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018A - 탑승형 전동 카트 - Google Patents

탑승형 전동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018A
KR20190028018A KR1020170114890A KR20170114890A KR20190028018A KR 20190028018 A KR20190028018 A KR 20190028018A KR 1020170114890 A KR1020170114890 A KR 1020170114890A KR 20170114890 A KR20170114890 A KR 20170114890A KR 20190028018 A KR20190028018 A KR 2019002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dle
pair
support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균
Original Assignee
(주)머케인
민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머케인, 민경균 filed Critical (주)머케인
Priority to KR102017011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8018A/ko
Publication of KR2019002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7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collapsible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3Adaptations for loading in or o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 가능한 발판을 가지는 전동카트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동 카트는, 적재함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프레임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후방 하부에 사용되는 한 쌍의 후방하부 지지블럭(42)을 포함하는 적재프레임 어셈블리(10); 상기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바아(26a);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에 의하여 지지되는 발판(26) 그리고 상기 발판의 외측에 지지되고 주행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주행휠(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발판(26)은 지지바아(26a)과 같이 적재프레임 어셈블리(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탑승형 전동 카트{Motor driven carts}
본 발명은 배터리 및 모터에 의하여 주행 가능한 전동 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주행할 수도 있고 보행하면서 주행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동 카트에 관한 것이다.
카트는 소정의 화물 등을 싣고 이동하는 가장 기본적인 장치라고 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아주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카트는, 사용자의 힘으로 밀면서 움직이는 순수한 수동형에서 시작하여, 최근에는 배터리 및 모터에 의한 전기적 힘을 이용하는 전동 카트로 발전한 상태이다. 이러한 카트는 가장 간단한 구성 및 취급 편의성이 중요한 포인트로 대두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87591호에서 공개하고 있는 종래의 카트는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취급이 불편한 단점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전동식 카트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모터 및 배터리가 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피 및 무게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그러나 다양한 용도를 가지고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이용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현재 시대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는 구성의 단순화 및 취급 편의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동식 카트의 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편의성으로 탑승 가능성의 여부에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에 따라서 전동 카트를 탑승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탑승 가능한 것 자체가 편의성의 측면에서 중요한 기준이 될 수는 있지만, 탑승 가능하게 설계되면 보행하면서 카트를 운전할 때 다소 불편할 소지가 있다.
그리고 전동식 카트에서 취급 편의성은 카트를 사용에 편리한 장소까지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카트를 쉽게 접을 수 있거나,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에 쉽게 들어갈 수 있는 구성이 가능하다면 취급 편의성은 충분히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한 상태로 주행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보행하면서 주행시키는 것도 아주 편리하게 설계된 전동식 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딩 가능한 전동 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딩 및 일부 분리를 통하여 자동차에 쉽게 싣을 수 있는 전동 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동카트는, 적재함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프레임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후방 하부에 사용되는 한 쌍의 후방하부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후방하부 지지블럭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바아;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에 의하여 지지되는 발판; 그리고 상기 발판의 외측에 지지되고 주행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주행휠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후방상부 지지블럭에 지지되고, 핸들상부와 핸들하부로 구성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핸들상부는 관절부를 통하여 핸들하부에 연결되어, 일정 각도 내에서 회동 가능하고 정해진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적재프레임 어셈블리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선단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후단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프레임; 그리고 선단부가 전방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연결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서 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연결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은, 선단부가 중간지지블럭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상부프레임과, 후단부가 중간지지블럭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여,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수평 상태로 접힐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프레임은 후방상부 지지블럭을 통하여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프레임은 후방하부 지지블럭을 통하여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핸들은 후방프레임과 같은 형태로 접힐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동 카트는, 기본적으로 발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판을 이용하여 탑승하지 않는 경우에는 앞으로 발판을 밀어서 넣은 다음 보행하면서 카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동 카트를 더욱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 프레임 어셈블리에 조립되어 있는 발판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폴딩된 상태에서 더욱 부피를 작게할 수 있어서, 취급의 편의성 및 이동성 등의 측면에서 더욱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적재함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를 접어서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차량에 보다 쉽게 넣어서 이동할 수 있고, 더욱이 이를 위한 취급의 편리함도 충분히 예상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본 사용자의 탑승시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사용자의 도보시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카트의 핸들 부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접기 시작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접기 중간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접힌 상태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 카트는, 짐과 같은 이동대상물을 싣기 위한 적재부를 만들기 위한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와, 상기 적재프레임 어셈블리(10)가 지면에 대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주행부(20), 그리고 카트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핸들(30)로 구성된다.
전동 카트의 주행을 위한 주행부(20)는,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의 후방에서 연결되며 내장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주행휠(22)과,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의 전방에서 연결되고 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보조휠(24)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휠(22)에 내장된 모터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배터리 및 컨트롤러 등이 발판(26)에 내장된다.
상기 발판(26)은,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20)의 후방에 연결되어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한 쌍의 지지바아(26a)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발판(26)을 지지하는 지지바아(26)는,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20)의 후방 측에 설치되는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 삽입되는 상태로 지지되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바아(26a)는 상기 후방하부 지지블럭(42)의 내부로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6a)는 실질적으로 발판(26)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판(26)의 양측 외측면에는 상술한 한 쌍의 주행휠(22)이 각각 지지되고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발판(26)은 기본적으로는 사용자의 탑승을 가능하게 하지만, 그외에도 그 내부에 배터리 및 컨트롤러 등을 내장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상태는 발판(26)이 후방으로 빠져 나온 상태로써 사용자가 발판(26)에 탑승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상태는 발판(26)이 전방으로 들어간 상태로써 사용자는 탑승하지 못하고 주행하면서 전동 카트를 운전해야 하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의 발판(26)은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 수평으로 결합되고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판(26)이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 대하여 후방으로 빼거나 전방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탑승할 수도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발판(26)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에는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지만, 도시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조임나사(42a)를 이용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바아(26a)를 정지 상태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바아(26)를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서 빼냄으로써, 궁극적으로 발판(26)이 프레임(1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실제로 발판(26)이 지지바아(26a)와 같이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은, 프레임 어셈블리(10)의 전체 부피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취급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착상이 기초하고 있다.
그리고 핸들(30)는 주행시 사용자가 잡기 위한 것이고,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과 연결되는 핸들하부(32)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핸들상부(34)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핸들상부(34)는 핸들하부(32)에 대하여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탑승시 또는 사용자의 보행시 적절한 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상부(34)에는 전동 카트의 주행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36)이 설치될 수 있다.
핸들상부(34)를 핸들아부(32)에 대하여 회동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탑승시와 보행시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탑승시에는 핸들(30)과 사용자의 간격이 아주 좁기 때문에 핸들상부(34)가 상방으로 회전한 상태가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주행시에는 핸들(30)과의 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에 핸들상부(34)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사용자에게 더 근접한 상태가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핸들상부(34)와 핸들하부(32)는 관절부(50)에 의하여 연결되면서, 고정된 핸들하부(32)에 대하여 핸들상부(34)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고정된 상태의 일측부재(핸들하부)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는 구성에는 수많은 형태의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관절부(50)는 고정된 핸들하부(32)에 연결된 핸들상부(34)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에는 관절부(50)에 대한 하나의 구성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현재 유모자의 핸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예시적인 구성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절부(50)는, 핸들상부(34a)와 연결되는 상부연결체(52)와, 핸들하부(32)와 연결되는 하부연결체(5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연결체(52)와 하부 연결체는 서로 결합되면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부연결체(52)의 내부에는 치형홈(52a)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연결체(54)의 구성도 실질적으로 상부연결체(54)의 구성과 동일하고, 치형홈(52a)과 동일한 것이 대칭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부연결체(52)와 하부연결체(54)의 내부에는, 위치유지용 치형(55)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치형(55)은 스프링(53)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스프링(53)의 탄성력으로 지지되는 치형(55)의 위치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상부연결체(52)와 하부연결체(54)의 내부에 성형된 치형홈(52a)에 같이 물려 있는 위치이다. 상부연결체(52)와 하부연결체(54)는 보스(59) 및 보스(59)를 관통하는 지지핀(58)이 양측을 관통하는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외측에 결합되는 누름노브(57)는, 예를 들면 상부연결체(52)의 외측에서 내부로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누름노브(57)를 누르면 위치유지용 치형(55)이 도면 상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어 하부연결체(54) 내부의 치형홈에만 물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상부(34)는 회전할 수 있는 상태이고,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누름노브(57)를 해제하면 위치유지용 치형(55)은 양측의 치형홈에 동시에 물려서 핸들상부(34)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관절부(50)는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고,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예는 유모자 등에서 사용되는 관절부(50)의 일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절부(50)의 구성에 대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정 구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회전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이면 어떠한 공지된 연결수단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핸들상부(34)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것은, 핸들상부를 사용자엑 편리한 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탑승 상태에서는 위로 회동시켜 높이를 높이면서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도 2와 같이 보행 상태에서는 아래로 회동시켜 높이를 낮추면서 후방 하부로 내려오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실질적으로 뼈대만을 도시한 것이고, 이러한 뼈대에 저면 및 측면을 다른 재료로 만들어 부착하게 되면 적재함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적재함을 만들기 위한 프레임(10)을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요시 접어서 부피를 작게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면 차량의 트렁크에 넣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은, 주행방향(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전후프레임(12)과, 주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전후프레임(14)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하부 전후프레임(12)의 사이에는, 좌우측을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프레임(13)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은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전후프레임(12,14)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은 하방으로 벤딩된 U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은 각각 좌우측에 배치되는 전후프레임(12,14)을 별도로 지지하도록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좌우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전후프레임(14)은, 전방부분 및 후방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제1상부 전후프레임(14a)과 제2상부 전후프레임(14b)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상부 전후프레임(14a,14b)의 후단 및 선단은 각각 중간지지블럭(44)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는데, 이는 제1 및 제2상부 전후프레임(14a,14b)이 중간지지블럭(44)에 대하여 직선 운동, 즉 관통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상부프레임(14a)의 후단부는 후방상부 지지블럭(4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도 4 내지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상부 지지블럭(47)은 후방프레임(16) 및 핸들하부(32)를 조립한 상태로 동시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1상부프레임(14a)이 후방상부 지지블럭(4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는 것은, 제1상부프레임(14a)이 후방프레임(16) 또는 핸들하부(32)의 어느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동일한 기술적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 카트에서 핸들(30)의 구성을 생략한다면, 제1상부프레임(14a)의 후단부는 후방프레임(16)에 지지되는 후방상부 지지블럭(4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후방프레임(16) 자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후방프레임(16)과 핸들(30)을 공용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위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제2상부프레임(14b)의 선단부는, 전방프레임(1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되거나, 전방프레임(18)에 설치되어 있는 전방상부 지지블럭(4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전방프레임(18)의 하부는, 하부프레임(12)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하부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는 전방프레임 연결구(18A)을 통하여 하부프레임(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하부프레임(12)의 선단(12a) 및 후단(12b)은 각각 상방으로 일정 구간 벤딩되어 있고, 이렇게 상부로 직립한 선단(12a) 및 후단(12b)을 통하여,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프레임(18)과 후방프레임(16)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48)을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48)의 선단부는 전방프레임(18)의 하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전방프레임(18)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전방연결구(48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48)의 후단부는 후방프레임(16)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후방연결구(48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48)은 전방이 낮은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어 있는데, 그 전방 단부가 전방프레임(18)과 연결되는 위치는, 전방프레임(18)이 하부프레임(12)과 연결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지지프레임 전방연결구(48A)가 전방프레임 연결구(18A)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48)의 후단부와 후방프레임(16)이 연결되는 위치는, 후방프레임(16)이 하부프레임(12)과 연결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고 있는데, 도시한 실시 예에서 후방하부 지지블럭(42)이 지지프레임 후방연결구(48B)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동 카트의 폴딩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상태에서, 전동 카트 자체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부피가 가장 큰 부분인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을 접어야 한다. 적재프레임 어셈블리(10)을 접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의 상단부를 서로 근접하도록 잡아당긴다.
이렇게 되면 전방프레임(18)은 하부프레임(12)과의 연결 및 지지점인 전방프레임 연결구(18A)를 중심으로 기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후방프레임(16)은 하부프레임(12)과의 연결 및 지지점인 후방하부 지지블럭(42)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이 각각 약간 회동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연속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더 회동시키게 되면, 도 7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살펴보면, 제1상부프레임(14a) 및 제2상부프레임(14b)는, 중간에 있는 중간지지블럭(44)를 관통하면서 서로 중첩되면서 길이가 짧아진다. 그리고 지지프레임(48)의 선단부[또는 지지프레임 전방연결구(48A)]는 전방프레임 연결구(18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지지프레임(48)의 후단부는, 후방지지블럭(42)이 하부프레임(12)의 후단(12b)를 중심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서 지지프레임 후방연결구(48B)가 접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동이 계속 진행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상부프레임(14a) 및 제2상부프레임(14b)가 중간지지블럭(44)을 중심으로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면서 가장 많이 중첩되는 상태가 되고, 지지프레임(48)은 거의 수평상태로 되는데, 이는 하부프레임(12) 보다는 상승한 상태이다. 즉 지지프레임(48)의 수평 위치는, 전방프레임(18)이 하부프레임(12)의 선단(12a)과 연결되는 위치 또는 후방프레임(16)이 하부프레임(12)의 후단(12b)과 연결되는 위치와 동일한 높이임을 알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후방프레임(16)은 핸들(30)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직립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프레임(16)과 핸들하부(32)는, 위에서는 후방상부 지지블럭(47)에 같이 연결되어 있고, 아래에서는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 같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6)과 핸들(30)은 서로 같이 연동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후방프레임(16)과 핸들(30)은 서로 동일한 프레임으로 구성하거나, 후방프레임(16)을 핸들하부(32)과 공용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행휠(22) 및 발판(26) 등이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폴딩되고 일부 부품이 분리된 상태에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의 부피는 현저하게 줄어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자동차의 트렁크에도 쉽게 들어갈 수 있을 것이어서, 이동 및 취급의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판이 프레임 어셈블리에 대하여 전방으로 더욱 근접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거나,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발판의 위치에 따라서 핸들(30)의 상부(34)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가장 기본적인 기술적 착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의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을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접는 것에 의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8)을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접혀지면서 부피가 줄어드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부분적인 변경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당연히 예상될 수 있을 것이다.
10 .....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12 ..... 하부프레임
12a ..... 하부프레임 선단
12b ..... 하부프레임 후단
13 ..... 보강프레임
14 ..... 상부프레임
14a ..... 제1상부프레임
14b ..... 제2상부프레임
16 ..... 후방프레임
18 ..... 전방프레임
18A ..... 전방프레임 연결구
20 ..... 주행부
22 .... 주행휠
24 ..... 보조휠
26 ..... 발판
26a ..... 지지바아
30 ..... 핸들
32 ..... 핸들하부
34 ..... 핸들상부
36 ..... 조작패널
42 .... 후방하부 지지블럭
44 ..... 중간지지블럭
47 ..... 후방상부 지지블럭
48 ..... 지지프레임
48A ..... 지지프레임 전방연결구
48B ..... 지지프레임 후방연결구

Claims (4)

  1. 적재함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프레임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후방 하부에 사용되는 한 쌍의 후방하부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후방하부 지지블럭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바아;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에 의하여 지지되는 발판; 그리고
    상기 발판의 외측에 지지되고 주행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주행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형 전동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상부 지지블럭에 지지되고, 핸들상부와 핸들하부로 구성되는 핸들(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핸들상부는 관절부를 통하여 핸들하부에 연결되어, 일정 각도 내에서 회동 가능하고 정해진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는 탑승형 전동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프레임 어셈블리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12);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14);
    상기 하부프레임(12) 및 상부프레임(14)의 선단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프레임(18);
    상기 하부프레임(12) 및 상부프레임(14)의 후단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프레임(16); 그리고
    선단부가 전방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연결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서 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연결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48)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4)은, 선단부가 중간지지블럭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상부프레임과, 후단부가 중간지지블럭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여,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수평 상태로 접힐 수 있는 탑승형 전동 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프레임은 후방상부 지지블럭(47)을 통하여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프레임은 후방하부 지지블럭(42)을 통하여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핸들(30)은 후방프레임과 같은 형태로 접히는 전동 카트.






KR1020170114890A 2017-09-08 2017-09-08 탑승형 전동 카트 KR20190028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90A KR20190028018A (ko) 2017-09-08 2017-09-08 탑승형 전동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90A KR20190028018A (ko) 2017-09-08 2017-09-08 탑승형 전동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18A true KR20190028018A (ko) 2019-03-18

Family

ID=6594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890A KR20190028018A (ko) 2017-09-08 2017-09-08 탑승형 전동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80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1304B (zh) 可变形折叠电动滑板车
US6588787B2 (en) Foldable electric vehicle for recreation and traveling
AU2013232748B2 (en) Portable motor-driven transportation means
JP7269551B2 (ja) 電動車両
KR20130107684A (ko) 셀프 밸런싱 전동장치가 구비된 백팩형 가방
NL2022639B1 (en) Transformable cycle
US20150175227A1 (en) Modular mobile vehicle with an adjustable wheelbase
CN213406636U (zh) 电动车辆
KR101598481B1 (ko) 장착프레임 유닛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598484B1 (ko)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KR20130116423A (ko) 접이식 역삼륜 전동 자전거
CN112109795A (zh) 无动力车体用包括驱动单元的搭乘装置
CN206218108U (zh) 电动折叠代步车
KR101517292B1 (ko) 보행보조 로봇
EP3875355B1 (en) Foldable electric scooter
US20150008050A1 (en) Personal mobility vehicle
KR101849490B1 (ko) 다용도 전동 보드
KR20190028018A (ko) 탑승형 전동 카트
CN210822589U (zh) 电动车车架及电动车
CN210126588U (zh) 小型电动车辆的座位座椅以及小型电动车辆
KR20190028017A (ko) 폴딩형 전동 카트
CN214189926U (zh) 滑板车
NL2007636C2 (en) Stroller for an infant.
KR20120049003A (ko) 접이식 전동 4륜 자전거
JP6655920B2 (ja) 乳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