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936A -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통신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통신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936A
KR20190026936A KR1020197005309A KR20197005309A KR20190026936A KR 20190026936 A KR20190026936 A KR 20190026936A KR 1020197005309 A KR1020197005309 A KR 1020197005309A KR 20197005309 A KR20197005309 A KR 20197005309A KR 20190026936 A KR20190026936 A KR 20190026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data communication
scenario
f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943B1 (ko
Inventor
아키요시 야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모국 장치(1)는, 종국 장치와 동기하여 슬립 상태와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는, 동작 상태에 있을 때에 실행하는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으로서 폴링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푸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통신 네트워크로의 참가를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및 상기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중 어느 1개 이상이 기술되고, 또한, 해당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의 실행 순서가 기술되는, 종국 장치와 공유하는 통신 시나리오를 관리한다.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는, 슬립 상태로부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을,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종국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행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
본 발명은,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무선 메시 네트워크 또는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상호 접속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은, ZigBee Alliance, Wi-SUN Alliance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예컨대, ZigBee Alliance에서는, 센서 단말이 되는 엔드 디바이스는 배터리 구동이다. 이 때문에, ZigBee Alliance에서는, 엔드 디바이스는, 통신을 행할 때만 통신 기능을 유효하게 하고, 통신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슬립 상태로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이고 있다.
엔드 디바이스의 경우는, 해당 엔드 디바이스로의 통신 및 해당 엔드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신이 행하여질 때만 통신 기능을 유효하게 하고, 다른 시간을 슬립 상태로 하면 되므로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렇지만, 중계 노드가 되는 라우터에서는, 해당 라우터로의 통신 및 해당 라우터로부터의 통신 이외에 엔드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신을 중계한다. 이 때문에, 라우터에서는, 엔드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신을 고려한 슬립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예컨대, 비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슬립 모드를 계속하는 시간 등이 기술된 패킷이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내의 모든 단말에 송신된다. 해당 패킷을 수신한 각 단말은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해당 패킷에 기재된 시간이 경과한 후,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중계 단말을 포함한 모든 단말의 전력 절약이 실현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9-206749호 공보
비특허문헌 1 : 쿠보 유키, 야나기하라 켄타로, 노자키 마사노리 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소전력화 기술" OKI 테크니컬 리뷰, 2009년 4월/제 214호 Vol. 76 No. 1 p. 32~35
종래의 무선 메시 네트워크,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드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신을 고려한 슬립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중계 노드의 슬립 제어가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단말이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단말은 슬립 모드로 이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중계 노드에 상당하는 단말의 이동 또는 철거, 무선 환경의 변동에 의해, 어느 단말이 패킷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는, 해당 단말은 슬립 모드로 이행할 수 없다.
또한, 소비 전력 저감을 위해서는, 슬립 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있지만,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도,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복수의 단말이 동일한 스케줄로 통일적으로 통신을 행하지 않으면, 각 단말에서 빈번하게 슬립과 기상이 반복되게 되어, 유효하게 소비 전력 저감을 도모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효율적인 슬립 제어를 확실히 실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통신 장치는, 통신 목적지 장치와 동기하여 슬립 상태와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동작 상태에 있을 때에 실행하는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으로서 폴링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푸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통신 네트워크로의 참가를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및 상기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중 어느 1개 이상이 기술되고, 또한, 해당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의 실행 순서가 기술되는,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 공유하는 통신 시나리오를 관리하는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와,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을,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행하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 장치는, 통신 시나리오를 통신 목적지 장치와 공유하고 있다. 또한, 통신 장치는,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을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실행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장치와 통지 목적지 장치는, 공유하고 있는 통신 시나리오에 따라, 동일한 스케줄로 통일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고, 확실히 효율적인 슬립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모국(master station)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종국(slave station)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슬립 모드와 동작 모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T1 페이즈와 T2 페이즈에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에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에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에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시각 동기 수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로의 참가 수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통신 시나리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타임 슬롯마다의 동작 모드와 슬립 모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슬립 지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종국 장치의 그룹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일부의 종국 장치만이 동작 모드가 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일부의 종국 장치만이 동작 모드가 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일부의 종국 장치만이 동작 모드가 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일부의 종국 장치만이 동작 모드가 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일부의 종국 장치만이 동작 모드가 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일부의 종국 장치만이 동작 모드가 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모국 장치와 종국 장치의 사이의 동기가 어긋난 경우에 행하여지는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모국 장치와 종국 장치의 사이의 동기가 어긋난 경우에 행하여지는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송신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행하여지는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모국 장치와 복수의 종국 장치가 일제히 기동한 경우에 행하여지는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모국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종국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슬립 지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의 형태 1.
***구성의 설명***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는, 모국 장치(1)와 복수의 종국 장치(2~12)로 구성된다.
종국 장치(2~12)는 분산 배치되고, 각각이 근방의 종국 장치 또는 모국 장치(1)와 무선 링크로 접속된다. 모국 장치(1)와 직접 무선 접속할 수 없는 종국 장치는, 다른 종국 장치의 중계에 의해 모국 장치(1)와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국 장치(1)를 중심으로 한 트리 형상의 통신 경로가 구성된다.
종국 장치(2~12)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는, 종국 장치(2~12)의 각각을 종국 장치(200)라고 한다.
또한, 모국 장치(1), 종국 장치(2~12)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는, 모국 장치(1), 종국 장치(2~12)의 각각을 국 장치라고 한다.
모국 장치(1)는 주기적으로 슬립 모드(슬립 상태)와 동작 모드(동작 상태)를 전환하여 동작한다. 단, 모국 장치(1)는, 주기적으로 슬립 상태를 해제하여 후술하는 복수의 데이터 통신 수순 중 어느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을 종국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실행한 후에, 슬립 상태로 재차 이행하더라도 좋고, 각 종국 장치(200)의 기준이 되기 위해, 슬립 모드와 동작 모드의 전환은 행하지만, 실제로 슬립 상태가 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각 종국 장치(200)는, 모국 장치(1)와 동기하여, 주기적으로 슬립 모드와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동작한다. 다시 말해, 종국 장치(200)는, 주기적으로 슬립 상태를 해제하여 후술하는 복수의 데이터 통신 수순 중 어느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을 모국 장치(1)와의 사이에서 실행한 후에, 슬립 상태로 재차 이행한다.
모국 장치(1) 및 각 종국 장치(200)는, 각각, 통신 장치에 상당한다.
모국 장치(1)에 있어서는, 각 종국 장치(200)는 통신 목적지 장치에 상당한다. 한편, 각 종국 장치(200)에 있어서는, 모국 장치(1)는 통신 목적지 장치에 상당한다.
또한, 모국 장치(1) 및 각 종국 장치(200)가 행하는 동작은,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의 예이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모국 장치(1)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종국 장치(20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25는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모국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26은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종국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 25를 참조하여, 모국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설명한다.
모국 장치(1)는, 컴퓨터이다.
모국 장치(1)는, 프로세서(901), 기억 장치(902) 및 통신 인터페이스(903)를 구비한다.
기억 장치(902)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901)가 이들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의 동작을 행한다.
도 3에서는, 프로세서(901)가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기억 장치(902)는, 도 2에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 수집 데이터베이스부(18)를 실현한다.
통신 인터페이스(903)는, 종국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기이다.
다음으로, 도 26을 참조하여, 종국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설명한다.
종국 장치(200)도 컴퓨터이다.
종국 장치(200)는, 프로세서(911), 기억 장치(912), 통신 인터페이스(913) 및 센서(914)를 구비한다.
기억 장치(91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901)가 이들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의 동작을 행한다.
도 3에서는, 프로세서(901)가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모국 장치(1) 또는 다른 종국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기이다.
센서(914)는, 도 3에 나타내는 센서부(24)를 실현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모국 장치(1)의 기능 구성예를 설명한다.
무선 통신부(13)는, 통신 인터페이스(903)를 이용하여, 종국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14)는, 종국 장치(2~12)의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로의 참가를 관리한다.
푸시 데이터 수집부(15)는, 무선 통신부(13)를 거쳐서, 푸시 데이터 통신에 의해 종국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이하, 푸시 데이터라고 한다)를 취득한다. 그리고, 푸시 데이터 수집부(15)는, 푸시 데이터를, 후술하는 센서 데이터 수집 데이터베이스부(18)에 전송한다.
푸시 데이터 통신이란, 후술하는 폴링 요구에 따른 데이터 통신과 달리, 종국 장치(200)가 자발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형태이다.
폴링 제어부(16)는, 무선 통신부(13)를 거쳐서, 폴링 요구를 모든 종국 장치(200)에 송신한다. 또한, 폴링 제어부(16)는, 폴링 요구에 의해 각 종국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이하, 폴링 데이터라고 한다)를 취득한다. 그리고, 폴링 제어부(16)는, 후술하는 폴링 데이터 수집부(17)에 폴링 데이터를 전송한다.
폴링 데이터 수집부(17)는, 폴링 제어부(16)로부터 폴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폴링 데이터를 센서 데이터 수집 데이터베이스부(18)에 전송한다.
센서 데이터 수집 데이터베이스부(18)는, 푸시 데이터 수집부(15)로부터 전송된 푸시 데이터와 폴링 데이터 수집부(17)로부터 전송된 폴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는, 통신 시나리오를 관리한다.
통신 시나리오는, 복수의 타임 슬롯에 대하여, 타임 슬롯마다, 기 동작 상태에 있을 때에 실행하는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과 해당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의 실행 순서가 기술되는 정보이다. 통신 시나리오는, 모국 장치(1)와 종국 장치(2~12)의 사이에서 공유된다.
또, 타임 슬롯이란,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의 기동 주기에 대응하는 단위 시간이다. 다시 말해, 타임 슬롯은, 슬립 상태로부터 동작 상태로의 전환 주기이다. 예컨대,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가 5분 간격으로 기동하는 경우는, 각 타임 슬롯은 5분이다.
또한,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이란, 예컨대, 폴링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이하,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라고 한다)이다. 또한,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은, 푸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이하,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라고 한다)이더라도 좋다. 또한,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은, 통신 네트워크(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로의 참가를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이하,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라고 한다)이더라도 좋다. 또한,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은,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이하,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라고 한다)이더라도 좋다.
또,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를 각각 데이터 통신 페이즈라고도 한다.
또, 통신 시나리오의 상세는 후술한다.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의 동작은, 통신 시나리오 관리 스텝의 예이다.
슬립 기동 제어부(20)는, 슬립 지시의 생성 및 슬립 지시의 종국 장치(2~12)로의 송신을 행하고, 또한, 모국 장치(1)의 슬립 및 기동을 제어한다.
시각 관리부(21)는, 슬립 및 기동의 기준이 되는 시각을 관리한다.
도 2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13),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14), 폴링 제어부(16), 폴링 데이터 수집부(17), 슬립 기동 제어부(20) 및 시각 관리부(21)를,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라고 한다.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에서 행하여지는 동작은,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 스텝에 상당한다.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로서, 슬립 기동 제어부(20)는, 타임 슬롯마다, 슬립 상태를 해제한다.
통신 시나리오에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는, 무선 통신부(13), 폴링 제어부(16) 및 폴링 데이터 수집부(17)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로서,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를 행한다. 즉, 무선 통신부(13) 및 폴링 제어부(16)가 폴링 요구를 각 종국 장치(200)에 송신하고, 각 종국 장치(200)로부터 폴링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 시나리오에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는, 무선 통신부(13) 및 푸시 데이터 수집부(15)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로서, 각 종국 장치(200)로부터 푸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 시나리오에,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32)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는,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14) 및 무선 통신부(22)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로서, 참가 응답을, 종국 장치(200)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 시나리오에,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는, 슬립 기동 제어부(20), 시각 관리부(21) 및 무선 통신부(13)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로서, 시각 동기를 위한 정보를 포함시킨 슬립 지시를 종국 장치(200)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종국 장치(200)의 기능 구성예를 설명한다.
무선 통신부(22)는, 통신 인터페이스(903)를 이용하여, 모국 장치(1) 또는 다른 종국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23)는, 종국 장치(200)가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지 않았으면,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해 탐색 요구를 무선 통신부(22)를 거쳐서 송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23)는, 종국 장치(200)가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였고,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지 않은 종국 장치(200)로부터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로의 참가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참가 요구를 무선 통신부(22)를 거쳐서 모국 장치(1)에 전송한다.
센서부(24)는, 미리 정해진 물리량을 계측한다. 예컨대, 센서부(24)는, 기온, 습도, 제어 대상물의 동작 온도, 운동량, 전력치, 전압치, 소비 전력량이라고 하는 물리량을 계측한다. 또, 센서부(24)가 계측하는 물리량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푸시 데이터 송신부(25)는, 무선 통신부(22)를 거쳐서, 센서부(24)의 계측 결과가 나타내어지는 센서 데이터를 푸시 데이터로서 모국 장치(1)에 송신한다.
폴링 데이터 송신부(26)는, 후술하는 폴링 응답부(27)가 모국 장치(1)로부터의 폴링 요구를 취득했을 때에, 센서부(24)의 계측 결과가 나타내어지는 센서 데이터를 폴링 응답부(27)에 출력한다.
폴링 응답부(27)는, 무선 통신부(22)를 거쳐서, 모국 장치(1)로부터의 폴링 요구를 취득하고, 폴링 데이터 송신부(26)에 센서 데이터의 유무를 문의한다. 그리고, 센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는, 폴링 응답부(27)는, 폴링 데이터 송신부(26)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센서 데이터를 폴링 데이터로서, 무선 통신부(22)를 거쳐서 모국 장치(1)에 송신한다.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는, 통신 시나리오를 관리한다.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가 관리하는 통신 시나리오는, 모국 장치(1)의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가 관리하는 통신 시나리오와 동일하다.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의 동작은, 통신 시나리오 관리 스텝의 예이다.
슬립 기동 제어부(29)는, 종국 장치(200)의 슬립 및 기동을 관리한다.
시각 관리부(30)는, 슬립 및 기동의 기준이 되는 시각을 관리한다.
도 3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22),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23), 푸시 데이터 송신부(25), 폴링 데이터 송신부(26), 폴링 응답부(27), 슬립 기동 제어부(29) 및 시각 관리부(30)를,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라고 한다.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에서 행하여지는 동작은,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 스텝에 상당한다.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로서, 슬립 기동 제어부(29)는, 타임 슬롯마다, 슬립 상태를 해제한다.
통신 시나리오에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는, 무선 통신부(22), 폴링 데이터 송신부(26) 및 폴링 응답부(27)가,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로서,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를 행한다. 즉, 무선 통신부(22) 및 폴링 응답부(27)가 폴링 요구를 수신하고, 폴링 데이터 송신부(26)가 센서 데이터를 폴링 응답부(27)에 출력하고, 무선 통신부(22) 및 폴링 응답부(27)가 센서 데이터를 폴링 데이터로서 모국 장치(1)에 수신한다.
또한, 통신 시나리오에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는, 무선 통신부(22) 및 푸시 데이터 송신부(25)가,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로서, 푸시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 시나리오에,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는,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23) 및 무선 통신부(22)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로서, 탐색 요구를,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한 종국 장치(200) 또는 모국 장치(1)에 송신한다.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23) 및 무선 통신부(22)는, 미참가 탐색을,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지 않은 종국 장치(200)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 시나리오에,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는, 슬립 기동 제어부(29), 시각 관리부(30) 및 무선 통신부(22)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로서, 시각 동기를 위한 정보를 포함시킨 슬립 지시를 송신국이 되는 종국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송신국이 되는 종국 장치(200)와의 시각 동기를 행한다. 또한, 슬립 기동 제어부(29), 시각 관리부(30) 및 무선 통신부(22)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로서, 시각 동기 위한 정보를 포함시킨 슬립 지시를 수신국이 되는 종국 장치(200)에 송신한다.
모국 장치(1) 및 각 종국 장치(200)는, 통신을 행할 필요가 없는 시간은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무선 통신에 필요한 회로,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의 클록의 동작을 멈추어, 소비 전력의 저감을 행한다.
또한,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 송신원인 국 장치, 중계를 행하는 국 장치, 송신 목적지인 국 장치의 모두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국 장치(1)와 모든 종국 장치(200)가 시각을 동기하고, 일제히 슬립 및 기동을 행한다. 그리고, 모국 장치(1)와 모든 종국 장치(200)가 동작 모드에 있을 때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동작의 설명***
모국 장치(1)와 모든 종국 장치(200)는, 통신 시나리오에 따라, 모국 장치(1)의 시각에 동기하여 슬립 모드와 동작 모드를 반복한다.
도 4는 모국 장치(1)와 종국 장치(2~4)에 있어서의 슬립 모드와 동작 모드의 반복을 나타낸다.
또, 도 4에서는, 작도의 편의를 도모하여, 종국 장치(5~12)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종국 장치(5~12)에서도 마찬가지로 슬립 모드와 동작 모드가 반복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작 모드의 개시 시에 T1 페이즈(31)가 행하여지고, 동작 모드의 종료 시에 T2 페이즈(36)가 행하여진다.
T1 페이즈(31)와 T2 페이즈(36)의 사이에,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32),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 중 적어도 1개의 데이터 통신 페이즈가 행하여진다.
도 4의 예에서는,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32),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가 행하여지고 있지만, 예컨대, 이들 중 1개만이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또한, 이들 중 2개 또는 3개가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또한, 동작 모드의 기회마다, 통신 페이즈의 조합을 바꾸더라도 좋다. 예컨대, n회째의 동작 모드에서는,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 및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가 행하여지고, n+1회째의 동작 모드에서는,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 및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가 행하여지도록 하더라도 좋다. T1 페이즈(31)와 T2 페이즈(36)는, 어느 동작 모드에서도 행하여진다.
어느 동작 모드에서 어느 데이터 통신 페이즈가 행하여지는지는, 통신 시나리오에서 규정되어 있다.
T1 페이즈(31),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32),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 T2 페이즈(36)는, 각각 정해진 동작 시간을 갖는다.
모국 장치(1), 각 종국 장치(200)는,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어 있는 순서로, 각 페이즈를 규정된 동작 시간 동안 행하고, 동작 시간이 만료된 시점에 슬립 모드로 천이한다.
예컨대, 종국 장치(4)는, 종국 장치(2)를 거쳐서 모국 장치(1)와 통신을 행한다. 이 때문에, 종국 장치(2)가 이동, 철거된 경우는, 종국 장치(4)는 모국 장치(1)와 통신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무선 환경의 변동에 의해, 종국 장치(4)가 종국 장치(2)와 통신할 수 없는 경우에도, 종국 장치(4)는 모국 장치(1)와 통신할 수 없게 된다. 종국 장치(4)가 모국 장치(1)와 통신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경우에도, 종국 장치(4)는, 통신 시나리오에 따라, 동작 모드와 슬립 모드를 반복한다.
도 5는 T1 페이즈(31) 및 T2 페이즈(36)에서의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4)의 동작예를 나타낸다.
또, 도 5에서는, 작도의 편의를 도모하여, 종국 장치(5~12)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종국 장치(5~12)에서도 마찬가지로 이하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한 모든 종국 장치(2~12)는 모국 장치(1)의 시각에 동기하여 슬립 및 기동을 행한다. 그렇지만, 종국 장치(2~12)의 각각에서 사용하는 발진기의 오차 등에 의해, 종국 장치(2~12)의 사이에서 기동의 타이밍에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종국 장치(2)가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3~12)보다 시각이 늦어져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3~12)가 기동 직후로부터 데이터 통신을 행하면, 종국 장치(2)는 아직도 슬립 상태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고, 데이터 통신은 실패한다.
T1 페이즈(31)는, 이와 같은 시각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다시 말해, T1 페이즈(31)에서는,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데이터의 송신은 행하지 않고, 데이터의 수신만이 허용된다. T1 페이즈(31)가 경과한 후는,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데이터의 송신도 가능하게 된다.
T1 페이즈(31)는 제 1 제한 기간에 상당한다.
T1 페이즈(31)는, 모국 장치(1)에서는, 슬립 기동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된다. 종국 장치(2~12)에서는, T1 페이즈(31)는, 슬립 기동 제어부(29)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어 있는 데이터 통신 페이즈가 완료되면,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슬립 모드로 천이한다.
여기서, 예컨대, 종국 장치(2)가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3~12)보다 시각이 늦어져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3~12)가 슬립 모드로 천이한 후에, 종국 장치(2)가 모국 장치(1) 또는 다른 종국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면, 모국 장치(1) 또는 다른 종국 장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고, 데이터 통신은 실패한다.
T2 페이즈(36)는, 이와 같은 시각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T2 페이즈(36)에서는,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데이터의 송신은 행하지 않고, 데이터의 중계만이 허용된다. T2 페이즈(36)가 경과한 후는,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다시 말해서,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T2 페이즈(36)까지 데이터 통신 페이즈를 완료시킬 필요가 있다.
T2 페이즈(36)는 제 2 제한 기간에 상당한다.
T2 페이즈(36)는, 모국 장치(1)에서는, 슬립 기동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된다. 종국 장치(2~12)에서는, T2 페이즈(36)는, 슬립 기동 제어부(29)에 의해 실행된다.
도 6은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에서의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4)의 동작예를 나타낸다.
또, 도 6에서는, 작도의 편의를 도모하여, 종국 장치(5~12)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종국 장치(5~12)에서도 마찬가지로 이하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에서는, 종국 장치(2~12)가 센서부(24)에 의한 센서 데이터 중 긴급성이 높은 것을, 신속하게 모국 장치(1)에 대하여 송신하기 위해 종국 장치 주도의 푸시 데이터 송신을 행한다.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로 천이한 모든 종국 장치(2~12)는, 모국 장치(1)에 송신해야 할 센서 데이터를 갖는 경우에 자발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푸시 데이터로서 모국 장치(1)에 송신한다. 자발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송신한다는 것은, 모국 장치(1)로부터의 폴링 요구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센서 데이터를 모국 장치(1)에 송신한다고 하는 의미이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모국 장치(1)와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은 종국 장치는, 모국 장치(1)와의 경로 상에서 상류에 있는 종국 장치에 푸시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6에서는, 모국 장치(1)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국 장치(2)는 직접 모국 장치(1)에 푸시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종국 장치(2)에 접속하는 종국 장치(3) 및 종국 장치(4)는, 각각 종국 장치(2)에 푸시 데이터를 송신한다. 종국 장치(2)는, 종국 장치(3)로부터의 푸시 데이터 및 종국 장치(4)로부터의 푸시 데이터를 모국 장치(1)에 중계한다.
푸시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이 종국 장치(2~12) 사이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푸시 데이터의 송신의 타이밍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각 종국 장치에, 모국 장치(1)로부터의 홉의 수에 따라 송신 지연 시간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푸시 데이터의 송신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에 있어서 모국 장치(1)에 가까운 종국 장치로부터 차례로 푸시 데이터의 송신이 행하여진다.
반대로, 모국 장치(1)로부터의 홉의 수가 적은 종국 장치에 큰 송신 지연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에 있어서 모국 장치(1)에 먼 종국 장치로부터 차례로 푸시 데이터의 송신이 행하여진다.
또한, 홉의 수에 따르지 않고, 각 종국 장치에 랜덤으로 송신 지연 시간을 마련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종국 장치(2~12)의 푸시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방법은, 어떠한 것이더라도 좋다.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는, 모국 장치(1)에서는, 무선 통신부(13) 및 푸시 데이터 수집부(15)에 의해 실행된다. 한편, 종국 장치(2~12)에서는,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는, 무선 통신부(22) 및 푸시 데이터 송신부(25)에 의해 실행된다.
도 7은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에서의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4)의 동작예를 나타낸다.
또, 도 7에서는, 작도의 편의를 도모하여, 종국 장치(5~12)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종국 장치(5~12)에서도 마찬가지로 이하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에서는, 센서 데이터 등의 정시 데이터 수집을 위해, 모국 장치(1)가 종국 장치(200)에 폴링 요구를 송신한다. 폴링 요구를 수신한 종국 장치(200)는 센서부(24)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폴링 데이터로서 모국 장치(1)에 대하여 송신한다. 모국 장치(1)는 폴링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또는 일정 시간 동안 폴링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다음의 종국 장치(200)에 폴링 요구를 송신한다.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에는, 모국 장치(1)가 모든 종국 장치(2~12)에 폴링 요구를 송신하고, 모든 종국 장치(2~12)로부터 폴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어 있다.
또, 폴링 제어부(16), 폴링 데이터 수집부(17), 센서 데이터 수집 데이터베이스부(18)는 반드시 모국 장치(1) 내에 존재할 필요는 없고, 모국 장치(1)의 외부의 외부 장치에 이들의 기능이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외부 장치로부터 모국 장치(1)에 대하여 폴링 요구의 송신을 지시하고, 모국 장치(1)가 종국 장치(2~12)에 차례로 폴링 요구를 송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모국 장치(1)가 종국 장치(2~12)로부터 수신한 폴링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고, 외부 장치가 폴링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설치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는, 모국 장치(1)에서는, 무선 통신부(13), 폴링 제어부(16) 및 폴링 데이터 수집부(17)에 의해 실행된다. 종국 장치(2~12)에서는,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는, 무선 통신부(22), 폴링 데이터 송신부(26) 및 폴링 응답부(27)에 의해 실행된다.
도 8은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에서의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4)의 동작예를 나타낸다.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에는, 모국 장치(1)가 모든 종국 장치(2~12)로부터 폴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할당된다. 그렇지만,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있는 종국 장치가 적은 경우 등에는,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의 동작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모국 장치(1)가 모든 종국 장치로부터의 폴링 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의 동작 시간의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같이,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한 종국 장치가 종국 장치(2~4)인 경우는, 모국 장치(1)는 종국 장치(2~4)로부터의 폴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 시점에, 종국 장치(2~4)에 멀티캐스트로 슬립 지시를 송신한다.
슬립 지시를 수신한 종국 장치(2)는, 해당 슬립 지시를 종국 장치(3) 및 종국 장치(4)에 멀티캐스트로 송신한다. 그리고, 종국 장치(2)는,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의 동작 시간이 만료되면 T2 페이즈(36)로 천이한다. 또, 종국 장치(2)는, 슬립 지시를 송신하는 다른 종국 장치의 슬립 지시의 송신 타이밍과 중복되지 않도록,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 내에서 랜덤으로 송신 타이밍을 지연시키더라도 좋다.
도 8에서는, 종국 장치(4)는, 종국 장치(2)로부터의 슬립 지시를 수신하지 않았다. 이 경우는, 종국 장치(4)는,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가 없는 경우와 동일하게,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의 동작 기간이 만료된 시점에 T2 페이즈(36)로 천이한다.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는, 모국 장치(1)에서는, 무선 통신부(13) 및 시각 관리부(21)에 의해 실행된다. 한편, 종국 장치(2~12)에서는,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는, 무선 통신부(22) 및 시각 관리부(30)에 의해 실행된다.
도 8에서는,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에 선행하는 통신 페이즈(선행 데이터 통신 수순)인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가 규정된 종료 시각보다 조기에 종료된 경우에,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를 규정된 개시 시각보다 조기에 개시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에 선행하는 통신 페이즈(선행 데이터 통신 수순)인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가 규정된 종료 시각보다 조기에 종료된 경우에,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를 규정된 개시 시각보다 조기에 개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국 장치(1)와 모든 종국 장치(2~12)의 사이에서 기동 및 슬립의 타이밍을 동기시키기 위해 모국 장치(1)와 모든 종국 장치(2~12)의 시각을 동기시킬 필요가 있다. 슬립 지시에는 송신국의 시각 정보를 설정하여 둔다. 슬립 지시를 수신한 종국 장치(200)는 송신원의 시각에 동기한다. 또한, 슬립 지시를 수신한 종국 장치(200)는 송신국으로서, 슬립 지시를 하류에 위치하는 종국 장치(200)에 송신한다. 이때, 송신국이 되는 종국 장치(200)는, 슬립 지시에는 송신국이 되는 종국 장치(200)의 시각 정보를 설정하여 둔다.
모국 장치(1)로부터의 경로에 따라 송신국(상류)의 종국 장치(200)로부터 수신국(하류)의 종국 장치(200)에 슬립 지시를 중계하여 갈 때에 송신국의 시각을 차례차례로 수신국의 시각에 반영시키는 것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시각 동기가 행하여진다.
도 9는 시각 동기의 수순을 나타낸다.
도 9의 수순에서는, 송신국이, 슬립 지시의 무선 상에서의 말미의 시각을 예상하고, 예상한 기준 시각(예상 수신 시각)을 슬립 지시에 포함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송신국은, 무선 프레임인 슬립 지시의 PDU(Protocol Data Unit)의 무선 상에서의 말미라고 예상되는 예상 수신 시각 t_recv를 산출한다.
송신국은 슬립 지시의 송신 처리를 개시한 시각인 송신 개시 시각 t_send에, 송신 개시 시각 t_send로부터 슬립 지시의 전송로로의 송출이 실제로 개시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인 송신 지연 시간 t_senddelay와, 슬립 지시의 전송로에서의 송신 소요 시간 t_frame을 가산하여, 예상 수신 시각 t_recv를 산출한다. 그리고, 송신국은, 산출한 예상 수신 시각 t_recv를 슬립 지시의 PDU에 설정한다.
수신국에서는, 슬립 지시의 수신 완료를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실제로 PDU로부터 예상 수신 시각 t_recv를 취득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인 수신 지연 시간 t_recvdelay를 계측한다. 그리고, 수신국은, 예상 수신 시각 t_recv에 수신 지연 시간 t_recvdelay를 가산하여 얻어지는 시각을 송신국의 현재의 시각으로서 산출하고, 이 시각을 이용하여 송신국과 동기한다.
또, 기준 시각(PDU에 설정하는 시각)은, 송신국 및 수신국에서 서로 인식 가능한 시각이면, PDU의 말미의 수신 시각에 한하지 않고 PHY 헤더의 일부 등의 임의의 개소의 수신 시각이더라도 좋다.
도 9의 수순은, 모국 장치(1)에서는, 무선 통신부(13), 슬립 기동 제어부(20) 및 시각 관리부(21)에 의해 실행된다. 종국 장치(200)에서는, 도 9의 수순은, 무선 통신부(22), 슬립 기동 제어부(29) 및 시각 관리부(30)에 의해 실행된다.
다시 말해, 모국 장치(1)에서는, 송신국으로서, 시각 관리부(21)가 예상 수신 시각 t_recv를 산출한다. 그리고, 슬립 기동 제어부(20)가 예상 수신 시각 t_recv를 슬립 지시에 추가하고, 무선 통신부(13)가 슬립 지시를 무선 송신한다.
또한, 종국 장치(200)에서는, 송신국으로서 동작하는 경우는, 시각 관리부(30)가 예상 수신 시각 t_recv를 산출한다. 그리고, 슬립 기동 제어부(29)가 예상 수신 시각 t_recv를 슬립 지시에 추가하고, 무선 통신부(22)가 슬립 지시를 무선 송신한다. 한편, 수신국으로서 동작하는 경우는, 무선 통신부(22)가 슬립 지시를 수신한다. 그리고, 슬립 기동 제어부(29)가 수신 지연 시간 t_recvdelay를 계측하고, 시각 관리부(30)가 예상 수신 시각 t_recv와 수신 지연 시간 t_recvdelay로부터 송신국의 현재의 시각을 산출한다.
도 10은 종국 장치(3)가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할 때까지의 수순을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종국 장치(2)는 이미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였고, 종국 장치(3)는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지 않았다.
종국 장치(3)는, 기동 후에 참가 대기 상태로서 슬립 지시의 수신을 기다린다. 모국 장치(1)가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에서 슬립 지시를 송신한다. 종국 장치(3)는, 종국 장치(2)가 전송한 슬립 지시를 수신한다. 종국 장치(3)는, 슬립 지시의 중계 목적지가 있는 경우는 슬립 지시를 중계 목적지에 중계한다. 다음으로, 종국 장치(3)는, 수신한 슬립 지시를 이용하여, 도 9에 나타내는 수순에 따라, 종국 장치(2)의 시각에 동기한다. 이것에 의해, 종국 장치(3)는, 모국 장치(1) 및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른 종국 장치와 동기한다. 또한, 슬립 지시에는, 기동 주기, 다음번의 기동 시에 사용하는 통신 시나리오가 설정되어 있다. 종국 장치(3)는, 슬립 지시의 기동 주기에 근거하여, 다음번의 기동 시각을 산출한다. 그리고, 종국 장치(3)는, T2 페이즈(36)를 거쳐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그 후, 종국 장치(3)는, 산출한 다음번의 기동 시각에 기동한다.
종국 장치(3)는 기동 후에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32)에서 인근의 종국 장치에 대하여 무선 프레임인 탐색 요구를 멀티캐스트로 송신한다. 이미 참가한 종국 장치(2)는 탐색 요구를 수신하고, 종국 장치(3)에 무선 프레임인 미참가 탐색을 송신한다. 종국 장치(3)는 종국 장치(2)로부터 미참가 탐색을 수신하면, 종국 장치(2)에, 모국 장치(1)를 위한 참가 요구를 송신하고, 종국 장치(2)에 해당 참가 요구의 모국 장치(1)로의 중계를 의뢰한다. 종국 장치(2)는, 종국 장치(3)로부터의 참가 요구를 모국 장치(1)에 송신한다.
모국 장치(1)는 종국 장치(2)로부터 참가 요구를 수신한다. 그리고, 모국 장치(1)는, 종국 장치(2)를 거쳐서, 종국 장치(3)에 참가 응답을 송신한다.
종국 장치(3)는 참가 응답을 수신한다. 이것에 의해, 종국 장치(3)로부터 모국 장치(1)까지의 통신 경로가 확립되고, 종국 장치(3)의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로의 참가가 완료된다.
모국 장치(1)는, 미참가 종국 장치를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시키고 싶은 타이밍에,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32)를 등록하여 둔다.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32)는, 모국 장치(1)에서는, 무선 통신부(13) 및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14)에 의해 실행된다. 종국 장치(2~12)에서는,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32)는, 무선 통신부(22) 및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23)에 의해 실행된다.
도 11은 통신 시나리오에 근거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국 장치(1)와 종국 장치(2~12)에는, 도 11의 통신 시나리오가 미리 설정 또는 배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폴링에 의한 데이터 통신 페이즈(34)를 포함하는 이벤트(1)를 1회, 폴링에 의한 데이터 통신 페이즈(34)를 포함하지 않는 이벤트(2)를 11회 조합한, 기동 주기 5분의 1시간분의 시나리오가 설정된 것으로 한다.
도 12는 기동 시의 타임 슬롯마다의 동작 모드와 슬립 모드의 분포를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빗금의 부분이 동작 모드의 시간을 나타낸다.
최초의 기동 시의 타임 슬롯(00:00:00)에서는, 이벤트(1)가 실시된다. 이벤트(1)에서는,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가 행하여지므로, 이벤트(2)에 비하여 동작 모드가 길다. 시각 00:00:00에서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기동하고, T1 페이즈(31) 후, 이벤트(1)에 규정된 데이터 통신 페이즈를 실행한다. 이벤트(1)의 데이터 통신 페이즈가 완료되면, T2 페이즈(36) 후,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기동 주기가 5분이기 때문에, 시각 00:05:00에서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기동하고, T1 페이즈(31) 후, 이벤트(2)에 규정된 데이터 통신 페이즈를 실행한다. 이벤트(2)의 데이터 통신 페이즈가 완료되면, T2 페이즈(36) 후,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이후,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5분마다 기동하여, 이벤트(2)를 실행한다.
최후의 기동 시의 타임 슬롯(00:55:00) 후는,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최초의 기동 시의 타임 슬롯(00:00:00)과 마찬가지로, 이벤트(1)를 실행한다.
종국 장치(2~12)는 경로의 상류에 해당하는 종국 장치와 통신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에도, 통신 시나리오에 따라, 기동과 슬립을 반복한다.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국 장치 및 종국 장치는, 통신 시나리오를 통신 목적지 장치와 공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하류에 위치하는 종국 장치가 상류에 위치하는 종국 장치와 통신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에도, 통신 시나리오에 따라, 확실히 기동과 슬립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국 장치 및 종국 장치는, 기동 시의 타임 슬롯마다, 슬립 상태를 해제했을 때에,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데이터 통신 페이즈를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실행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모국 장치와 종국 장치는, 동일한 스케줄로 통일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슬립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어느 국 장치가 배터리 구동이 아닌 경우(예컨대, 상용 전원으로 구동되는 경우)는, 해당 국 장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해야 할 타이밍에서도, 슬립 모드로 이행할 필요가 없다.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배터리 구동의 국 장치가 포함되는 경우는, 배터리 구동의 국 장치가, 이상의 수순으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것에 의해,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27은 슬립 지시의 예를 나타낸다.
슬립 지시에는, 시각 동기 정보(50)와 기동 주기(39)와 슬롯 수(40)와 통신 시나리오(41)가 포함된다.
시각 동기 정보(50)에는, 도 9에서 설명한, 예상 수신 시각 t_recv가 나타내어진다. 도 27에서는, 시각 동기 정보(50)는, 기동 주기(39), 슬롯 수(40), 통신 시나리오(41)의 앞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시각 동기를 행하는 경우는, 시각 동기 정보(50)는 기동 주기(39), 슬롯 수(40), 통신 시나리오(41)의 뒤(PDU의 말미)에 배치된다.
기동 주기(39)는,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가 슬립으로부터 기동하는 주기이다.
도 27의 예에서는, 기동 주기는 5분이다. 다시 말해, 도 27의 예에서는, 각 타임 슬롯은 5분이다.
슬롯 수(40)는, 통신 시나리오(41)에 포함되는 타임 슬롯의 개수이다. 도 27의 예에서는, 슬롯 수(40)로서 "12"가 규정된다.
통신 시나리오(41)에는, 모국 장치(1)와 종국 장치(2~12)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통신 페이즈가 정의된다.
구체적으로는, 최초의 타임 슬롯에 이벤트(1)가 정의되고, 나머지의 11개의 타임 슬롯에 이벤트(2)가 정의되어 있다.
이벤트(1)에서는, T1 페이즈(31),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32),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 및 T2 페이즈(36)가, 이 순서로 실행된다.
이벤트(2)에서는, T1 페이즈(31),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32),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 및 T2 페이즈(36)가, 이 순서로 실행된다.
또, 도 27에 나타내는 슬립 지시는, 슬립 기동 제어부(20)에 의해 생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 관리부(21)가 시각 동기 정보(50)와 기동 주기(39)를 슬립 기동 제어부(20)에 출력하고,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가 통신 시나리오(41)와 슬롯 수(40)를 슬립 기동 제어부(20)에 출력한다. 그리고, 슬립 기동 제어부(20)가, 이들 시각 동기 정보(50)와 기동 주기(39)와 통신 시나리오(41)와 슬롯 수(40)로부터 슬립 지시를 생성한다.
종국 장치(2~12)에서는, 슬립 지시를 수신하면,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가 통신 시나리오(41)와 슬롯 수(40)를 관리한다.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국 장치 및 종국 장치가, 통신 시나리오를 통신 목적지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배포 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국 장치 및 종국 장치는, 타임 슬롯마다, 슬립 상태를 해제했을 때에,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데이터 통신 페이즈를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실행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모국 장치와 종국 장치는, 동일한 스케줄로 통일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슬립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점은,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 어느 국 장치가 배터리 구동이 아닌 경우(예컨대, 상용 전원으로 구동되는 경우)는, 해당 국 장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해야 할 타이밍에서도, 슬립 모드로 이행할 필요가 없다.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배터리 구동의 국 장치가 포함되는 경우는, 배터리 구동의 국 장치가, 이상의 수순으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것에 의해,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점도,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의 형태 3.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국 장치(1)와 종국 장치(200)가 협력하여 통신 시나리오를 전환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국 장치(1), 및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한 모든 종국 장치(2~12)는, 미리 설정 또는, 배포된 통신 시나리오에 근거하는 기동 주기와 동작 시간에 따라, 모국 장치(1)의 시각에 동기하여 기동과 슬립을 반복하는 것은 변함없지만, 도 13에 기재된 통신 시나리오를 운용 중에 모국 장치(1)로부터 모든 종국 장치(2~12)에 배포함으로써, 미리 설정 또는, 배포된 통신 시나리오를 운용 중에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모국 장치(1)의 기능 구성예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고, 모국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예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종국 장치(200)의 기능 구성예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고, 종국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예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주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은 사항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도 13은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슬립 지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있어서, 시각 동기 정보(50)는 도 1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현재 실행 중 시나리오 정보(37)에는, 모국 장치(1)와 종국 장치(2~12)의 사이에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통신 시나리오가 나타내어진다. 현재 실행 중 시나리오 정보(37)에는, 도 27에 나타내는 기동 주기(39), 슬롯 수(40) 및 통신 시나리오(41)가 포함된다.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38)에는, 전환 후의 통신 시나리오가 나타내어진다.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38)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동 주기(39), 슬롯 수(40), 다음번 실행 슬롯(42) 및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51)가 포함된다.
기동 주기(39) 및 슬롯 수(40)는, 도 27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다. 단, 도 13의 슬롯 수(40)는,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에 포함되는 슬롯 수이다. 또, 도 13의 예에서도, 슬롯 수(40)는 12개이다.
다음번 실행 슬롯(42)은, 다음번 실행되어야 할 슬롯을 통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번 실행 슬롯(42)은, 다음번의 기동에서 실행하는 이벤트의 번호를 나타낸다. 예컨대, 다음번 실행 슬롯(42)에 "3"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는, 현재의 이벤트는 2번째(도 12에서는, 기동 타임 슬롯(00:05:00))의 이벤트이고, 다음번 기동 시에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의 3번(도 12에서는, 기동 타임 슬롯(00:10:00))의 이벤트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후는,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기동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의 해당하는 타임 슬롯의 이벤트를 행한다. 이와 같이, 다음번 실행 슬롯(42)은, 현재의 통신 시나리오(51)로부터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로 전환하는 타임 슬롯(전환 타이밍)을 통지한다.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1회의 기상(wake-up)으로 1개의 이벤트를 실행하고, 기상 때마다 통신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실행될 열거형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설정된 이벤트의 전부를 실행한 경우, 슬립 지시에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38)가 설정되어 있으면,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의 이벤트를,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38)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재차 현재 실행 중의 통신 시나리오의 선두로부터 이벤트를 실행한다.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38)는, 현재 실중 행 시나리오 정보(37)와 마찬가지의 형식이다. 또한, 슬립 지시에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38)가 설정되어 있어,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의 이벤트의 전부를 실행한 경우, 다음의 통신 시나리오가 배포되어 있으면,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다음의 통신 시나리오에 기재된 이벤트를 실행하지만, 만일 다음의 통신 시나리오가 배포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수신할 수 없을 때에는, 이전에 수신된 통신 시나리오를 실행한다. 혹은,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12)는, 미리 설정 또는, 배포된 시나리오를 실행한다.
도 13의 예에서는, 현재의 통신 시나리오(51)에는, 이벤트(1), 이벤트(3) 및 이벤트(4)가 포함된다.
이벤트(1)(43)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이벤트(3)(44)에서는, T1 페이즈(31),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32),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 및 T2 페이즈(36)가, 이 순서로 실행된다.
이벤트(4)(45)에서는, T1 페이즈(31),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 및 T2 페이즈(36)가, 이 순서로 실행된다.
이벤트(1)(43)는, 선두의 타임 슬롯에서만 실행된다. 이 때문에, 폴링 데이터의 수집 및 미참가의 종국 장치의 네트워크 참가는 비교적 긴 주기로 실행된다.
이벤트(3)(44)는,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51)의 도중에 1번만 실행된다. 이벤트(1)(44)의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만으로는 시각 동기의 빈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통신 시나리오(51)의 중반에 있어서 시각 동기가 행하여진다.
이벤트(4)(45)는,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51) 내의 대부분의 타임 슬롯에서 실행된다. 이 때문에, 종국 장치(2~12)로부터는, 센서 데이터가 푸시 데이터로서 리얼타임으로 모국 장치(1)에 송신된다.
종국 장치(2~12)는, 수신한 슬립 지시에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38)가 설정되어 있으면,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의 이벤트를 실행한다. 한편, 수신한 슬립 지시에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38)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종국 장치(2~12)는, 재차 현재 실행 중의 통신 시나리오(51)의 선두로부터 이벤트를 실행한다.
또한, 슬립 지시에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38)가 설정되어 있어,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의 이벤트의 전부를 실행할 때까지, 더 다음의 통신 시나리오가 모국 장치(1)로부터 통지되면, 종국 장치(2~12)는,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의 도중에, 더 다음의 통신 시나리오로 전환한다. 이 경우는, 모국 장치(1)도 더 다음의 통신 시나리오로 전환한다.
한편,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의 이벤트의 모든 실행이 완료될 때까지, 더 다음의 통신 시나리오가 모국 장치(1)로부터 통지되지 않은 경우는, 종국 장치(2~12)는,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를 재차 실행한다. 이 경우는, 모국 장치(1)도,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를 재차 실행한다. 또는, 종국 장치(2~12)는, 통신 시나리오(51)를 재차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는, 모국 장치(1)도, 통신 시나리오(51)를 재차 실행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슬립 지시는, 모국 장치(1)에 있어서, 슬립 기동 제어부(20)에 의해 생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 관리부(21)가 시각 동기 정보(50)와 기동 주기(39)를 슬립 기동 제어부(20)에 출력하고,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가 현재 실행 중 시나리오 정보(37) 및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38)를 슬립 기동 제어부(20)에 출력한다. 그리고, 슬립 기동 제어부(20)가, 이들 시각 동기 정보(50)와 기동 주기(39)와 현재 실행 중 시나리오 정보(37) 및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38)로부터 슬립 지시를 생성한다.
또한, 다음번의 통신 시나리오(51)로의 전환은, 모국 장치(1)에서는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가 행하고, 종국 장치(200)에서는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가 행한다.
또, 실시의 형태 1, 2 및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에 있어서, 모국 장치(1)가 모든 종국 장치(2~12)에 폴링 요구를 송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모국 장치(1)는, 일부의 종국 장치에게만 폴링 요구를 송신하고, 일부의 종국 장치로부터 폴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는,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국 장치(1)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국 장치(2~12)를 복수의 통신 그룹으로 그룹분류하고, 통신 그룹의 단위로 폴링 요구를 송신하고, 통신 그룹의 단위로 폴링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경우에, 폴링 요구의 대상이 되는 통신 그룹에 속하는 종국 장치만이 기동하고, 다른 통신 그룹에 속하는 종국 장치는 슬립 상태를 유지한다.
모국 장치(1)의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는, 통신 그룹별의 통신 시나리오를 관리하고, 통신 그룹의 단위로 종국 장치(200)와 통신 그룹별의 통신 시나리오를 공유한다. 그리고, 모국 장치(1)의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는, 타임 슬롯마다, 통신 그룹별로, 해당하는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을, 해당하는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실행한다.
또한, 종국 장치(200)의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는, 통신 그룹별로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통신 시나리오 중, 해당 종국 장치(200)가 소속되어 있는 소속 통신 그룹에 마련되어 있는 통신 시나리오를 소속 통신 시나리오로서 관리하고, 소속 통신 시나리오를 모국 장치(1)와 공유한다. 그리고, 종국 장치(200)의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는, 타임 슬롯마다, 소속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을, 소속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실행한다.
도 14는 도 1의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종국 장치의 통신 그룹의 예를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모국 장치(1)의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23)가, 종국 장치(2~12)를, 종국 장치 그룹(46), 종국 장치 그룹(47), 종국 장치 그룹(48)으로 나누고 있다.
예컨대, 최초의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에서는, 종국 장치 그룹(46)에 속하는 종국 장치(2~4)만이 기동하고, 종국 장치 그룹(47), 종국 장치 그룹(48)에 속하는 종국 장치는 슬립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모국 장치(1)가 종국 장치(2~4)에 폴링 요구를 송신하고, 종국 장치(2~4)로부터 폴링 데이터를 수집한다. 모국 장치(1)가 종국 장치(2~4)에 대한 폴링을 완료하면, 종국 장치(2~4)는 모두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
그리고, 다음의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에 있어서, 종국 장치 그룹(47)에 속하는 종국 장치(5~9)가 기동하고, 종국 장치 그룹(46), 종국 장치 그룹(48)에 속하는 종국 장치는 슬립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마다, 폴링 대상의 그룹에 속하는 종국 장치만이 기동하고, 모국 장치(1)는, 폴링 대상의 그룹의 종국 장치에게만 폴링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34)에 있어서, 폴링 요구를 송신하는 국 장치, 폴링 요구를 수신하는 국 장치, 폴링 요구를 중계하는 국 장치, 폴링 데이터를 송신하는 국 장치, 폴링 데이터를 중계하는 국 장치 및 폴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국 장치만이 기동하고, 다른 국 장치는 슬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15~도 20에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15~도 17에서는, 모국 장치(1)로부터 종국 장치(7)로의 폴링 요구의 송신이 나타내어진다.
또, 도 15~도 17에서는, 기동하고 있는 국 장치는, 검은 바탕에 흰 문자로 표현되어 있다.
도 15에서는, 모국 장치(1)와, 모국 장치(1)로부터의 폴링 요구를 중계하는 종국 장치(5)만이 기동하고, 다른 종국 장치는 슬립 상태를 유지한다. 종국 장치(5)는 모국 장치(1)로부터 폴링 요구를 수신한다.
도 16에서는, 종국 장치(6)가 기동한다. 종국 장치(5)는, 종국 장치(6)에 폴링 요구를 송신한다. 종국 장치(6)는 폴링 요구를 수신한다. 도 16에서는, 모국 장치(1) 및 다른 종국 장치는 슬립 상태이다.
도 17에서는, 종국 장치(7)가 기동한다. 종국 장치(6)는, 종국 장치(7)에 폴링 요구를 송신한다. 종국 장치(7)는 폴링 요구를 수신한다. 도 17에서는, 모국 장치(1) 및 다른 종국 장치는 슬립 상태이다.
도 18~도 20에서는, 종국 장치(7)로부터 모국 장치(1)로의 폴링 데이터의 송신이 나타내어진다.
또, 도 18~도 20에서는, 기동하고 있는 국 장치는, 검은 바탕에 흰 문자로 표현되어 있다.
도 18에서는, 종국 장치(7)와, 종국 장치(7)로부터 모국 장치(1)로의 폴링 데이터를 중계하는 종국 장치(6)만이 기동하고, 다른 종국 장치는 슬립 상태를 유지한다. 종국 장치(7)는 종국 장치(6)에 폴링 데이터를 송신하고, 종국 장치(6)가 종국 장치(7)로부터 폴링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9에서는, 종국 장치(5)가 기동한다. 종국 장치(6)는, 종국 장치(5)에 폴링 데이터를 송신한다. 종국 장치(5)는 폴링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9에서는, 모국 장치(1) 및 다른 종국 장치는 슬립 상태이다.
도 20에서는, 모국 장치(1)가 기동한다. 종국 장치(5)는, 모국 장치(1)에 폴링 데이터를 송신한다. 모국 장치(1)는 폴링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0에서는, 다른 종국 장치는 슬립 상태이다.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에 있어서도, 종국 장치(2~12)를 복수의 통신 그룹으로 그룹분류하고, 통신 그룹의 단위로 푸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는, 푸시 데이터의 송신의 대상이 되는 통신 그룹에 속하는 종국 장치만이 기동하고, 다른 통신 그룹에 속하는 종국 장치는 슬립 상태를 유지한다.
푸시 데이터의 송신에 대해서도, 예컨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룹분류할 수 있다.
또한,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에 있어서도, 도 18~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데이터의 송신, 푸시 데이터의 중계, 푸시 데이터의 수신을 행하는 국 장치만이 기동하고, 다른 국 장치는 슬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21은 종국 장치에 있어서 모국 장치(1)와의 시각 동기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어긋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1에서는, 종국 장치(2)는 모국 장치(1)보다 시각이 늦고, 또한 종국 장치(5)는 모국 장치(1)보다 시각이 빠른 것으로 한다.
종국 장치(2)는 모국 장치(1)보다 시각이 늦어져 있기 때문에,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에서 슬립 지시를 수신한다. 종국 장치(2)는 슬립 지시를 수신한 시점에 모국 장치(1)와의 시각 동기가 회복되고,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3)를 중단하고,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로 이행한다.
종국 장치(5)는 모국 장치(1)보다 시각이 빨라져 있기 때문에,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는 모국 장치(1)보다 동기 어긋남만큼 빨리 종료된다. 종국 장치(5)는 슬립 지시를 수신한 시점에 모국 장치(1)와의 시각 동기가 회복되고,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35)를 모국 장치(1)와 동기를 취한 올바른 종료 타이밍까지 실행한다.
도 22는 모국 장치(1)와 시각의 동기가 대폭 어긋난 종국 장치(2)와, 모국 장치(1)로부터의 통신이 도달하지 않게 된 종국 장치(5)의 동작을 나타낸다.
종국 장치(2)는 모국 장치(1)와의 시각 동기가 대폭 어긋나, 모국 장치(1)가 통신하는 기간에 슬립하고 있다. 종국 장치(2)는 일정 시간 동안에 모국 장치(1)로부터의 어떠한 통신도 도달하지 않는 경우, 참가 대기 상태로 돌아가 도 10의 참가 시퀀스를 실행한다.
종국 장치(5)는 모국 장치(1)로부터의 통신이 도달하지 않게 된 경우, 종국 장치(2)와 동일하게 일정 시간 동안에 모국 장치(1)로부터의 통신이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참가 대기 상태로 돌아가 도 10의 참가 시퀀스를 실행한다.
도 23은 통신 이상에 의한 네트워크의 이탈, 및 재참가의 동작을 나타낸다.
종국 장치(3)는, 경로의 상류인 종국 장치(2)에 대하여 푸시 데이터를 송신하지만, 송신 에러가 되어 버린다. 종국 장치(3)는 송신 에러에 의해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이탈하고, 참가 대기 상태가 된다. 또, 종국 장치(3)는, 송신 에러라고 판단하기 전에, 데이터의 재송이나 다른 대체 경로에서의 송신을 시도할 수 있다. 참가 대기가 된 종국 장치(3)는, 도 10의 참가 시퀀스를 행하고, 통신이 가능하게 된 시점에 멀티 홉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한다.
도 24에서는, 모국 장치(1)와 종국 장치(2), 종국 장치(3), 종국 장치(5), 종국 장치(6)가 일제히 기동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모국 장치(1)는 기동 후, 통신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을 개시한다. 종국 장치(2), 종국 장치(3), 종국 장치(5), 종국 장치(6)는, 기동 후에 참가 대기 상태가 된다.
모국 장치(1)는 종국 장치(2) 및 종국 장치(5)에 슬립 지시를 송신한다.
종국 장치(2) 및 종국 장치(5)는 참가 대기의 상태에서 모국 장치(1)로부터의 슬립 지시를 수신하고, 모국 장치(1)와의 시각 동기를 행하고, 또한, 통신 시나리오를 취득한다.
종국 장치(2)는, 모국 장치(1)로부터의 슬립 지시를 종국 장치(3)에 전송한다. 또한, 종국 장치(5)는, 모국 장치(1)로부터의 슬립 지시를 종국 장치(6)에 전송한다.
종국 장치(3) 및 종국 장치(6)는, 각각 슬립 지시를 수신하고, 종국 장치(2) 및 종국 장치(5)와 마찬가지로 시각 동기를 행하고, 또한, 통신 시나리오를 취득한다.
시각 동기를 행하였기 때문에, 모국 장치(1)와 종국 장치(2), 종국 장치(3), 종국 장치(5), 종국 장치(6)는 일제히 슬립 및 기동을 행한다. 이후는 도 10의 참가 시퀀스가 행하여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의 형태 중,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실시하더라도 상관없다.
혹은, 이들 실시의 형태 중, 1개를 부분적으로 실시하더라도 상관없다.
혹은, 이들 실시의 형태 중, 2개 이상을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실시하더라도 상관없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하드웨어 구성의 설명***
마지막으로,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보충 설명을 행한다.
프로세서(901) 및 프로세서(911)는, 프로세싱을 행하는 IC(Integrated Circuit)이다.
프로세서(901) 및 프로세서(9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다.
기억 장치(902) 및 기억 장치(91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903) 및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리시버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트랜스미터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903) 및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예컨대, 통신 칩 또는 NIC(Network Interface Card)이다.
또한, 기억 장치(902)에는, OS(Operating System)도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OS의 적어도 일부가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된다.
프로세서(901)는 OS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하면서,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프로세서(901)가 OS를 실행함으로써, 태스크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관리, 통신 제어 등이 행하여진다.
또한, 기억 장치(912)에도, OS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OS의 적어도 일부가 프로세서(911)에 의해 실행된다.
프로세서(911)는 OS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하면서,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프로세서(911)가 OS를 실행함으로써, 태스크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관리, 통신 제어 등이 행하여진다.
또한,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의 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나 데이터나 신호치나 변수치가, 기억 장치(902), 프로세서(901) 내의 레지스터 및 캐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기억된다.
또한,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블루레이(등록상표) 디스크, DVD 등의 가반 기억 매체에 기억되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의 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나 데이터나 신호치나 변수치가, 기억 장치(912), 프로세서(911) 내의 레지스터 및 캐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기억된다.
또한,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블루레이(등록상표) 디스크, DVD 등의 가반 기억 매체에 기억되더라도 좋다.
또한,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101),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19),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201) 및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28)의 "부"를, "회로" 또는 "공정" 또는 "수순" 또는 "처리"로 바꾸어 읽더라도 좋다.
또한, 모국 장치(1) 및 종국 장치(200)는, 로직 IC(Integrated Circuit), GA(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라고 하는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되더라도 좋다.
또, 프로세서 및 상기의 전자 회로를 총칭하여 프로세싱 서킷트리라고도 한다.
1 : 모국 장치
2 : 종국 장치
3 : 종국 장치
4 : 종국 장치
5 : 종국 장치
6 : 종국 장치
7 : 종국 장치
8 : 종국 장치
9 : 종국 장치
10 : 종국 장치
11 : 종국 장치
12 : 종국 장치
13 : 무선 통신부
14 :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
15 : 푸시 데이터 수집부
16 : 폴링 제어부
17 : 폴링 데이터 수집부
18 : 센서 데이터 수집 데이터베이스부
19 :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
20 : 슬립 기동 제어부
21 : 시각 관리부
22 : 무선 통신부
23 : 네트워크 구축 관리부
24 : 센서부
25 : 푸시 데이터 송신부
26 : 폴링 데이터 송신부
27 : 폴링 응답부
28 :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
29 : 슬립 기동 제어부
30 : 시각 관리부
31 : T1 페이즈
32 :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 페이즈
33 : 푸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
34 : 폴링 데이터 통신 페이즈
35 : 슬립 지시 데이터 통신 페이즈
36 : T2 페이즈
101 :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
200 : 종국 장치
201 :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

Claims (20)

  1. 통신 목적지 장치와 동기하여 슬립 상태와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동작 상태에 있을 때에 실행하는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으로서 폴링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푸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통신 네트워크로의 참가를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및 상기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중 어느 1개 이상이 기술되고, 또한, 해당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의 실행 순서가 기술되는,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 공유하는 통신 시나리오를 관리하는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와,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을,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행하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
    를 갖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는,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과 상기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의 실행 순서가 정의되어 있는 이벤트가,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의 전환 주기마다 기술되어 있는 통신 시나리오를 관리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상기 전환 주기마다, 대응하는 이벤트에 정의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을, 대응하는 이벤트에 정의되어 있는 실행 순서로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행하는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는,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 협력하여, 상기 통신 시나리오를 전환하는 경우가 있고,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상기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에 의해 상기 통신 시나리오가 전환된 경우에,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전환 후의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을, 상기 전환 후의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실행하는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는,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에 상기 통신 시나리오의 전환 타이밍을 통지하여,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전환 타이밍에 상기 통신 시나리오를 전환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전환 타이밍에 상기 통신 시나리오를 전환하는 통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는,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시나리오의 전환 타이밍을 통지받고,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로부터 통지받은 상기 전환 타이밍에 상기 통신 시나리오를 전환하는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된 후, 데이터의 수신만이 허용되는 제 1 제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상기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을,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실행하는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상기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의 전부를 실행한 후, 데이터의 중계만이 허용되는 제 2 제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슬립 상태로 이행하는 통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시각 동기가 이루어진 후에,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상기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을,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행하는 통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상기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을 실행하고, 상기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에서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시각 동기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시각 동기를 행하는 통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상기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에서,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로서,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가 상기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개시한 송신 개시 시각에, 상기 송신 개시 시각으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전송로로의 송출이 실제로 개시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인 송신 지연 시간과 상기 전송로 상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송신 소요 시간을 가산하여 얻어지는 시각인 예상 수신 시각이 기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의 수신의 완료를 검지하고 나서 실제로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예상 수신 시각을 취득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인 수신 지연 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예상 수신 시각과 상기 수신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시각 동기를 행하는
    통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모국(master station) 장치와 복수의 종국(slave station) 장치가 동기하여 슬립 상태와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메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복수의 통신 목적지 장치로서 복수의 종국 장치가 포함되는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모국 장치이고,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상기 폴링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및 상기 푸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선행 데이터 통신 수순으로서 상기 복수의 종국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행된 후에 상기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이 상기 복수의 종국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경우로서, 상기 선행 데이터 통신 수순이 규정된 종료 시각보다 조기에 종료된 경우에, 상기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을 규정된 개시 시각보다 조기에 개시하는
    통신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복수의 통신 목적지 장치로서 복수의 종국 장치가 복수의 통신 그룹으로 분류되어 포함되는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모국 장치이고,
    상기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는, 통신 그룹별의 통신 시나리오를 관리하고, 통신 그룹의 단위로 종국 장치와 통신 그룹별의 통신 시나리오를 공유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통신 그룹별로,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해당하는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을, 해당하는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실행하는
    통신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로서 모국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모국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수순을 실행하는 복수의 종국 장치가 복수의 통신 그룹으로 분류되어 포함되는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통신 그룹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그룹에 소속되는 종국 장치이고,
    상기 통신 시나리오 관리부는, 통신 그룹별로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통신 시나리오 중, 상기 통신 장치가 소속되어 있는 소속 통신 그룹에 마련되어 있는 통신 시나리오를 소속 통신 시나리오로서 관리하고, 상기 소속 통신 시나리오를 상기 모국 장치와 공유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상기 소속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1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수순을, 상기 소속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실행하는
    통신 장치.
  15. 통신 목적지 장치와 동기하여 슬립 상태와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컴퓨터인 통신 장치가,
    상기 동작 상태에 있을 때에 실행하는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으로서 폴링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푸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통신 네트워크로의 참가를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및 상기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중 어느 1개 이상이 기술되고, 또한, 해당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의 실행 순서가 기술되는,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 공유하는 통신 시나리오를 관리하고,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을,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행하는
    통신 방법.
  16. 통신 목적지 장치와 동기하여 슬립 상태와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컴퓨터인 통신 장치로 하여금,
    상기 동작 상태에 있을 때에 실행하는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으로서 폴링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푸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통신 네트워크로의 참가를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및 상기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 중 어느 1개 이상이 기술되고, 또한, 해당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의 실행 순서가 기술되는,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 공유하는 통신 시나리오를 관리하는 통신 시나리오 관리 처리와,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1개 이상의 실행 데이터 통신 수순을,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기술되는 실행 순서로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행하는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 처리
    를 실행하게 하는 통신 프로그램.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시각 동기가 이루어진 후에,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에,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푸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푸시 데이터에 의한 상향 데이터 통신의 송신 타이밍은, 각 종국 장치 사이에서의 중복을 막기 위해, 모국 장치로부터의 홉의 수에 따라 송신 지연 시간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모국 장치로부터 가까운 종국 장치로부터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모국 장치와 복수의 종국 장치가 포함되는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장치이고, 상기 통신 목적지 장치와의 시각 동기가 이루어진 후에,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에, 상기 통신 시나리오에 폴링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수순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국 장치로부터 모든, 혹은 특정한 종국 장치로의 폴링 데이터 요구를 행하고, 요구를 수신한 종국 장치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반송하는 통신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모국 장치와 복수의 종국 장치가 포함되는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장치이고,
    네트워크 미참가 시에, 종국 장치는, 기동 후에 참가 대기 상태로서, 모국 장치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통신의 수신을 기다리고, 하향 데이터 통신의 수신에 의해, 먼저 시각 동기를 행하고, 그 후, 상기 무선 메시 네트워크의 경로 제어를 행하는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통신에서, 참가 요구를 행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수순 실행부는, 모국 장치와 복수의 종국 장치가 포함되는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통신 장치이고, 상기 모국 장치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시각 동기 정보 외에, 현재 실행 중의 시나리오 정보, 다음번 실행 시나리오 정보를 설정하여 송신함으로써, 상기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20197005309A 2016-08-29 2016-08-29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통신 프로그램 KR102060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5223 WO2018042496A1 (ja) 2016-08-29 2016-08-29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936A true KR20190026936A (ko) 2019-03-13
KR102060943B1 KR102060943B1 (ko) 2019-12-31

Family

ID=6020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309A KR102060943B1 (ko) 2016-08-29 2016-08-29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통신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05880B2 (ko)
JP (1) JP6223625B1 (ko)
KR (1) KR102060943B1 (ko)
CN (1) CN109644394B (ko)
DE (1) DE112016007094B4 (ko)
TW (1) TWI639352B (ko)
WO (1) WO20180424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145A (ko) * 2016-09-28 2018-04-05 암, 리미티드 통신 네트워크들 내의 에러 검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9513B2 (ja) * 2018-06-21 2022-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
US11252070B2 (en) 2018-10-09 2022-02-15 Vmware, Inc. Adaptive polling in 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environments
JP7321699B2 (ja) * 2018-12-04 2023-08-07 信一 西浦 無線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11082354B2 (en) * 2019-06-12 2021-08-03 Vmware, Inc. Adaptive polling in 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environments
US11169585B2 (en) * 2019-08-16 2021-11-09 Apple Inc. Dashboard with push model for receiving sensor data
JP7452871B2 (ja) * 2021-06-03 2024-03-19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親機、端末、中継機、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6749A (ja) 2008-02-27 2009-09-10 Ad-Sol Nissin Corp マルチホップ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4017A (ja) * 2005-06-09 2006-12-21 Hitachi Ltd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センサネットワークのデータ処理方法
JP2007005991A (ja) 2005-06-22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省電力無線通信システム
JPWO2007066637A1 (ja) 2005-12-05 2009-05-2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232518B (zh) * 2008-01-31 2011-03-23 北京航空航天大学 节点动态休眠的低功耗媒体访问控制方法
JP5128353B2 (ja) 2008-04-17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ノードシステム、無線ノードおよび無線ノード同期方法
JP5426190B2 (ja) * 2009-02-20 2014-02-26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センサノード、センタノード、マルチホップ無線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センサ情報収集方法
JP5430481B2 (ja) 2010-04-12 2014-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ゲートウエイおよび端末
FI20105658A (fi) 2010-06-10 2011-12-11 Defendec Inc Laite ja menetelmä liikkuvaa ad hoc -monijänneverkkoa varten
JP5492021B2 (ja) 2010-08-26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5825131B2 (ja) 2012-02-09 2015-12-02 富士通株式会社 ゲートウエイ装置、ノード装置、通信システム、動作期間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2917467B (zh) * 2012-03-19 2015-05-20 姚国良 无线传感器网络的异步预约信道接入方法
CN104272847B (zh) * 2012-04-28 2018-09-18 Lg 电子株式会社 在wlan系统中接入信道的方法和设备
JP2015534366A (ja) * 2012-09-29 2015-11-2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いて中継動作を行う方法及び装置
KR102166184B1 (ko) * 2012-11-30 2020-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무선랜 시스템
US20150163827A1 (en) * 2013-12-06 2015-06-11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aging for Mutli-Standby Devices
US10542477B2 (en) * 2016-12-14 2020-01-21 The Boeing Company Multi-hop networking protocol for wide-area energy harvesting sensor network deployments
WO2018170911A1 (zh) * 2017-03-24 2018-09-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耗参数的配置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6749A (ja) 2008-02-27 2009-09-10 Ad-Sol Nissin Corp マルチホップ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쿠보 유키, 야나기하라 켄타로, 노자키 마사노리 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소전력화 기술" OKI 테크니컬 리뷰, 2009년 4월/제 214호 Vol. 76 No. 1 p. 32~3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145A (ko) * 2016-09-28 2018-04-05 암, 리미티드 통신 네트워크들 내의 에러 검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42496A1 (ja) 2018-09-06
DE112016007094T5 (de) 2019-04-18
JP6223625B1 (ja) 2017-11-01
WO2018042496A1 (ja) 2018-03-08
TW201808034A (zh) 2018-03-01
TWI639352B (zh) 2018-10-21
DE112016007094B4 (de) 2020-01-16
KR102060943B1 (ko) 2019-12-31
US20190306796A1 (en) 2019-10-03
US10805880B2 (en) 2020-10-13
CN109644394A (zh) 2019-04-16
CN109644394B (zh)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6936A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통신 프로그램
Zimmerling et al. pTunes: Runtime parameter adaptation for low-power MAC protocols
Sahota et al. A wireless sensor network for precision agriculture and its performance
US20140003286A1 (en) Connectionless Wi-Fi Mesh Communication
CN105794284B (zh) 使节点同步至数据宿的方法以及用于形成无线网络的节点
US10523515B2 (en) Discovery of a set of nodes in a network
JP2019504533A (ja) 時間スロットチャネルホッピング型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親ノードの選択
US950951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N108419287B (zh) 一种用于无线设备节点网络同步的方法
BR112019009284B1 (pt) Métodos e sistema para otimização de mensagem de difusão para dispositivos de baixa energia que se comunicam com um nó em uma rede de salto de canal com partições de tempo
Jain et al. Optimal performance reference broadcast synchronization (OPRBS) for time synchron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u et al. Distributed cross-layer scheduling for in-network sensor query processing
US2015031960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11659509B2 (en) Multi-hop relay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ao et al. COFlood: Concurrent opportunistic flooding in asynchronous duty cycle networks
Mager et al. BUTLER: Increasing the Availability of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CN115278577A (zh) 信息采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Guo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low-duty protocol for smartphone neighbor discovery
WO20211416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using a default channel during unused periods of timeslots
JP596758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無線通信方法
Hwang et al. Ultra low power data aggregation for request oriented sensor networks
KR101376299B1 (ko) 비컨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비컨 프레임을 복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Mueller Low-power network design: work hard, play hard
Ferrari et al. Secondis: An adaptive dissemination protocol for synchronizing wireless sensor networks
Biri et al. Hydra: Concurrent Coordination for Fault-tolerant Netwo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