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487A - 조광 필름, 조광 부재,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 Google Patents

조광 필름, 조광 부재,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487A
KR20190031487A KR1020197002088A KR20197002088A KR20190031487A KR 20190031487 A KR20190031487 A KR 20190031487A KR 1020197002088 A KR1020197002088 A KR 1020197002088A KR 20197002088 A KR20197002088 A KR 20197002088A KR 20190031487 A KR20190031487 A KR 20190031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substrate
light control
liquid crystal
contro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523B1 (ko
Inventor
마사토 오카베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16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9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optical,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therefor; method of ma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8Cells having two substrat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e.g. different thickness or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42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for homeotropic align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조광 필름을 통해 외광을 관찰하는 경우의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려운 조광 필름, 이것을 구비하는 조광 부재 및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을 제공한다. 차량(130)은, 수직 배향형의 액정층을 갖는 조광 필름(1)이 선루프(132)에 설치되고, 상기 조광 필름(1)은,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 경우에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이, 해당 차량(130)의 후방이 되도록, 해당 차량(130)의 선루프(132)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 내의 탑승자는, 차 내에 있어서 깜박거림을 느끼는 일이 없어, 불쾌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조광 필름, 조광 부재,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본 발명은 조광 필름, 조광 부재,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TV 등에 사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백라이트로서 형광등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인버터에 의한 형광등의 점등 주기와, 액정 구동을 위한 데이터 주사의 주기가 간섭하여 「모와레(간섭 줄무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이 「모와레」를 해소하기 위해서, 인버터에 의한 점등 주기와, 데이터 주사의 주기를 동기시키는 기술이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동일하게 액정을 이용한 것으로서, 차량의 선루프에 부착시켜 외광의 투과를 제어하는 조광 필름이 있다. 조광 필름은, 액정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화시키는 것보다 액정의 배향을 변화시켜, 외광의 투과량을 변화시킨다.
일본 특허 공개 평5-34126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160804호 공보
차량의 선루프 조광 필름에 입사하는 외광이, 형광등의 출사광과 같이 주기적으로 광량이 변화되는 경우, 조광 필름의 투과광에 「깜박거림(플리커)」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조광 필름을 통해 외광을 관찰하는 경우의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려운 조광 필름, 이것을 구비하는 조광 부재 및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것을 제공한다.
(1) 수직 배향형의 액정층을 갖는 조광 필름이 선루프에 설치된 차량이며, 상기 조광 필름은,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 경우에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이, 해당 차량의 후방이 되도록, 해당 차량의 선루프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2) (1)에 있어서, 상기 조광 필름의 급전 위치가, 상기 조광 필름의 테두리부이며 해당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조광 필름의 중앙보다도 후방이다.
(3) (1)에 있어서, 상기 조광 필름은,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 경우에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이, 해당 차량의 경사 후방이 되도록, 해당 차량의 선루프에 설치되어 있다.
(4) (1)에 있어서, 상기 조광 필름은,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 경우에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이, 상기 조광 필름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해당 차량의 진행 방향을 0°로 했을 때의 ±135° 및 그 근방이 되는 방향이다.
(5) (1)에 있어서, 상기 조광 필름의 급전 위치가, 상기 조광 필름의 테두리부이며 해당 차량의 경사 후방이다.
(6) 기재 상에 배치되고, 구동 전원에 접속되는 급전점이 마련된 면 형상의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급전점은, 상기 투명 전극의 외측 테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기 배선은, 상기 급전점으로부터 상기 기재의 상기 외측 테두리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급전점과 다른 위치에 마련된 접속점에서 상기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광 필름.
(7) (6)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제1 기재 및 제2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제1 기재에 배치된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기재에 배치된 제2 투명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는, 사이에 액정을 끼워서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투명 전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2 기재측의 면에는, 상기 제2 기재와 겹치지 않는 제1 노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제1 기재측의 면에는, 상기 제1 기재와 겹치지 않는 제2 노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 배선은 상기 제1 노출면 및 상기 제2 노출면에 배치되어 있다.
(8) (6)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제1 기재 및 제2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제1 기재에 배치된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기재에 배치된 제2 투명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는, 사이에 액정을 끼워서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투명 전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는, 서로 겹치는 적층 영역과, 서로 겹치지 않는 노출면이 발생하도록 하여 적층되고, 상기 적층 영역에는, 액정 및 상기 액정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시일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시일재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는, 상기 제1 투명 전극을 포함하지 않는 제1 노출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시일재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는, 상기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하지 않는 제2 노출 영역이 존재한다.
(9) (8)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전극은, 일부분이 다른 부분과 절연되고, 상기 일부분은,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6)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배선은, 구리박의 두께가 9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11) (10)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구리박이 절연층을 통해 2층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6)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배선은, 상기 급전점을 기점으로 하여,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2변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투명 부재와, 상기 투명 부재에 배치되는 (6)에 기재된 조광 필름을 구비하는 조광 부재.
(14) 외광이 입사하는 부위에 배치되는 (6)에 기재된 조광 필름을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15) 구동 전원에 접속되는 급전점이 마련된 면 형상의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배선을 구비하는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이며, 상기 투명 전극의 외측 테두리부에 마련된, 상기 급전점과, 상기 급전점과 다른 위치에 마련된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투명 전극에 급전하는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조광 필름을 통해 외광을 관찰하는 경우의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려운 조광 필름, 이것을 구비하는 조광 부재 및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에 사용되는 조광 필름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조광 필름에 있어서의, 구동 전압과 투과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형광등의 출사광에 의한 외광 광량의 계측 결과이다.
도 5는 외광 주파수 100Hz의 외광을, 투과율 주파수 43Hz의 조광 필름을 투과시켰을 때의, 투과광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와 동일한 조명 하에서, 동일한 조광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시야각 방향을 바꾸어 측정한 도 5와 동일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싱글 도메인 방식에 있어서의 방위각 등의 정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조광 필름에 가하는 전압을 변화시키고, 조광 필름을 다른 각도로부터 관찰했을 때의 인가 전압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선루프에 배치되어 있는 조광 필름의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과, 차 내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조광 필름에 가하는 전압의 극성이 반전될 때의 전압의 변화의 모습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조광 필름에 대하여, 1군데로부터 급전한 직후의, 조광 필름 내부의 위치와 전압의 관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멀티 도메인 방식에 있어서의 방위각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서로 90°의 방향으로 액정 분자가 쓰러져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을 다른 각도로부터 관찰했을 때의 인가 전압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루프에 배치되어 있는 조광 필름의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과, 차 내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멀티 도메인 방식(2 도메인)이며, 각 도메인의 액정 분자가 서로 180°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쓰러지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의 경우에 있어서, 조광 필름을 다른 각도로부터 관찰했을 때의 인가 전압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조광 필름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과, 관찰자가 조광 필름을 관찰하는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비교 형태에 있어서 주파수 60Hz의 10V의 구동 전압을 부여한 경우의 투명 전극의 전위 분포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며, (a)는 하측 투명 전극의 전위 분포, (b)는 상측 투명 전극의 전위 분포를 나타낸다.
도 19는 비교 형태이며, 도 18을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와 투명 전극의 전위의 관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비교 형태이며, 도 18과 동일한 조건에서의 상측 투명 전극과 하측 투명 전극 사이의 전계를 나타낸다.
도 21은 비교 형태이며, 도 20을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와 전계 강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FPC의 구리박의 두께가 35㎛, 구동 전압의 주파수가 240Hz인 경우에 있어서의, 양쪽 투명 전극간의 전압을 나타내고, (a)는 하측 적층체의 전극 전위, (b)는 상측 적층체의 전극 전위를 나타낸다.
도 25는 FPC의 구리박의 두께가 35㎛이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구형파의 구동 전압의 주파수가 240Hz인 경우에 있어서, 상측 적층체와 하측 적층체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FPC의 구리박의 두께가 35㎛이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구형파의 구동 전압의 주파수가 상이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측 투명 전극과 하측 투명 전극 사이의 전위차와, 급전점으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7은 제3 실시 형태 및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급전점으로부터의 거리와 전위차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FPC의 구리박의 두께가 9㎛이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의 주파수가 상이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측 투명 전극과 하측 투명 전극 사이의 전위차와, 급전점으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6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의 평면도이며, (a)는 상측 투명 전극의 패터닝 형상, (b)는 하측 투명 전극의 패터닝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의 (a)의 일점 쇄선으로 둘러싼 영역 S의 확대도이다.
도 31은 조광 필름(1B)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제6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의 평면도이며, (a)는 상측 투명 전극의 패터닝 형상, (b)는 하측 투명 전극의 패터닝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의 일점 쇄선으로 둘러싼 영역 S의 확대도이며, 상하 투명 전극의 패터닝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33의 A-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5는 변형 형태 2의 조광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36은 제7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37은 접속점 P1에 있어서의 상하 투명 전극의 패터닝 형상 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차량]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광 필름(1)이 설치된 선루프(132)를 구비하는 차량(1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130)에는, 탑승자의 머리 위를 덮도록 선루프(132)가 설치되는 개구(1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개구(131)에, 조광 필름(1)의 적층체가 배치되어 선루프(132)가 형성되어 있다. 단, 조광 필름(1)의 설치 방법은, 선루프에 설치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쇼윈도우, 차량에 있어서의 외광이 입사하는 부위인 그 밖의 창(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 사이드 윈도우, 리어 윈도우, 루프 윈도우, 선바이저 등), 건물의 창 유리, 쇼케이스, 옥 내의 투명 파티션 등의 조광을 도모하는 부위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차량(130)은, 운전석이 차량(130)의 우측 전방부에 배치되고, 선루프(132)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등의 전방부 좌석으로부터, 뒷좌석까지를 덮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광 필름(1)은, 선루프(132)를 형성하는 투명 부재에, 점착제, 접착제 등에 의해 적층한 적층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광 필름(1)은 접합 유리(투명 부재)에 끼움 지지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투명 부재는 유리나, 투명 수지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광 필름의 기본 구성]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에 사용되는 조광 필름(1)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조광 필름(1)은, 액정을 이용하여 투과광을 제어하는 필름 형상의 부재이며, 직선 편광판(2, 3)에 의해 조광 필름용 액정셀(4)을 끼움 지지하여 구성된다.
[직선 편광판]
직선 편광판(2, 3)은, 폴리비닐알코올(PVA)에 요오드 등을 함침시킨 후, 연신시켜 직선 편광판으로서의 광학적 기능을 행하는 광학 기능층이 형성되고,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투명 필름재에 의한 기재에 의해 광학 기능층을 끼움 지지하여 제작된다. 직선 편광판(2, 3)은, 크로스니콜 배치에 의해, 아크릴계 투명 점착 수지 등의 접착제층에 의해 액정셀(4)에 배치된다. 또한, 직선 편광판(2, 3)에는, 각각 액정셀(4)측에 광학 보상을 위한 위상차 필름(2A, 3A)이 마련되지만, 위상차 필름(2A, 3A)은 필요에 따라서 생략해도 된다.
[액정셀]
액정셀(4)은 필름 형상의 하측 적층체(5D) 및 상측 적층체(5U)에 의해 액정층(8)을 끼움 지지하여 구성된다.
[하측 적층체, 상측 적층체]
하측 적층체(5D)는, 투명 필름재에 의한 기재(하부 기재)(6)에, 투명 전극(하측 투명 전극, 제2 투명 전극)(11), 스페이서(12) 및 배향층(하측 배향층)(13)을 제작하여 형성된다. 상측 적층체(5U)는, 투명 필름재에 의한 기재(상부 기재)(15)에, 투명 전극(상측 투명 전극, 제1 투명 전극)(16) 및 배향층(상측 배향층)(17)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기재]
기재(6, 15)는 각종 투명 필름재를 적용할 수 있지만, 광학 이방성이 작은 필름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재(6, 15)는, 두께 1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이 적용되지만, 각종 두께의 필름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COP(시클로올레핀 중합체) 필름 등을 적용해도 된다.
[투명 전극]
투명 전극(11, 16)은 면 형상이며, 이러한 종류의 필름재에 적용되는 각종 전극 재료를 적용할 수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ITO(Indium Tin Oxide)에 의한 투명 전극재에 의해 형성된다.
[스페이서]
스페이서(12)는 액정층(8)의 두께를 규정하기 위해 마련되고, 각종 수지 재료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제작되고, 투명 전극(11)을 제작하여 이루어지는 기재(6)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공하여 노광, 현상함으로써 제작되는 포토스페이서이다. 스페이서(12)는 상측 적층체(5U)에 마련할 수도 있고, 상측 적층체(5U) 및 하측 적층체(5D)의 양쪽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페이서(12)는 배향층(13) 상에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페이서는, 소위 비즈 스페이서를 적용해도 된다.
[배향층]
배향층(13, 17)은 광배향층에 의해 형성된다. 이 광배향층에 적용 가능한 광배향 재료는, 광배향의 방법을 적용 가능한 각종 재료를 널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광이량화형 재료를 사용한다. 이 광이량화형 재료에 대해서는, 「M. Schadt, K. Schmitt, V. Kozinkov and V. Chigrinov: Jpn. J. Appl. Phys., 31, 2155(1992)」, 「M. Schadt, H. Seiberle and A. Schuster: Nature, 381, 212(1996)」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광배향층 대신에 러빙 처리에 의해 배향층을 제작해도 되고, 미세한 라인상 요철 형상을 부형 처리하여 배향층을 제작해도 된다.
[액정층]
액정층(8)은 이러한 종류의 조광 필름(1)에 적용 가능한 각종 액정층 재료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정층(8)으로서, 예를 들어 머크사제 MLC2166 등의 액정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셀(4)은 액정층(8)을 둘러싸도록, 시일재(19)가 배치되고, 이 시일재(19)에 의해 상측 적층체(5U), 하측 적층체(5D)가 일체로 유지되며, 액정 재료의 누출이 방지된다. 여기서 시일재(19)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구동 전원]
구동 전원 S1은, 조광 필름(1)의 투명 전극(11, 16) 사이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극성이 전환되는 구형파의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상측 적층체(5U) 및 하측 적층체(5D)에 마련된 투명 전극(11, 16)에 구동 전압이 가해지면, 액정층(8)에 전계가 발생한다. 액정층(8)에 발생한 전계에 의해, 액정층(8)에 마련된 액정층 재료의 배향이 제어된다. 이에 의해, 조광 필름(1)의 투과광이 제어 가능하게 되어, 조광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에 있어서의 액정층(8)의 배향 제어에는, VA 방식(Vertical Alignment, 수직 배향형)이 적용된다. VA 방식에서는, 구동 전원 S1의 진폭이 0V의 경우(구동 전압이 0V인 경우)인 무전계 시, 액정층(8)의 액정 분자는 수직 배향하고, 이에 의해 조광 필름(1)은, 입사광을 차광하여 차광 상태가 된다. 또한, 이 구동 전원 S1의 진폭을 증대시켜 구동 전압을 구동하면, 액정층(8)의 액정층은 수평 배향하고, 조광 필름(1)은 입사광을 투과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액정셀(4)은 소위 싱글 도메인에 의해 구동한다.
[투과율의 변동]
도 3은 조광 필름(1)에 있어서의, 구동 전압과 투과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조광 필름(1)의 투명 전극(11, 16) 사이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극성이 전환되는 구형파형의 구동 전압이 구동 전원 S1로부터 인가된다.
구동 전압의 극성이 반전될 때, 투명 전극(11 및 16) 사이의 액정층의 정전 용량으로의 충방전이 실행된다. 충방전에 소요되는 시간은 조광 필름(1)의 정전 용량과 투명 전극(11, 16)의 저항값, 전원으로부터의 접속 방법에 따라서 다르지만, 도 2의 예에서는 약 1밀리초 정도의 시상수에서, 충방전한다. 조광 필름(1)의 면적이 클수록, 정전 용량이 커지고, 전극의 저항값도 소정의 값보다 작게 하는 것은 어려우며, 시상수를 극단적으로 짧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액정층(8)에 가해지고 있는 전압이 일시적으로 저하되고, 그 결과, 액정 분자에 작용하는 전계가 순간적으로 저하된다. 이에 의해 액정층의 액정층 분자는, 이 전계의 저하에 연동하여, 일시적으로 방향이 변화된 후,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조광 필름(1)의 투과율이 일시적으로 저하된다. 즉, 조광 필름(1)의 투과율은 일정하지 않고, 그 구동 전압 변화의 주파수와 동일한 제1 주파수(이하, 투과율 주파수라고 함)에서 변동된다.
[외광과 투과율 변동의 관계에 의한 깜박거림]
이와 같이, 투과율이 소정의 투과율 주파수에서 변동되는 조광 필름(1)을, 제2 주파수(이하, 외광 주파수라고 함)에서 광량이 변동되는 외광이 투과하는 경우, 투과율 주파수와 외광 주파수의 관계에 의해, 조광 필름(1)을 투과한 광에, 「깜박거림(플리커)」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깜박거림은, 광의 명암에 의해 지각됨으로써, 투과 광량에 있어서 광량의 변화가 작으면 인식되기 어렵다. 또한, 깜박거림은 일반적으로 30Hz 이상의 주파수라면 인식되기 어렵다.
[외광 주파수]
도 4는 형광등의 출사광에 의한 외광 광량의 계측 결과이다. 형광등은, 주파수 50Hz에 의한 상용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 이 상용 전원의 반주기마다 관 내 방전한다. 그리고, 이 관 내 방전에 의해 형광체가 발광하여 출사광을 출사함으로써, 주파수 100Hz에 의해 거의 정현파 형상으로 광량이 변화되어 이루어지는 출사광을 출사한다. 이에 의해 주파수 100Hz에 의해 형광등에 의한 외광은 광량이 변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30Hz 이상의 주파수임으로써, 이 경우에는 깜박거림으로서는 인식되지 않는다.
또한, 근년 조명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LED 조명 기구 등은, 펄스폭 변조로 밝기가 컨트롤되고 있다. 펄스폭 변조는, 광량의 변화가 크고, 이에 의해 깜박거림으로서 인식되기 쉽다. LED 조명 기구 등에서는, 30Hz보다 높은 주파수인 주파수 100Hz 이상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이러한 구동에 의해 변화되는 조명 기구로부터의 외광의 주파수를 외광 주파수라고 칭한다.
[투과율 주파수]
한편, 조광 필름(1)의 구동 전압의 주파수(투과율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가 높으면, 극성의 전환마다, 투과율이 떨어지므로, 평균 투과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구동 전압의 주파수(투과율 주파수)는 외광 주파수만큼 높지 않고, 또한 30Hz 이상이 바람직하다. 도 4에 있어서 투과율 주파수는 43Hz이다. 이렇게 투과율 주파수를 30Hz 이상으로 하면, 조광 필름 자체의 투과율의 변화에 의한 투과광의 깜박거림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외광 주파수 100Hz의 외광을, 투과율 주파수 43Hz의 조광 필름(1)을 투과시켰을 때의, 투과광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광은, 미시적으로 보면, 외광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에 의해 광량이 변화되기는 하지만, 이 외광 주파수에 의한 각 피크는 투과율 주파수에 의해 맥동함으로써, 그 결과, 파장 0.075초(13Hz)라는 제3 주파수(이하, 간섭광 주파수라고 함)의 간섭파가 발생하고 있다. 이 간섭광 주파수의 13Hz는,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려워지는 한계 주파수 30Hz보다 낮은 주파수이므로, 깜박거림으로서 인식되어버린다.
한편, 도 6은 도 5와 동일한 조명 하에서, 동일한 조광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시야각 방향을 바꾸어 측정한 도 5와 동일한 그래프이다. 이 경우에, 간섭에 의한 투과율의 변조도가 낮아, 「깜박거림」으로서 인식되지 않는다. 즉, 시야각을 바꾸면, 「깜박거림」의 보이는 방식에 차가 발생한다.
이어서, 조광 필름(1)을 관찰하는 각도에 의한, 「깜박거림」의 보이는 방식의 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싱글 도메인 방식에 있어서의 방위각 등의 정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조광 필름(1)의 개략 단면도이다. 상태 A는, 상술한 투명 전극(11, 16) 사이에 전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액정 분자(4a)의 상태를 나타내고, 이 때, 액정 분자(4a)는 그 장축 방향이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인 수직 배향의 상태이다. 상태 B는, 전계가 발생하여 액정 분자(4a)가 경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이 때, 전극에 의한 전계에 의해 액정 분자(4a)의 장축 방향이 면 내 방향으로 되도록, 액정 분자(4a)는 수평 배향을 향해 회전을 개시하고 있다.
도 7의 (b)는, 이 조광 필름을 관찰하는 각도인 극각 α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극각은, 도시한 바와 같이, 조광 필름(1)을 하측으로부터 우러러 보며 관찰하는 경우에, 조광 필름(1)의 법선 방향(두께 방향)에 대하여 관찰자 E가 조광 필름(1)을 관찰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관찰 각도)이며, 도 7의 (b) 중에 있어서 부호 α로 나타내는 각도이다. 따라서, 관찰자 E가 바로 위를 우러러 보는 경우, 즉, 조광 필름(1)을 그 필름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관찰하는 경우, 극각 α=0°이다.
도 7의 (c)는 액정 분자의 방위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계가 발생한 경우에,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을 방위각 0°로 하고, 시계 방향의 방향에 의해 정의하였다.
여기서,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과 관찰자 E가 조광 필름(1)을 관찰하는 방향의 관계에 대하여 재차 설명한다.
도 17은,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과, 관찰자 E가 조광 필름(1)을 관찰하는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전계가 발생하여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을, 방위각 0°로 한다. 이 때, 예를 들어 관찰자 E가 조광 필름(1)을 방위각 0°로 관찰한다고 할 때,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관찰자 E가 조광 필름(1)(액정 분자(4a))을 관찰하는 방향 K1은, 방위각 0°의 방향이 된다. 즉, 관찰자 E가 보는 방향(관찰하는 방향)과, 방위각 0°가 이루는 각도는 0°이다.
또한, 예를 들어 조광 필름(1)을 방위각 30°로 관찰하고, 180°로 관찰한다고 할 때, 각각 도 17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관찰자 E가 조광 필름(1)(액정 분자(4a))을 관찰하는 방향 K2, K3은, 각각 방위각 30°, 180°의 방향이 된다. 즉, 관찰자 E가 보는 방향(관찰하는 방향)과 방위각 0°가 이루는 각도는, 각각 30°, 180°이다.
도 8은 조광 필름(1)에 가하는 전압을 변화시키고, 조광 필름(1)을 다른 각도로부터 관찰했을 때의 인가 전압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조광 필름(1)의 관찰은, 조광 필름(1)이 선루프(132)에 설치된 상태와 동일하게, 차 내에 있어서 아래로부터 위를 본 상태에서 행한다.
도 8 중에 나타내는 「α=0°」란, 조광 필름(1)을 정면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상당하고, 관찰자가 바로 위(머리 위)에 위치하는 조광 필름(1)을 바로 아래로부터 우러러 보는 상태, 즉, 극각 α=0°로 조광 필름(1)을 관찰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기타의 각도 0°, 30°, 45°, 60°, 75°, 90°, 120°, 135°, 150°, 180°는, 조광 필름(1)을 관찰하는 각도를 나타내는 방위각이며, 조광 필름(1)을 극각 30°로 아래로부터 우러러 본 상태이며, 또한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각 방위각에서 관찰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8 중의 「30°」는, 극각 α=30°로 조광 필름을 우러러 본 상태이며, 방위각 30°(방위각 0°에 대하여 30°를 이루는 방향)로 조광 필름(1)을 관찰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 및 후술하는 도 13, 도 16은 아래로부터 위를 보는 전제로 투과율이 계산되어 있다. 이 투과율의 계산은, 신테크 가부시키가이샤제의 LCD 마스터에 의해 행하였다. 또한, 전압의 인가에 의한 액정 분자(4a)의 쓰러지는 방법은, 액정 분자(4a)의 하단을 고정시키고, 상부를 쓰러뜨리는 이미지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위각 180°로 조광 필름(1)을 관찰한 경우, 즉,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액정 분자(4a)가 앞 방향으로 쓰러지는 경우, 비교적 낮은 전압으로부터 투과율이 변화되기 시작하여, 포화 투과율에 도달한 후에는 전압을 올려도 투과율은 그것만큼 변화되지 않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점 쇄선 b로 둘러싼 방위각 120° 내지 180° 정도로 조광 필름(1)을 관찰한 경우에는, 점선 a로 둘러싼 방위각 0° 내지 45° 정도로 조광 필름(1)을 관찰한 경우와 비교하면, 예를 들어 4 내지 7V 정도의 범위에 있어서, 전압 변화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이 작다. 이 때, 액정 분자의 회전이 멈추어 있는 것이 아니라, 0° 내지 45°의 투과율이 변동되고 있는 점에서, 액정 분자는 회전을 계속하고 있지만, 관찰자로부터 보는 각도에 따라서 투과율의 변화를 인식할 수 없게 되어 있는 상태이다.
깜박거림의 원인인 투과율의 변동은, 액정 분자에 걸리는 전압의 극성의 전환에 의해, 액정 분자가 수평 배향 상태로부터 수직 배향의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기 때문이지만, 완전히 수직 배향 상태까지 복귀되는 것이 아니라, 조금 복귀되는 정도이므로, 이 정도의 움직임에 대하여 투과율의 변동이 작으면,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렵다. 따라서,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전압 변동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이 작은 방향에서, 조광 필름(1)이 관찰되게 하면 된다.
차량(130)의 선루프(132)에 조광 필름(1)을 설치하는 경우, 탑승자로부터 조광 필름(1)을 관찰하는 방향에는 치우침이 있다. 즉, 뒷좌석의 탑승자가 선루프(132)를 볼 가능성이 가장 높고, 운전 중에 운전자가 선루프를 볼 가능성은 적다. 그리고, 탑승자 및 운전자는, 양자 모두, 선루프의 전방측을 볼 가능성(빈도)이 높고, 뒤돌아보며 선루프의 후방측을 볼 가능성은 낮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장 관찰될 가능성이 높은, 탑승자(특히 뒷좌석의 탑승자)가 선루프(132)의 전방을 보는 경우에,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려워지도록,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방위각 0°의 방향)을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의하면, 일점 쇄선 b로 둘러싼 방위각 120° 내지 180°로 조광 필름(1)을 관찰한 경우에는, 전압의 변화에 대한 조광 필름(1)의 투과율의 변동이 작다. 그리고, 투과율의 변동이 작은 쪽이,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렵다. 따라서, 뒷좌석의 탑승자가 선루프(132)를 관찰하는 방향이, 방위각 120° 내지 180° 근방이 되게 조광 필름(1)을 선루프(132)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선루프(132)에 배치되어 있는 조광 필름(1)의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과, 차 내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30)의 뒷좌석의 탑승자가 선루프(132)를 관찰하는 방향이, 방위각 120° 내지 180° 근방이 되게 조광 필름(1)을 선루프(132)에 배치하는 것이, 깜박거림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이, 차량(130)의 후방(경사 후방을 포함함)이 되게 조광 필름(1)을 차량(13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분자(4a)가 좌측 경사 후방으로 쓰러지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운전석이 좌측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액정 분자(4a)는 경사 우측 후방으로 쓰러지도록 한다.
또한, 액정 분자(4a)가 경사지게 쓰러지도록 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조광 필름(1)은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 형상에 의해 제작되고, 직선 편광판(2, 3)의 지상축 방향이 이 직사각형 형상의 1변과 평행한 방향이 되게 설정된다. 직선 편광판(2, 3)을 직사각형으로 제조하는 경우,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취득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지상축 방향이 가로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되도록 제조된다. 그리고, 조광 필름(1)의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은, 지상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이다. 따라서, 조광 필름(1)의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은 차량(13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된다. 이러한 형태로 한 경우에도, 실용상 충분히 깜박거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단, 취득수의 감소를 충분히 허용할 수 있을 경우, 나아가 직선 편광판(2, 3)의 지상축 방향을 경사 방향으로 설정하여 충분히 직선 편광판의 취득수를 확보할 수 있을 경우, 액정 분자(4a)가, 차량(13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 후방이 아니라, 진행 방향의 역방향이 되는 후방(진행 방향에 대하여 180°를 이루는 후방)으로 쓰러지도록, 조광 필름(1)을 선루프(132)에 설치해도 된다. 이 때, 차량(130)의 뒷좌석의 탑승자는, 선루프(132) 및 조광 필름(1)을 방위각 180°로 관찰하게 되고, 액정 분자(4a)가 경사 후방으로 쓰러지게 배치된 경우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깜박거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액정 분자(4a)가 좌측 경사 후방으로 쓰러지도록 하는 것은, 우측 전방부에 위치하는 운전자가 뒤돌아봐서 선루프를 볼 가능성이 낮으므로, 운전자가 뒤돌아보는 방향, 즉, 좌측 경사 후방이 되는 방향을 방위각 0°로 하였기 때문이다.
이 때,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방위각 0° 방향)은, 운전석이 차량(130)의 우측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차량(13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35°가 되는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전석이 차량(130)의 좌측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은, 차량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135°가 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은, 대칭성을 고려하면, 차량(13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180°가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판의 이용 효율이 낮아져 비용 상승이 된다. 이 때문에,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방위각 0° 방향)은, 차량(13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135°가 되는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탑승자가, 자기가 착좌하고 있는 개소의 바로 위보다도 전방의 선루프(132)를 관찰했을 때, 선루프(132)의 조광 필름(1)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변동이,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보다도 작게 인식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선루프(132)를 통하여 외광을 보았을 때에 깜박거림이 관찰되기 어렵다.
(급전 위치의 관계)
도 10은, 조광 필름(1)에 가하는 전압의 극성이 반전될 때의 전압의 변화의 모습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시상수가 10μsec, 0.1msec, 1msec인 경우에 있어서, 투명 전극(11)에 10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소정 개소에서의 경과 시간과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시상수가 길어지면, 투명 전극(11)에 있어서의 전압이 10V보다도 낮은 시간이 길고, 즉, 전압의 상승이 완만해진다.
전압의 상승이 완만해지면, 액정 분자는 전압의 영향으로 회전해버린다. 그렇게 하면, 조광 필름(1)의 투과율이 변동된다. 도 10 중의 투과율의 그래프는, 시상수가 1msec일 때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변동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급전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면, 시상수는 길어진다. 따라서, 조광 필름(1)에 있어서 급전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면, 전압의 상승이 완만해져서 액정이 회전하고, 투과율이 변동되므로, 깜박거림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또한, 급전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면, 시상수 이내에 전압이 끝까지 상승하지 않아, 실효 전압이 낮아진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의 투명 전극(11)의 급전 위치 P0으로부터 급전한 직후의, 조광 필름(1) 내부의 위치와 전압의 관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조광 필름(1)의 좌측 경사 후방 위치가 급전 위치 P0이다. 좌측 경사 후방이란, 조광 필름(1)의 테두리부에 있어서의, 조광 필름(1)의 중심으로부터 차량(130)의 진행 방향 전방측을 향하는 직선 L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기울어진 직선 L1 상의 위치이다. 이 각도 θ는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 위치 P0에 가까운 좌측 경사 후방의 실효 전압이 높고, 급전 위치 P0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면, 실효 전압이 낮아진다. 그리고, 급전 위치 P0에 가까운 좌측 경사 후방의 시상수가 짧고, 급전 위치 P0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면, 시상수가 길어진다. 따라서, 급전 위치 P0에 가까운 좌측 경사 후방은 투과율의 변동이 작고, 깜박거림의 시인의 가능성은 낮으며, 급전 위치 P0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면, 투과율의 변동이 크고, 깜박거림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먼저, 조광 필름(1)에 대한 급전 위치가 차량(130)의 우측 경사 전방에 마련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형태에서는, 급전 위치 주변의 우측 경사 전방에서는 극성 전환에 의한 액정 분자의 변동은 작아진다. 그러나, 급전 위치로부터 먼 좌측 경사 후방 부근에서는 액정 분자의 변동이 커진다.
이 때, 차량(130)의 전방으로부터 차 내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조광 필름(1)을 통과하는 광은, 액정 분자의 변동에 대하여, 투과율의 변동이 작은 방향(방위각 120° 내지 180°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이 되고, 전압의 극성 전환에 의한 액정 분자의 변동에 의한 깜박거림을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차량 후방의 급전 위치로부터 먼 영역을 통과한 광이라도 깜박거림을 인식하기 어렵다.
그러나, 조광 필름(1)의 후방 영역을, 차량(130)의 후방으로부터 차 내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통과하는 광은, 차 내의 탑승자가 차량 후방을 우러러 보는 것과 동일하게, 투과율의 변동이 큰 방향(방위각 0° 내지 45° 방향)이 되므로, 전압의 극성 전환에 의한 액정 분자의 변동이 깜박거림으로서 인식되기 쉽다.
또한, 조광 필름(1)의 전방 영역을, 차량(130)의 후방측으로부터 차 내의 전방 영역을 향해 경사지게 통과하는 광의 대부분은, 차량(130)의 앞유리를 통과하여 차 밖으로 나간다. 따라서, 급전 위치를 차량 전방에 배치하여, 조광 필름(1)의 전방 영역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의 변동을 작게 해도, 그 효과를 향수할 수 없다.
이에 비해, 급전 위치를 차량(130)의 후방에 배치한 경우에는, 차량(130)의 경사 후방으로부터 차 내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조광 필름(1)을 광이 투과하는 경우, 급전 위치에 가까운 차량(130) 후방의 영역에서는, 액정 분자의 변동이 작아지므로, 깜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급전 위치가 차량(130)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조광 필름(1)의 전방 영역을 차 내 전방으로 경사지게 통과한 광의 대부분은, 앞유리를 통과하여 차 밖으로 나가므로, 깜박거림이 시인되기 어렵다.
또한, 차량(130)의 차체의 바로 위 방향으로부터 조광 필름(1)을 투과하는 광(조광 필름(1)의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조광 필름(1)을 투과하는 광)에 대해서는, 어느 방향으로 보든지 깜박거림은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차량 후방으로부터 경사지게 광이 조광 필름(1)에 입사하는 경우의 깜박거림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조광 필름(1)의 급전 위치 P0은, 차량(130)의 후방, 즉, 차량(13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조광 필름(1)의 중앙이 되는 점보다도 후방이며, 조광 필름(1)의 테두리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조광 필름(1)의 급전 위치 P0은, 도 9에 나타내는 차량(130) 후방이 되는 변(1a)의 어딘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급전 위치 P0을 차량(130)의 좌측 경사 후방으로 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광 필름(1)의 액정 분자(4a)는,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차량(130)의 좌측 경사 후방으로 쓰러지므로, 차 내의 탑승자가 선루프를 관찰한 경우, 차량(130)의 전방은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렵지만, 후방은 전방에 비해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쉽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전 위치 P0을 차량(130)의 좌측 경사 후방으로 함으로써, 좌측 경사 후방에서의 깜박거림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급전 위치 P0을 좌측 경사 후방으로 하면, 급전 위치 P0으로부터 먼 우측 경사 전방에서의 깜박거림이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이 차량(130)의 좌측 경사 후방이기 때문에, 전방에서의 깜박거림은 인식되기 어렵다. 따라서, 좌측 경사 후방이 급전 위치 P0이어도, 전방에서의 깜박거림이 인식될 가능성은 낮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광 필름(1)의 전방으로부터 입사하는 광도, 후방으로부터 입사하는 광도, 깜박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차 내의 탑승자는, 차 내에 있어서 깜박거림을 느끼는 일이 없어, 불쾌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광 필름(1)의 급전 위치 P0은, 차량(130)의 후방이 바람직하고, 일례로서, 차량(130)의 좌측 경사 후방에 마련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선루프(132)의 차량(130) 전방측에 있어서의 깜박거림 저감 효과를 중시하는 경우나, 선루프(132)(조광 필름(1))의 차량 후방측의 영역으로부터 차 내 전방으로 경사지게 입사하는 광의 깜박거림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급전 위치 P0을 차량(130)의 전방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급전 위치 P0은,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변(1b)의 어딘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조광 필름(1)의 액정 분자(4a)가 멀티 도메인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점이다. 기타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2 도메인에 의한 멀티 도메인 방식에 있어서의 방위각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각 도메인의 액정 분자(4a-1, 4a-2)가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어 쓰러지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압의 인가에 의해,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액정 분자(4a-1, 4a-2)는, 서로 90°를 이루는 방향으로 쓰러진다. 이 경우, 이 2개의 액정 분자(4a-1, 4a-2)가 쓰러지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의 1/2가 되는 화살표 C 방향을, 방위각 0°로 한다.
도 13은 도 12의 경우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도 8과 동일한 그래프로, 조광 필름(1)에 가하는 전압을 변화시키고, 조광 필름(1)을 다른 각도로부터 관찰했을 때의 인가 전압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 중에 나타내는 「α=0°」란, 전술한 도 8과 동일하게, 바로 위의 조광 필름을 바로 아래로부터 우러러 보는 상태, 즉, 극각 α=0°로 조광 필름(1)을 관찰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기타의 각도 0°, 30°, 45°, 60°, 75°, 90°, 120°, 135°, 150°, 180°는, 전술한 도 8과 동일하게, 조광 필름(1)을 관찰하는 각도를 나타내는 방위각이며, 조광 필름(1)을 극각 30°로 아래로부터 우러러 본 상태이며, 또한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각 방위각에서 관찰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방위각은, 전술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살표 C 방향을 방위각 0°로 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방위각 120° 내지 180° 정도로 조광 필름(1)을 관찰한 경우에는, 방위각 0° 내지 60° 정도로 조광 필름(1)을 관찰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예를 들어 4 내지 7V 정도의 범위에 있어서, 전압 변화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이 작다. 단,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멀티 도메인에서 2 방향으로 액정 분자가 쓰러지므로 평균화되어, 전압 변화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은 완만하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투과율의 변동이 작으면,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려우므로,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전압 변동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이 작은 방향에서, 조광 필름(1)이 관찰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가장 관찰될 가능성이 높은, 탑승자(특히 뒷좌석의 탑승자)가 전방을 보는 경우에,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려워지도록,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을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3에 의하면, 전압이 4 내지 7V 정도의 범위에 있어서, 방위각 120° 내지 180°로 조광 필름(1)을 관찰하는 쪽이, 전압의 변화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이 작다. 그리고, 투과율의 변동이 작은 쪽이,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렵다.
따라서, 뒷좌석의 탑승자가 선루프(132)를 관찰하는 방향이, 방위각 120° 내지 180° 근방이 되게 조광 필름(1)을 선루프(132)에 배치한다.
도 14는, 선루프(132)에 배치되어 있는 조광 필름(1)의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과, 차 내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도메인의 액정 분자(4a)가 경사 후방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쓰러지도록 한다.
여기서, 경사 후방의 좌우로 쓰러진다는 것은, 차량(130)의 진행 방향을 0°로 했을 때, 액정 분자(4a)의 상단이, 경사 후방, 예를 들어 진행 방향에 대하여 ±135°의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말한다. 이 때, 방위각 0°는, 차량(130)의 진행 방향을 0°로 했을 때, 180°의 방향이 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이와 같이, 차량의 선루프(132)에 대하여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이 경사 후방의 좌우가 되게 조광 필름(1)을 배치하였다. 따라서, 탑승자가, 자기가 착좌하고 있는 개소의 바로 위 및 그것보다도 전방의 선루프(132)를 관찰했을 때, 선루프(132)의 조광 필름(1)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변동이,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보다도 작게 인식된다. 따라서, 선루프(132)를 통하여 외광을 보았을 때에 깜박거림이 관찰되기 어렵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급전 위치 P0을 차량(130)의 후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급전 위치 P0을 차량(130)의 좌측 경사 후방으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좌측 경사 후방에서의 깜박거림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급전 위치 P0을 좌측 경사 후방으로 하면, 급전 위치 P0으로부터 먼 우측 경사 전방에서의 깜박거림이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액정 분자(4a)가 쓰러지는 방향이 경사 후방이기 때문에, 전방에서의 깜박거림은 인식되기 어렵다. 따라서, 좌측 경사 후방이 급전 위치 P0이어도, 전방에서의 깜박거림이 인식될 가능성은 낮다.
이상,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조광 필름(1)의 전방으로부터 입사하는 광도, 후방으로부터 입사하는 광도, 깜박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차 내의 탑승자는, 차 내에 있어서 깜박거림을 느끼는 경우가 없어, 불쾌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15도 멀티 도메인 방식(2 도메인)이며, 각 도메인의 액정 분자가 서로 180°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쓰러지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한쪽의 액정 분자(예를 들어, 도 15에서는, 액정 분자(4a-1))를 기준으로 하여, 그 쓰러지는 방향(도 15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D 방향)을 방위각 0°로 한다.
도 16은, 도 15의 경우에 있어서, 조광 필름(1)에 가하는 전압을 변화시키고, 조광 필름을 다른 각도로부터 관찰했을 때의 인가 전압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 중에 나타내는 각도 0°, 30°, 45°, 60°, 90°는, 전술한 도 8 등과 동일하게, 조광 필름(1)을 관찰하는 각도를 나타내는 방위각이며, 조광 필름(1)을 극각 30°로 아래로부터 우러러 본 상태이며, 또한 조광 필름(1)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각 방위각에서 관찰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방위각은, 전술한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살표 D 방향을 방위각 0°로 하고 있다.
또한, 이 형태에서는, 액정 분자(4a-1, 4a-2)가 쓰러지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180°이기 때문에, 도 16에서는 방위각 0 내지 90°에서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액정 분자(4a-1, 4a-2)가 쓰러지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180°이므로, 예를 들어 방위각 10°, 190°에서의 투과율과, 방위각 350°, 170°에서의 투과율이 동등해지고, 방위각 90° 내지 180°에서의 투과율은, 실질적으로 방위각 90° 내지 0°에서의 투과율과 동등해지기 때문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우, 인가 전압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은, 조광 필름(1)을 관찰하는 방위각에 따라서 그다지 변동이 없다. 따라서,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은, 차량(13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이 경우에도 조광 필름(1)에 대한 급전 위치 P0을, 차량(130)의 후방으로 함으로써, 배후로부터의 광에 깜박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조광 필름(1)에 대한 급전 위치 P0을 차량 전방으로 한 경우에는, 전방으로부터의 광에 깜박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하, 제3 실시 형태로부터 제7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 및 급전 방법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로부터 제7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조광 필름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과 동일하게, 차량(130)의 선루프(132)나 창, 건축물의 창 등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로부터 제7 실시 형태는, 조광 필름으로의 급전 방향에 관한 실시 형태이며, 조광 필름의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비교 형태]
이어서, 이하에 설명하는 제3 내지 제7 실시 형태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비교 형태를 먼저 설명한다. 도 18은, 제3 내지 제7 실시 형태의 비교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비교 형태에서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조광 필름(1)의 4군데의 모퉁이부 중 1군데의 모퉁이부에 급전점 P0이 마련되어 있다. 조광 필름(1)의 액정셀(4)의 2개의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에는, 이 급전점 P0의 한 곳으로부터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이 비교 형태는,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은, 주파수 60Hz의 10V의 구동 전압을 부여한 경우의 투명 전극의 전위 분포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며, (a)는 하측 투명 전극(11)의 전위 분포, (b)는 상측 투명 전극(16)의 전위 분포를 나타낸다. 투명 전극은 ITO로 두께 100nm이며, 조광 필름의 크기는 1.2(m)×0.8(m)이다.
도 19는, 도 18을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와 투명 전극의 전위의 관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A는 상측 투명 전극(16)의 전위, B는 하측 투명 전극(11)의 전위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8과 동일한 조건에서의 상측 투명 전극(16)과 하측 투명 전극(11) 사이의 전계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20을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와 전계 강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비교 형태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점 P0에 가까운 쪽의 전압이 높고,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전압이 작아지게 된다. 급전점 P0에 10V의 전압을 가해도, 급전점 P0과 대각의 위치인 점 P3에서의 전압은, 이 도 18의 예에서는, 6.5V 정도가 된다. 즉, 구동 전압의 극성 반전 시의 시상수도, 급전점 P0으로 이격된 쪽이 길고, 투과율의 저하가 큰 경향이 된다. 이 때문에, 비교 형태에 있어서는, 급전점 P0으로부터 먼 부분에서는, 투과율의 변동이 크고,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쉽다.
(제3 실시 형태)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광 필름(1A)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의 평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투명 전극(11)과 상측 투명 전극(16)은, 종횡비가 서로 약간 상이하고, 서로의 측변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점이나, 급전 방법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조광 필름(1)과 동일한 형태이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비교 형태와 동일하게,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조광 필름(1)의 4군데의 모퉁이부 중 1군데의 모퉁이부에 급전점 P0이 마련되어 있다. 조광 필름(1)의 액정셀(4)의 2개의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에는, 이 급전점 P0으로부터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측 투명 전극(11)은, 기재(6)의 전체면에 마련되고, 상측 투명 전극(16)은 기재(15)의 전체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 투명 전극(11)과 기재(6)는 동일한 형태이며, 상측 투명 전극(16)과 기재(15)는 동일한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6)의 하측 투명 전극(11)측의 면에는, 밀착층(6a), 또한 기재(15)의 상측 투명 전극(16)측의 면에는, 밀착층(15a)이 마련되어 있다.
밀착층(6a, 15a)은, 무기물, 유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다. 무기물로서는, SiOX(x=1 내지 2), MgF2, Al2O3, TiO2, Nb2O5 등이 바람직하다. 유기물로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실록산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고, 멜라민 수지와 알키드 수지와 유기 실란 축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층(6a, 15a)의 제조 방법은,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의 드라이 프로세스나, 또는 웨트법(도공법) 등이다.
밀착층(6a, 15a)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복수층이며, 전체로서의 두께는 1 내지 300nm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에서는,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은, 크기가 상이하다.
즉, 상측 투명 전극(16)의 긴 변 방향의 길이 LU는, 하측 투명 전극(11)의 긴 변 방향 길이 LD보다 길고, 상측 투명 전극(16)의 짧은 변 방향 길이 WU는, 하측 투명 전극(11)의 짧은 변 방향 길이 WD보다 짧다.
이렇게 형상이 상이한 2개의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은, 서로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렇게 하면, 상측 투명 전극(16)의 4 측변 중, 급전점 P0으로부터 긴 변 방향(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제1 측변(5UL)과, 하측 투명 전극(11)의 4 측변 중, 급전점 P0으로부터 긴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제1 측변(5DL)은, 서로 평행 관계를 유지하면서, 예를 들어 2mm 정도 이격된다. 또한, 엄밀하게 평행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측 투명 전극(16)의 4 측변 중, 급전점 P0으로부터 짧은 변 방향(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제2 측변(5US), 하측 투명 전극(11)의 4 측변 중, 급전점 P0부터 짧은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제2 측변(5DS)은, 서로 평행 관계를 유지하면서 예를 들어 2mm 정도 이격된다.
이에 의해, 상측 투명 전극(16)에 있어서, 급전점 P0으로부터 짧은 변 방향을 따라서 P2로 연장되는 테두리부에 하측 투명 전극(11)측을 향한 노출면(제1 노출면)(5u)이 형성된다.
또한, 하측 투명 전극(11)에 있어서, 급전점 P0으로부터 긴 변 방향을 따라서 P1로 연장되는 테두리부에 상측 투명 전극(16)측을 향한 노출면(제2 노출면)(5d)이 형성된다.
구동 전원 S1로부터는,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1)가,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의 급전점 P0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이 급전점 P0에 있어서,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FPC(21)는, 구리박이 절연층을 통해 2층 적층되어 있고, 급전점 P0에 있어서, 2층 적층된 구리박 중, 한쪽의 구리박이 한쪽의 투명 전극(예를 들어, 상측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쪽의 구리박이 다른 쪽의 투명 전극(예를 들어, 하측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FPC(21)는, 급전점 P0으로부터 2 방향의 FPC(21a와 21b)로 분기되어 있다. 또한, FPC(21a와 21b)는 따로따로 제작한 것을 각각 FPC(21)에 접속시켜도 되고, 또한 따로따로 제작하여 접속시킨 2개의 FPC(21a와 21b)를, FPC(21)에 접속시켜도 되며, FPC(21a)는 노출면(5d)을 따라서 연장되고, FPC(21b)는 노출면(5u)을 따라서 연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FPC(21)는, 구리박의 표면이 또한 커버레이로 피복되어 있으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커버레이, 구리박, 절연층, 구리박, 커버레이의 순서로 된 5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FPC(21)의 적층 구조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구리박이 두께 방향으로 절연체를 통해 3층 이상 적층되는 형태로 해도 된다.
FPC(21a, 21b)는 테이프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로 부착시켜도 된다.
그리고, FPC(21a, 21b)는 각각, 기재(6, 15)의 외측 테두리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급전점 P0과 인접하는 모퉁이부에 마련된 접속점 P1, P2에 있어서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 FPC(21a), FPC(21b)는, 각각 대응하는 접속점에 있어서, 2층 적층된 구리박 중, 한쪽의 구리박이 한쪽의 투명 전극(예를 들어, 상측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쪽의 구리박이 다른 쪽의 투명 전극(예를 들어, 하측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FPC(21a, 21b)는, 급전점 P0과, 그 인접하는 모퉁이부에 마련된 접속점 P1, P2 이외에 있어서는, 전극과 도통되어 있지 않다.
즉, FPC(21a, 21b)는,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과 면(선)으로 연속적으로 전기 접속되어 있지 않고, 소정 간격을 둔 복수의 점(급전점 및 접속점)으로 전기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FPC(21a)는, 급전점 P0과, 그 인접하는 모퉁이부에 마련된 접속점 P1의 2점에서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에 전기 접속되고, FPC(21b)는, 급전점 P0과, 그 인접하는 모퉁이부에 마련된 접속점 P2의 2점에서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FPC(21a, 21b)는, 2점 이상에서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에 전기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FPC(21)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에 대하여 모퉁이부의 접속점 P1, P2에 있어서 접속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퉁이부 이외의 개소에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 24는, FPC의 구리박의 두께가 35㎛, 폭이 2mm이며, 주파수 240Hz에서 극성이 전환되는 10V의 구동 전압을 부여한 경우의,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의 전위이며, (a)는 상측 적층체(5U)의 전극의 전위, (b)는 하측 적층체(5D)의 전극의 전위를 나타낸다.
또한, FPC의 구리박의 두께는 35㎛에 한정되지 않고 9㎛ 이상이면 된다.
도 25는, 동 조건 하에서의, 상측 적층체(5U)와 하측 적층체(5D)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동 조건 하에서의,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 사이의 전위차와,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7은, 동 조건 하에서의, 제3 실시 형태 및 후술하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와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 사이의 전위차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 실시 형태의 효과)
(1)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8의 비교 형태와 비교하여, 조광 필름(1A)의 면 내에서의 전압 강하가 적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극성이 전환되는 주파수에 대해서는, 주파수가 높은 쪽이,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가 이격됨에 따른 전압의 강하의 비율이 커진다.
그리고,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수 240Hz에서 극성이 전환되는 10V의 구동 전압을 부여한 경우의, 극성 전환 후 1msec의 시점에 있어서의,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가 1.4m 정도인 위치(급전점 P0과 대각의 P3 부근)에서의 상측 투명 전극(16), 하측 투명 전극(11) 사이의 전위차는, 9.7V 정도이다.
이 값은, 도 27에 나타내는 비교 형태에 있어서의 전위차의 6.5V와 비교하면, 10V와의 차가 상당히 감소되어 있다.
즉, 급전점 P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도, 구동 전압의 극성 반전 시의 시상수가 비교 형태에 비해 짧아지며 투과율의 저하가 작아진다. 이 때문에, 급전점 P0으로부터 먼 부분에 있어서도, 투과율의 변동이 작고, 깜박거림이 인식되기 어려워진다.
(2) 본 실시 형태 의하면, 구동 전원 S1로부터 직접 접속되는 급전점 P0은 1개이다. 그 급전점 P0으로부터, FPC(21)를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의 측변에 따른 2 방향으로 연장시킨다. 이렇게 FPC(21)가 연장되어, 급전점 P0으로부터 이격된 접속점 P1, P2에서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에 접속됨으로써,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으로의 급전이 급전점 P0 이외에서도 행해진다.
이에 의해, 급전점 P0의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 비해, 배선하기 쉬우며 또한 용이한 설치 작업으로, 투과율의 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3)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 내에 버스 라인을 배치함으로써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의 시트 저항을 실질적으로 낮추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전 효율은 향상되지만, 버스 라인에 의해 외견이 손상된다. 버스 라인이 두드러지지 않도록 가늘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비용 상승이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FPC(21)는 외주부에 마련되므로, 조광 필름(1A)을 선루프(132)에 설치할 때에 덮을 수 있어, 외견이 손상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가늘게 형성하기 때문에 비용 상승하는 일이 없다.
또한, FPC(21)는,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의 측변 전체와 접속되어 있지 않고, 급전점 P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접속점 P1, P2)에서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측변 전체와 접속되었을 경우, 도중에 전압 강하가 일어나지만, 급전점 P0으로부터 이격된 접속점 P1, P2에 있어서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과 접속되기 때문에, 접속점에서의 전압 강하가 작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광 필름(1A)은, 액정층(8)을 기재(6, 15)에 의해 끼움 지지하는 형태인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교류 전압 구동이며, 히스테리시스, 메모리성이 없는 구동 방식, 예를 들어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방식의 조광 필름에 있어서도, 급전 방법으로서 동일한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 형태 1]
또한, 도 26에 있어서, 구동 전압의 주파수가 높아지면, 각 프레임의 충전 시간(또는 방전 시간)이, 60Hz에서는 8.3msec, 120Hz에서는 4.2msec, 480Hz에서는 2.1msec이 된다. 시상수는 조광 필름(1A)의 고유한 값이며, 주파수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면, 시상수가 길어지며 상기 시간 내에 충방전이 완료되지 않으면, 실효 전압이 낮아진다. 전압이 저하되는 정도는, 시간이 짧을수록 커지므로,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도 26에 있어서, 급전 위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도달 전위차의 주파수 의존성이 커지게 된다. 이것은, 급전 위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시상수가 길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30Hz 내지 60Hz에서 구동한 경우에도, 깜박거림이 두드러지는 경우, 본 실시 형태보다도, 접속점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FPC(21a, 21b) 중 어느 것을 연장시켜 도 23에 나타내는 급전점 P0과 대각의 위치 P3에도 접속점을 마련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변형 형태에 의하면, 급전점 P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도 전계의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변형 형태 2]
도 23에 있어서, 급전점 P0으로부터 2 방향으로 FPC(21a, 21b)가 연장되고, 2개의 접속점 P1, P2에 있어서,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점을 1개로 해도 된다.
도 35는, 변형 형태 2의 조광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35의 (a)는 변형 형태 2의 조광 필름의 일례(조광 필름(1D-1))의 평면도이며, 도 35의 (b)는 변형 형태의 조광 필름의 다른 일례(조광 필름(1D-2))의 평면도이다.
조광 필름(1D-1)은, 도 3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점 P0으로부터 하나의 FPC(21a)가 노출면(5d)을 따라서 1 방향으로 연신되어, 접속점 P1에서의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이 조광 필름(1D-1)에서는, 급전점 P0과 접속점 P1의 2점에서만, 전극과 도통하고 있다.
또한, 조광 필름(1D-2)은, 도 3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점 P0으로부터 하나의 FPC(21b)가 노출면(5u)을 따라서 1 방향으로 연신되어, 접속점 P2에서의 하측 투명 전극(11), 상측 투명 전극(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이 조광 필름(1D-2)에서는, 급전점 P0과 접속점 P2의 2점에서만, 전극과 도통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한 경우에는,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전위차의 구배는 약간 급준되지만, 실용상 충분히 깜박거림(플리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조광 필름의 크기가 제3 실시 형태에 나타낸 크기(1.2m×0.8m)보다도 작은 경우 등에는, 전위차의 구배가 완만해져, 깜박거림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로 한 경우에는, 배선 등에 걸리는 부재 점수를 저감시키고, 생산 비용 등을 억제하면서,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28은, FPC(21)의 구리박의 두께가 9㎛이며, 구동 전원 S1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의 주파수가 60Hz, 120Hz, 240Hz, 480Hz인 경우에 있어서의, 양쪽 전극간의 전위차와,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6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또한 구리박의 폭은 2mm이다.
도 26과 비교하면,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실효 전압이 보다 낮아진다. 240Hz의 경우에 있어서도, 급전점 P0으로부터의 거리가 1.4m 정도에 있어서, 허용 범위의 전위차 9V 이하로 된다. 따라서, 깜박거림이 두드러지기 쉬워진다.
그러나 60Hz나 120Hz에 있어서는, 대각선 상의 점 P3에서의 실효 전압은 허용 범위인 9V 이상으로 되기 때문에, 60Hz 이하의 주파수에서 구동하는 경우에는, 투과율에 큰 차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구리박의 두께가 9㎛인 경우, 시상수가 길어짐으로써 깜박거림이 두드러지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점을 또 하나, 예를 들어 위치 P3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깜박거림의 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선폭을 2mm로부터 더 넓게 함으로써도, 깜박거림의 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어서,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의 평면도이며, (a)는 상측 투명 전극(16)의 패터닝 형상, (b)는 하측 투명 전극(11)의 패터닝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제5 실시 형태가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상측 투명 전극(16) 및 하측 투명 전극(11)의 형상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배향층(17, 13)에 관한 기재를 생략하지만, 상측 투명 전극(16) 및 하측 투명 전극(11) 상에는 배향층(17, 13)이 형성되어 있다.
(밀착층)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재(15)(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 상부 기재라고 함)의 표면에 밀착층(15a)이 형성되고, 그 밀착층(15a) 상에 상측 투명 전극(1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재(6)(본 실시 형태에서 하부 기재라고 함)의 표면에도 밀착층(6a)이 형성되고, 그 밀착층(6a) 상에 하측 투명 전극(11)이 마련되어 있다.
밀착층(15a, 6a)은 상측 투명 전극(16) 및 하측 투명 전극(11)과, 상부 기재(15) 및 하부 기재(6)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지만, 시일재(19)와 밀착층(15a, 6a)의 접착성도, 시일재(19)와 상측 투명 전극(16) 및 하측 투명 전극(11)의 밀착성에 비해 높다.
도 2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기재(15)와 하부 기재(6)는, 종횡비가 서로 약간 상이하고, 서로의 측변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기재(15)와 하부 기재(6)가 어긋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부 기재(15)에 있어서의, 하부 기재(6)와 겹치는 적층 영역의 외측에, 하부 기재(6)측을 향한 노출면(5u1)과 노출면(5u2)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기재(6)에 있어서의, 상부 기재(15)와 겹치는 적층 영역의 외측에, 상부 기재(15)측을 향한 노출면(5d1)과 노출면(5d2)이 형성된다(도 29의 (b) 참조).
(상측 투명 전극)
상측 투명 전극(1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부 기재(15)의 전체면에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밀착층(15a)이 노출되어 있는 제1 노출 영역(30)이 존재한다. 상측 투명 전극(16)은 이 제1 노출 영역(3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연속되어 있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상측 투명 전극(16)의 복수의 영역은 이하이다.
(1) 노출면(5u1)에 마련된 노출면 전극부(16a1) 및 노출면(5u2)에 마련된 노출면 전극부(16a2).
(2) 상부 기재(15)에 있어서의 하부 기재(6)와의 적층 영역 내의, 외측 테두리부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측에 마련된, 적층 영역보다도 한 단계 더 작은 직사각형의 내측 전극부(16b).
(3) 상부 기재(15)에 있어서의 하부 기재(6)와의 적층 영역 내에 있어서의, 내측 전극부(16b)의 외주를 둘러싸는 일정폭의 외주 영역에 마련된, 급전점 P0(P0u), 접속점 P1(P1u), 접속점 P2(P2u)의 각각의 근방에 마련된 모퉁이부 전극부(16c0, 16c1, 16c2).
여기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급전점 P0 중, 상측 투명 전극(16)에 급전하는 급전점을 P0u, 하측 투명 전극(11)에 급전하는 급전점을 P0d라 한다. 급전점 P0u는, 급전점 P0 중 노출면(5u2)에 마련되어 있는 급전점이고, 급전점 P0d는, 급전점 P0 중 노출면(5d1)에 마련되어 있는 급전점이다.
접속점 P1 중, 상측 투명 전극(16)에 접속되는 접속점을 P1u, 하측 투명 전극(11)에 접속되는 접속점을 P1d라 한다.
접속점 P1d는, 접속점 P1 중 노출면(5d1)에 마련되어 있는 접속점이다.
접속점 P1u는, 접속점 P1 중 노출면(5u1)에 마련되어 있는 접속점이며, 접속점 P1d로부터 FPC(21a)가 더 연장된 부분에 있다.
접속점 P2 중, 상측 투명 전극(16)에 접속되는 접속점을 P2u, 하측 투명 전극(1)에 접속되는 접속점을 P2d라 한다.
접속점 P2u는, 접속점 P2 중 노출면(5u2)에 마련되어 있는 접속점이다.
접속점 P2d는, 접속점 P2 중 노출면(5d1)에 마련되어 있는 접속점이며, 접속점 P2u로부터 FPC(21b)가 더 연장된 부분에 있다.
즉, 상부 기재(15)의, 적층 영역 내에 있어서의, 내측 전극부(16b)의 외주를 둘러싸는 일정폭의 외주 영역으로부터, 모퉁이부 전극부(16c0, 16c1, 16c2)를 제외한 부분은, 상측 투명 전극(16)이 마련되지 않은 제1 노출 영역(30)이다. 이 부분은, 상측 투명 전극(16)의 하층인 밀착층(15a)이 노출되어 있다.
도 30은, 도 29의 (a)의 일점 쇄선으로 둘러싼 영역 S의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모퉁이부 전극부(16c1)(도 30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모퉁이부 전극부(16c0, 16c2)도 마찬가지임)에 있어서 상측 투명 전극(16)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줄무늬 형상으로 밀착층(15a)이 노출되고, 이 부분에도 제1 노출 영역(30)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들 제1 노출 영역(30)은 에칭에 의해, 상측 투명 전극(16)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제1 노출 영역(30)은 도시하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퉁이부 전극부(16c1)에 마련되는 줄무늬 형상의 부분은,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점 P1u로부터 내측 전극부(16b)로의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형상이면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내측 전극부(16b)와 노출면 전극부(16a1)는, 접속점 P1u 근방에서 모퉁이부 전극부(16c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내측 전극부(16b)와 노출면 전극부(16a2)는, 급전점 P0u 근방에 있어서 모퉁이부 전극부(16c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접속점 P2u 근방에 있어서 모퉁이부 전극부(16c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측 투명 전극)
하측 투명 전극(11)도,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기재(6)의 전체면에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밀착층(15a)이 노출되어 있는 제2 노출 영역(31)이 존재한다. 하측 투명 전극(11)은 이 제2 노출 영역(31)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하측 투명 전극(11)의 복수의 영역은 이하이다.
(1) 노출면(5d1)에 마련된 노출면 전극부(11a1)와 노출면(5d2)에 마련된 노출면 전극부(11a2).
(2) 하부 기재(6)에 있어서의 상부 기재(15)와의 적층 영역 내의, 외측 테두리부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측에 마련된, 적층 영역보다도 한 단계 더 작은 직사각형의 내측 전극부(11b).
(3) 기재(6)에 있어서의 상부 기재(15)와의 적층 영역 내에 있어서의, 내측 전극부(11b)의 외주를 둘러싸는 일정폭의 외주 영역에 마련된, 급전점 P0(P0d), 접속점 P1(P1d), 접속점 P2(P2d)의 각각의 근방에 마련된 모퉁이부 전극부(11c0, 11c1, 11c2).
즉, 하부 기재(6)의, 적층 영역 내에 있어서의, 내측 전극부(11b)의 외주를 둘러싸는 일정폭의 외주 영역으로부터 모퉁이부 전극부(11c0, 11c1, 11c2)를 제외한 부분은, 하측 투명 전극(11)이 마련되지 않은 제2 노출 영역(31)이다. 이 부분은, 하측 투명 전극(11)의 하층인 밀착층(15a)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모퉁이부 전극부(11c0, 11c1, 11c2)에 있어서도, 하측 투명 전극(11)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줄무늬 형상으로 밀착층(15a)이 노출되고, 이 부분에도 제2 노출 영역(31)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전극부(11b)와 노출면 전극부(11a1)는, 급전점 P0d 근방에 있어서 모퉁이부 전극부(11c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접속점 P1d 근방에서 모퉁이부 전극부(11c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내측 전극부(11b)와 노출면 전극부(11a2)는, 접속점 P2d 근방에 있어서 모퉁이부 전극부(11c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조 방법)
이어서, 본 실시형의 조광 필름(1A)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조광 필름(1A)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하측 적층체 제조 공정 SP2)
먼저, 하측 적층체 제조 공정 SP2에 있어서, 하측 적층체(5D)가 제조된다.
하측 적층체 제조 공정 SP2는, 밀착층 제조 공정 SP2-1, 하측 투명 전극 제조 공정 SP2-2, 하측 배향층 제조 공정 SP2-3, 에칭 공정 SP2-4, 스페이서 배치 공정 SP2-5를 포함한다.
밀착층 제조 공정 SP2-1에 있어서, 하부 기재(6)의 한 면에, 예를 들어 도포법에 의해,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여 밀착층(6a)이 제조된다.
하측 투명 전극 제조 공정 SP2-2에 있어서, 하부 기재(6)의 밀착층(6a) 상에, 스퍼터링 등의 진공 성막법에 의해, ITO를 사용하여 하측 투명 전극(11)이 대략 전체면에 제조된다.
하측 배향층 제조 공정 SP2-3에 있어서, 하부 기재(6)의 하측 투명 전극(11) 상에, 배향층(하측 배향층)(13)에 관한 도공액을 도공하여 건조시킨 후,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하측 배향층(13)이 제조된다.
에칭 공정 SP2-4에 있어서, 에칭에 의해, 하측 배향층(13) 및 하측 투명 전극(11)이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하측 배향층(13) 및 하측 투명 전극(11)이 제거되는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 영역 내에 있어서의, 내측 전극부(11b)의 외주를 둘러싸는 일정폭의 영역으로부터, 모퉁이부 전극부(11c0, 11c1, 11c2)를 제외한 부분과, 모퉁이부 전극부(11c0, 11c1, 11c2) 내의 줄무늬 형상의 부분이다.
그리고, 이들 하측 배향층(13) 및 하측 투명 전극(11)이 제거된 부분은, 밀착층(6a)이 노출된 제2 노출 영역(31)이 된다.
이어서, 스페이서 배치 공정 SP2-5에 있어서, 스페이서(12)로서 비즈 스페이서를 분산시킨 도공액을 스핀 코팅법 등에 의해 도공한 후, 건조, 소성의 처리를 순차로 실행하고, 이에 의해, 하부 기재(6)의 전체면에, 스페이서(12)(비즈 스페이서)를 랜덤하게 배치한다. 이들에 의해 하측 적층체(5D)가 제조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12)로서 비즈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포토스페이서를 사용해도 된다.
(상측 적층체 제조 공정 SP3)
계속되는 상측 적층체 제조 공정 SP3은, 스페이서 배치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하측 적층체 제조 공정 SP2와 동일하다. 즉, 상측 적층체 제조 공정 SP3은, 밀착층 제조 공정 SP3-1, 상측 투명 전극 제조 공정 SP3-2와, 상측 배향층 제조 공정 SP3-3, 에칭 공정 SP3-4를 포함한다.
밀착층 제조 공정 SP3-1에 있어서, 상부 기재(15)의 한 면에, 도포법에 의해,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여 밀착층(15a)이 제조된다.
상측 투명 전극 제조 공정 SP3-2에 있어서, 상부 기재(15)의 밀착층(15a) 상에, 스퍼터링 등의 진공 성막법에 의해, ITO를 사용하여 상측 투명 전극(16)이 거의 전체면에 제조된다.
상측 배향층 제조 공정 SP3-3에 있어서, 상부 기재(15)의 상측 투명 전극(16) 상에, 배향층(상측 배향층)(17)에 관한 도공액을 도공하여 건조시킨 후,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상측 배향층(17)이 제조된다.
에칭 공정 SP3-4에 있어서, 에칭에 의해, 상측 배향층(17) 및 상측 투명 전극(16)이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상측 배향층(17) 및 상측 투명 전극(16)이 제거되는 부분은, 적층 영역 내에 있어서의, 내측 전극부(16b)의 외주를 둘러싸는 일정폭의 외주 영역의, 모퉁이부 전극부(16c0, 16c1, 16c2)를 제외한 부분과, 모퉁이부 전극부(16c0, 16c1, 16c2) 내의 줄무늬 형상의 부분이다.
그리고, 이 상측 배향층(17) 및 상측 투명 전극(16)이 제거된 부분은, 밀착층(15a)이 노출되고, 제1 노출 영역(30)이 형성된다.
상측 적층체 제조 공정 SP3에 이어지는 시일재 도공 공정 SP4에 있어서,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하부 기재(6)에 시일재(19)를 도공한다.
이 때, 시일재(19)가 도공되는 영역은, 적층 영역의 외주로부터 일정한 폭의, 도 30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T이다.
이 영역 T는, 모퉁이부 전극부(11c0, 11c1, 11c2) 이외, 하측 투명 전극(11)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밀착층(6a)이 노출된 제2 노출 영역(31)이다. 모퉁이부 전극부(11c0, 11c1, 11c2)에 있어서도 밀착층(6a)이 줄무늬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재(19)는, 하측 투명 전극(11)이 마련되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밀착층(6a)과 접촉된다.
여기서, 밀착층(6a)과 시일재(19)의 접착 강도는, 하측 투명 전극(11)과 시일재(19)의 밀착 강도보다 높으므로, 시일재(19)는 하부 기재(6)와 양호하게 접착된다.
이어서, 액정 유입 공정 SP5에 있어서, 이 프레임 상의 시일재(19)의 내부에 액정을 유입시킨다.
또한, 액정의 배치에 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점 ODF(One Drop Filling) 주입법을 사용한다. 다점 ODF란, 시일재(19)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위치에, 다른 쪽의 적층체를 접합시키기 전에, 디스펜서 등에 의해 액정 재료를 적하하는 방법이다.
또한, 다점 ODF 주입법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 적층체(5U), 하측 적층체(5D)를 적층한 후, 액정층(8)에 관한 부위에 형성되는 공극에, 액정 재료를 충전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해도 된다.
적층 공정 SP6에 있어서, 상측 적층체(5U), 하측 적층체(5D)를, 예를 들어 롤러에 의해 압박하여 접합시킴으로써, 하측 적층체(5D)에 배치한 액정 재료를 밀어 편다. 이 때, 조광 필름(1A)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측 적층체(5U)와 하측 적층체(5D) 사이의 거리는, 스페이서(12)(비즈 스페이서)의 두께로 유지된다.
이 때,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상측 적층체(5U)와 하측 적층체(5D)는, 측변이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측 적층체(5U)에 있어서, 노출면(제1 노출면)(5u1, 5u2)이 형성되고, 하측 적층체(5D)에 있어서, 노출면(제2 노출면)(5d1, 5d2)이 형성된다.
이 접합에 의해, 상부 기재(15)에 있어서 시일재(19)와 접촉하는 영역은, 적층 영역의 외주로부터 일정한 폭의, 도 30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이 부분은, 모퉁이부 전극부(16c0, 16c1, 16c2) 이외, 상측 투명 전극(16)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밀착층(15a)이 노출된 제1 노출 영역(30)이고, 또한 모퉁이부 전극부(16c0, 16c1, 16c2)도 밀착층(15a)이 줄무늬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재(19)는, 하측 투명 전극(11)이 마련되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밀착층(6a)과 접촉된다.
여기서, 밀착층(15a)와 시일재(19)의 접착 강도는, 상측 투명 전극(16)과 시일재(19)의 밀착 강도보다 높으므로, 시일재(19)는 상부 기재(15)와 양호하게 접착된다.
그 후, 시일재(19) 경화 공정 SP7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 및 가열에 의해 시일재(19)를 경화시켜, 액정셀(4)이 제조된다.
계속되는 트리밍 공정 SP8에 있어서,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적층체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트리밍한다. 또한, 트리밍은, 레이저 빔의 조사, 금형을 사용한 트리밍 등, 이러한 종류의 필름재의 트리밍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방법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접합 공정 SP9에 있어서, 액정셀(4)의 양측에, 직선 편광판(2), 직선 편광판(3)을 접착제에 의해 각각 접합시킨다. 또한, 게스트 호스트형 액정을 사용하고, 직선 편광판을 생략하는 경우에는, 이 접합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FPC 설치 공정 SP10에 있어서, 구동 전원 S1로부터 연장되는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1)를 조광 필름(1B)에 설치한다.
FPC는 2 방향으로 나뉘어져 있고, 한쪽의 FPC(21a)는 노출면 전극부(11a1)의 급전점 P0d, 다른 쪽의 FPC(21b)는 노출면 전극부(16a2)의 급전점 P0u에 접속된다. FPC(21a)와 FPC(21b)는, 각각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과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의 2층 구조이다.
FPC(21a)는, 노출면 전극부(11a1)를 따라서 연장되고, FPC(21a)의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 부분은, 급전점 P0(P0d)과 접속점 P1(P1d)에 있어서 노출면 전극부(11a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도 29의 (b) 참조), FPC(21a)의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부분은, 접속점 P1(P1u)에 있어서 노출면 전극부(16a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29의 (a) 참조).
FPC(21b)는 노출면 전극부(16a2)를 따라서 연장되고, FPC(21b)의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부분은, 급전점 P0(P0u)과 접속점 P2(P2u)에 있어서 노출면 전극부(11a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도 29의 (a) 참조), FPC(21b)의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 부분은, 접속점 P2(P2d)에 있어서 노출면 전극부(11a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29의 (b) 참조).
이상, 이와 같이 하여 조광 필름(1B)이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3 실시 형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 외에도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부 기재(6)에 있어서, 시일재(19)가 도공되는 영역은, 적층 영역의 외주로부터 일정한 폭의, 도 30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이 부분은, 모퉁이부 전극부(11c0, 11c1, 11c2) 이외, 하측 투명 전극(11)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밀착층(6a)이 노출된 제2 노출 영역(31)에서, 모퉁이부 전극부(11c0, 11c1, 11c2)도 밀착층(6a)이 줄무늬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부 기재(15)에 있어서 시일재(19)와 접촉하는 영역은, 적층 영역의 외주로부터 일정한 폭의, 도 30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이 부분은, 모퉁이부 전극부(16c0, 16c1, 16c2) 이외, 상측 투명 전극(16)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밀착층(15a)이 노출된 제1 노출 영역(30)에서, 모퉁이부 전극부(16c0, 16c1, 16c2)도 밀착층(15a)이 줄무늬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다.
즉, 시일재(19)는 상부 기재(15)에 마련된 밀착층(15a) 및 하부 기재(6)에 마련된 밀착층(6a)과 접촉되어 있으며, 밀착층(15a) 및 밀착층(6a)과 시일재(19)의 접착 강도는, 하측 투명 전극(11)이나 상측 투명 전극(16)과 시일재(19)의 밀착 강도보다 높다.
이 때문에, 시일재(19)와 하부 기재(6) 및 상부 기재(15)의 밀착성이 양호하여, 시일재(19)의 박리 등의 가능성이 작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영역의 외주로부터 일정한 폭의 영역은, 모퉁이부 전극부(16c0, 16c1, 16c2) 이외, 상측 투명 전극(16)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또한 모퉁이부 전극부(11c0, 11c1, 11c2) 이외, 하측 투명 전극(11)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밀착층(15a)이 노출되어 있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퉁이부 전극부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일부, 투명 전극(16, 11)을 남기도록 패터닝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패터닝된 투명 전극(16, 11)의 요철에 의해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부 기재(6) 및 상부 기재(15)에 있어서의, 밀착층(6a) 및 밀착층(15a)의 노출 방법은, 에칭 공정에 있어서 행해지므로, 패터닝을 행하기 쉽다는 효과를 갖는다.
(제6 실시 형태)
이어서, 제6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C)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제6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C)의 평면도이며, (a)는 상측 투명 전극(16)의 패터닝 형상, (b)는 하측 투명 전극(11)의 패터닝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 또는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 형태가 제5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기재(15)(본 실시 형태에서 상부 기재라고 함) 및 기재(6)(본 실시 형태에서 하부 기재라고 함)의 형상과, 상측 투명 전극(16) 및 하측 투명 전극(11)의 형상과, 배선 방법이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부 기재(15)의 표면에는 밀착층(15a)이 형성되고, 그 밀착층(15a)에 상측 투명 전극(1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부 기재(6)의 표면에도 밀착층(6a)이 형성되고, 그 밀착층(6a)에 하측 투명 전극(11)이 마련되어 있다.
도 3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기재(15)는, 하부 기재(6)와 대략 서로 비슷한 직사각형 형상이며, 하부 기재(6)보다 작다. 그리고, 상부 기재(15)는, 하부 기재(6) 상에 외주 4변 중 2변이 겹치도록 하여, 적층되어 있다. 겹치는 2변은, 급전점 P0에 대하여 대각에 있는 점 P4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변이다.
이에 의해, 하측 투명 전극(11)에 있어서, 급전점 P0(P0d)으로부터 긴 변 방향을 따라서 접속점 P1(P1d, P1u)로 연장되는 테두리부에 상측 투명 전극(16)측을 향한 노출면(5d1)이 형성된다. 또한, 급전점 P0(P0u)으로부터 긴 변 방향을 따라서 접속점 P2(P2d, P2u)로 연장되는 테두리부에 상측 투명 전극(16)측을 향한 노출면(5d2)이 형성된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급전점 P0 중, 상측 투명 전극(16)에 급전하는 급전점을 P0u, 하측 투명 전극(11)에 급전하는 급전점을 P0d라 한다.
급전점 P0u는 급전점 P0 중 노출면(5d2)에 마련되어 있는 급전점이고, 급전점 P0d는 급전점 P0 중 노출면(5d1)에 마련되어 있는 급전점이다.
접속점 P1 중, 상측 투명 전극(16)에 접속되는 접속점을 P1u, 하측 투명 전극(11)에 접속되는 접속점을 P1d라 한다.
접속점 P1u는, 노출면(5d1)에 있어서의 급전점 P0과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접속점 P1d는 노출면(5d1)에 있어서의 급전점 P0과 반대측의 단부의 영역이지만, 접속점 P1u보다도 급전점 P0측에 배치된다.
접속점 P2 중, 상측 투명 전극(16)에 접속되는 접속점을 P2u, 하측 투명 전극(11)에 접속되는 접속점을 P2d라 한다.
접속점 P2u는, 노출면(5d2)에 있어서의 급전점 P0과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접속점 P2d는 노출면(5d2)에 있어서의 급전점 P0과 반대측의 단부의 영역이지만, 접속점 P2u보다도 급전점 P0측에 배치된다.
(상측 투명 전극)
상측 투명 전극(1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부 기재(15)의 전체면에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밀착층(15a)이 노출되어 있는 제1 노출 영역(30)이 존재한다. 상측 투명 전극(16)은 이 제1 노출 영역(3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상측 투명 전극(16)이 구비하는 복수의 영역은 이하이다.
(1) 상부 기재(15)의 외주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측의, 상부 기재(15)보다도 한 단계 더 작은 직사각형의 내측 전극부(16b).
(2) 내측 전극부(16b)의 외주 영역에 있어서의 모퉁이부 근방 영역의, 급전점 P0u, 접속점 P1u, 접속점 P2u의 각각의 근방에 마련된 모퉁이부 전극(16e0, 16e1, 16e2).
즉, 상부 기재(15)의, 적층 영역 내에 있어서의, 내측 전극부(16b)의 외주를 둘러싸는 일정폭의 외주 영역으로부터 모퉁이부 전극(16e0, 16e1, 16e2)을 제외한 부분은, 상측 투명 전극(16)이 마련되지 않은 제1 노출 영역(30)이다. 이 부분은, 상측 투명 전극(16)의 하층인 밀착층(15a)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모퉁이부 전극(16e0, 16e1, 16e2)에 있어서 상측 투명 전극(16)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줄무늬 형상으로 밀착층이 노출되고, 이 부분에도 제1 노출 영역(30)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
(하측 투명 전극)
하측 투명 전극(11)도,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기재(6)의 전체면에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밀착층(15a)이 노출되어 있는 제2 노출 영역(31)이 존재한다. 하측 투명 전극(11)은 이 제2 노출 영역(31)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하측 투명 전극(11)이 구비하는 복수의 영역은 이하이다.
(1) 하부 기재(6)에 있어서의 상부 기재(15)와의 적층 영역 내의, 외측 테두리부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측에 마련된, 적층 영역보다도 한 단계 더 작은 직사각형의 내측 전극부(11b).
(2-1) 노출면(5d1)의 접속점 P1d에 마련되고, 노출면(5d1)으로부터 적층 영역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또한 내측 전극부(11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모퉁이부 전극부(11f1).
(2-2) 노출면(5d1)의 급전점 P0d에 마련되고, 노출면(5d1)으로부터 적층 영역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또한 내측 전극부(11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모퉁이부 전극부(11f0).
(2-3) 노출면(5d2)의 접속점 P2d에 마련되고, 노출면(5d2)으로부터 적층 영역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또한 내측 전극부(11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모퉁이부 전극부(11f2).
(3-1) 노출면(5d1)의 접속점 P1u에 마련되고, 노출면(5d1)으로부터 적층 영역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또한 내측 전극부(11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1).
(3-2) 노출면(5d2)의 급전점 P0u에 마련되고, 노출면(5d2)으로부터 적층 영역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또한 내측 전극부(11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0).
(3-3) 노출면(5d2)의 접속점 P2u에 마련되고, 노출면(5d2)으로부터 적층 영역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또한 내측 전극부(11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2).
도 33은 도 32의 일점 쇄선으로 둘러싼 영역 S의 확대도에서 상하 투명 전극의 패터닝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4는 도 33의 A-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기재(15)와 하부 기재(6)의 적층 영역 중의, 상부 기재(15)에 마련된 모퉁이부 전극(16e1)과, 하부 기재(6)에 마련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1)가 겹쳐 있는 부분에는, 도전성을 갖는 비즈(32)를 시일재가 함유하는 비즈 시일부(19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비즈(32)를 통해, 상부 기재(15)에 마련된 모퉁이부 전극(16e1)과, 하부 기재(6)에 마련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33 및 도 34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비즈(32)는 1개만 나타내었지만, 실제로는 복수의 비즈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비즈(32)는 수지제이며 그 표면에 금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부 기재(15)와 하부 기재(6)의 적층 영역 중의, 상부 기재(15)에 마련된 모퉁이부 전극(16e0)과, 하부 기재(6)에 마련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0)가 겹쳐 있는 부분, 상부 기재(15)와 하부 기재(6)의 적층 영역 중의, 상부 기재(15)에 마련된 모퉁이부 전극(16e2)과, 하부 기재(6)에 마련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2)가 겹쳐 있는 부분에도 동일하게 비즈 시일부(191)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전원으로부터 연장되는 FPC(21)는 2 방향으로 나누어져 있고, 한쪽의 FPC(21a)는 노출면(5d1)을 따라서 연장되고, 다른 쪽의 FPC(21b)는 노출면(5d2)을 따라서 연장된다.
FPC(21a)의,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은, 급전점 P0d에서 모퉁이부 전극부(11f0)에 접속되고, 접속점 P1d에서 모퉁이부 전극부(11f1)에 접속되어 있다. 모퉁이부 전극부(11f0), 모퉁이부 전극부(11f1)는, 각각 내측 전극부(11b)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내측 전극부(11b)에 FPC(21a)로부터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 전력이 공급된다.
FPC(21a)의,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은, 접속점 P1u에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1)에 접속되어 있다.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1)는, 비즈 시일부(191) 내의 비즈(32)를 통해 모퉁이부 전극(16e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내측 전극부(16b)에 FPC(21a)로부터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도전성 부재는 상하의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면 되고, 비즈 시일부(191)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PC(21b)의,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은, 접속점 P2d에서 모퉁이부 전극부(11f2)에 접속되어 있다. 모퉁이부 전극부(11f2)는, 내측 전극부(11b)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내측 전극부(11b)에 FPC(21a)로부터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 전력이 공급된다.
FPC(21b)의,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은, 급전점 P0u에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0)에 접속되어 있다.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0)는, 비즈 시일부(191) 내의 비즈(32)를 통해 모퉁이부 전극(16e0)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내측 전극부(16b)에 FPC(21a)로부터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은, 접속점 P2u에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2)에 접속되어 있다.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2)는, 비즈 시일부(191) 내의 비즈(32)를 통해 모퉁이부 전극(16e2)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내측 전극부(16b)에 FPC(21a)로부터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전력이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조광 필름(1C)는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조된다.
즉, 시일재(19)는, 하부 기재(6)에 있어서 하측 투명 전극(11)이 마련되지 않은 밀착층(15a)이 노출된 제2 노출 영역(31)과 접촉된다. 또한, 시일재(19)는, 상부 기재(15)에 있어서 상측 투명 전극(16)이 마련되지 않은, 밀착층(15a)이 노출된 제1 노출 영역(30)과 접촉된다.
따라서, 시일재(19)는 상부 기재(15)에 마련된 밀착층(15a) 및 하부 기재(6)에 마련된 밀착층(6a)과 접촉되어 있으며, 밀착층(15a) 및 밀착층(6a)과 시일재(19)의 접착 강도는, 하측 투명 전극(11)이나 상측 투명 전극(16)과 시일재(19)의 밀착 강도보다 높다. 이 때문에, 시일재(19)와 하부 기재(6) 및 상부 기재(15)의 밀착성이 양호하여, 시일재(19)의 박리 등의 가능성이 작다.
(제7 실시 형태)
이어서, 제7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제7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의 평면도이다. 도 36의 (a)는 상측 투명 전극(16)의 패터닝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6의 (b)는 하측 투명 전극(11)의 패터닝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 중 어느 것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 형태가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기재(15)(본 실시 형태에서 상부 기재라고 함) 및 기재(6)(본 실시 형태에서 하부 기재라고 함)의 형상, 상측 투명 전극(16) 및 하측 투명 전극(11)의 형상, 배선 방법 등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기재(15)와 하부 기재(6)는 직사각형상으로 동일한 형상이며, 조광 필름(1E)의 평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그 4개의 측변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측 투명 전극)
상측 투명 전극(1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부 기재(15)의 전체면에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상부 기재(15)의 주연부에 마련된 제1 노출 영역(30)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노출 영역(30)은 소정의 폭으로 상부 기재(15)의 4개의 측변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밀착층(15a)이 노출된 영역이다.
(하측 투명 전극)
하측 투명 전극(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기재(6)의 전체면에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하부 기재(6)의 주연부에 마련된 제2 노출 영역(31)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노출 영역(31)은 소정의 폭(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노출 영역(30)과 동일한 폭)으로 하부 기재(6)의 4개의 측변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밀착층(6a)이 노출된 영역이다. 또한. 하측 투명 전극(11)은 이하의 영역을 갖는다.
(1) 제2 노출 영역(31)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급전점 P0d, 접속점 P1d, P2d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측 전극부(11b).
(2-1) 접속점 P1u 및 그 주위가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내측 전극부(11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1).
(2-2) 급전점 P0u 및 그 주위가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내측 전극부(11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0).
(2-3) 접속점 P2u 및 그 주위가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내측 전극부(11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2).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노출 영역(30), 제2 노출 영역(31)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노출 영역(30), 제2 노출 영역(31)이 형성되지 않는 형태로 해도 된다.
도 37은, 접속점 P1에 있어서의 상하 투명 전극의 패터닝 형상 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7의 (a)는 도 36에 나타내는 일점 쇄선으로 둘러싼 영역 S2의 확대도이며, 도 37의 (b)는 도 37의 (a)에 나타내는 A2-B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조광 필름(1E)을 그 평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상측 투명 전극(16)과, 하부 기재(6)에 마련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1)가 겹쳐 있는 영역에는, 상측 투명 전극(16)과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1) 사이에, 전술한 제4 실시 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전성을 갖는 비즈(32)를 함유하는 비즈 시일부(191)가 마련되어 있고, 이 비즈(32)를 통해, 상측 투명 전극(16)과,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조광 필름(1E)을 그 평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상부 기재(15)에 마련된 상측 투명 전극(16)과, 하부 기재(6)에 마련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0)가 겹쳐 있는 부분, 상부 기재(15)에 마련된 상측 투명 전극(16)과, 하부 기재(6)에 마련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2)가 겹쳐 있는 부분에도 동일하게 비즈(32)를 함유하는 비즈 시일부(19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즈 시일부(191)를 들어 설명했지만, 각 상측 접속용 전극부와 상측 투명 전극(16)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전성 부재는, 상하의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면 되고, 비즈 시일부(191)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6 등에서는, FPC(21a, 21b)는, 급전점 P0(P0u, P0d)이 마련된 조광 필름(1D)의 모퉁이부의 근방에 있어서, FPC(21)로부터, 상부 기재(15) 및 하부 기재(6)의 측변을 따라서 인접하는 모퉁이부를 향해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FPC(21a)는 접속점 P1(P1u, P1d)에서 상하의 투명 전극에 접속되고, FPC(21b)는 접속점 P2(P2u, P2d)에서 상하의 투명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FPC(21a, 21b)는 조광 필름(1E)의 외부에 위치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FPC(21a, 21b)는, 조광 필름(1D)의 표면에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FPC(21a, 21b)는, 각각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21au, 21bu)과,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21bu, 21bd)을 구비하고 있다. 도 36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들을 각각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과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은 절연층을 통해 적층되거나 하며, 각각 하나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FPC(21)의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21d)은, 급전점 P0d에서 내측 전극부(11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FPC(21a, 21b)의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21ad, 21bd)은, 각각 접속점 P1d, P2d에서 내측 전극부(11b)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FPC(21)로부터 하측 투명 전극(11)의 내측 전극부(11b)에 하측 투명 전극 급전용 전력이 공급된다.
FPC(21)의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21u)은, 급전점 P0u에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0)에 접속되어 있다.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0)는, 비즈 시일부(191) 내의 비즈(32)를 통해 상측 투명 전극(16)에 접속되어 있고, FPC(21)로부터 상측 투명 전극(16)에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전력이 공급된다.
FPC(21a)의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21au)은, 접속점 P1u에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1)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1)는, 비즈 시일부(191) 내의 비즈(32)를 통해 상측 투명 전극(16)에 접속되어 있고, FPC(21a)로부터 상측 투명 전극(16)에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라인(21bu)은, 접속점 P2u에서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2)에 접속되어 있다. 상측 접속용 전극부(11e2)는, 비즈 시일부(191) 내의 비즈(32)를 통해 상측 투명 전극(16)에 접속되어 있고, FPC(21bu)로부터 상측 투명 전극(16)에 상측 투명 전극 급전용 전력이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는,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조된다.
또한, 도 36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일재(19)는, 내측 전극부(11b)와 상측 투명 전극(16)이 중복되는 영역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소정의 폭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일재(19)는, 하부 기재(6)에 있어서 제2 노출 영역(31)에서는, 노출된 밀착층(6a)과 접촉되고, 상부 기재(15)에 있어서 제1 노출 영역(30)에서는, 노출된 밀착층(15a)과 접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착층(15a) 및 밀착층(6a)과 시일재(19)와 접착 강도는, 하측 투명 전극(11)이나 상측 투명 전극(16)과 시일재(19)의 밀착 강도보다 높다. 따라서, 시일재(19)와 하부 기재(6) 및 상부 기재(15)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시일재(19)의 박리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함으로써, 상부 기재(15) 및 하부 기재(6)로서 동일한 형상의 기재를 사용할 수 있어, 생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일재(19)의 박리 등을 억제할 수 있어, 조광 필름(1E)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변형 형태]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조광 필름은 차량의 선루프에 접합되는 형태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차량의 다른 창(리어 윈도우, 프론트 윈도우, 사이드 윈도우)에 접합시켜도 되고, 건물 등의 창에 접합시켜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조광 필름이 접합되는 투광 부재는, 유리에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이나 PC 등의 수지제의 판상 등의 투광 부재에 접합시켜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전기 배선으로서, FPC에 한정되지 않고, 절연층에 구리박이 적층된 부재를 조광 필름 상에 접합시키거나 하여 사용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로부터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정셀(4)은 VA 방식 대신에, TN(Twisted Nematic) 방식, IPS(In Plane Switching) 방식 등, 각종 구동 방식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로부터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정층(8)은 게스트 호스트형 액정을 사용해도 된다.
1, 1A, 1B, 1C, 1D, 1E: 조광 필름
2: 직선 편광판
2A, 3A: 위상차 필름
3: 직선 편광판
4: 액정셀
4a: 액정 분자
5D: 하측 적층체
5DL: 하부 제1 측변
5DS: 하부 제2 측변
5DS, 5DU: 측변
5U: 상측 적층체
5UL: 상부 제1 측변
5USC: 상부 제2 측변
5d, 5u: 노출면
6: 기재(상부 기재)
8: 액정층
11: 투명 전극(상측 투명 전극)
12: 스페이서
13: 배향층(하측 배향층)
15: 기재(상부 기재)
16: 투명 전극(상측 투명 전극)
17: 배향층(상측 배향층)
19: 시일재
191: 비즈 시일부
130: 차량
131: 개구
132: 선루프

Claims (15)

  1. 수직 배향형의 액정층을 갖는 조광 필름이 선루프에 설치된 차량이며,
    상기 조광 필름은,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 경우에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이, 해당 차량의 후방이 되도록, 해당 차량의 선루프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 필름의 급전 위치가, 상기 조광 필름의 테두리부이며 해당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조광 필름의 중앙보다도 후방인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 필름은,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 경우에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이, 해당 차량의 경사 후방이 되도록, 해당 차량의 선루프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 필름은,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 경우에 액정 분자가 쓰러지는 방향이, 상기 조광 필름의 면 내 방향에 있어서, 해당 차량의 진행 방향을 0°로 했을 때의 ±135° 및 그 근방이 되는 방향인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 필름의 급전 위치가, 상기 조광 필름의 테두리부이며 해당 차량의 경사 후방인 차량.
  6. 기재 상에 배치되고, 구동 전원에 접속되는 급전점이 마련된 면 형상의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배선
    을 구비하고,
    상기 급전점은, 상기 투명 전극의 외측 테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기 배선은, 상기 급전점으로부터 상기 기재의 상기 외측 테두리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급전점과 다른 위치에 마련된 접속점에서 상기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광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제1 기재 및 제2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제1 기재에 배치된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기재에 배치된 제2 투명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는, 사이에 액정을 끼워서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투명 전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2 기재측의 면에는, 상기 제2 기재와 겹치지 않는 제1 노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제1 기재측의 면에는, 상기 제1 기재와 겹치지 않는 제2 노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 배선은 상기 제1 노출면 및 상기 제2 노출면에 배치되어 있는 조광 필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제1 기재 및 제2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제1 기재에 배치된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기재에 배치된 제2 투명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는, 사이에 액정을 끼워서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투명 전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는, 서로 겹치는 적층 영역과, 서로 겹치지 않는 노출면이 발생하도록 하여 적층되고,
    상기 적층 영역에는, 액정 및 상기 액정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시일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시일재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는, 상기 제1 투명 전극을 포함하지 않는 제1 노출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시일재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는, 상기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하지 않는 제2 노출 영역이 존재하는 조광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전극은, 일부분이 다른 부분과 절연되고, 상기 일부분은,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조광 필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배선은, 구리박의 두께가 9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인 조광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구리박이 절연층을 통해 2층 적층되어 있는 조광 필름.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배선은, 상기 급전점을 기점으로 하여,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2변을 따라서 연장되는 조광 필름.
  13. 투명 부재와,
    상기 투명 부재에 배치되는 제6항에 기재된 조광 필름
    을 구비하는 조광 부재.
  14. 외광이 입사하는 부위에 배치되는 제6항에 기재된 조광 필름을 구비하는 차량.
  15. 구동 전원에 접속되는 급전점이 마련된 면 형상의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배선
    을 구비하는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이며,
    상기 투명 전극의 외측 테두리부에 마련된, 상기 급전점과, 상기 급전점과 다른 위치에 마련된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투명 전극에 급전하는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KR1020197002088A 2016-07-29 2017-07-28 조광 필름, 조광 부재,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KR10240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6937A KR102635943B1 (ko) 2016-07-29 2017-07-28 조광 필름, 조광 부재,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0260 2016-07-29
JP2016150260 2016-07-29
JP2016182853 2016-09-20
JPJP-P-2016-182853 2016-09-20
PCT/JP2017/027569 WO2018021571A1 (ja) 2016-07-29 2017-07-28 調光フィルム、調光部材、車両、調光フィルムの給電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937A Division KR102635943B1 (ko) 2016-07-29 2017-07-28 조광 필름, 조광 부재,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487A true KR20190031487A (ko) 2019-03-26
KR102401523B1 KR102401523B1 (ko) 2022-05-24

Family

ID=610169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088A KR102401523B1 (ko) 2016-07-29 2017-07-28 조광 필름, 조광 부재,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KR1020227016937A KR102635943B1 (ko) 2016-07-29 2017-07-28 조광 필름, 조광 부재,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937A KR102635943B1 (ko) 2016-07-29 2017-07-28 조광 필름, 조광 부재,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41731B2 (ko)
EP (2) EP3822699B1 (ko)
KR (2) KR102401523B1 (ko)
CN (2) CN114578601A (ko)
WO (1) WO2018021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1883A (zh) * 2018-06-29 2021-02-09 Agp美洲股份公司 具有可切换液晶层的层压玻璃
US11874542B2 (en) * 2020-05-27 2024-01-16 Beijing Boe Sensor Technology Co., Ltd. Light control glass and method for detecting tension thereof
CN111999926A (zh) * 2020-09-10 2020-11-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调光玻璃
KR20230166461A (ko) * 2022-05-31 2023-12-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투과율 가변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1262A (ja) 1992-06-08 1993-12-24 Hitachi Ltd 放電灯点灯装置
JPH06160804A (ja) 1992-11-27 1994-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用照明装置
JPH08327987A (ja) * 1995-03-24 1996-12-13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50013874A (ko) * 2003-07-29 2005-0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20060099664A (ko) * 2005-03-14 2006-09-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40107613A (ko) * 2011-12-29 2014-09-04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액정에 의한 가변 확산성을 갖는 다중 창유리
KR20150114123A (ko) * 2014-03-31 2015-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3929A (ja) 1984-04-09 1985-10-26 Toyota Motor Corp 液晶セル
EP0238164B1 (en) 1986-01-17 1993-11-03 Raychem Corporation Liquid crystal panel
JPH0247627A (ja) 1988-08-09 1990-02-16 Nippon Denso Co Ltd 自動調光装置
JP2507883Y2 (ja) 1988-10-31 1996-08-21 タキロン 株式会社 調光材
JPH0618856A (ja) * 1992-06-30 1994-01-28 Toyota Motor Corp 3次曲面用液晶調光素子
JPH0954297A (ja) 1995-08-14 1997-02-25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AU4153397A (en) * 1996-08-20 1998-03-06 Donnelly Corporation Window assembly with controllable optical transmission
JP3395878B2 (ja) * 1996-12-20 2003-04-1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GB0228269D0 (en) * 2002-12-04 2003-01-0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display devices
JP2007102210A (ja) * 2005-09-12 2007-04-19 Asahi Glass Co Ltd 調光装置
US20070058114A1 (en) 2005-09-12 2007-03-15 Asahi Glass Company, Limited Light control device
JP5076458B2 (ja) * 2006-11-24 2012-11-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KR101350908B1 (ko) * 2006-12-05 2014-01-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정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80952A (ja) * 2007-01-25 2008-08-07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CN102016703B (zh) * 2008-04-25 2013-05-15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JPWO2010100807A1 (ja) * 2009-03-02 2012-09-06 九州ナノテック光学株式会社 液晶ブラインド装置とその使用方法
ES2616252T3 (es) * 2009-04-10 2017-06-12 Ravenbrick, Llc Filtro óptico conmutado térmicamente que incorpora una arquitectura de huésped-hospedador
JP2011075843A (ja) * 2009-09-30 2011-04-14 Technology Research Association For Advanced Display Materials 液晶ディスプレイ製造装置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FR2964473B1 (fr) * 2010-09-03 2012-08-17 Saint Gobain Vitrage multiple a diffusion variable par cristaux liquides,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965641B1 (fr) 2010-10-04 2013-10-11 Saint Gobain Vitrage multiple a diffusion variable par cristaux liquides,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8643933B2 (en) 2011-12-14 2014-02-04 View, Inc. Connectors for smart windows
FR2985327B1 (fr) * 2011-12-29 2013-12-20 Saint Gobain Vitrage multiple a diffusion variable par cristaux liquides,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986625B1 (fr) * 2012-02-06 2014-11-21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KR101359297B1 (ko) * 2012-05-18 2014-02-11 박경진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EP2759871A1 (en) * 2013-01-25 2014-07-30 Stanley Electric Co., Ltd. Vertically orient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810963B2 (en) 2013-03-07 2017-11-07 Switch Materials, Inc. Seal and seal system for a layered device
KR20160022030A (ko) 2014-08-19 2016-0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투명도 가변 글래스 및 글래스 투명도 제어 장치
US9517721B2 (en) * 2014-08-22 2016-12-13 Guardian Industries Corp. Vehicle sunroof with switchable glazing and side-firing light emitting diodes
JP6460717B2 (ja) 2014-10-16 2019-01-30 株式会社 オルタステクノロジー 光スイッチ装置
JP2016126289A (ja) 2015-01-08 2016-07-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セル、調光材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6126288A (ja) 2015-01-08 2016-07-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セル、調光材及び合わせガラス
CN105522895B (zh) * 2016-01-29 2018-06-05 杨檩 车用电控液晶调光分区挡光板及其控制方法
CN105667266A (zh) * 2016-02-25 2016-06-15 智车优行科技(北京)有限公司 车辆玻璃透明度控制装置及智能车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1262A (ja) 1992-06-08 1993-12-24 Hitachi Ltd 放電灯点灯装置
JPH06160804A (ja) 1992-11-27 1994-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用照明装置
JPH08327987A (ja) * 1995-03-24 1996-12-13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50013874A (ko) * 2003-07-29 2005-0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JP2005049808A (ja) * 2003-07-29 2005-02-24 Samsung Sdi Co Ltd 平板表示装置
KR20060099664A (ko) * 2005-03-14 2006-09-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40107613A (ko) * 2011-12-29 2014-09-04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액정에 의한 가변 확산성을 갖는 다중 창유리
KR20150114123A (ko) * 2014-03-31 2015-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523B1 (ko) 2022-05-24
EP3492966A1 (en) 2019-06-05
EP3492966A4 (en) 2020-05-27
WO2018021571A1 (ja) 2018-02-01
CN114578601A (zh) 2022-06-03
CN109477987B (zh) 2022-03-01
KR20220070346A (ko) 2022-05-30
EP3822699B1 (en) 2023-04-26
KR102635943B1 (ko) 2024-02-14
CN109477987A (zh) 2019-03-15
US11541731B2 (en) 2023-01-03
EP3822699A1 (en) 2021-05-19
US20190241050A1 (en) 2019-08-08
EP3492966B1 (en)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369B1 (ko) 조광 시스템, 조광 필름의 구동 방법, 차량
KR101292466B1 (ko) 입체 화상 표시 장치
KR101230067B1 (ko) 입체 화상 표시장치
KR20190031487A (ko) 조광 필름, 조광 부재, 차량, 조광 필름의 급전 방법
US20110096251A1 (en) Stereoscop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229267B2 (en) Liquid crystal lens panel comprising a liquid crystal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0.2 to 0.29 and a dielectric constant of 5.5 F/m to 10 F/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1095407A (ja) 表示素子
JP6958070B2 (ja) 調光フィルム、調光部材、車両
WO2012096032A1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20097146A (ko) 액정표시장치
JPWO2012053457A1 (ja) 2次元画像/立体画像切換え用レンズアレイ
KR102283983B1 (ko) 액정표시장치
US20240004243A1 (en) Liquid crystal light control device
CN109884820B (zh) 透明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JP6128269B1 (ja) 調光フィルム
KR20120012600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2034648A (zh) 显示装置
TWM587282U (zh) 顯示裝置
JP2010276909A (ja) 液晶表示装置
JP6759889B2 (ja) 調光フィルム及び調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078020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8049260A (ja) 車両
KR102135918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6206539B1 (ja) 調光フィルムの取付方法及び車両
KR10185706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