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497U - 앵커 수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앵커 수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497U
KR20160001497U KR2020140007853U KR20140007853U KR20160001497U KR 20160001497 U KR20160001497 U KR 20160001497U KR 2020140007853 U KR2020140007853 U KR 2020140007853U KR 20140007853 U KR20140007853 U KR 20140007853U KR 20160001497 U KR20160001497 U KR 201600014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chain
receiving
receiving portion
lif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7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497U/ko
Publication of KR20160001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4Hawse-holes; Hawse-pipes; Hawse-ho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2Handling or lashing of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08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앵커 수용 시스템은 데크에 배치되고 앵커 체인을 통해 앵커를 승강시키는 리프팅 수단, 상기 앵커와 상기 리프팅 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앵커 체인을 안내하고 고정시키는 체인 컴프레서, 상기 앵커 체인을 관통시키는 체인 파이프 및 앵커 빌(Anchor Bill)을 그 내부에서 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앵커 생크(Anchor Shank)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체인 파이프 내부로 삽입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앵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앵커 수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앵커 수용 시스템은 앵커 포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판 구조의 형태를 가지는 앵커 수용부를 제공할 수 있고, 구조물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구조물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앵커 수용 시스템{SYSTEM FOR ACCOMMODATING ANCHOR}
본 고안은 선박의 앵커 수용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외판 형상을 개선하여 앵커를 선체의 외판에 수용할 수 있는 앵커 수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앵커(Anchor)를 보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벨 마우스(Bell Mouth)타입 및 포켓(Pocket) 타입이 있다. 벨 마우스는 호스 파이프를 통하여 좌우현의 선수 측면에 설치하는 주물로 된 구조물로서 앵커 체인 케이블의 마모를 방지하고 앵커가 외판에 손상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앵커 포켓은 선수 또는 선미에 음푹 패인 구조를 만들어 앵커를 보관하는 구조물로서 주로 컨테이너 선종에 많이 적용된다.
앵커 포켓은 두께가 두꺼운 구조로 되어 있어 작업 시에 주변 구조 및 선체의 외판과 연결되는 위치를 정확히 맞추지 못할 경우, 후 공정에서 수정 작업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현장 작업 여건이 열악하고 크레인 사용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용접 변형으로 인한 재작업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4573호는 앵커 격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앵커 체인이 이동 가능하도록 선체의 상하부를 관통하며 하측부에 앵커가 수용되는 앵커포켓을 포함하는 앵커 격납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포켓 구조는 외판에 시공되는 구조물이 많고 중량 과다와 조립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1133호는 선박용 앵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앵커 체인이 체인로커에 격납될 때 앵커 체인을 체인로커의 벽면으로 당길 수 있도록 체인로커에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부를 구비하는 앵커링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4573호 (2012.10.19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291133호 (2013.07.24 등록)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앵커 포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판 구조의 형태를 가지는 앵커 수용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앵커 수용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구조물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구조물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앵커 수용 시스템은 데크에 배치되고 앵커 체인을 통해 앵커를 승강시키는 리프팅 수단, 상기 앵커와 상기 리프팅 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앵커 체인을 안내하고 고정시키는 체인 컴프레서, 상기 앵커 체인을 관통시키는 체인 파이프 및 앵커 빌(Anchor Bill)을 그 내부에서 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앵커 생크(Anchor Shank)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체인 파이프 내부로 삽입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앵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앵커 수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 수용부는 상기 체인 파이프를 중심으로 선체의 하측면을 함몰시켜 상기 앵커가 수용될 때 상기 앵커와 상기 선체의 하측면을 수평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 수용부는 상기 앵커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앵커 빌을 그 함몰면을 따라 상기 선수 또는 선미 방향에 있는 일단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 수용부는 상기 앵커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앵커의 하부면을 상기 선수 또는 선미의 반대 방향에 있는 다른 일단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인 컴프레서는 상기 앵커 체인이 이동할 때 상기 앵커 체인을 안내하는 체인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앵커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앵커 체인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트 수단은 윈치 또는 체인 케이블 리프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체인 컴프레서 내에서 승강하여 상기 앵커 체인을 압박하여 고정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용 시스템은 앵커 포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판 구조의 형태를 가지는 앵커 수용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용 시스템은 앵커 수용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구조물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구조물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리프팅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체인 컴프레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체인 컴프레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앵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리프팅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체인 컴프레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체인 컴프레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있는 앵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앵커 수용 시스템 (100)은 리프팅 수단(110), 체인 컴프레서(120), 체인 파이프(130) 및 앵커 수용부(140)를 포함한다.
리프팅 수단(110)은 데크(10)에 배치되고 앵커 체인(20)을 통해 앵커(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프팅 수단(110)은 윈치(Winch) 또는 체인 케이블 리프트로 구현될 수 있다. 리프팅 수단(110)은 전동기 또는 내연 기관을 통해 원통형의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리프팅 수단(110)은 선박의 운항 시에 앵커 체인(20)과 연결된 앵커(30)를 들어올리고, 선박의 정박 시에 앵커(30)를 내릴 수 있다.
체인 컴프레서(120)는 체인 가이드 부재(122) 및 고정 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 컴프레서(120)는 앵커(30)와 리프팅 수단(110) 사이에 배치되고, 앵커 체인(20)을 안내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체인 컴프레서(120)는 리프팅 수단(110)이 앵커(30) 및 앵커 체인(20)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분산시켜 리프팅 수단(110)을 보호할 수 있다.
체인 가이드 부재(122)는 앵커 체인(20)이 이동할 때 앵커 체인(20)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체인 가이드 부재(122)는 앵커 체인(20)과 맞물리도록 구현될 수 있고, 앵커 체인(20)이 리프팅 수단(110)에 의하여 끌어올려질 때 앵커 체인(20)을 안내할 수 있다.
고정 부재(124)는 앵커(30)를 선박으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하여 앵커 체인(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124)는 체인 컴프레서(120) 내에서 승강하여 앵커 체인을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124)는 앵커(30)를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앵커 체인(2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들어올려진 후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24)는 선박이 항해를 준비하거나 정박하기 위하여 앵커(30)를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들어올려진 후 고정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124)는 중간에 홈이 구성되고 양측면이 돌출되어, 선박이 정박한 경우 앵커 체인(20)을 압박하여 앵커 체인(2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24)는 선박이 정박을 완료한 경우 리프팅 수단(110)이 앵커(30) 및 앵커 체인(20)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앵커 체인(20)과 맞물려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체인 파이프(130)는 체인 컴프레서(120)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앵커 체인(20)을 관통시킬 수 있다. 체인 파이프(130)의 상부는 데크(10)에 배치되며, 하부는 선체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즉, 체인 파이프(130)는 데크(10)에서부터 선체의 하측면까지 이르는 앵커 체인(20)의 이동 통로를 선체 내부에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체인 파이프(130)는 앵커(30) 및 앵커 체인(20)이 고정되는 경우 앵커 생크(3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앵커 수용부(140)는 선수 또는 선미의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앵커 수용부(140)는 앵커 빌(34, Anchor Bill)을 그 내부에서 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앵커 생크(32, Anchor Shank)의 적어도 일부를 체인 파이프(130) 내부로 삽입하도록 배치하여, 앵커(3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앵커 수용부(140)는 체인 파이프(130)를 중심으로 선체의 하측면을 함몰시켜 앵커(30)가 수용될 때 앵커(30)를 선체의 하측면과 수평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앵커 수용부(140)는 앵커(30)를 선체의 하측면과 수평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앵커(30) 및 선체 외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앵커 수용부(140)는 앵커(30)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앵커 빌(34)을 그 함몰면을 따라 선수 또는 선미 방향에 있는 일단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앵커(30)의 하부면을 선수 또는 선미의 반대 방향에 있는 다른 일단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앵커 수용부(140)는 앵커(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은 앵커 체인(20)이 올려지거나 내려질때, 앵커 체인(20)이 중앙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홈은 앵커(30) 및 앵커 체인(20)의 승강시에 앵커(3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선체 외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앵커 수용 시스템(100)은 기존의 앵커 포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판 구조의 형태를 가지는 앵커 수용부(140)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앵커 수용 시스템(100)은 앵커 수용부(140)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구조물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구조물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앵커 수용 시스템
110: 리프팅 수단 120: 체인 컴프레서
122: 체인 가이드 부재 124: 고정 부재
130: 체인 파이프 140: 앵커 수용부
10: 데크 20: 앵커 체인
30: 앵커 32: 앵커 생크
34: 앵커 빌

Claims (7)

  1. 데크에 배치되고 앵커 체인을 통해 앵커를 승강시키는 리프팅 수단;
    상기 앵커와 상기 리프팅 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앵커 체인을 안내하고 고정시키는 체인 컴프레서;
    상기 앵커 체인을 관통시키는 체인 파이프; 및
    앵커 빌(Anchor Bill)을 그 내부에서 선수 또는 선미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앵커 생크(Anchor Shank)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체인 파이프 내부로 삽입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앵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앵커 수용부를 포함하는 앵커 수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수용부는
    상기 체인 파이프를 중심으로 선체의 하측면을 함몰시켜 상기 앵커가 수용될 때 상기 앵커와 상기 선체의 하측면을 수평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수용부는
    상기 앵커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앵커 빌을 그 함몰면을 따라 상기 선수 또는 선미 방향에 있는 일단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수용부는
    상기 앵커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앵커의 하부면을 상기 선수 또는 선미의 반대 방향에 있는 다른 일단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컴프레서는
    상기 앵커 체인이 이동할 때 상기 앵커 체인을 안내하는 체인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앵커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앵커 체인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수단은
    윈치 또는 체인 케이블 리프트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체인 컴프레서 내에서 승강하여 상기 앵커 체인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2020140007853U 2014-10-29 2014-10-29 앵커 수용 시스템 KR201600014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53U KR20160001497U (ko) 2014-10-29 2014-10-29 앵커 수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53U KR20160001497U (ko) 2014-10-29 2014-10-29 앵커 수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97U true KR20160001497U (ko) 2016-05-11

Family

ID=5602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53U KR20160001497U (ko) 2014-10-29 2014-10-29 앵커 수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49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94A (ko) 2017-09-22 2019-04-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CN110481708A (zh) * 2019-09-26 2019-11-22 东营鑫奥船舶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船锚支架
CN113619730A (zh) * 2021-10-13 2021-11-09 南通澳洋船务有限公司 一种船用自动化起锚机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94A (ko) 2017-09-22 2019-04-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CN110481708A (zh) * 2019-09-26 2019-11-22 东营鑫奥船舶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船锚支架
CN110481708B (zh) * 2019-09-26 2024-04-02 东营鑫奥船舶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船锚支架
CN113619730A (zh) * 2021-10-13 2021-11-09 南通澳洋船务有限公司 一种船用自动化起锚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8300B2 (ja) 電力供給装置
KR20160001497U (ko) 앵커 수용 시스템
KR20120125719A (ko) 선박용 앵커링시스템의 체인록커에 구비되는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
CN102381440A (zh) 一种导链装置
JP2014534124A (ja) スラスタシステム及びそれを含む船舶
KR101666024B1 (ko) 캐니스터 탑재용 가이드 장치
KR102644260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60000554U (ko) 앵커 수납 장치
US8181589B2 (en) Gravity anchor
KR101194573B1 (ko) 앵커 격납 시스템
CN109591959A (zh) 一种艏锚起抛锚装置
KR20120003161A (ko) 드릴쉽의 스러스터와 캐니스터의 일괄 탑재방법
US3051448A (en) Marine snubber
KR102184639B1 (ko) 예인 시스템이 구비된 수중 이동체
KR20160002998U (ko) 텔레스코픽 벨 마우스 장치
JPS59217819A (ja) 電磁石式係船装置
JP2012051555A (ja) 海洋または潜水機械装置の回収用装置
KR20140002178U (ko) 인양용 선박의 4점 계류장치
KR101735330B1 (ko) 해양 구조물의 페어리드 씨패스트닝 장치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CN210971438U (zh) 海洋船舶舷墙加强筋导缆孔
KR101560281B1 (ko) 부유식 lng 저장 터미널
CN202989896U (zh) 船舶自动过闸动力装置
RU2517387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KR101551795B1 (ko) 선박의 앵커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