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365B1 - 가동형 정박장치 - Google Patents

가동형 정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365B1
KR102001365B1 KR1020120108381A KR20120108381A KR102001365B1 KR 102001365 B1 KR102001365 B1 KR 102001365B1 KR 1020120108381 A KR1020120108381 A KR 1020120108381A KR 20120108381 A KR20120108381 A KR 20120108381A KR 102001365 B1 KR102001365 B1 KR 102001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uffer
connection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265A (ko
Inventor
유무성
강금석
김지영
이준신
박병목
박준영
이재경
김석태
오기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20108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36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가동형 정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동형 정박장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구비되어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 및 완충부와 고정부를 연결하고, 완충부가 해수면에 대응되어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위치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동형 정박장치{MOVABLE BOAT LANDING DEVICE}
본 발명은 가동형 정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수간만차에 의한 해수면에 따라 접안위치가 가변되어 선박 및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동형 정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트랜딩 시스템은 해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비의 이동이나 작업인력의 출입 시 선박을 구조물에 정박하는데 이용된다.
일반적인 보트랜딩 시스템은 해상 구조물이 아닌 항만에 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부두 설치 시점부터 접근로를 계획하여 시공한 후 여기에 접안을 위한 완충부(방충재)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완성된다. 그러나, 조수간만의 차이로 인해 시간대별로 큰 수위차가 발생하는 지역의 경우에는 이러한 방충부의 위치가 선박접안의 안전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즉, 간조(수위가 가장 낮을 때) 때와 만조(수위가 가장 높을 때)의 조위차가 거의 6m에 달하기 때문에 안전한 선박 접안을 위해서는 복수개의 완충부가 설치하여야 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78441호(등록일:2005.03.02)에는 "선박 접안용 방충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선박의 접안시 안정적인 선박 접안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접근성을 강화하여 구조물 및 부속시설에 발생된 사고 혹은 고장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가동형 정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어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고, 상기 완충부가 해수면에 대응되어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위치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조물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부는 상기 고정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완충부에 구비되는 가이드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와 상기 가이드체결부는 결속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가이드체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를 관통하는 결속바와, 상기 결속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작업자의 선박 출입을 안내하는 사다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의 양단에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고정부와 링크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완충부와 링크연결되는 링크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에 각각 구비되는 링크브라켓 및 상기 링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링크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링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연결부는 해수면의 수위 가변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상기 완충부의 위치 가변을 제한하는 링크운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운동제어부는 상기 링크축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마찰부 및 상기 마찰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에 구비되어 탄성지지되는 파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운동제어부는 상기 링크축의 양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탄성지지되는 결속핀이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운동제어부는 상기 링크축의 양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결속핀이 구비되는 실린더 및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에는 사다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는 선박의 접안시 선박과 구조물간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가 조수간만에 의한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선박 접안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다리가 구비되어 구조물 및 부속시설에 발생하는 사고 혹은 고정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제어부에 의해 소정의 힘 구간 동안 연결링크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써, 작업자의 하선시 파도의 흔들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링크작동을 보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링크연결부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링크연결부의 제1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링크연결부의 제2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정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100)는 고정부(110), 완충부(120) 및 위치가변부(13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구조물의 전측에 고정된다. 구조물은 항만이나 해상구조물을 말하며, 고정부(110)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져 구조물에 볼팅되어 고정된다.
고정부(110)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조물과 연결되는 연결부(115)가 구비된다. 연결부(115)는 사다리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다.
완충부(120)는 고정부(110)의 전측에 구비되어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완화하는 것으로서, 부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재료로 구성된다. 이는 완충부(12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위치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가변부(130)는 완충부(120)와 고정부(110)를 연결하고, 완충부(120)가 해수면에 대응되어 위치가 가변되게 한다. 위치가변부(130)는 고정부(110)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132) 및 가이드레일부(13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완충부(120)에 구비되는 가이드체결부(134)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부(132)는 구조물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나란한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가이드체결부(134)는 가이드레일부(132)에 대응되도록 완충부(12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부(132)는 단면형상이 'T'자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체결부(134)는 가이드레일부(132)가 삽입되도록 'T'자형 홈이 구비된다. 가이드레일부(132)와 가이드체결부(134)의 형상은 상호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완충부(120)의 부력에 의해 가이드체결부(134)는 가이드레일부(132)를 따라 승하강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부(132)는 지지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호 연결하는 횡바(135)가 구비된다. 횡바(135)는 가이드레일부(132)의 상하단에 각각 구비된다.
완충부(120)와 가이드체결부(134)는 결속부(140)에 의해 연결된다. 결속부(140)는 가이드체결부(134)에 구비되어 완충부(120)를 관통하는 결속바(142)와, 결속바(142)의 단부에 결합되어 완충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너트(144)를 포함한다. 이때, 완충부(120)의 전면에는 결속너트(144)가 수용되는 함몰홈(122)이 형성된다. 이는 완충부(120)를 관통하는 결속바(142) 및 결속바(142)에 결합되는 결속너트(144)가 전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박의 접안시 선박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고정부(110)에는 작업자의 선박 출입을 안내하는 사다리(150)가 구비된다. 사다리(150)는 가이드레일부(132)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하단이 횡바(135)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정부(110)에는 가이드레일부(132)가 구조물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대응될 수 있는 완충부(120)는 가이드체결부(134)에 고정되며, 가이드체결부(134)는 가이드레일부(132)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완충부(12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대응되는데 이는 가이드체결부(134)가 가이드레일부(132)를 따라 승강되는 구조에 의해 가능하다.
완충부(120)는 가이드체결부(134)에 구비되는 결속부(140)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여 완충부(120)의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위치가변부(130)에 의한 완충부(120)의 작용을 설명하면, 조수간만에 의해 해수면의 높이는 가변되므로, 선박의 접안시 완충부(120)는 해수면과 대응되어야만 안전한 접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완충부(120)는 위치가변부(130)에 의해 해수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완충부(120)는 부력에 의해 가이드레일부(132)를 따라 승강하여 해수면과 대응된다. 해수면과 완충부(120)의 높이가 대응되므로 선박은 안전한 접안이 가능하며, 선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선박의 접안시 가이드체결부(134)와 완충부(120)를 연결하는 결속부(140)는 완충부(120)에 형성되는 함몰홈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선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10)에는 구조물과 연결되는 연결부(115)가 구비되고, 고정부(110)는 사다리(150)가 구비되므로 구조물에서 선박으로의 작업자 출입이 용이하여 선박으로의 출입 및 가동형 정박장치(100)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가동형 정박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링크작동을 보인 그래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링크연결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링크연결부의 제1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링크연결부의 제2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200)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위치가변부(130)와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부(230)는 고정부(210)와 완충부(22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링크(232) 및 연결링크(232)의 양단에 구비되어 일단은 고정부(210)와 링크연결되고, 타단은 완충부(220)와 링크연결되는 링크연결부(234)를 포함한다.
연결링크(232)는 복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지고, 신축 가능한 구조를 지닌다. 여기서 인접한 두 단이 상호 신축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연결링크(232)가 신축 가능한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연결링크(232)는 사다리(270)가 더 구비된다. 사다리(270)는 연결링크(232)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연결링크(232)의 각도에 따라 난간 기능 또는 작업자의 출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다리(270)는 연결링크(232)와 유사하게 복수의 단으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링크(232)의 신축에 대응된다.
링크연결부(234)는 고정부(210)와 완충부(220)에 각각 구비되는 링크브라켓(235) 및 링크브라켓(2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결링크(23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링크축(236)을 포함한다.
링크브라켓(235)은 고정부(210)의 양측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링크축(236)은 연결링크(232)의 양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호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대응되는 완충부(220)는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연결링크(232)에 의해 승강 작용이 가능하다.
링크연결부(234)는 해수면의 수위 가변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완충부(220)의 위치가변을 제한하는 링크운동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링크운동제어부(240)는 링크축(236)에 토크력을 제공하여 소정 힘 구간 동안 각각의 링크축(236)을 중심으로 연결링크(232)의 양단이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작업자의 하선 시 파도의 흔들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량 이하 만큼 해수면이 변하여도 완충부(220)의 높이는 변하지 않고, 해수면이 일정량을 초과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였을 때만 연결링크(232)가 회동되어 완충부(220)를 해수면과 연동시킨다.
링크운동제어부(24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축(236)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마찰부(242) 및 마찰부(242)와 접촉되도록 고정부(210)와 완충부(220)에 구비되어 탄성지지되는 파지블럭(244)을 포함한다. 마찰부(242)는 링크축(236)의 둘레면에 라운드 형성되는 요철돌기로 이루어지고, 파지블럭(244)은 마찰부(242)와 대응되도록 요철홈이 형성된다. 파지블럭(244)은 복수개의 탄성스프링(245)에 의해 지지되어 마찰부(242)를 가압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운동제어부(250)의 제1변형예로서, 링크운동제어부(250)는 링크축(236)의 양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부(252) 및 고정부(210)와 완충부(220)에 구비되어 걸림홈부(25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탄성지지되는 결속핀(255)이 구비되는 가압부(254)를 포함한다. 즉, 결속핀(255)은 탄성스프링(256)에 지지되어 걸림홈부(252)에 삽입된 상태로 링크축(236)의 회전을 제한하다가, 일정량 이상의 해수면 변동이 발생하면 이탈되어 링크축(236)이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운동제어부(260)의 제2변형예로서, 링크운동제어부(260)는 링크축(236)의 양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부(262)와, 고정부(210)와 완충부(220)에 구비되어 걸림홈부(26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결속핀(265)이 구비되는 실린더(264) 및 수위를 감지하여 실린더(264)를 구동시키는 제어부(266)를 포함한다.
제어부(266)는 해수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267)와, 수위센서(267)에서 감지된 수위신호를 이용하여 실린더(264)에 걸림해제 신호를 인가하는 연산부(268)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정박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링크(232)는 고정부(210)와 완충부(220) 사이에 구비되어 양단이 링크연결부(234)에 의해 링크연결된다.
완충부(22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대응되는데 완충부(220)는 연결링크(232)의 링크작용에 의해 승강되므로써, 해수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연결링크(232)에 의한 완충부(220)의 작용을 설명하면, 조수간만에 의해 해수면의 높이는 가변되므로, 선박의 접안시 완충부(220)는 해수면과 대응되어야만 안전한 접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완충부(220)는 링크브라켓(235)과 링크축(236)으로 이루어지는 링크연결부(234)에 의해 회동 가능한 구조를 지니므로, 해수면의 변경시 완충부(220)의 높이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박은 조수간만의 영향없이 안전한 접안이 가능하다.
이때, 연결링크(232)는 링크운동제어부(240,250,260)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므로 파도의 흔들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는 작업자의 하선시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해수면의 수위변화량이 일정량 이하 만큼 변하여도 완충부(220)의 높이는 변하지 않고, 일정량을 초과하였을 때만 완충부(220)의 높이가 변화되므로 가능하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부(210)와 완충부(220)에 구비되는 파지블럭(244)이 링크축(236)의 마찰부(242)를 가압하여 토크력을 부여하므로 링크축(23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고,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부(210)와 완충부(220)에 구비되고, 탄성지지되는 결속핀(255)이 링크축(236)의 걸림홈부(252)에 결속되므로 링크축(23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으며,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센서(267)에 의해 감지된 수위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실린더(264)에 의해 링크축(23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처럼 링크운동제어부(240,250,260)의 다양한 변형예를 통해 링크축(23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어 연결링크(23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하선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연결링크(232)는 복수의 단으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한 구조를 지니므로 파도에 의해 완충부(220)에 작용된 힘과 연결링크(232)의 길이에 의해 발생한 모멘트에 의한 해상 구조물 또는 본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링크(232)의 양측에는 연결링크(232)의 신축에 대응되도록 신축 가능한 사다리(270)가 구비되어 작업자의 하선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연결링크(232)의 각도에 따라 난간 또는 이동 수단의 역할을 수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형 장박장치에 의하면, 선박의 접안시 선박과 구조물간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가 조수간만에 의한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어 안정적인 선박 접안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접근성을 강화하여 구조물 및 부속시설에 발생된 사고 혹은 고장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100 : 가동형 정박장치 110 : 고정부
115 : 연결부 120 : 완충부
122 : 함몰부 130 : 위치가변부
132 : 가이드레일부 134 : 가이드체결부
135 : 횡바 140 : 결속부
142 : 결속바 144 : 결속너트
150 : 사다리
제2실시예
200 : 가동형 정박장치 210 : 고정부
220 : 완충부 230 : 위치가변부
232 : 연결링크 234 : 링크연결부
235 : 링크브라켓 236 : 링크축
240 : 링크운동제어부 242 : 마찰부
244 : 파지블럭 245 : 탄성스프링
250 : 링크운동제어부 252 : 걸림홈부
254 : 가압부 255 : 결속핀
256 : 탄성스프링 260 : 링크운동제어부
262 : 걸림홈부 264 : 실린더
265 : 결속핀 266 : 제어부
267 : 수위센서 268 : 연산부

Claims (14)

  1.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어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고, 상기 완충부가 해수면에 대응되어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위치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가변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의 양단에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고정부와 링크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완충부와 링크연결되는 링크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에 각각 구비되는 링크브라켓;
    상기 링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링크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링크축; 및
    해수면의 수위 가변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상기 완충부의 위치 가변을 제한하는 링크운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운동제어부는,
    상기 링크축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마찰부; 및
    상기 마찰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에 구비되어 탄성지지되는 파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정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조물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정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정박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작업자의 선박 출입을 안내하는 사다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정박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어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고, 상기 완충부가 해수면에 대응되어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위치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가변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의 양단에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고정부와 링크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완충부와 링크연결되는 링크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에 각각 구비되는 링크브라켓;
    상기 링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링크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링크축; 및
    해수면의 수위 가변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상기 완충부의 위치 가변을 제한하는 링크운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운동제어부는,
    상기 링크축의 양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결속핀이 구비되는 실린더; 및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정박장치.
  13.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정박장치.
  14.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에는 사다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정박장치.
KR1020120108381A 2012-09-27 2012-09-27 가동형 정박장치 KR102001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381A KR102001365B1 (ko) 2012-09-27 2012-09-27 가동형 정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381A KR102001365B1 (ko) 2012-09-27 2012-09-27 가동형 정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265A KR20140041265A (ko) 2014-04-04
KR102001365B1 true KR102001365B1 (ko) 2019-07-19

Family

ID=50651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381A KR102001365B1 (ko) 2012-09-27 2012-09-27 가동형 정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155B1 (ko) * 2018-11-29 2020-03-0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 풍력발전장치
CN115384719B (zh) * 2022-08-04 2023-09-29 盐城生物工程高等职业技术学校 一种操舵船舶用的智能防撞装置
CN116770777B (zh) * 2023-08-09 2024-01-26 济宁三泰和游艇制造有限公司 一种游艇停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848A (ja) * 2002-04-18 2003-11-06 Molten Corp 係留装置
KR100943737B1 (ko) * 2009-04-14 2010-02-23 김준성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48A (ja) * 1995-07-03 1997-01-14 Masaki Yamamoto 岸壁用干満型浮力式防舷材
JPH0925623A (ja) * 1995-07-10 1997-01-28 Nichibei Gomme Kk 発光手段を備えた防舷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848A (ja) * 2002-04-18 2003-11-06 Molten Corp 係留装置
KR100943737B1 (ko) * 2009-04-14 2010-02-23 김준성 풍랑에 대해 안전한 해상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265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365B1 (ko) 가동형 정박장치
KR101184917B1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KR101267155B1 (ko) 항만 부두에 설치되는 선박충돌 완화장치
KR200473182Y1 (ko)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CN104619919B (zh) 船用碰垫及相关维护方法
WO2011028745A3 (en) Controller for hydraulic device and gangway with such a device
WO2012107459A1 (en) Access apparatus for transferring from vessels to fixed structures
KR102396813B1 (ko) 부유식 설비를 지반에 고정하는 시스템을 위한, 앵커 체인 체결용 도삭기
US10100478B2 (en) Device for securing floating bodies
KR101763817B1 (ko) 갱웨이 장치
KR102048296B1 (ko) 외력흡수형 부잔교
KR101129431B1 (ko) 연결도교를 이용한 함선의 연결구조
WO2014195682A1 (en) Cradle assembly for boats
RU26049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плавсредств
KR101630246B1 (ko) 부력 조절이 가능한 수중 케이블 로봇장치
KR20130070861A (ko) 접철식 반목
US20100224115A1 (en) Bumper system
CN210797439U (zh) 一种用于长期靠泊的系泊装置
US20150353172A1 (en) Device for securing floating bodies
EP2213810B1 (en) Device for lifeline
KR101516186B1 (ko) 페어리드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33659B1 (ko) 해양플랜트용 세이프티 배리어
US4058984A (en) Marine cushioning unit
AU2016260761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to ocean structures
KR102483556B1 (ko)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