바지선(300a)과, 제2바지선(300b)과, 상기 제1바지선(300a)과 상기 제2바지선(300b)을 연결하는 연결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제1바지선(300a)과 상기 제2바지선(300b)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바지선(300a)과, 제2바지선(300b)은 발라스트의 용량과 발라스트 배출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다. 발라스트 배출 조건은 발라스트 배출 속도 등이 될 수 있다.
연결부(400)는 여러 개의 바지선 중 적어도 두 개의 바지선은 연결한다.
연결부(400)는 두 개의 상기 바지선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400)는 제1바지선(300a)과 제2바지선(300b)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1바지선(300a)에 대한 제2바지선(300b)의 상하방향 상대이동이 허용된다. 이로 인해, 발라스트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400)는 여러 개의 H빔을 연결하여 형성된다.
연결부(400)는 제1바지선(300a)과 제2바지선(300b)의 데크에 설치되어, 제1바지선(300a)과 제2바지선(300b)의 상부에 배치된다.
연결부(400)는 여러 개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연결부(400)의 좌측은 제1바지선(300a)에 연결되고, 우측은 제3바지선(300b)에 연결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00)는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과,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연결부 상부 프레임(420)과,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과 연결부 상부 프레임(420)을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430)과, 두 개의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을 연결하거나 두 개의 연결부 상부 프레임(420)을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460)과,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설치부(440)를 포함한다.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두 개가 구비되어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에서 제1설치부(440)에 근접한 부분에는 보강판(411)이 설치된다. 보강판(411)은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에 각각 설치된다.
연결부 상부 프레임(420)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두 개가 구비되어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제1연결프레임(43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여러 개가 구비된다.
제2연결프레임(460)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여러 개가 구비된다.
제1설치부(440)는 연결부(400)의 양측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제1설치부(440)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축설치판(441)과, 두 개의 축설치판(441)을 연결하는 판(442)을 포함한다.
축설치판(441)의 하단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축설치판(441)의 하부에는 회동축(320)이 관통되는 축관통공이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회동축(320)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판(442)은 축설치판(44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판(442)의 상하길이는 축설치판(441)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1바지선(300a)과 제2바지선(300b)에는 제1설치부(440)가 설치되는 제2설치부(310)가 제1바지선(300a)과 제2바지선(300b)의 데크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설치부(310)는 제1바지선(300a)과 제2바지선(300b)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설치부(310)는 두 개의 축설치판(441)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판(311)과, 고정판(31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원판형상의 스페이서(312)와, 고정판(311)의 양측과 이동선(300)의 데크를 연결하는 보강판(313)을 포함한다.
스페이서(312)도 두 개의 축설치판(441) 사이에 배치된다. 즉, 스페이서(312)는 축설치판(441)과 고정판(311)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판(311)과 스페이서(312)에는 회동축(320)이 관통되는 축관통공이 형성된다.
제1설치부(440) 또는 제2설치부(310)는 연결부(400)가 제1바지선(300a) 또는 제2바지선(300b)에 대해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 더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연결부(400)가 제1바지선(300a) 또는 제2바지선(300b)에 대해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나아가, 연결부(400)에는 이동통로(49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통로(490)는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이동통로(490)는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웨브를 연결하는 리브에 볼팅체결된다.
이동통로(490)가 최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부(400)에 설치될 경우에는 후방에 배치되는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에 설치되고, 최후방에 배치되는 연결부(400)에 설치될 경우에는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부 하부 프레임(410)에 설치된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지선(300a) 및/또는 제2바지선(300b)에는 리프팅부(800)가 구비된다. 리프팅부(800)는 중량물(60)과 이동선(300) 사이에 배치된다.
리프팅부(800)에는 중량물(60)이 올려진다.
리프팅부(800)는 중량물(60)을 지지하는 중량물 지지부(810)와, 스트랜드 잭(540)의 와이어(530)에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820)를 포함한다.
리프팅부(80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중량물 지지부(810)는 상하폭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와이어 연결부(820)는 좌측단 또는 우측단을 향할수록 상하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중량물 지지부(810)와 와이어 연결부(820)는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사용할 때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중량물 지지부(810)와 와이어 연결부(820)에는 체결부(801)가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801)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다수 개 형성된다. 체결공이 다수 개 형성된 보강판을 중량물 지지부(810)와 와이어 연결부(820)의 체결부(801)에 덧댄 뒤에 보강판과 상기 체결부(801)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와 같이 중량물 지지부(810)와 와이어 연결부(820)를 사용할 때 조립해서 사용해서 중량물(60)의 크기에 따라 리프팅부(800)의 크기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중량물 지지부(810)와 와이어 연결부(820)의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해진다.
나아가, 중량물 지지부(810)도 여러 개의 분할 부재(810a, 810b)로 구비하여 사용할 때 중량물(60)의 크기에 따라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다.
중량물 지지부(810)는 중간보다 전방과 후방에 보강리브가 더 많이 형성된다.
중량물 지지부(810)의 상면에는 고무패드가 설치된다. 상기 고무패드 위에 중량물(60)이 올려진다.
와이어 연결부(820)는 중량물 지지부(8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연결된다.
와이어 연결부(820)에는 와이어(530)가 관통되는 관통공(82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관통공(821)은 전방 또는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지선(300a) 및/또는 제2바지선(300b)에는 이동선 잭업장치(710)가 구비된다.
이동선 잭업장치(710)는 이동선(300)의 데크 위에 격자모양으로 설치된 제1베이스 프레임(730)에 설치된다.
이동선 잭업장치(710)는 제1바지선(300a) 또는 제2바지선(300b)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4개씩 배치되어 총 8개 배치된다.
이동선 잭업장치(710)는 중량물(60) 및 중량물 지지부(8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베이스 프레임(730)의 상부에는 잭업 로딩 서포트(712)가 설치되고, 잭업 로딩 서포트(712)의 상부에는 잭업 조절부(711)가 설치되고, 잭업 조절부(711)의 상부에 유압잭 등으로 구비되는 이동선 잭업장치(710)가 설치된다.
잭업 로딩 서포트(712)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나의 잭업 로딩 서포트(712)에 두 개의 이동선 잭업장치(710)가 연결된다.
잭업 조절부(711)는 이동선 잭업장치(710)의 높이를 조절해준다.
이러한 이동선 잭업장치(710)는 선적시에 잭업되어 중량물(60)이 이동선(300)에 선적되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이동선 잭업장치(710)는 리프팅부(800)를 상승시켜서 중량물(60)을 리프팅부(800)의 상부에 올려놓는다.
나아가,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지선(300a) 및/또는 제2바지선(300b)에는 리프팅부(800)를 지지하는 리프팅부 지지부재(720)가 설치된다.
리프팅부 지지부재(720)는 전방부와 후방부에 배치되는 4개의 이동선 잭업장치(7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리프팅부 지지부재(720)는 하나의 바지선에 4개 구비된다.
리프팅부 지지부재(720)는 제1베이스 프레임(7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부 로딩 서포트(722)와, 지지부 로딩 서포트(722)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부 조절부(721)를 포함한다.
지지부 로딩 서포트(722)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두 개의 프레임으로 구비된다. 상부에 배치되는 프레임이 하부에 배치되는 프렐임보다 좌우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지지부 조절부(721)에는 상면과 하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황에 따라 적층되는 개수를 달리 해서 리프팅부 지지부재(7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부 조절부(721)의 좌우길이는 지지부 로딩 서포트(722)의 좌우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지지부 조절부(721)는 하나의 지지부 로딩 서포트(722)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지지부 조절부(721)의 상부에 리프팅부(800)가 올려진다.
리프팅부 지지부재(720)의 최상단의 높이는 이동선 잭업장치(710)의 최상단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잭다운시키면 리프팅부(800)는 리프팅부 지지부재(72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도 18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지선(300a) 및/또는 제2바지선(300b)에는 리프팅부(800)를 고박하는 고박부재(600)가 설치된다.
고박부재(600)는 리프팅부(8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고박부재(600)는 제1바지선(300a) 및 제2바지선(300b)의 데크에 설치된다.
고박부재(600)는 리프팅부 지지부재(720)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된다.
고박부재(600)는 와이어 연결부(820)를 고박한다. 중량물(60)을 선적하기 전에 리프팅부(800)는 고박부재(600)를 통해 고박된다.
고박부재(600)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지지기둥(610)과 제2지지기둥(620)을 포함한다.
제1지지기둥(610)은 리프팅부(8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제2지지기둥(620)은 관통공(821)에 삽입된다. 제2지지기둥(620)은 두 개의 제1지지기둥(6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리프팅부(800)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고, 고박부재(600)로부터 리프팅부(800)가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리프팅부(800)를 고박부재(600) 위에 올려놓기만 하면 고박이 완료되므로 고박과정도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고박부재(600)는 리프팅부(800)가 이동선(300)에 대해 승강될 때 가이드 해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고박부재(600)는 이동선(300)의 데크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630)과, 제1지지기둥(610)과 제2지지기둥(620)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제2프레임(650)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각 기둥과 제1프레임(630)을 연결하는 제3프레임(640)을 더 포함한다.
제1프레임(630)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1프레임(630)의 상부에 제1지지기둥(610)과 제2지지기둥(620)이 각각 설치된다. 제1프레임(63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프레임(650)은 수평하게 배치되며, 제2프레임(650)의 최상단의 높이는 리프팅부 지지부재(720)의 최상단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제1지지기둥(610)과 제2지지기둥(620)의 각각에는 상부에 경사면(60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602)은 리프팅부(80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상부로 향할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리프팅부(800)를 고박부재(600)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1지지기둥(610)과 제2지지기둥(620)은 H빔으로 형성되며, 리프팅부(800)를 지지하는 제1지지기둥(610)과 제2지지기둥(620)의 상부에는 두 개의 플랜지를 연결하는 보강면(601)이 더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제1바지선(300a) 및/또는 제2바지선(300b)의 전방과 후방에는 제2 베이스 프레임(510)이 각각 설치된다. 제2베이스 프레임(510)은 격자형상으로 배치된다. 제2베이스 프레임(510)에는 리프팅 타워(520)가 설치된다.
제2베이스 프레임(510)의 적어도 일부는 리프팅부(800)의 전방과 후방 하부에 배치된다.
[중량물을 선적하는 방법]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량물 선적 방법은, 중량물(60)의 하부에 이동선(300)을 배치시키는 배치단계와, 상기 이동선(300)에서 발라스트를 배출하여 상기 이동선(300)을 부상시켜서 상기 이동선(300)에 상기 중량물(60)을 선적하는 선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적하기 전에 이동선(300)에 발라스트를 채워서 제1레일 어셈블리(53a)와 제2레일 어셈블리(53b) 사이로 진입시킨 후에 계류시킨다.
또한, 중량물(60)을 이동 대차(200)를 통해 수상(20)으로 이동(로드 아웃 완료)시키면 중량물(60)의 하부에 이동선(300) 및 리프팅부(800)가 배치된다.
이동선(300)에서 발라스트를 배출하면 이동선(300) 및 리프팅부(800)는 부상된다. 이와 같이 선적시 발라스트를 배출하여 이동선(300)을 부상시켜서 선적이 단순한 작업과 단순한 구조로 가능해진다.
발라스트를 배출했어도 이동 대차(200) 위에 실린 중량물(60)을 들 정도로 부상되지 않는다면, 추가로 이동선(300)에 설치된 이동선 잭업장치(710)를 상승시켜서 중량물(60)을 선적한다. 상세하게는, 이동선 잭업장치(710)를 잭업시켜서 리프팅부(800)를 상승시켜서 중량물(60)을 이동 대차(200)로부터 들어올린다. 즉, 중량물(60)을 리프팅부(800)의 상부에 올려놓는다.
중량물(60)을 들어올린 상태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을 이용하여 천천히 이동선(300)을 이동시키다가, 레일(161)을 벗어나면 이동선 잭업장치(710)를 하강하여 중량물(60) 및 리프팅부(800)를 리프팅부 지지부재(720)에 안착시킨다.
중량물(60) 및 중량물 지지부(810)의 하부에 배치된 이동선 잭업장치(710)를 통해 선적시 잭업시켜서 선적 후에 이동시 통과하는 구조물(교량 등)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이동선(300)이 여러 개의 바지선을 엮어서 형성되고, 여러 개의 바지선의 발라스트 용량 또는 발라스트 배출 조건이 다르더라도, 발라스트를 배출할 때 바지선을 연결하는 연결부(400)는 바지선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발라스트 과정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어서, 예인선 2대(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동선(300)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계에서 이동선(300)은 상기 구조물을 통과하고, 상기 구조물을 통과한 후에 상기 이동선(300) 상부에 중량물(60)을 인양하는 인양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를 조립한다. 인양장치(500)는 리프팅부(800)와, 리프팅 타워(520)와, 스트랜드 잭(540)과, 와이어(530)를 포함한다. 인양장치(500) 중 상기 구조물을 통과한 후에 조립되는 부분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선(300)이 통과하는 구조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단계 이전에 제2베이스 프레임(510)에 리프팅 타워(520)의 하부만 미리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설치 위치에 근접한 곳(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한 이후(구조물 통과 후)에 리프팅 타워(520) 전체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을 통과한 후에 리프팅 타워(520)와, 스트랜드 잭(540)과, 와이어(530)를 설치한다.
리프팅 타워(520)는 리프팅부(800)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리프팅 타워(520)의 상단은 하나의 연결 프레임(55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 프레임(550)의 중간 부분에는 스트랜드 잭(540)이 설치된다. 하나의 스트랜드 잭(540)은 두 개의 리프팅 타워(520) 사이에 배치된다.
스트랜드 잭(540)에 연결된 와이어(530)는 리프팅부(800)의 관통공(821)을 관통하도록 설치한다.
나아가, 리프팅부(800) 또는 리프팅 타워(520)에 리프팅부(80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구조물을 통과한 후에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60)을 상승시키는 단계,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선(300)을 이동시켜서 중량물(60)을 기 설치된 부재(61)의 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 중량물(60)을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을 통과한 후에 중량물(60)을 상승시키는 단계는 이동선(300)의 발라스트를 배출하여 이동선(300)을 부상시키고, 이동선(300)에 설치된 리프팅 타워(520)와 리프팅부(800)와 스트랜드 잭(540)을 이용하여 중량물(60)을 상승시킨다.
중량물(60)을 하강시킬 때에는 이동선(300)에 설치된 리프팅 타워(520)와 리프팅부(800)와 스트랜드 잭(540)을 이용하여 중량물(60)을 하강시킨다.
중량물(60)을 기 설치된 부재(61) 및 교각(62)에 설치한다.
중량물(60)을 설치한 후에 나중에 설치된 리프팅 타워(520)와, 스트랜드 잭(540)과, 와이어(530)를 이동선(30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로 인해, 이동선(300)이 복귀할 때 통과하는 상기 구조물에 간섭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수상 30: 육상
41: 로드 인 경로 42: 야적장
51: 조립장 53: 레일 어셈블리
53a: 제1레일 어셈블리 53b: 제2레일 어셈블리
54: 제1구간 55: 제2구간
56: 제3구간 60: 중량물
61: 기 설치된 부재 62: 교각
110: 파일
120: 파일캡 121: 노출부
130: 콘크리트 131: 작업공간
140: 벤트부 141: 제1프레임
142: 제2프레임 143: 제3프레임
150: 어퍼빔 161: 레일
200: 이동 대차 210: 휠
211: 휠 축 220: 제3브라켓
230: 제2브라켓 231: 제2브라켓 판
232: 판 연결부 233: 제2브라켓 축
240: 제1브라켓 241: 제1판
242: 제2판 243: 제3판
250: 새들 251: 결합부
252: 새들 판부 253: 새들 축
254: 결합부 연결판 260: 지지부
261: 상부판 262: 하부판
263: 중간판 264: 리브
265: 안착홈 270: 로딩 프레임
271: 로딩 프레임 제1판 272: 로딩 프레임 제2판
273: 로딩 프레임 제3판 274: 로딩 프레임 제4판
280: 잭업장치 300a: 제1바지선
300b: 제2바지선 300: 이동선
310: 제2설치부 311: 고정판
312: 스페이서 313: 보강판
320: 회동축 400: 연결부
410: 연결부 하부 프레임 411: 보강판
420: 연결부 상부 프레임 430: 제1연결프레임
440: 제1설치부 441: 축설치판
442: 판 460: 제2연결프레임
490: 이동통로 500: 인양장치
510: 제2베이스 프레임 520: 리프팅 타워
530: 와이어 540: 스트랜드 잭
550: 연결 프레임 600: 고박부재
601: 보강면 602: 경사면
610: 제1지지기둥 620: 제2지지기둥
630: 제1프레임 640: 제3프레임
650: 제2프레임 710: 이동선 잭업장치
711: 잭업 조절부 712: 잭업 로딩 서포트
720: 리프팅부 지지부재 721: 지지부 조절부
722: 지지부 로딩 서포트 800: 리프팅부
801: 체결부 810: 중량물 지지부
810a, 810b: 분할부재 820: 와이어 연결부
821: 관통공

Claims (7)

  1. 중량물 하부에 이동선을 배치시키는 배치단계;
    상기 이동선에서 발라스트를 배출하여 상기 이동선을 부상시켜서 상기 이동선에 상기 중량물을 선적하는 선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선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적단계에서
    상기 이동선에 설치된 이동선 잭업장치를 상승시켜서 상기 중량물을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선적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선 잭업장치를 통해 리프팅부를 상승시켜서 상기 중량물을 상기 리프팅부의 상부에 올려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선적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선 잭업장치는 상기 중량물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선적 방법.
  5. 창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선은 여러 개의 바지선을 엮어서 형성되고,
    여러 개의 상기 바지선 중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바지선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두 개의 상기 바지선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선적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를 고박부재를 통해 고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선적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에는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중량물 지지부와, 스트랜드 잭의 와이어에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박부재를 통해 상기 와이어 연결부를 고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선적 방법.
KR1020170123353A 2017-09-25 2017-09-25 중량물 선적 방법 KR102012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353A KR102012357B1 (ko) 2017-09-25 2017-09-25 중량물 선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353A KR102012357B1 (ko) 2017-09-25 2017-09-25 중량물 선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850A true KR20190034850A (ko) 2019-04-03
KR102012357B1 KR102012357B1 (ko) 2019-10-21

Family

ID=6616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353A KR102012357B1 (ko) 2017-09-25 2017-09-25 중량물 선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3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939A (ko) * 1999-02-25 1999-05-25 김응천 수상교량의 교량상판 안착방법 및 교량상판 안착용 바지선
KR100943737B1 (ko) * 2009-04-14 2010-02-23 김준성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KR101026014B1 (ko) 2010-11-25 2011-03-30 (주) 한국비계 수상에서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가설공법
KR20140031037A (ko) * 2012-09-04 2014-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운송용 바지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선적 방법
KR20140146465A (ko) * 2013-06-17 2014-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 블록 서포트 기구 및 그 사용방법
KR101560547B1 (ko) * 2015-06-01 2015-10-16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스트랜드 잭을 이용한 교량 해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939A (ko) * 1999-02-25 1999-05-25 김응천 수상교량의 교량상판 안착방법 및 교량상판 안착용 바지선
KR100943737B1 (ko) * 2009-04-14 2010-02-23 김준성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KR101026014B1 (ko) 2010-11-25 2011-03-30 (주) 한국비계 수상에서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가설공법
KR20140031037A (ko) * 2012-09-04 2014-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운송용 바지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선적 방법
KR20140146465A (ko) * 2013-06-17 2014-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 블록 서포트 기구 및 그 사용방법
KR101560547B1 (ko) * 2015-06-01 2015-10-16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스트랜드 잭을 이용한 교량 해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357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20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ntegrated deck sub-structure assembly including arch-vessel passage means
KR101454843B1 (ko) 화물을 선박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선박으로 운반하기 위한 플랜트
JP6421201B2 (ja) 橋を建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橋を建造する装置
CN110525578B (zh) 一种吊舱安装装置及安装方法
KR101026014B1 (ko) 수상에서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가설공법
CN110306435B (zh) 一种超大分段钢结构桥梁多船联运施工方法
JP6820443B2 (ja) 仮締切り構築方法と仮締切り体
KR20190034818A (ko) 교량 시공방법
KR20190034817A (ko) 중량물 이동용 이동선
CN106400693A (zh) 一种斜坡道钢箱梁运梁车及运梁方法
KR20190034848A (ko) 중량물 이동 대차 및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방법
AU2005306106A2 (en) Device for the offshore loading and unloading of ships
CN110306436B (zh) 一种超大分段钢结构桥梁两船联运跨墩架设施工方法
JP5772273B2 (ja) 据付装置及び据付方法
KR101908402B1 (ko)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KR20190034850A (ko) 중량물 선적 방법
KR20190034849A (ko) 중량물 이동용 레일 어셈블리 및 중량물 이동 방법
CN111285141A (zh) 卸船机运输发运工艺
KR20190034842A (ko) 중량물 이동 대차
JP4324476B2 (ja) 貨物コンテナ荷役における緩衝クレーンの操作方法。
CN109823970B (zh) 一种桥梁建造用钢结构运输方法
Naqvi et al. Transportation considerations in module design
CN114671265B (zh) 智能化重物移位装置
CN114737493B (zh) 陆上施工方法
CN115652859B (zh) 一种离岸式桩基海工建筑物上部结构整体式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