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861A - 접철식 반목 - Google Patents

접철식 반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861A
KR20130070861A KR1020110138083A KR20110138083A KR20130070861A KR 20130070861 A KR20130070861 A KR 20130070861A KR 1020110138083 A KR1020110138083 A KR 1020110138083A KR 20110138083 A KR20110138083 A KR 20110138083A KR 20130070861 A KR20130070861 A KR 20130070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upport
unit
banjo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선
이창용
유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8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0861A/ko
Publication of KR2013007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Abstract

접철식 반목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반목은 선체를 지탱하는 지지력을 도크의 바닥면 쪽으로 분산시키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를 기반으로 설치되고 반목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부와, 상기 높이조절장치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분할되어 있는 지주하부 및 지주상부와, 상기 지주하부와 상기 지주상부 사이에 결합된 힌지부와, 상기 지주상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선체의 선저면에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지주상부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헤드부와 상기 기저부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반목{FOLDING TYPE SUPPORTER}
본 발명은 접철식 반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선박 진수시에 사용될 수 있는 접철식 반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설비를 갖춘 선박, 예컨대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는 터릿(turret)을 통해 유정으로부터 가스나 오일 등을 로딩(loading)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FLNG의 선수부에는 터릿을 감싸는 코퍼댐(cofferdam)이 형성되어 있다.
FLNG의 선수부를 제외한 다른 본체부의 선저를 통과하는 선저 기준선(BL: Base Line)이 0미터라고 할 때, 문풀(moon pool) 및 그 주변이 위치한 선수부의 선저 부위에는 선수부를 제외한 다른 본체부의 선저 기준선보다 2.2미터가 상대적으로 높은 선저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선저 부위가 평활하지 않고 선저면 높이가 서로 다른 선박의 건조시에는 해당 선박의 선체를 떠받치기 위해, 선박의 본체부의 선저를 떠받치는 높이 1.2∼1.8미터의 용골 반목이 약 1m 간격으로 사용되고, 선박의 선수부의 선저를 떠받치는 높이 4미터의 반목이 사용되고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하기의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반목장치는 일종의 용골 반목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한 특허문헌1은, 선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바닥쪽에 설치되어 상부의 하중을 분산하는 바닥판(13)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반목(12)과, 그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중부반목(14) 및 상부반목(16)과, 그 상부반목(16)과 중부반목(14) 사이에서 상부반목(16)을 들어 올려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쐐기(18)를 갖는 반목장치(10)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반목장치(10)는 선체의 하중을 단순히 지지하는 용도로서, 선저면과의 기밀한 접촉을 위해, 쐐기(18)의 경사진 각도가 허용하는 범위(수에서 수십 센치미터 정도) 내에서만 상부반목(1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높이 4미터의 반목도 역시 선체를 균형 있게 지탱하여 하중이 쏠리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단순히 높이를 조정할 수 있을 뿐, FLNG와 같은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 도크에서 진수할 경우, 앞서 언급한 선박의 본체부와 선박의 선수부간 높이차와, 진수 흘수 및 기준 수심과의 관계에서 높이 1.8미터 용골 반목보다 훨씬 높이가 높아서 진수시 간섭을 일으키는 높이 4미터의 반목을 해체 또는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즉, 조선소에서는 진수시, 도크 안에 1차 주수를 하고, 수중으로 작업자를 투입하여 높이 4미터 반목을 해체함으로써, 반목과 선체간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매우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도크 안에서 주수와 배수 및 반목의 배치는 매우 빈번하게 일어남으로써, 그때마다 작업자들의 안전이 위협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특허문헌1의 반목장치는 진수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작업자의 투입 없이 신속하게 반목과 선체간 간섭을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49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주상부와 지주하부 사이의 힌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선박 진수시 지주상부 및 헤드부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듯이 낙하됨에 따라 선체와 반목간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접철식 반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를 지탱하는 지지력을 도크의 바닥면 쪽으로 분산시키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를 기반으로 설치되고 반목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부와, 상기 높이조절장치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분할되어 있는 지주하부 및 지주상부와, 상기 지주하부와 상기 지주상부 사이에 결합된 힌지부와, 상기 지주상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선체의 선저면에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지주상부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헤드부와 상기 기저부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접철식 반목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부는, H자 형상의 하부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좌우에 부착된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끝단부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와 체결되기 위한 하부 아이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부는, 상호 이격되게 마주하여 상기 기저부를 기반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를 상호 연결시키고, 관통홀이 중앙에 마련된 브릿지와, 상기 지지기둥의 사이에 배치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좌우측으로 배치된 쐐기형 높이조절블록과, 상기 유압실린더 또는 상기 쐐기형 높이조절블록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지주하부의 하단과 체결되는 안착부를 갖는 가이드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주하부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하플랜지와, 상기 하플랜지의 일측에 결합된 힌지조인트와, 상기 힌지조인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주상부의 하단면이 고정되는 상플랜지와, 상기 힌지조인트의 반대쪽으로 상기 하플랜지 및 상기 상플랜지의 타측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지주상부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의해 지탱되는 지지패드와, 상기 지지패드의 저면 테두리에 설치된 상부 아이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상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작동암과, 상기 작동암에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지지패드의 저면 중앙에 결합된 댐핑실린더를 갖는 댐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힌지부에 마련된 힌지조인트가 있는 쪽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부와 상기 기저부의 옆에 배치되고, 탄성로프, 탄성와이어 및 탄성케이블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탄성몸체와, 상기 탄성몸체의 양단에 마련된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몸체에 장착되어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상부에는 상기 지주상부 및 상기 헤드부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세팅 러그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크 안쪽으로 주수가 이루어지기 전에 탄성부의 탄성력을 작용 받더라도 상대적으로 훨씬 무거운 선체를 지탱하는 상황이므로 일반적인 4미터 반목과 같은 역할을 하다가, 주수를 통해 선체가 반목으로부터 이격될 경우, 탄성부의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게 되어서, 지주상부 및 헤드부가 회전하듯이 낙하하여 반목 높이를 기타 주변의 용골 반목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로 만들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수중 작업 없이 접철식 반목이 선체와 간섭되지 않게 될 수 있어, 신속하고 용이하며 안전한 진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주상부와 헤드부의 사이에 결합된 댐핑부를 제공하여, 회전하듯이 낙하하는 헤드부가 도크의 바닥면에 부딛칠 때, 헤드부 쪽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쇄시켜 헤드부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탄성부가 그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력조절기를 더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탄성부를 헤드부와 기저부 사이에 설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반목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철식 반목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철식 반목을 이용하여 진수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6는 도 2에 도시된 접철식 반목에 탄성력조절기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반목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선, 운반선, 여객선, 부유식 해양 구조물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선박의 건조시, 해당 선박의 선체를 지탱 및 지지하거나, 선체의 진수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반목(100)은 기저부(110), 높이조절장치부(120), 지주하부(130), 힌지부(140), 지주상부(150), 헤드부(160), 댐핑부(170), 탄성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110)는 H자 형상의 하부 프레임 구조물로서, 도크의 바닥면 등의 지지면에 세워지고, 선체를 지탱하는 지지력을 도크의 바닥면 쪽으로 안정되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기저부(110)는 H자 형상의 하부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플레이트(111)의 좌우에 부착된 보조프레임(112, 113)과, 보조프레임(112, 113)의 끝단부 상면에 결합된 하부 아이피스(114)(eye piece)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아이피스(114)는 탄성부(180)를 취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부(120)는 반목 높이를 조절하여, 선체를 균형 있게 지탱하여 하중이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부(120)는 상호 이격되게 마주하여 기저부(110)를 기반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기둥(121,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둥(121, 122)의 하부는 턱을 형성하도록 절개된 부위를 이용하여 기저부(110)의 플레이트(111)의 상면 양측 테두리 및 보조프레임(112, 113)에 걸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부(120)는 한 쌍의 지지기둥(121, 122)의 상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브릿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123)의 중앙에는 관통홀(123a)이 마련되어 있고, 브릿지(123)의 양측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인양 러그(123b)(lug)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부(120)는 지지기둥(121, 122)의 사이로 플레이트(111)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24)와, 유압실린더(124)의 좌우측으로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설치된 쐐기형 높이조절블록(125, 126)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부(120)는 유압실린더(124) 또는 쐐기형 높이조절블록(125, 126)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124) 또는 쐐기형 높이조절블록(125, 126)의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패드(12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패드(127)는 중앙에 지주하부(130)의 하단이 삽입 또는 체결될 때, 지주하부(13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와 직경을 가지고 리브에 의해 보강된 안착부(128)를 구비하고 있다.
지주하부(130), 힌지부(140), 지주상부(150) 및 헤드부(160)는 높이조절장치부(12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주하부(130) 및 지주상부(150)는 분할된 지주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고, 힌지부(14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지주하부(130)는 가이드패드(127)에 의해 지탱되고 높이조절장치부(120)의 브릿지(123)의 관통홀(123a)을 통과하여 상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축부재일 수 있다.
지주하부(130)는 고하중을 담당할 수 있도록 내부가 보강된 축부재 또는 기둥 파이프 부재에 의해 포스트(post) 구조물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힌지부(140)는 지주하부(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접힐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힌지부(140)는 진수 과정에서 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골 반목(예: 높이 1.8미터 반목)에 비해 낮은 높이로서, 예컨대 기준면(예: 도크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1.5미터 정도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힌지부(140)는 지주하부(13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하플랜지(141)와, 하플랜지(141)의 일측에 결합된 힌지조인트(142)와, 힌지조인트(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주상부(150)의 하단면이 고정되는 상플랜지(143)와, 힌지조인트(142)의 반대쪽으로 하플랜지(141) 및 상플랜지(143)의 타측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44)(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상부(150)는 힌지부(140)에 연결되어 지주하부(130)의 상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축부재일 수 있다. 지주상부(150)도 지주하부(130)와 동일한 포스트 구조물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지주상부(150)에는 지주상부(150) 및 헤드부(160)를 일으켜 세우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세팅 러그(151)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헤드부(160)는 지주상부(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선저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헤드부(160)는 지주상부(15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161)와, 연결부(161)의 상부에 지탱되는 지지패드(162)와, 지지패드(162)의 저면 테두리에 설치된 상부 아이피스(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160)의 외주면에는 보강리브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패드(162)는 연결부(161)의 상부 뿐만 아니라 연결부(161)의 외주면의 보강리브에 의해서도 지탱될 수 있다.
댐핑부(170)는 도 3을 통해서 설명될 수 있는데, 낙하시의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댐핑부(170)는 지주상부(15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작동암(171)과, 작동암(171)에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헤드부(160)의 지지패드(162)의 저면 중앙에 결합된 댐핑실린더(1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부(180)는 헤드부(160)와 기저부(110)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로프, 탄성와이어 및 탄성케이블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탄성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180)는 힌지부(140)의 힌지조인트(142)가 있는 쪽을 기준으로 헤드부(160)와 기저부(110)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180)는 작업자에 의해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는 구조로서, 탄성부(180)의 탄성몸체의 양단에 후크(181, 182)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부(180)의 일측 후크(181)는 기저부(110)의 하부 아이피스(114)에 체결될 수 있고, 탄성부(180)의 타측 후크(182)는 헤드부(160)의 상부 아이피스(163)에 체결될 수 있다.
탄성부(180)는 선체를 단순히 지지할 때 분리 또는 탈착되어 있다가, 선체를 진수하기 직전에 헤드부(160)와 기저부(110)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 본 실시예의 작용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철식 반목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선체 세팅 위치에 대응하게 접철식 반목이 배열되고, 접철식 반목의 위에 선체가 놓이게 된다.
작접자는 유압실린더(124) 및 쐐기형 높이조절블록(125)을 이용하여 지주하부(130), 힌지부(140), 지주상부(150) 및 헤드부(16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헤드부(160)의 지지패드(162)를 선체(H)의 선저면에 밀착 및 지탱하게 한다.
또한, 작업자는 탄성부(180)의 타측 후크(182)를 헤드부(160)의 상부 아이피스(163)에 걸고, 탄성부(180)의 일측 후크(181)를 잡아 당겨서 탄성부(180)에 인장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면서, 일측 후크(181)를 기저부(110)의 하부 아이피스(114)에 건다.
또한, 진수를 위한 주수 직전에, 작업자는 체결볼트(144)를 힌지부(140)로부터 분리하여, 힌지부(140)를 기준으로 지주상부(150) 및 헤드부(160)가 회전 가능한 상태를 만든다.
그러나, 헤드부(160)는 선체(H)의 선저면에 접촉하여 눌려 있는 상태이므로, 탄성부(18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지주상부(150) 및 헤드부(160)는 힌지부(140)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후, 도크 내부에 주수가 이루어져서 선체(H)가 원래 있던 위치(Q)로부터 약간 부상하여, 헤드부(160)와 선체(H)의 선저면 사이에 이격이 발생될 경우에는, 편향된 위치의 탄성부(180)의 탄성력(예: 인장력)이 지주상부(150) 및 헤드부(160)가 회전하려는 편향력으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이런 편향력은 지주상부(150) 및 헤드부(160)에 작용되어서, 힌지부(140)의 힌지조인트(142)를 기준으로 지주상부(150) 및 헤드부(160)가 회전하듯이 낙하하는 동작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볼 때, 지주하부(130)를 기준으로 지주상부(150) 및 헤드부(160)가 접어진 형태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반목의 전체 높이는 도크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낙하 전 높이인 4미터에서, 낙하 후 힌지부(140)의 높이(예: 1.5미터)와 거의 대등한 높이인 1.8미터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60)와 지주상부(150)의 사이를 연결하는 댐핑부(170)는 낙하 및 도크의 바닥면 충돌에 따른 충격력을 감쇄시킬 수 있는 스프링 댐퍼의 형식으로 제작되거나, 어떤 형식의 충격 흡수식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는 선체(H)의 부상 상태에 연동하여 회전 또는 접철이 발생될 수 있음에 따라, 선체(H)를 진수할 때 발생되었던 반목 간섭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위험한 수중 반목 해체 작업 없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선체(H)를 진수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철식 반목을 이용하여 진수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수 조건은 도크의 외부, 즉 도크 게이트(DG) 외부의 평균 수심(Bd) 8.7미터일 수 있다.
또한, 선체(H)의 본체부쪽의 선저면과 도크의 바닥면 사이에는 복수개의 높이 1.8미터(a)의 용골 반목(90)들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선체(H)의 선수부쪽 선저면은 본체부쪽의 선저면에 비해 2.2미터(b)의 차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선체(H)의 선수부쪽의 선저면과 도크의 바닥면 사이에는 복수개의 높이 4미터(c)의 접철식 반목(100)들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가 적용된 선체(H)의 진수 흘수(Ld)는 5.7미터일 수 있다.
선체(H)의 선수부쪽 접철식 반목(100)(예: 힌지부 및 탄성력을 이용하여 접철되기 전 상태) 높이 4미터(c)를 고려할 경우, 진수를 위한 최소 수심 관련 총합은 4미터(접철식 반목(100))+5.7미터(진수 흘수)+1미터(여유치)를 합하여 10.7미터이기 때문에, 접철식 반목(100)이 접어지지 않은 상태로는 진수가 불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선체(H)가 주수 상태에 따라 부상함에 따라, 앞서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접철식 반목(100)이 접어져서 그 4미터(반목)의 높이가 1.8미터로 전환됨에 따라, 결국, 상기 총합 10.7미터가 8.5미터로 전환될 수 있다.
이렇게 전환된 8.5미터는 평균 수심(Bd) 8.7보다 작은 값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접철식 반목(100)을 수중에서 해체하지 않고서도 진수를 수행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도 6는 도 2에 도시된 접철식 반목에 탄성력조절기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실시예에서는 탄성부(180)을 힘겹게 잡아 당겨서 사용하였지만, 도 6에서의 탄성부(180)는 탄성몸체에 장착되는 탄성력조절기(190)를 더 포함하여, 탄성부(180)의 탄성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할 수 있다.
탄성력조절기(190)는 예컨대, 래칫 버클(rachet buckl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버클 레버(191)를 조작하여 보빈(192)에 탄성부(180)의 탄성몸체를 감아 탄성부(180)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키는 쪽으로 조작하여 탄성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반대로, 탄성력조절기(190)는 버클 레버(191) 및 보빈(192) 사이의 래칫 고정쇠를 해제시켜 보빈(192)으로부터 탄성부(180)의 탄성몸체가 풀려나갈 수 있게 함으로써, 탄성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탄성력조절기(190)로 탄성부(180)의 탄성력을 최소화 상태로서, 기저부(110)의 하부 아이피스(114)와 헤드부(160)의 상부 아이피스(163)간 직선 거리보다 길게 탄성부(180)를 탄성력조절기(190)의 보빈(192)로부터 풀어 느슨하게 만든 후, 과도한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탄성부(180)의 일측 후크(181)를 기저부(110)의 하부 아이피스(114)에 체결시키고, 탄성부(180)의 타측 후크(182)를 헤드부(160)의 상부 아이피스(163)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후, 버클 레버(191)를 조작, 즉 미리 정해진 원호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버클 레버(191)를 상하로 움직이는 조작을 수행할 경우, 탄성부(180)가 팽팽하게 되면서 탄성력이 증가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렇게 작업자는 탄성력조절기(190)로 탄성력을 조절하여 탄성부(180)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헤드부(160)와 기저부(110) 사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 이후의 작동 관계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기저부 120 : 높이조절장치부
130 : 지주하부 140 : 힌지부
150 : 지주상부 160 : 헤드부
170 : 댐핑부 180 : 탄성부
190 : 탄성력조절기

Claims (9)

  1. 선체를 지탱하는 지지력을 도크의 바닥면 쪽으로 분산시키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를 기반으로 설치되고 반목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부와,
    상기 높이조절장치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분할되어 있는 지주하부 및 지주상부와,
    상기 지주하부와 상기 지주상부 사이에 결합된 힌지부와,
    상기 지주상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선체의 선저면에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지주상부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헤드부와 상기 기저부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접철식 반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H자 형상의 하부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좌우에 부착된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끝단부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와 체결되기 위한 하부 아이피스를 포함하는
    접철식 반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부는,
    상호 이격되게 마주하여 상기 기저부를 기반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를 상호 연결시키고, 관통홀이 중앙에 마련된 브릿지와,
    상기 지지기둥의 사이에 배치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좌우측으로 배치된 쐐기형 높이조절블록과,
    상기 유압실린더 또는 상기 쐐기형 높이조절블록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지주하부의 하단과 체결되는 안착부를 갖는 가이드패드를 포함하는
    접철식 반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주하부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하플랜지와,
    상기 하플랜지의 일측에 결합된 힌지조인트와,
    상기 힌지조인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주상부의 하단면이 고정되는 상플랜지와,
    상기 힌지조인트의 반대쪽으로 상기 하플랜지 및 상기 상플랜지의 타측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접철식 반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지주상부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의해 지탱되는 지지패드와,
    상기 지지패드의 저면 테두리에 설치된 상부 아이피스를 포함하는
    접철식 반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상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작동암과, 상기 작동암에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지지패드의 저면 중앙에 결합된 댐핑실린더를 갖는 댐핑부를 더 포함하는
    접철식 반목.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힌지부에 마련된 힌지조인트가 있는 쪽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부와 상기 기저부의 옆에 배치되고, 탄성로프, 탄성와이어 및 탄성케이블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탄성몸체와,
    상기 탄성몸체의 양단에 마련된 후크를 포함하는
    접철식 반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몸체에 장착되어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접철식 반목.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상부에는 상기 지주상부 및 상기 헤드부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세팅 러그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반목.
KR1020110138083A 2011-12-20 2011-12-20 접철식 반목 KR20130070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83A KR20130070861A (ko) 2011-12-20 2011-12-20 접철식 반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83A KR20130070861A (ko) 2011-12-20 2011-12-20 접철식 반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861A true KR20130070861A (ko) 2013-06-28

Family

ID=4886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083A KR20130070861A (ko) 2011-12-20 2011-12-20 접철식 반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086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8401A (zh) * 2015-11-13 2016-03-30 舟山长宏国际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用坞墩敲紧装置
CN105523155A (zh) * 2015-12-21 2016-04-2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艏艉区域的坞墩及布墩方法
KR20180058045A (ko) * 2016-11-23 2018-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도 방지용 반목 장치
KR20200045812A (ko) 2018-10-23 2020-05-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블록 지지장치
CN113247207A (zh) * 2021-05-27 2021-08-13 江苏科技大学 一种用于智能胎架活络头的系列化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8401A (zh) * 2015-11-13 2016-03-30 舟山长宏国际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用坞墩敲紧装置
CN105523155A (zh) * 2015-12-21 2016-04-2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艏艉区域的坞墩及布墩方法
KR20180058045A (ko) * 2016-11-23 2018-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도 방지용 반목 장치
KR20200045812A (ko) 2018-10-23 2020-05-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블록 지지장치
CN113247207A (zh) * 2021-05-27 2021-08-13 江苏科技大学 一种用于智能胎架活络头的系列化装置
CN113247207B (zh) * 2021-05-27 2022-09-23 江苏科技大学 一种用于智能胎架活络头的系列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0861A (ko) 접철식 반목
US5971363A (en) Tree winch mounting system
EP3397858B1 (en) Transport frame for a wind turbine blade
EP3580121B1 (en) Upending device for upending an elongate support structure
JP2019502855A (ja) 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の輸送フレーム
US10443200B2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 upper part of a sea platform
KR101763817B1 (ko) 갱웨이 장치
NL2006280C2 (en) Vessel comprising a stabilizing system.
JP2019505716A (ja) 風力タービン翼の輸送枠体
GB2502993A (en) Dockside bollard testing
JP3258493B2 (ja) 船舶の起倒式フレームによる吊荷の振れ止め装置
EP3732097A1 (en) A semi submersible vessel
US11466521B2 (en) Platform assembly
KR102295240B1 (ko) 펜더 대빗 장치
KR20110132703A (ko) 접철 가능한 레이더 마스트
US20180065714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to ocean structures
KR20160000290U (ko)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KR101358216B1 (ko) 핀타입 리프팅프레임 및 핀타입 리프팅프레임을 이용한 데릭 설치 공법
US72965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mooring line of a vessel
KR102401281B1 (ko) 오프쇼어 설치 선박으로부터 대형 및 중 구조물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669356B2 (ja) 岸壁クレーンおよび岸壁クレーンの制御方法
KR101784845B1 (ko) 선박 연결구조물
KR20150004591U (ko) 갱웨이 보관장치
KR102449089B1 (ko) 비상 토우라인 전개 장치
JP7142584B2 (ja) 起倒式マスト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