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052A -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052A
KR20190024052A KR1020170110614A KR20170110614A KR20190024052A KR 20190024052 A KR20190024052 A KR 20190024052A KR 1020170110614 A KR1020170110614 A KR 1020170110614A KR 20170110614 A KR20170110614 A KR 20170110614A KR 20190024052 A KR20190024052 A KR 20190024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pacer
mounting
mounting portion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443B1 (ko
Inventor
박종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443B1/ko
Priority to CN201821125784.0U priority patent/CN208479349U/zh
Publication of KR2019002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6Structural association of a motor or generator with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터미널 홀더부와, 수용공간부에 동심원 배열을 이루면서 삽입되며,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버스바와, 복수개의 버스바 사이에 배치되고, 버스바와 접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와, 수용공간부에 주입되어 버스바와 스페이서를 고정시키는 오버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TERMINAL ASSEMBLY OF DRIVE MO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바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의 형태를 개선하여 조립과정에서 절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구동모터로 공급하는 모듈로, 터미널 홀더의 내부에 버스바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된 상태로 오버몰드가 주입된다. 이 과정에서 스페이서가 이동되어 버스바의 절연거리가 감소되고, 미사출 공간이 발생되어 절연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4421호(발명의 명칭:차량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등록일:2017.06.2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버스바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의 형태를 개선하여 조립과정에서 절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터미널 홀더부; 상기 수용공간부에 동심원 배열을 이루면서 삽입되며,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버스바; 복수개의 상기 버스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와 접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 및 상기 수용공간부에 주입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스페이서를 고정시키는 오버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버스바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의 하부가 접촉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장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의 양측단부가 접촉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장착부는 이웃하는 상기 제2장착부와 너비가 동일한 너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장착부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스페이서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의 하부가 접촉되며, 상기 장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버스바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의 외경은 상기 스페이서와 결합되는 상기 버스바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는 버스바와 결합되는 스페이서를 통해 오버몰드를 터미널 홀더부의 수용공간부에 주입할 때 스페이서가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절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바와 결합되는 스페이서를 통해 버스바의 하부 및 버스바 사이에 미사출 공간이 발생하는 것이 줄어들어 조립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버스바의 하부 및 버스바 사이의 미사출 공간에 혼입되어 절연성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서에 버스바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조립 지그 등 조립구조 및 작업자의 추가 공가가 필요없어 작업시간이 줄어들고, 작업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버스바와 스페이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버스바와 스페이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버스바와 스페이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1)는 터미널 홀더부(100), 버스바(200), 스페이서(300) 및 오버몰드(400)를 포함한다.
터미널 홀더부(100)는 링 형상으로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110)가 형성된다. 수용공간부(110)에는 버스바(200)와 스페이서(300)가 교호하게 배치된다. 또한, 터미널 홀더부(100)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돌출부위가 형성되고, 돌출부위에는 몰드커버(500)가 결합된다.
버스바(200)는 수용공간부(110)에 동심원 배열을 이루면서 삽입된다. 버스바(200)는 링 형상으로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U상, V상, W상, N상으로 구성된다.
스페이서(30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로 버스바(200) 사이에 배치되어 버스바(200)와 접한다. 스페이서(300)는 버스바(200)와 결합됨으로써, 오버몰드(400)를 터미널 홀더부(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주입할 때 스페이서(300)가 원주방향으로 이동되어 절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버스바(200)는 설정된 거리로 절연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부분적으로 방전되어 내특성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절연거리는 버스바(200)와 이웃하는 버스바(200) 사이의 최단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버스바(200)의 하부 및 버스바(200) 사이에서 미사출 공간이 발생하는 것이 줄어들어 조립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버스바(200)의 하부 및 버스바(200) 사이의 미사출 공간에 혼입되어 절연성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버몰드(400)는 수용공간부(110)에 주입되어 버스바(200)와 스페이서(300)를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오버몰드(400)는 융용수지 상태로 수용공간부(110)에 주입되어 버스바(200)와 스페이서(300) 상에 도포되어 응고됨으로써, 버스바(200)와 스페이서(300)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이로써, 터미널 홀더부(100) 상에서 버스바(200)와 스페이서(300)가 고정될 수 있다.
스페이서(300)에는 버스바(200)가 장착되는 장착부(310)가 구비된다. 장착부(310)는 제1장착부(311)와 제2장착부(312)를 포함한다. 제1장착부(311)는 스페이서(300)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버스바(200)의 하부가 접촉된다.
제2장착부(312)는 스페이서(300)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제1장착부(311)와 일체로 형성되며, 버스바(200)의 양측단부가 접촉된다. 제2장착부(312)는 이웃하는 제2장착부(312)의 너비(W1)와 동일한 너비(W2)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200)는 서로 동일한 절연거리 가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300)의 외경은 스페이서(300)와 결합되는 버스바(200)의 내경과 동일한다. 이로 인해, 버스바(200)가 스페이서(300)에 밀착된다. 즉, 버스바(200)가 스페이서(3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300)에서는 버스바(200)가 장착되는 장착부(310)가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조립 지그 등 조립구조 및 작업자의 추가 공가가 필요없어 작업시간이 줄어들고, 작업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작업자는 먼저 터미널 홀더부(100)의 수용공간부(110)에 복수개의 버스바(200)가 결합된 복수개의 스페이서(300)를 동심원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서(300)의 장착부(310)에 버스바(200)를 장착된다. 버스바(200)가 장착부(310)에 장착되면, 버스바(200)의 하부는 제1장착부(311)에 접촉되고, 버스바(200)의 양측부는 제2장착부(312)에 접촉된다. 이때, 스페이서(300)의 외경은 스페이서(300)와 결합되는 버스바(200)의 내경과 동일하므로, 버스바(200)는 스페이서(300)에 밀착되어 스페이서(3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융용수지 상태의 오버몰드(400)를 수용공간부(110)에 주입한다. 수용공간부(110)에 오버몰드(400)가 주입되어 버스바(200)와 스페이서(300) 상에서 응고됨으로써, 버스바(200)와 스페이서(300)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이때, 스페이서(300)와 버스바(200)가 결합된 상태이므로, 오버몰드(400)를 터미널 홀더부(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주입할 때 스페이서(300)가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아 버스바(200)의 절연거리가 줄어들어 절연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오버몰드(400)가 응고되어 터미널 홀더부(100) 상에서 버스바(200)와 스페이서(300)가 고정되면, 돌출부위에 몰드커버(500)를 결합시켜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는 제1장착부(311)와 제2장착부(312)를 포함하는 장착부(310)를 통해 오버몰드(400)를 터미널 홀더부(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주입하더라도 스페이서(300)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버스바(200)의 절연거리가 줄어들지 않아 절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버스바(200)의 하부 및 버스바(200) 사이에서 미사출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되어 조립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버스바(200)의 하부 및 버스바(200) 사이의 미사출 공간에 혼입되어 절연성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잇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버스바와 스페이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1)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제1실시예의 내용 중 제2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버스바(200)에는 장착부(310)를 향해 돌출되는 장착돌기(210)가 구비된다. 장착돌기(210)는 버스바(20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다.
장착부(310)에는 장착돌기(210)가 삽입되는 장착홀부(313)가 구비된다. 장착부(310)는 스페이서(300)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버스바(200)의 하부가 접촉된다. 또한, 장착부(310)에는 장착돌기(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홀부(31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장착부(310)에는 장착돌기(210)가 삽입되는 장착홀부(313)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홈부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장착홀부(313)는 이웃하는 장착홀부(313)의 위치거리(W1)와 동일한 위치거리(W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위치거리는 장착부(310)의 단부와 장착홀부(313)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버스바(200)는 서로 동일한 절연거리를 가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작업자는 먼저 터미널 홀더부(100)의 수용공간부(110)에 복수개의 버스바(200)가 결합된 복수개의 스페이서(300)를 동심원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버스바(200)에 형성된 장착돌기(210)가 장착부(310)의 장착홀부(313)에 삽입된다. 이때, 스페이서(300)의 외경은 스페이서(300)와 결합되는 버스바(200)의 내경과 동일하므로, 버스바(200)는 스페이서(300)에 밀착되어 스페이서(3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융용수지 상태의 오버몰드(400)를 수용공간부(110)에 주입한다. 수용공간부(110)에 오버몰드(400)가 주입되어 버스바(200)와 스페이서(300) 상에서 응고됨으로써, 버스바(200)와 스페이서(300)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이때, 스페이서(300)와 버스바(200)가 결합된 상태이므로, 오버몰드(400)를 터미널 홀더부(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주입할 때 스페이서(300)가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아 버스바(200)의 절연거리가 줄어들어 절연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오버몰드(400)가 응고되어 터미널 홀더부(100) 상에서 버스바(200)와 스페이서(300)가 고정되면, 돌출부위에 몰드커버(500)를 결합시켜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는 장착돌기(210)와 장착홀부(313)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오버몰드(400)를 터미널 홀더부(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주입하더라도 스페이서(300)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버스바(200)의 절연거리가 줄어들지 않아 절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버스바(200)의 하부 및 버스바(200) 사이에서 미사출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되어 조립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버스바(200)의 하부 및 버스바(200) 사이의 미사출 공간에 혼입되어 절연성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잇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100 : 터미널 홀더부
110 : 수용공간부 200 : 버스바
210 : 장착돌기 300 : 스페이서
310 : 장착부 311 : 제1장착부
312 : 제2장착부 313 : 장착홀부
400 : 오버몰드 500 : 몰드커버

Claims (8)

  1.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터미널 홀더부;
    상기 수용공간부에 동심원 배열을 이루면서 삽입되며,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버스바;
    복수개의 상기 버스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와 접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 및
    상기 수용공간부에 주입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스페이서를 고정시키는 오버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버스바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의 하부가 접촉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장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의 양측부가 접촉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는 이웃하는 상기 제2장착부와 너비가 동일한 너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장착부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스페이서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의 하부가 접촉되며, 상기 장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버스바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외경은 상기 스페이서와 결합되는 상기 버스바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KR1020170110614A 2017-08-31 2017-08-31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KR102488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614A KR102488443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CN201821125784.0U CN208479349U (zh) 2017-08-31 2018-07-17 车辆用驱动电机的端子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614A KR102488443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052A true KR20190024052A (ko) 2019-03-08
KR102488443B1 KR102488443B1 (ko) 2023-01-13

Family

ID=6521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614A KR102488443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8443B1 (ko)
CN (1) CN20847934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562A1 (ko) * 2019-12-17 2021-06-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4812A (ja) * 2005-10-05 2007-04-19 Yazaki Corp 配電部材
KR20130117208A (ko) * 2012-04-18 2013-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085756A (ja) * 2015-10-27 2017-05-18 株式会社ミツバ 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4812A (ja) * 2005-10-05 2007-04-19 Yazaki Corp 配電部材
KR20130117208A (ko) * 2012-04-18 2013-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085756A (ja) * 2015-10-27 2017-05-18 株式会社ミツバ モ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562A1 (ko) * 2019-12-17 2021-06-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479349U (zh) 2019-02-05
KR102488443B1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3711B2 (en) Motor
JP6358220B2 (ja) 回転電機の端子台接続構造
KR102233528B1 (ko) 접촉 링, 고정자 및 전기 모터
US10673296B2 (en) Feeding body for rotary electric machine
CN108512324B (zh) 电动机及电动机的制造方法
CN108696024B (zh) 绕组卷绕零部件和旋转电机
US20130313939A1 (en) Motor
US10014746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otary electric machine
US20200014276A1 (en) Feeding body and rotary electric machine
US11127555B1 (en) Fuse
US20200052542A1 (en) Pole tooth module for an electric machine, active part comprising a pole tooth module, and electric machine
JP6353722B2 (ja) バスバー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回転電機
US9083210B2 (en) Silicon steel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190024052A (ko)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JP2015171245A (ja) 集中巻きモータの配電部材
WO2017013772A1 (ja) バスバー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回転電機
JP2010011601A (ja) 電動モータ用ターミナルユニット
CN111193344B (zh) 汇流条单元和马达
JP6040680B2 (ja) 複数相のステータコイルの接続構造
JP201903014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モータ
US20230034343A1 (en) Busbar module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KR20200026622A (ko) 모터
CN108886295B (zh) 马达和马达的制造方法
JP201903014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モータ
CN114930693A (zh) 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