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701A -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701A
KR20190025701A KR1020197003289A KR20197003289A KR20190025701A KR 20190025701 A KR20190025701 A KR 20190025701A KR 1020197003289 A KR1020197003289 A KR 1020197003289A KR 20197003289 A KR20197003289 A KR 20197003289A KR 20190025701 A KR20190025701 A KR 20190025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pe
pair
connecting tube
extens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오까
유지 오니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5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3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two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경량화 및 파지 용이를 도모하고, 또한 조작성이 향상되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체와, 상기 흡입구체에 접속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진애를 흡인하는 청소기 본체측을 접속하는 연장관이며, 상기 연장관은 드라이 카본으로 구성된 파이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이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청소기 연장관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관 본체와, 관 본체의 외면에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부재와, 관 본체와 커버 부재 사이의 간극에 설치된 절연성 수지 플레이트와, 절연성 수지 플레이트 위에 지지되는 리드선을 구비하고, 리드선의 양단부가 청소기 본체 및 흡입구체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연장관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49699호 공보
특허문헌 1과 같이, 관 본체의 외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연성 수지 플레이트, 리드선 및 커버 부재가 설치된 연장관은 굵어지기 때문에, 연장관 전체의 중량이 증가하고, 또한 연장관의 파지 용이가 손상되고, 그 결과, 연장관을 통해 흡입구체의 이동 방향을 조작할 때의 조작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경량화 및 파지 용이를 도모하고, 또한 조작성이 향상되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체와, 상기 흡입구체에 접속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진애를 흡인하는 청소기 본체측을 접속하는 연장관이며,
상기 연장관은, 드라이 카본으로 구성된 파이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이 제공된다.
또한, 관 본체와, 상기 관 본체의 양단부에 설치된 제1 접속관부 및 제2 접속관부와, 상기 제1 접속관부 내로부터 상기 제2 접속관부 내에 걸쳐서 설치된 도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도전 유닛은, 양단부에 수형 단자부 및 암형 단자부가 설치된 도전 케이블을 갖고,
상기 제1 접속관부는, 상기 관 본체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도전 케이블의 상기 수형 단자부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하는 제1 인출구를 갖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연설(連設)된 제1 단자 유지부를 갖고,
상기 제2 접속관부는, 상기 관 본체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도전 케이블의 상기 암형 단자부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하는 제2 인출구를 갖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연설된 제2 단자 유지부를 갖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연장관은 경량이고 견고한 파이프, 즉 연장관이 생기고, 전기 청소기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어 모터 구동하는 회전 브러시를 내장하는 흡입구체와 청소기 본체를 접속하고, 청소기 본체로부터 연장관을 통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흡입구체의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키면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전기 청소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연장관은 도전 유닛이 관 본체 내에 콤팩트하게 설치된 것이 되고, 또한 관 본체가 굵어지지 않기 때문에, 경량화 및 파지 용이가 도모되고, 그 결과, 연장관을 통해 흡입구체의 이동 방향을 조작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청소기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청소기 본체의 핸들에 설치된 조작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청소기 본체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하우징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이며, (A)는 바닥면 위에 둔 상태, (B)는 바닥면 위에서 눕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8의 (A)는 구동 장치의 좌측면도이고, (B)는 청소기 본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A의 (A)에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B)는 도 A의 (B)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더스트 컵이며, (A)는 사시도, (B)는 분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더스트 컵이며, (A)는 정면도, (B)는 (A)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C)는 (A)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더스트 컵 유닛이며, (A)는 하부의 평단면도, (B)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연장관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A)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의 연장관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A)의 연장관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접속관부의 정면측에서 본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A)의 연장관에 있어서의 관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A)의 연장관에 있어서의 관 본체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3의 (A)의 연장관에 있어서의 도전 유닛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A)의 도전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20의 (A)는 도 18의 (A)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B)는 도 18의 (A)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C)는 도 18의 (A)의 II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A)의 도전 유닛에 있어서의 커버 플레이트 내의 리드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3의 (A)의 연장관에 있어서의 제1 접속관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흡입구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흡입구체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나타내는 흡입구체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3에 나타내는 흡입구체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와, 연장관(20)과, 흡입구체(40)를 구비한다. 연장관으로서는, 관 그 자체를 연장할 수 있는 구조의 유무에는 관계되지 않아도 된다. 흡입구체를 청소기 본체에 직접 설치하여 청소를 행하는 핸디 타입에 비해, 흡입구체를 연장관을 통해 청소기 본체에 설치하여 청소하는 경우는, 전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흡입구체까지의 거리를 길게 한 스틱 타입으로 하여 청소를 행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도 2는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청소기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청소기 본체의 핸들에 설치된 조작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청소기 본체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하우징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이며, (A)는 바닥면 위에 둔 상태, (B)는 바닥면 위에서 눕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청소기 본체(10)는 구동 장치(11)와, 구동 장치(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더스트 컵 유닛(12) 및 배터리(13)를 구비한다.
[구동 장치]
도 2와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장치(11)는 전동 송풍기(11am)를 내장하는 본체부(11a)와, 본체부(11a)에 연설된 배터리 장착부(11b)와, 본체부(11a)와 배터리 장착부(11b)에 연설된 양단부를 갖는 핸들(11c)과, 본체부(11a)와 핸들(11c)의 접합부에 연설되어 핸들(11c)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흡입 통부(11d)를 갖는다.
이하, 구동 장치(11)에 있어서의 흡입 통부(11d)측을 전방, 핸들(11c)측을 후방, 배터리 장착부(11b)측을 하방, 배터리 장착부(11b)와 반대측을 상방, 핸들(11c)을 앞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의 좌측 및 우측을 좌방향 및 우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체부(11a)는 전방 개구부(11a1)를 갖는 원통형의 하우징 부분으로 외곽이 구성되어 있고, 그 전방 개구부(11a1)에는 격자상의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1a)의 상면에는 끼워 맞춤 볼록부(11ax)가 형성됨과 함께, 끼워 맞춤 볼록부(11ax)의 상면에는 본체부(11a) 내의 리드선을 외부로 인출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1a)에 있어서, 전방 개구부(11a1)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내부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 플랜지의 하부는 폭이 넓은 내부 플랜지 광폭부(11a11)로 되어 있다.
또한, 내부 플랜지 광폭부(11a11)에는 후술하는 더스트 컵 유닛(12)에 설치된 제2 로크 기구부(12b2)의 걸림 지지 오목부(12c11) 및 걸림 결합 갈고리(12b23)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지지하는 걸림 지지 볼록부(11a12) 및 걸림 결합 오목부(11a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 지지 볼록부(11a12)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걸림 결합 오목부(11a13)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11b)는 하방 및 후방으로 개구되고 또한 안측부에 배터리(13)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단자부가 설치된 오목부를 갖고, 그 오목부 내에 후방으로부터 배터리(13)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배터리(13)를 후방으로 인출하여 오목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부(11b)의 오목부의 좌우 내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홈이 형성됨과 함께, 배터리(13)의 좌우 측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13)를 배터리 장착부(11b)로 장착할 때에 좌우의 볼록부가 좌우의 오목 홈 내를 슬라이드하면서 끼워 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부(11b)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우측면에는, 전동 송풍기(11am)를 통과한 기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1bx)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핸들(11c)은 상부 만곡부(11c1) 및 하부 만곡부(11c2)를 갖는 대략 U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만곡부(11c1)의 외측에 조작부(11e)가 설치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11e)는 핸들(11c)의 상부 만곡부(11c1)를 구성하는 수지제의 하우징에 형성된 오목부(11e1)와, 오목부(11e1)의 외측에 설치된 탄성 재료(고무, 엘라스토머 등)를 포함하는 패드부(11e2)와, 오목부(11e1)의 내측(하우징 내)에 설치된 스위치 유닛(11e3)을 갖는다.
조작부(11e)에 있어서, 오목부(11e1)의 중앙부에는 볼록형 리브(11e11)가 설치됨과 함께, 볼록형 리브(11e11)의 전후 위치에는 한 쌍의 U형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U형 슬릿의 내측 영역이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부(11e12)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한 쌍의 판 스프링부(11e12)의 하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1e1)에 있어서의 한 쌍의 U형 슬릿보다도 전후 위치에는, 후술하는 패드부(11e2)의 전후 한 쌍의 삽입 걸림 지지편(11e24)이 삽입되는 걸림 지지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패드부(11e2)는 그 상면측에 있어서, 중앙부(11e21)의 전후 위치에 오목부(11e22, 11e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드부(11e2)는 그 하면측에 있어서, 중앙부(11e21)의 대응 위치와 한 쌍의 오목부(11e22, 11e23)의 대응 위치에 볼록부가 형성됨과 함께, 그들 볼록부의 전후 위치에 한 쌍의 상기 삽입 걸림 지지편(11e24)이 설치되어 있다. 중앙부(11e21)는 볼록형 리브(11e11)에 맞닿고, 전후의 오목부(11e22, 11e23)는 판 스프링부(11e12)와 맞닿는다.
스위치 유닛(11e3)은, 핸들(11c)은 상부 만곡부(11c1) 내에 설치된 리브 구조로 지지 고정된 회로 기판(11e31)과, 회로 기판(11e31)에 설치된 전후 한 쌍의 스위치(11e32, 11e33)를 갖는다.
이 조작부(11e)에 있어서, 회로 기판(11e31)은 다음의 조작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방의 스위치(11e32) 또는 후방의 스위치(11e33)를 누름으로써 전원이 온으로 된다. 그 후, 전방의 스위치(11e32)를 1회 누르면 강 모드가 되고, 2회 누르면 표준 모드로 전환되고, 3회 이후는 이들을 반복한다. 전원이 온으로 된 상태에서 후방의 스위치(11e33)를 누르면 전원이 오프로 된다.
조작부(11e)에 의한 조작 시에 있어서, 유저가 손가락으로 패드부(11e2)의 앞 또는 뒤의 오목부(11e22, 11e23)를 누르면, 판 스프링부(11e12)를 통해 앞 또는 뒤의 스위치(11e32, 11e33)가 눌린다. 그러나, 청소 중에 유저가 패드부(11e2)를 꽉 쥐어도, 패드부(11e2)의 전후의 오목부(11e22, 11e23) 사이의 중앙부(11e21)는 돌출되고 또한 볼록형 리브(11e11)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손바닥으로 전후의 오목부(11e22, 11e23)가 압입되는 일은 없고,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오조작이 억제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 통부(11d)와 핸들(11e)은 후술하는 제1, 제2 및 제3 부재(11x, 11y, 11z)를 조립하여 구성된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재(11x)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고, 로크 부재(11x1) 및 훅 부재(11x2) 등을 수납하는 오목부를 전단부에 가짐과 함께, 본체부(11a)의 상기 끼워 맞춤 볼록부(11ax)가 끼워 넣어지는 끼워 맞춤 구멍부(11x3)를 후단부에 갖는다.
로크 부재(11x1)는 수평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제1 부재(11x)에 설치되어 있고, 조립 상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11x)의 전단부는 제1 부재(11x)에 형성된 구멍부로부터 외부 하방으로 돌출되는 누름 버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로크 부재(11x)의 후단부는 흡입 통부(11d)의 전방 개구부(11d1)에 연장관(20)이 삽입되었을 때에, 연장관(20)의 후술하는 제1 접속관부(22)의 걸림 결합 오목부(22a31)(도 9의 (A) 내지 (C) 참조)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11x11)로서 기능한다. 또한, 조립 상태에 있어서, 제1 부재(11x)와 제2 부재(11y) 사이에는 로크 부재(11x)의 전단부를 하방(외측)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훅 부재(11x2)는 청소기 본체(10)에 장착한 더스트 컵 유닛(12)의 후술하는 걸림 지지 오목부(12a21)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지지하는 부재이고, 제1 부재(11x)에 형성된 구멍부로부터 하방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부재(11x)는 전후 방향의 중간부의 좌측면에, 제2 부재(11y)의 후술하는 유출구(11y11)와 접속되는 접속구(11x4)를 가짐과 함께, 후단부의 하면측에는 청소기 본체(10)에 장착된 더스트 컵 유닛(12)의 후술하는 제1 로크 기구부(12b1)를 수납하는 오목부 및 위치 결정 볼록부(12c21)가 끼워 넣어지는 오목부(11x12)를 갖고 있다.
제2 부재(11y)는 상기 전방 개구부(11d1)와 상기 유출구(11y11)를 연통시키는 전방 통부(11y1)와, 전방 통부(11y1)와 연설된 중간 리브 구조부(11y2)와, 중간 리브 구조부(11y2)와 연설되고 핸들(11c)의 내측 부분을 구성하는 내측 핸들 구성부(11y3)를 갖는다. 또한, 전방 통부(11y1)의 하면측 전단부에는, 본체부(11a)로부터 인출된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암형 단자부(11y12)가 형성됨과 함께, 내측 핸들 구성부(11y3)의 만곡된 중간부에는 상기 조작부(11e)의 스위치 유닛(11e3)이 수납되어 있다.
제3 부재(11z)는 상기 중간 리브 구조부(11y2) 및 내측 핸들 구성부(11y3)를 덮는 부재이고, 중간부 부분에는 상기 조작부(11e)의 패드부(11e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부(11b)의 후방부에는 제2 및 제3 부재(11y, 11z)의 후단부와 연결하는 연결부(11b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11b1)는 고정 돌출부(11b11)와, 고정 돌출부(11b11)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11b12)를 갖고 이루어진다. 누름부(11b12)는 배터리(13)를 제거할 때에 조작한다.
제1 내지 제3 부재(11x, 11y, 11z)를 조립하는 일례를 설명하면, 우선, 제1 부재(11x)의 끼워 맞춤 구멍부(11x3)를 본체부(11a)의 끼워 맞춤 볼록부(11ax)에 끼워 넣는다.
이어서, 본체부(11a)로부터 인출한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리드선을 제2 부재(11y)의 한 쌍의 암형 단자부(11y1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그 한 쌍의 암형 단자부(11y12)를 제2 부재(11y)의 전단부에 설치한 후, 제2 부재(11y)를 제1 부재(11x)에 중첩한다. 이에 의해, 제1 부재(11x)의 접속구(11x4)에 제2 부재(11y)의 유출구(11y11)가 접속됨과 함께, 제2 부재(11y)의 후단부가 연결부(11b1)의 고정 돌출부(11b11)에 맞닿는다.
그리고, 중첩한 제1 및 제2 부재(11x, 11y)를 초음파 용착기에 세트하고, 제1 부재(11x)의 전단부의 좌우 단부 테두리(11xe)와 제2 부재(11y)의 전방 통부(11y1)의 좌우 단부 테두리(11ye)를 초음파 용착한다. 또한, 도 2 중의 부호 11w는 용착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부재(11x) 및 제2 부재(11y)의 일부를 초음파 용착함으로써, 탭핑 나사에 의한 연결 구조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삭감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부재(11x, 11y)는, 예를 들어 ABS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연결부(11b1)의 누름부(11b12)를 제2 부재(11y)측으로 요동한 후, 제3 부재(11z)를 제2 부재(11y)에 중첩한다. 이에 의해, 제3 부재(11z)의 후단부에 의해 누름부(11b12)가 눌린다.
그리고, 탭핑 나사 N으로 제3 부재(11z)와 제2 부재(11y)를 연결함으로써, 제2 및 제3 부재(11y, 11z)의 후단부가 연결부(11b1)와 연결되고, 핸들(11c) 및 흡입 통부(11d)가 형성된다.
이 청소기 본체(10)에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를 중단하고 전기 청소기(1)를 바닥면 F 위에 둘 수 있도록, 청소기 본체(1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1f)가 배터리 장착부(11b)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11f)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경질 고무가 사용된다.
이 지지 부재(11f)는 측면측에서 볼 때, 하단부가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정면측에서 볼 때, 하단면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A)의 상태의 전기 청소기(1)의 연장관(20)의 하방에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연장관(20)의 바로 위로부터 힘을 가하면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지지 부재(11f)의 하단면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연장관(20)의 바로 위로부터 힘을 가하면 밸런스를 무너뜨려 쓰러지고, 도 6의 (B)와 같이 눕혀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연장관(20)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청소를 중단할 때에는, 전기 청소기(1)를 바닥면 F 위에 두지 않고, 지지 부재(11f)를 테이블의 천장판이나 의자의 등받이에 걸어 전기 청소기(1)를 기대도록 둘 수도 있다.
도 7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8의 (A)는 구동 장치의 좌측면도이고, (B)는 청소기 본체의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9의 (A)는 도 A의 (A)에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B)는 도 A의 (B)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구동 장치(11)의 구성 부품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우선, 구동 장치(11)의 본체부(11a)는 전동 송풍기(11am)를 수납하는 좌우 한 쌍의 전동 송풍기용 커버(11ac1, 11ac2)를 구비한다.
좌측의 전동 송풍기용 커버(11ac1)의 전단부에는 본체부(11a)의 상기 전방 개구부(11a1)가 일체 형성됨과 함께, 각 전동 송풍기용 커버(11ac1, 11ac2)의 상부에는 상기 끼워 맞춤 볼록부(11ax)의 반할부(11ax1)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개구부(11a1)에는 상기 걸림 지지 볼록부(11a12)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부(11a) 내에는 전동 송풍기(11am)의 후단부를 좌우 한 쌍의 전동 송풍기용 커버(11ac1, 11ac2)에 고정하는 한 쌍의 방진용 고무(11ac3)와, 전동 송풍기(11am)의 전단부와 전방 개구부(11a1)의 외주부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11ac4)이 설치된다.
이어서, 구동 장치(11)의 배터리 장착부(11b)는 본체부(11a)의 하부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배터리 장착부용 하우징(11bc1, 11bc2)을 구비한다.
우측의 배터리 장착부용 하우징(11bc2)의 측면에는 상기 배기구(11bx)가 형성됨과 함께, 각 배터리 장착부용 하우징(11bc1, 11bc2)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11f)의 심재가 되는 한 쌍의 반할부(11bc3) 및 상기 고정 돌출부(11b11)의 한 쌍의 반할부(11bc4)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배터리 장착부용 하우징(11bc1, 11bc2)을 조립할 때에 한 쌍의 반할부(11bc4)에 상기 누름부(11b12)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조립 후의 한 쌍의 반할부(11bc3) 위에 상기 지지 부재(11f)가 덮도록 설치된다. 이때, 지지 부재(11f)를 러버제로 하여 덮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접착제로 부착해도 된다.
또한, 각 배터리 장착부용 하우징(11bc1, 11bc2)은 그들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서 구획판(11bc5)이 연설됨과 함께, 그들의 측벽 하단부에는 배터리(13)의 좌우 측면의 볼록부(13b)를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오목 홈을 형성하는 하단 측벽부(11bc6)가 연설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부(11b) 내에는 배터리(13)의 단자부(13a)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단자부(11bc8)를 갖는 회로 기판(11bc7)이다.
구동 장치(11)의 핸들(11c) 및 흡입 통부(11d)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부재(11x, 11y, 11z)를 구비한다.
제1 부재(11x) 내에는 전기 청소기(1)의 운전 시 및 흡입력이 강일 때에 점등하는 복수의 LED 라이트를 갖는 LED 기판(11xs)이 설치된다.
또한, 제1 부재(11x)에는 제2 부재(11y)의 유출구(11y11)와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유출구에 패킹(11xp)이 설치됨과 함께, 그 전단측에 상기 로크 부재(11x1) 및 훅 부재(11x2)가 설치된다.
또한, 흡입 통부(11d)의 유출구의 후방에 형성된 오목부(11x12) 내에는 필터 장착 잊음 방지 부재(11x5)가 전후 방향의 축심 Q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도 4, 도 9의 (A) 참조). 이 필터 장착 잊음 방지 부재(11x5)(이하, 「장착 잊음 방지 부재(11x5)」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필터부(12c)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더스트 컵 유닛(12)을 구동 장치(11)의 본체부(11a)에 장착하려고 해도 장착할 수 없도록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것에 대하여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더스트 컵 유닛]
도 10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더스트 컵이며, (A)는 사시도, (B)는 분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더스트 컵이며, (A)는 정면도, (B)는 (A)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C)는 (A)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는 더스트 컵 유닛이며, (A)는 하부의 평단면도, (B)는 측단면도이다.
더스트 컵 유닛(12)은 저부(12a1), 외주부(12a2) 및 개구부(12a3)를 갖는 원통형의 집진 용기(12a)와, 집진 용기(12a)의 개구부(12a3)에 끼워 넣어지는 컵부(12b)와, 컵부(12b)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필터부(12c)와, 집진 용기(12a) 내에 수납되도록 컵부(12b)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통부(12d)를 구비한다.
《집진 용기》
집진 용기(12a)는 정면에서 볼 때, 외주부(12a2)에 있어서의 중심선 P 위의 저부(12a1)측에 걸림 지지 오목부(12a21)가 형성됨과 함께, 외주부(12a2)에 있어서의 중심선 P 위의 개구부(12a3)측에 걸림 지지 볼록부(12a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집진 용기(12a)는 정면에서 볼 때, 외주부(12a2)에 있어서의 중심선 P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구(12a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진 용기(12a)는 저부(12a1)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사각뿔형의 볼록부(12a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2a4)는 집진 용기(12a) 내의 하부 스페이스(집진 용기(12a)와 내통부(12d)의 후술하는 소직경 통부(12d21) 사이의 스페이스)에 고인 더스트가 선회 기류에 의해 선회하지 않도록 멈추는 기능을 갖는다.
《컵부》
컵부(12b)는 중심 구멍 및 그 주위의 역테이퍼면을 갖는 저부와, 저부에 연설된 원통형의 외주부와, 외주부에 설치된 제1 로크 기구부(12b1) 및 제2 로크 기구부(12b2)와, 저부 하면에 있어서의 중심 구멍의 주위에 형성된 한 쌍의 원호상 홈(12b3)과, 외주부에 있어서의 저부 부근에 설치된 패킹(12b4)과, 외주부에 있어서의 저부와 반대측의 개구 단부에 형성된 절결부(12b5)를 갖는다.
또한, 컵부(12b)는 외주면에 있어서의 절결부(12b5)의 횡위치에 형성된 검지 볼록부(12b6)를 갖고 있다. 이 검지 볼록부(12b6)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제1 로크 기구부(12b1)는 컵부(12b)의 외주면에 설치된 역U형의 리브와, 이 리브에 수평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요동편(12b11)과, 요동편(12b11)의 하단에 설치되고 집진 용기(12a)의 걸림 지지 볼록부(12a22)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지지하는 걸림 지지 갈고리(12b12)와, 걸림 지지 갈고리(12b12)를 걸림 지지 볼록부(12a22)에 걸림 지지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2b13)을 갖는다.
제2 로크 기구부(12b2)는 컵부(12b)의 외주면에 설치된 볼록형의 리브와, 이 리브에 상하 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12b21)와, 슬라이드 부재(12b21)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청소기 본체(10)의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11a13)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는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12b22)와, 걸림 결합 갈고리(12b22)를 걸림 결합 오목부(11a13)에 걸림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2b23)을 갖는다.
또한, 제2 로크 기구부(12b2)는 후술하는 필터부(12c)에 설치된 상기 걸림 지지 오목부(12c11)를 구성 요소로서 포함한다.
《필터부》
필터부(12c)는 원환상의 외주 프레임부를 갖는 플리트상의 필터 본체(12c1)와, 필터 본체(12c1)의 외주 프레임부의 외주부를 덮는 패킹부(12c2)를 갖는다. 그리고, 필터 본체(12c1)의 외주 프레임부의 내주면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개구하는 상기 걸림 지지 오목부(12c11)가 형성됨과 함께, 패킹부(12c2)의 외주면에 위치 결정 볼록부(12c2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지지 오목부(12c11)와 위치 결정 볼록부(12c21)는 서로 대략 반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부(12c)를 컵부(12b)의 개구부에 끼워 넣을 때, 필터부(12c)의 위치 결정 볼록부(12c21)를 컵부(12b)의 절결부(12b5)에 떨어뜨려 위치 결정한다. 그러면, 필터부(12c)의 걸림 지지 오목부(12c11)는 컵부(12b)의 제2 로크 기구부(12b2)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패킹부(12c2)는 컵부(12b)의 개구부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하여 지지된다.
《내통부》
내통부(12d)는 컵부(12b)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통형 필터부(12d1)와, 통형 필터부(12d1)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통형의 구획 부재(12d2)를 갖는다.
통형 필터부(12d1)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을 갖는 통형 프레임체(12d11)와, 통형 프레임체(12d11)의 외주부에 설치된 메쉬 부재(12d12)를 갖는다.
통형 프레임체(12d11)는 그 외주부 상단에 설치되고 컵부(12b)의 한 쌍의 원호상 홈(12b3)과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지지하는 한 쌍의 걸림 지지편(12d111)과, 그 외주부 하단에 설치되고 구획 부재(12d2)의 후술하는 한 쌍의 원호상 홈(12d231)과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지지하는 한 쌍의 걸림 지지편(12d112)을 갖는다.
구획 부재(12d2)는 소직경 통부(12d21)와, 대직경 통부(12d22)와, 소직경 통부(12d21)의 상단부와 대직경 통부(12d22)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플랜지부(12d23)를 갖는다.
플랜지부(12d23)는 그 상면에 설치되고 통형 필터부(12d1)의 하단부의 한 쌍의 걸림 지지편(12d112)과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지지하는 한 쌍의 상기 원호상 홈(12d231)을 갖는다.
도 1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직경 통부(12d22)는 그 하단에 외부 플랜지(12d221)를 갖고 있다. 이 외부 플랜지(12d221)는 평면에서 볼 때 타원형이고, 타원형인 것에 의해 외부 플랜지(12d221)와 집진 용기(12a) 사이의 간극을 균등하게 하지 않고, 좁은 간극 S1과 넓은 간극 S2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집진 용기(12a)의 하부에 고인 더스트가 선회 기류 G에 의해 날아오르고, 날아오른 더스트가 내통부(12d)의 통형 필터부(12d1)에 부착함으로써 발생하는 흡인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집진 용기(12a)의 저부(12a1)에는 더스트의 선회를 방지하는 상기 볼록부(12a4)를 형성하고 있지만, 구획 부재(12d2)의 플랜지부(12d23)로부터 집진 용기(12a)의 저부(12a1)까지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외부 플랜지(12d221)가 없는 경우, 볼록부(12a4)에 닿은 더스트가 구획 부재(12d2)보다 위의 통형 필터부(12d1)까지 날아올라 부착되고, 흡인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획 부재(12d2)의 하단에 외부 플랜지(12d221)를 설치하여 더스트가 상방으로 날아오르기 어려워지도록 하고 있다.
단, 외부 플랜지(12d221)의 외주면으로부터 집진 용기(12a)의 내주면까지의 사이의 간극이 지나치게 작으면, 흡인한 큰 더스트가 외부 플랜지(12d221)보다 하방으로 침입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간극을 균등하게 하지 않고, 볼록부(12a4)에 닿은 더스트가 날아오르기 쉬운 개소에는 상기 좁은 간극 S1을 형성하고, 더스트가 날아오르기 어려운 개소에는 상기 넓은 간극 S2를 형성하여 큰 더스트가 낙하할 수 있도록, 외부 플랜지(12d221)를 타원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외부 플랜지(12d221)의 긴 직경 D1을 61㎜, 짧은 직경 D2를 57㎜, 좁은 간극 S1을 6㎜, 넓은 간극 S2를 8㎜로 설정하고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볼록부(12a4)는 1개소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래, 좁은 간극 S1도 1개소로 충분하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구획 부재(12d2)와 통형 필터부(12d1)는, 탈착 가능하고 원호상 홈과 걸림 지지편에 의해 걸림 지지하는 구조를 갖고 있고, 이 걸림 구조는 180도의 반대측으로 회전해도 걸림 지지할 수 있는 로크 기구를 갖고 있기 때문에, 통형 필터부(12d1)에 대한 구획 부재(12d2)의 걸림 지지 위치에 따라서는 1개소의 좁은 간극 S1이 더스트가 날아오르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 좁은 간극 S1도 마찬가지로 180도의 반대측에도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구획 부재(12d2)가 통형 필터부(12d1)에 대하여 180도의 어느 쪽에 걸림 지지되어도, 볼록부(12a4)에 대한 좁은 간극 S1의 위치는 동일해지도록, 즉, 한 쌍의 좁은 간극 S1 중 한쪽은 반드시 더스트가 날아오르기 쉬운 위치가 되도록, 외부 플랜지(12d221)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스트 컵 유닛(12)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구획 부재(12d2)의 소직경 통부(12d21)는 집진 용기(12a)의 내부 저면에 설치된 위치 결정 통부(12a24)에 끼워 넣음과 함께, 위치 결정 통부(12a24)의 주위에 설치된 패킹(12a25)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 있어서, 집진 용기(12a) 내에는 구획 부재(12d2)의 대직경 통부(12d22)의 하방에 더스트의 덩어리가 고이는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구동 장치에 대한 더스트 컵 유닛의 탈착에 대하여]
도 9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장치(11)의 상기 장착 잊음 방지 부재(11x5)는 전후 방향의 축심 Q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흡입 통부(11d)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 잊음 방지 부재(11x5)는 구동 장치(11)에 더스트 컵 유닛(12)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9의 (A)]에 있어서, 흡입 통부(11d)로부터 하방 외부로 돌출되는 제1 맞닿음부(11x51) 및 흡입 통부(11d) 내에 수납되는 제2 맞닿음부(11x52)를 갖고 있다.
더스트 컵 유닛(12)(필터부(12c) 있음)을 청소기 본체(10)에 장착할 때는, 먼저, 더스트 컵 유닛(12)을 흡입 통부(11d)에 대하여 기울인 상태로 더스트 컵 유닛(12)의 걸림 지지 오목부(12a21)를 청소기 본체(10)의 훅 부재(11x2)에 걸리게 한다. 그리고, 훅 부재(11x2)를 지지점으로 하여 더스트 컵 유닛(12)을 흡입 통부(11d)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해 감으로써, 더스트 컵 유닛(12)의 걸림 지지 오목부(12c11)에 청소기 본체(10)의 걸림 지지 볼록부(11a12)가 걸림 지지됨과 함께, 더스트 컵 유닛(12)의 제2 로크 기구부(12b2)의 걸림 결합 갈고리(12b22)가 구동 장치(11)의 걸림 결합 오목부(11a13)에 걸림 결합하고,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도 9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부(12c)의 위치 결정 볼록부(12c21)가 장착 잊음 방지 부재(11x5)의 제1 맞닿음부(11x51)에 맞닿고 제1 맞닿음부(11x51)를 오목부(11x12) 내에 압입해 가고, 그것에 의해 장착 잊음 방지 부재(11x5)가 회동하고, 제2 맞닿음부(11x52)도 회동하면서 하방 외부로 돌출된다. 그러나, 제1 맞닿음부(11x51)가 오목부(11x12) 내의 안측까지 압입됨으로써, 제2 맞닿음부(11x52)는 장착 잊음 방지 부재(11x5) 쪽으로 가까워지면서 다시 오목부(11x12) 내에 수납된다. 이 사이, 더스트 컵 유닛(12)의 검지 볼록부(12b6)도 오목부(11x12)쪽으로 이동하고 있고, 검지 볼록부(12b6)는 제2 맞닿음부(11x52)를 피하면서 오목부(11x12) 내에 수납된다.
더스트 컵 유닛(12)을 청소기 본체(10)로부터 제거할 때는, 제2 로크 기구부(12b2)의 슬라이드 부재(12b21)를 밀어 내린 상태로 훅 부재(11x2)를 지지점으로 하여 더스트 컵 유닛(12)을 흡입 통부(11d)에 대하여 기울여 감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서, 필터부(12c)가 컵부(12b)에 내장되어 있지 않은 더스트 컵 유닛을 구동 장치(11)에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필터부(12c)를 컵부(12b)에 내장하는 것을 잊은 채 더스트 컵 유닛을 구동 장치(11)에 장착하려고 하면, 상기와 같이 필터부(12c)의 위치 결정 볼록부(12c21)가 장착 잊음 방지 부재(11x5)의 제1 맞닿음부(11x51)에 맞닿고 제1 맞닿음부(11x51)를 오목부(11x12) 내에 압입할 수 없고, 컵부(12b)의 절결부(12b5)(도 10의 (B) 참조)가 제1 맞닿음부(11x51)에 접근한다. 그러면, 컵부(12b)의 검지 볼록부(12b6)가 장착 잊음 방지 부재(11x5)의 제2 맞닿음부(11x52)에 맞닿고 제2 맞닿음부(11x52)를 오목부(11x12) 내에 압입하려고 한다.
이때, 검지 볼록부(12b6)는 제2 맞닿음부(11x52)를 제1 맞닿음부(11x51)측과 반대측으로 회동시키려고 하지만, 제2 맞닿음부(11x52)는 오목부(11x12)를 구성하는 측벽에 닿아 회동이 저지된다. 이에 의해, 컵부(12b)가 그 이상 흡입 통부(11d)의 쪽으로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더스트 컵 유닛의 제2 로크 기구부(12b2)의 걸림 결합 갈고리(12b22)가 구동 장치(11)의 걸림 결합 오목부(11a13)에 걸림 결합하여 로크할 수 없고, 더스트 컵 유닛(필터부(12c) 없음)을 구동 장치(11)에 장착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유저는 더스트 컵 유닛에 필터부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 청소기에 의하면, 필터 장착 잊음을 유저에게 알아차리게 하여 올바른 전기 청소기의 사용을 촉진함과 함께, 필터부를 갖지 않은 상태로 전기 청소기를 구동시켜, 더스트를 흡입한 구동 장치가 고장난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연장관의 구조에 대하여>
도 13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연장관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A)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3의 (A)의 연장관의 분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A)의 연장관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접속관부의 정면측에서 본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A)의 연장관에 있어서의 관 본체의 횡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3의 (A)의 연장관에 있어서의 관 본체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연장관(20)은 원형의 관 본체(21)와, 관 본체(2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청소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통형의 제1 접속관부(22)와, 관 본체(21)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흡입구체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통형의 제2 접속관부(23)와, 제1 접속관부(22)로부터 제2 접속관부(23)에 걸쳐서 설치된 도전 유닛(24)을 구비한다.
[관 본체]
관 본체(21)는 통형 탄소 섬유층(21a)이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파이프상(본체 파이프(21))이다. 실시 형태 1의 경우, 복수 적층한 통형 탄소 섬유층(21a)은 제1 통형 탄소 섬유층(21a1), 제2 통형 탄소 섬유층(21a2) 및 제3 통형 탄소 섬유층(21a3)이 내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제3 통형 탄소 섬유층(21a3)의 외주면에는 최외층으로서 수지 코팅층(21b)이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 카본으로서 가공한다. 드라이 카본은 내부를 고압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내압성의 장치를 사용하여, 가압 가능한 가마에서 성형하는 것이다.
제1 통형 탄소 섬유층(21a1)은 관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탄소 섬유를 갖는 1방향 탄소 섬유 시트를 포함한다.
제2 통형 탄소 섬유층(21a2) 및 제3 통형 탄소 섬유층(21a3)은 복수의 탄소 섬유의 경사 및 위사를 갖는 2방향 탄소 섬유 시트를 포함한다.
1방향 탄소 섬유 시트 및 2방향 탄소 섬유 시트로서는, 탄소 섬유 사이에 미리 수지가 함침된 시판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탄소 섬유는, 경사 및 위사 이외에, 경사 방향과 같이 크로스한 실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한 것이나 경사 및 위사 등의 조합을 자유롭게 재조합해도 된다.
관 본체(21)는 시판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사용하여 제1 내지 제3 통형 탄소 섬유층(21a1 내지 21a3)을 1층씩 형을 사용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성형하여 적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막대와 같은 축 막대에 감는 방법이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경우, 형성 후의 관 본체(21)의 양단부의 대향 위치에, 제1 및 제2 접속관부(22, 23)와의 접속 위치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작은 절결부(21n)가 절삭에 의해 형성된다.
관 본체(21)에 있어서, 제1 통형 탄소 섬유층(21a1)의 두께 T1은 약 0.1㎜이고, 제2 및 제1 통형 탄소 섬유층(21a1)의 두께 T2, T3은 각각 약 0.3㎜이고, 수지 코팅층(21b)의 두께 T4는 약 0.1㎜이고, 전체적인 두께 T5는 약 0.8㎜이다. 또한, 제1 내지 제3 통형 탄소 섬유층(21a1 내지 21a3)의 두께는, 그들의 형성 시에 사용한 1방향 및 2방향 탄소 섬유 시트의 두께에서 유래한다.
또한, 각 통형 탄소 섬유층(21a)은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부를 가짐과 함께, 이 양단부의 단부면끼리가 맞닿은 단부면 맞닿음부(21ax)를 갖는다. 또한, 단부면 맞닿음부(21ax)는 각 통형 탄소 섬유층(21a)의 형성 시에 사용한 1방향 및 2방향 탄소 섬유 시트의 양단부의 단부면끼리가 융착한 부분이다.
관 본체(21)에 있어서, 하나의 통형 탄소 섬유층(21a)의 단부면 맞닿음부(21ax)와 인접하는 다른 통형 탄소 섬유층(21a)의 단부면 맞닿음부(21ax)는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의 경우, 각 맞닿음 단부면부(21ax)는 중심 각도 120°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맞닿음 단부면부(21ax)의 위치를 주위 방향으로 균등하게 어긋나게 함으로써, 관 본체에 강성의 강약 부분을 만들지 않고 균일화할 수 있다.
각 통형 탄소 섬유층(21a)은 각각 단부면 맞닿음부(21ax)를 갖기 때문에, 각 통형 탄소 섬유층(21a)은 단차가 없는 균일한 두께의 층이 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관 본체의 제조 시에 금속 막대에 탄소 섬유 시트를 단순히 3겹 감은 경우에는, 1겹 감기의 종단부와 2겹 감기의 시단부 사이 및 2겹 감기의 종단부와 3겹 감기의 시단부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지만, 실시 형태 1의 관 본체(21)에서는 제1 내지 제3 통형 탄소 섬유층(21a1 내지 21a3)의 3층이 독립된 층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관 본체(21)는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강성을 갖는 것이 된다.
[제1 접속관부]
제1 접속관부(22)는 청소기 본체(10)와 접속되는 부분이고, 접속관 본체(22a)와, 소편(22b)과, (제1) 커버 부재(22c)를 갖는다.
접속관 본체(22a)는 관 본체(21)의 일단부 내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는 (제1) 고정부(22a1)와, 고정부(22a1)에 연설되어 도전 유닛(24)의 후술하는 한 쌍의 수형 단자부(24a2)를 유지하는 (제1) 단자 유지부(22a2)와, 단자 유지부(22a2)에 연 설되어 청소기 본체(10)의 전방 개구부(11d1)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22a3)를 갖는다.
고정부(22a1)는, 도전 유닛(24)의 후술하는 지지 플레이트(24b)의 일단부를 받는 한 쌍의 받침편(22a11)을 내주면에 가짐과 함께, 관 본체(21)의 한쪽의 절결부(21n)와 걸림 결합하는 위치 결정 볼록부(22a12)를 외주면에 있어서의 단자 유지부(22a2)와의 경계부에 갖고 있다.
단자 유지부(22a2)는 그 외주면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볼록부(22a12)측에 오목부를 갖고, 그 오목부에 도전 유닛(24)의 한 쌍의 수형 단자부(24a2) 및 리드선(24a1)을 내부로부터 외부로 삽입 관통시키는 (제1) 인출구(22a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유지부(22a2)의 오목부에는 한 쌍의 수형 단자부(24a2)를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유지하는 리브 구조(22a22)와, 커버 부재(22c)를 설치하는 탭핑 나사(22d)가 비틀어 넣어지는 보스부(22a23)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22a3)는 그 외주면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볼록부(22a12)측에, 청소기 본체(10)의 상기 로크 부재(11x1)의 걸림 결합 갈고리(11x11)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오목부(22a31)를 갖는다.
소편(22b)은 한 쌍의 리드선(24a1)이 삽입 관통한 접속관 본체(22a)의 인출구(22a21)를 덮는 부재이고, 전기 청소기(1)의 사용 시에 연장관(20) 내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진애가 인출구(22a21)로부터 수형 단자부(24a2)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기능함과 함께, 수형 단자부(24a2)를 보호하고 있다.
커버 부재(22c)는 탭핑 나사(22d)를 보스부(22a23)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접속관 본체(22a)의 단자 유지부(22a2)의 오목부를 덮고, 또한 소편(22b)을 압박하여 접속관 본체(22a)에 고정한다.
[제2 접속관부]
제2 접속관부(23)는 흡입구체(40)와 접속되는 부분이고, 접속관 본체(23a)와, 소편(23b)과, 로크 부재(23c)와, 코일 스프링(23d)과, (제2) 커버 부재(23e)를 갖는다.
접속관 본체(23a)는 관 본체(21)의 타단부 내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는 (제2) 고정부(23a1)와, 고정부(23a1)에 연설되어 도전 유닛(24)의 후술하는 한 쌍의 암형 단자부(24a3)를 유지하는 (제2) 단자 유지부(23a2)를 갖는다.
고정부(23a1)는 도전 유닛(24)의 지지 플레이트(24b)의 타단부를 받는 한 쌍의 받침편(도시 생략)을 내주면에 가짐과 함께, 관 본체(21)의 다른 쪽의 절결부(21n)와 걸림 결합하는 위치 결정 볼록부(23a12)를 외주면에 있어서의 단자 유지부(23a2)와의 경계부에 갖고 있다.
단자 유지부(23a2)는 그 외주면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볼록부(23a12)측에 오목부를 갖고, 그 오목부에 도전 유닛(24)의 한 쌍의 암형 단자부(24a3) 및 리드선(24a1)을 내부로부터 외부로 삽입 관통시키는 (제2) 인출구(23a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유지부(23a2)의 오목부에는 한 쌍의 암형 단자부(24a3)를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유지하는 리브 구조(23a22)와, 커버 부재(23e)를 설치하는 탭핑 나사(22f)가 비틀어 넣어지는 보스부(23a23)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23c)는 축부(23c1)와, 축부(23c1)를 끼우도록 연설된 버튼부(23c2) 및 걸림 지지 갈고리부(23c3)를 갖고, 단자 유지부(23a2)의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축부(23c1)는 리브 구조(23a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걸림 지지 갈고리부(23c3)는 접속관 본체(23a)의 오목부 저면에 형성된 구멍부로부터 접속관 본체(23a) 내에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3d)은 로크 부재(23c)의 버튼부(23c2)를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접속관 본체(23a)의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있다.
소편(23b)은 한 쌍의 리드선(24a1)이 삽입 관통한 접속관 본체(23a)의 인출구(23a21)를 덮는 부재이고, 전기 청소기(1)의 사용 시에 연장관(20) 내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진애가 인출구(23a21)로부터 암형 단자부(24a3)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기능함과 함께, 암형 단자부(24a3)를 보호하고 있다.
커버 부재(23e)는 로크 부재(23c)의 버튼부(23c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멍부(23e1)를 갖고 있다. 이 커버 부재(23e)는 탭핑 나사(22f)를 보스부(23a23)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접속관 본체(23a)의 단자 유지부(23a2)의 오목부를 덮고, 소편(23b)을 압박하여 접속관 본체(23a)에 고정함과 함께, 로크 부재(23c)가 탈락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전 유닛]
도 18은 도 13의 (A)의 연장관에 있어서의 도전 유닛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또한, 도 19는 도 18의 (A)의 도전 유닛의 분해도이다. 또한, 도 20의 (A)는 도 18의 (A)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B)는 도 18의 (A)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C)는 도 18의 (A)의 II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1은 도 18의 (A)의 도전 유닛에 있어서의 커버 플레이트 내의 리드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는 도 13의 (A)의 연장관에 있어서의 제1 접속관부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20의 (A) 및 (C)의 단면도는 후술하는 돌출편(24c2)의 위치의 단면이다.
도전 유닛(24)은 한 쌍의 도전 케이블(24a)과, 한 쌍의 도전 케이블(24a)을 수납하는 길고 가는 중공 플레이트(24x)를 구비한다.
중공 플레이트(24x)는 한 쌍의 도전 케이블(24a)을 끼워넣도록 수납하는 지지 플레이트(24b) 및 커버 플레이트(24c)를 갖고 이루어지고, 이들은 도전 유닛(24)의 조립 시에 초음파 용착에 의해 일체화된다. 또한, 접착제로 일체화해도 된다.
한 쌍의 도전 케이블(24a) 및 지지 플레이트(24b)는 관 본체(21)보다도 긴 길이를 갖고, 한 쌍의 도전 케이블(24a)은 지지 플레이트(24b)보다도 긴 길이를 갖고, 지지 플레이트(24b)는 커버 플레이트(24c)보다도 긴 길이를 갖고 있다.
각 도전 케이블(24a)은 절연성의 튜브로 피복된 리드선(24a1)과, 리드선(24a1)의 양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핀형의 수형 단자부(24a2) 및 클립형의 암형 단자부(24a3)를 갖는다.
연장관(20)을 청소기 본체(10) 및 흡입구체(40)에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 연장관(20)의 수형 단자부(24a2)는 청소기 본체(10)의 암형 단자부(11y12)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연장관(20)의 암형 단자부(24a3)에 흡입구체(40)의 후술하는 수형 단자부(42a)(도 23 참조)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지지 플레이트(24b)는 오목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24b1)와, 베이스부(24b1)의 양측면에 있어서의 상단부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걸림편(24b2)을 갖고, 절연성의 수지(예를 들어, ABS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24c)를 받는 지지 플레이트(24b)의 베이스부(24b1)의 저부는 평탄하게 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24c)는 대략 m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24c1)와, 베이스부(24c1)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외면에 설치된 돌출편(24c2)을 갖고, 절연성의 수지(예를 들어, ABS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단부의 한 쌍 돌출편(24c2)은 이들 한 쌍의 돌출편(24c2)과의 사이에 티끌 등의 이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벽의 역할을 하고 있다.
베이스부(24c1)는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한 쌍의 도전 케이블(24a)을 개별로 수납하는 한 쌍의 홈부(24c11)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부(24c1)에 있어서의 홈부(24c11)와는 반대측의 외면의 횡단면 형상은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돌출편(24c2)의 외면의 횡단면 형상도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4b)의 한 쌍의 걸림편(24b2)의 외면의 횡단면 형상은 커버 플레이트(24c)의 각 돌출편(24c2)의 원호 형상과 연속적인 원호 형상 부분(24b21)과, 평탄면 부분(24b22)을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부(24c1)는 한 쌍의 홈부(24c11)의 양단부(24ce) 및 중간부(24cc)에는 각 홈부(24c11) 내에 수납한 리드선(24a1)을 끼워 넣고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한 쌍의 반구형 리브(24c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구형 리브(24c3)는 한 쌍이 아니어도 되고, 1개소에 있어도 되고, 등간격으로 교대로 있어도 된다.
또한, 베이스부(24c1)에 있어서의 각 홈(24c11)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돌조부(24c4)가 형성되어 있다.
도전 유닛(24)은 커버 플레이트(24c)의 각 홈부(24c11) 내에 각 도전 케이블(24a)을 수납하고, 홈부(24c11)측에 지지 플레이트(24b)를 씌운 후, 서로 접촉하는 지지 플레이트(24b)의 내면과 커버 플레이트(24c)의 한 쌍의 돌조부(24c4)를 초음파 융착한다. 또한, 초음파 용착 대신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어도 된다.
조립된 도전 유닛(24)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24b)는 커버 플레이트(24c)보다도 길고, 각 도전 케이블(24a)은 지지 플레이트(24b)보다도 길기 때문에, 각 도전 케이블(24a)의 양단부의 일부는 지지 플레이트(24b)로 지지되면서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도전 케이블(24a)은 한 쌍의 도전 케이블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전 케이블이 1개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1개의 케이블 중에 2개의 도전 케이블을 통하게 하여, 1개의 케이블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홈(24c11)(도 20 참조)이 둘 중 어느 한쪽에 케이블을 통과시키게 된다.
<연장관의 조립에 대하여>
이어서, 연장관(20)의 조립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전 유닛(24)을 관 본체(21) 내에 삽입 관통시킨 후, 도전 유닛(24)의 한 쌍의 수형 단자부(24a2) 및 한 쌍의 암형 단자부(24a3)를 제1 접속관부(22) 및 제2 접속관부(23)에 내장한다.
한 쌍의 수형 단자부(24a2)는, 제1 접속관부(22)의 접속관 본체(22a) 내에 삽입되고 인출구(22a21)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리브 구조(22a22)에 고정된다. 리브 구조(22a22)에 고정된 한 쌍의 수형 단자부(24a2)는 리브 구조(22a22)로부터 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도전 유닛(24)의 지지 플레이트(24b)의 일단부측의 한 쌍의 걸림편(24b2)을 접속관 본체(22a)의 한 쌍의 받침편(22a11) 위에 적재한다.
또한, 도전 유닛(24)을 관 본체(21), 제1 및 제2 접속관부(22, 23)의 내면을 따르게 할 수 있도록, 도전 유닛(24)에 있어서의 관 본체(21), 제1 및 제2 접속관부(22, 23)의 내면과 대면하는 부분, 즉, 지지 플레이트(24b)의 한 쌍의 걸림편(24b2)의 외면 및 커버 플레이트(24c)의 외면은 원호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소편(22b) 및 커버 부재(22c)를 접속관 본체(22a)에 설치하고, 접속관 본체(22a)의 고정부(22a1)를 접착제를 통해 관 본체(21)의 일단부 내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제1 접속관부(22)의 위치 결정 볼록부(22a12)를 관 본체(21)의 절결부(21n)에 걸림 결합시켜 위치 결정한다.
한 쌍의 암형 단자부(24a3)는 제2 접속관부(23)의 접속관 본체(23a) 내에 삽입되고 인출구(23a21)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리브 구조(23a22)에 고정된다. 리브 구조(22a22)에 고정된 한 쌍의 수형 단자부(24a2)는 리브 구조(22a22)에 설치된 한 쌍의 구멍부와 연통한다. 이때, 도전 유닛(24)의 지지 플레이트(24b)의 타단부측의 한 쌍의 걸림편(24b2)을 접속관 본체(23a)의 한 쌍의 받침편(22a11)(도 22 참조) 위에 적재한다. 이에 의해, 도전 유닛(24)의 양단부가 제1 및 제2 접속관부(22, 23)로 지지되기 때문에, 도전 유닛(24)은 관 본체(21) 내에서 지지되지 않아도 부상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속관부(22, 23)의 양측만으로, 도전 유닛(24)을 관 본체(21) 내에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관 본체(21)에 대해서는, 특별히 손이 가는 일은 없으므로, 저비용으로 가능하고, 조립 작업성도 향상된다. 또한, 도전 유닛(24)이 휨에 의해 관 본체(2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지지 플레이트(24b)는 횡단면이 얕은 U형으로 형성되고, 커버 플레이트(24c)는 횡단면이 W형으로 형성되고, 각각 길이 방향에 대하여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소편(23b) 및 커버 부재(23e)를 접속관 본체(23a)에 설치하고, 접속관 본체(23a)의 고정부(23a1)를 접착제를 통해 관 본체(21)의 타단부 내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제2 접속관부(23)의 위치 결정 볼록부(23a12)를 관 본체(21)의 절결부(21n)에 걸림 결합시켜 위치 결정한다.
이에 의해, 연장관(20)의 조립이 완료된다.
<흡입구체에 대하여>
도 23은 실시 형태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흡입구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흡입구체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25는 도 23에 나타내는 흡입구체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26은 도 23에 나타내는 흡입구체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구체(40)는 저판부(41a)와, 저판부(41a)에 대면하는 천장판부(41b)와, 진행 방향(도 23의 화살표 X방향)의 전후에 설치된 전방판부(41c) 및 후방판부(41d)와, 천장판부(41b)의 진행 방향의 좌우에 설치된 좌측판부(41e) 및 우측판부(41f)를 구비한다.
흡입구체(40)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판부(41a)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화살표 A1 방향)으로 연신되는 흡입구(41)와, 흡입구(41)의 후방에 접속 축부(42x)를 통해 접속된 접속 파이프부(42)와, 흡입구(41)에 좌우 방향으로 연신되는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러시(43)와, 흡입구(41)와 접속 파이프부(42)를 접속하는 흡인 유로(16)(도 25)와, 회전 브러시(43)를 구동하는 회전 브러시용 모터(44)(도 26)와, 회전 브러시(43)의 도 23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를 덮는 브러시 커버 부재(80)와, 저판부(41a)에 설치된 들어올림 검지 스위치(47) 및 차륜(54)을 구비한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용 모터(44)의 모터 출력축(46)에 고정된 모터 출력 기어(50)와, 회전 브러시(43)에 부설된 기어부(58b)는 타이밍 벨트(48)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11e)(도 1)의 기동 스위치가 투입되어, 바닥면의 청소 작업이 개시되면, 회전 브러시용 모터(44)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브러시(43)에 의해 바닥면의 진애가 쓸어 모아지고, 흡입구(41)로부터 흡인 유로(16)와 접속 파이프를 통해 더스트 컵 유닛(12)(도 1) 쪽으로 반송된다.
들어 올림 검지 스위치(47)는 차륜을 갖는 요동 레버부와, 요동 레버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위치 본체와, 요동 레버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갖고, 스위치 본체가 저판부(41a)에 수납된 회전 브러시용 모터 구동 회로 기판에 접속되고, 요동 레버부의 차륜이 저판부(41a)로부터 외부 하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흡입구체(40)가 들어 올려져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면, 들어 올림 검지 스위치(47)가 작용하여 회전 브러시용 모터(44)의 구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흡입구체(40)의 내부에는 회전 브러시용 모터(44) 및 들어 올림 검지 스위치(47)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리드선이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리드선은 파이프부(42)에 설치된 핀형의 한 쌍의 수형 단자부(4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부(42)의 선단부에는 걸림 지지 오목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흡입구체(40)는 연장관(20)의 제2 접속관부(23)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때, 흡입구체(40)의 한 쌍의 수형 단자부(42b)가 연장관(20)의 한 쌍의 암형 단자부(24a3)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흡입구체(40)의 걸림 지지 오목부(42b)에 연장관(20)의 로크 부재(23c)의 걸림 지지 갈고리부(23c3)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지지한다(도 1, 도 13, 도 14 참조).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지지 플레이트(24b)와 커버 플레이트(24c)를 포함하는 중공 플레이트(24x)를 갖는 도전 유닛(24)을 예시했지만, 중공 플레이트(24x)는 하나의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절입을 갖는 횡단면 W형의 오목부를 갖는 중공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중공 플레이트의 절입부로부터 내부로 한 쌍의 도전 케이블을 넣는다. 혹은, 절입부를 갖지 않는 편평 통형의 중공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중공 플레이트에 한 쌍의 리드선을 삽입 관통시킨 후, 각 리드선의 양단부에 수형 및 암형 단자부를 솔더링해도 된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에서는, 중공 플레이트(24x)를 갖는 도전 유닛(24)을 예시했지만, 중공 플레이트(24x)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관 본체(21) 내에서 한 쌍의 리드선(24a1)이 이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테이프 등으로 일체화하고, 또한 제1 및 제2 접속관부(22, 23)의 각 고정부(22a1, 23a1) 내에 리드선(24a1)의 양단부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리브를 설치하면 된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1에서는, 스틱형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연장관은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정리)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은,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체와, 상기 흡입구체에 접속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진애를 흡인하는 청소기 본체측을 접속하는 연장관이며,
상기 연장관은 드라이 카본으로 구성된 파이프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량이고 견고한 파이프, 즉 연장관이 생기고, 전기 청소기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연장관은 복수의 탄소 섬유 시트를 적층하여 구성된 파이프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이프 경량화, 강화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특히 파이프에 반경 방향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대하여 강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 연장관은, 관 본체와, 상기 관 본체의 양단부에 설치된 통형의 제1 접속관부 및 제2 접속관부와, 상기 제1 접속관부 내로부터 상기 제2 접속관부 내에 걸쳐서 설치된 도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도전 유닛은, 양단부에 수형 단자부 및 암형 단자부가 설치된 한 쌍의 도전 케이블을 갖고,
상기 제1 접속관부는, 상기 관 본체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도전 케이블의 상기 수형 단자부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하는 제1 인출구를 갖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연설된 제1 단자 유지부를 갖고,
상기 제2 접속관부는, 상기 관 본체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도전 케이블의 상기 암형 단자부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하는 제2 인출구를 갖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연설된 제2 단자 유지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 연장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도 되고, 그것들이 적절히 조합되어도 된다.
(1) 상기 관 본체는, 그 양단부의 대향 위치에 절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속관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단자 유지부와의 경계부에, 상기 관 본체의 상기 절결부와 걸림 결합하는 제1 위치 결정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2 접속관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단자 유지부와의 경계부에, 상기 관 본체의 상기 절결부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결정 볼록부를 가져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관 본체의 양단부에 대하여 제1 및 제2 접속관부를 위치 결정한 후에 접착제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비스 등의 고정 부재의 삭감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상기 도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도전 케이블을 수납하는 중공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중공 플레이트의 일단부를 받는 한 쌍의 받침편을 갖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중공 플레이트의 타단부를 받는 한 쌍의 받침편을 가져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공 플레이트로 한 쌍의 도전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중공 플레이트의 양단부를 제1 및 제2 접속관부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전 유닛을 관 본체 내에서 지지하는 구조를 생략할 수 있어, 관 본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3) 상기 제1 접속관부는, 상기 제1 인출구를 덮는 제1 소편과, 상기 제1 소편을 상기 제1 인출구측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제1 단자 유지부에 설치되는 제1 커버 부재를 갖고,
상기 제2 접속관부는, 상기 제2 인출구를 덮는 제2 소편과, 상기 제2 소편을 상기 제2 인출구측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제2 단자 유지부에 설치되는 제2 커버 부재를 가져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장관 내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더스트가 제1 및 제2 인출구로부터 수형 및 암형 단자부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상기 제1 접속관부는, 상기 제1 단자 유지부와 연설된 삽입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속관부의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걸림 결합 오목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2 접속관부의 상기 제2 단자 유지부의 내면측에 걸림 지지 갈고리부를 갖는 로크 부재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장관의 제1 접속관부를 청소기 본체의 흡입 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여 연결하고, 또한 흡입구체의 파이프부를 연장관의 제2 접속관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에서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전기 청소기
20 : 연장관
21 : 관 본체(본체 파이프)
21n : 절결부
22 : 제1 접속관부
22a1 : 제1 고정부
22a11 : 받침편
22a2 : 제1 단자 유지부
22a21 : 제1 인출구
22a31 : 걸림 결합 오목부
22b : 제1 소편
22c : 제1 커버 부재
23 : 제2 접속관부
23a1 : 제2 고정부
23a12 : 제2 위치 결정 볼록부
23a2 : 제2 단자 유지부
23a21 : 제2 인출구
23a3 : 삽입부
23b : 제2 소편
23c : 로크 부재
23c3 : 걸림 지지 갈고리부
23e : 제2 커버 부재
24 : 도전 유닛
24a : 도전 케이블
24a2 : 수형 단자부
24a3 : 암형 단자부
24x : 중공 플레이트
40 : 흡입구체
41 : 흡입구

Claims (7)

  1.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체와, 상기 흡입구체에 접속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진애를 흡인하는 청소기 본체측을 접속하는 연장관이며,
    상기 연장관은, 드라이 카본으로 구성된 파이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복수의 탄소 섬유 시트를 적층하여 구성된 파이프를 갖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3. 관 본체와, 상기 관 본체의 양단부에 설치된 제1 접속관부 및 제2 접속관부와, 상기 제1 접속관부 내로부터 상기 제2 접속관부 내에 걸쳐서 설치된 도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도전 유닛은, 양단부에 수형 단자부 및 암형 단자부가 설치된 한 쌍의 도전 케이블을 갖고,
    상기 제1 접속관부는, 상기 관 본체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도전 케이블의 상기 수형 단자부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하는 제1 인출구를 갖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연설된 제1 단자 유지부를 갖고,
    상기 제2 접속관부는, 상기 관 본체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도전 케이블의 상기 암형 단자부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하는 제2 인출구를 갖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연설된 제2 단자 유지부를 갖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 본체는, 그 양단부의 대향 위치에 절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속관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단자 유지부와의 경계부에, 상기 관 본체의 상기 절결부와 걸림 결합하는 제1 위치 결정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2 접속관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단자 유지부와의 경계부에, 상기 관 본체의 상기 절결부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결정 볼록부를 갖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도전 케이블을 수납하는 중공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중공 플레이트의 일단부를 받는 한 쌍의 받침편을 갖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중공 플레이트의 타단부를 받는 한 쌍의 받침편을 갖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관부는, 상기 제1 인출구를 덮는 제1 소편과, 상기 제1 소편을 상기 제1 인출구측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제1 단자 유지부에 설치되는 제1 커버 부재를 갖고,
    상기 제2 접속관부는, 상기 제2 인출구를 덮는 제2 소편과, 상기 제2 소편을 상기 제2 인출구측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제2 단자 유지부에 설치되는 제2 커버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관부는, 상기 제1 단자 유지부와 연설된 삽입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속관부의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걸림 결합 오목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2 접속관부의 상기 제2 단자 유지부의 내면측에 걸림 지지 갈고리부를 갖는 로크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KR1020197003289A 2016-11-09 2017-02-08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KR201900257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9070 2016-11-09
JPJP-P-2016-219070 2016-11-09
PCT/JP2017/004583 WO2018087936A1 (ja) 2016-11-09 2017-02-08 電気掃除機の延長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701A true KR20190025701A (ko) 2019-03-11

Family

ID=6210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289A KR20190025701A (ko) 2016-11-09 2017-02-08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093141A1 (ko)
EP (1) EP3539437A4 (ko)
JP (1) JPWO2018087936A1 (ko)
KR (1) KR20190025701A (ko)
CN (1) CN109963487A (ko)
SG (1) SG11201900811PA (ko)
TW (1) TWI658806B (ko)
WO (1) WO20180879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762A (ko) 2022-06-30 2024-01-08 광동하이텍주식회사 이중관체 구조를 갖는 길이고정형 진공청소기 연장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015B1 (ko) * 2019-01-11 2020-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JP7154170B2 (ja) * 2019-03-27 2022-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延長管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USD981666S1 (en) * 2021-06-23 2023-03-21 Aukey Technology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USD980559S1 (en) * 2022-09-27 2023-03-07 Gootop Inc. Vacuum cleaner
USD977211S1 (en) * 2022-10-28 2023-01-31 Ningbo Aku Electric Co., Ltd. Household vacuum clea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9699A (ja) 2011-05-31 2012-12-20 Hitachi Appliances Inc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79268A (ko) * 1972-01-24 1973-10-24
JPS54123175A (en) * 1978-03-16 1979-09-25 Gosen Kk Method of making reinforced tubular body
DE3009424C2 (de) * 1980-03-12 1982-05-06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00 München Kolbenbolzen
JPH0551233U (ja) * 1991-12-24 1993-07-09 安藤化成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の延長管装置
JPH06280857A (ja) * 1993-03-30 1994-10-07 Yokohama Rubber Co Ltd:The 繊維補強熱可塑性樹脂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15642A (ja) * 1996-02-15 1997-08-19 Sharp Corp 電気掃除機
JPH1085161A (ja) * 1996-09-13 1998-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3777447B2 (ja) * 1998-01-20 2006-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01137163A (ja) * 1999-11-12 2001-05-22 Ando Kasei Kk 還流式掃除機用の延長管
JP3632841B2 (ja) * 2001-03-29 2005-03-23 新日本石油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部材の製造方法
JP5303034B2 (ja) * 2009-11-19 2013-10-02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可撓性ホ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16779B2 (ja) * 2010-01-08 2013-01-09 書偉 林 自転車ハブ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KR20120057830A (ko) * 2010-11-29 2012-06-07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텔레스코픽 연장관
JP5647041B2 (ja) * 2011-03-15 2014-12-2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3039486A (ja) * 2012-11-29 2013-02-28 Hitachi Appliances Inc 電気掃除機
CN103527862A (zh) * 2013-09-27 2014-01-22 漯河君叁材料高科有限公司 玻璃纤维增强聚乙烯复合材料管及其制备方法
CN203506617U (zh) * 2013-09-30 2014-04-02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吸尘器伸缩管两接头部的盖板扣合结构
JP6361024B2 (ja) * 2014-08-07 2018-07-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樹脂構造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CN204477521U (zh) * 2014-12-25 2015-07-15 浙江伟星新型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高耐磨增强复合管材
CN105640437B (zh) * 2016-01-29 2018-04-17 苏州爱建电器有限公司 吸尘器的卡接式吸尘管以及手持式吸尘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9699A (ja) 2011-05-31 2012-12-20 Hitachi Appliances Inc 電気掃除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762A (ko) 2022-06-30 2024-01-08 광동하이텍주식회사 이중관체 구조를 갖는 길이고정형 진공청소기 연장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93141A1 (en) 2021-04-01
SG11201900811PA (en) 2019-02-27
WO2018087936A1 (ja) 2018-05-17
EP3539437A4 (en) 2019-11-20
JPWO2018087936A1 (ja) 2019-09-26
EP3539437A1 (en) 2019-09-18
TWI658806B (zh) 2019-05-11
TW201817358A (zh) 2018-05-16
CN109963487A (zh)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5978A (ko)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KR20190025701A (ko) 전기 청소기의 연장관
JP2021121403A (ja) 電気掃除機
JP6849400B2 (ja) 電気掃除機
KR102391220B1 (ko) 청소기
US11889973B2 (en) Vacuum cleaner
CA2738299C (en) Vacuum cleaner
CN106923751B (zh) 吸尘器的手柄
JP7154170B2 (ja) 電気掃除機の延長管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CN112741536B (zh) 电动吸尘器
JP7028943B2 (ja) 掃除機
JP7138021B2 (ja) 電気掃除機
JP7178799B2 (ja) 電気掃除機
JP2021183053A (ja) 電気掃除機
CN112741537A (zh) 电动吸尘器
CN110621206A (zh) 具有导线的管及包括其的电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