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794A -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 Google Patents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794A
KR20190033794A KR1020170122399A KR20170122399A KR20190033794A KR 20190033794 A KR20190033794 A KR 20190033794A KR 1020170122399 A KR1020170122399 A KR 1020170122399A KR 20170122399 A KR20170122399 A KR 20170122399A KR 20190033794 A KR20190033794 A KR 20190033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opening
closing door
hull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439B1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4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4Hawse-holes; Hawse-pipes; Hawse-ho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2Handling or lashing of anchors
    • B63B21/227Stowing the anchor inside the vessel by hauling-in through an aperture in the side walls, stern or bot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 외측에 형성되던 앵커 포켓(anchor pocket)을 선체 내부로 이동시키고, 개폐도어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통해 앵커 포켓을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텔스 성능을 극대화시키고, 개폐도어가 앵커 체인을 받침으로써 앵커와 선체의 구상선수 간에 간섭방지를 위한 충분한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특히 앵커의 회수 동작 시 앵커의 일측이 개폐도어 내측에 마련된 걸림부에 걸리면서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ANCHOR CAPABLE OF PULLING IN AND OUT OF THE HULL AND METHOD FOR PULLING IN AND OU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선체 외측에 형성되던 앵커 포켓(anchor pocket)을 선체 내부로 이동시키고, 개폐도어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통해 앵커 포켓을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텔스 성능을 극대화시키고, 개폐도어가 앵커 체인을 받침으로써 앵커와 선체의 구상선수 간에 간섭방지를 위한 충분한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특히 앵커의 회수 동작 시 앵커의 일측이 개폐도어 내측에 마련된 걸림부에 걸리면서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상선수(bulbous bow)가 적용된 선박(함정)의 경우, 구상선수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앵커 포켓을 선체로부터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앵커 포켓을 외부로 돌출되어야지만 인출된 앵커와 구상선수 간에 간섭방지를 위한 이격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대 함정 시스템에서 스텔스 성능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게 되었는데, 외부로 노출된 앵커 포켓은 레이더 피탐 면적(RCS)의 최소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외형(미관)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항해 시 선수파와 앵커 포켓이 부딪히면서 저항이 발생됨에 따라 선박의 운항성능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이러한 앵커 포켓에 의해 발생되던 문제점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체 외측에 형성되던 앵커 포켓(anchor pocket)을 선체 내부로 이동시키고, 개폐도어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통해 앵커 포켓을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텔스 성능을 극대화시키고, 개폐도어가 앵커 체인을 받침으로써 앵커와 선체의 구상선수 간에 간섭방지를 위한 충분한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특히 앵커의 회수 동작 시 앵커의 일측이 개폐도어 내측에 마련된 걸림부에 걸리면서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1497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선체 외측에 형성되던 앵커 포켓(anchor pocket)을 선체 내부로 이동시키고, 개폐도어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통해 앵커 포켓을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텔스 성능을 극대화시키고, 개폐도어가 앵커 체인을 받침으로써 앵커와 선체의 구상선수 간에 간섭방지를 위한 충분한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특히 앵커의 회수 동작 시 앵커의 일측이 개폐도어 내측에 마련된 걸림부에 걸리면서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앵커는 선체 내측으로 마련되는 앵커 포켓, 상기 앵커 포켓을 커버하며, 상기 앵커 포켓의 외측방향으로 개폐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OPEN) 시, 상기 앵커 포켓으로부터 인출되는 앵커(anchor)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평상 시 상기 앵커 포켓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앵커의 인입 시 상기 앵커가 상기 개폐도어에 걸림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앵커의 인입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clos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도어는 힌지(hinge)축을 통해 상기 선체로부터 개폐되어 상기 앵커 포켓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도어는 슬라이드(slide) 방식을 통해 상기 선체로부터 개폐되어 상기 앵커 포켓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의 인출 시, 개방된 개폐도어의 내측면이 상기 앵커의 앵커 체인을 받침으로써 상기 앵커와 상기 선체 간에 간섭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앵커의 일부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앵커의 인입 시, 회수되는 상기 앵커의 일측이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외측면에는 레이더 피탐 면적(RCS)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텔스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은 선체 내측으로 마련되는 앵커 포켓을 커버하는 개폐도어를 상기 앵커 포켓의 외측방향으로 개방하는 단계, 상기 앵커 포켓으로부터 앵커(anchor)가 인출되는 단계 및 상기 앵커의 인입 시 상기 앵커가 상기 개폐도어에 걸림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앵커의 인입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close)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외측에 형성되던 앵커 포켓(anchor pocket)을 선체 내부로 이동시키고, 개폐도어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통해 앵커 포켓을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텔스 성능을 극대화시키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폐도어가 앵커 체인을 받침으로써 앵커와 선체의 구상선수 간에 간섭방지를 위한 충분한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앵커의 회수 동작 시 앵커의 일측이 개폐도어 내측에 마련된 걸림부에 걸리면서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외부로 돌출된 앵커 포켓이 없기 때문에, 항해 시 선수파와 앵커 포켓이 부딪히지 않음으로써 선체의 운항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에 마련되는 돌출된 앵커 포켓(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앵커(130)가 개폐도어(120)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100)의 인입 및 인출 방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에 마련되는 돌출된 앵커 포켓(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종래의 선박에는 구상선수(bulbous bow)와의 간섭방지를 위하여 선박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앵커 포켓(1)을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돌출된 앵커 포켓(1)의 장점은 구상선수와의 간섭이 방지됨에 따라 선체 손상이 방지된다는 점이지만, 그에 반하여 레이더 피탐 면적(RCS) 증가에 따른 스텔스 기능의 감소, 함의 형상(미관) 저하, 과도한 플레어(flare) 적용으로 인한 선수부의 저항 증가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후술되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선박에 마련된 돌출된 앵커 포켓(1)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앵커(130)가 개폐도어(120)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100)는 크게 앵커 포켓(110), 개폐도어(120) 및 앵커(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앵커 포켓(110)은 선체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앵커(13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앵커 포켓(110)의 형태를 일방적으로 앵커(130)를 수용하기 위한 형태와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앵커 포켓(110)을 선체 내측으로 위치시킨 이유는 종래의 돌출된 앵커 포켓으로 인해 발생되는 선수파와의 저항상승, 레이더 피탐 면적 증가에 따른 스텔스 기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함임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개폐도어(120)는 앵커 포켓(110)을 커버함으로써 앵커 포켓(110)이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개폐도어(120)는 앵커 포켓(110)의 외측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폐도어(120)는 힌지(hinge)축을 통해 선체로부터 개폐되는 폴딩타입(folding type)의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고, 슬라이드(slide) 방식을 통해 선체로부터 개폐되는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의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두 경우 모두 개폐도어(120)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개폐됨에 따라, 개폐도어(120)의 내측면이 앵커(130)의 앵커 체인을 받치도록 개폐될 수 있다. 이렇게 개폐도어(120)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개폐되는 이유는 개폐도어(120)의 내측면이 앵커(130)의 앵커 체인을 받침으로써 앵커(130)와 구상선수 간의 이격거리를 만듬으로써 간섭방지용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폐도어(120)의 내측면에는 앵커(130)의 일부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120a)가 마련되는데, 앵커(130)의 회수동작에 의한 인입 시, 회수되는 앵커(130)의 일측이 걸림부(120a)에 걸린 상태에서 앵커(130)에 작용되는 회수력을 토대로 개폐도어(120)가 자동으로 폐쇄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도어(120)를 닫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앵커(130)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120)를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걸림부(120a)는 개폐도어(120)의 내측면에서 앵커(130)의 앵커 체인이 회수되는 위치와 상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개폐도어(120)의 외측면에는 레이더 피탐 면적(RCS)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텔스층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텔스 물질이 도포 혹은 코팅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4를 통해 이러한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100)를 인입 및 인출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100)의 인입 및 인출 방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먼저 선체 내측으로 마련되는 앵커 포켓(110)을 커버하는 개폐도어(120)를 앵커 포켓(110)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한다(S401). 이때 앵커 포켓(110) 내에는 앵커(130)가 수용되어 있으며 앵커 포켓(110)으로부터 앵커(130)가 인출된다(S402).
그 다음, 앵커(130)가 회수 및 인입되는 경우에는, 앵커(130)의 일측이 개폐도어(120)의 걸림부(120a)에 걸리면서(S403) 개폐도어(120)가 앵커(130)의 인입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S40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돌출된 앵커 포켓
100: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110: 앵커 포켓
120: 개폐도어
120a: 걸림부
130: 앵커

Claims (7)

  1. 선체 내측으로 마련되는 앵커 포켓;
    상기 앵커 포켓을 커버하며, 상기 앵커 포켓의 외측방향으로 개폐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OPEN) 시, 상기 앵커 포켓으로부터 인출되는 앵커(anchor);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평상 시 상기 앵커 포켓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앵커의 인입 시 상기 앵커가 상기 개폐도어에 걸림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앵커의 인입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clos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힌지(hinge)축을 통해 상기 선체로부터 개폐되어 상기 앵커 포켓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앵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슬라이드(slide) 방식을 통해 상기 선체로부터 개폐되어 상기 앵커 포켓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앵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의 인출 시, 개방된 개폐도어의 내측면이 상기 앵커의 앵커 체인을 받침으로써 상기 앵커와 상기 선체 간에 간섭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거리가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앵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앵커의 일부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앵커의 인입 시, 회수되는 상기 앵커의 일측이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앵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의 외측면에는,
    레이더 피탐 면적(RCS)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텔스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앵커.
  7. 선체 내측으로 마련되는 앵커 포켓을 커버하는 개폐도어를 상기 앵커 포켓의 외측방향으로 개방하는 단계;
    상기 앵커 포켓으로부터 앵커(anchor)가 인출되는 단계; 및
    상기 앵커의 인입 시 상기 앵커가 상기 개폐도어에 걸림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앵커의 인입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close)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KR1020170122399A 2017-09-22 2017-09-22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KR10233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99A KR102334439B1 (ko) 2017-09-22 2017-09-22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99A KR102334439B1 (ko) 2017-09-22 2017-09-22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94A true KR20190033794A (ko) 2019-04-01
KR102334439B1 KR102334439B1 (ko) 2021-12-01

Family

ID=6610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99A KR102334439B1 (ko) 2017-09-22 2017-09-22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4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358A (ko) 2018-07-13 2020-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앵커포켓보호블록의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
CN113212654A (zh) * 2021-06-21 2021-08-06 安徽亚太锚链制造有限公司 一种船用锚链及其装配方法
KR20220053160A (ko) * 2020-10-22 2022-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보호커버를 갖는 힌지식 수직 사다리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719A (ko) * 2011-05-09 2012-11-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앵커링시스템의 체인록커에 구비되는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
KR20160000554U (ko) * 2014-08-05 2016-02-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수납 장치
KR20160001497U (ko) 2014-10-29 2016-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수용 시스템
KR20160002998U (ko) * 2015-02-23 2016-08-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텔레스코픽 벨 마우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719A (ko) * 2011-05-09 2012-11-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앵커링시스템의 체인록커에 구비되는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
KR20160000554U (ko) * 2014-08-05 2016-02-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수납 장치
KR20160001497U (ko) 2014-10-29 2016-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수용 시스템
KR20160002998U (ko) * 2015-02-23 2016-08-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텔레스코픽 벨 마우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358A (ko) 2018-07-13 2020-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앵커포켓보호블록의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
KR20220053160A (ko) * 2020-10-22 2022-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보호커버를 갖는 힌지식 수직 사다리 구조물
CN113212654A (zh) * 2021-06-21 2021-08-06 安徽亚太锚链制造有限公司 一种船用锚链及其装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439B1 (ko)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3794A (ko)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JP5004268B2 (ja) 押上装置
US20180065560A1 (en) Tailgate assembly with deployable cantilevered step
US20160108646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door having outside handle from opening
US20160035518A1 (en) Door Mounted Vent Flap Structure For Arc-Resistant Compartment
CN206218200U (zh) 泄压门
US9033396B2 (en) Door opening preve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US9849759B2 (en) Independently operating motor vehicle doors with an articulating door interface
US20170175674A1 (en) Translating cascade thrust reverser with control of blocker door
JP2006282127A (ja) 自動車のドアホールシール
CN105691581B (zh) 舰船用改进型箱式可闭防雨风口
KR102059573B1 (ko) 냉장고
AU2018100809A4 (en) Device for the inner lining and insulation of freight containers
KR200433027Y1 (ko) 완전 개폐형 환기창이 구비된 텐트
CN105444500B (zh) 门体结构及具有该门体结构的冰箱
US9344610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rior antenna
US20150195931A1 (en) Case for a portable device with a screen
CN107278179A (zh) 用于容纳工具或小零件的箱体
CN109398048A (zh) 一种半开式汽车车门引流防溅辅助装置
CN207302731U (zh) 一种具有自固定功能的船用电缆
JP3203772U (ja) 屋外ロッカー
JP2009201697A (ja) 郵便受け箱
KR20130056954A (ko) 선박의 해치 구조
KR101524203B1 (ko) 커버장치
KR102114939B1 (ko) 강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돔형 천체관측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