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573A -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573A
KR20190029573A KR1020197000243A KR20197000243A KR20190029573A KR 20190029573 A KR20190029573 A KR 20190029573A KR 1020197000243 A KR1020197000243 A KR 1020197000243A KR 20197000243 A KR20197000243 A KR 20197000243A KR 20190029573 A KR20190029573 A KR 20190029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derived
substance
conjugate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미요시 니시타니
야스시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9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93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or stability, e.g. by coating or irradiation of surface, by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by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6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e.g.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변 유래의 샘플을 불용성 멤브레인 중을 전개시킴으로써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에 있어서, 분변에 특유의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 이상 갖는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분변 유래 샘플에서 기인하는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여, 분변 유래 샘플 중의 검출 대상 물질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특히,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에 대하여, 종래의 방법으로는 억제할 수 없었던 비특이 반응을 본 발명의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 이상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을 이용함으로써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Description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
본 발명은,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변 유래 샘플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검출 키트 그리고 샘플 희석액에 관한 것이다.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은, 특이성이나 감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다는 점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당해 검출 방법에 적용되는 시료로서는, 소변, 분변, 타액, 혈액, 혈청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임상 검사 시료로서 적합하고, 진단상 유용한 시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분변을 시료로 하여, 이것에 포함되는 피검출 물질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검출하기 위해서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시료의 전개 그 자체의 방해가 되는 것 같은 물질이나, 피검출 물질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존재하는 것 같은 반응, 소위 비특이 반응의 원인이 되는 것 같은 물질의 영향을 최대한 배제할 필요가 있다.
비특이적 반응을 배제하기 위한 일반적인 블로킹제로서, 젤라틴, 카제인, 소 혈청 알부민, 합성 고분자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반응의 계내에 공존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그러나, 이들이 실제로 분변 유래 샘플에서 기인하는 비특이 반응의 억제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그런데, 특허문헌 3에는, 분변을 시료로 한 ELISA 등에 의한 검출에서는, 감도가 낮고, 비특이 반응이 많다는 점에서 결과의 판정에 고심하고 있었다는, 분변을 검체로 할 경우의 문제점이 예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는, 이를 해결하여 노로바이러스 또는 사포바이러스를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검출할 때에, pH 9.0 내지 10.0의 검체용 희석액을 사용함으로써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방법에서는 샘플 희석액으로서 일반적이라고는 할 수 없는 알칼리측으로 샘플 희석액을 제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취급의 면에 있어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과,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검체 전처리액으로 생체 시료를 전처리함으로써 면역 반응의 검출 감도를 높이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생체 시료로서 다수 열거되어 있는 것 중에 분변도 포함되어 있지만, 실시예에서 확인된 것은 인플루엔자 환자의 콧물 또는 인두 세척액이며, 검출 방법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분변 유래 샘플 중의 검출 대상 물질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변 유래 샘플에서 기인하는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44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826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01684호 공보 국제 공개 WO02/010744호 팸플릿
본 발명은, 분변 유래의 샘플을 불용성 멤브레인 중을 전개시킴으로써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에 있어서, 분변에 특유의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 이상 갖는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분변 유래 샘플에서 기인하는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여, 분변 유래 샘플 중의 검출 대상 물질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특히,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에 대하여, 종래의 방법으로는 억제할 수 없었던 비특이 반응을 본 발명의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을 이용함으로써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분변 유래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면역 반응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검출 방법.
<2>
분변 유래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A) 내지 (C)의 공정을 포함하는 검출 방법.
(A) 하기 테스트 스트립의 샘플 공급부에,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완충액을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 그리고 분변 유래 샘플을 공급하는 공정
테스트 스트립;
적어도 샘플 공급부, 전개부 및 검출부를 구비한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을 갖고, 전개부의 일부에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제1 항체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가 용출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전개부의 일부이며 콘쥬게이트 유지 부분보다 하류측에 제2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는 검출부를 가짐
(B) 샘플 중의 검출 대상 물질을 콘쥬게이트와 접촉시키는 공정
(C) 샘플 중의 검출 대상 물질과 콘쥬게이트의 복합체를 검출부에 있어서 검출하는 공정
<3>
분변 유래 샘플이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인 <1> 또는 <2>에 기재된 검출 방법.
<4>
분변 유래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비특이 반응 억제 방법으로서,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면역 반응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5>
분변 유래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비특이 반응 억제 방법으로서, (A) 내지 (C)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A) 하기 테스트 스트립의 샘플 공급부에,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완충액을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 그리고 분변 유래 샘플을 공급하는 공정
테스트 스트립;
적어도 샘플 공급부, 전개부 및 검출부를 구비한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을 갖고, 전개부의 일부에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제1 항체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가 용출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전개부의 일부이며 콘쥬게이트 유지 부분보다 하류측에 제2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는 검출부를 가짐
(B) 샘플 중의 검출 대상 물질을 콘쥬게이트와 접촉시키는 공정
(C) 샘플 중의 검출 대상 물질과 콘쥬게이트의 복합체를 검출부에 있어서 검출하는 공정
<6>
분변 유래 샘플이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인 <4> 또는 <5>에 기재된 방법.
<7>
이하의 구성 (1) 및 (2)를 포함하는, 분변 유래 샘플용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검출 키트.
(1) 적어도 샘플 공급부, 전개부 및 검출부를 구비한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을 갖고, 전개부의 일부에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제1 항체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가 용출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전개부의 일부이며 상기 콘쥬게이트 유지 부분보다 하류측에 제2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는 검출부를 갖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2)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완충액을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
<8>
분변 유래 샘플이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인 <7>에 기재된 검출 키트.
<9>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완충액을 포함하는 면역 측정용의 영유아 분변 유래 샘플 희석액.
<10>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완충액을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과, 영유아 분변 유래 샘플을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영유아 분변 유래 샘플의 면역 측정에 있어서의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샘플 전처리 방법.
본 발명의,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 이상 갖는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에 있어서, 분변 샘플에서 기인하는 특유의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여,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에 대하여, 종래의 방법으로는 억제할 수 없었던 특유의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성인 샘플 뿐만 아니라, 영유아 샘플도 대상이 되는 검출 항목에 있어서, 어떤 분변 샘플이어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피검출 물질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테스트 스트립의 모식 구성도이다.
(샘플)
본 발명에 있어서, 샘플로서는 인간의 분변 유래인 것이 대상이 된다. 인간의 분변은, 성인의 분변 및 영유아의 분변 모두 대상이 되지만, 본 발명은 특히, 영유아의 분변에서 유래하는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영유아란, 신생아, 영아, 유아(7세 미만)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분변은 그대로 샘플로서 사용해도 되고, 적절히 샘플 희석액에 의해 희석하여 샘플로 해도 된다. 또한, 적절히 희석하여 여과한 것을 샘플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샘플 희석액은, 그 밖에는 검체 희석액, 샘플 추출액, 샘플 전개액 등이라 불리는 경우도 있으며, 모두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샘플 희석액)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은,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적어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완충액을 더 포함한다.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개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소위 디카르복실산인 옥살산(에탄이산), 말론산(프로판이산), 숙신산(부탄이산), 글루타르산(펜탄이산), 아디프산(헥산이산), 푸마르산((E)-부트-2-엔이산), 말레산((Z)-부트-2-엔이산), L-글루탐산, L-아스파라긴산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L-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3개 포함하는 화합물로서는, 트리카르복실산인 아코니트산(2-카르복시프로프-1-엔트리카르복실산), 시트르산, 이소시트르산, 트리카발릴산, 트리메스산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로서는,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상기와 같은 화합물 그 자체 이외에, 당해 화합물의 염이나 유도체도 포함된다.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등의 금속염을 들 수 있으며, 유도체로서는 아미드, 에스테르, 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 중의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의 농도 범위는, 5mM 내지 300mM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가 2개인 경우에는, 10mM 내지 300mM이 더욱 바람직하고, 20mM 내지 300mM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50mM 내지 300mM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이외에도, 30mM 내지 300mM, 40mM 내지 300mM, 60mM 내지 300mM, 70mM 내지 300mM, 80mM 내지 300mM, 90mM 내지 300mM, 100mM 내지 300mM을 들 수 있다. 또한, 10mM 내지 250mM, 10mM 내지 200mM, 10mM 내지 150mM, 10mM 내지 100mM도 들 수 있다.
카르복시기가 3개인 경우에는, 5mM 내지 250mM이 더욱 바람직하고, 10mM 내지 250mM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0mM 내지 250mM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이외에도 30mM 내지 250mM, 40mM 내지 250mM, 50mM 내지 250mM, 60mM 내지 250mM, 70mM 내지 250mM, 80mM 내지 250mM, 90mM 내지 250mM, 100mM 내지 250mM을 들 수 있다. 또한, 5mM 내지 200mM, 5mM 내지 150mM, 5mM 내지 100mM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에 포함되는 완충액으로서는, 인산 완충액, 트리스 완충액, 굳 완충액 등 통상 사용되는 완충액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은, 상기 화합물과 완충액을 포함하는 것이면 되고,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완충액이어도 되고, 염화나트륨 등의 염류, 수크로오스 등의 안정제나 보존제, 프로클린(등록 상표) 등의 방부제 등을 더 포함해도 된다. 염류는 염화나트륨 등과 같이 이온 강도의 조정을 위해 포함시키는 것 이외에, 수산화나트륨 등 완충액의 pH를 조정하는 목적으로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의 pH는 6.0 내지 9.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6.5 내지 8.0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내지 8.0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은, 샘플을 희석하기 위한 액이라는 점에서, 분변 샘플을 샘플 희석액에 첨가하여, 샘플을 용해, 추출 혹은 분산시켜 희석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전형적으로는, 테스트 스트립의 샘플 패드에 샘플을 공급하는 시점에 샘플과 샘플 희석액은 혼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외에 샘플을 직접 혹은 다른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 이외의 희석액으로 희석한 것을 샘플 패드에 공급하고, 동시에 혹은 늦게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을 상기 샘플 패드에 공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검출 방법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은, 면역 측정에 있어서의 영유아 분변 유래 샘플의 비특이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면역 측정용의 영유아 분변 유래 샘플용의 희석액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면역 측정법으로서는, 면역 반응을 이용하는 검출 방법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입자 응집 면역 검정법인 라텍스 면역 응집법(이하, LTIA법이라 한다), 대표적인 표지 면역 검정법인 ELISA법,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이 중에서도 특히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이 바람직하다. 면역 측정법으로서 상기 LTIA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변 유래 샘플을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으로 희석한 후, 라텍스 시약과 혼합함으로써 면역 응집 반응을 검출할 수 있다. 라텍스 시약이, 완충액을 포함하는 제1 시약과 라텍스 시약을 포함하는 제2 시약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 시약으로서 본 발명의 검체 희석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과, 영유아 분변 유래 샘플을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영유아 분변 유래 샘플의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샘플 전처리 방법도 제공한다.
(피검출 물질)
본 발명의 피검출 물질로서는, 샘플인 분변 중에 포함되며, 항원 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고, 바이러스, 기생충, 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염성 위장염은, 바이러스 및 기생충이 주된 원인이며, 피검출 물질이 되는 바이러스로서는, 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사포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고, 피검출 물질이 되는 기생충으로서는 크립토스포리듐, 아메바 이질, 지아르디아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피검출 물질이 되는 바이러스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피검출 물질이 되는 단백질로서는, 인간 헤모글로빈, 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인간 면역 부전 바이러스 항체 등을 들 수 있다.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본 발명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은, 분변 유래의 샘플을 불용성 멤브레인 중을 전개시킴으로써,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과 콘쥬게이트의 복합체를 검출하는 테스트 스트립이다. 당해 테스트 스트립은, (1) 샘플 공급부 (2) 전개부 (3) 검출부를 구비한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을 갖고, 전개부의 일부에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제1 항체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가 용출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전개부의 일부이며 콘쥬게이트 유지 부분보다 하류측에 제2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는 검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은, 상기 샘플 희석액에 포함되어 있는 양태 이외에, 테스트 스트립을 구성하는 패드의 일부에 함침시키는 양태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샘플 패드, 서드 패드, 콘쥬게이트 패드, 불용성 멤브레인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은, 필터 칩에 함침되는 양태도 있을 수 있다.
콘쥬게이트는, 피검출 물질에 대하여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원이 표지체에 고정화된 것이며, 콘쥬게이트의 존재 양식으로서는, 콘쥬게이트 패드로서, 샘플 패드, 서드 패드, 불용성 멤브레인 이외의 다른 패드에 함침된 상태로 존재해도 되고(타입 A), 샘플 패드의 일부에 콘쥬게이트부로서 존재해도 되고(타입B), 나아가 테스트 스트립과는 별도로, 검체와 혼합되도록 개별의 콘쥬게이트 시약으로서 존재해도 된다(타입 C).
이하, 콘쥬게이트의 존재 양식이 상기 타입 A인 테스트 스트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샘플의 흐름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 샘플 패드, 콘쥬게이트 패드, 서드 패드, 불용성 멤브레인이 순서대로 배치되고, 각각 상하의 층과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예의 테스트 스트립을 도 1에 도시한다.
이러한 테스트 스트립의 샘플 패드에 피검출 물질을 함유하는 샘플이 공급되면, 피검출 물질은 샘플 패드를 통과하여 하류측의 콘쥬게이트 패드로 흐른다. 콘쥬게이트 패드에서는, 피검출 물질과 콘쥬게이트가 접촉하여 복합체(응집체)를 형성하면서 당해 패드를 통과한다. 그 후, 복합체는 콘쥬게이트 패드의 하면에 접촉하여 배치된 다공질 서드 패드를 통과하고, 불용성 멤브레인으로 전개된다.
불용성 멤브레인에는, 그의 일부에 피검출 물질에 대하여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원이 고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복합체가 여기에서 면역 반응에 의해 결합하여 고정화되게 된다. 고정화된 복합체는, 콘쥬게이트에서 유래하는 흡광도, 반사광, 형광, 자기 등을 검출하는 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이어서, 콘쥬게이트의 존재 양식이 타입 B인 테스트 스트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타입 A의 테스트 스트립과의 차이는, 샘플 패드와 콘쥬게이트 패드가 일체로 된 점, 즉 샘플 패드의 일부에 샘플 공급부 및 콘쥬게이트부가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상기 샘플 공급부는, 피검출 물질을 함유하는 샘플을 공급하는 부위이고, 상기 콘쥬게이트부는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 부위이고, 샘플 공급부가 콘쥬게이트부의 상류측이 된다.
이어서, 콘쥬게이트의 존재 양식이 타입 C인 테스트 스트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타입 A의 테스트 스트립과의 차이는, 콘쥬게이트 패드가 존재하지 않고, 콘쥬게이트는 개별의 콘쥬게이트 시약으로서 존재하는 점이다. 예를 들어, 필터 중에 콘쥬게이트가 내장된 필터 칩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칩을 사용하여, 샘플 희석액 및 피검출 물질을 통과시킴으로써 콘쥬게이트와 피검출 물질이 결합하고, 복합체(응집체)를 형성한다. 이것을 콘쥬게이트 패드를 갖지 않는 것 이외는 타입 A와 동일한 상기 테스트 스트립에 공급함으로써, 피검출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콘쥬게이트 패드나 필터 칩에는, 이외에 본 발명의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샘플 패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샘플 패드란, 샘플을 받아들이는 부위이며, 패드에 성형된 상태로 액체의 샘플을 흡수하고, 액체와 검출 대상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어떤 물질 및 형태도 포함한다. 샘플 패드에 적합한 재료의 구체예로서, 유리 섬유(글래스 파이버), 아크릴 섬유, 친수성 폴리에틸렌재, 건조지, 종이 펄프, 직물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하게는, 글래스 파이버제 패드가 사용된다. 해당 샘플 패드에는, 후술하는 콘쥬게이트 패드의 기능을 겸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샘플 패드에는, 항체 고정화 멤브레인에 있어서의 비특이적 반응(흡착)을 방지·억제하는 목적으로, 통상 사용되는 블로킹 시약을 포함시킬 수 있다.
샘플 패드에는, 이외에 본 발명의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서드 패드)
서드 패드는, 시료의 성상 등에 의해 필요에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과 콘쥬게이트의 복합체를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불용성 멤브레인의 클로깅을 억제하기 위해, 혹은 분변 유래의 비특이 반응 물질을 포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위해, 서드 패드는 폴리술폰 또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다공질성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질성 서드 패드의 평균 구멍 직경은 1 내지 100㎛가 예시되며, 5 내지 80㎛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60㎛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55㎛가 더욱 바람직하고, 20 내지 50㎛가 특히 바람직하고, 25 내지 45㎛가 가장 바람직하다.
1㎛ 미만이면 클로깅의 원인이 되고, 검체의 흐름 자체가 느려지기 때문이며 100㎛보다 크면 상기 비특이 반응 물질을 포착하는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서드 패드에는, 이외에 본 발명의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불용성 멤브레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불용성 멤브레인은, 피검출 물질에 대하여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원이 고정화된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를 갖는다. 피검출 물질에 대하여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원의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로의 고정화는,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래터럴 플로우식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시약의 경우에는, 상기한 항체 또는 항원을 소정의 농도로 함유하는 액을 제조하고, 노즐로부터 액을 일정한 속도로 토출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구를 갖는 장치 등을 사용하여, 상기 액을 라인상으로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고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액의 항체 또는 항원의 농도는 0.1 내지 5mg/mL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2mg/mL가 더욱 적합하다. 또한, 항체 또는 항원의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로의 고정화량은, 래터럴 플로우식의 경우에는 상기한 장치의 노즐로부터의 토출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최적화할 수 있으며, 0.5 내지 2μL/cm가 적합하다.
또한, 상기 래터럴 플로우식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시약을 사용한 측정 방법은, 샘플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에 대하여 병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전개되는 방식의 측정 방법이다.
또한, 상기한 항체 또는 항원을 소정의 농도로 함유하는 액은, 완충액에 항체 또는 항원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해당 완충액의 종류로서는, 인산 완충액, 트리스 완충액, 굳 완충액 등 통상 사용되는 완충액을 들 수 있다. 완충액의 pH는 6.0 내지 9.5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6.5 내지 8.5가 보다 바람직하고, 7.0 내지 8.0이 더욱 바람직하다. 완충액에는, 염화나트륨 등의 염류, 수크로오스 등의 안정제나 보존제, 프로클린(등록 상표) 등의 방부제 등을 더 포함해도 된다. 염류는 염화나트륨 등과 같이 이온 강도의 조정을 위해 포함시키는 것 이외에, 수산화나트륨 등 완충액의 pH를 조정하는 목적으로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불용성 멤브레인에 항체 또는 항원을 고정화한 후, 추가로 통상 사용되는 블로킹제를 용액 혹은 증기상으로 하여 항체 또는 항원을 고정화한 부위 이외를 피복하여, 블로킹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불용성 멤브레인에는, 종래부터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시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컨트롤 포착 시약을 고정화해도 된다. 해당 컨트롤 포착 시약은, 분석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한 시약이며, 콘쥬게이트 패드에 포함시킨 컨트롤 시약을 포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콘쥬게이트 패드에 표지된 열쇠구멍삿갓조개 유래 헤모시아닌(이하, KLH라 한다)을 컨트롤 시약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항KLH 항체 등이 컨트롤 포착 시약에 해당한다. 컨트롤 포착 시약을 고정화하는 위치는, 분석계의 설계에 적합하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불용성 멤브레인에는, 이외에 본 발명의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용성 멤브레인을 구성하는 멤브레인으로서는, 종래부터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시약의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멤브레인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류, 유리, 셀룰로오스나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의 다당류, 세라믹스 등으로 이루어진 섬유로 구성되는 멤브레인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토리우스사, 밀리포어사, 도요 로시사, 와트만사 등으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유리 섬유 여과지나 셀룰로오스 여과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사토리우스사, UniSart CN140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의 구멍 직경과 구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콘쥬게이트와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의 복합체가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 중을 흐르는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은, 플라스틱제 점착 시트와 같은 고상 지지체 상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고상 지지체는, 샘플 및 콘쥬게이트의 모관류를 방해하지 않는 물질로 구성한다. 또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을 고상 지지체 상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화해도 된다. 이 경우, 접착제의 성분 등에 있어서도 샘플 및 콘쥬게이트의 모관류를 방해하지 않는 물질로 구성한다. 해당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은,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의 크기, 샘플의 첨가 방법이나 첨가 위치, 불용성 멤브레인의 검출부의 형성 위치, 시그널의 검출 방법 등을 고려한 적당한 용기(하우징)에 저장·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저장·탑재된 상태를 「디바이스」라 한다.
(피검출 물질에 대하여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검출 물질에 대하여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원은, 피검출 물질에 결합 가능한 항체 또는 항원이며, 피검출 물질이 바이러스나 항원인 경우에는 항체, 피검출 물질이 항체인 경우에는 항원이 바람직하다. 피검출 물질에 대하여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원은, 후술하는 표지체 및 검출부에 고정화된다. 표지체 및 검출부에 고정화되는 항체 또는 항원은 동일해도 되지만, 표지체와 검출부에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표지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표지체는, 종래부터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표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 콜로이드 입자나 백금 콜로이드 입자 등의 콜로이드상 금속 입자, 컬러 라텍스 입자, 자성 입자, 형광 입자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금 콜로이드 입자, 컬러 라텍스 입자가 바람직하다.
(콘쥬게이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콘쥬게이트는, 상기와 같은 표지체에 피검출 물질에 대하여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원이 고정화된 것이다. 콘쥬게이트는, 피검출 물질이 로타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또는 노로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경우, 금 콜로이드 입자에 항로타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 항아데노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항노로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가 고정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피검출 물질에 대하여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원을 표지체로 고정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물리 흡착, 화학 결합 등을 들 수 있으며, 물리 흡착에 의해 고정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비특이 억제 방법과의 병용)
본 발명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을 이용한 검출 방법은, 또한 측정 조건, 샘플의 종류에 따라 다른 비특이 억제 방법과의 병용도 가능하다.
다른 비특이 억제 방법과의 병용에 의해,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과 성인의 분변 유래 샘플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비특이가 억제된 검출 방법이 실현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비특이 반응을 방지하는 다른 블로킹제를 동시에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블로킹제는,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에 첨가하는 경우나, 샘플 패드, 서드 패드, 불용성 멤브레인, 콘쥬게이트에 포함시키는 경우 등이 있다.
다른 블로킹제로서는, 블로킹 효과가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은, 특히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에 대하여 비특이 반응 억제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성인의 분변 유래 샘플에 대하여 비특이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다른 시약이나, 다른 구성과 조합함으로써, 동일한 검사 항목에 대하여, 샘플의 종류(성인인지 영유아인지)에 구애되지 않고 동일 종류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테스트 스트립으로 검출이 가능하다.
다른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서드 패드 등을 들 수 있다.
(키트)
본 발명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키트는, 상기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샘플 희석액을 포함하는 것이면 된다. 본 검출 키트는, 이외에 검출에 필요한 시약, 시험용 튜브, 변 채취용의 면봉, 취급 설명서, 테스트 스트립 저장용의 하우징 등을 포함해도 된다.
(기타)
본 명세서 중, 상류 또는 하류라는 의미는, 샘플이 흐르는 방향의 상류측, 하류측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의 테스트 스트립에서 위로부터 샘플 패드, 콘쥬게이트 패드, 서드 패드, 불용성 멤브레인이 일부에서 겹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경우, 샘플 패드가 가장 상류이며, 불용성 멤브레인이 하류가 된다. 또한, 불용성 멤브레인의 하류측 단부가 겹치도록 위에 엔드 패드가 적층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 엔드 패드가 가장 하류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샘플 희석액으로의 음이온성 물질의 첨가 검토<로타바이러스 및 아데노바이러스 측정 시약의 경우>
비특이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탐색을 위해, 음이온성 물질에 대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1. 시험 재료
(1) 테스트 디바이스
항로타바이러스 항체 및 항아데노바이러스 항체를 사용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을 포함하는 테스트 디바이스를 제조하였다.
도 1에, 본 발명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의 모식 구성도를 도시하였다.
플라스틱제 점착 시트(a)에 불용성 멤브레인(b)을 붙이고, 이어서 서드 패드(g), 콘쥬게이트 패드(d), 샘플 패드(e)를 순서대로 배치 장착하고, 반대측의 끝에는 흡수 패드(f)를 배치 장착하였다. 콘쥬게이트 패드에는, 금 콜로이드에 항아데노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를 감작한 콘쥬게이트 및 금 콜로이드에 항로타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를 감작한 콘쥬게이트가 함침되어 있으며, 불용성 멤브레인에는, 항아데노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 항로타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 및 컨트롤 시약이 흐름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라인 상에 고정화되어 있다. 각 패드는, 상하의 패드와 그의 일부가 접하도록 적층하여 배치된다. 항아데노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 및 항로타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하는 라인을 테스트 라인(c1, c2), 컨트롤 시약을 포함하는 라인을 컨트롤 라인(c3)이라 한다.
이와 같이 각 구성 요소를 중첩한 구조물을 일정 폭으로 절단하여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을 제작하였다. 테스트 스트립을 전용의 플라스틱제 하우징에 저장·탑재하고,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테스트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의 형태로 하였다.
(2) 샘플 희석액
시트르산3Na 2H20(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3개), 말레산(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 L-아스파라긴산Na(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 L-글루탐산Na(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 1-헵타술폰산Na(종래의 샘플 희석액에 포함되어 있었던 화합물) 또는 트리클로로아세트산3Na(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1개)를 표 1에 나타내는 첨가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pH 7.6)에 첨가하여 샘플 희석액을 조정하였다.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샘플 희석액도 제조하였다.
(3) 샘플
로타바이러스 및 아데노바이러스 음성의 영유아(생후 40일 미만, 3명)의 분변을 검체로서 사용하였다. 각 검체 0.1mg을 상기 (2)에서 제조한 샘플 희석액 1.0mL에 현탁하고, 그의 상청을 샘플로 하였다.
2. 시험 방법
테스트 디바이스에 샘플 120μL를 적하하고, 10분, 20분, 30분 후에 테스트 라인의 발색 강도를 「컬러 차트」라는 색 견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컬러 차트에 의한 발색 강도는 0 내지 4까지 0.25 간격의 값으로 수치화되어 있으며, 0.25 미만의 매우 약한 비특이 반응에 대해서는 또한, SS(매우 약하다), S(약하다)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발색 강도의 평가 결과로부터, 비특이 반응의 강도의 평가를 행하였다.
각 평가 기준은, 표 1의 아래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 내지 표 6 중, 「Rota」, 「Adeno」, 「noro」는, 각각 로타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를 검출 항목으로 한 경우를 나타낸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의하면, 시트르산3Na 2H20(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3개), 말레산(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 L-아스파라긴산Na(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 L-글루탐산Na(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를 첨가한 샘플 희석액을 사용하여 영유아 분변 중의 로타바이러스 및 아데노바이러스를 검출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첨가 농도 혹은 모든 농도에서 비특이 반응 억제 효과가 보였다.
한편, 트리클로로아세트산3Na(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1개)를 첨가한 샘플 희석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어느 것의 첨가 농도에 있어서도 비특이 반응 억제 효과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샘플 희석액인 1-헵타술폰산Na를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을 사용한 경우에도 비특이 반응 억제 효과가 보이지 않았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의 샘플 희석액으로의 첨가 농도의 검토<로타바이러스 및 아데노바이러스 측정 시약의 경우>
1. 시험 재료
(1) 테스트 디바이스
실시예 1과 동일하다.
(2) 샘플 희석액
시트르산3Na 2H20를 표 2에 나타내는 첨가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pH 7.6)에 첨가하여 샘플 희석액을 조정하였다. 시트르산3Na 2H20를 포함하지 않는 샘플 희석액도 제조하였다.
(3) 샘플
실시예 1과 동일하다.
2. 시험 방법
실시예 1과 동일하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의하면, 시트르산3Na 2H20의 샘플 희석액의 첨가 농도 5mM부터 250mM까지의 범위에서 무첨가에 비해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여, 로타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었다. 특히, 아데노바이러스의 검출에 있어서, 모든 검체에 있어서 비특이 반응이 보인 바,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을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비특이 반응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3〕 분자 내에 카르복시기를 2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의 샘플 희석액으로의 첨가 검토<노로바이러스 측정 시약의 경우>
1. 시험 재료
(1) 테스트 디바이스
항노로바이러스 항체를 사용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을 포함하는 테스트 디바이스를 제조하였다.
플라스틱제 점착 시트(a)에 불용성 멤브레인(b)을 붙이고, 이어서 서드 패드(g), 콘쥬게이트 패드(d), 샘플 패드(e)를 순서대로 배치 장착하고, 반대측의 끝에는 흡수 패드(f)를 배치 장착하였다. 콘쥬게이트 패드에는, 금 콜로이드에 항노로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를 감작한 콘쥬게이트가 함침되어 있으며, 불용성 멤브레인에는, 항노로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 및 컨트롤 시약이 흐름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라인 상에 고정화되어 있다. 각 패드는, 상하의 패드와 그의 일부가 접하도록 적층하여 배치된다. 항노로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하는 라인을 테스트 라인(c1), 컨트롤 시약을 포함하는 라인을 컨트롤 라인(c3)이라 한다.
이와 같이 각 구성 요소를 중첩한 구조물을 일정 폭으로 절단하여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을 제작하였다. 테스트 스트립을 전용의 플라스틱제 하우징에 저장·탑재하고,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테스트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의 형태로 하였다.
(2) 샘플 희석액
시트르산3Na 2H20(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3개), 말레산(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 L-아스파라긴산Na(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 L-글루탐산Na(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를 표 3에 나타내는 첨가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pH 7.6)에 첨가하여 샘플 희석액을 조정하였다.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샘플 희석액도 제조하였다.
(3) 샘플
노로바이러스 음성의 영유아(생후 40일 미만, 3명)의 분변을 검체로서 사용하였다. 각 검체 0.1mg을 샘플 희석액 1.0mL에 현탁하고, 그의 상청을 샘플로 하였다.
2. 시험 방법
테스트 라인의 발색 강도를 평가하는 타이밍을 「10, 15, 30분 후」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 의하면, 시트르산3Na 2H20(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3개), 말레산(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 L-아스파라긴산Na(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 L-글루탐산Na(카르복시기가 분자 내에 2개)를 첨가한 샘플 희석액을 사용하여 영유아 분변 중의 노로바이러스를 검출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첨가 농도 혹은 모든 농도에서 비특이 반응 억제 효과가 보였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4〕 카르복시기를 분자 내에 2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의 샘플 희석액으로의 첨가 농도의 검토<노로바이러스 측정 시약의 경우>
1. 시험 재료
(1) 테스트 디바이스
실시예 3과 동일한 테스트 디바이스를 제조하였다.
(2) 샘플 희석액
시트르산3Na 2H20를 표 4에 나타내는 첨가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pH 7.6)에 첨가하여 샘플 희석액을 조정하였다. 시트르산3Na 2H20를 포함하지 않는 샘플 희석액도 제조하였다.
(3) 샘플
노로바이러스 음성의 영유아(생후 40일 미만, 3명)의 분변을 검체로서 사용하였다. 각 검체 0.1mg을 샘플 희석액 1.0mL에 현탁하고, 그의 상청을 샘플로 하였다.
2. 시험 방법
실시예 3과 동일하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에 의하면, 시트르산3Na 2H20의 샘플 희석액의 첨가 농도 5mM부터 250mM까지의 범위에서 무첨가에 비해 비특이 반응 효과가 인정되었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5〕 분자 내에 카르복시기를 2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의 샘플 희석액으로의 첨가 검토<노로바이러스 측정 시약, 유아 검체의 경우>
상기 실시예 1 내지 4는 영아(신생아)의 분변을 검체로 한 시험이지만, 유아의 검체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비특이 반응 억제 효과가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1. 시험 재료
(1) 테스트 디바이스
실시예 3과 동일하다.
(2) 샘플 희석액
시트르산3Na 2H20를 표 5에 나타내는 첨가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pH 7.6)에 첨가하여 샘플 희석액을 조정하였다. 시트르산3Na 2H20를 포함하지 않는 샘플 희석액도 제조하였다.
(3) 샘플
노로바이러스 음성의 유아(2세, 2명)의 분변을 검체로서 사용하였다. 각 검체 0.1mg을 샘플 희석액 1.0mL에 현탁하고, 그의 상청을 샘플로 하였다.
2. 시험 방법
테스트 라인의 발색 강도를 평가하는 타이밍을 「15분 후」만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에 의하면, 유아 검체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검체 희석액을 사용함으로써 비특이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5
〔참고예〕 분자 내에 카르복시기를 2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의 샘플 희석액으로의 첨가 검토<노로바이러스 측정 시약, 성인 검체의 경우>
상기 실시예 1 내지 5는 영유아의 분변을 검체로 하고,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희석액의 비특이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래서, 이 비특이 억제 효과가, 성인 검체에서도 마찬가지로 발휘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1. 시험 재료
(1) 테스트 디바이스
실시예 3과 동일하다.
(2) 샘플 희석액
시트르산3Na 2H20를 표 6에 나타내는 첨가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pH 7.6)에 첨가하여 샘플 희석액을 조정하였다. 시트르산3Na 2H20를 포함하지 않는 샘플 희석액도 제조하였다.
(3) 샘플
노로바이러스 음성의 성인 2명의 분변을 검체로서 사용하였다. 각 검체 0.1mg을 샘플 희석액 1.0mL에 현탁하고, 그의 상청을 샘플로 하였다.
2. 시험 방법
테스트 라인의 발색 강도를 평가하는 타이밍을 「10, 15, 30분 후」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본 결과로부터, 성인 검체에서는 강한 비특이 반응이 보이고, 본 발명의 샘플 희석액에 의한 비특이 반응 억제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에 의한 비특이 반응 억제 효과는, 영유아 검체에서 유래하는 비특이 반응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라고 생각되었다.
Figure pct00006
본 발명에 따르면,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검출 방법에 있어서 분변 유래의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당해 분변에 특유의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여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에 있어서의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당해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a) 플라스틱제 점착 시트
(b) 불용성 멤브레인
(c1) 테스트 라인
(c2) 테스트 라인
(c3) 컨트롤 라인
(d) 콘쥬게이트 패드
(e) 샘플 패드
(f) 흡수 패드
(g) 서드 패드

Claims (10)

  1. 분변 유래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면역 반응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검출 방법.
  2. 분변 유래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A) 내지 (C)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A) 하기 테스트 스트립의 샘플 공급부에,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완충액을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 그리고 분변 유래 샘플을 공급하는 공정
    테스트 스트립;
    적어도 샘플 공급부, 전개부 및 검출부를 구비한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을 갖고, 전개부의 일부에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제1 항체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가 용출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전개부의 일부이며 콘쥬게이트 유지 부분보다 하류측에 제2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는 검출부를 가짐
    (B) 샘플 중의 검출 대상 물질을 콘쥬게이트와 접촉시키는 공정
    (C) 샘플 중의 검출 대상 물질과 콘쥬게이트의 복합체를 검출부에 있어서 검출하는 공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변 유래 샘플이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인 검출 방법.
  4. 분변 유래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비특이 반응 억제 방법으로서,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면역 반응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5. 분변 유래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비특이 반응 억제 방법으로서, (A) 내지 (C)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A) 하기 테스트 스트립의 샘플 공급부에,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완충액을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 그리고 분변 유래 샘플을 공급하는 공정
    테스트 스트립;
    적어도 샘플 공급부, 전개부 및 검출부를 구비한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을 갖고, 전개부의 일부에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제1 항체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가 용출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전개부의 일부이며 콘쥬게이트 유지 부분보다 하류측에 제2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는 검출부를 가짐
    (B) 샘플 중의 검출 대상 물질을 콘쥬게이트와 접촉시키는 공정
    (C) 샘플 중의 검출 대상 물질과 콘쥬게이트의 복합체를 검출부에 있어서 검출하는 공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분변 유래 샘플이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인 방법.
  7. 이하의 구성 (1) 및 (2)를 포함하는, 분변 유래 샘플용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검출 키트.
    (1) 적어도 샘플 공급부, 전개부 및 검출부를 구비한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을 갖고, 전개부의 일부에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제1 항체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가 용출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전개부의 일부이며 상기 콘쥬게이트 유지 부분보다 하류측에 제2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는 검출부를 갖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2)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완충액을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
  8. 제7항에 있어서, 분변 유래 샘플이 영유아의 분변 유래 샘플인 검출 키트.
  9.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완충액을 포함하는 면역 측정용의 영유아 분변 유래 샘플 희석액.
  10. 분자 내에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완충액을 포함하는 샘플 희석액과, 영유아 분변 유래 샘플을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영유아 분변 유래 샘플의 면역 측정에 있어서의 비특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샘플 전처리 방법.
KR1020197000243A 2016-07-13 2017-07-12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 KR201900295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8888 2016-07-13
JP2016138888 2016-07-13
PCT/JP2017/025343 WO2018012517A1 (ja) 2016-07-13 2017-07-12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を利用した検出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573A true KR20190029573A (ko) 2019-03-20

Family

ID=6095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243A KR20190029573A (ko) 2016-07-13 2017-07-12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145970A1 (ko)
EP (1) EP3486654B1 (ko)
JP (2) JP6348240B2 (ko)
KR (1) KR20190029573A (ko)
CN (1) CN109154605A (ko)
WO (1) WO2018012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6873B1 (ja) * 2018-08-06 2018-11-21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マイコプラズマ・ニューモニエの免疫学的検出方法
US20210349085A1 (en) * 2018-09-27 2021-11-11 Sekisui Medical Co., Ltd. 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
CN110456040A (zh) * 2019-08-06 2019-11-15 珠海市医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隐孢子虫和贾第鞭毛虫联合检测试剂及其制备方法
WO2022259991A1 (ja) * 2021-06-07 2022-12-15 デンカ株式会社 糞便検体の検査方法及びそのためのイムノクロマト試験片
JP7216948B1 (ja) 2021-06-16 2023-02-02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SARS-CoV-2の免疫測定方法及び免疫測定キット、並びにモノクローナル抗体又はその抗体断片
JP7105970B1 (ja) 2021-06-16 2022-07-25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SARS-CoV-2の免疫測定方法及び免疫測定キ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0744A1 (fr) 2000-08-01 2002-02-07 International Reagents Corporation Procede pour pretraiter un echantillon
JP2002148266A (ja) 2000-11-10 2002-05-22 Rohto Pharmaceut Co Ltd 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44406A (ja) 2002-05-24 2003-12-03 Towns:Kk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展開溶媒、測定法およびキット
JP2004301684A (ja) 2003-03-31 2004-10-28 Denka Seiken Co Ltd ノロウイルス又はサポウイルス検体用希釈液及びウイルス検出試薬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382B2 (ja) * 1989-11-02 2000-05-15 国際試薬株式会社 免疫学的測定法
JP2001289852A (ja) * 2000-04-06 2001-10-19 Wakamoto Pharmaceut Co Ltd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装置
JP4502352B2 (ja) * 2001-06-29 2010-07-14 栄研化学株式会社 ヘムタンパク質の安定化方法および保存溶液
JP2004020369A (ja) * 2002-06-17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免疫反応測定キ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免疫反応測定方法
US7491488B2 (en) * 2004-06-10 2009-02-17 Genprime, Inc. Methods, compositions, and kits for the detection of bacteria in a sample
US20090305303A1 (en) * 2006-07-25 2009-12-10 Cecile Besson Duvanel immunochromatography device for the diagnosis of diseases in a sample
EP2338989A4 (en) * 2008-08-26 2012-06-06 Olympus Corp METHOD OF PREPARING AN FECAL SAMPLE, PREPARATION SOLUTION OF AN FECAL SAMPLE, AND KIT FOR COLLECTING FECES
CN101643743A (zh) * 2009-07-22 2010-02-10 张强 口腔黏膜渗出液hiv1/2抗体检测试纸及其制备方法
EP2593793B1 (en) * 2010-07-15 2016-05-25 University of Pretoria A method of detecting surrogate markers for active tuberculosis in a serum sample
EP2623982B1 (en) * 2010-09-30 2015-07-08 Sekisui Medical Co., Ltd. Test strip for immunochromatography,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WO2013132347A2 (en) * 2012-03-06 2013-09-12 Calpro As Improved elisa immunoassay for calprotectin
JP5992703B2 (ja) * 2012-03-22 2016-09-14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検出方法
JP5996234B2 (ja) * 2012-03-30 2016-09-21 デンカ生研株式会社 免疫分析方法及び試薬
US9885707B2 (en) * 2012-03-30 2018-02-06 Sekisui Medical Co., Ltd. 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 and detection method using immunochromatography for detecting object in red blood cell-containing sample
JP6004744B2 (ja) * 2012-05-28 2016-10-12 栄研化学株式会社 検体希釈浮遊液およびそれを含む容器
CN105717294A (zh) * 2014-12-16 2016-06-29 生物梅里埃公司 使用粪便或来自粪便的液体样品采用活性炭预处理而确定微生物存在的方法及相关装置
JP6660933B2 (ja) * 2015-02-25 2020-03-11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免疫学的測定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測定試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0744A1 (fr) 2000-08-01 2002-02-07 International Reagents Corporation Procede pour pretraiter un echantillon
JP2002148266A (ja) 2000-11-10 2002-05-22 Rohto Pharmaceut Co Ltd 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44406A (ja) 2002-05-24 2003-12-03 Towns:Kk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展開溶媒、測定法およびキット
JP2004301684A (ja) 2003-03-31 2004-10-28 Denka Seiken Co Ltd ノロウイルス又はサポウイルス検体用希釈液及びウイルス検出試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6654A4 (en) 2020-02-26
JPWO2018012517A1 (ja) 2018-07-19
JP6348240B2 (ja) 2018-06-27
JP2018081101A (ja) 2018-05-24
EP3486654B1 (en) 2021-08-18
CN109154605A (zh) 2019-01-04
EP3486654A1 (en) 2019-05-22
US20190145970A1 (en) 2019-05-16
WO2018012517A1 (ja)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9573A (ko)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검출 방법
JP6247741B2 (ja) 検体不添加サンプルを操作不適サンプルと判定できる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に基づく検出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テストストリップ
JP5753942B2 (ja) 赤血球含有サンプル中の対象物を検出するための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およ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を利用した検出方法
CN107430120B (zh) 免疫检测方法和用于其的测试条
JP6103776B2 (ja) ヘマトクリット値の測定方法
EP2290367A1 (en) Method for detecting objective substance and kit for detecting objective substance
JP5936797B1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
JP6399632B2 (ja) 赤血球含有サンプル中の対象物を検出するための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および該テストストリップを使用する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
JPWO2020085289A1 (ja) イムノクロマト用試験片
JP2018048818A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検出キット
JP5723484B2 (ja) 赤血球含有サンプル中の対象物を検出するための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およ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を利用した検出方法
WO2018030365A1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検出キット
WO2023112859A1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キット、及びそれらを用いた免疫測定方法、並びにサンプルの濾過方法
JP6371808B2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検出キット
KR20230062806A (ko) 위음성의 억제에 의해 특이성을 개선한 검사 시약
WO2016098177A1 (ja) 赤血球含有サンプル中の対象物を検出するための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および該テストストリップを使用する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
JP6470147B2 (ja) 免疫学的検出方法
WO2020091028A1 (ja) マイコプラズマ・ニューモニエの免疫学的検出方法
WO2022265105A1 (ja) イムノクロマト試験片およびイムノクロマトキット
KR20230062805A (ko) 위양성의 억제에 의해 특이성을 개선한 검사 키트
JP2009145079A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分析用ストリッ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