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846A -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846A
KR20190034846A KR1020170123349A KR20170123349A KR20190034846A KR 20190034846 A KR20190034846 A KR 20190034846A KR 1020170123349 A KR1020170123349 A KR 1020170123349A KR 20170123349 A KR20170123349 A KR 20170123349A KR 20190034846 A KR20190034846 A KR 20190034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pcb
roller
element mounting
mounting typ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026B1 (ko
Inventor
조철훈
임종빈
Original Assignee
(주)펨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펨트론 filed Critical (주)펨트론
Priority to KR102017012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0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G01N2021/95638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for PCB's

Landscapes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는, 권출부에서 권출된 소자실장형 FPCB를 권취부로 이송하는 이송라인의 상부에 배치되어, 소자실장형 FPCB의 상면을 2D촬영하여, 소자실장형 FPCB의 상면의 양불상태를 2D검사하는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 및 이송라인의 하부에 배치되어, 소자실장형 FPCB의 하면을 2D촬영하여, 소자실장형 FPCB의 하면의 양불상태를 2D검사하는 복수의 하부2D검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2D inspection apparatus for FPCB with chip}
본 발명은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소자실장형 FPCB의 상하부에 복수의 2D검사모듈을 배치하여, 소자실장형 FPCB의 상면과 하면에 존재하는 이물의 여부 또는 배선패턴의 정확도 여부등에 대한 소자실장형 FPCB의 양불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printed circuit board)과는, 전기 절연성 기판에 구리등의 전도성재료로 회로 라인 패턴을 형성시킨 것으로, 전자 부품을 구현하는 직전의 기판을 말한다. PCB는, 회로 재료의 종류에 의해, 페놀과 에폭시에서 제작되는 PCB와, 폴리이미드(Polyimid)과 같이 구부릴 수 있어 쉬운 재질에서 제작되는 플렉시블PCB (FPCB)에 나뉘인다.
휴대전화, PDA, 디지털카메라 등 개인휴대용 전자 장치가 대중화 하면서, 회로 특성이 안정화되어 소형 및 경량화된 PCB가 개인휴대용 전자 장치의 메인기판으로서 이용되고, 특히 FPCB는 이동체통신단말기등에 있어서 굴곡부정도의 회로로서 주로 이용된다.
FPCB에 부품이 구현되어서 전자 장치에 이용되기 때문에는, 외관, 마이크로 섹션 및 치수 점검, 전기적 성능 검사, 기계적 기술 검정 등을 요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FPCB검사 장치는, 권출롤러(20) 및 권취롤러(30)과, FPCB(1)를 검사하는 검사용 카메라(40)과, 전체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권출롤러(20)는 롤형FPCB(1)이 감긴 롤러이다. 권취롤러(30)는 작업대(6)를 지나온 롤형FPCB(1)이 감겨지는 롤러이다. 권취롤러(30)의 형태는, 권출롤러(20)와 같아서, 제2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 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권취롤러(30)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와, 권출롤러(20)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는, 컨트롤러에 의해 롤형FPCB(1)의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상호간에 이동하게 제어된다.
종래의 FPCB검사 장치는, 롤형FPCB(1)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권출 롤러(20)의 하부측에 장력조절도구(70)가 설치된다. 장력 조절 도구(70)는, 권출롤러(20)의 하부측에 롤형FPCB(1)의 자중에 의해 수직 방향에 이동하게 설치되는 수직 이동 롤러(73)과, 수직 이동 롤러(73)에 1측단에 고정 설치되어서 축봉(71)에 의해 수직가이드 이동하는 수평바(79)와, 수평바(79)의 최상단점에서 접촉하게 설치되는 상부위치검열관(77)과, 수평바(79)의 최하단점에서 접촉하게 설치되는 하부위치검열관(78)로 구성되어서, 롤형FPCB(1)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롤형FPCB(1)의 이동시 장력이 약해지면, 수직 이동 롤러(73)의 자중에 의해 수직 이동 롤러(73)가 하강되어, 수직 이동 롤러(73)가 최하단점에 이르면, 그 1측단에 설치된 수평바(79)가 하부위치검열관(78)에 인식되어, 그 신호는 컨트롤러에 전달되어서 권취롤러(3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롤형FPCB(1)을 잡아 당기게 된다.
수직 이동 롤러(73)는, 상부측에 수직 이동 하고, 권취롤러(30)의 회전속도가 빨라져서 수직 이동 롤러(73)가 최상단점에 이르면, 그 1측단에 설치된 수평바(79)가 상부위치검열관(77)에 인식되어서, 그 신호는 또 컨트롤러에 전달되어서 권취롤러(3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롤형FPCB(1)의 장력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권출롤러(20)과 수직 이동 롤러(73)와의 사이의 양측에는, 롤형FPCB(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74)를 더 설치하고, 롤형FPCB(1)가 안정적으로 가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다만, 도 1b에는 FPCB(1)를 검사하는 검사용 카메라(40)의 하부에 FPCB(1)가 구겨짐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FPCB(1)를 검사하는 검사용 카메라(40)의 하부에 흡착패드(90)가 설치된 설치상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c는 종래의 FPCB검사 장치에 흡착패드(90)가 설치된 경우, 흡착패드(90)의 작동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흡착패드(90)가 설치된 FPCB검사 장치는, 흡착패드(90)를 통해 FPCB(1)로 진공압을 제공하여 FPCB(1)가 흡착패드(90)에 흡착된 상태에서, 검사용 카메라(40)가 FPCB(1)를 촬영하여, FPCB(1)가 구김이 없는 상태에서 FPCB(1)의 배선패턴 또는 FPBC에 부착된 이물을 검사한다.
이후, 흡착패드(90)의 진공흡착과정이 오프(OFF)되고, 흡착패드(90)에서 FPCB(1)로 공기가 블로잉되면, 검사된 FPCB(1)가 피딩방향에 따라 이송된다.
즉, 종래의 종래의 FPCB검사 장치는, 흡착패드(90)가 FPCB(1)로 공기를 블로잉하여 FPCB(1)가 흡착패드(90)를 경유하여 피딩되도록 하는 이송과정, 검사시 FPCB(1)가 흡착패드(90)에 흡착되도록 하는 흡착과정, 흡착된 상태에서 FPCB(1)를 검사하는 검사과정, FPCB(1)가 흡착패드(90)에서 분리되게 하는 흡착해제과정을 통해 FPCB(1)의 배선패턴 또는 이물을 검사한다.
종래의 FPCB(1)검사장치는 FPCB(1)의 이송-> 흡착패드(90)에 대한 FPCB(1)의 흡착-> 검사용 카메라(40)에 의한 FPCB(1)의 촬영 및 검사 --> 흡착패드(90)에 대한 FPCB(1)의 흡착해제--> FPCB(1)의 이송이라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검사속도가 느리고, 검사대상물이 FPCB(1)가 흡착패드(90)에 부착됨에 따른 FPCB(1)의 이물발생소지가 있다.
일본특허등록 제5175996호에는 롤형FPCB와 시트형FPCB를 선택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FPCB검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소자실장형 FPCB의 상하부에 복수의 2D검사모듈을 배치하여, 소자실장형 FPCB의 상면과 하면에 존재하는 이물의 여부 또는 배선패턴의 정확도 여부등에 대한 소자실장형 FPCB의 양불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는, 권출부에서 권출된 소자실장형 FPCB를 권취부로 이송하는 이송라인의 상부에 배치되어, 소자실장형 FPCB의 상면을 2D촬영하여, 소자실장형 FPCB의 상면의 양불상태를 2D검사하는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 및 이송라인의 하부에 배치되어, 소자실장형 FPCB의 하면을 2D촬영하여, 소자실장형 FPCB의 하면의 양불상태를 2D검사하는 복수의 하부2D검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라인은, 상호 간에 이격배치되어, 소자실장형 FPCB를 권출부에서 권취부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롤러; 및 이송라인의 하부에서,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와 마주보게 설치되어, 소자실장형 FPCB의 하면으로 공압을 제공하는 복수의 블로우패드를 포함하고, 소자실장형 FPCB는 공압에 의해 전면적에 걸쳐 균일한 압력을 받아 굴곡없이 평평하게, 복수의 블로우패드에 대해 부유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우패드는 수 미크론(micron) 크기의 다공질로 이루어진 다공질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라인은, 복수의 이송롤러 중 인접하게 위치된 이송롤러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소자실장형 FPCB의 하면과 맞닿아 , 소자실장형 FPCB의 이송을 안내하는 복수의 C구역아이들롤러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하부2D검사모듈은 이송롤러와 복수의 C구역아이들롤러에 의해 소자실장형 FPCB가 경사지게 이송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2D검사시 소자실장형 FPCB의 상하부에 복수의 2D검사모듈을 배치하여, 소자실장형 FPCB의 상하면에 존재하는 이물의 여부 또는 배선패턴의 정확도 여부를 한번에 검사할 수 있다.
상하로 수직이동하면서 FPCB의 하부로 인장력을 제공하는 기존의 FPCB검사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은 상하로 수직이동하면서 FPCB의 상부로 인장력을 제공하는 구조로 변경되어, 소자실장형 FPCB의 소자가 버퍼롤러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소자실장형 FPCB에 구김없이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착패드에 대한 FPCB의 흡착과정없이도, FPCB가 구김없이 이송되면서 FPCB의 상태를 검사하여, 기존 장치에 비해 FPCB의 검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FPCB가 블로우패드에 비접촉된 상태로 이송되는 상태에서 검사되어, 블로우패드와의 접촉에 의한 이물발생의 소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FPCB검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FPCB검사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종래의 FPCB검사 장치에 흡착패드가 설치된 상태에서, FPCB의 이송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c는 흡착패드가 설치된 FPCB검사 장치의 작동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소자실장형 FPCB 전자동 검사시스템의 설치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출부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부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검사부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검사부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부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소자실장형 FPCB가 이송되는 상태의 이송롤러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상부버퍼롤러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실장형 FPCB가 이송되는 상태에서 상부버퍼롤러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블로우패드의 작동시, 소자실장형 FPCB의 이송 및 검사에 대한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블로우패드의 작동시, 블로우패드에 대한 소자실장형 FPCB의 이송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소자실장형 FPCB의 상면과 하면의 양불상태를 2D검사하는 장치이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FPCB기판(1)에 소자(2)가 실장되고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필름이 커버링된 후, 보관 또는 운반의 용이성을 위해 롤형태로 감겨 FPCB롤 형태로 제작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150)는, 소자실장형 FPCB 전자동 검사시스템(100)의 일 구성요소로서, 권출부(110)와 권취부(170) 사이에 배치된다. 권출부(110), 3D검사부(130), BB(150)와 권취부(170)는 검사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150)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촬영 및 분석하여, 소자실장형 FPCB(10)의 상면과 하면의 양불상태를 2D검사하는 장치이다.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150)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이물의 존재여부, 배선패턴이 정확한지 여부, 소자가 정상위치에 장착되었는지 여부, 스크래치의 발생여부 등에 대한 소자실장형 FPCB(10)의 양불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BB(150)는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와 복수의 하부2D검사모듈(152a, 152b, 152c, 152d)를 포함한다.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은 소자실장형 FPCB(10)의 상면을 2D촬영하고, 기설정된 소자실장형 FPCB(10)의 상면패턴과 촬영된 소자실장형 FPCB(10)의 상면패턴을 비교하여, 소자실장형 FPCB(10)의 상면의 양불상태를 검사한다.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소자실장형 FPCB(10)가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라인의 상부에 배치된다.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은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설치된다.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은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에 대해 상부로 부유되어 이송되는 소자실장형 FPCB(10)를 촬영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실장형 FPCB(10)는 공압에 의해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에 대해 상부로 부유된 상태로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된다.
흡착패드를 이용하여 FPCB기판(1)이 굴곡없는 상태에서 FPCB기판(1)의 상면을 검사하는 기존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은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이 소자실장형 FPCB(10)를 촬영하는 동안에,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멈추지 않고도 소사실장형 FPCB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어, 2D검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하부2D검사모듈(152a, 152b, 152c, 152d)은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을 2D촬영하고, 기설정된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과 촬영된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을 비교하여,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의 양불상태를 검사한다.
복수의 하부2D검사모듈 중 일부(152a, 152b)는, 소자실장형 FPCB(10)가 제3이송롤러(126)에서 C구역아이들롤러(154, 155)로 상향 경사지게 이송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복수의 하부2D검사모듈 중 나머지 일부(52c, 152d)는, 복수의 C구역아이들롤러(157, 158)에서 제4이송롤러(127)로 하향경사지게 이송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소자실장형 FPCB는 제2상부버퍼롤러(125)에서 제3이송롤러(126)로 하향경사지게 이동되다가, 제3이송롤러(126)에서 C구역아이들롤러(154, 155)로 상향 경사지게 이송하고,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내지 153d)를 경유하여, C구역아이들롤러(157, 158)에서 제4 이송롤러(127)로 하향경사지게 이송하다, 제4이송롤러(127)에서 제3상부버퍼롤러(128)로 상향 경사지게 이송되면서 인장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에, 하부2D검사모듈은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이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에서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을 촬영하여, BB(150)의 검사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3이송롤러(126)와 제4이송롤러(127)에 대한 복수의 C구역아이들롤러(154, 155, 157, 158)의 배치에 의해,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라인을 따라, 2D검사구역(C)이 상부와 하부로 구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2D검사구역(C)의 상부에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이 설치되고, 2D검사구역(C)의 하부에 복수의 하부2D검사모듈(152a, 152b, 152c, 152d)이 설치되어, BB(15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출부(110)는 FPCB롤에서 소자실장형 FPCB(10)와 보호필름(3)을 분리하여, 소자실장형 FPCB(10)를 권출하는 장치이다. FPCB롤은 소자실장형 FPCB(10)가 보호필름(3)에 의해 커버링된 상태로 롤형태로 감겨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출부(110)는 권출릴(111), 제1보호필름릴(113) 및 제1하부버퍼롤러(115)를 포함한다. 권출부(110)는 이송라인의 일측에서, 권출구역(A)에 위치된다.
권출릴(111)에는 FPCB롤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권출릴(111)에는 권출모터(미도시)가 연결된다. 권출릴(111)은 권출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FPCB롤에서 소자실장형 FPCB(10)가 풀리게 작동된다. 권출릴(111)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는 권출모터(미도시)의 작동제어에 의해 조절된다. 권출모터의 작동시, 소자실장형 FPCB(10)는 권출릴(111)에서 보호필름(3)이 제거된 상태로 3D검사부(130)로 권출된다.
권출릴(111)에서 권출된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1자유단롤러(112)를 경유하여, 3D검사부(130)로 진입된다. 제1자유단롤러(112)는 권출릴(111)와 제1카운팅롤러(121) 사이에 배치된다. 제1자유단롤러(112)는 소자실장형 FPCB(10)가 이송되면서 밀어내는 힘에 의해 공회전된 롤러이다. 제1자유단롤러(112)는 권출부(110)에서 권출된 소자실장형 FPCB(10)가 제1카운팅롤러(121)를 향하도록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안내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권출부(110)에서 권출되어, 기판이송부(120)의 이송라인을 따라 3D검사부가 설치된 3D검사구역(B), BB가 설치된 2D검사구역(C)을 통과하여 권취부(170)에 권취된다.
한편, 권출모터의 작동시, 소자실장형 FPCB(10)에서 제거된 보호필름(3)은 제1보호필름릴(113)에 감겨지게 연결된다. 제1보호필름릴(113)에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연결된다. 구동모터의 작동제어에 의해, 제1보호필름릴(113)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가 조절된다. 제1보호필름릴(113)은 권출릴(111)과 연동되어, 권출릴(111)의 작동시 보호필름(3)이 권취되도록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제1보호필름릴(113)에는 FPCB롤에서 제거된 보호필름(3)이 권취된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아이들롤러를 이용하여, 권출구역(A)에서 권출릴(111), 제1보호필름릴(113)과 제1하부버퍼롤러(115)가 설치되는 공간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권취구역(D)에 설치된 아이들롤러(118, 119)는 보호필름(3)의 이송을 안내한다.
권출구역(A)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아이들롤러(118)는 권출릴(111)과 제1하부버퍼롤러(115) 사이에서, 제1하부버퍼롤러(115)의 상부에 위치된다. 권출릴(111)에서 풀려나온 보호필름(3)은 어느 하나의 아이들롤러(118)를 경유하여, 제1하부버퍼롤러(115)로 하향 경사지게 이송된다.
권출구역(A)에 설치된 다른 하나의 아이들롤러(119)는 제1하부버퍼롤러(115)과 제1보호필름릴(113) 사이에 배치된다. 아이들롤러(119)는 제1하부버퍼롤러(115)의 상부에 위치된다.
제1하부버퍼롤러(115)은 보호필름(3)에 의해 권출릴(111)과 제1보호필름릴(113)에 연결된다. 제1하부버퍼롤러(115)은 두 개의 아이들롤러(118, 119)의 사이에서, 두 개의 아이들롤러(118, 119)의 설치위치보다 하부에 위치된다. 제1하부버퍼롤러(115)은 설치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하로 위치조정되면서 공회전되어, 보호필름(3)에 하부인장력(Tdown)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작동된다.
권출릴(111)에서 풀린 보호필름(3)은 어느 하나의 아이들롤러(118)와 제1하부버퍼롤러(115)로 하향이송되다가, 제1하부버퍼롤러(115)에서 다른 하나의 아이들롤러(119)로 상향이송되고, 다른 하나의 아이들롤러(119)에서 제1보호필름릴(113)로 하향이송되면서 인장된다. 이에 따라, 보호필름은 제1하부버퍼롤러(115)를 경유하면서 걸린 하부인장력(Tdown)에 의해,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제1보호필름릴(113)로 권취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기판이송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이송부(120)는 소자실장형 FPCB(10)를 권출부(110)에서 권취부(170)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기판이송부(120)는 제1카운팅롤러(121), 복수의 이송롤러(123, 124, 126, 127), 복수의 상부버퍼롤러(122, 125, 128), 제2카운팅롤러(129), 복수의 블로우패드(137, 153a 내지 153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 설치개수를 고려하여, 복수의 이송롤러(123, 124, 126, 127)에 대해 제1이송롤러(123), 제2이송롤러(124), 제3이송롤러(126)와 제4이송롤러(127)로 구분지어 지칭하고, 복수의 상부버퍼롤러(122, 125, 128)에 대해 제1상부버퍼롤러(122), 제2상부버퍼롤러(125), 제3상부버퍼롤러(128)로 구분지어 지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이송롤러(123) 내지 제4이송롤러(127)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구동하는 장치이다. 제1이송롤러(123) 내지 제4이송롤러(127)는 소자실장형 FPCB(10)가 3D검사구역(B)과 2D검사구역(C)을 통과하는 검사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소자실장형 FPCB(10)를 밀어낸다.
제1이송롤러(123) 내지 제4이송롤러(127)는 각각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제어에 의해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제1이송롤러(123) 내지 제4이송롤러(127), 제1카운팅롤러(121), 제2카운팅롤러(129)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도 8을 참조하여 제1이송롤러(123)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롤러(123)는 소자통과홈(123c), 기판걸림턱(123b)과 이탈방지링(123d)이 마련된다. 소자통과홈(123c)은 제1이송롤러(123)의 외주면에 소자실장형 FPCB(10)의 소자(2)의 높이보다 큰 깊이를 가진 홈이다.
기판걸림턱(123b)은 소자통과홈(123c)과 단턱지게 제1이송롤러(123)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기판걸림턱(123b)은 소자실장형 FPCB(1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이탈방지링(123d)은 기판걸림턱(123b)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돌출된다. 이탈방지링(123d)은 소자실장형 FPCB(10)의 가장자리와 맞닿는 위치에 마련되어, 소자실장형 FPCB(10)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링(123d)은 소자실장형 FPCB(10)의 폭에 따라 미세하게 위치조정가능하게 제1이송롤러(12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이송롤러(123)는 소자(2)와 접촉되지 않게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다. 제1이송롤러(123)를 경유할 때, 소자실장형 FPCB(10)는 소자(2)가 소자통과홈(123c)에 삽입되고, FPCB기판(1)의 상면 가장자리가 기판걸림턱(123b)에 맞닿고 이탈방지링(123d)의 내측에 위치되어, 소자(2)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롤러(123)와 제2이송롤러(124)는 3D검사구역(B)에 설치된다. 제1이송롤러(123)는 제1상부버퍼롤러(122)와 제2이송롤러(124) 사이에 배치된다. 제2이송롤러(124)는 제1이송롤러(123)와 제2상부버퍼롤러(125) 사이에 위치된다.
3D검사구역(B)에서, 제1이송롤러(123)와 제2이송롤러(124) 사이에는 복수의 B구역아이들롤러(133, 134)가 설치된다. 복수의 B구역아이들롤러(133, 134)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과 맞닿게 위치된다.
복수의 B구역아이들롤러(133, 134)는 소자실장형 FPCB의 이송을 안내하면서, 이송과정에서 소자실장형 FPCB의 인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복수의 B구역아이들롤러(133, 134)는 제1이송롤러(123)와 제2이송롤러(124)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1이송롤러(123)를 경유하여 어느 한쌍의 B구역아이들롤러(133)로 상향 경사지게 이송되면서 상기 제1이송롤러(123)의 설치면에 대해 상부로 인장된다. 그리고, 소자실장형 FPCB(10)는 다른 한쌍의 B구역아이들롤러(134)를 경유하여 제2이송롤러(124)로 하향 경사지게 이송되다가 제2이송롤러(124)를 경유하여 제2상부버롤러(125)에 의해 상향 경사지게 이송되면서 제2이송롤러(124)의 설치면에 대해 상부로 인장된다. 이로 인해, 소자실장형 FPCB(10)는 3D검사구역(B)을 통과하는 동안에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이송되면서, 3D검사부(130)에 의해 3D촬영될 수 있다.
한편, 제3이송롤러(126)와 제4이송롤러(127)는 2D검사구역(C)에 설치된다. 제3이송롤러(126)는 제2상부버퍼롤러(125)와 제4이송롤러(127) 사이에 배치된다. 제4이송롤러(127)는 제3이송롤러(126)와 제3상부버퍼롤러(128) 사이에 위치된다.
제3이송롤러(126)와 제4이송롤러(127) 사이에는 복수의 C구역아이들롤러(154, 155, 157, 158)가 설치된다. 복수의 C구역아이들롤러(154, 155, 157, 158)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과 맞닿게 연결되어,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안내한다.
복수의 C구역아이들롤러(154, 155, 157, 158)는 상호 간에 이격되고, 제3이송롤러(126)와 제4이송롤러(127)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이송라인을 따라 제3이송롤러(126)를 경유하여 C구역아이들롤러(154, 155, 157, 158)로 진입되면서 상향 경사지게 이송됨에 따라, 제1이송롤러(123)에 대해 상부로 인장되면서, 굴곡없이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소자실장형 FPCB(10)는 C구역아이들롤러(157, 158)를 경유하여 제4이송롤러(127)로 하향 경사지게 이송되면서, 제2이송롤러(124)를 기준으로 C구역아이들롤러(157, 158)와 제3상부버퍼롤러(127)를 향해 상부로 인장되면서,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제1상부버퍼롤러(122), 제2상부버퍼롤러(125) 및 제3상부버퍼롤러(128)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과 맞닿아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안내하면서, 소자실장형 FPCB(10)가 상부로 잡아당겨지게 설치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버퍼롤러(122)는 버퍼롤러본체(122a), 선형가이드부재(122e), 도르래(122c), 및 무게추(122d)로 이루어진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롤러본체(122a)에는 소자실장형 FPCB(10)가 안착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소자(2)가 실장되지 않은 하면이 버퍼롤러본체(122a)의 외주면과 맞닿고, 소자(2)가 실장된 상면이 바깥방향을 향하게, 버퍼롤러본체(122a)에 연결된다. 버퍼롤러본체(122a)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시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안내한다.
버퍼롤러본체(122a)는 선형가이드부재(122e)에 연결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가이드부재(122e)는 버퍼롤러본체(122a)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되고, 버퍼롤러본체(122a)의 지지축(122b)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형가이드부재(122e)의 상단에는 도르래(122c)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선형가이드부재(122e)에는 무게추(122d)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무게추(122d)와 버퍼롤러본체(122a)는 도르래(122c)에 걸린 연결줄에 의해 연결된다.
버퍼롤러본체(122a)의 무게는 무게추(122d)의 무게보다 가벼워, 외부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선형가이드부재(122e)에 대해 무게추(122d)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버퍼롤러본체(122a)는 선형가이드부재(122e)의 상하로 이동되면서 소자실장형 FPCB(10)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소자실장형 FPCB(10)가 버퍼롤러본체(122a)를 누르는 힘과 무게추(122d)에 걸린 힘이 균형을 이루도록 위치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상부버퍼롤러(125)와 제3상부버퍼롤러(128)는 제1상부버퍼롤러(122)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제2상부버퍼롤러(125)와 제3상부버퍼롤러(128)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상부버퍼롤러(122), 제2상부버퍼롤러(125) 및 제3상부버퍼롤러(128)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소자실장형 FPCB(10)가 권출구역(A)에서 3D검사구역(B)으로 이송되는 위치, 3D검사구역(B)에서 2D검사구역(C)으로 이송되는 위치, 그리고, 2D검사구역(C)에서 권취구역(D)으로 이송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제1상부버퍼롤러(122)는 소자실장형 FPCB(10)가 권출구역(A)에서 3D검사구역(B)으로 이송되는 위치, 즉, 권출부(110)와 3D검사부(13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상부버퍼롤러(122)는 제1카운팅롤러(121)와 제1이송롤러(123)사이에 위치된다.
제1상부버퍼롤러(122)는 제1이송롤러(123)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과 맞닿아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안내토록 설치된다. 제1카운팅롤러(121), 제1상부버퍼롤러(122)와 제1이송롤러(123) 간의 배치구조에 의해,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1상부버퍼롤러(122)에 대해 설치면의 상부를 향해 인장되면서 상부인장력(Tup)이 발생된다.
제1상부버퍼롤러(122)는 소자실장형 FPCB(10)가 누르는 힘에 따라 설치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조정되면서, 상부버퍼롤러로 진입되기 전에 소자실장형 FPCB(10)의 장력과 상부버퍼롤러를 경유한 소자실장형 FPCB(10)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제1상부버퍼롤러(122)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이 굴곡없이 팽팽하게 3D검사부(130)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제2상부버퍼롤러(125)는 소자실장형 FPCB(10)가 3D검사구역(B)에서 2D검사구역(C)으로 이송되는 위치, 즉, 3D검사부(130)와 BB(15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상부버퍼롤러(125)는 제2이송롤러(124)와 제3이송롤러(126)의 설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2이송롤러(124)에서 제3이송롤러(126)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2상부버퍼롤러(125)에 의해 제2상부버퍼롤러(125)의 설치면의 상부를 향해 인장되면서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이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BB(150)로 진입될 수 있다.
제3상부버퍼롤러(128)는 소자실장형 FPCB(10)가 2D검사구역(C)에서 권취구역(D)으로 이송되는 위치에, BB(150)와 권출부(11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3상부버퍼롤러(128)는 제4이송롤러(127)와 권취릴(171) 사이에 배치된다. 제3상부버퍼롤러(128)는 제4이송롤러(127)의 설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4이송롤러(127)에서 제3상부버퍼롤러(128)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3상부버퍼롤러(128)의 설치면에 대해 상부로 인장되어,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권취릴(171)에 권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자실장형 FPCB(10)가 3D검사구역(B)과 2D검사구역(C)을 지나가는 동안에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이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블로우패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D검사구역(C)에 설치된 복수의 블로우패드와, 3D검사구역(B)에 설치된 블로우패드를 구분하기 위해, 3D검사구역(B)에 설치된 블로우패드에 대해 제1블로우패드(137)라 지칭하고, 2D검사구역(C)에 설치된 블로우패드에 대해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로 지칭하기로 한다.
3D검사구역(B)에서, 제1블로우패드(137)는 제1이송롤러(123)와 제2이송롤러(124)의 사이에서, 복수의 B구역아이들롤러(133, 134)에 공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은 위치에 설치된다. 제1블로우패드(137)는 수 미크론(micron) 크기의 다공질로 이루어진 다공질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1블로우패드(137)는 소자실장형 FPCB(10)가 3D검사구역(B)을 통과하는 동안에, 소자실장형 FPCB(10)의 전면적에 걸쳐 고르게 공압을 공급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1블로우패드(137)에서 공급된 공압에 의해 제1블로우패드(137)의 상부로 부유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2D검사구역(C)에서,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는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으로 공압을 공급토록 배치된다. 제2 블로우패드는 수 미크론(micron) 크기의 다공질로 이루어진 다공질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는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이 소자실장형 FPCB(10)를 촬영하는 부분으로 공압을 제공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에 대해 상부로 부유된 상태로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된다.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에 의해,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은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이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소자실장형 FPCB(10)의 상면을 2D촬영할 수 있다.
흡착패드를 이용하여 FPCB기판(1)이 굴곡없는 상태에서 FPCB기판(1)의 상면을 검사하는 기존 장치와 달리,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이 소자실장형 FPCB(10)를 촬영하는 동안에,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멈추지 않고도 소사실장형 FPCB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어, 2D검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에 의해 소자실장형 FPCB(10)로 균일한 공압이 제공되어 소자실장형 FPCB(10)가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에 대해 부유되어 비접촉된 상태로 이송됨에 따라 접촉에 의한 이물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카운팅롤러(121)를 이용하여 권출릴에서 권출된 량을 산출할 수 있고, 제2카운팅롤러(129)를 이용하여 권취릴에 권취되는 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1카운팅롤러(121)는 권출구역(A)과 3D검사구역(B)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카운팅롤러(121)는 권출릴(111)과 제1상부버퍼롤러(122) 사이에 배치된다.
제1카운팅롤러(121)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가이드하면서, 소자실장형 FPCB(10)가 권출부(110)에서 풀린 량을 정량적으로 카운팅한다. 본 발명은 제1카운팅롤러(121)를 통해 제1카운팅롤러(121)를 지나가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속도와 이송시간등을 획득하고, 소자실장혈 FPCB의 전체길이와 소자실장형 FPCB(10)가 FPCB롤에 감긴 두께등을 고려하여, 소자실장형 FPCB(10)가 권출릴(111)에서 풀린량을 정량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2D검사구역(C)을 통과한 검사완료된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2카운팅롤러(129)로 진입된다. 제2카운팅롤러(129)는 검사완료된 소자실장형 FPCB(10)가 권취부(170)에 감기는 량을 정량적으로 카운팅하면서 소자실장형 FPCB(10)를 BB(150)에서 권취부(170)로 안내한다.
제2카운팅롤러(129)는 2D검사구역(C)와 권취구역(D)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카운팅롤러(129)는 제3상부버퍼롤러(128)와 권취릴(171) 사이에 배치된다.
제2카운팅롤러(129)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가이드하면서, 소자실장형 FPCB(10)가 권취릴(171)에서 감기는 량을 정량적으로 카운팅한다. 본 발명은 제2카운팅롤러(129)에 의해 검사완료된 소자실장형 FPCB(10)가 권취릴(171)에 감기는 량을 정량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2카운팅롤러(129)를 통과한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2자유단롤러(172)를 경유하여 권취릴(171)로 진입된다. 제2자유단롤러(172)는 제2카운팅롤러(129)와 권취릴(171) 사이에 배치된다. 제2자유단롤러(172)는 검사완료된 소자실장형 FPCB(10)가 권취릴(171)로 진입되도록 검사완료된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도 7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권취부(17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권취부(170)는 권취릴(171), 제2보호필름릴(173)과 제2하부버퍼롤러(175)를 포함한다.
권취릴(171)은 검사완료된 소자실장형 FPCB(10)가 권취된다. 권출릴(111)은 제2보호필름릴(173)과 연동되어 작동된다. 권취릴(171)과 제2보호필름릴(173)의 작동시, 검사완료된 소자실장형 FPCB(10)는 권취릴(171)로 공급된 제2보호필름(4)에 의해 커버링되어 권취릴(171)에 권취된다.
권취릴(171)에는 권취모터(미도시)가 연결된다. 권취릴(171)은 권취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소자실장형 FPCB(10)가 감겨지게 작동된다. 권취모터는 권취릴(171)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소자실장형 FPCB(10)가 풀리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권취모터의 작동시, 권취릴(171)은 제2보호필름(4)이 커버링된 상태로 소자실장형 FPCB(10)를 권취한다.
제2보호필름릴(173)은 제2보호필름(4)이 롤형태로 제작된 제2보호필름롤(미도시)이 장착된다. 제2보호필름릴(173)의 작동시, 제2보호필름(4)은 제2보호필름롤에서 풀리면서 권취롤로 공급된다.
제2보호필름릴(173)에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연결된다. 구동모터의 작동제어에 의해, 제2보호필름릴(173)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가 조절된다. 제2보호필름릴(173)은 권취릴(171)과 연동되어, 권취릴(171)의 작동시 제2보호필름(4)이 권출되도록 작동된다. 제2보호필름(4)은 일단이 제2보호필름릴(173)에 고정되고, 타단이 소자실장형 FPCB(10)에 부착되어 권취릴(171)에 연결된다.
제2하부버퍼롤러(175)는 제2보호필름(4)에 의해 권취릴(171)과 제2보호필름릴(173)에 연결된다. 제2하부버퍼롤러(175)는 제2보호필름(4)이 경유하는 동안에 가해진 힘의 크기에 따라, 설치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하로 위치조정되면서, 제2보호필름(4)에 하부인장력(Tdown)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제2보호필름(4)은 제2하부버퍼롤러(175)에 의해 하부인장력(Tdown)이 조절되어,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제2보호필름롤에 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아이들롤러를 이용하여, 권출구역(A)에서 권취릴(171), 제2보호필름릴(173)과 제2하부버퍼롤러(175)가 설치되는 공간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권출구역(A)에 설치된 아이들롤러는 제2보호필름(4)의 이송을 안내한다.
권출구역(A)에 설치된 복수이 아이들롤러 중 어느 하나의 아이들롤러(178)는 권취릴(171)과 제2하부버퍼롤러(175) 사이에서, 제2하부버퍼롤러(175)의 설치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아이들롤러(179)는 제2하부버퍼롤러(175)과 제2보호필름릴(173) 사이에, 제2하부버퍼롤러(175)의 설치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두 개의 아이들롤러(178, 179)는 제2하부버퍼롤러(175)에 대해 상부에 위치된다. 제2보호필름릴(173)에서 풀린 제2보호필름(4)은 아이들롤러(179)를 경유하여 제2하부버퍼롤러(175)로 하향이송되다가, 제2하부버퍼롤러(175)에서 아이들롤러(178)로 상향 경사지게 이송된다. 제2하부버퍼롤러(175)를 경유한 제2보호필름(4)은 제2하부버퍼롤러(175)의 설치면에 대해 상향 경사져 권취릴(171)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 구조에 의해, 권취부(170)는 검사완료된 소자실장형 FPCB(10)에 제2보호필름(4)을 커버링한 상태로 권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3D검사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검사부(130)는 3D검사구역(B)에 설치된다. 3D검사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3D검사모듈(131, 132)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3D검사모듈(131, 132)은 제1이송롤러(123)와 제2이송롤러(124) 사이에서, 이송라인의 상부에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3D검사모듈(131, 132)은 이송라인의 길이에 따라 2개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3D검사모듈(131, 132)은 각각 설치된 위치에서, 이송라인을 따라 소자실장형 FPCB(10)의 상면 3D촬영한다. 적어도 하나의 3D모듈은 촬영된 영상과 기설정 소자실장형 FPCB(10)의 정보를 비교하여, 소자실장형 FPCB(10)의 소자(2)의 양불상태(예컨대, 소자의 솔더링상태, 소자의 설치의 정확도 등)를 검사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3D검사모듈(131)은 제1이송롤러(123)에 인접한 위치에서, 소자실장형 FPCB가 제1이송롤러(123)에서 B구역아이들롤러(133)로 상향 경사지게 이송되는 부분이 촬영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3D검사모듈(132)은 제2이송롤러(124)에 인접한 위치에서, B구역아이들롤러(134)에서 제2이송롤러(124)로 하향 경사지게 이송되는 부분이 촬영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3D검사모듈(131, 132)은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중에 인장된 부분에서 소자실장형 FPCB(10)의 소자(2)를 3D촬영하여, 3D검사부(130)의 검사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소자실장형 FPCB 검사시스템의 작동시, 소자실장형 FPCB의 이송, 3D검사와 2D검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보호필름(3)이 제거된 상태로 권출릴(111)에서 권출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1자유단롤러(112)를 경유하면서, 권출릴(111)의 하부에 위치된 제1카운팅롤러(121)로 진입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상면이 제1카운팅롤러(121)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제1카운팅롤러(121)로 진입된다. 제1카운팅롤러(121)는 제1이송롤러(123)와 동일한 구조로, 소자실장형 FPCB(10)의 소자가 제1카운팅롤러(121)의 소자통과홈을 통과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1상부버퍼롤러(122)를 경유하여, 제1이송롤러(123)으로 이송된다. 제1상부버퍼롤러(122)는 제1이송롤러(123)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자실장형 FPCB(10)의 하면과 맞닿아 소자실장형 FPCB(10)의 이송을 안내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1카운팅롤러(121)에서 제1상부버퍼롤러(122)로 상향 경사지게 이송되다가 제1상부버퍼롤러(122)에서 제1이송롤러(123)로 하향 경사지게 이송되면서, 제1상부버퍼롤러(122)를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게 된다.
제1상부버퍼롤러(122)는 제1상부버퍼롤러(122)의 설치면의 수직방향으로 상하로 위치조정되면서, 제1카운팅롤러(121)에서 제1상부버퍼롤러(122)로 이송되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장력과, 제1상부버퍼롤러(122)에서 제1이송롤러(123)로 이송되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게 작동된다. 이에 따라,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1상부버퍼롤러(122)를 경유하는 동안, 설치면의 상부로 상부인장력(Tup)이 발생되어, 권출구역(A)에서 3D검사구역(B)으로 진입하는 동안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3D검사구역(B)으로 진입한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1이송롤러(122), 어느 하나의 B구역아이들롤러(133), 제1블로우패드(137), 다른 하나의 B구역아이들롤러(134)와 제2이송롤러(124)를 순차적으로 지나, 2D검사구역(C)로 진입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1이송롤러(122)에서 어느 하나의 B구역아이들롤러(133)로 상향 경사지게 이송되면서 인장된 상태로, 어느 하나의 3D검사모듈(131)에 의해 3D촬영된다. 그리고,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1블로우패드(137)에서 제공된 공압에 의해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어, 제1블로우패드(137)에 대해 부유되어 통과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B구역아이들롤러(134)에서 제2이송롤러(124)로 하향 경사지게 이송되다가 제2상부버퍼롤러(125)에서 상향 경사지게 이송됨에 따라 인장된 상태로, 다른 하나의 3D검사모듈(132)에 의해 3D촬영된다.
제2상부버퍼롤러(125)는 제2상부버퍼롤러(125)의 설치면의 수직방향으로 상하로 위치조정되면서, 제2이송롤러(124)에서 제2상부버퍼롤러(125)로 이송되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장력과, 제2상부버퍼롤러(125)에서 제3이송롤러(126)로 이송되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게 작동된다. 이에 따라,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2상부버퍼롤러(125)를 경유하는 동안, 설치면의 상부로 상부인장력(Tup)이 발생되어, 3D검사구역(B)에서 2D검사구역(C)로 진입하는 동안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2D검사구역(C)으로 진입한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3이송롤러(126), C구역아이들롤러(154, 155),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 C구역아이들롤러(157, 158)와 제4이송롤러(127)를 순차적으로 지나, 권취구역(D)으로 진입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3이송롤러(126)에서 C구역아이들롤러(154, 155)로 상향 경사지게 이송되면서 인장된 상태로, 하부2D검사모듈(152a, 152b)에 의해 2D촬영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에서 제공된 공압에 의해 평평한 상태로, 복수의 제2블로우패드(153a, 1153b, 153c, 153d)에 대해 부유되어 통과한다. 이때, 소자실장형 FPCB(10)의 상면은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151a, 151b, 151c, 151d)에 의해 2D촬영된다.
소자실장형 FPCB(10)는 C구역아이들롤러(157, 158)에서 제4이송롤러(127)로 하향 경사지게 이송되다가 제3상부버퍼롤러(128)를 경유하면서 상향 경사지게 이송됨에 따라 인장된 상태로, 하부2D검사모듈(152c, 152d)에 의해 2D촬영된다.
제3상부버퍼롤러(128)는 제3상부버퍼롤러(128)의 설치면의 수직방향으로 상하로 위치조정되면서, C구역아이들롤러(157, 158)에서 제4이송롤러(127)로 이송되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장력과, 제4이송롤러(127)에서 권취릴(171)로 이송되는 소자실장형 FPCB(10)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게 작동된다. 이에 따라,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3상부버퍼롤러(128)를 경유하는 동안, 설치면의 상부로 상부인장력(Tup)이 발생되어, 2D검사구역(C)에서 권취구역(D)로 진입하는 동안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권취구역(D)로 진입된 소자실장형 FPCB(10)는 제2보호필름(4)에 의해 커버링된 상태로 권취릴(171)에 권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소자실장형 FPCB 전자동 검사시스템
110: 권출부 111: 권출릴
112: 제1자유단롤러 113: 제1보호필름릴
115: 제1하부버퍼롤 120: 기판이송부
121: 제1카운팅롤러 122: 제1상부버퍼롤러
123: 제1이송롤러 124: 제2이송롤러
125: 제2상부버퍼롤러 126: 제3이송롤러
127: 제4이송롤러 128: 제3상부버퍼롤러
129: 제2카운팅롤러 130: 3D검사부
131, 132: 3D검사모듈 133, 134: 3구역아이들롤러
137: 제1블로우패드
150: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150)
151a, 151b, 151c, 151d: 상부2D검사모듈
152a, 152b, 152c, 152d: 하부2D검사모듈
153a, 1153b, 153c, 153d: 제2블로우패드
170: 권취부 171: 권취릴
172: 제2자유단롤러 173: 제2보호필름릴
175: 제2하부버퍼롤

Claims (4)

  1. 권출부에서 권출된 소자실장형 FPCB를 권취부로 이송하는 이송라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자실장형 FPCB의 상면을 2D촬영하여, 상기 소자실장형 FPCB의 상면의 양불상태를 2D검사하는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 및
    상기 이송라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자실장형 FPCB의 하면을 2D촬영하여, 상기 소자실장형 FPCB의 하면의 양불상태를 2D검사하는 복수의 하부2D검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상호 간에 이격배치되어, 상기 소자실장형 FPCB를 상기 권출부에서 상기 권취부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라인의 하부에서, 상기 복수의 상부2D검사모듈와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소자실장형 FPCB의 하면으로 공압을 제공하는 복수의 블로우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자실장형 FPCB는 상기 공압에 의해 전면적에 걸쳐 균일한 압력을 받아 굴곡없이 평평하게, 상기 복수의 블로우패드에 대해 부유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패드는 수 미크론(micron) 크기의 다공질로 이루어진 다공질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중 인접하게 위치된 이송롤러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소자실장형 FPCB의 하면과 맞닿아 , 상기 소자실장형 FPCB의 이송을 안내하는 복수의 C구역아이들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하부2D검사모듈은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복수의 C구역아이들롤러에 의해 상기 소자실장형 FPCB가 경사지게 이송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
KR1020170123349A 2017-09-25 2017-09-25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 KR101990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349A KR101990026B1 (ko) 2017-09-25 2017-09-25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349A KR101990026B1 (ko) 2017-09-25 2017-09-25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846A true KR20190034846A (ko) 2019-04-03
KR101990026B1 KR101990026B1 (ko) 2019-06-17

Family

ID=6616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349A KR101990026B1 (ko) 2017-09-25 2017-09-25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960A1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엔비컨스 핀홀 검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404B1 (ko) * 2005-04-26 2006-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극판 테이핑 장치
KR20090027405A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아바코 편광필름 검사장치 및 편광필름 검사방법
KR20090041541A (ko) * 2007-10-24 2009-04-29 주식회사 아바코 필름 검사장치
KR20120110418A (ko) * 2011-03-29 2012-10-10 주식회사 아이스피 필름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404B1 (ko) * 2005-04-26 2006-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극판 테이핑 장치
KR20090027405A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아바코 편광필름 검사장치 및 편광필름 검사방법
KR20090041541A (ko) * 2007-10-24 2009-04-29 주식회사 아바코 필름 검사장치
KR20120110418A (ko) * 2011-03-29 2012-10-10 주식회사 아이스피 필름 검사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특허등록 제5175996호에는 롤형FPCB와 시트형FPCB를 선택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FPCB검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960A1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엔비컨스 핀홀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026B1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1352B2 (en) Reel-to-reel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5197327B (zh) 自动贴标签机
KR20190034844A (ko) 소자실장형 fpcb 검사시스템
KR101692074B1 (ko) 보호 테이프 부착 방법 및 보호 테이프 부착 장치
KR20060083296A (ko) 다층형 연성인쇄기판의 커버레이 라미네이팅 방법 및 장치
CN109121381A (zh) 带供给器和部件安装设备
KR101990026B1 (ko) 소자실장형 fpcb용 2d검사장치
KR102648333B1 (ko) 라벨 처리 장치
JP2007112626A (ja)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検査装置並びに基板搬送方法
JP2009200204A (ja) 吸着ノズルユニットの点検方法及び点検装置
CN113866177A (zh) 一种柔性电路板aoi辊式检测设备
KR20190034847A (ko) Fpcb이송장치
KR20190034845A (ko) 소자실장형 fpcb이송장치
JP2010129844A (ja) パターン自動検査装置
KR101863093B1 (ko) 라벨 부착 장치
JP4454504B2 (ja) フィルム搬送装置
CN111257344A (zh) 卷带式工作物的检测设备
JP2014052371A (ja) 基板検査装置及び基板検査方法
US20210163246A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5059362B2 (ja) 部品実装装置
KR101553330B1 (ko) 부자재 부착장치
CN220578517U (zh) 卷料检修设备
JP4314435B2 (ja) 検査装置
KR101753695B1 (ko)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용 필름공급 장치
JP2008254858A (ja) 基板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