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421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8421A KR20190028421A KR1020197000189A KR20197000189A KR20190028421A KR 20190028421 A KR20190028421 A KR 20190028421A KR 1020197000189 A KR1020197000189 A KR 1020197000189A KR 20197000189 A KR20197000189 A KR 20197000189A KR 20190028421 A KR20190028421 A KR 201900284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groove
- portions
- polymer particles
- absorbent
- absorbent art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2013/537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 A61F2013/537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with compressed li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gro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체액의 확산성, 흡수 속도 및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9)를 구비하고, 흡수 코어(9)는, 비(非)피부 대향면측의 제 1 층(6)과, 피부 대향면측의 제 2 층(8)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층(6)은, 긴쪽 방향(L)을 따라 연재하고,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는 주(主)홈부(19)를 포함하는 홈부(18)와, 긴쪽 방향(L)을 따라 연재하는 베이스부(基部)(20)를 구비하며, 주홈부(19)와 베이스부(20)는, 짧은쪽 방향(W)으로 교대로 연재하고, 제 2 층(8)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주홈부(19) 및 베이스부(20)와 중복하는 위치에, 주홈부 대응부(22) 및 베이스부 대응부(24)를 구비하며, 베이스부(20) 및 주홈부 대응부(22)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32)의 평균 밀도는, 어느 쪽도 베이스부 대응부(24)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32)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흡수성 물품, 특히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에서는, 소변 등의 배설물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양호한 착용감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개량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되는 표면 시트, 비(非)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시트, 및 양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세로 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고, 해당 흡수체는, 배설부 대응 영역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평면 방향으로 비연속으로 점재(点在)하는 돌출 흡수부와, 해당 돌출 흡수부의 사이에서 세로 방향 및 폭 방향의 각각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통액(通液) 구조를 가지며, 상기 통액 구조는, 흡수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홈상의 오목부와 해당 오목부의 피부 맞닿음면측의 저부(底部)에 위치하는 오목부 흡수부로 구성되고, 해당 오목부 흡수부의 밀도가 상기 돌출 흡수부의 밀도보다도 낮아, 상기 돌출 흡수부는, 그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하부보다도 피부 맞닿음면측의 상부의 면의 면적이 큰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오목부 흡수부 또는 상기 오목부에 도달한 체액이, 인접하는 돌출 흡수부로 이행하여, 홀딩되기 쉬우므로, 당해 체액이 소량인 경우에는, 그 흡수성을 확보하기 쉽다. 그러나, 체액을 일정 정도 흡수한 후, 특히 복수 회의 체액을 흡수한 후에 있어서는, 흡수한 체액에 의해 흡수체가 팽창하여, 상기 오목부의 폭이 좁아져,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오목부가 거의 소실되기 때문에, 체액의 흡수성이나 확산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또, 동(同) 문헌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오목부 흡수부보다도 밀도가 높은 상기 돌출 흡수부가, 평면 방향으로 비연속으로 점재하므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돌출 흡수부로 이행한 체액이, 당해 돌출 흡수부 내에 머물러, 흡수체 전체에 걸쳐 확산하기 어려울 우려가 있었다. 그 결과,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특히 복수 회의 체액을 흡수한 후에 있어서는, 당해 돌출 흡수부에서 다 홀딩할 수 없게 된 체액이 배설부 대응 영역 부근에 집중하여, 흡수체의 반복 흡수 기능 및 액체 역류 억제 기능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체액의 확산성, 흡수 속도 및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자들은, 긴쪽 방향, 짧은쪽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비피부 대향면 및 피부 대향면을 가지며, 비피부 대향면측의 제 1 층과, 피부 대향면측의 제 2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층은, 상기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며,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주(主)홈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홈부와, 상기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복수의 베이스부(基部)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과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은, 상기 짧은쪽 방향으로 교대로 연재하며,
상기 제 2 층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홈부 및 베이스부와 중복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 및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상기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어느 쪽도,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을 발견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체액의 확산성, 흡수 속도 및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하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흡수체(7)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코어(9)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단면(端面)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IV-IV 단면에 있어서의, 체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주홈부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와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주홈부의 개략도이다.
도 9는,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앞몸통 둘레 영역, 뒷몸통 둘레 영역 및 가랑이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도 10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석션 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된 몰드(型)부재 내에 흡수성 재료가 공급되어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b)는 상기 몰드부재 내에 적층된 제 1 적층체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흡수체(7)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코어(9)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단면(端面)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IV-IV 단면에 있어서의, 체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주홈부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와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주홈부의 개략도이다.
도 9는,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앞몸통 둘레 영역, 뒷몸통 둘레 영역 및 가랑이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도 10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석션 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된 몰드(型)부재 내에 흡수성 재료가 공급되어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b)는 상기 몰드부재 내에 적층된 제 1 적층체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긴쪽 방향, 짧은쪽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비피부 대향면 및 피부 대향면을 가지며, 비피부 대향면측의 제 1 층과, 피부 대향면측의 제 2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층은, 상기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며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주(主)홈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홈부와, 상기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복수의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과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은, 상기 짧은쪽 방향으로 교대로 연재하며,
상기 제 2 층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홈부 및 베이스부와 중복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 및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상기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어느 쪽도,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제 1 층에 있어서 소정의 복수의 주홈부 및 베이스부를 구비하므로, 제 2 층의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를 투과한 체액이, 당해 복수의 주홈부로 통수(通水)되어 당해 복수의 베이스부로 침출하면서 긴쪽 방향으로 확산한다. 또한, 당해 흡수성 물품은,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 상기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의 각각,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의 각각에 있어서, 소정의 평균 밀도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당해 복수의 주홈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의 베이스부 및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의 팽윤을 억제하여, 당해 복수의 주홈부의 통수 기능을 확보하는 동시에, 당해 복수의 베이스부에서 다 홀딩할 수 없게 된 체액이, 당해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에서 흡수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당해 흡수성 물품에서는, 체액이,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로부터 복수의 주홈부로 투과하고(이하, 「체액 투과 작용」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당해 투과한 체액이, 상기 복수의 주홈부로부터 이것에 인접하는 복수의 베이스부로 끌어 들여지며(이하, 「체액 인입(引入) 작용」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당해 끌어 들여진 체액이, 당해 복수의 베이스부에서 다 홀딩할 수 없게 되면,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로 빨아 올려지는(이하, 「체액 흡상(吸上) 작용」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체액 흡수 사이클에 의해 체액을 흡수한다. 그 결과, 당해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상기 체액 흡수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체액의 확산성, 흡수 속도 및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하다.
[양태 2]
상기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은, 양태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의 각각,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이 소정의 평균 밀도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의 팽윤을 억제하여, 상기 체액 투과 작용을 저해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당해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체액의 확산성을 유지하기 쉽다.
[양태 3]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은, 평면시(平面視)로, 상기 긴쪽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상 또는 물결형상으로 연재하는, 양태 1 또는 2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소정의 복수의 주홈부를 구비하므로, 상기 양태 1에 의한 작용 효과를 갖는 동시에, 당해 복수의 주홈부가 특정의 형상을 가지므로, 흡수 코어,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의 상기 복수의 주홈부가 연재하는 방향의 변형을 유도하기 쉬워, 당해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몸에 피트하면서 액체 누출을 방지하기 쉽다.
[양태 4]
상기 복수의 홈부의 각각은, 상기 제 1 층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과 기단(基端)을 개재해 연이어 통하여 존재하는 종(從)홈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양태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양태 1에 의한 작용 효과를 갖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홈부의 각각이 소정의 종홈부를 구비하고, 당해 종홈부가 특정의 형상을 가지므로, 흡수 코어,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의 상기 복수의 주홈부가 연재하는 방향의 변형을 유도하기 쉬워, 당해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몸에 피트하면서 액체 누출을 방지하기 쉽다.
[양태 5]
상기 종홈부는, 상기 기단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종단(終端)을 갖는, 양태 4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양태 1에 의한 작용 효과를 갖는 동시에, 상기 종홈부가 특정의 형상을 가지므로, 체액의 긴쪽 방향으로의 확산성이 저해되기 어려운 동시에, 흡수 코어,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의, 상기 복수의 주홈부가 연재하는 방향의 변형을 유도하기 쉬워, 당해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몸에 피트하면서 액체 누출을 방지하기 쉽다.
[양태 6]
상기 제 2 층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종홈부와 중복하는 위치에 종홈부 대응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은, 양태 4 또는 5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홈부 대응부,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에 있어서, 소정의 평균 밀도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 2 층의 상기 종홈부 대응부로부터도 체액이 종홈부로 투과되기 쉽다. 또한, 당해 종홈부에 도달하여 긴쪽 방향을 따르는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확산되었을 때에, 당해 체액이, 종홈부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로 침출해 홀딩되는 동시에, 당해 복수의 베이스부에서 다 홀딩할 수 없게 된 체액이,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에서 흡수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흡수 속도나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하다.
[양태 7]
상기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은, 양태 6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홈부 대응부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에 있어서, 소정의 평균 밀도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체액이 제 2 층의 상기 종홈부 대응부로부터 종홈부로 안정적으로 투과하기 쉽다.
[양태 8]
상기 짧은쪽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종홈부의 간격이, 상기 짧은쪽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간격의 10∼60%인, 양태 5∼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종홈부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므로, 종홈부끼리의 사이에 존재하는 베이스부에 소정의 폭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흡수 코어에 공급된 체액이 베이스부에 흡수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당해 흡수성 물품은, 체액의 확산성, 흡수 속도 및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하다.
[양태 9]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 코어의 적어도 상기 비피부 대향면에, 티슈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코어 랩은,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양태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코어 랩을 추가로 구비하므로, 주홈부에 있어서의 체액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전개한 상태에서 수평면 상에 둔 대상물(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 흡수체, 흡수 코어 등)을, 그들의 두께 방향의 위쪽 또는 아래쪽측으로부터 대상물을 보는 것」을 「평면시」라고 한다. 특히, 대상물이 흡수성 물품인 경우에는, 흡수성 물품을 전개한 상태에서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단지 「평면시」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그리고 대상물이 흡수 코어인 경우에는, 흡수성 물품을 전개한 상태에서 흡수 코어의 비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단지 「평면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용하는 각종 방향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이하와 같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긴쪽 방향」은 「평면시에 있어서의 세로로 긴 대상물의 길이가 긴 방향」을 가리키고, 「짧은쪽 방향」은 「평면시에 있어서의 세로로 긴 대상물의 길이가 짧은 방향」을 가리키며, 「두께 방향」은 「전개한 상태에서 수평면 상에 둔 대상물에 대해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이들의 긴쪽 방향, 짧은쪽 방향 및 두께 방향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위측(近位側)」을 「피부 대향면측」이라고 하고,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위측(遠位側)」을 「비피부 대향면측」이라고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각종 부재(예를 들면, 표면 시트, 흡수체, 이면 시트 등)의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 및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을, 각각 단지 「피부 대향면」 및 「비피부 대향면」이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홈부」는, 상기 긴쪽 축선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 뿐만 아니라, 긴쪽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를 의미한다. 주홈부는, 긴쪽 축선과 이루는 각도가, 바람직하게는 4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5° 미만이다. 주홈부는, 직선상, 비직선상, 예를 들면, 만곡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홈부의 폭은, 대상 부분에 있어서의, 주홈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주홈부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종홈부」는, 상기 짧은쪽 축선의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 뿐만 아니라, 긴쪽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의미한다. 종홈부는, 주홈부와 연이어 통하는 부분(즉, 기단)에 있어서의 주홈부(주홈부가 만곡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주홈부의 접선)와 이루는 각도가,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종홈부는, 직선상, 비직선상, 예를 들면, 만곡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종홈부의 폭은, 대상 부분에 있어서의, 종홈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종홈부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가랑이부 영역」은, 흡수성 물품이 일회용 기저귀인 경우에 이용되는 용어이며, 그들의 의의는 이하와 같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 영역은, 앞길 중, 앞길 및 뒷길을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부에 끼인 영역을 의미하고, 뒷몸통 둘레 영역은, 뒷길 중, 상기 한 쌍의 접합부에 끼인 영역을 의미한다.
또,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가랑이부 영역은,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가랑이부 영역은 또,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도 9의 부호 117)에 끼인 영역에 상당한다.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테이프 패스너용의 고정 영역(111)에, 한 쌍의 테이프 패스너(109)의 선단(110)끼리가 인접하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몸통 둘레 영역 및 가랑이부 영역을 구획한다.
구체적으로는, 몸통 둘레 영역(FW+RW)은, 상기와 같이 고정한 상태에서, 흡수성 물품(1) 중, 앞길의 몸통 둘레 형성 부재(113)와, 뒷길의 몸통 둘레 형성 부재(114)가 중복하는, 한 쌍의 중복 부분(115)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앞몸통 둘레 영역(FW)은, 흡수성 물품(1)의 앞길 중, 한 쌍의 중복 부분(115)의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뒷몸통 둘레 영역(RW)은 흡수성 물품(1)의 뒷길 중, 한 쌍의 중복 부분(115)의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가랑이부 영역(C)은, 앞몸통 둘레 영역(FW)과, 뒷몸통 둘레 영역(RW)과의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흡수성 물품의 실시형태]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대해,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6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기저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흡수체(7)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코어(9)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5는, 각각 도 2의 IV-IV 단면, V-V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IV-IV 단면에 있어서의, 체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흡수성 물품(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시트(3)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5)와, 액체 투과성 시트(3)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5)의 사이의 흡수체(7)를 포함한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7)는, 긴쪽 방향(L), 짧은쪽 방향(W), 두께 방향(T)을 갖고, 피부 대향면(15) 및 비피부 대향면(17)을 갖는 흡수 코어(9)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 코어(9)는 추가로 피부 대향면(15) 및 비피부 대향면(17)을 덮는 티슈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11)을 구비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이, 흡수체(7)와 동일한 긴쪽 방향(L) 및 짧은쪽 방향(W)을 갖는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 코어(9)는, 비피부 대향면(17) 및 피부 대향면(15)을 갖고, 비피부 대향면측의 제 1 층(6)과, 피부 대향면측의 제 2 층(8)으로 이루어진다.
또, 제 1 층(6)은, 긴쪽 방향(L)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재하고,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주홈부(19)를 포함하는 복수의 홈부(18)와, 긴쪽 방향(L)을 따라 연재하는 복수의 베이스부(20)를 구비하며, 주홈부(19)와 베이스부(20)는, 짧은쪽 방향(W)으로 교대로 연재하고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홈부(19)는, 비피부 대향면(17)으로부터, 흡수 코어(9)의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여 있고, 또한 긴쪽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제 2 층(8)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복수의 주홈부(19)와 중복하는 위치에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22)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복수의 베이스부(20)와 중복하는 위치에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24)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18)는, 복수의 종홈부(21)를 포함한다. 또, 제 2 층(8)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복수의 종홈부(21)와 중복하는 위치에, 복수의 종홈부 대응부(26)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 1 층 및 제 2 층의 두께는, 어느 쪽도, 바람직하게는 0.1∼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m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3mm이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 제 1 층 및 제 2 층의 두께는, 각각 레이저 변위계(예를 들면, 키엔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고정밀도 2차원 레이저 변위계 LJ-G 시리즈(형식: LJ-G030))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콜드 스프레이를 분사하고 액체 투과성 시트, 액체 불투과성 시트 및 코어 랩을 벗기고 얻은 흡수 코어를 100mm×100mm의 사이즈로 잘라내어, 샘플로 한다. 당해 샘플을, 복수의 홈부와 베이스부가 형성된 비피부 대향면이 위가 되도록, 수평인 측정대에 재치(載置)하고, 다른 5개의 베이스부에 대해, 측정대로부터의 변위를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Ax(mm)로 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5개의 홈부(주홈부)에 대해, 측정대로부터의 변위를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Ay(mm)로 한다. 제 2 층의 두께는 상기 Ay(mm)이고, 제 1 층의 두께는 상기 Ax(mm)와 상기 Ay(mm)의 차로부터 산출한다.
또, 흡수 코어(9)는, 흡수성 섬유(30)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SAP)(32)를 포함하여, 흡수성 물품(1)으로 배출된 체액을 흡수, 홀딩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 1 층 및 제 2 층에 있어서의 흡수성 섬유의 평균 평량은, 어느 쪽도, 바람직하게는 50∼150g/㎡,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00g/㎡이다. 또, 제 1 층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30∼1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g/㎡이고, 제 2 층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100∼18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60g/㎡이다. 또한, 흡수 코어 전체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평량에 대한 제 1 층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평량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0∼45%, 보다 바람직하게는 25∼35%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 코어(9)는, 베이스부(20), 주홈부 대응부(22), 베이스부 대응부(24)의 각각에 있어서, 다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20)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베이스부 대응부(24)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고, 주홈부 대응부(22)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베이스부(20)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다.
본 개시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0.15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g/㎤이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 주홈부 대응부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0.15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g/㎤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베이스부 대응부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1∼0.3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2g/㎤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흡수 코어로부터 소정의 길이 및 폭의 샘플을 5개 잘라내고(예를 들면, 4mm×4mm), 각 샘플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선별하여, 각 샘플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합계 질량을 각각 계측하고, 이 계측치를, 후술하는 샘플의 두께와 샘플의 면적에서 얻어지는 샘플의 체적으로 나눈 것의 평균치에 의해 얻어진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 코어 내에 있어서의 베이스부, 주홈부 대응부 및 베이스부 대응부의 각 부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의 고저(高低)를 평가하는 경우, 이하의 방법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샘플이 되는 흡수성 물품을 액체 질소에 함침시켜 동결시킨 후, 면도칼로 당해 흡수성 물품을 두께 방향으로 커트하여, 주홈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을 얻는다. 이어서, 당해 샘플을 상온으로 되돌려, 전자현미경(예를 들면, 키엔스사 VE7800)을 이용하여, 50배의 배율의 단면 화상을 얻는다. 그리고 당해 단면 화상에 있어서, 베이스부, 주홈부 대응부 및 베이스부 대응부의 각 부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의 고저를 육안에 의해 평가한다. 또한, 후술하는 종홈부 대응부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상기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 대응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의 고저를 평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법을 대신하여 종홈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부(20)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주홈부 대응부(22)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어느 쪽도, 베이스부 대응부(24)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다.
상기 구성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체액은 이하의 순서로 흡수 코어(9) 내를 이동한다.
(i) 코어 랩(11)에 도달한 체액은, 제 2 층(8)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체액을 투과하기 쉬운 주홈부 대응부(22)의 내부로 침투하며, 추가로 중력에 의해 주홈부(19)로 이동한다(화살표 A).
(ii) 주홈부(19)로 이동한 체액은, 짧은쪽 방향으로 인접하는 베이스부(20)로 침출하면서(화살표 B), 긴쪽 방향으로 확산한다.
(iii) 베이스부(20)에서 다 홀딩할 수 없게 된 체액은, 흡수 코어(9) 내에 있어서 가장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높은 베이스부 대응부(24)로 빨아 올려져 홀딩된다(화살표 C).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 코어(9) 내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상기의 평균 밀도 기울기(勾配)를 가지므로, 주홈부(19)의 주위에 존재하는 베이스부(20) 및 주홈부 대응부(22)의 팽윤이 억제되므로, 주홈부(19)의 짧은쪽 방향(W)에 있어서의 길이 및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높이를 유지하기 쉽고, 그 결과, 주홈부(19)의 통수 기능을 확보하기 쉽다.
이와 같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에서는, 상기 체액 투과 작용에 의해, 체액이, 화살표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홈부 대응부(22)로부터 주홈부(19)로 투과하고, 이어서 상기 체액 인입 작용에 의해, 화살표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투과한 체액이 주홈부(19)로부터 이것에 인접하는 베이스부(20)로 끌어 들여지며, 이어서 당해 끌어 들여진 체액이 베이스부(20)에서 다 홀딩할 수 없게 되면, 상기 체액 흡상 작용에 의해, 화살표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 대응부(24)로 빨아 올려진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상기 체액 투과 작용, 상기 체액 인입 작용 및 상기 체액 흡상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체액 흡수 사이클에 의해 체액을 흡수한다. 그 결과, 당해 흡수성 물품(1)은,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상기 체액 흡수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체액의 확산성, 흡수 속도 및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주홈부 대응부(22)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베이스부(20)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은, 흡수 코어(9) 내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상기의 평균 밀도 기울기를 가지므로, 주홈부 대응부(22)의 팽윤을 억제하여, 상기 체액 투과 작용을 저해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당해 흡수성 물품(1)은,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체액의 확산성을 유지하기 쉽다.
또,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홈부(21)는, 비피부 대향면(17)으로부터 흡수 코어(9)의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어 있으며, 주홈부(19)와 연이어 통하고, 또한 짧은쪽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홈부(21)의 각각은, 복수의 주홈부(19)와 교차하고, 코어 랩(11)을 개재하여 주홈부(19)와 기단(28)에서 연결하고 있으며, 종단(25)의 앞에 흡수 코어(9)가 존재하고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흡수 코어가, 소정의 종홈부를 구비하면, 상기 체액 투과 작용 및 체액 인입 작용에 더하여, 당해 흡수 코어에 공급된 체액이 당해 종홈부에 도달하여 긴쪽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확산되었을 때에, 당해 체액이 종홈부도 통하여 베이스부로 침출해, 흡수 코어의 내부로 흡수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당해 흡수성 물품은, 흡수 속도나 액체 역류의 억제가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종홈부가 특정의 형상을 가지므로, 흡수 코어,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의 긴쪽 방향의 변형을 유도하기 쉬워, 당해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몸에 피트하면서 액체 누출을 방지하기 쉽다.
또한, 흡수 코어에 공급된 체액이, 당해 종홈부에 도달하여 짧은쪽 방향으로 확산되었을 때에, 당해 체액이 종홈부의 종단을 통하여 베이스부로 침출한다. 이때, 종홈부끼리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종단을 가지므로, 당해 종단을 통하여 베이스부로 흡수된 체액이 긴쪽 방향으로 확산되기 쉽고,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당해 흡수성 물품은, 확산성, 흡수 속도 및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층(8)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종홈부(21)와 중복하는 위치에, 종홈부 대응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0.15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g/㎤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종홈부 대응부(26)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베이스부 대응부(24)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2 층(8)의 종홈부 대응부(26)로부터도 체액이 종홈부(21)로 투과하기 쉽다. 또한, 종홈부(21)에 도달하여 긴쪽 방향(L)을 따르는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확산되었을 때에, 당해 체액이 종홈부(21)도 통하여 복수의 베이스부(20)로 침출하고, 홀딩되는 동시에, 당해 복수의 베이스부(20)에서 다 홀딩할 수 없게 된 체액이,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24)에서 흡수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1)이,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흡수 속도나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종홈부 대응부(26)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복수의 베이스부(20)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체액이, 제 2 층(8)의 종홈부 대응부(26)로부터 종홈부(21)로 안정적으로 투과하기 쉽다.
또,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7)를 짧은쪽 방향(W)으로 2 등분하는, 긴쪽 방향 중앙 축선(VL)에 의해, 우측 영역(RA)과, 좌측 영역(LA)으로 구획되고, 흡수체(7)는, 주홈부(19)를 우측 영역(RA), 좌측 영역(LA)에 각각 2줄씩 구비한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쪽 방향(L)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 영역(FW)과, 뒷몸통 둘레 영역(RW)과, 앞몸통 둘레 영역(FW) 및 뒷몸통 둘레 영역(RW)의 사이의 가랑이부 영역(C)의 3영역으로 구획되고, 그리고 흡수체(7)는, 상기 3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체(7)는, 종홈부(21)를 3영역의 전체에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홈부(19)는, 긴쪽 방향(L)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재하고 있었지만, 본 개시에 있어서의 홈부(18)의 배치 양태는 상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주홈부의 개략도이다. 또, 도 8은, 제 1 실시형태와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주홈부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홈부(18)는, 주홈부(19)만으로 이루어지고, 종홈부(21)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홈부(19)는, 흡수 코어(9)의 긴쪽 방향 전역에 걸져 연재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주홈부(19)는,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의 가랑이부 영역(C)의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홈부(19)의 각각은, 평면시로, 긴쪽 방향(L)를 따라 지그재그상으로 연재하고, 서로 이웃이 되는 주홈부(19)끼리에 의해, 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넓은 광폭 베이스부(20a)와 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좁은 협폭 베이스부(20b)를, 긴쪽 방향(L)으로 교대로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이, 평면시로, 지그재그상으로 연재하고, 서로 이웃이 되는 주홈부(19)끼리에 의해, 베이스부(20)의 폭이 일정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되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이, 평면시로, 물결형상으로 연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소정의 복수의 주홈부를 구비하고, 당해 복수의 주홈부가 특정의 형상을 가지므로, 흡수 코어의 상기 복수의 주홈부가 연재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강성이 저하하며,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흡수 코어,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의 상기 복수의 주홈부가 연재하는 방향의 변형을 유도하기 쉬워, 당해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몸에 피트하면서 액체 누출을 방지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 코어(9)는, 피부 대향면(15) 및 비피부 대향면(17)을 덮는 티슈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11)을 구비하고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피부 대향면(17)에 있어서는, 코어 랩(11)은, 주홈부(19) 내에서 맞닿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비피부 대향면에 있어서 코어 랩이 주홈부 내에서, 피부 대향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주홈부에 있어서의 체액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비피부 대향면에 있어서 코어 랩이, 주홈부 대응부와 맞닿고 있어도 되고, 주홈부 대응부와 부분적 또는 연속적으로 압착부 등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주홈부가, 주홈부 대응부의 폭의 일부를, 주홈부를 따라 간헐적으로 압착하여 형성함으로써, 착용자가, 압착부의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진다. 또, 주홈부가, 주홈부 대응부의 폭의 일부를, 긴쪽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함에 따라, 흡수성 물품이 주홈부를 기준으로 보다 구부러지기 쉬워져, 더욱더 피트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체의 한쪽의 면을 형성하는 코어 랩이, 주홈부 대응부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주홈부에 있어서, 코어 랩이, 주홈부 대응부와 코어 랩의 경계면의 전체, 즉, 주홈부의 저부 및 측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이 체액을 반복 흡수한 후에 있어서도, 주홈부가 그 통수 기능을 한층 유지하기 쉬워지고, 그 결과, 흡수성 물품이 보다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측부는, 주홈부 중, 한쪽의 면과, 저부를 연결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주홈부는 흡수체의 두께의, 바람직하게는 0.5∼3.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2.5배,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배의 폭을 갖는다. 주홈부의 폭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흡수성 물품이 체액을 흡수한 후에, 주홈부가 그 통수 기능을 유지하기 쉽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대상물(예를 들면, 흡수체, 흡수 코어)의 두께(mm)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에이 가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 FS-60DS[측정면 44mm(직경), 측정압 3g/㎠]를 준비하고, 표준 상태(온도 23±2℃, 상대습도 50±5%)하, 대상물의 다른 5개의 부위를 가압하고, 각 부위에 있어서의 가압 10초 후의 두께를 측정하고,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흡수체의 두께로 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짧은쪽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종홈부의 간격이, 상기 짧은쪽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간격의 바람직하게는 10∼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5%이다. 이와 같이, 종홈부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 종홈부끼리의 사이에 존재하는 베이스부에 소정의 폭을 확보할 수 있고, 당해 종홈부를 통하여 베이스부에 흡수된 체액이 긴쪽 방향으로 확산되기 쉬워,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당해 흡수성 물품은, 확산성, 흡수 속도 및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하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7)가, 주홈부(19)를, 짧은쪽 방향(W)에 있어서 우측 영역(RA) 및 좌측 영역(LA) 중 어느쪽 영역에도 구비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수체(7)에 도달한 체액(31)을 흡수체(7)의 광범위로 확산시켜, 흡수체(7)의 광범위에서 흡수하기 쉬워져, 흡수된 체액이 액체 투과성 시트(3)의 표면으로부터 역류하기 어려워진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7)가, 종홈부(21)를, 앞몸통 둘레 영역(FW)과, 뒷몸통 둘레 영역(RW)과, 가랑이부 영역(C)의 3영역에 구비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이, 긴쪽 방향의 피트성이 우수하다. 또, 주홈부(19)를 지나 긴쪽 방향(L)으로 확산한 체액이, 종홈부(21)를 지나 종단(25)으로부터 짧은쪽 방향(W)으로 확산하여, 흡수체(7)의 광범위에서 흡수되므로, 흡수성 물품(1)이,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하다. 또, 짧은쪽 방향(W)으로 흡수된 체액에 의해, 종홈부(21)가, 체액의 양에 대응하여 좁아지거나, 또는 거의 소실한 후라도, 흡수체(7)에 체액(31)이 추가로 도달하면, 좁아지거나, 또는 거의 소실한 종홈부(21)의 기단을 통과하면서, 주홈부(19)를 지나, 흡수체(7)의 긴쪽 방향(L)으로 더욱 확산되고, 흡수체(7)의 보다 긴쪽 방향(L) 단부에 위치하는 종홈부(21)를 지나 종단(25)으로부터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짧은쪽 방향(W)으로 확산하여, 흡수체(7)의 광범위에서 흡수된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1)이,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하므로, 흡수성 물품(1)이, 착용감이 우수하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랩(11)이, 종홈부 대응부(26)에 접합되어 있지 않다. 그렇게 함으로써, 짧은쪽 방향(W)으로 흡수된 체액에 의해, 종홈부(21)가, 체액의 양에 대응하여 좁아지거나, 또는 거의 소실한 후라도, 흡수체(7)에 체액이 추가로 도달하면, 좁아지거나, 또는 거의 소실한 종홈부(21)의 기단을 통과하면서, 주홈부(19)를 지나, 흡수체(7)의 긴쪽 방향(L)으로 더욱 확산되고, 흡수체(7)의 보다 긴쪽 방향(L) 단부에 위치하는 종홈부(21)를 지나 종단(25)으로부터 짧은쪽 방향(W) 및 긴쪽 방향(L)으로 확산하여, 흡수체(7)의 더욱 광범위에서 흡수된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이 액체 역류 억제가 우수하고, 착용감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종홈부는, 주홈부와 기단에서 연결하고 있고, 종단의 앞에 흡수 코어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홈부는, 바람직하게는, 주홈부의 단위길이당 0.05∼1줄/cm,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홈부의 단위길이당 0.1∼0.5줄/cm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홈부의 줄수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흡수성 물품이, 체액을 반복 흡수하더라도, 주홈부의 연재하는 방향의 피트성을 갖는 동시에, 흡수체에 공급된 체액이 종홈부에 도달하여 긴쪽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확산되었을 때에, 체액이 구분된 종홈부의 종단을 통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베이스부에 효과적으로 흡수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흡수체의 액체 역류 억제를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종홈부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종홈부의 폭을 Ws로 하고, 상기 주홈부의 전체 길이를 Lp로 하고, 1줄의 주홈부의 편측에 설치된 종홈부의 줄수를 n으로 했을 때, 0.05Lp/n≤Ws≤0.50Lp/n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홈부의 폭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흡수체에 공급된 체액이 상기 종홈부에 도달하여 긴쪽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확산되었을 때에, 상기 체액이, 구분된 종홈부의 종단을 통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베이스부에 효과적으로 흡수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의 흡수성(특히, 흡수 속도)이나 액체 역류 억제를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종홈부의 종단은, 바람직하게는, 흡수체의 단위면적당 0.05∼1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5개/㎠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홈부의 종단의 개수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흡수체의 액체 역류 억제를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이, 탄성 부재(103)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방루벽(防漏壁)(101), 방루벽(101)을 액체 투과성 시트(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5), 탄성 부재(107), 테이프 패스너(109) 등을 갖지만, 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상기 구성을 갖는 흡수성 물품(1)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조 방법에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재료 또는 제품의 반송 방향」을 「MD 방향」, 「MD 방향과 수평면 상에 있어서 직교하는 방향」(즉, 제조 라인의 폭 방향)을 「CD 방향」, 「이들 MD 방향과 CD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제조 라인의 수직 방향)을 「TD 방향」이라고 각각 말한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도 11(a)는, 도 10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석션 드럼(52)의 외주면에 설치된 몰드부재(53) 내에 흡수성 재료가 공급되어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b)는, 상기 몰드부재(53) 내에 적층된 제 1 적층체(61)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 제조 장치(50)는, 개섬(開纖)된 흡수성 섬유(8a)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를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를 반송하는 반송관(51)과, 반송관(51) 내의 흡수성 재료를 흡인하고, 그들의 흡수성 재료를,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설치된 복수의 오목상의 몰드부재(53) 내에 적층시킴으로써, 후공정에 있어서 흡수체(7)의 흡수 코어(9)가 되는 제 1 적층체(61)를 형성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석션 드럼(52)을 구비하고 있다.
또, 반송관(51)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를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토출하는 반송관 노즐(51L)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를 상대적으로 많은 양으로 토출하는 반송관 노즐(51H)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송관 노즐(51L) 및 반송관 노즐(51H)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는 30:70이다.
또, 제조 장치(50)는, 석션 드럼(52)의 외주면에 있는 제 1 적층체(61)를 재치시켜, 이 제 1 적층체(61)를 피복하는 장척(長尺)의 코어 랩 연속체(62)를 풀어내어, 제 1 적층체(61)를 코어 랩 연속체(62)로 피복함으로써 제 2 적층체(63)를 형성하는 코어 랩 연속체용의 권출(卷出) 롤(54)을 갖고 있다.
또, 제조 장치(50)는, 제 2 적층체(63)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상하(TD 방향) 한 쌍의 프레스 롤(55a, 55b)을 구비한 프레스 장치(55)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조 장치(50)는, 프레스 장치(55)보다도 반송 방향(MD)의 하류에는, 프레스 가공을 실시한 후의 제 3 적층체(64)의 일면(도 10의 경우, 상면)에 대해, 액체 투과성 시트(3)가 되는 장척의 액체 투과성 시트 연속체(66)를 풀어내어 적층시키는 액체 투과성 시트 연속체용의 권출 롤(57)을 갖고 있다.
또한, 제조 장치(50)는, 제 3 적층체(64)에 액체 투과성 시트 연속체(66)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제 4 적층체(65)에 있어서의 액체 투과성 시트 연속체(66)와는 반대측의 면(도 10의 경우, 하면)에 대해, 액체 불투과성 시트(5)가 되는 장척의 액체 불투과성 시트 연속체(68)를 풀어내어 접합시켜, 제 5 적층체(67)를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 연속체용의 권출 롤(58)을 갖고 있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 시트 연속체용의 권출 롤(58)보다도 반송 방향(MD)의 하류에는, 적층체(67)를 제품으로서의 흡수성 물품(1)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단체(單體)의 흡수성 물품(1)으로 하는 절단 장치(도시하지 않음)나 제 5 적층체(67)에 방루벽(101)이나 테이프 패스너(109)를 압착하는 각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지만, 이들은 당업계에 있어서 알려져 있는 통상의 장치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의 제조 장치(50)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1)을 제조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제 1 적층체(61)를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코어 랩 연속체(62)에 의해 제 1 적층체(61)를 피복하여 제 2 적층체(63)를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제 2 적층체(63)를 프레스 장치(55)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제 3 적층체(64)로 하는 제 3 공정을 순차 실시한다. 또한, 제 3 적층체(64)에 액체 투과성 시트 연속체(66)를 적층하여 제 4 적층체(65)로 하는 제 4 공정과, 제 4 적층체(65)에 액체 불투과성 시트 연속체(68)를 접합하여 제 5 적층체(67)로 하는 제 5 공정을 순차 실시한다.
우선, 최종적으로 흡수체(7)의 흡수 코어(9)를 구성하게 되는 제 1 적층체(61)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공정을 실시한다.
이 제 1 공정은, 흡수성 섬유(8a)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를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를, 반송관(51)을 통하여 석션 드럼(52)에 의해 흡인하고, 그 석션 드럼(52)의 외주면의 몰드부재(53) 내에 적층시켜, 제 1 적층체(61)를 형성한다.
이때,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재료는 위쪽으로부터 몰드부재(53) 내로 공급되지만, 몰드부재(53)는, 그 저부에, 석션 드럼(52)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사각형상의 4쌍의 돌기부(도 11에서는 53a, 53b만을 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53a, 53b)의 각각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이들 돌기부(53a, 53b)는, 흡수체(7)의 주홈부(19)의 위치에 적응하는 위치에, 주홈부의 길이 방향의 형상 및 폭에 적응하는 길이 방향의 형상 및 폭을 갖는 양태로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1 층 적층 공정]
우선,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를 상대적으로 저(低)토출량으로 포함하는 반송관 노즐(51L)로부터 흡수성 재료가 몰드부재(53) 내로 공급되면, 흡수성 섬유(8a)는 경량이고 또한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돌기부(53a, 53b)에 충돌하더라도 튀어오르기 어려워, 몰드부재(53) 내에 거의 균등하게 퇴적된다.
한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는, 흡수성 재료가 몰드부재(53) 내에 공급되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돌기부(53a, 53b)의 선단면에 충돌하여, 튀어올라 그 충돌한 위치에 머무는 일 없이 이동하며, 최종적으로는 돌기부(53a, 53b) 이외의 부분의 저부(53c)에 도달하여 퇴적하게 된다. 이것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가, 통상 입상(粒狀)일 뿐만 아니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1개당 질량이 비교적 크고, 또 석션 드럼(52)의 흡인에도 기인하여,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 자체의 운동 에너지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돌기부(53a, 53b)의 선단면에 충돌했을 때에는 튀어오르기 쉬워, 충돌한 위치에 머무르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상으로부터, 흡수 코어(9)에 있어서의 제 1 층(6)이 적층되게 된다.
[제 2 층 적층 공정]
이어서, 상기 반송관 노즐(51L)을 대신하여,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를 상대적으로 고(高)토출량으로 포함하고 또한 반송관 노즐(51L)보다 저(低)위치에 존재하는 반송관 노즐(51H)로부터 흡수성 재료가 공급되게 된다. 몰드부재(53) 내에 있어서, 흡수성 섬유(8a)가 돌기부(53a, 53b) 상에도 퇴적해 오기는 하지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가 고토출량으로 포함되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가 충돌하면, 흡수성 섬유(8a)의 유연성에 의해서도 그 충격을 여전히 흡수하기 어려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가 튀어오르기 쉽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적층체(61)에는, 폭 방향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의 흡수 코어(9)에 대한 평균 밀도가 다른 부분이 복수 존재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흡수 코어(9)에 있어서의 제 2 층(8)이 적층되게 된다.
즉, 몰드부재(53) 내에 있어서 돌기부(53a, 53b)의 바로 위에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돌기부(53a, 53b)에 충돌하여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가 이동한 만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가장 낮아, 저평균 밀도의 영역(71, 72)이 된다. 또, 돌기부(53a, 53b)의 측벽 부분을 따른 부분이나 그 근방의 부분에 대해서는, 이동해 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가 존재하는 만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비교적 높아, 중평균 밀도의 영역(73, 74, 75)이 된다. 또, 몰드부재(53) 내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8b)가 돌기부(53a, 53b)로 튀어오른 영향을 크게 받는 부분에 대해서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가장 높아, 고평균 밀도 영역(76, 77, 78)이 된다. 또, 이들의 저평균 밀도 영역은 주홈부 대응부(22), 중평균 밀도 영역은 베이스부(20), 고평균 밀도 영역은 베이스부 대응부(24)에 각각 대응하게 된다.
상기 제 1 공정 후, 몰드부재(53) 내의 제 1 적층체(61)를, 석션 드럼(52)의 회전에 의해,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개재한 상태에서 코어 랩 연속체(62) 상에 재치하고, 이 코어 랩 연속체(62)에 의해 제 1 적층체(61)의 외주면을 피복하여 제 2 적층체(63)로 하는 상기 제 2 공정을 행한다.
이 제 2 공정은, 우선, 회전한 석션 드럼(52)이 몰드부재(53) 내의 제 1 적층체(61)를, 코어 랩 연속체용의 권출 롤(54)로부터 풀어내어져 반송 방향(MD)으로 이동하고 있는 코어 랩 연속체(62) 상에 전사하여 재치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절곡(折曲) 수단에 의해 코어 랩 연속체(62)를 제 1 적층체(61)의 외주면을 따라, 반송 방향(MD)과 직교하는 폭 방향(CD)으로 구부려서, 코어 랩 연속체(62)를 제 1 적층체(61)에 감음으로써 피복하여, 장척의 제 2 적층체(63)로 한다.
상기 제 2 공정의 종료 후, 제 2 적층체(63)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제 3 적층체(64)로 하는 상기 제 3 공정을 실시한다.
이 제 3 공정에 있어서는, 프레스 장치(55)의 한 쌍의 프레스 롤(55a, 55b)의 사이에 제 2 적층체(63)를 통과시킴으로써, 도 11(a)에 나타나는 제 2 적층체(63)를 두께 방향(TD)으로 압축한다. 이때, 제 3 적층체(64)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공정 종료 후, 제 3 적층체(64)의 상면에,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개재하여, 액체 투과성 시트 연속체용의 권출 롤(57)로부터 풀어낸 액체 투과성 시트 연속체(66)를 적층하여 장척의 제 4 적층체(65)로 하는 상기 제 4 공정을 행한다.
또한, 상기 제 4 공정의 종료 후, 제 4 적층체(65)의 하면에,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개재하여, 액체 불투과성 시트 연속체용의 권출 롤(58)로부터 풀어낸 액체 불투과성 시트 연속체(68)를 접합하여, 장척의 제 5 적층체(67)로 하는 상기 제 5 공정을 행한다.
상기 제 5 공정 종료 후, 절단 장치에 의해 제 5 적층체(67)를 흡수성 물품(1)의 형상으로 절단한다.
이 결과, 흡수성 물품(1)이 완성되게 된다.
또, 상기 제조 방법에서는 몰드부재가 주홈부 형성용 돌기부를 구비하는 양태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몰드부재는 종홈부 형성용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각 공정은 본 개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예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들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펄프(평균 평량: 170g/㎡)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평균 평량: 200g/㎡)를 포함하는, 350mm×120mm(긴쪽 방향×짧은쪽 방향) 사이즈의 흡수 코어 No.1을, 전술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했다. 흡수 코어 No.1은, 제 1 층에, 4줄의 주홈부(폭: 4mm)가 18mm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또, 제 1 층과 제 2 층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평량 비율은 30:70이었다. 또한, 흡수 코어 No.1은, 주홈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 화상을 육안으로 평가한바, 베이스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주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어느 쪽도 베이스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하, 당해 평가 결과를 「SAP 기울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흡수 코어의 두께는 2.0mm였다.
흡수 코어 No.1을, 핫멜트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코어 랩으로서의 2장의 티슈(평량: 16g/㎡, 400mm×150mm)로 덮었다. 2장의 티슈에 덮인 흡수 코어 No.1을 유압 프레스기로 프레스함으로써 흡수 코어의 두께를 조정하여, 흡수체 No.1을 형성했다.
흡수체 No.1의 제 2 층측에 액체 투과성 시트(에어스루 부직포)를 첩부(貼付)하고, 그리고 제 1 층측에 액체 불투과성 시트(폴리에틸렌 필름)를 첩부함으로써, 간이의 흡수성 물품 No.1을 제조했다.
[제조예 2]
흡수 코어 No.1의 제 1 층에, 4줄의 주홈부의 각각에 14줄의 종홈부(폭 4mm)가, 20mm의 간격으로, 좌우 대칭으로 6mm의 길이로 추가로 배치되어 있었던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흡수성 물품 No.2를 제조했다. 또한, 흡수성 물품 No.2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 샘플 No.2는, 주홈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 화상을 육안으로 평가한바, 상기 SAP 기울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제조예 3]
흡수 코어 No.1의 주홈부를, 긴쪽 방향 피치가 24mm, 짧은쪽 방향 돌출 길이가 12mm가 되는 바와 같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흡수성 물품 No.3를 제조했다. 또한, 흡수성 물품 No.3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 샘플 No.3는, 주홈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 화상을 육안으로 평가한바, 상기 SAP 기울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제조예 4]
흡수 코어 No.1의 제 1 층과 제 2 층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 비율을 50:50으로 하여,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해 몰드부재에 공급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흡수성 물품 No.4를 제조했다. 또한, 흡수성 물품 No.4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 샘플 No.4는, 주홈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 화상을 육안으로 평가한바, SAP 기울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았다.
[제조예 5]
흡수 코어 No.2의 제 1 층과 제 2 층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 비율을 50:50으로 하여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해 몰드부재에 공급하고, 또한 짧은쪽 방향으로 인접하는 종홈부끼리를 연결시킨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흡수성 물품 No.5를 제조했다. 또한, 흡수성 물품 No.5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 샘플 No.5는, 주홈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 화상을 육안으로 평가한바, SAP 기울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았다.
[실시예 1∼3, 그리고 비교예 1 및 2]
흡수성 물품 No.1∼No.5에, 이하에 규정하는 흡수성 시험을 행하여, 흡수 속도, 액체 역류량 및 액체 투과성 시트측의 확산 길이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흡수성 시험]
(1) 흡수성 물품을, 측면시(側面視)가 대략 U자형인 U자 기구에 세트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은, U자 기구에, 흡수체의 긴쪽 방향의 중앙 위치와, U자 기구 중앙부(가장 높이가 낮은 위치)의 위치를 맞추도록 세트한다.
<제 1 사이클>
(2) 흡수체의 중앙 위치에, 뷰렛으로 80mL의 인공뇨(첫 번째)를 80mL/10초의 속도로 주입한다.
(3) 첫 번째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U자 기구 내의 인공뇨가 없어지기까지의 시간을, 흡수 시간(80mL)으로서 기록한다.
(4) 첫 번째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3분 후,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시트에 있어서, 인공뇨가 확산한 영역의 윤곽(80mL)을 기록한다.
<제 2 사이클>
(5) 첫 번째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10분 후, 흡수체의 중앙 위치에, 뷰렛으로 80mL의 인공뇨(두 번째)를 80mL/10초의 속도로 주입한다.
(6) 두 번째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U자 기구 내의 인공뇨가 없어지기까지의 시간을, 흡수 시간(160mL)으로서 기록한다.
(7) 두 번째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3분 후,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시트에 있어서, 인공뇨가 확산한 영역의 윤곽(160mL)을 기록한다.
<제 3 사이클>
(8) (5)∼(7)의 조작을 반복하여, 흡수 시간(240mL)을 측정하고, 윤곽(240mL)을 기록한다.
<제 4 사이클>
(9) (5)∼(7)의 조작을 반복하여, 흡수 시간(320mL)을 측정하고, 윤곽(320mL)을 기록한다.
(10) 네 번째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4분 후, U자 기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내, 아크릴제의 평판 상에, 액체 투과성 시트가 상면이 되도록 흡수성 물품을 펼쳐 1분간 정치(靜置)한다.
(11) 네 번째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5분 후, 100mm×100mm의 여과지 60g을, 인공뇨 주입점을 중심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시트 상에 정치한다. 또한, 그 위에 3.5kg, 100mm×100mm×50mm(높이)의 추를 정치한다. 또한, 여과지에 대해서는 사전에 시험 전의 질량을 측정한다.
(12) 네 번째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8분 후, 추를 제거하고,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하고, 시험 전의 여과지의 질량을 빼서, 그 차분을 액체 역류량으로 한다.
(13) 인공뇨가 확산된 영역의 윤곽(160mL∼320mL)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긴쪽 방향의 인공뇨의 확산 길이를 측정한다.
또한, 인공뇨는, 이온 교환수 10L에, 요소 200g, 염화 나트륨 80g, 황산마그네슘 8g, 염화 칼슘 3g 및 색소: 청색 1호 약 1g을 용해시킴으로써 조제했다.
[표 1]
4사이클의 흡수성 시험을 끝낸 흡수성 물품 No.1∼No.3를, 흡수성 물품 No.4 및 5와 비교하면, 흡수 시간, 액체 역류량, 확산 길이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우위성이 보였다.
[착용감 시험]
다음으로, No.1∼No.5의 흡수성 물품을, 복수의 자원자의 피험자에게 착용하게 한바, No.1∼No.3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4회 이상 배뇨한 후에도 흡수 성능이 좋고, 불쾌감이 적다는 회답을 얻었다. 또한, No.2 및 No.3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4회 이상 배뇨한 후에도 비교적 강성이 낮고, 피트성이 우수하다는 회답을 얻었다. 이와 같이, No.2 및 No.3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효과적인 흡수 성능을 발휘하는데다가, 반복하여 체액을 흡수한 후에 있어서, 피트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
3: 액체 투과성 시트
5: 액체 불투과성 시트 7: 흡수체
9: 흡수 코어 11: 코어 랩
13: 확산 시트 15: 피부 대향면
17: 비피부 대향면 18: 홈부
19: 주홈부 21: 종홈부
25: 종단 28: 기단
L: 긴쪽 방향 W: 짧은쪽 방향
RA: 우측 영역 LA: 좌측 영역
5: 액체 불투과성 시트 7: 흡수체
9: 흡수 코어 11: 코어 랩
13: 확산 시트 15: 피부 대향면
17: 비피부 대향면 18: 홈부
19: 주홈부 21: 종홈부
25: 종단 28: 기단
L: 긴쪽 방향 W: 짧은쪽 방향
RA: 우측 영역 LA: 좌측 영역
Claims (9)
- 긴쪽 방향, 짧은쪽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비(非)피부 대향면 및 피부 대향면을 가지며, 비피부 대향면측의 제 1 층과, 피부 대향면측의 제 2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층은, 상기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며,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주(主)홈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홈부와, 상기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복수의 베이스부(基部)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과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은, 상기 짧은쪽 방향으로 교대로 연재하며,
상기 제 2 층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홈부 및 베이스부와 중복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 및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상기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어느 쪽도,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홈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은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은, 평면시(平面視)로, 상기 긴쪽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상 또는 물결형상으로 연재하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부의 각각은, 상기 제 1 층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과 기단(基端)을 개재해 연이어 통하여 존재하는 종(從)홈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종홈부는, 상기 기단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종단(終端)을 갖는 흡수성 물품.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종홈부와 중복하는 위치에 종홈부 대응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은 흡수성 물품.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도 낮은 흡수성 물품. -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쪽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종홈부의 간격이, 상기 짧은쪽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간격의 10∼60%인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 코어의 적어도 상기 비피부 대향면에, 티슈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코어 랩은, 상기 복수의 주홈부의 각각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136351 | 2016-07-08 | ||
JP2016136351A JP6320467B2 (ja) | 2016-07-08 | 2016-07-08 | 吸収性物品 |
PCT/JP2017/019064 WO2018008268A1 (ja) | 2016-07-08 | 2017-05-22 | 吸収性物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8421A true KR20190028421A (ko) | 2019-03-18 |
KR102186055B1 KR102186055B1 (ko) | 2020-12-03 |
Family
ID=6091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0189A KR102186055B1 (ko) | 2016-07-08 | 2017-05-22 | 흡수성 물품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3482731A4 (ko) |
JP (1) | JP6320467B2 (ko) |
KR (1) | KR102186055B1 (ko) |
CN (1) | CN109328051B (ko) |
WO (1) | WO201800826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22246B2 (ja) * | 2017-03-17 | 2021-01-27 |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吸収体、該吸収体を備える吸収性物品、前記吸収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CN110179594A (zh) * | 2019-05-31 | 2019-08-30 | 重庆百亚卫生用品股份有限公司 | 一种吸收型芯体结构 |
US20220287892A1 (en) * | 2019-06-26 | 2022-09-15 | Zuiko Corporation | Absorbent article |
JP7134151B2 (ja) | 2019-09-30 | 2022-09-0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7411430B2 (ja) * | 2019-12-23 | 2024-01-11 | 花王株式会社 |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
JP7270581B2 (ja) * | 2020-06-30 | 2023-05-1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WO2022071343A1 (ko) * | 2020-09-29 | 2022-04-07 | ||
EP4154857A4 (en) * | 2020-09-29 | 2023-11-22 | Unicharm Corporation | ABSORBENT ARTICLE |
JP7546433B2 (ja) * | 2020-09-30 | 2024-09-0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及びコアラップシートの製造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6479A (ko) * | 2002-12-05 | 2005-08-30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
JP2012130365A (ja) | 2010-12-17 | 2012-07-12 | Kao Corp | 吸収性物品 |
KR20140067138A (ko) * | 2011-09-30 | 2014-06-03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흡수성 물품 |
JP2015112235A (ja) * | 2013-12-11 | 2015-06-22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153125A1 (en) * | 1994-08-31 | 1996-03-01 | Frank Paul Abuto | Liquid-absorbing article |
US5925026A (en) * | 1997-03-10 | 1999-07-2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pertured absorbent pad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
EP1239800A4 (en) * | 1999-09-21 | 2003-02-12 | Weyerhaeuser Co | ABSORBENT COMPOSITE ROD |
US6802834B2 (en) * | 2002-01-15 | 2004-10-1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article having discontinuous absorbent core |
JP4785693B2 (ja) * | 2006-09-27 | 2011-10-05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5912472B2 (ja) * | 2010-12-24 | 2016-04-27 | 花王株式会社 | 吸収体 |
MY163522A (en) * | 2010-12-24 | 2017-09-15 | Kao Corp | Absorbent body and absorbent article |
TWI584791B (zh) * | 2011-05-27 | 2017-06-01 | Kao Corp | Absorbent items |
JP5881366B2 (ja) * | 2011-10-13 | 2016-03-09 | 花王株式会社 | 吸収体 |
JP2014014667A (ja) * | 2012-06-11 | 2014-01-30 | Kao Corp | 吸収性物品の吸収体及びそ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
JP6099239B2 (ja) * | 2012-06-11 | 2017-03-22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271186B2 (ja) * | 2012-11-08 | 2018-01-31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2016
- 2016-07-08 JP JP2016136351A patent/JP6320467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5-22 EP EP17823876.2A patent/EP348273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7-05-22 KR KR1020197000189A patent/KR1021860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5-22 CN CN201780039374.6A patent/CN109328051B/zh active Active
- 2017-05-22 WO PCT/JP2017/019064 patent/WO2018008268A1/ja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6479A (ko) * | 2002-12-05 | 2005-08-30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
JP2012130365A (ja) | 2010-12-17 | 2012-07-12 | Kao Corp | 吸収性物品 |
KR20140067138A (ko) * | 2011-09-30 | 2014-06-03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흡수성 물품 |
JP2015112235A (ja) * | 2013-12-11 | 2015-06-22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482731A1 (en) | 2019-05-15 |
CN109328051B (zh) | 2020-02-28 |
CN109328051A (zh) | 2019-02-12 |
EP3482731A4 (en) | 2019-05-22 |
JP2018000872A (ja) | 2018-01-11 |
JP6320467B2 (ja) | 2018-05-09 |
WO2018008268A1 (ja) | 2018-01-11 |
KR102186055B1 (ko) | 2020-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28421A (ko) | 흡수성 물품 | |
EP2640331B1 (en) | Absorbent article | |
US10646384B2 (en) | Absorbent article and wearable article including absorbent article | |
EP2537498B1 (en) | Absorbent article | |
KR102471386B1 (ko) | 흡수성 물품 | |
AU2015285607B2 (en) | Absorbent article and wearable article including absorbent article | |
JP7160645B2 (ja) | 吸収性物品 | |
CN101389298A (zh) | 包括温度变化单元的吸收制品 | |
JP7270581B2 (ja) | 吸収性物品 | |
KR20140002775A (ko) | 체액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 흡수성 위생 용품 | |
JP2012120584A (ja) | 吸収性物品 | |
CN103732195A (zh) | 一次性尿布 | |
WO2021065084A1 (ja) | 吸収性物品 | |
WO2021060133A1 (ja) | 吸収性物品 | |
JP7323997B2 (ja) | 吸収性物品 | |
CN114206287B (zh) | 吸收性物品 | |
JP7475918B2 (ja) | 吸収性物品 | |
WO2021060131A1 (ja) | 吸収性物品 | |
WO2021060130A1 (ja) | 吸収性物品 | |
JP2023126173A (ja) |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
CN114206290A (zh) | 吸收性物品 | |
JP2021052897A5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