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572A -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및 컨테이너선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및 컨테이너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572A
KR20190026572A KR1020180097422A KR20180097422A KR20190026572A KR 20190026572 A KR20190026572 A KR 20190026572A KR 1020180097422 A KR1020180097422 A KR 1020180097422A KR 20180097422 A KR20180097422 A KR 20180097422A KR 20190026572 A KR20190026572 A KR 20190026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uct
foam
foaming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스케 스즈키
노리오 사카타
타케시 츠치다
지로 오타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가시와 뎃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가시와 뎃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가시와 뎃쿠
Publication of KR2019002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컨테이너선에서의 화재에 대해서 더욱 뛰어난 진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및 컨테이너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용 발포기(20)는, 발포제를 방사하는 방사 노즐(21)과, 방사 노즐(21)에서 방사된 발포제를 통과시켜 포말을 발생시키는 발포 메시(22)를 구비하며, 컨테이너선(1)에 설치되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및 컨테이너선{FOAM GENERATOR FOR CONTAINER SHIP, INSTALLATION OF FOAM GENERATOR FOR CONTAINER SHIP, AND 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 운반선(컨테이너선)에 설치되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및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컨테이너선으로 운반되는 컨테이너에는, 가연성을 갖는 위험 물질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위험 물질을 컨테이너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위험 물질이 화재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각 위험 물질의 특성에 맞춰서, 포장 방법, 적재 가능량, 및 설치 장소 등이 규칙으로 제한되어 있다.
그렇지만, 예컨대, 상기와 같은 위험 물질이 다른 물질과 화합물로 된다든가, 또는 다른 물질과 혼합된 혼합물로 되는 경우, 실제로는 위험 물질을 수용하고 있는 컨테이너가, 위험 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컨테이너로 판정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규정된 장소와는 다른 위치에, 위험 물질을 수용한 컨테이너가 적재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선박의 연료는 점성이 높은 중유 등이므로, 가열하여 유동성을 높이기에, 선체와 화물 창고 사이에 설치된 컨테이너선의 연료 탱크 근방은 고온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온의 장소에, 위험 물질을 포함한 컨테이너가 설치되면, 컨테이너에 그 열이 전달되어, 가열된 위험물이 발화하여 화재에 도달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화재에 대비하여, 종래 컨테이너선의 선창(컨테이너 홀드)에는, 탄산 가스 소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소화 장치로서 탄산 가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컨테이너 홀드 내에는 물이 닿으면 안되는 물질이 적재될 가능성이 있어, 물이 포함된 소화 장치로는, 물이 닿으면 안되는 물질에 물이 접촉하여 위험성이 증가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령 컨테이너 홀드의 상부에 살수 노즐을 설치하여 살수한다고 하여도,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홀드에는 컨테이너 화물이 틈새가 거의 없는 채로 빽빽하게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 장소에 살수한 물이 효과적으로 공급되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렇지만, 탄산 가스 소화 장치에서는, 방출된 탄산 가스가, 화재의 열에 의한 상승 기류의 영향을 받아 해치 커버의 틈새에서 유출되어 진화 효과를 빨리 잃어 버려 마지막까지 진화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더욱 진화 성능이 높은 소화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에서의 화재에 대해서 더욱 뛰어난 진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및 컨테이너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는, 발포제를 방사하는 방사 노즐과, 상기 방사 노즐에서 방사된 발포제를 통과시켜 포말을 발생시키는 발포 메시를 준비하며, 컨테이너선에 설치되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는, 격벽으로 구획된 컨테이너 홀드 내에 배치되는 덕트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는, 상기 덕트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상기 발포 메시로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는, 해치 커버의 하면에 설치되는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에 있어서, 상기 방사 노즐과 상기 발포 메시가, 일체로 연결되어 유닛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은, 컨테이너선에,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격벽으로 구획된 컨테이너 홀드 내에 배치되는 덕트의 개구부에, 상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로서의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컨테이너선의 해치 커버 하면에, 상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로서의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은,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를 구비하며, 상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가, 격벽으로 구획된 컨테이너 홀드 내에 배치되는 덕트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와, 해치 커버의 하면에 설치되는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선에서의 화재에 대해서 더욱 뛰어난 진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및 컨테이너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컨테이너선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컨테이너선의 격벽을 나타낸 컨테이너선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기의 원통 형상 덕트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원통 형상의 덕트에 발포기를 부착할 때의, 다른 부착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로서의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사각통 형상의 덕트에 발포기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발포기를, 해치 커버의 하면에 부착한 경우의 배치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발포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이 컨테이너선(1)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컨테이너선(1)은, 선체의 선수(2)에서 선미(3)에 걸쳐서 격벽(4)(벌크 헤드)에 의해서 구획된 복수의 컨테이너 홀드(5)(이하, 단순하게 "홀드(5)"라고도 칭함)가 설치되어 있다. 갑판(6)에는 각 홀드(5)의 상부 개구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쇄하는 해치 커버(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컨테이너선(1)에는, 예컨대, 기관실(8), 디젤 엔진(9), 출력축(10), 추진용 프로펠러(11), 타(舵) 장치(12), 거주실(13), 조타실(14), 창(15)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컨테이너선(1)에 있어서 전체 홀드(5) 및 갑판(6) 상에 컨테이너(16)를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컨테이너선(1)에는, 화재가 발생할 때 진화를 위해서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는, 예컨대, 계면 활성제나 물(담수 또는 해수)을 포함하는 혼합 용액(발포제)을 발포시켜 형성한 고팽창 포말을 이용하여 진화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방사 노즐(22)에서 발포 메시(21)로 혼합 용액을 방출하는 것에 의해서, 예컨대, 혼합 용액의 200 배 ~ 1000 배의 체적이 되는 고팽창 포말을 발생시키고, 이 포말로 연소 화염을 감싸는 것에 의한 질식 효과를 이용하여, 진화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이하, 단순하게 "발포기"라고도 칭함)를 컨테이너 홀드(5) 내에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홀드(5)에는, 격벽(4)을 따라서 설치된 덕트(18)가 배치되어 있으며, 덕트(18)의 개구부(19)(도 3 참조)에,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20)(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해치 커버(7)의 하면(이면)에는,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50)(도 9, 도 10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3은, 각 홀드(5)를 구획하는 격벽(4) 위치에, 컨테이너선(1)의 종방향(선수(2)에서 선미(3)로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격벽(4)은, 컨테이너선(1)의 종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소위 횡격벽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4)에는, 송풍기(17)를 내부에 구비한 통 형상의 덕트(18)가, 선박 좌우에 각각 2 개씩, 합계 4 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송풍기(17) 및 덕트(18)의 개수, 및 그 배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격벽(4)이, 예컨대, 대향하는 2 장의 판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덕트(18)는, 격벽(4)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덕트(18)의 일부 또는 전체가 격벽(4)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덕트(18)는, 격벽(4)에 대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 있어서 송풍기(17)는, 덕트(18)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덕트(18)의 하부 또는 중간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덕트(18)는, 통 형상이라면, 단면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송풍기(17) 및 덕트(18)는, 평상시(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에는, 홀드(5)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밀어 내어 배출하고, 또는 외기를 홀드(5) 내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홀드(5) 내를 환기하는 환기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송풍기(17) 및 덕트(18)는, 화재 발생시에는, 흡기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즉 외부의 공기를 홀드(5) 내로 밀어 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덕트(18)에는, 홀드(5)의 내부 공간으로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9)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9)는, 덕트(18)의 측면 및 선단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부(19)의 위치, 형상 등에 따라서 적절한 형상의 발포기를 선택하여 부착한다.
도 4에 나타낸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20)는, 덕트(18)에 형성된 개구부(19)에 설치 가능한 발포기의 일례이다. 발포기(20)는, 발포제를 통과시켜 포말을 발생시키는 발포 메시(21)와, 발포제를 발포 메시(21)로 향해서 방사하는 방사 노즐(22)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발포 메시(21)는, 메시 부재(21a)와, 메시 부재(21a)의 외주 둘레부를 프레임 바디(23)에 밀착시키기 위한 프레임(21b)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21b)은 용접 등에 의해서 메시 부재(21a)와 일체로 고정되어도 좋고, 별도의 다른 부재라도 상관없다. 메시 부재(21a)는,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제 패턴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발포 메시(21)는, 방사 노즐(22)에서 방사된 발포제를 통과시켜 포말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구멍의 형상 및 그 배치 등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재료, 두께 등도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철망 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발포 메시(21)는, 정면에서 보아 장방형의 판상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구부(19)의 형상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발포 메시(2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탄한 것이라도 좋고, 일부 또는 전체가 만곡, 굴곡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홀드(5) 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관점에서, 발포 메시(21)는, 덕트(18)에서 돌출하지 않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기(20)는, 화재 발생시에, 송풍기(17)에 의해서 덕트(18)를 거쳐서 들어오는 공기를 이용하여 발포시키는 것으로, 발포 메시(21)는, 개구부(19)를 덮도록 부착된다.
방사 노즐(22)은, 발포제를 공급하는 배관(25)에 설치되어 있으며, 화재 발생시에는, 배관(25)을 통하여 공급되는 발포제를, 방사 노즐(22) 선단의 방사구(22a)에서 발포 메시(21)의 메시 부재(21a)의 내면으로 향해서 방사한다. 또한, 발포기(20)를 덕트(18)의 개구부(19)에 부착한 상태에서, 방사 노즐(22)은, 덕트(18)의 내측에 배치된다.
발포기(20)는, 발포 메시(21)를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는 프레임 바디(23)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바디(23)는, 프레임(21b)보다도 외형이 크게 되어 있다. 프레임 바디(23)의 전면에 발포 메시(21)를 배치하고,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서 프레임(21b)을 프레임 바디(23)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장방형의 프레임 바디(23)의 하변측에는, 탈착시 발포 메시(21)의 프레임(21b)을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래킷(24)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바디(23)는, 덕트(18)에 대해서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또는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예의 발포기(20)는, 발포 메시(21)와 방사 노즐(22)이, 일체로 연결되어 유닛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포 메시(21)를 유지하는 프레임 바디(23)와, 방사 노즐(22)의 배관(25)이, 단면 L 자 형상의 길이가 긴 철물로 구성되는 연결 부재(26)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좌우 4 개의 연결 부재(26)를 사용하고 있지만, 연결 부재(26)의 개수 및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연결 부재(26)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더욱 경량인 로드 형상 부재(봉 형상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발포 메시(21)와 방사 노즐(22)이, 일체로 연결되어 유닛화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덕트(18)의 개구부(19)에 대한 발포기(20)의 부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즉, 덕트(18)에 대해서 발포 메시(21)와 방사 노즐(22)을 동시에 함께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보다도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발포기(20)는, 발포 메시(21)의 전체에 걸쳐서 균등하게 발포재가 방사되도록, 방사 노즐(22)이 서로 간격을 두고 8 군데에 배치되어 있지만, 방사 노즐(22)의 개수나 위치는, 발포 메시(21)의 면적이나 형상에 맞춰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각 방사 노즐(22)은, 그 연장 방향이 발포 메시(21)의 내면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방사 노즐(22)의 연장 각도도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배관(25)은, 플랜지(25a)를 거쳐서, 공급 배관(P)(도 5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플랜지(25a)의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배관(25)의 다양한 위치에 설정 가능하다. 공급 배관(P)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소화액과 물의 혼합 용액(발포제)을 제조하는 혼합 용액 제조 설비나,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진화 대상 개소에 발포제를 분배하는 분배 설비(탱크, 펌프, 밸브, 계측 장치 등을 포함) 등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를 구성하는 발포기 이외의 구성(혼합 용액 제조 설비, 분배 설비 등)은, 컨테이너선(1)의 아무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도 5는, 원통 형상의 덕트(18)에 발포기(20)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덕트(18)의 측면에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상의 개구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덕트(18)에는, 개구부(19)의 외주 둘레부에서, 덕트(18)의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입상 벽부(18a)가 설치되어 있다. 입상 벽부(18a)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플랜지(18b)가 설치되어 있다. 발포 메시(21)는, 입상 벽부(18a)의 선단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플랜지(18b)에 프레임(3b)을 중첩한 상태로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발포 메시(21)는, 볼트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덕트(18)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즉, 발포 메시(21)는, 덕트(18)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입상 벽부(18a)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만곡한 원통 형상의 덕트(18) 측면에 대해서, 평탄한 발포 메시(21)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방사 노즐(22)은, 배관(25)을 덕트(18)에 고정함으로써 덕트(18)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덕트(18)에는, 선단부를 폐쇄하는 저벽(18c)이 설치되어 있으며, 덕트(18)를 통해서 송풍기(17)에 의해서 밀어 내어진 공기가, 개구부(19)만을 통과하여 홀드(5) 내로 유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화재 발생시에, 발포 메시(21)에서 생성된 포말을 효율적으로 컨테이너 홀드(5)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덕트(18)의 선단부에 저벽(18c)을 설치하지 않는, 즉 덕트(18)가 선단 개구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발포기(20)는, 도 4에 나타낸 프레임 바디(23) 및 연결 부재(26)를 가지고 있지 않고, 발포 메시(21)와 방사 노즐(22)을 각각 덕트(18)에 직접 부착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프레임 바디(23) 및 연결 부재(26)를 가진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발포기(20)가 프레임 바디(23)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프레임 바디(23)를 플랜지(18b)에 고정한다.
도 6의 (a)는, 도 4에 나타낸 발포기(20)를, 원통 형상의 덕트(18) 내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입상 벽부(18d)에 부착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6의 (b)는 그 평면도이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나타낸 예에서는, 덕트(18)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9)의 외주 둘레부에서, 덕트(18) 내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입상 벽부(18d)와, 입상 벽부(18d)의 선단에 플랜지(18e)가 설치되어 있다. 입상 벽부(18d)의 선단 개구부를 발포 메시(21)로 덮도록, 발포기(20)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착 방법에 의하면, 덕트(18)에서 발포기(20)가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홀드(5) 내의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덕트(18)의 형상이 원통 형상이 아니라,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된 사각통 형상인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포기(20)를 부착할 수 있다. 덕트(18)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9)를 발포 메시(21)로 덮도록 발포기(20)를 배치하고, 개구부(19)의 외주 둘레부에 프레임 바디(23)를 볼트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발포기(20)를 덕트(18)에 부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8은, 변형예로서의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30)를 나타내고 있다. 발포기(30)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발포 메시(21)가 아니라, 입체적인 형상, 구체적으로, 원추대 형상의 발포 메시(31)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발포기(30)는, 발포 메시(31)의 기단부가 부착되는 원통 형상의 몸통부(32)를 구비한다. 또한, 도에 의한 표시는 생략하였지만, 몸통부(32)의 내측에, 발포 메시(31)의 내면으로 향해서 발포제를 방출하기 위한 방사 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몸통부(32)의 상단은, 덕트(18)의 선단부에, 덕트(18)의 중심 축선과 몸통부(32)의 중심 축선이 일치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덕트(18) 측면의 개구부(19)에 발포기(20)를 설치하는 동시에, 선단의 개구부(19)에 발포기(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9는,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50)를 나타내고 있다. 발포기(50)는, 원통 형상의 몸통부(53)를 구비하고, 몸통부(53)의 일단에서 개구를 덮도록 설치된 원추 형상의 발포 메시(51)와, 몸통부(53)의 타단측에 설치되며, 몸통부(53)의 내측을 통하여 발포 메시(51)로 향해서 발포제를 방사하는 방사 노즐(52)을 구비하고 있다. 발포 메시(51)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원추대 형상 등의 다른 입체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평탄한 형상이어도 좋다. 방사 노즐(52)은, 연결 부재(54), 플랜지(55), 분기 헤드(56)를 거쳐서 몸통부(53)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발포기(50)는, 덕트(18)에서 밀어 내어진 공기를 이용하지 않고 홀드(5) 내의 공기를 이용하면서 발포시키는 것이다. 즉, 방사 노즐(52)에서 방사된 발포재가, 주위의 공기를 흡인하면서 발포 메시(51)에 충돌하여 포말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50)는, 덕트(18)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 장소에 제한이 없는 이점이 있다.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분기 헤드(56)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3 개의 방사 노즐(52)이, 외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방사 노즐(52)의 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포 메시(51)의 형상 등에 맞춰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플랜지(55)는, 공급 배관(P) 측의 플랜지에 접속된다.
몸통부(53)에는, 구조물로의 고정용 브래킷(5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57)을 거쳐서 해치 커버(7)의 하면이나, 격벽(4) 등에 발포기(50)를 부착할 수 있다.
도 10은, 해치 커버(7)의 하면에 발포기(50)를 설치하는 배치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개의 해치 커버(7)에 복수의 발포기(5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1 개의 배관(58)에 6 개 접속된 발포기(50)가, 대향 배치되어 2 열 설치되어 있다. 배관(58)에는 플랜지(59)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 배관(P)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해치 커버(7)는 하역시에 분리되기 때문에, 본선측 공급 배관(P)과의 접속은 커넥터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50)를, 격벽(4)에 설치할 수도 있다. 격벽(4)의 최상부에 발포기(5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치 커버(7)의 하면에 설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홀드(5) 상부로 고팽창 포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진화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발포기(50)를 격벽(4)의 하부, 또는 중간 높이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이 격벽(4)을 따라서, 컨테이너선(1)의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발포기(50)를 설치하는 동시에, 폭 방향으로도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선(1)에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발포기(20, 50)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탄산 가스 소화 장치와 같이, 방출된 탄산 가스가, 화재의 열에 의해서 상승 기류의 영향을 받아서 해치 커버(7)의 틈새에서 유출된다는 문제가 없고, 고팽창 포말에 의한 질식 효과에 의해서, 화재를 더욱 확실하게 진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컨테이너선(1)에서의 진화 성능을 높이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의 고팽창 포말은, 혼합 용액(발포제)을 공기와 혼합시켜서 팽창시킨 것으로, 포말은 점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 내부에는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물이 포함된 소화 장치이기는 하지만, 주수(注水)나 살수[散水]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서 물이 닿으면 안되는 물질에 작용할 우려는, 현저하게 낮아지게 된다. 즉,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는, 안정성이 높고, 환경에도 우수하다고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20)를 덕트(18)에 설치하고, 평상시에는 환기용으로 사용하는 송풍기(17) 및 덕트(18)를 화재 발생시에는 발포기(20)로의 송풍용으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덕트(18)를 거쳐서 들어오는 공기를 이용하여 포말의 발생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홀드(5) 내로 포말을 효과적으로 밀어 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신속한 진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50)를, 해치 커버(7)의 하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서, 홀드(5) 상부에 고팽창 포말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해치 커버(7)의 틈새를 이 고팽창 포말로 메울 수 있기 때문에, 홀드(5) 내의 화재 발생 장소로의 연소 공기(외기)의 공급을 차단하여, 진화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해치 커버(7) 하면에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50)가 설치되어 있으면, 홀드(5) 내로의 연소 공기의 공급을 더욱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지만,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20)만으로도, 송풍기의 힘에 의해 고팽창 포말이 강제적으로 틈새로 밀어 내어지기 때문에, 해치 커버(7)의 틈새를 이 고팽창 포말로 메울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포기(20, 50)에 의해서, 특히 격벽의 4 주변 및 홀드(5) 내 상부 공간에 고팽창 포말을 충만시키는 것에 의해서, 화재 발생 장소로의 연소 공기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어, 더욱 신속하게 화재를 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팽창 포말에 포함된 수분은 중력 작용에 의해서 시간과 함께 흘러 내려서 액체로 환원되지만, 홀드(5) 저부에 배수구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배수하면서 진화를 행하는 것에 의해, 포말의 환원수가 홀드(5) 저부에 고여 물이 닿으면 안되는 물질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시한 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해치 커버(7)에서 떨어진 위치, 즉 컨테이너 홀드(5)의 저부 부근, 또는 중앙 부근에, 발포기(50)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1 : 컨테이너선
2 : 선수
3 : 선미
4 : 격벽
5 : 홀드(컨테이너 홀드)
6 : 갑판
7 : 해치 커버
8 : 기관실
9 : 디젤 엔진
10 : 출력축
11 : 추진용 프로펠러
12 : 타 장치
13 : 거주실
14 : 조타실
15 : 창
16 : 컨테이너
17 : 송풍기
18 : 덕트
18a : 입상 벽부
18b : 플랜지
18c : 저벽
18d : 입상 벽부
18e : 플랜지
19 : 개구부
20 : 발포기(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
21 : 발포 메시
21a : 메시 부재
21b : 프레임
22 : 방사 노즐
22a : 방사구
23 : 프레임 바디
24 : 지지 브래킷
25 : 배관
25a : 플랜지
26 : 연결 부재
30 : 발포기(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
31 : 발포 메시
32 : 몸통부
50 : 발포기(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
51 : 발포 메시
52 : 방사 노즐
53 : 몸통부
54 : 연결 부재
55 : 플랜지
56 : 분기 헤드
57 : 브래킷
58 : 배관
59 : 플랜지
P : 공급 배관

Claims (8)

  1. 발포제를 방사하는 방사 노즐과,
    상기 방사 노즐에서 방사된 발포제를 통과시켜 포말을 발생시키는 발포 메시를 준비하며, 컨테이너선에 설치되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는, 격벽으로 구획된 컨테이너 홀드 내에 배치되는 덕트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인,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는, 상기 덕트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상기 발포 메시로 덮도록 설치된,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는, 해치 커버의 하면에 설치된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인,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노즐과 상기 발포 메시가, 일체로 연결되어 유닛화되어 있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6. 컨테이너선에,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격벽으로 구획된 컨테이너 홀드 내에 배치되는 덕트의 개구부에, 상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로서의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를 설치하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컨테이너선의 해치 커버 하면에, 상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로서의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를 설치하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8.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선용 발포기를 구비하며,
    상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가, 격벽으로 구획된 컨테이너 홀드 내에 배치되는 덕트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와, 해치 커버의 하면에 설치되는 인사이드 에어 방식의 발포기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컨테이너선.
KR1020180097422A 2017-09-04 2018-08-21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및 컨테이너선 KR201900265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69750 2017-09-04
JP2017169750A JP2019042236A (ja) 2017-09-04 2017-09-04 コンテナ船用発泡器、コンテナ船用発泡器の設置方法、及びコンテナ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72A true KR20190026572A (ko) 2019-03-13

Family

ID=6551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422A KR20190026572A (ko) 2017-09-04 2018-08-21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및 컨테이너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042236A (ko)
KR (1) KR20190026572A (ko)
CN (1) CN1094202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917A (ko) 2020-03-02 2021-09-10 혜 옥 이 스프링쿨러 헤드와 밸브의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41723C1 (ru) * 1992-06-29 1995-08-20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химических продуктов Огнетушитель
CN101265742A (zh) * 2007-03-16 2008-09-17 李书通 泡沫铝防火复合板
KR100917277B1 (ko) * 2009-01-08 2009-09-16 (주) 엔케이텍 선박용 폼제너레이터
EP2956243B1 (en) * 2013-02-12 2018-08-22 Tetrosyl Limited Foam generating spray device and spray head for use therein
CN103541757B (zh) * 2013-10-18 2016-03-23 中国矿业大学 一种矿用防灭火泡沫产生器
CN105644716A (zh) * 2014-11-10 2016-06-08 中集船舶海洋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集装箱船
JP6133371B2 (ja) * 2015-09-03 2017-05-24 株式会社カシワテック 発泡器
JP6247262B2 (ja) * 2015-09-03 2017-12-13 株式会社カシワテック 発泡器
CN106390343A (zh) * 2016-10-19 2017-02-15 江苏津泰机电有限公司 吸气式细水雾泡沫两用喷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917A (ko) 2020-03-02 2021-09-10 혜 옥 이 스프링쿨러 헤드와 밸브의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20274A (zh) 2019-03-05
JP2019042236A (ja)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456B2 (en) Fire retardant delivery system for fighting wild fires
CZ291504B6 (cs) Způsob hašení požáru a hasicí zařízení k jeho provádění
RU242908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нефти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в резервуаре
US5573068A (en)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s in oil storage tanks
JP2001526101A (ja) 消火装置
KR20190026572A (ko) 컨테이너선용 발포기, 컨테이너선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및 컨테이너선
US7028783B2 (en) Ambient-air jet blast flames containment and suppression system
KR101838809B1 (ko) 발포기
KR101843278B1 (ko) 발포기
KR20190043467A (ko) 해치 커버용 발포기, 해치 커버용 발포기의 설치 방법, 및 선박
RU2258549C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 резервуар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807170B1 (ko) 소화용 폼 제너레이터
US5785126A (en) Method of extinguishing of fire in open or closed spaces and means for performing the method
WO2022210301A1 (ja) 船舶
JP2017190132A (ja) 航空機タンク用の燃料マニホールド
KR102277897B1 (ko) 발포기
KR102201972B1 (ko) 화재 진압용 포방사기
CN216653192U (zh) 发泡剂罐
JP2013221271A (ja) 除雪システム及び除雪方法
JPH0633944Y2 (ja) 消火器
RU2401678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JP2008136541A (ja) 高膨張泡消火設備及びその発泡方法
JP2017176756A (ja) 発泡器
JPH114904A (ja) 高膨張泡消火装置
JP2019084244A (ja) 高膨張泡消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