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037A -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037A
KR20190034037A KR1020170122909A KR20170122909A KR20190034037A KR 20190034037 A KR20190034037 A KR 20190034037A KR 1020170122909 A KR1020170122909 A KR 1020170122909A KR 20170122909 A KR20170122909 A KR 20170122909A KR 20190034037 A KR20190034037 A KR 20190034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achine
game
remote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연
Original Assignee
황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연 filed Critical 황규연
Priority to KR102017012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4037A/ko
Publication of KR2019003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고유 번호가 할당되어 있으며, 게임기 수집 정보를 게임기의 고유 번호와 함께 원격 관리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게임기; 각 게임기로부터 고유 번호와 게임기 수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게임기 수집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데이터 및 고객 선호도를 포함한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며, 상기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의 게임기 통계 그래프로 변환하여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 관리 서버; 및 게임기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게임기 통계 그래프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Remote system for managing game machine}
본 발명은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서,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게임기들을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는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오락기에서 게임을 즐기는 목적에서 더 한층 성취감을 얻도록 게임기가 성행함에 따라 게임기에 대한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20-0245379에 개시된 기술로서, 게임의 결과에 따라 경품을 지급하는 작동 기기로 몸체의 전면으로는 벨트프레임이 있어 그 내부에 벨트풀리가 형성되며 벨트풀리에 경품걸이홈으로 구성되어 있고 몸체 후면에는 제어기와 감속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기 내부에는 벨트풀리를 구동하는 구동기어와 경품 배출 정지를 시키는 스위치, 작동제어기판으로 구성, 감속기에는 모터와 연결된 감속 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이밖에 다른 다양한 구조의 게임기가 성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게임기는, 관리자들이 게임기가 있는 장소에 방문하여 돈을 회수하며, 인형이 부족할 경우 채워넣기도 한다. 따라서 관리자들이 게임기마다 일일이 방문하여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게임기들의 운영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각 게임기들에 투입된 돈이 얼마인지, 몇시 몇분 몇초에 게임을 했고, 언제 경품이 배출 되었는지, 전원 ON 시간과 전원 OFF 시간은 언제인지 등의 게임기의 게임기 수집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245379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게임기들을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는 게임기 원격 관리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고유 번호가 할당되어 있으며, 게임기 수집 정보를 게임기의 고유 번호와 함께 원격 관리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게임기; 각 게임기로부터 고유 번호와 게임기 수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게임기 수집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데이터 및 고객 선호도를 포함한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며, 상기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의 게임기 통계 그래프로 변환하여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 관리 서버; 및 게임기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게임기 통계 그래프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기 수집 정보는, 게임기에 투입된 게임비 투입 금액, 게임 시간, 경품 배출 현황, 게임기 전원 온/오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각 게임기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서버 통신부; 각 게임기의 고유 번호, 설치 장소, 게임기 타입이 저장된 게임기 DB; 각 게임기로부터 수신한 게임기 수집 정보를 게임기의 고유 번호별로 저장하는 게임기 수집 정보 저장부; 상기 게임기 수집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데이터, 고객 선호도를 포함한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게임기 운영 데이터 산출부; 및 상기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의 게임기 통계 그래프로 변환하여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게임기 통계 그래프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기에는, 비상 콜 버튼과 통화 모듈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게임비 투입 에러로 인한 게임자로부터 비상 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게임기의 통화 모듈과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를 통화 연결시켜 통화되도록 하는 AS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S 처리부는, 게임비 투입 에러에 대한 보상으로서 상기 게임기의 게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게임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게임기는, 게임비 투입 모듈, 경품 배출 모듈을 자체 진단하는 자체 진단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비상 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자체 진단 모듈을 통해 진단되는 정보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자체 진단 모듈은, 게임비 투입 모듈, 경품 배출 모듈의 파손이 있는 경우, 즉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 게임기 파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원격 관리 서버의 AS 처리부는, 상기 게임기 파손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에 게임기 파손되었음을 즉시 통보하고, 아울러, 사설 경비 센터 서버 및 경찰 센터 서버에 게임기의 설치 장소로 출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게임기들로부터 고유 번호와 함께 게임기 수집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이러한 게임기 수집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기들을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인형 뽑기 게임기의 예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기에 설치된 게임기 제어 모듈의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기의 비상 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원격 동작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 파손에 따른 원격 동작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기에 설치된 게임기 제어 모듈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경품을 지급하는 기계(이하, '게임기'라 함)의 기판에 네트워크를 연결시켜 각 게임기(100)마다 고유 번호를 부여하고 온라인에서 각 경품 게임에서 발생하는 내용들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를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형 뽑기 기계(3발 짜리), 밀어서 경품을 떨어뜨리는 게임기 등등 다양한 경품 지급 게임기(100)들이 있는데 이 게임기(100)들에 투입된 돈이 얼마인지, 몇시 몇분 몇초에 게임을 했고, 언제 경품이 배출 되었는지, 전원 ON 시간과 전원 OFF 시간은 언제인지 등 게임기(100)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원격의 서버에서 통합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VR 체험기와 일반 아케이드 게임기(100)에도 네트워크를 연결시켜 동일한 방식으로 매출 자료에 대한 통계 수집, 고객 선호도 파악 등 다양한 자료를 한군데 모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객 컴플레인이 발생한 경우, Staff Call 버튼 등의 장치를 마련하여. 돈 걸림, 돈먹음 현상등이 발생 했을 때 원격으로 서비스 코인을 입력시키는 방법 등으로 AS 서비스 또는 기계의 하자에 대한 자체적인 점검을 원격으로 실시하여 문제 증상을 파악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미도시), 게임기(100), 원격 관리 서버(200), 및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미도시)은, 게임기(100), 원격 관리 서버(200), 및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300)간에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게임기(100)는, 동전, 지폐 등의 게임비가 투입되면, 게임이 진행되는 기기를 말한다. 예를 들어, 경품 뽑기 게임기와 같이, 인형, 장난감에 대해서 뽑기 성공하는 경우 인형, 장난감이 배출되는 경품 게임기가 해당될 수 있다. 이밖에 경품 게임기 이외에도 본 발명의 게임기(100)는, VR 체험기, 일반 아케이드 게임기와 같이 외부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게임기라면 모두 해당될 수 있다.
게임기(100)는, 여러 장소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고유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게임기(100)는, 게임기 수집 정보를 게임기(100)의 고유 번호와 함께 원격 관리 서버(2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게임기(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기 통신 모듈(110), 게임비 투입 모듈(120), 경품 배출 모듈(130), 비상 콜 버튼(140), 통화 모듈(150), 자체 진단 모듈(160), 게임기 제어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게임기 통신 모듈(110)는, 원격 관리 서버(2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원격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게임비 투입 모듈(120)은, 게임에 참여할 수 있는 게임비를 투입받는 모듈로서, 지폐, 동전의 투입 수단, 또는 신용카드 결제 수단이 해당될 수 있다.
경품 배출 모듈(130)은, 게임에서 성공한 경우 지급되는 경품을 배출시키는 모듈로서, 예를 들어, 경품 게임기(100)의 경우에는 뽑기 성공한 인형, 장난감 등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킨다.
비상 콜 버튼(140)은, 게임기(100)의 표면에 마련된 버튼으로서, 비상 상황 발생시에 게임자로부터 누름 입력받는 버튼이다. 예를 들어, 게임비 투입 모듈(120)에 지폐를 투입하였는데 지폐가 인식 안되는 경우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게임자는 비상 콜 버튼(140)을 누르게 된다.
통화 모듈(150)은, 게임 운영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게임 운영자와 게임자 간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듈이다.
자체 진단 모듈(160)은, 게임비 투입 모듈(120), 경품 배출 모듈(130)을 자체 진단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게임비 투입 모듈(120)의 지폐 인식 센서에 테스트값을 제공하여 올바르게 센싱되고 있는지를 자체 진단한다.
게임기 제어 모듈(170)은, 게임기 수집 정보를 게임기(100)의 고유 번호와 함께 원격 관리 서버(2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게임기 수집 정보는, 게임기에 투입된 게임비 투입 금액, 게임 시간, 경품 배출 현황, 게임기 전원 온/오프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형 뽑기 기계(3발 짜리), 밀어서 경품을 떨어뜨리는 경품 기계 등등 다양한 경품 지급 게임기(100)들이 있는데 이 게임기(100)들에 투입된 돈이 얼마인지, 몇시 몇분 몇초에 게임을 했고, 언제 경품이 배출 되었는지, 전원 ON 시간과 전원 OFF 시간은 언제인지 등 기계에 관련된 모든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게임기 제어 모듈(170)은, 게임비 투입 에러로 인한 게임자로부터 비상 콜 버튼(140)이 눌리어진 경우, 비상 콜 눌림이 있음을 원격 제어 서버로 통보한다.
또한 게임기 제어 모듈(170)은, 비상 콜 버튼(140)이 눌리어진 경우, 자체 진단 모듈(160)을 통해 진단되는 정보를 원격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원격 관리 서버(200)는, 자체 진단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게임기 리셋 조치, 출장 수리 조치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게임기 제어 모듈(170)은 MCU(Main Control Unit)의 형태로 구현되어 연산 처리가 가능하다. 게임기 제어 모듈(170), 메모리, 게임기 통신 모듈(110), 통화 모듈(150), 자체 진단 모듈(160)은 기판(PCB)에 탑재되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기(100)의 내부에 마련된다.
원격 관리 서버(2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원격 관리 서버(200)는, 각 게임기(100)로부터 고유 번호와 게임기 수집 정보를 수신하여, 게임기 수집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데이터 및 고객 선호도를 포함한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며,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의 게임기 통계 그래프로 변환하여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원격 관리 서버(2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5와 함께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300)는, 게임기(10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300)는, 원격 관리 서버(200)로부터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나아가, 원격 관리 서버(200)로부터 게임기 통계 그래프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게임기 운영자는, 오프라인 상의 게임기(100) 설치 장소에 나가지 않아도 게임비 투입 현황, 경품 배출 현황, 고객 선호도 등의 게임기 통계를 그래프 형태로서 자신의 단말기인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기의 비상 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원격 동작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 파손에 따른 원격 동작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원격 관리 서버(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210), 게임기 DB(220), 게임기 수집 정보 저장부(230), 게임기 운영 데이터 산출부(240), 및 게임기 통계 그래프 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AS 처리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각 게임기(100),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300)와 각각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2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게임기 DB(220)는, 각 게임기(100)의 고유 번호, 설치 장소, 및 게임기(100) 타입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DataBase)이다. 게임기 DB(22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게임기 수집 정보 저장부(230)는, 각 게임기(100)로부터 수신한 게임기 수집 정보를 게임기(100)의 고유 번호별로 저장하는 저장체이다. 여기서 게임기 수집 정보는, 게임기(100)에 투입된 게임비 투입 금액, 게임 시간, 경품 배출 현황, 게임기 전원 온/오프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남역'에 설치된 제1게임기(100)의 게임비 투입 금액, 게임 시간, 경품 배출 현황, 게임기 전원 온/오프 정보 등이 제1게임기(100)의 고유 번호에 할당되어 업데이트 저장되며, '종로'에 설치된 제2게임기(100)의 게임비 투입 금액, 게임 시간, 경품 배출 현황, 게임기 전원 온/오프 정보 등이 제2게임기(100)의 고유 번호에 할당되어 업데이트 저장된다.
게임기 운영 데이터 산출부(240)는, 게임기 수집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데이터, 고객 선호도를 포함한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게임기(100)가 주로 이용되는 시간대의 통계 데이터, 게임자 들이 주로 뽑는 인형 종류의 고객 선호도 등을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게임기 통계 그래프 제공부(250)는,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의 게임기 통계 그래프로 변환하여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300)로 직접 제공할 수도 있는데, 게임기 운영자가 쉽게 통계를 파악하도록 그래프 형태로서 제공해주는 것이다.
AS 처리부(260)는, 게임비 투입 에러로 인한 게임자로부터 비상 콜 버튼(140)이 눌리어진 경우, 게임기(100)의 통화 모듈(150)과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300)를 통화 연결시켜 통화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였는데 게임기(100)가 이를 인식하지 못 한 경우, 비상 콜 버튼(140)을 눌러서 게임자는 게임기 운영자와 통화하여 상황을 설명한다. 게임기 운영자는 게임기(100)를 비추고 있는 CCTV를 확인하거나, 게임기 상태를 원격에서 조회하여, 게임자 주장이 맞다면 보상을 해준다.
이를 위해 AS 처리부(260)는, 게임비 투입 에러에 대한 보상으로서 게임기(100)의 게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게임기(100)를 제어한다. 따라서, AS 처리부(260)는, 돈 걸림, 돈먹음 현상등이 발생했을 때 원격으로 서비스 코인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게임기(1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불법적인 조작에 의해 게임비 투입 모듈(120), 경품 배출 모듈(130)의 파손이 있는 경우, 게임기(100)의 자체 진단 모듈(160)은, 즉시 원격 관리 서버(200)로 게임기 파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원격 관리 서버(200)의 AS 처리부(260)는, 게임기 파손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300)에 게임기 파손되었음을 즉시 통보하고, 아울러, 사설 경비 센터 서버 및 경찰 센터 서버에 게임기(100)의 설치 장소로 출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불법적인 제3자가 지폐 보관함 등을 파손하여 지폐를 훔치려고 하거나, 인형 보관함을 파손하여 인형을 훔치려고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게임기
200:원격 관리 서버
300:게임기 운영자 단말기

Claims (7)

  1. 고유 번호가 할당되어 있으며, 게임기 수집 정보를 게임기의 고유 번호와 함께 원격 관리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게임기;
    각 게임기로부터 고유 번호와 게임기 수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게임기 수집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데이터 및 고객 선호도를 포함한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며, 상기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의 게임기 통계 그래프로 변환하여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 관리 서버; 및
    게임기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게임기 통계 그래프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 수집 정보는,
    게임기에 투입된 게임비 투입 금액, 게임 시간, 경품 배출 현황, 게임기 전원 온/오프 정보를 포함한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각 게임기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서버 통신부;
    각 게임기의 고유 번호, 설치 장소, 게임기 타입이 저장된 게임기 DB;
    각 게임기로부터 수신한 게임기 수집 정보를 게임기의 고유 번호별로 저장하는 게임기 수집 정보 저장부;
    상기 게임기 수집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데이터, 고객 선호도를 포함한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게임기 운영 데이터 산출부; 및
    상기 게임기 운영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의 게임기 통계 그래프로 변환하여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게임기 통계 그래프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에는, 비상 콜 버튼과 통화 모듈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게임비 투입 에러로 인한 게임자로부터 비상 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게임기의 통화 모듈과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를 통화 연결시켜 통화되도록 하는 AS 처리부;를 포함하는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AS 처리부는,
    게임비 투입 에러에 대한 보상으로서 상기 게임기의 게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게임기를 제어하는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는,
    게임비 투입 모듈, 경품 배출 모듈을 자체 진단하는 자체 진단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비상 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자체 진단 모듈을 통해 진단되는 정보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체 진단 모듈은,
    게임비 투입 모듈, 경품 배출 모듈의 파손이 있는 경우, 즉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 게임기 파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원격 관리 서버의 AS 처리부는, 상기 게임기 파손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게임기 운영자 단말기에 게임기 파손되었음을 즉시 통보하고, 아울러, 사설 경비 센터 서버 및 경찰 센터 서버에 게임기의 설치 장소로 출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0170122909A 2017-09-22 2017-09-22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90034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909A KR20190034037A (ko) 2017-09-22 2017-09-22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909A KR20190034037A (ko) 2017-09-22 2017-09-22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037A true KR20190034037A (ko) 2019-04-01

Family

ID=6610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909A KR20190034037A (ko) 2017-09-22 2017-09-22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4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9839A (zh) * 2018-03-16 2018-07-06 深圳市乐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设备实时远程操控与视频展示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379Y1 (ko) 2001-05-25 2001-10-29 정수연 경품 배출 작동 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379Y1 (ko) 2001-05-25 2001-10-29 정수연 경품 배출 작동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9839A (zh) * 2018-03-16 2018-07-06 深圳市乐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设备实时远程操控与视频展示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83788B2 (en) Personal Electronic Device for Gaming and Bonus System
US10210704B2 (en) Universal player tracking system utilizing mobile devices
CN113643485B (zh) 用于控制物理游戏机的操作的设备和包括设备的游戏设施
US9235957B2 (en) Event based publishing/subscribing in a wagering game network
JP2013085784A (ja) 遊技機及び遊技機個体情報集計システム
JP2003126497A (ja) 識別データ設定方法および遊技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80016903A (ko) 자동판매기의 매출, 상태, 그리고 출고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자동 관리 시스템
KR20190034037A (ko) 게임기 원격 관리 시스템
US202003572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Gaming Machine, And Gaming System
WO2016031610A1 (ja) プレーヤトラッキング装置、ゲーミングマシン、および情報端末
TWM573496U (zh) Cloud exchange system and currency device
US8257179B2 (en) Network for token-based and related devices
JP2019093221A (ja) 遊技機の台間機に用いられる表示部の支承構造
JP5078749B2 (ja) ゲーム機器管理システム
JP6986996B2 (ja) 中継装置、中継方法
JP3226170U (ja) 遊技台情報無線通信装置
JP2017217204A (ja) 遊技台情報無線通信装置
JPH10165607A (ja) ゲーム機売り上げ遠隔監視装置
JP2017196023A (ja) データ集計装置、データ収集装置、及びデータ収集システム
JP2008307340A (ja) 監視装置、監視方法、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7303432B (zh) 一种可供多人同时使用的电子游戏系统
JP2017070586A (ja) 遊技場用管理システム、遊技場用サーバ、及び、遊技情報収集装置
JP5222621B2 (ja) カード管理システム
CN115066707A (zh) 管理系统
CN115023274A (zh) 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