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017A - 폴딩형 전동 카트 - Google Patents

폴딩형 전동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017A
KR20190028017A KR1020170114889A KR20170114889A KR20190028017A KR 20190028017 A KR20190028017 A KR 20190028017A KR 1020170114889 A KR1020170114889 A KR 1020170114889A KR 20170114889 A KR20170114889 A KR 20170114889A KR 20190028017 A KR20190028017 A KR 20190028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block
frames
hand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균
Original Assignee
(주)머케인
민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머케인, 민경균 filed Critical (주)머케인
Priority to KR1020170114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8017A/ko
Publication of KR2019002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7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collapsible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3Adaptations for loading in or o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부분을 쉽게 접을 수 있는 전동 카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 전동 카트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12);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14); 상기 하부프레임(12) 및 상부프레임(14)의 선단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프레임(18); 상기 하부프레임(12) 및 상부프레임(14)의 후단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프레임(16); 그리고 선단부가 전방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연결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서 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연결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4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4)은, 선단부가 중간지지블럭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상부프레임과, 후단부가 중간지지블럭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여,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수평 상태로 접힐 수 있다.

Description

폴딩형 전동 카트{Motor driven carts}
본 발명은 배터리 및 모터에 의하여 주행 가능한 전동 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주 간편한 조작으로 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일부분이 분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동 카트에 관한 것이다.
카트는 소정의 화물 등을 싣고 이동하는 가장 기본적인 장치라고 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아주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카트는, 사용자의 힘으로 밀면서 움직이는 순수한 수동형에서 시작하여, 최근에는 배터리 및 모터에 의한 전기적 힘을 이용하는 전동 카트로 발전한 상태이다. 이러한 카트는 가장 간단한 구성 및 취급 편의성이 중요한 포인트로 대두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87591호에서 공개하고 있는 종래의 카트는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취급이 불편한 단점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전동식 카트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모터 및 배터리가 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피 및 무게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그러나 다양한 용도를 가지고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이용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현재 시대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는 구성의 단순화 및 취급 편의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취급 편의성이라고 함은, 카트를 사용에 편리한 장소까지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카트를 쉽게 접을 수 있거나,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에 쉽게 들어갈 수 있는 구성이 가능하다면 취급 편의성은 충분히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 가능한 전동 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딩 및 일부 분리를 통하여 자동차에 쉽게 싣을 수 있는 전동 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동카트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선단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후단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프레임; 그리고 선단부가 전방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연결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서 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연결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선단부가 중간지지블럭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상부프레임과, 후단부가 중간지지블럭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여,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수평 상태로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상부프레임은 후방상부 지지블럭을 통하여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프레임은 후방하부 지지블럭을 통하여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상부 지지블럭 또는 후방하부 지지블럭의 적어도 하나에 지지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핸들은 후방프레임과 같은 형태로 접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동 카트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적재함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를 접어서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차량에 보다 쉽게 넣어서 이동할 수 있고, 더욱이 이를 위한 취급의 편리함도 충분히 예상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 프레임 어셈블리에 조립되어 있는 발판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폴딩된 상태에서 더욱 부피를 작게할 수 있어서, 취급의 편의성 및 이동성 등의 측면에서 더욱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접기 시작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접기 중간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접힌 상태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전동 카트는, 짐과 같은 이동대상물을 싣기 위한 적재부를 만들기 위한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과, 상기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이 지면에 대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주행부(20), 그리고 카트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핸들(30)로 구성된다.
전동 카트의 주행을 위한 주행부(20)는,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의 후방에서 연결되며 내장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주행휠(22)과,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의 전방에서 연결되고 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보조휠(24)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휠(22)에 내장된 모터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배터리는 발판(26)에 내장된다.
상기 발판(26)은,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20)의 후방에 연결되어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한 쌍의 지지바아(26a)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발판(26)을 지지하는 지지바아(26)는,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20)의 후방 측에 설치되는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 삽입되는 상태로 지지되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바아(26)는 상기 후방하부 지지블럭(42)의 내부로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발판(26)이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 대하여 후방으로 빼거나 전방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탑승할 수도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바아(26)를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서 빼냄으로써, 궁극적으로 발판(26)이 프레임(1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핸들(30)는 주행시 사용자가 잡기 위한 것이고,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과 연결되는 핸들하부(32)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핸들상부(34)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핸들상부(34)는 핸들하부(32)에 대하여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탑승시 또는 사용자의 보행시 적절한 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상부(34)에는 전동 카트의 주행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36)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 전동 카트의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은 실질적으로 프레임만을 도시한 것이고, 이러한 프레임에 저면 및 측면을 다른 재료로 만들어 부착하게 되면, 상면이 개방된 적재함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적재함을 만들기 위한 프레임(10)을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요시 접어서 부피를 작게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면 차량의 트렁크에 넣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은, 주행방향(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전후프레임(12)과, 주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전후프레임(14)를 포함하고 있다. 하부 전후프레임(12)의 사이에는, 좌우측을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프레임(13)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은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전후프레임(12,14)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은 하방으로 벤딩된 U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은 각각 좌우측에 배치되는 전후프레임(12,14)을 별도로 지지하도록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좌우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전후프레임(14)은, 전방부분 및 후방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제1상부 전후프레임(14a)과 제2상부 전후프레임(14b)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상부 전후프레임(14a,14b)의 후단 및 선단은 각각 중간지지블럭(44)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는데, 이는 제1 및 제2상부 전후프레임(14a,14b)이 중간지지블럭(44)에 대하여 직선 운동, 즉 관통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상부프레임(14a)의 후단부는 후방상부 지지블럭(4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상부 지지블럭(47)은 후방프레임(16) 및 핸들하부(32)를 조립한 상태로 동시에 지지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상부프레임(14a)이 후방상부 지지블럭(4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는 것은, 제1상부프레임(14a)이 후방프레임(16) 또는 핸들하부(32)의 어느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동일한 기술적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 카트에서 핸들(30)의 구성을 생략한다면, 제1상부프레임(14a)의 후단부는 후방프레임(16)에 지지되는 후방상부 지지블럭(4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후방프레임(16) 자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후방프레임(16)과 핸들(30)을 공용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위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제2상부프레임(14b)의 선단부는, 전방프레임(1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되거나, 전방프레임(18)에 설치되어 있는 전방상부 지지블럭(4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전방프레임(18)의 하부는, 하부프레임(12)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하부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는 전방프레임 연결구(18A)을 통하여 하부프레임(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하부프레임(12)의 선단(12a) 및 후단(12b)은 각각 상방으로 일정 구간 벤딩되어 있고, 이렇게 상부로 직립한 선단(12a) 및 후단(12b)을 통하여,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프레임(18)과 후방프레임(16)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48)을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48)의 선단부는 전방프레임(18)의 하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전방프레임(18)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전방연결구(48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48)의 후단부는 후방프레임(16)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후방연결구(48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48)은 전방이 낮은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어 있는데, 그 전방 단부가 전방프레임(18)과 연결되는 위치는, 전방프레임(18)이 하부프레임(12)과 연결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지지프레임 전방연결구(48A)가 전방프레임 연결구(18A)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48)의 후단부와 후방프레임(16)이 연결되는 위치는, 후방프레임(16)이 하부프레임(12)과 연결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고 있는데, 도시한 실시 예에서 후방하부 지지블럭(42)이 지지프레임 후방연결구(48B)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동 카트의 폴딩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상태에서, 전동 카트 자체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부피가 가장 큰 부분인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을 접어야 한다. 적재프레임 어셈블리(10)을 접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의 상단부를 서로 근접하도록 잡아당긴다.
이렇게 되면 전방프레임(18)은 하부프레임(12)과의 연결 및 지지점인 전방프레임 연결구(18A)를 중심으로 기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후방프레임(16)은 하부프레임(12)과의 연결 및 지지점인 후방하부 지지블럭(42)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이 각각 약간 회동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연속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더 회동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살펴보면, 제1상부프레임(14a) 및 제2상부프레임(14b)는, 중간에 있는 중간지지블럭(44)를 관통하면서 서로 중첩되면서 길이가 짧아진다. 그리고 지지프레임(48)의 선단부[또는 지지프레임 전방연결구(48A)]는 전방프레임 연결구(18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지지프레임(48)의 후단부는, 후방지지블럭(42)이 하부프레임(12)의 후단(12b)를 중심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서 지지프레임 후방연결구(48B)가 접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동이 계속 진행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상부프레임(14a) 및 제2상부프레임(14b)가 중간지지블럭(44)을 중심으로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면서 가장 많이 중첩되는 상태가 되고, 지지프레임(48)은 거의 수평상태로 되는데, 이는 하부프레임(12) 보다는 상승한 상태이다. 즉 지지프레임(48)의 수평 위치는, 전방프레임(18)이 하부프레임(12)의 선단(12a)과 연결되는 위치 또는 후방프레임(16)이 하부프레임(12)의 후단(12b)과 연결되는 위치와 동일한 높이임을 알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후방프레임(16)은 핸들(30)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직립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프레임(16)과 핸들하부(32)는, 위에서는 후방상부 지지블럭(47)에 같이 연결되어 있고, 아래에서는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 같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6)과 핸들(30)은 서로 같이 연동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후방프레임(16)과 핸들(30)은 서로 동일한 프레임으로 구성하거나, 후방프레임(16)을 핸들하부(32)과 공용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행휠(22) 및 발판(26) 등이 후방하부 지지블럭(4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폴딩되고 일부 부품이 분리된 상태에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의 부피는 현저하게 줄어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자동차의 트렁크에도 쉽게 들어갈 수 있을 것이어서, 이동 및 취급의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어셈블리(10)의 전방프레임(18) 및 후방프레임(16)을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접는 것에 의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8)을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접혀지면서 부피가 줄어드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부분적인 변경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당연히 예상될 수 있을 것이다.
10 ..... 적재프레임 어셈블리
12 ..... 하부프레임
12a ..... 하부프레임 선단
12b ..... 하부프레임 후단
13 ..... 보강프레임
14 ..... 상부프레임
14a ..... 제1상부프레임
14b ..... 제2상부프레임
16 ..... 후방프레임
18 ..... 전방프레임
18A ..... 전방프레임 연결구
20 ..... 주행부
22 .... 주행휠
24 ..... 보조휠
26 ..... 발판
26a ..... 지지바아
30 ..... 핸들
32 ..... 핸들하부
34 ..... 핸들상부
36 ..... 조작패널
42 .... 후방하부 지지블럭
44 ..... 중간지지블럭
47 ..... 후방상부 지지블럭
48 ..... 지지프레임
48A ..... 지지프레임 전방연결구
48B ..... 지지프레임 후방연결구

Claims (2)

  1.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12);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14);
    상기 하부프레임(12) 및 상부프레임(14)의 선단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프레임(18);
    상기 하부프레임(12) 및 상부프레임(14)의 후단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프레임(16); 그리고
    선단부가 전방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연결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서 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연결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48)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4)은, 선단부가 중간지지블럭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상부프레임과, 후단부가 중간지지블럭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여,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수평 상태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프레임은 후방상부 지지블럭(47)을 통하여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프레임은 후방하부 지지블럭(42)을 통하여 후방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후방상부 지지블럭 또는 후방하부 지지블럭의 적어도 하나에 지지되는 핸들(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핸들(30)은 후방프레임과 같은 형태로 접히는 전동 카트.






KR1020170114889A 2017-09-08 2017-09-08 폴딩형 전동 카트 KR20190028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89A KR20190028017A (ko) 2017-09-08 2017-09-08 폴딩형 전동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89A KR20190028017A (ko) 2017-09-08 2017-09-08 폴딩형 전동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17A true KR20190028017A (ko) 2019-03-18

Family

ID=6594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889A KR20190028017A (ko) 2017-09-08 2017-09-08 폴딩형 전동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80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680883U (zh) 折叠儿童推车
CN102512310B (zh) 一种可折叠多功能助行车
CN107531304B (zh) 可变形折叠电动滑板车
US20090093347A1 (en) Integrated folding mechanism of a treadmill
US20130118819A1 (en) Self-powered vehicle with selectable operational modes
US9908570B1 (en) Electric beach wagon
US20190144065A1 (en) Motor scooter that can be folded up
CN105793138A (zh) 可折叠的运输车
CN105905215A (zh) 自行车存储系统
KR20130116423A (ko) 접이식 역삼륜 전동 자전거
WO2017068316A1 (en) A ride-on or walk-behind golf trolley
CN215439518U (zh) 一种起重行走稳定的电动叉车
CN202386871U (zh) 一种三轮式多功能助行车
CN110723191A (zh) 折叠儿童推车
KR20190028017A (ko) 폴딩형 전동 카트
KR101849490B1 (ko) 다용도 전동 보드
CN202497356U (zh) 可携带微型低速折叠电动休闲椅车
CN110271594A (zh) 手推车
JP6223834B2 (ja) 歩行器
KR20190028018A (ko) 탑승형 전동 카트
CN208120664U (zh) 电动升降机装置
JP2016093474A (ja) 折畳式ゴルフカート
CN212529787U (zh) 婴儿车车架组件及婴儿车
US20030139262A1 (en) Lifting device for a treadmill
JP3929270B2 (ja) 電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