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737B1 -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 Google Patents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737B1
KR100943737B1 KR1020090032493A KR20090032493A KR100943737B1 KR 100943737 B1 KR100943737 B1 KR 100943737B1 KR 1020090032493 A KR1020090032493 A KR 1020090032493A KR 20090032493 A KR20090032493 A KR 20090032493A KR 100943737 B1 KR100943737 B1 KR 100943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andrail
connection plate
bar
enclos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성
Original Assignee
김준성
주식회사 빌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성, 주식회사 빌탑 filed Critical 김준성
Priority to KR1020090032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되는 제1,2함체와, 제1,2함체간 이동로를 형성하며 제1,2함체에 양단이 힌지연결된 연결플레이트와, 수위치로 인해 발생된 제1,2함체간의 높이차에 대해 제1,2함체와 연결플레이트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난간을 형성할 수 있는 제1난간수직바, 제1난간수평바, 고정바와, 연결플레이트와 제1난간수평바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함체간에 힌지연결되어 이동로를 확보하는 연결플레이트와, 연결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된 난간수직바 및 난간수평바가 함체간의 수위차로 인해 발생된 높이차에 대해 회동되기 때문에, 풍랑에 대해 안전하게 함체를 연결할 수가 있고, 특히 함체와 연결플레이트간에 난간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해 함체간의 안전한 이동로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32493
함체, 해상구조물, 회동, 난간, 연속적, 가변

Description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SAFE BOX FOR CONSTRUCTION ON THE SEA}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풍랑에 대해 안전한 이동로를 확보할 수 있는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리나 시설, 인도교등의 해상구조물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부양되는 함체가 다수 연결되어 형성된다.
다수의 함체의 연결은 함체를 서로 강절하여 연결하거나, 함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고 상부에 바닥판을 시공하여 함체들을 연결하였다.
함체를 강절하여 연결한 경우에는 함체의 강절된 부위가 견딜 수 있는 이상의 외력(풍랑)이 작용하게 되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큰 풍랑에 대해서는 해상구조물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함체의 강절된 부위를 보다 견고하게 시공하였으나, 이는 매우 비경제적이었다.
한편, 함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고 함체간 유동가능하게 바닥판을 시공하여 함체를 연결한 경우에는 바닥판의 유동성때문에, 바닥판과 함체간을 연결하는 난간을 설치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난간을 설치하여도, 풍랑으로 인해 발생된 함체간의 수위차에 의해 함체간의 높이차가 발생됨으로써, 바닥판의 난간과 함체의 난간이 이격되어 난간의 부재구간이 형성되어 설치된 난간이 유명무실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심지어는 바닥판의 난간과 함체의 난간이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풍랑에 대해 안전하게 함체를 상호 연결할 수 있고 함체간의 안전한 이동로를 확보할 수 있는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유되는 제1,2함체와; 상기 제1,2함체에 양단이 각각 힌지연결되어 상기 제1,2함체에 대해 회동되고, 상기 제1,2함체간 이동로를 형성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되는 다수의 제1난간수직바와; 상기 다수의 제1난간수직바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인접된 상기 제1,2함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고정바를 연결하되,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난간수직바와 상기 고정바에 힌지연결되어 수위차로 인한 제1,2함체의 높이차에 의해 상기 고정바에 회동되는 제1난간수평바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1난간수평바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1난간 수평바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호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제1연결플레이트와 제2연결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난간수평바는 상호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제1난간수평부재와 제2난간수평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수단은 분리되어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1,2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1,2난간수평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각각 연결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함체는 부력을 갖도록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충진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 설치된 제2난간수직바와; 상기 다수의 제2난간수직바 및 상기 고정바를 상호 연결하는 제2난간수평바와; 상기 공기충진공간으로 이용자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공기충진공간으로 인입로를 형성하는 인입로 형성수단과; 상기 공기충진공간에 위치된 이용자가 본체 외부의 수중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충진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투명한 투시창과;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매립되되 선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 다수의 앵커돌기가 형성된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노출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힌지연결되도록 관통된 힌지공이 형성된 힌지연결부로 이루어진 힌지브라켓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무게중심을 낮추는 무게중심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함체간에 힌지연결되어 이동로를 확보하는 연결플레이트와, 연결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된 난간수직바 및 난간수평바가 함체간의 수위차로 인해 발생된 높이차에 대해 회동되기 때문에, 풍랑에 대해 안전하게 함체를 연결할 수가 있고, 특히 함체와 연결플레이트간에 난간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해 함체간의 안전한 이동로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부유되는 함체(B)로서 상호 분리된 제1,2함체(10,20)와, 제1,2함체간 이동로를 형성하며 제1,2함체에 양단이 힌지연결된 연결플레이트(30)와, 수위차로 인해 발생된 제1,2함체간의 높이차에 대해 제1,2함체와 연결플레이트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난간을 형성할 수 있는 제1난간수직바(40), 제1난간수평바(50), 고정바(60)와, 연결플레이트(30)와 제1난간수평바(5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수단(70)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제1,2함체(10,2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충진공간(11)이 형성된 본체(12)와,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 설치된 제2난간수직바(13)와, 제2난간수직바를 연결하는 제2난간수평바(1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체(12)의 상면을 이동하는 이용자가 공기충진공간(11)으로 인입할 수 있도록 본체(12)의 상면으로부터 공기충진공간(11)으로 인입로를 형성하는 인입 로 형성수단(15)이 구비될 수 있다. 인입로 형성수단(15)으로는 본체(12)의 상면과 공기충진공간(11)을 연결하는 계단, 사다리등이 적용될 수가 있다.
공기충진공간(11)을 형성하는 본체(12)의 외면에는 이용자가 본체(12) 외부의 수중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투시창(16)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12)의 하부에는 본체(12)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본체(12)가 보다 안정적으로 부유되게 하는 무게중심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무게중심부(17)는 본체(12)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본체 외부의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7b)이 형성된 물탱크(17a)와, 물탱크(17a)내에 구비되어 수용공간(17b)으로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거나 수용공간(17b)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17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함체(10)(20)에는 공기 충진공간(11)을 구획하는 구획벽(18)이 형성되고, 이 구획벽(18)에는 출입을 위한 도어(19)가 형성된다. 이 도어(19)는 차단 시 공기 또는 물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공기 충진공간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 침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연결플레이트(30)는 이용자가 제1,2함체(10,20)간 이동이 가능하기에 충분한 이동로를 형성하도록 소정 폭으로 형성된다. 연결플레이트(30)의 양단에는 본체(12)의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공(31)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2)의 가장자리에는 연결플레이트(30)의 양단과 힌지연결되는 힌지브라켓(80)이 설치된다. 힌지브라켓(80)은 본체(12)의 가장자리에 매립되고 선단에 방 사상으로 돌출되어 본체(12)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다수의 앵커돌기(81a)가 형성된 매립부(81)와, 매립부(81)로부터 연장되어 본체(12) 외부로 노출되고 연결플레이트(30)의 연결공(31)과 연통되는 힌지공(82a)이 형성된 힌지연결부(82)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2)와 연결플레이트(30)의 힌지연결은 연결플레이트(30)의 연결공(31)과, 힌지브라켓(80)의 힌지공(82a)을 동시에 관통하여 끼워지는 힌지축(90)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난간을 형성하는 제1난간수직바(40)는 연결플레이트(30)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이격되게 일렬로 배열되어 설치되는데, 연결플레이트(30)에 힌지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난간수직바(40)는 제1난간수직바(40)의 배열방향으로 회동되게 연결플레이트(30)에 힌지연결된다.
제1난간수평바(50)는 다수의 제1난간수직바(40)를 연결하는 것으로, 각각의 제1난간수직바(40)가 제1난간수평바(50)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난간수평바(50)의 양단은 연결플레이트(30)에 인접된 제1,2함체(10,2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고정바(60)에 힌지연결된다.
가변수단(70)은 연결플레이트(30)와 제1난간수평바(50)를 각각 양분하여 슬라이딩되게 구비하고, 양분된 각각의 연결플레이트(30)와 제1난간수평바(50)를 탄성력에 의해 상호 결합시켜 외력에 의한 탄성력의 변화로 양분된 각각의 연결플레이트(30) 및 제1난간수평바(5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한 것이다.
즉, 연결플레이트(30)는 제1,2연결플레이트(32,33)로 양분하고, 상호 슬라이딩되도록 제1연결플레이트(32)에 제2연결플레이트(33)가 인입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2연결플레이트(32,33)는 탄성부재(70')인 인장스프링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제1난간수평바(50)도 제1,2난간수평부재(51,52)로 양분하고, 제1난간수평부재(51)에 제2난간수평부재(52)가 인입되어 슬라이딩되게 형성되며, 제1,2난간수평부재(51,52)도 탄성부재(70')인 인장스프링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물론, 인장스프링에 의해 제1,2연결플레이트 및 제1,2난간수평부재를 연결하지 않고, 에어실린더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풍랑으로 인한 수위차로 인해 발생된 제1,2함체(10,20)간의 높이차에 대해 연결플레이트(30) 및 난간을 형성하는 제1난간수직바(40), 제1난간수평바(50)는 제1,2함체(10,20)에 대해 회동되면서 연속적인 이동로와 난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1,2함체(10,20)간 높이차의 발생시 연결플레이트(30)는 제1,2함체(10,20)에 대해 회동되어 연속적인 이동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1난간수평바(50)도 제1,2함체(10,20)에 고정설치된 고정바(60)에 대해 회동되어 제1,2함체(10,20)에 설치된 제2난간수평바(50)와 단락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된다. 제1난간수평바(50)가 회동될 때, 양단이 제1난간수평바(50)와 연결플레이트(30)에 힌지연결된 제1난간수직바(40)도 제1난간수평바(50) 및 연결플레이 트(30)에 대해 회동되어 제1난간수평바(50)의 회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연결플레이트(30)와 제1난간수평바(50)가 높이차가 발생되는 제1,2함체(10,20)에 대해 회동되기 위해서는 연결플레이트(30)의 양단 힌지중심부분과, 제1난간수평바(50)의 양단 힌지중심부분이 평행선상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설계상 연결플레이트(30)의 양단 힌지중심부분과, 제1난간수평바(50)의 양단 힌지중심부분이 평행선상에 있게 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플레이트(30)의 양단 힌지중심부분과, 제1난간수평바(50)의 양단 힌지중심부분이 평행선상에 있도록 그 길이를 가변수단(70)에 의해 가변되어야 한다.
즉, 본 실시 예의 가변수단(70)에 의해 연결플레이트(30)와 제1난간수평바(50)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제1,2함체(10,20)간에 높이차가 발생될 경우에, 연결플레이트(30)와 제1난간수평바(50)가 제1,2함체(10,20)에 대해 원활하게 회동되어 연속적인 이동로 및 난간을 형성할 수가 있게 된다.
본체(12)는 무게중심부(17)에 의해 파랑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부유된다. 즉, 펌프(17c)에 의해 물탱크(17a)내에 수용되는 물의 량을 조절함으로써, 파랑의 강약에 따라 본체(12)의 무게중심위치를 제어할 수가 있다. 즉, 파랑이 클 경우에 물탱크내의 물의 수용량을 늘려 본체의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추어 본체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가 있다.
파랑의 강약은 기상청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파고, 풍향, 풍속등에 의해 판단할 수 있고, 본체의 별도의 수평센서를 구비하여 본체의 기울림값으로부터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이용자는 인입로 형성수단(15)인 계단 또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제1,2함체(10,20)의 공기충진공간(11)으로 인입하고, 투시창(16)을 통해 본체(12) 외부의 수중을 관찰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볼거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는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함체를 연결하여 마리나 시설 또는 인도교를 형성할 수고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은 해상건축의 팬선, 낚시터, 해상함선, 부잠교, 도교, 계류시설 등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인 파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에서 함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인 파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에서 함체간에 이동로를 형성하며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인 파랑에 대한 안전한 해상구조물에서 함체간의 높이차로 인해 이동로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실시 예인 파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에서 다수의 함체가 연결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구획벽에 설치된 도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함체 10 : 제1함체
20 : 제2함체 11 : 공기충진공간
12 : 본체 15 : 인입로 형성수단
16 : 투시창 17 : 무게중심부
30 : 연결플레이트 40 : 제1난간수직바
50 : 제1난간수평바 60 : 고정바
70 : 가변수단 80 : 힌지브라켓
90 : 힌지축

Claims (3)

  1. 부유되는 제1,2함체(10)(20)와;
    상기 제1,2함체(10)(20)에 양단이 각각 힌지연결되어 상기 제1,2함체에 대해 회동되고, 상기 제1,2함체(10)(20)간 이동로를 형성하는 연결플레이트(3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30)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힌지연결되어 회동되는 다수의 제1난간수직바(40)와;
    상기 다수의 제1난간수직바(4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30)에 인접된 상기 제1,2함체(10)(2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고정바(60)를 연결하되, 상기 연결플레이트(30)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난간수직바(40)와 상기 고정바(60)에 힌지연결되어 수위차로 인한 제1,2함체(10)(20)의 높이차에 의해 상기 고정바에 회동되는 제1난간수평바(5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30)와, 상기 제1난간수평바(50)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플레이트(30)와 상기 제1난간수평바(5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30)는 상호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제1연결플레이트(32)와 제2연결플레이트(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난간수평바(50)는
    상호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제1난간수평부재(51)와 제2난간수평부재(52)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수단(70)은 분리되어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1,2연결플레이트(32)(33)와, 상기 제1,2난간수평부재(51)(52)를 탄성력에 의해 각각 연결하는 탄성부재(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함체(10)(20)는
    부력을 갖도록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충진공간(11)이 형성된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 설치된 제2난간수직바(13)와;
    상기 다수의 제2난간수직바(13) 및 상기 고정바를 상호 연결하는 제2난간수평바(14)와;
    상기 공기충진공간(11)으로 이용자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공기충진공간(11)으로 인입로를 형성하는 인입로 형성수단(15)과;
    상기 공기충진공간(11)에 위치된 이용자가 본체 외부의 수중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충진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12)의 외면에 형성된 투명한 투시창(16)과;
    상기 본체(12)의 가장자리에 매립되되 선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2)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 다수의 앵커돌기가 형성된 매립부(81)와, 상기 매립부로(81)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12)의 가장자리에 노출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힌지연결되도록 관통된 힌지공(82a)이 형성된 힌지연결부(82)로 이루어진 힌지브라켓(80)과;
    상기 본체(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무게중심을 낮추는 무게중심부(17)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중심부(17)는
    상기 본체(12)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본체 외부의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7b)이 형성된 물탱크(17a)와;
    상기 물탱크(17a) 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7b)에 수용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본체 외부의 물을 펌핑하거나, 상기 수용공간(17b)에 수용된 물을 상기 본체(12) 외부로 펌핑하는 펌프(17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KR1020090032493A 2009-04-14 2009-04-14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KR100943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493A KR100943737B1 (ko) 2009-04-14 2009-04-14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493A KR100943737B1 (ko) 2009-04-14 2009-04-14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737B1 true KR100943737B1 (ko) 2010-02-23

Family

ID=4208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493A KR100943737B1 (ko) 2009-04-14 2009-04-14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7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29B1 (ko) 2011-05-11 2012-04-13 우진기업(주) 진입로 길이 가변형 수변 데크로드
KR101170647B1 (ko) 2012-03-28 2012-08-07 (주)에코원 조립식 다기능성 부교
WO2013084979A1 (ja) * 2011-12-07 2013-06-13 Nakamura Takuju 浮体構造物連結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係留システム
KR101274607B1 (ko) * 2011-06-10 2013-06-14 주식회사 위더스씨아이에스 수상부유 구조물의 도교 연결 시스템
KR20140041265A (ko) * 2012-09-27 2014-04-04 한국전력공사 가동형 정박장치
KR101443688B1 (ko) * 2012-09-06 2014-09-26 이기용 연결도교를 이용한 함선의 연결구조
KR20190034850A (ko) * 2017-09-25 2019-04-03 (주)상아개발 중량물 선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837U (ko) 1978-08-25 1980-03-04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837U (ko) 1978-08-25 1980-03-04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29B1 (ko) 2011-05-11 2012-04-13 우진기업(주) 진입로 길이 가변형 수변 데크로드
KR101274607B1 (ko) * 2011-06-10 2013-06-14 주식회사 위더스씨아이에스 수상부유 구조물의 도교 연결 시스템
WO2013084979A1 (ja) * 2011-12-07 2013-06-13 Nakamura Takuju 浮体構造物連結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係留システム
KR101170647B1 (ko) 2012-03-28 2012-08-07 (주)에코원 조립식 다기능성 부교
KR101443688B1 (ko) * 2012-09-06 2014-09-26 이기용 연결도교를 이용한 함선의 연결구조
KR20140041265A (ko) * 2012-09-27 2014-04-04 한국전력공사 가동형 정박장치
KR102001365B1 (ko) * 2012-09-27 2019-07-19 한국전력공사 가동형 정박장치
KR20190034850A (ko) * 2017-09-25 2019-04-03 (주)상아개발 중량물 선적 방법
KR102012357B1 (ko) * 2017-09-25 2019-10-21 (주)상아개발 중량물 선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737B1 (ko)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US9279224B2 (en) Self-actuating shoreline flood guard
US7086809B2 (en) Minimum floating offshore platform with water entrapment plate and method of installation
CA2710399C (en) Tidal flow power generation
EP2789850A1 (en) Floating typ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US20160006391A1 (en) Corded lattice based floating photovoltaic solar field with independently floating solar modules
US10822063B1 (en) Floating platform
KR101450732B1 (ko)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US11261839B2 (en) Device for collecting energy from broad wave spectra
US11447216B2 (en) Floating platform
US20230399084A1 (en) Stabilizer for floating construct
JP2009511347A (ja) ポントゥーン型浮体式構造
EP2518310B1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between at least one electricity generator and one electricity transfer system, in a marine environment
KR20150046054A (ko) 반잠수식 통합 항구
KR100542331B1 (ko) 수중 수평판을 구비한 부방파제
KR20110107889A (ko) 파도의 관성력을 이용하는 월파수로용 수문의 내파(耐破)적 구조와 설치방법.
KR102058448B1 (ko)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GB2451843A (en) A barrier with a pivotably mounted cantilever member
KR100542332B1 (ko) 동요저감형 부방파제
KR101342635B1 (ko) 고강도 콘크리트 부잔교
RU192498U1 (ru) Модуль инженерно-заградительного препятствия створа водоёма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микро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и
KR101279830B1 (ko) 콘크리트 부유해상구조물
JP4120988B2 (ja) ダブルビーム式係留装置及びこの係留装置を備えた浮揚施設と浮桟橋式流木止め設備
JP2005207220A5 (ko)
KR102448003B1 (ko) 소파 및 수평 기능을 가지는 부잔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