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227A -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 Google Patents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227A
KR20190023227A KR1020170108639A KR20170108639A KR20190023227A KR 20190023227 A KR20190023227 A KR 20190023227A KR 1020170108639 A KR1020170108639 A KR 1020170108639A KR 20170108639 A KR20170108639 A KR 20170108639A KR 20190023227 A KR20190023227 A KR 20190023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o
driver
drive
sett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419B1 (ko
Inventor
이웅혁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4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2059/6823Sensing neutral state of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TO(Power Take Off)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의 운전석 착석 여부와 미리 정해진 정차시 PTO 구동 조건 등을 고려하여 PTO의 구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농작업차량에서의 위험 발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농작업차량(1)의 운전자가 운전석(50)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운전석착석감지부(100); 상기 농작업차량(1)의 정차시에 PTO(30)의 구동을 허용하는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 상기 PTO(30)의 구동 여부를 설정하는 PTO구동설정부(300); 및 상기 운전석착석감지부(100),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 및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고려하여 상기 PTO(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을 개시한다.

Description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AGRICULTURAL WORKING MACHINE INCLUDING PTO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PTO(Power Take Off)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의 운전석 착석 여부와 미리 정해진 정차시 PTO 구동 조건 등을 고려하여 PTO의 구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농작업차량에서의 위험 발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에서는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다수의 축과 기어를 구비하는 변속기를 거쳐 PTO 축(PTO Shaft)으로 전달하여 로터리 등 여러 종류의 작업기를 구동시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운전자가 트랙터에 장착된 로터리 등 작업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계기반이나 조작부 등에 구비되는 PTO 스위치를 온(ON)시키면, 변속기의 PTO 클러치에 유압이 공급되어 PTO 축으로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면서 상기 작업기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에서는 운전자의 운전석 착석 여부 및 농작업차량의 이동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PTO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했다. 즉, 운전자는 PTO 를 구동시킨 상태에서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농작업차량을 정차하여 하차하는 것이 가능한 바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경사지 등에서 운전자가 농작업차량을 정차하여 하차하는 경우 PTO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농작업차량이 이동하는 등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존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석 착석 여부 등을 고려하여 PTO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농작업차량에서의 안전상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아직 이러한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이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9076호(2016.07.27)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92-0004600호(1992.07.06)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석 착석 여부 등을 고려하여 PTO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고, 나아가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하여 하차하는 경우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여부를 미리 판단하여 PTO의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은, 농작업차량(1)의 운전자가 운전석(50)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운전석착석감지부(100); 상기 농작업차량(1)의 정차시에 PTO(30)의 구동을 허용하는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 상기 PTO(30)의 구동 여부를 설정하는 PTO구동설정부(300); 및 상기 운전석착석감지부(100),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 및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고려하여 상기 PTO(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브레이크(60)가 채워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신호를 전송하는 주차브레이크감지부(110); 변속기어(70)가 중립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신호를 전송하는 변속기어감지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PTO구동설정부(300)가 온(ON)으로 설정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50)에 착석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PTO정차구동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만 상기 PTO(30)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주차브레이크(60)가 채워지며, 상기 변속기어(70)가 중립 상태인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50)에 착석한 경우에는,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의 설정과 무관하게, 상기 PTO구동설정부(300)가 온(ON)으로 설정되면 상기 PTO(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는, 1단계(OFF)-2단계(ON)-3단계(ON)의 설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상기 3단계로 설정하면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는 상기 2단계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는, 1단계(OFF)-2단계(ON)-3단계(ON)의 설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상기 3단계를 거쳐 상기 2단계로 설정하면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에서 상기 PTO(30)가 구동된 후에라도, 상기 PTO정차구동조건 중 하나 이상이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PTO(3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PTO(30)의 구동이 정지된 후에는,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다음,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를 오프(OFF)로 설정한 후 다시 온(ON)으로 설정하여야 상기 PTO(30)를 다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PTO모드알림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PTO모드알림부(500)는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계속켜짐(solid on)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TO(30) 구동 후에 상기 PTO정차구동조건 중 하나 이상이 불만족되어 상기 PTO(30)의 구동이 정지된 경우에는 상기 PTO모드알림부(500)를 점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고, 다른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를 온(90)으로 설정하고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상기 3단계로 설정하면 경고음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석(50) 착석 여부와 미리 정해진 정차시 PTO 구동 조건 등을 고려하여 PTO(3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PTO(30)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농작업차량(1)을 하차하는 경우 등에 따른 위험 발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에서 PTO 정차 구동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에는 주행 및 작업기 구동 등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엔진(2)에서 발생한 동력을 다수의 축과 기어를 구비하는 변속기(10)를 거쳐 외부로 전달하여 로터리 등 여러 종류의 작업기를 구동시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PTO(Power Take Off)(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에서는 운전자의 운전석(50) 착석 여부 및 농작업차량(1)의 이동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PTO(30)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했다. 즉, 운전자는 상기 PTO(30) 를 구동시킨 상태에서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농작업차량(1)을 하차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경사지 등에서 운전자가 농작업차량(1)을 정차하여 하차하는 경우 PTO(30)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농작업차량(1)이 이동될 수 있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의 운전석(50) 착석 여부와 미리 정해진 정차시 PTO 구동 조건 등을 고려하여 PTO(3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PTO(30)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농작업차량(1)에서 하차하는 경우 등에 따른 위험 발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는, 농작업차량(1)의 운전자가 운전석(50)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운전석착석감지부(100), 상기 농작업차량(1)의 정차시에 PTO(30)의 구동을 허용하는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 상기 PTO(30)의 구동 여부를 설정하는 PTO구동설정부(300) 및 상기 운전석착석감지부(100),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 및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고려하여 상기 PTO(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에는, 주차브레이크(60)가 채워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신호를 전송하는 주차브레이크감지부(1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에는, 변속기어(70)가 중립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신호를 전송하는 변속기어중립감지부(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상기 PTO구동설정부(300)가 온(ON)으로 설정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50)에 착석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PTO정차구동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만 상기 PTO(3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주차브레이크(60)가 채워지며, 상기 변속기어(70)가 중립 상태인 경우를 모두 만족시키는 조건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에는,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 주차브레이크감지부(110) 및 변속기어중립감지부(120)가 모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PTO구동설정부(300)가 온(ON)으로 설정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50)에 착석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미리 정해진 PTO정차구동조건을 만족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고, 주차브레이크(60)가 채워지고, 변속기어(70)가 중립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PTO(30)를 구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에는,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PTO모드알림부(50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예시하고 있고,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순서도를 예시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의 동작을 각 구성 요소 별로 나누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에서 제어부(400)는 운전석착석감지부(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고려하여 운전자가 운전석(50)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00).
이때, 상기 운전석착석감지부(100)는 상기 운전석(50)에 운전자가 착석하였을 때, 상기 운전자의 체중 등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스위치(도 3의 Seat switch)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운전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나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운전석착석감지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전기 신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50)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50)에 착석한 경우에는,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의 설정과 무관하게, 상기 PTO구동설정부(300)가 온(ON)으로 설정되면 상기 PTO(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는 운전자가 온(ON) 또는 오프(OFF)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 단자(도 3의 PTO On/Off switch)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PTO(30)의 구동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50)에 착석한 경우, 상기 PTO구동설정부(300)의 설정을 확인하여(S300) 운전자가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를 온(ON)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PTO(300)를 구동시키게 된다(S400).
즉,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50)에 착석한 경우에는 PTO(30)를 구동시키더라도 위험하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설정하였는지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PTO(30)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S100 단계에서 운전자가 운전석(50)에 착석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PTO정차구동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S200)하여,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PTO구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50)으로부터 이석하여 하차하는 경우에도 상기 운전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발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은 상기 운전자가 하차하는 경우에 PTO가 구동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PTO의 구동 조건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에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설정하여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는 조건(이하 '조건1')이 포함되며, 또한 상기 주차브레이크(60)가 채워지는 조건(이하 '조건2')과 변속기어(70)가 중립 상태로 설정되는 조건(이하 '조건3')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에 상기 조건1 내지 조건3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400)가 PTO정차구동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의 구체적인 순서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400)는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설정하여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조건1에 해당)를 판단(S210)하게 된다.
이어서,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S220 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400)가 상기 주차브레이크감지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상기 주차브레이크(60)를 체결하였는지 여부(조건2에 해당)를 판단(S220)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차브레이크감지부(110)는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60)를 체결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도 3의 Parking brake switch)나 센서 등 다양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주차브레이크(60)가 체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S230 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400)가 상기 변속기어중립감지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상기 변속기어(70)를 중립으로 설정하였는지 여부(조건3에 해당)를 판단(S230)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변속기어중립감지부(120)는 운전자가 변속기어(70)를 중립으로 설정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도 3의 Transmission neutral switch)나 센서 등 다양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에서 조건1 내지 조건3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에는 제어부(400)가 PTO정차구동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S240)하게 되고, 상기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에서 조건1 내지 조건3 중 하나 이상이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어부(400)가 PTO정차구동조건이 만족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S250)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S100 단계에서 운전자가 운전석(50)에 착석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S200), PTO구동설정부(300)가 온(ON)으로 설정되면 PTO(30)가 구동될 수 있다(S400).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0)는 PTO클러치제어밸브(11)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PTO클러치를 접합시킴으로써, 엔진(2)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PTO클러치를 거쳐 PTO 축(도 3의 PTO Shaft)로 전달함으로써, 로터리 등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운전자가 운전석(50)에 착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이 만족되지 못한 경우에는, PTO구동설정과 상관없이 상기 PTO(30)의 구동이 정지되게 된다(S500).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S210, S220 및 S230 단계가 순서대로 판단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S210, S220 및 S230 단계의 순서를 서로 바꾸어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400)는,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PTO(30)가 구동된 후에라도, 상기 PTO정차구동조건 중 하나 이상이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PTO(3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건1 내지 조건3이 만족된 상태에서 제어부(400)가 상기 PTO(30)를 구동시킨 후에,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60)를 풀거나(조건2 해제), 변속기어(70)가 중립에서 다른 기어로 변경되는 경우(조건3 해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PTO(30)의 구동을 정지시켜 운전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50)에 착석하여 PTO정차구동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고 PTO구동설정부(300)를 온(ON)으로 설정하여 PTO(30)를 구동시킨 후,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50)으로부터 이석하여 하차하는 경우, 상기 PTO(3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400)가 PTO정차구동조건의 하나 이상이 불만족되어 상기 PTO(30)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에는,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다음,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를 오프(OFF)로 설정한 후 다시 온(ON)으로 설정하여야 상기 PTO(30)를 다시 구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가 PTO정차구동조건의 하나 이상이 불만족되어 상기 PTO(30)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에는, 다시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이 모두 만족되더라도 바로 PTO(30)를 구동시키지 않고, 운전자가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를 오프(OFF)로 설정한 후 다시 온(ON)으로 설정하여야 상기 PTO(30)를 다시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PTO(30)의 구동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농작업차량(1)을 하차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을 예시하고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는, 1단계(OFF)(210)-2단계(ON)(220)-3단계(ON)(230)의 설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운전자가 스위치나 버튼 등의 설정수단(250)을 이용하여 3단계(230)로 설정하면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는 2단계(220)로 복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는 1단계(OFF)(210)-2단계(ON)(220)-3단계(ON)(230)의 설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상기 3단계(230)를 거쳐 상기 2단계(220)로 설정하면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설정되게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O 제어 장치에는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PTO모드알림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PTO모드알림부(500)에는 PTO모드알림램프(도 3의 PTO enable indicator)가 구비되어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PTO모드알림램프를 계속켜짐(solid on) 상태로 두어 운전자에게 PTO정차구동허용모드의 진입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또한, PTO(30) 구동 후에 PTO정차구동조건 중 하나 이상이 불만족되어 상기 PTO(30)의 구동이 정지된 경우에는 상기 PTO모드알림램프를 점멸하여 운전자에게 PTO(30)의 구동이 정지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
나아가, PTO(30) 구동 후에 PTO정차구동조건 중 하나 이상이 불만족되어 상기 PTO(30)의 구동이 정지된 경우에는 PTO구동설정부(300)의 상태와 PTO의 상태가 다른 경우 상기 PTO모드알림램프를 점멸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PTO모드알림부(500)에는 PTO경고부져(도 3의 warning buzzer)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설정하여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였으나, 다른 PTO정차구동조건를 만족시키지 못한 상태(예를 들어, 주차브레이크(60)가 체결되지 않았거나, 변속기어(70)가 중립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서 PTO구동설정부(300)를 온(90)으로 설정하는 등, 운전자의 착각이나 위험 상황을 알릴 필요가 있는 경우, 경고음을 내어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설정하여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였으나, 다른 PTO정차구동조건를 만족시키지 못한 상태(예를 들어, 주차브레이크(60)가 체결되지 않았거나, 변속기어(70)가 중립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서 PTO구동설정부(300)를 온(90)으로 설정하고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3단계로 설정한 경우 경고음을 내어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농작업차량 2 : 엔진
10 : 변속기 30 : PTO
50 : 운전석 60 : 주차브레이크
70 : 변속기어 100 : 운전석착석감지부
110 : 주차브레이크감지부 120 : 변속기어중립감지부
200 :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 300 : PTO구동설정부
400 : 제어부 500 : PTO모드알림부

Claims (12)

  1. 농작업차량(1)의 운전자가 운전석(50)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운전석착석감지부(100);
    상기 농작업차량(1)의 정차시에 PTO(30)의 구동을 허용하는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
    상기 PTO(30)의 구동 여부를 설정하는 PTO구동설정부(300); 및
    상기 운전석착석감지부(100),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 및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고려하여 상기 PTO(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2. 제1항에 있어서,
    주차브레이크(60)가 채워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신호를 전송하는 주차브레이크감지부(110);
    변속기어(70)가 중립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신호를 전송하는 변속기어중립감지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PTO구동설정부(300)가 온(ON)으로 설정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50)에 착석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PTO정차구동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만 상기 PTO(30)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주차브레이크(60)가 채워지며,
    상기 변속기어(70)가 중립 상태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50)에 착석한 경우에는,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의 설정과 무관하게,
    상기 PTO구동설정부(300)가 온(ON)으로 설정되면 상기 PTO(30)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는,
    1단계(OFF)-2단계(ON)-3단계(ON)의 설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상기 3단계로 설정하면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는 상기 2단계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는,
    1단계(OFF)-2단계(ON)-3단계(ON)의 설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상기 3단계를 거쳐 상기 2단계로 설정하면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에서 상기 PTO(30)가 구동된 후에라도,
    상기 PTO정차구동조건 중 하나 이상이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PTO(30)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PTO(30)의 구동이 정지된 후에는,
    운전자가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다음,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를 오프(OFF)로 설정한 후 다시 온(ON)으로 설정하여야 상기 PTO(30)를 다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PTO모드알림부(5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TO모드알림부(500)는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계속켜짐(solid 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TO(30) 구동 후에 상기 PTO정차구동조건 중 하나 이상이 불만족되어 상기 PTO(30)의 구동이 정지된 경우에는 상기 PTO모드알림부(500)를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TO정차구동허용모드로 진입하고, 다른 상기 PTO정차구동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
    상기 PTO구동설정부(300)를 온(90)으로 설정하고 상기 PTO정차구동허용설정부(200)를 상기 3단계로 설정하면 경고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KR1020170108639A 2017-08-28 2017-08-28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KR10224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639A KR102240419B1 (ko) 2017-08-28 2017-08-28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639A KR102240419B1 (ko) 2017-08-28 2017-08-28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227A true KR20190023227A (ko) 2019-03-08
KR102240419B1 KR102240419B1 (ko) 2021-04-15

Family

ID=6580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639A KR102240419B1 (ko) 2017-08-28 2017-08-28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8492A (zh) * 2019-04-08 2019-06-14 新石器慧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驻车信号的调协方法及调协装置
KR20240050781A (ko) 2022-10-12 2024-04-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033B2 (ja) * 1980-05-26 1983-08-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クス炉における窯口集じん方法
KR920004600A (ko) 1990-08-03 1992-03-27 김연수 내마모부싱용 저탄소브롬강과 그 제조방법
JPH0728723U (ja) * 1993-11-10 1995-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用型作業機の運転制御装置
JP3475599B2 (ja) * 1995-08-24 2003-12-0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搭載車用pto制御装置
KR20040042520A (ko) * 2002-11-14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동력 인출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KR20040053420A (ko) * 2002-12-14 2004-06-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JP2004190636A (ja) * 2002-12-13 2004-07-08 Kubota Corp トラクタ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1017271A (ja) * 2009-07-08 2011-01-27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5899909B2 (ja) * 2011-12-26 2016-04-06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pto制御装置
KR20160089076A (ko) 2015-01-19 2016-07-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to 온/오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6033B2 (ja) * 2011-09-22 2015-12-24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作業動力取り出し構造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033B2 (ja) * 1980-05-26 1983-08-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クス炉における窯口集じん方法
KR920004600A (ko) 1990-08-03 1992-03-27 김연수 내마모부싱용 저탄소브롬강과 그 제조방법
JPH0728723U (ja) * 1993-11-10 1995-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用型作業機の運転制御装置
JP3475599B2 (ja) * 1995-08-24 2003-12-0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搭載車用pto制御装置
KR20040042520A (ko) * 2002-11-14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동력 인출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JP2004190636A (ja) * 2002-12-13 2004-07-08 Kubota Corp トラクタ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20040053420A (ko) * 2002-12-14 2004-06-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JP2011017271A (ja) * 2009-07-08 2011-01-27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5899909B2 (ja) * 2011-12-26 2016-04-06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pto制御装置
KR20160089076A (ko) 2015-01-19 2016-07-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to 온/오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8492A (zh) * 2019-04-08 2019-06-14 新石器慧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驻车信号的调协方法及调协装置
CN109878492B (zh) * 2019-04-08 2020-05-01 新石器慧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驻车信号的调协方法及调协装置
KR20240050781A (ko) 2022-10-12 2024-04-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419B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3771B2 (en) Electric travelling vehicle and grass mower
CN104787040B (zh) 机动车辆停车过程的检测
CN105818812A (zh) 用于车辆的高级驾驶员辅助系统
JP7193435B2 (ja) 作業車
JP2011143801A (ja) Pto制御システム
KR20190023227A (ko)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JP2002248963A (ja) 車両用変速機制御装置
AU2024201548A1 (en) Driver and diagnostic system for a brake controller
EP3411258B1 (en) Tracked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6893405B2 (ja) 作業車両の停止システム
JP2011017271A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01459760B1 (ko) 지게차의 주변 경고장치
US20140052332A1 (en) Tpms connected to propulsion system
JP7421707B2 (ja) 作業車両
WO2008065396A1 (en) Electronic braking system
KR200262478Y1 (ko) 차량의 사각지대 안전경보장치
AU2014100378A4 (en) Warning arrangement
JP2022165450A (ja) 作業車両
JP2021118731A (ja) 農作業機
JP2021036793A5 (ko)
CN116768104A (zh) 车辆安全区域警报系统
CN115431903A (zh) 一种车辆断轴检测方法、装置、介质以及车辆
CN116691595A (zh) 一种安全带防作弊方法、系统、设备、介质和汽车
JP2021076440A (ja) 車両用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2014688A (ja) 農業機械の音声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