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004A - 항egfr 와 항cd3 이중특이성항체 및 그 응용 - Google Patents

항egfr 와 항cd3 이중특이성항체 및 그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004A
KR20190025004A KR1020197003194A KR20197003194A KR20190025004A KR 20190025004 A KR20190025004 A KR 20190025004A KR 1020197003194 A KR1020197003194 A KR 1020197003194A KR 20197003194 A KR20197003194 A KR 20197003194A KR 20190025004 A KR20190025004 A KR 20190025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ser
gly
seq
th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674B1 (ko
Inventor
이 바이
웬 장
멩 쉬
슈앙 페이
얀루 젠
솅메이 웬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동팡 바이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징이타이시앙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동팡 바이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징이타이시앙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동팡 바이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5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09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the 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6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receptors for 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46Hybrid immunoglobulins
    • C07K16/468Immunoglobulin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antigen binding sites, e.g. multifunctional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1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heir source of isolation or production
    • C07K2317/14Specific host cells or culture conditions, e.g. components, pH or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multispecif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5Valenc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a combination of variable region and constant region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4Stability, e.g. half-life, pH, temperature or enzyme-resi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항EGFR와 항CD3의 이중특이성항체 및 그 응용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중특이성항체는 종양세포표면 항원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와 면역세포표면 항원분화클러스터3, 즉CD3분자와 특이성 결합하고, 그 중 항CD3항체의 단일사슬 항체ScFv는 항EGFR항체 고정부위의 C말단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중특이성항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임상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이중특이성항체는 비교적 높은 친화력을 구비하며 EGFR고발현 또는 이상발현으로 인한 종양질병의 치료 및 기타 EGFR고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된다.

Description

항EGFR 와 항CD3 이중특이성항체 및 그 응용
본 발명은 생물기술영역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와 CD3 이중특이성항체의 구성과 제조방법 및 질병에 대한 항체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이중 특이성 항체(bispecific antibody, BiAb)는 2개의 서로 다른 항체단편으로 구성된 인공항체로, 서로 다른 항원 또는 서로 다른 항원 에피토프를 특이성 식별 및 결합할 수 있다.
단일클론항체는 암, 염증, 기타 질병 치료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항체들은 모두 단일 표적을 겨냥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은 단일한 치료법에 충분히 반응하지 않아 내약성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중특이성항체는 동시에 서로 다른 항원 또는 항원 에피토프를 식별할 수 있기에 자연 살상세포와 T세포와 같은 면역작동세포의 방향을 조정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어 종양세포의 살상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이중특이성항체는 동일 세포의 서로 다른 항원에 위치할 수 있어 암의 확산신호나 염증 신호를 포함한 세포신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오랜 연구와 발전을 거쳐, 이중특이성 마이크로항체, 쌍사슬항체, 단일사슬쌍가항체, 다가이중특이성항체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이중특이성항체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이중특이성항체는 기본적으로 Fc함유와 Fc미함유 두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용해성과 안정성, 반감기가 양호하고 Fc담체의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작용(ADCC)과 보체의존성 세포용해효과(CDC)는 치료에 필요한 부가효과를 가져온다. 이에 비해, Fc미함유의 이중특이성항체는 전적으로 항원 결합력에 의존하여 치료 작용을 한다. 또한, Fc단백질은 약물 단백질(또는 폴리펩티드)이 체내에서의 반감기를 연장시켜 활성 분자의 체내 작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종양세포표면 항원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표피성장인자 수용체는 혈관조직을 제외한 상피세포막에 광범위하게 분포되는 막관통 단백질로 분자량은 약 l80KDa, 리간드 유도 타이로신 단백질 키나제활성을 구비하며, ErbB 보수적 수용체 패밀리의 구성원이다. 이 패밀리의 구성원은 HER2/Neu/ErbB2, HER3/ErbB3과 HER4/ErbB4를 포함한다. ErbB수용체의 공통적인 특징은 하나의 세포외(EC)리간드 결합구, 두개의 중복된 시스테인이 풍부한 구역으로 구성된 단일 막관통구 및 타이로신단백질 키나제와 자가인산화점을 구비한 세포내 시퀀스; 리간드와 수용체가 결합되어 수용체의 이합화작용을 일으킴으로써 동형 또는 이형의 다이머를 형성한다; 이합화의 수용체는 크로스링키지 인산화가 발생되어 세포내부 영역의 TK영역을 활성화 시켜 다음 단계의 신호전달을 활성화 시키며 이로써 세포의 증식, 전환을 야기한다. EGFR는 종양세포의 증식, 혈관생성, 종양침입, 전이 및 세포멸망의 억제와 관련되며 그 매커니즘은 EGFR의 고발현으로 인한 하류 신호전달의 강화, 돌연변이형 EGFR수용체 또는 리간드 발현의 증가로 인한 EGFR의 지속적인 활성화, 자가분비 루프의 작용 강화, 수용체 하향조정 매커니즘의 파괴, 이상신호전달통로의 활성화 등을 포함한다. 연구에 의하면, EGFR의 여러 고형종양 중에서의 고발현 또는 이상발현은 종양세포의 증식, 혈관생성, 종양침입, 전이 및 세포멸망의 억제와 관련된다. EGFR의 과발현은 종양의 진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면, 콜로이드 세포종, 폐암(lung cancer), 전립선암(prostatic cancer), 췌장암 등의 조직에서 모두 EGFR의 과도한 발현이 있었다.
면역세포표면 항원분화클러스터3(anti-Cluster-of-Differentiation, CD3):CD3분자는 T세포막에서의 중요한 분화 항원으로, 성숙한 T세포의 특징적인 상징이며, 6개의 폴리펩티드(polypeptide)사슬로 구성되어 비공유결합과 T세포항원수용체(TCR)가 TCR-CD3복합체를 구성하고, TCR-CD3복합체의 세포질내 조합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각 폴리펩티드사슬 세포질 영역의 타이로신기반면역수용체활성화모티프 (immunoreceptor tyrosine-based activation motif, ITAM)를 통해 항원 자극신호를 전달한다. CD3분자의 주요기능은 TCR구조를 안정화 시키고 T세포활성화 신호를 전달하며 TCR특이성 식별 및 항원 결합후 CD3는 신호를 T세포 세포질 내에 형질 도입하여 T세포 유도 활성화의 제1신호로 하며 T세포항원 식별과 면역응답 발생 과정에서 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학중, 특히 종양의 면역치료에서 이중특이성항체는 양호한 효과와 전망이 있는 바,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특이성항원-항면역활성세포CDl6 또는 CD3의 부분을 동시에 결합할 수 있으며, NK세포 또는 T세포의 활성화 작용을 구비한다. 항종양의 특이성항원부분은 종양세포와 결합하여 면역세포를 종양세포에 타기팅할 있어 국부의 NK세포 또는 T세포의 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종양세포에 대한 면역작동세포의 특이성 살상작용을 실현한다. 기존 기술을 살펴보면, 아직 성공적으로 출시된 EGFR와 CD3이중특이성항체약물 제품이 없기에 해당 기술은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중국특허CN201510030519.9와 비교하면, 본 발명은 4가 이중특이성항체(tetravalent bispecific antibody)를 사용하여 항EGFR항체의 생물학 활성을 완전하게 유지하고 4가 이중특이성은 종양항원과 작동세포(effect cell)(T세포와 NK세포 등)를 더 잘 식별할 수 있으며 이중특이성 항체의 생물학 활성을 발휘할 수 있다. 미국특허US9249217 B2는 ScFv-ScFv(BITE)형태를 사용하였으며 BITE는 2가이고 Fc단편이 없다. BITE에 비해 본 발명은 4가항체를 구비한 장점이 있을 뿐더러 Fc단편도 포함한다. Fc단편은 작동체 분자의 체내 반감기를 연장시킴으로써 작동체 분자의 체내 작용시간을 연장시켰다.
본 발명은 이중특이성항체에 관한것이며, 상기 이중특이성항체는 항EFGR의 C-단에 항CD3의 ScFv시퀀스를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이중특이성항체는 항EGFR항체의 완전한 분자구조를 유지함과 동시에 CD3항원과의 결합능력을 강화시켰다. 이로써, 기존의 EGFR항체의 체내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특이성을 통해 2개의 서로 다른 항원을 식별하고 면역작동세포를 종양 세포에 타기팅함으로써 면역작동세포가 종양세포를 살상하는 효과를 증진시켰다.
본 발명은 항EGFR과 항CD3 이중특이성 항체 및 그 응용에 관한 것으로,
(a)완전한 단일클론항체, (b)단일사슬항체(single-chain antibody) ScFv와 (c)링커를 포함한다; 상기(a)는 EGFR항원과 특이성결합하며 2개의 항체 중사슬(antibody heavy chain)과 2개의 항체 경사슬(antibody light chain)로 구성된다; 상기(b)는 면역세포항원CD3과 특이성결합하며, 상기(b)는 2개의 단일사슬항체ScFv이다; 상기(b)의 2개의 단일사슬항체ScFv는 각각 상기(c) 링커linker를 통해 상기(a)의 2개의 중사슬의 C말단과 연결된다.
그 중, 상기 이중특이성항체의 상기(c)링커linker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GGGGX)n, X는 Ser 또는 Ala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Ser이고; n은 1-4의 자연수이며 바람직하게는3이다.
그 중, 상기 이중특이성항체 (a)완전한 단일클론항체는2개의 경사슬과 2개의 중사슬로 구성되고 각 중사슬과 경사슬사이는 이황결합을 통해 연결되며, 2개의 중사슬 사이는 경첩구역의 이황결합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중사슬과 경사슬의 가변부위는 종양세포 표면 EGFR항원과 특이성 결합된다.
그 중, 상기(a) 완전한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고정부위는IgG1, IgG2, IgG3 또는 IgG4중 어느 하나이며, 바람직하게는IgG2이다.
그 중, 상기 (a)완전한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가변부위 아미노산 시퀀스는 SEQ ID NO 1, SEQ ID NO 2 또는 SEQ ID NO 3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a)완전한 단일클론항체의 경사슬 가변부위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SEQ ID NO 4, EQ ID NO 5 또는 SEQ ID NO 6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b)단일사슬항체ScFv의 중사슬 가변부위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SEQ ID NO 8, 상기 (b)단일사슬항체ScFv의 경사슬 가변부위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SEQ ID NO 9이다.
그 중, 상기 (b)2개의 단일사슬항체ScFv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모두 SEQ ID NO 7이다.
그 중, 각 (b)단일사슬항체ScFv는 중사슬 가변부위, (c)링커linker와 경사슬 가변부위로 구성되며, 상기 중사슬 가변부위와 경사슬 가변부위 면역세포표면CD3항원과 특이성결합하며; 상기(c)링커linker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GGGGS)n, n는 1-4의 자연수이며, 바람직하게는 (GGGGS)3이다.
그 중, 이중특이성항체의 발현 벡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이중특이성항체는 하나의 벡터에 구성되거나 또는 2개의 서로 다른 벡터에 구성될 수 있다.
그 중, 유전자 공학 방법을 통해 이미 구성된 벡터를 숙주 세포에 형질주입시키며, 상기 숙주 세포는 원핵세포(prokaryotic cell), 효모 또는 포유동물세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CHO세포, NS0세포 또는 기타 포유세포, 바람직하게는 CHO세포이다.
그 중, 일반적인 면역구 단백질 방법 즉 단백질 A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와 이온교환,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몰레큘러 시브 방법을 통해 상기 이중특이성항체를 얻는다.
그 중, 상기 이중특이성항체는 EGFR과발현 또는 이상발현 종양조직의 치료 및 기타 EGFR과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된다.
그 중, 상기 완전한 단일클론항체는 전장항체이다.
상술한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은 유익한 기술효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중특이성항체는 4가항체의 형태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형태의 4가항체는 종양항원과 결합하는 항체 시퀀스를 완전히 유지하고 비교적 높은 친화력을 구비한다. 이와 동시에, 4가 이중특이성항체는 종양세포와 작동세포를 더 잘 연결시킴으로서 이중특이성항체의 생물학기능을 발휘함에 있어 더 유리하다. 기존 상용하는 BITE 이중특이성항체형태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분자는 Fc단편을 더 포함하며 Fc단편은 약물분자의 체내 반감기를 연장시킴으로써 약물분자가 작용을 더 잘 발휘할 수 있으며, 환자의 약물 사용빈도를 낮추고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EGFR과발현 또는 이상발현으로 인한 종양조직의 치료 및 기타 EGFR과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된다.
도1은 이중특이성항체의 분자 설명도이다.
도2은 이중특이성분자 플라스미드발현의 구성도이다.
도3은 순화후의 이중특이성분자의 변성SDS 전기 영동도도이다.
도4는 ELISA법으로 이중특이성분자와 항원의 결합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5는 이중특이성항체와 A431세포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6은 이중특이성항체와 Jukart세포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7은 이중특이성항체를 담체로 한 PBMC와 A431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8은 이중특이성항체를 담체로 한 PBMC가 H520에 대한살상효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항EGFR과 항CD3 이중특이성 항체 및 그 응용에 관한 것으로,
(a)완전한 단일클론항체, (b)단일사슬항체ScFv와 (c)링커를 포함한다; 상기(a)는 EGFR항원과 특이성결합하며 2개의 항체 중사슬과 2개의 항체 경사슬로 구성된다; 상기(b)는 면역세포항원CD3과 특이성결합하며, 상기(b)는 2개의 단일사슬항체ScFv이다; 상기(b)의 2개의 단일사슬항체ScFv는 각각 상기(c) 링커linker를 통해 상기(a)의 2개의 중사슬의 C말단과 연결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중특이성항체의 상기(c)링커linker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GGGGX)n, X는 Ser 또는 Ala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Ser이고; n은 1-4의 자연수이며 바람직하게는3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중특이성항체 (a)완전한 단일클론항체는 2개의 경사슬과 2개의 중사슬로 구성되고 각 중사슬과 경사슬의 사이에 이황결합을 통해 연결되며, 2개의 중사슬 사이는 경첩구역(hinge region)의 이황결합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중사슬과 경사슬의 가변부위는 종양세포 표면 EGFR항원과 특이성 결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a) 완전한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고정부위는 IgG1, IgG2, IgG3 또는 IgG4중 어느 하나이며, 바람직하게는IgG2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a)완전한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가변부위 아미노산 시퀀스는 SEQ ID NO 1, SEQ ID NO 2 또는 SEQ ID NO 3중의 어느 하나이다; 그 중,
SEQ ID NO 1(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nimotuzumab, 니모투주맙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가변부위 아미노산 시퀀스):
Figure pct00001
SEQ ID NO 2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cetuximab, 세툭시맙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가변부위 아미노산 시퀀스):
Figure pct00002
SEQ ID NO 3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panitumumab, 벡티빅스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가변부위 아미노산 시퀀스):
Figure pct00003
그 중, 상기 (a)완전한 단일클론항체의 경사슬 가변부위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SEQ ID NO 4, EQ ID NO 5 또는 SEQ ID NO 6중의 어느 하나이며,
SEQ ID NO 4(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nimotuzumab, 니모투주맙 단일클론항체의 경사슬 가변부위아미노산 시퀀스):
Figure pct00004
SEQ ID NO 5(세툭시맙 단일클론항체(cetuximab)의 경사슬 가변부위아미노산 시퀀스):
Figure pct00005
SEQ ID NO 6(벡티빅스 단일클론항체(panitumumab)의 경사슬 가변부위아미노산 시퀀스):
Figure pct00006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b)단일사슬항체ScFv의 중사슬 가변부위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SEQ ID NO 8, 상기 (b)단일사슬항체ScFv의 경사슬 가변부위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SEQ ID NO 9이다; 그 중,
SEQ ID NO 8(항CD3 단일사슬항체의 중사슬 가변부위 아미노산 시퀀스):
Figure pct00007
SEQ ID NO 9(항CD3 단일사슬항체의 경사슬 가변부위 아미노산 시퀀스):
Figure pct00008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b)2개의 단일사슬항체ScFv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모두 SEQ ID NO 7이다; 그 중,
SEQ ID NO 7(항CD3 단일사슬 항체 아미노산 시퀀스):
Figure pct00009
더 바람직하게는, 각 (b)단일사슬항체ScFv는 중사슬 가변부위, (c)링커linker와 경사슬 가변부위로 구성되며, 상기 중사슬 가변부위와 경사슬 가변부위 면역세포표면CD3항원과 특이성결합하며; 상기(c)링커linker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GGGGS)n, n는 1-4의 자연수이며, 바람직하게는 (GGGGS)3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미 구성된 벡터를 숙주 세포에 형질주입시키며, 상기 숙주 세포는 원핵세포, 효모 또는 포유동물세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CHO세포, NS0세포 또는 기타 포유세포, 바람직하게는 CHO세포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중특이성항체는 EGFR과발현 또는 이상발현 종양조직의 치료 및 기타 EGFR과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된다.
구체 실시예1: 이중특이성항체분자의 발현벡터의 구성에 대하여
a)이중특이성 일과성 발현벡터의 구성에 대하여
도1의 이중특이성항체의 형태에 따라 상응한 유전자 시퀀스를 설계한다. PTSE를 발현 벡터로 하여 항EGFR의 경사슬 유전자와 항EGFR 중사슬―CD3의 ScFV융합유전자를 복제 및 발현한다. 각각 암호영역 시퀀스 양측에 경사슬 유전자와 융합유전자에 Sall, BamHl제한 부위 (restriction site)를 가입하고, 2개의 유전자는 中美泰和 생물기술(베이징)유한회사(中美泰和生物技朮有限公司,Taihe Biotechnology (Beijing) Co., Ltd)에 의해 합성하여 각각 PUC19벡터에 복제한다. 2개의 플라스미드를 각각 TOP컴피턴트 미니 상태(Huitian Dongfang, item No. HT702-03)로 전환시키고 康爲世紀의 소형의 시제 키트(CWBio minipreparation kit ( No. CW0500))로 채취하여 각각 제한 효소Sall-HF과 효소 BamHI-HF로 제한 소화하여 상동 재조합하여 각각 경사슬과 융합유전자가 포함된 발현 벡터(도2A과 도2B 참조)를 얻는다. 플라스미드는 각각 PTSE-JY016L-TetBiAb, PTSE-JY016H-TetBiAb으로 명명한다.
b)이중특이성 안정적 발현벡터의 구성에 대하여
PGN-2CMV를 발현 벡터로 하여 항EGFR의 경사슬 유전자와 항EGFR 중사슬―CD3의 ScFV융합유전자를 복제 및 발현한다. 상기 벡터는 선발 마커Neomycin과 GS를 포함하며, 2개의 CMV촉진자(promoter) 및 상응한 구조유닛을 포함한다. 경사슬의 프라이머 및 융합유전자의 프라이머를 설계하고 Kozak시퀀스, 신호 폴리펩티드 및 상응한 제한 부위를 인입하여 中美泰和 생물기술(베이징)유한회사(中美泰和生物技朮有限公司,Taihe Biotechnology (Beijing) Co., Ltd)에 의해 합성한다. 플라스미드PTSE-JY016L-TetBiAb, PTSE-JY016H-TetBiAb를 폼으로 하여 PCR를 통해 상응한 밴드를 증폭하고 벡터와 상동 재조합한다(플라스미드도는 도2C를 참조).
구체 실시예2, 이중특이성 항체분자의 발현과 순화에 대하여
a) 4가항체(tetravalent antibody)의 발현에 대하여
무내독소 대형의 시제 키트(endotoxin-free maxi kit (CWBio, CW2104)를 이용하여 플라스미드를 채취하며 구체적인 조작절차는 키트의 설명서에 따라 진행한다.
인체배신세포(HEK293ES suspension cells, HEK293ES현탁세포)는 FreeStyle 293 Expression Medium(Gibco, 12338-026)에서 배양하고, 1일 또는 2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며 배양후의 세포의 초기밀도는 0.2~0.6×106/ml로 유지한다. 세포배양체적은 병 용적의 15~35%, 세포배양병은 셰이커(shaker)(셰이커 스피드:135rpm, 온도:37℃, CO2:5%)에 놓아 배양한다. 형질주입 하루전에 대수생장기에 처하게 되어 생장상태가 양호한 HEK293ES세포는 세포밀도가 0.5×10 6/ml로 계대되며 셰이커(135rpm, 37℃, 5%CO2)에서 오버나이트 배양한 후 다음날 형질주입(transfection)을 진행한다.
형질주입을 진행하기 전에 준비된 1×106/ml세포현액을 셰이커(135rpm, 39℃, 5%CO2)에서 2h 동안 배양하며, 형질주입시, PTSE-antiEGFR-H-TetBiAb(최종농도0.5μg/ml), PTSE-antiEGFR-L(최종농도0.5μg/ml), 폴리에틸렌이민PEI(Sigma)(최종농도2ug/ml)을 순차적으로 주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함께 HEK293ES현탁세포에 형질주입한 후, 셰이커(135rpm, 39℃, 5%CO2)에서 40min간 배양한다. 형질주입후의 세포는 계속 135rpm, 37℃, 5%CO2셰이커에서 배양하고 항EGFR×CD3의 4가항체를 발현한다. 형질주입 96시간후 발현 상청액을 원심 수집한다.
b) 4가이중특이성항체의 순화에 대하여
발현 상청액은 0.22uM막 필터로 여과하고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컬럼으로 발현상청액에서 Fc도메인이 포함된 항체를 획득한다. 평형완충액과 용출완충액은 각각 50mM Tris-HCl 0.15M NaCl PH7.0과 0.1M구연산-구연산나트륨PH3.0이다. 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타깃 이중특이성항체를 획득한다. 양이온교환컬럼은 HiTrap SP FF, 평형완충20mM PB PH6.3으로 SP크로마토그래피컬럼을 평형시키고 용출완충액20mMPB+1M NaCl(PH6.3)으로 용출하며, 마지막에 PBS완충액으로 환액농축을 진행한다. 순화후의 이중특이성분자 SDS-PAGE환원은 도 3과 같다. 그 중Bispecific-1의 EGFR항체시퀀스는 니모투주맙(nimotuzumab)시퀀스; Bispecific-2의 EGFR항체시퀀스는 세툭시맙(Cetuximab); Bispecific-3의 EGFR항체시퀀스는 벡티빅스(Panitumumab)이다.
구체 실시예3:이중특이성 항체분자와 CD3 및 EGFR분자와의 결합상태에 대하여
pH9.6의 탄산염완충액으로 EGFR세포외 도메인(extracellular region) 또는 CD3E와 CD3G서브유닛세포외 도메인의 다이머(dimer)를 포위하며, 100ng/홈/100ul, 4℃에서 포위 오버나이트 한다. 300ul/홈에 0.1% 함유된PBS(PBS-T)완충액으로 5차 세척하며 다시 1%BSA-PBS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h 밀폐한다. 서로 다른 희석도의 이중특이성항체 또는 대응된 항체를 첨가한다. 각 이중특이성항체(또는 항체) 최고농도는 1uM, 3배 희석하여 10개 기울기를 설정하고 마지막 한개 홈은 희석액PBS만 첨가하여 음성대조로 하며 37℃에서 1h 배양한다. 300ul/홈PBS-T용액으로 5차 세척하고 1%BSA-PBS용액으로 1:40000희석한 Anti-Human Fc-HRP 2항을 첨가하여 37℃에서 1h 배양한다. 100ul/홈의 TMB발색키트(TMB developing kit)로 발색하며 실온에서 8min발색 후 2M H2SO4 발색을 종료하여 50ul/홈, 450nm/630nm에서 읽는다. 실험결과는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모든 이중특이성항체의 EGFR결합능력은 이에 대응되는 단일클론항체와 능력이 유사[즉 니모투주맙(nimotuzumab)시퀀스로 구성된 이중특이성항체의 EGFR결합능력은 니모투주맙과 유사(도4A)하고, 세툭시맙시퀀스로 구성된 이중특이성항체의 EGFR결합능력은 세툭시맙과 유사(도4B)하며, 벡티빅스시퀀스로 구성된 이중특이성항체항체의 EGFR결합능력은 벡티빅스와 유사(도4C)]하다;각 이중특이성항체의 CD3E과 CD3G다이머와의 결합능력은 유사하다 (도4D). 결과로부터 사용된 이중특이성항체의 형태는 거의 완전히 원 항체의 항원과의 결합능력을 유지하였으며 CD3의 ScFv CD3결합능력은 이와 연결된 서로 다른 항체와는 무관하다(도4D).
구체 실시예4, 이중특이성 항체분자와 과발현 EGFR또는 CD3세포의 결합상태에 대하여
a)이중특이성항체와 A431세포의 결합상태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EGFR과발현의 종양세포라인(A431)으로 서로 다른 이중특이성항체와 세포표면EGFR의 결합상태를 측정하고, 서로 대응된 항체로 양성대조를 진행하며 사람의 IgG(hIgG)로 동형대조를 진행한다. 0.25%트립신(trypsin)으로 소화시키고 A431세포를 원심 수집한다. 동시에 각 항체를 희석하며, 최고농도가1uM, 3배 기울기로 희석한다. 수집된 세포는PBS+1%BSA로 3차 세척하며 다시 PBS+1%BSA를 첨가하여 현탁화하고 세포를 각 홈 1×105개 세포씩 96웰플레이트에 넣은 후 100ul의 희석된 이중특이성항체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배양한다. 상청액을 원심분리한 후 PBS로 세포를 3차 세척하며 다시 희석된 Alexa488 항인체IgG-Fc항체로 세포를 현탁화하고 실온에서 1시간 피광 배양하며 PBS로 3차 세척하고 다시 100ul PBS로 현탁화하며, 흐름세포측정기로 형광강도를 측정한다. 결과는 Graphpad Prism으로 분석한다. 결과에 의하면(도5), 각 이중특이성항체와 A431의 결합능력은 이에 대응되는 항체와 비교성이 있으나, hIgG와 A431의 결합력은 매우 약하다. 이는 이중특이성항체가 그 모본항체의 세포표면EGFR특이성 결합의 활성을 비교적 잘 유지하였음을 나타낸다.
b)이중특이성항체와 Jurkat세포결합상태
Jurkat세포 과발현CD3로 이중특이성항체와 세포표면CD3의 결합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중특이성항체와 Jurkat세포 결합상태 실험과정은 실시예4a와 유사하며, 차별점은Jurkat세포는 현탁세포이나 A431은 부착의존세포인 것이다. Jurkat세포를 원심 수집하고 각 항체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한 조작은 A431실험과 동일하다. 결과에 의하면(도6), 동형대조와 Jurkat결합능력은 매우 약하며 서로 다른 이중특이성항체는 모두 세포와 잘 결합되며 3종의 이중특이성항체의 Jurkat세포와의 결합능력은 일치한 바, 도1의 이중특이성항체 중 항CD3의 ScFv세포표면항원의 결합능력이 이에 연결된 항체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설명한다.
구체 실시예5, 이중특이성항체분자의 담체(mediated)의 PBMC로 작동세포에 대한 살상작용
a)A431또는 H520세포PKH26표시
A431는 EGFR과발현의 종양세포주이고 H520는EGFR를 발현하지 못한다. 본 실험은 A431를 실험세포주로 하고 H520은 음성대조로 한다.
2×106개의 세포를 1.5ml 원심관에서 1500rpm으로 5min 원심분리하며 완전배양기를 버리고 무혈청 배양기로 세포를 2차 세척하며, PKH26시제 키트의 Diluent C용액으로 현탁화하고 동일체적의 2×P KH26염료액(배합비율:0.4μl염료원액을 100μl의 Diluent C에 용해시킴)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 1min 방치한다. 반응 종료 후, 즉시 관중 용액과 체적이 동일한 0.5%BSA-PBS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며, 다시 1ml의 상응한 완전배양기를 첨가하여 세포를 희석, 현탁화하며, 1500rpm으로 5min 원심분리하여 침전세포를 수집한다. 완전배양기로 현탁화한 후 세포배양병에 대기시킨다.
b)PBMC분리
50ml관에20ml의 낱개의 핵세포 분리액을 첨가한다. 전혈희석액으로 채집된 혈액을 1:1로 희석 처리한 후, 코닝관(Corning tube) 내벽을 따라 등속으로 천천히 분리액상층에 퍼지게 한다. 각 관내에 첨가되는 희석된 전혈체적은 20ml, 첨가 완료후 22℃로 사전냉각된 원심기에 넣어 600g 15min 수평원심분리한다 (가감속 설정은 1). 원심 완료후에 원심관을 꺼내고 피펫으로 흡수하여 분리액과 혈청사이의 원호형상으로 분포된 세포층-낱개 핵세포(PBMC)에 놓고 새 50ml관에 넣는다. 1:5의 비례로 세포액에 세포세척액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버리며 다시 중복 세척하여 세포침전을 수집한다. RPMI-1640배양기로 현탁화한 후 세포배양병에 대기시킨다.
c)CD3+T세포 자성비드(Magnetic bead) 분리에 대하여
PBS(Ph7.2, 0.5%BSA, 2mM EDTA)는 여과멸균하고 기포의 생성을 방지한다.
혈소판을 원심분리하고 (20도, 200g, 10-15분) 30μm 막필터로 세포집괴를 제거한다. PBMC세포를 수집하고 200g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청액을 버린다. 2×107세포를 60μl buffer+20μl FcR Blocking Reagent에 현탁화한다. 20μl 자성비드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8℃에서 15분간 배양한다. 1-2ml buffer를 첨가하고, 300g,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버린다. 500μl로 다시 현탁화한다. 분리 컬럼을 분리 프레임에 놓고 500μl 세척처리한다. 세포현탁액을 첨가하고 미결합세포를 수집하며, 컬럼체 탑부의 액체가 다 배출된 후 500μl로 3차 세척한다. 분리컬럼을 프레임에서 취하한 후 수집관에 넣고 1ml로 쾌속세척하고 세포를 수집하여 생균을 측정한다.
d)이중특이성항체의 효과기능 측정
최종농도1uM에 따라 1:3비례로 희석하고 기울기는 10개, 복홈은 2개, 동시에 2개의 무약물대조홈을 설정하고 배양기로 체적보충하며 표기후의 A431또는 H520세포(2×104개/홈/50μl)와 CD3+T세포(2×105개/홈/50μl)는 소요량에 따라 혼합하여 V-bottom 96웰플레이트의 각 홈에 분배한다. 동시에 이하 3개의 대조홈을 설정: ①무표기의 Raji세포(2×104개/홈)②PKH26표기후의 세포(2×104개/홈);③CD3+T세포(2×105개/홈). 18시간 배양하여 부화시킨후 1:50000의 비례로 TO-PRO3염료를 추가하여 37℃에서 10min 차광부화시킨다. 동시에 1개의 유동대조 ④TO-PRO3표기후의 세포를 설정한다. 3000rpm원심분리 5min후, 일부 배양기 상청액을 버리며 0.5%BSA-PBS용액으로 다시 현탁화하여 유동세포분석을 진행한다.
계산공식:
세포사망률%=(1-PKH26+TOPRO3-세포수량(약물작용그룹)/PKH26+TOPRO3-세포수량(비약물작용그룹))X100
e)결과분석
도7에서 알 수 있다시피, 이중특이성항체 분자담체의 PBMC는 과발현EGFR의 A431작동세포에 대해 양호한 살상작용이 있으나 이들과 대응되는 항체와 hIgG는 살상효과가 아주 약하다. 또한, 모든 이중특이성항체는 EGFR미발현의 H520세포에 대한 살상효과가 아주 약하며 동형대조 hIgG도 유사하다(도8).이는 모든 구성의 이중특이성항체가 타깃세포에 대한 살상작용이 특이함을 나타낸다. 3가지 서로 다른 이중특이성 항체가 타깃세포를 살상하는 능력은 유사하며 세포사망률은 80%좌우이다. 이상 내용은 도1의 이중특이성항체가 양호한 생물학 활성을 구비함을 나타낸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수정, 변경 등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있어 자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과 원칙의 범위내에서 진행한 변경, 치환, 개량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SEQUENCE LISTING <110> Bei Jing Dong Fang Biotech Co.LTD.(북경 동방백태 생물공학 주식회사) Bei Jing Jing Yi Tai Xiang Technology Development Co.LTD.(북경 정익태상 기술개발 주식회사) <120> 항EGFR 와 항CD3 이중특이성항체 및 그 응용 <130> PN100135DFBT <160> 9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23 <212> PRT <213> unknown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nimotuzumab(니모투주맙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가변부위 시퀀스) <400> 1 Gln Val Gln Leu Gln Gln Pro Gly Ala Glu Leu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Leu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n Tyr 20 25 30 Tyr Ile Tyr Trp Val Lys Gln Arg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Gly Ile Asn Pro Thr Ser Gly Gly Ser Asn Phe Asn Glu Lys Phe 50 55 60 Lys Thr Lys Ala Thr Leu Thr Val Asp Glu Ser Ser Th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n Leu Ser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Thr Arg Gln Gly Leu Trp Phe Asp Ser Asp Gly Arg Gly Phe Asp Phe 100 105 110 Trp Gly Gln Gly Thr Thr Leu Thr Val Ser Ser 115 120 <210> 2 <211> 119 <212> PRT <213> unknown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cetuximab(세툭시맙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가변부위 시퀀스) <400> 2 Gln Val Gln Leu Lys Gln Ser Gly Pro Gly Leu Val Gln Pro Ser Gln 1 5 10 15 Ser Leu Ser Ile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Asn Tyr 20 25 30 Gly Val His Trp Val Arg Gln Ser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Ser Gly Gly Asn Thr Asp Tyr Asn Thr Pro Phe Thr 50 55 60 Ser Arg Leu Ser Ile Asn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Phe Phe 65 70 75 80 Lys Met Asn Ser Leu Gln Ser Asn Asp Thr Ala Ile Tyr Tyr Cys Ala 85 90 95 Arg Ala Leu Thr Tyr Tyr Asp Tyr Glu Phe Ala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Ala 115 <210> 3 <211> 119 <212> PRT <213> unknown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panitumumab(벡티빅스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가변부위 시퀀스) <400> 3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Gly Ser Val Ser Ser Gly 20 25 30 Asp Tyr Tyr Trp Thr Trp Ile Arg Gln Ser Pro Gly Lys Gly Leu Glu 35 40 45 Trp Ile Gly His Ile Tyr Tyr Ser Gly Asn Thr Asn Tyr Asn Pro Ser 50 55 60 Leu Lys Ser Arg Leu Thr Ile Ser Ile Asp Thr Ser Lys Thr Gln Phe 65 70 75 80 Ser Leu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Ile Tyr Tyr 85 90 95 Cys Val Arg Asp Arg Val Thr Gly Ala Phe Asp Ile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Met Val Thr Val Ser Ser 115 <210> 4 <211> 112 <212> PRT <213> unknown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nimotuzumab(니모투주맙 단일클론항체의 경사슬 가변부위 시퀀스) <400> 4 Asp Val Leu Met Thr Gln Ile Pro Leu Ser Leu Pro Val Ser Leu Gly 1 5 10 15 Asp Gln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Asn Ile Val His Ser 20 25 30 Asn Gly Asn Thr Tyr Leu Asp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sn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Arg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Val Tyr Tyr Cys Phe Gln Tyr 85 90 95 Ser His Val Pro Trp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5 <211> 107 <212> PRT <213> unknown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cetuximab(세툭시맙 단일클론항체의 경사슬 가변부위 시퀀스) <400> 5 Asp Ile Leu Leu Thr Gln Ser Pro Val Ile Leu Ser Val Ser Pro Gly 1 5 10 15 Glu Arg Val Ser Phe Ser Cys Arg Ala Ser Gln Ser Ile Gly Thr Asn 20 25 30 Ile His Trp Tyr Gln Gln Arg Thr Asn Gly Ser Pro Arg Leu Leu Ile 35 40 45 Lys Tyr Ala Ser Glu Ser Ile Ser Gly Ile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Ser Ile Asn Ser Val Glu Ser 65 70 75 80 Glu Asp Ile Ala Asp Tyr Tyr Cys Gln Gln Asn Asn Asn Trp Pro Thr 85 90 95 Thr Phe Gly Ala Gly Thr Lys Leu Glu Leu Lys 100 105 <210> 6 <211> 107 <212> PRT <213> unknown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panitumumab(벡티빅스 단일클론항체의 경사슬 가변부위 시퀀스) <400> 6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Gln Ala Ser Gln Asp Ile Ser Asn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Asp Ala Ser Asn Leu Glu Th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Phe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Ile Ala Thr Tyr Phe Cys Gln His Phe Asp His Leu Pro Leu 85 90 95 Ala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7 <211> 240 <212> PRT <213> unknown <220> <223> anti-CD3 single-chain antibody(항CD3 단일사슬 항체 시퀀스) <400> 7 Asp Ile Lys Leu Gln Gln Ser Gly Ala Glu Leu Ala Arg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Met Ser Cys Lys Thr Ser Gly Tyr Thr Phe Thr Arg Tyr 20 25 30 Thr Met His Trp Val Lys Gln Arg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Tyr Ile Asn Pro Ser Arg Gly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Asp Lys Ala Thr Leu Thr Thr Asp Lys Ser Se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n Leu Ser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Tyr Tyr Asp Asp His Tyr Cys Leu Asp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Thr Leu Thr Val Ser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115 120 125 Ser Gly Gly Gly Gly Ser Asp Ile Gln Leu Thr Gln Ser Pro Ala Ile 130 135 140 Met Ser Ala Ser Pro Gly Glu Lys Val Thr Met Thr Cys Arg Ala Ser 145 150 155 160 Ser Ser Val Ser Tyr Met Asn Trp Tyr Gln Gln Lys Ser Gly Thr Ser 165 170 175 Pro Lys Arg Trp Ile Tyr Asp Thr Ser Lys Val Ala Ser Gly Val Pro 180 185 190 Tyr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Ser Tyr Ser Leu Thr Ile 195 200 205 Ser Ser Met Glu Ala Glu Asp Ala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210 215 220 Ser Ser Asn Pro Leu Thr Phe Gly Ala Gly Thr Lys Leu Glu Leu Lys 225 230 235 240 <210> 8 <211> 119 <212> PRT <213> unknown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an anti-CD3 single-chain antibody(항CD3 단일사슬항체의 중사슬 가변부위 시퀀스) <400> 8 Asp Ile Lys Leu Gln Gln Ser Gly Ala Glu Leu Ala Arg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Met Ser Cys Lys Thr Ser Gly Tyr Thr Phe Thr Arg Tyr 20 25 30 Thr Met His Trp Val Lys Gln Arg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Tyr Ile Asn Pro Ser Arg Gly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Asp Lys Ala Thr Leu Thr Thr Asp Lys Ser Se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n Leu Ser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Tyr Tyr Asp Asp His Tyr Cys Leu Asp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Thr Leu Thr Val Ser Ser 115 <210> 9 <211> 106 <212> PRT <213> unknown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anti-CD3 single-chain antibody(항CD3 단일사슬항체의 경사슬 가변부위 시퀀스) <400> 9 Asp Ile Gln Leu Thr Gln Ser Pro Ala Ile Met Ser Ala Ser Pro Gly 1 5 10 15 Glu Lys Val Thr Met Thr Cys Arg Ala Ser Ser Ser Val Ser Tyr Met 20 25 30 Asn Trp Tyr Gln Gln Lys Ser Gly Thr Ser Pro Lys Arg Trp Ile Tyr 35 40 45 Asp Thr Ser Lys Val Ala Ser Gly Val Pro Tyr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Gly Ser Gly Thr Ser Tyr Ser Leu Thr Ile Ser Ser Met Glu Ala Glu 65 70 75 80 Asp Ala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Ser Ser Asn Pro Leu Thr 85 90 95 Phe Gly Ala Gly Thr Lys Leu Glu Leu Lys 100 105

Claims (13)

  1. (a) 완전한 단일클론항체, (b)단일사슬항체ScFv 와 (c)링커를 포함하며; 상기(a)는 EGFR항원과 특이성결합하며 2개의 항체 중사슬과 2개의 항체 경사슬로 구성되고; 상기(b)는 면역세포항원 CD3과 특이성결합하며, 상기(b)는 2개의 단일사슬항체ScFv이며; 상기(b)의 2개의 단일사슬항체ScFv는 각각 상기(c) 링커linker를 통해 상기(a)의 2개의 중사슬의 C말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특이성 항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c)링커linker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GGGGX)n, 그 중X는 Gly 또는 Ser ; n은 1-4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특이성 항체.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X는 Ser; 상기 n은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특이성 항체.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a)완전한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가변부위와 경사슬가변부위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SEQ ID NO 1와 SEQ ID NO 4, SEQ ID NO 2와 SEQ ID NO 5 또는 SEQ ID NO 3와 SEQ ID NO 6 세가지 조합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특이성 항체.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b)2개의 단일사슬항체ScFv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모두 SEQ ID NO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특이성 항체.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b)단일사슬항체ScFv의 중사슬 가변부위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SEQ ID NO 8, 상기 (b)단일사슬항체ScFv의 경사슬 가변부위의 아미노산 시퀀스는 SEQ ID NO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특이성 항체.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a)완전한 단일클론항체의 중사슬 고정부위는 IgG1, IgG2, IgG3또는 IgG4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특이성 항체.
  8. 청구항 1 내지 7중 임의의 한 항의 이중특이성항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
  9. 암호가 청구항 1 내지 7중 임의의 한 항의 이중특이성항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시퀀스 또는 그 조합.
  10. 청구항9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시퀀스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DNA발현 벡터.
  11. 청구항10의 재조합 DNA발현 벡터의 형질주입시에 사용되며, 원핵세포, 효모 또는 포유동물세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주 세포.
  12. 청구항 1 내지 7중 임의의 한 항의 이중특이성항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또는 약물조성물.
  13. EGFR항원 특이성발현으로 인한 종양질병 또는 기타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서의 청구항 1 내지 7중 임의의 한 항의 이중특이성항체의 용도.
KR1020197003194A 2016-10-11 2017-09-28 항egfr 와 항cd3 이중특이성항체 및 그 응용 KR102179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86938.7 2016-10-11
CN201610886938.7A CN106632681B (zh) 2016-10-11 2016-10-11 抗egfr和抗cd3双特异抗体及其应用
PCT/CN2017/103896 WO2018068652A1 (zh) 2016-10-11 2017-09-28 抗egfr和抗cd3双特异抗体及其应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004A true KR20190025004A (ko) 2019-03-08
KR102179674B1 KR102179674B1 (ko) 2020-11-18

Family

ID=5885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194A KR102179674B1 (ko) 2016-10-11 2017-09-28 항egfr 와 항cd3 이중특이성항체 및 그 응용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96547B2 (ko)
EP (1) EP3527590A4 (ko)
JP (1) JP6821006B2 (ko)
KR (1) KR102179674B1 (ko)
CN (1) CN106632681B (ko)
AU (1) AU2017343414B2 (ko)
CA (1) CA3032560C (ko)
EA (1) EA201990171A1 (ko)
WO (1) WO2018068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2681B (zh) 2016-10-11 2017-11-14 北京东方百泰生物科技有限公司 抗egfr和抗cd3双特异抗体及其应用
CN107880131A (zh) * 2017-08-14 2018-04-06 四川大学 一种抗IL‑13Rα2和CD3双特异抗体及其应用
JP2020534811A (ja) * 2017-09-08 2020-12-03 マベリック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averick Therapeutics, Inc. Fc領域を含有する条件的に活性化された結合部分
AU2018328291B2 (en) 2017-09-08 2022-10-27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Constrained conditionally activated binding proteins
JP2021521275A (ja) * 2018-04-13 2021-08-26 アフィメド ゲーエムベーハー Nk細胞結合抗体融合構築物
CN110872356B (zh) * 2018-09-03 2023-06-13 广西慧宝源健康产业有限公司 双特异性抗体及其使用方法
US20220242953A1 (en) * 2018-12-07 2022-08-04 Jiangsu Hengrui Medicine Co., Ltd. Cd3 antibody and pharmaceutical use thereof
CN109776683B (zh) * 2019-03-19 2020-04-07 益科思特(北京)医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双特异性抗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BR112021018442A2 (pt) * 2019-03-22 2022-01-11 Regeneron Pharma Anticorpos multiespecíficos egfr x cd28
CN110172100B (zh) * 2019-05-06 2021-03-19 北京智仁美博生物科技有限公司 抗人cd3e抗体及其用途
JP7137696B2 (ja) 2019-05-14 2022-09-14 プロヴェンション・バ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1型糖尿病を予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KR20220038356A (ko) * 2019-06-26 2022-03-28 아뮤닉스 파마슈티컬스, 인크. Egfr 항원 결합 단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0698563A (zh) * 2019-09-17 2020-01-17 深圳容金科技有限公司 多价抗体及其制备方法
US20230067182A1 (en) * 2019-11-29 2023-03-0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23183766A1 (en) * 2022-03-20 2023-09-28 Abcellera Biologics Inc. Anti-cd3 antibodies and t-cell engagers and methods of use
WO2023198042A1 (zh) * 2022-04-11 2023-10-19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特异性结合egfr和cd28的抗原结合分子及其医药用途
CN114621351B (zh) * 2022-04-27 2023-01-03 华羊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多特异性抗体及其治疗癌症的用途
CN115029318B (zh) * 2022-05-12 2022-12-20 成都赋智健康科技有限公司 携带多特异性抗体基因的间充质干细胞及其制药用途
WO2024067222A1 (en) * 2022-09-30 2024-04-04 Nona Biosciences (Suzhou) Co., Ltd. Cd3-targeting antibody and use thereof
WO2024082269A1 (zh) * 2022-10-21 2024-04-25 武汉友芝友生物制药股份有限公司 双特异性抗体在免疫细胞治疗方面的应用
CN116239700A (zh) * 2022-12-20 2023-06-09 浙江大学 一种肿瘤双靶向的三特异性t细胞衔接器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5274A1 (en) * 2015-01-14 2016-07-21 Compass Therapeutics Llc Multispecific immunomodulatory antigen-binding construct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U22615A1 (es) 1994-06-30 2000-02-10 Centro Inmunologia Molecular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anticuerpos monoclonales murinos menos inmunogénicos. anticuerpos monoclonales obtenidos
JP5010281B2 (ja) * 2003-05-31 2012-08-29 マイクロメット アクツィエン ゲゼルシャフト Epcamに対する二重特異性抗体を含む薬学的組成物
WO2005004809A2 (en) * 2003-07-01 2005-01-20 Immunomedics, Inc. Multivalent carriers of bi-specific antibodies
CN1326881C (zh) * 2003-09-29 2007-07-18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基础医学研究所 一种三价双特异性抗体,其制备方法及用途
JP2012034668A (ja) * 2010-08-12 2012-02-23 Tohoku Univ ヒト型化抗egfr抗体リジン置換可変領域断片及びその利用
US9249217B2 (en) 2010-12-03 2016-02-02 Secretary, DHHS Bispecific EGFRvIII x CD3 antibody engaging molecules
LT2794658T (lt) 2011-12-19 2017-05-10 Synimmune Gmbh Bispecifinė antikūno molekulė
JP5970197B2 (ja) 2012-02-08 2016-08-17 メルク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合同会社 無機ポリシラザン樹脂
WO2014165818A2 (en) * 2013-04-05 2014-10-09 T Cell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rostate cancer
WO2015013671A1 (en) 2013-07-25 2015-01-29 Cytomx Therapeutics, Inc. Multispecific antibodies, multispecific activatable antibod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4341504B (zh) * 2013-08-06 2017-10-24 百奥泰生物科技(广州)有限公司 双特异性抗体
EP3176185A1 (en) * 2013-11-04 2017-06-07 Glenmark Pharmaceuticals S.A. Production of t cell retargeting hetero-dimeric immunoglobulins
US20170183410A1 (en) * 2014-03-25 2017-06-29 Tohoku University HIGHLY-FUNCTIONAL IgG2 BISPECIFIC ANTIBODY
US20170274072A1 (en) * 2014-03-26 2017-09-28 Tohoku University Bispecific antibody targeting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US9611325B2 (en) * 2014-07-21 2017-04-04 Wuhan Yzy Biopharma Co., Ltd.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bispecific antibody HER2xCD3
BR112017001579A2 (pt) * 2014-07-25 2017-11-21 Cytomx Therapeutics Inc anticorpos anti-cd3, anticorpos anti-cd3 ativáveis, anticorpos anti-cd3 multiespecíficos, anticorpos anti-cd3 ativáveis multiespecíficos e métodos de uso dos mesmos
AU2015369831B2 (en) * 2014-12-22 2019-07-11 Baili-Bio (Chengdu) Pharmaceutical Co., Ltd. Bispecific tetravalent antibodi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CN104774268B (zh) * 2015-01-21 2018-09-28 武汉友芝友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双特异性抗体egfr×cd3的构建及应用
CN106632681B (zh) 2016-10-11 2017-11-14 北京东方百泰生物科技有限公司 抗egfr和抗cd3双特异抗体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5274A1 (en) * 2015-01-14 2016-07-21 Compass Therapeutics Llc Multispecific immunomodulatory antigen-binding construc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ncer Immunol. Immunother., 53:497-509(2004)(2003.11.25. 온라인 게재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6246A (ja) 2019-09-19
JP6821006B2 (ja) 2021-01-27
WO2018068652A1 (zh) 2018-04-19
AU2017343414A1 (en) 2019-02-28
US11396547B2 (en) 2022-07-26
AU2017343414B2 (en) 2020-03-26
CN106632681B (zh) 2017-11-14
EP3527590A4 (en) 2020-05-27
KR102179674B1 (ko) 2020-11-18
CN106632681A (zh) 2017-05-10
CA3032560C (en) 2021-12-28
US20210277127A1 (en) 2021-09-09
EP3527590A1 (en) 2019-08-21
CA3032560A1 (en) 2018-04-19
EA201990171A1 (ru)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5004A (ko) 항egfr 와 항cd3 이중특이성항체 및 그 응용
US11466085B2 (en) Anti-PD-L1 nanobody, coding sequence and use thereof
CN107903324B (zh) 一种结合人cd19和cd3的双特异性抗体
WO2019174603A1 (zh) 靶向ctla-4抗体、其制备方法和用途
US20220002408A1 (en) Bispecific antibod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TW202003569A (zh) 多價抗體
WO2015053887A1 (en) Constant chain modified bispecific, penta- and hexavalent ig-m antibodies
JP2022521750A (ja) カルレティキュリンに結合する多機能性分子およびその使用
JP2019058160A (ja) ヒトp185及び血管内皮増殖因子の両方を標的とする抗体及びその適用
WO2016135239A1 (en) Fusion protein comprising three binding domains to her2
CN104774268A (zh) 一种双特异性抗体egfr×cd3的构建及应用
WO2019153200A1 (zh) 抗pd-1/抗her2天然抗体结构样异源二聚体形式双特异抗体及其制备
CN104558192A (zh) 一种双特异性抗体her2xcd3的构建及应用
CN116249718A (zh) 结合至钙网蛋白的多功能性分子及其用途
JP2024514246A (ja) Cldn18.2抗原結合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使用
JP2023550419A (ja) 二機能性分子
WO2023001155A1 (zh) 一种磷脂酰肌醇蛋白聚糖3抗体及其应用
TWI825459B (zh) 一種SIRPα-Fc融合蛋白
CN110577603B (zh) 一种抗cd3和抗cd19双特异性抗体
KR20220147583A (ko) Mait 및 종양 세포 둘 모두에 결합하는 다중특이적 항체
CA3139402A1 (en) Variant domains for multimerizing proteins and separation thereof
CN113896804B (zh) 嵌合抗原受体(car)及其应用
CN116874606B (zh) 一种靶向trop2和cd3的双特异性抗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23138551A1 (zh) 抗cd3和抗cd20双特异性抗体及其用途
EP4276111A1 (en) Antibody specifically binding to 4-1bb and antigen-binding fragment of anti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