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3420A -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3420A
KR20040053420A KR1020020079973A KR20020079973A KR20040053420A KR 20040053420 A KR20040053420 A KR 20040053420A KR 1020020079973 A KR1020020079973 A KR 1020020079973A KR 20020079973 A KR20020079973 A KR 20020079973A KR 20040053420 A KR20040053420 A KR 20040053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to
buzzer
exhaust
power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5982B1 (ko
Inventor
전영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9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에 있어서, 부져(9)에 클러치 스위치(1)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리세트된 후 정해진 시간동안 부져(9)가 작동되도록 하는 타이머(12)를 부가 설치하여, 정차중 작동시켜 놓았던 동력인출장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주행할 때에는 변속시 마다 온/오프 작동되는 클러치 스위치에 의해 타이머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 및 공급되도록 하므로써 그때 마다 부져가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되어 운전자가 청각을 통해 자신이 부주의로 동력인출장치의 스위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자동차를 주행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오프"시킬 수 있어 주행중 동력인출장치가 계속 구동됨으로 인한 오일 펌프의 소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Operation Warning Device of Power Take Off for Truck}
본 발명은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상적인 동력인출장치(POT : Power Take Off)의 작동중에는 램프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정해진 시간동안 부져를 작동시키고, 정차중 작동시켜 놓았던 동력인출장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주행(즉, 비정상적인 주행)할 때에는 변속시 마다 온/오프 작동되는 클러치 스위치를 이용하여 부져 작동용 타이머를 리세트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부져가 작동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자동차의 주행중 부주의로 동력인출장치의 스위치를 "온"시킨 상태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에는 특장차용으로 엔진의 동력을 주행이 아닌 특수장치(예를들어 덤프, 펌프 등)에 공급해 주기 위한 시스템으로 동력인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동력인출장치는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과는 관계없는 다른 용도에 이용하기 위해서 설치한 장치로서 변속기의 부축 기어에 공전기어를 슬라이딩 시켜 동력을 인출하며, 동력 인출의 단속은 공정기어를 물리고 이탈시켜아 하며, 덤프트럭의 오일펌프 구동 및 소방 자동차의 물펌프 구동 등에 이용된다.
한편, 이와 같은 동력인출장치는 주로 오일을 매개물로 사용하는데, 일정 작업후 운전자 과실로 동력인출장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주행했을때는 계속적인 엔진 동력의 전달로 오일 펌프가 소착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클러스터에 램프를 설치하거나 부져를 설치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때, 부져를 채택한 방식은 도 1의 (a)와 같이 전원단자(IG)와 접지 단자(GND) 사이에 통상시 "온"상태를 유지하는 클러치 스위치(1), 악셀 스위치(2),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 배기밸브(3) 및 운전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배기 스위치(4)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단자(IG)와 배기밸브(3) 및 배기 스위치(4)의 접속점 사이에는 배기램프(5)를 설치하고, 상기 클러치 스위치(1)와 악셀 스위치(2)의 접속점과 접지단자 사이에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2)와 PTO 제어용 릴레이(6)의 코일 및 운전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PTO 작동 스위치(7)를 직렬 연결하며, 상기 전원단자(IG)와 PTO 작동 스위치(7) 사이에는 PTO 제어용 릴레이(6)의 접점 스위치(S1)와 PTO 밸브(8)를 직렬 연결하되, 상기 PTO 제어용 릴레이(6)의 접점 스위치(S1)와 PTO 밸브(8)에는 각각 PTO 포지션 스위치(11)와 부져(9)를 병렬 연결시켜준 구성을 갖는다.
또한, 램프를 채택한 방식은 도 1의 (b)와 같이, 전원단자(IG)와 접지 단자(GND) 사이에 통상시 "온"상태를 유지하는 클러치 스위치(1), 악셀 스위치(2),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 배기밸브(3) 및 운전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배기 스위치(4)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단자(IG)와 배기밸브(3) 및 배기 스위치(4)의 접속점 사이에는 배기램프(5)를 설치하고, 상기 클러치 스위치(1)와 악셀 스위치(2)의 접속점과 접지단자 사이에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2)와 PTO 제어용 릴레이(6)의 코일 및 운전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PTO 작동 스위치(7)를 직렬 연결하며, 상기 전원단자(IG)와 PTO 작동 스위치(7) 사이에는 PTO 제어용 릴레이(6)의 접점 스위치(S1)와 PTO 밸브(8)를 직렬 연결함과 동시에 PTO 램프(10)를 설치하되, 상기 PTO 제어용 릴레이(6)의 접점 스위치(S1)에는 PTO 포지션 스위치(11)를 병렬 연결시켜 준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는 운전자가 동력인출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클러치 패달을 밟고 PTO 작동 스위치(7)를 "온"시키면 통상시 "온"상태를 유지하던 클리치 스위치(1)가 "오프"되므로 PTO 제어용 릴레이(6)의 구동이 차단되어 접점 스위치(S1)의 가동단자가 통상시 개방단자측으로 접속되므로 PTO 밸브(8)가 구동되어 동력인출장치가 구동됨과 동시에 부져(9)가 작동되므로 운전자가 동력인출장치의 구동상태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으나, 상기 부져(9)는 정상적인 동력인출장치의 작동중에도 계속해서 부져음을 발생시키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그러므로, 일부 운전자들은 부져(9) 자체를 떼어내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와같이 부져(9)를 떼어낼 경우 그 경고장치의 기능이 아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운전자가 동력인출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클러치 패달을 밟고 PTO 작동 스위치(7)를 "온"시키면 통상시 "온"상태를 유지하던 클리치 스위치(1)가 "오프"되므로 PTO 제어용 릴레이(6)의 구동이 차단되어 접점 스위치(S1)의 가동단자가 통상시 개방단자측으로 접속되므로 PTO 밸브(8)가 구동되어 동력인출장치가 구동됨과 동시에 램프(10)가 점등되므로 운전자가 동력인출장치의 구동상태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으나, 운전자가 동력인출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경고 램프를 미처 보지 못하고 자동차를 주행시키는 실수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경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가 정차중인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동력인출장치가 작동중에 있으면 램프를 점등시켜 줌과 동시에 정해진 시간동안 부져를 작동시켜 주고, 정차중 작동시켜 놓았던 동력인출장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주행할 때에는 변속시 마다 온/오프 작동되는 클러치 스위치를 이용하여 부져 작동용 타이머를 리세트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부져가 작동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부주의로 동력인출장치의 스위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자동차를 주행시킴으로 인한 오일 펌프의 소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클러치 스위치, 악셀 스위치, 다이오드, 배기밸브 및 배기 스위치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단자와 배기밸브 및 배기 스위치의 접속점 사이에는 배기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 스위치와 악셀 스위치의 접속점과 접지단자 사이에는 다이오드와 PTO 제어용 릴레이의 코일 및 PTO 작동 스위치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전원단자와 PTO 작동 스위치의 일측 사이에는 상호 직렬 연결된 PTO 제어용 릴레이의 접점 스위치와 PTO 밸브 및 부져와 램프가 각각 병렬 연결된 구성을 갖는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져에 클러치 스위치 및 다이오드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리세트된 후 정해진 시간동안 부져를 작동시키는 타이머를 부가 설치하여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정차중 작동시켜 놓았던 동력인출장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주행할때에는 변속시 마다 온/오프 작동되는 클러치 스위치에 의해 타이머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 및 공급되므로 그때 마다 부져가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되므로 운전자가 청각을 통해 자신이 부주의로 동력인출장치의 스위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자동차를 주행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오프"시킬 수 있어 주행중 동력인출장치가 계속 구동됨으로 인한 오일 펌프의 소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의 (a)(b)는 종래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회로도.
도 3의 (a)-(c)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러치 스위치 2 : 악셀 스위치
3 : 배기밸브 4 : 배기 스위치
5 : 배기램프 6 : PTO 제어용 릴레이
7 : PTO 작동 스위치 8 : PTO 밸브
9 : 부져 10 : 램프
11 : PTO 포지션 스위치 12 : 타이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a)-(c)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전원단자(IG)와 접지 단자(GND) 사이에 클러치 스위치(1), 악셀 스위치(2), 다이오드(D1), 배기밸브(3) 및 배기 스위치(4)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단자(IG)와 배기밸브(3) 및 배기 스위치(4)의 접속점 사이에는 배기램프(5)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 스위치(1)와 악셀 스위치(2)의 접속점과 접지단자(GND) 사이에는 다이오드(D2)와 PTO 제어용 릴레이(6)의 코일 및 PTO 작동 스위치(7)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전원단자(IG)와 PTO 작동 스위치(7)의 일측 사이에는 상호 직렬 연결된 PTO 제어용 릴레이(6)의 접점 스위치(S1)와 PTO 밸브(8) 및 PTO 포지션 스위치(11)와 부져(9) 및 램프(10)가 각각 병렬 연결된 구성을 갖는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져(9)에 클러치 스위치(1)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리세트된 후 정해진 시간동안 부져(9)가 작동되도록 하는 타이머(12)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기존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에 타이머(12) 작동 제어용 타이머(12)를 부가 설치한 것을 주요 기술 구성으로 한다.
즉, 상기 부져(9)에 클러치 스위치(1)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리세트된 후 정해진 시간동안 부져(9)가 작동되도록 하는 타이머(12)를 부가 설치한 것을 주요 기술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정차중 동력인출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클러치 패달을 밟고 도 3의 (b)와 같이 PTO 작동 스위치(7)를 "온"시키면 종래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와 같이 통상시 "온"상태를 유지하던 클리치 스위치(1)가 도 3의 (a)와 같이 "오프"되므로 PTO 제어용 릴레이(6)의 구동이 차단되어 접점 스위치(S1)의 가동단자가 통상시 개방단자측으로 접속되므로 PTO 밸브(8)가 구동되어 동력인출장치가 구동된다.
이때, 상기 부져(9)에 설치되어 있는 타이머(12)는 클러치 스위치(1)가 "오프"되는 순간 리세트된 후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하게 되므로 상기 부져(9)는 도 3의 (c)와 같이 타이머(12)에 의해 정해진 시간 동안 작동한 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12)가 재 리세트 되기 전까지는 작동이 정지된다.
물론, 램프(10)는 타이머(12)의 작동과 무관하게 PTO 작동 스위치(7)가 "온"되는 순간부터 점등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자는 상기 램프(10)와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되는 부져(9)를 통해 동력인출장치의 구동상태를 청각 및 시각을 통해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자동차를 정차시킨 상태에서 동력인출장치를 작동시킨 후 PTO 작동 스위치(7)를 정상적으로 "오프"시키면 클러치 스위치(1)의 온/오프와 무관하게 타이머(12), 부져(9) 및 램프(10)의 작동은 정지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부주의로 인해 상기와 같이 자동차를 정차시킨 상태에서 동력인출장치를 작동시킨 후 PTO 작동 스위치(7)를 "오프"시키지 않고(즉, "온"상태에 놓고) 자동차를 출발하기 위해서 또는 자동차를 주행시키던 중 변속을 위해 클러치 패달을 밟음으로 인해 클러치 스위치(1)가 일시적이라도 "오프"되었다가 "온"되면 상기 타이머(12)가 클러치 스위치(1)의 "오프"순간 리세트되었다가 "온"되는 순간 작동하게 되므로 그 때부터 부져(9)는 상기 타이머(12)에 의해 정해진 시간 동안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동차를 운행시키던 중 상기 부져(9)에서 발생되는 부져음을 청각을 통해 인지하고 자신이 부주의로 자동인출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자동차를 주행시키고 있음을 인식하고 즉시 PTO 작동 스위치(7)를 "오프"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 중 자동인출장치의 작동이 해제되지 않아 부져(9)가 정해진 시간동안 울리고 있는 상태에서도(즉, 타이머(12)에 의해 정해진 시간이 남아 있는 상태) 운전자가 이를 해제하지 않고 변속을 지속하므로 인해 클러치 스위치(1)가 계속해서 오프/온 상태가 지속되면, 부져(9)의 작동이 이전 타이머(12)의 잔여 시간과 무관하게 새로이 시작되는 정해진 시간동안 지속되므로 부져(9)는 계속해서 울리게 된다.
물론, 전술과 같이 자동차의 주행중 변속을 위해 클러치를 작동할시 부져(9)가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되는 도중 운전자가 자신의 실수를 인식하고 언제라도 상기 PTO 작동 스위치(7)를 "오프"시키면 타이머(12)의 잔여시간과 무관하게 그 즉시 부져(9)의 작동은 차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장차가 정차중인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동력인출장치가 작동되면 그 상태를 알리기 위한 램프가 점등됨과 동시에 부져가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되고, 운전자가 부주의로 인해 정차중 작동시켜 놓았던 동력인출장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자동차를 주행시킬 때에는 변속시 마다 온/오프 작동되는 클러치 스위치에 의해 부져 작동용 타이머가 리세트되었다가 다시 작동되어 부져가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되므로 운전자가 자신이 부주의로 인해 동력인출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았음을 청각을 통해 즉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어 자동차의 주행중 동력인출장치가 계속 작동되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오일 펌프의 소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전원단자(IG)와 접지 단자(GND) 사이에 클러치 스위치(1), 악셀 스위치(2), 다이오드(D1), 배기밸브(3) 및 배기 스위치(4)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단자(IG)와 배기밸브(3) 및 배기 스위치(4)의 접속점 사이에는 배기램프(5)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 스위치(1)와 악셀 스위치(2)의 접속점과 접지단자(GND) 사이에는 다이오드(D2)와 PTO 제어용 릴레이(6)의 코일 및 PTO 작동 스위치(7)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전원단자(IG)와 PTO 작동 스위치(7)의 일측 사이에는 상호 직렬 연결된 PTO 제어용 릴레이(6)의 접점 스위치(S1)와 PTO 밸브(8) 및 PTO 포지션 스위치(11)와 부져(9) 및 램프(10)가 각각 병렬 연결된 구성을 갖는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져(9)에 클러치 스위치(1)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리세트된 후 정해진 시간동안 부져(9)가 작동되도록 하는 타이머(12)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KR10-2002-0079973A 2002-12-14 2002-12-14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KR100475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973A KR100475982B1 (ko) 2002-12-14 2002-12-14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973A KR100475982B1 (ko) 2002-12-14 2002-12-14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420A true KR20040053420A (ko) 2004-06-24
KR100475982B1 KR100475982B1 (ko) 2005-03-10

Family

ID=3734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973A KR100475982B1 (ko) 2002-12-14 2002-12-14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9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587A (ko) 2015-09-04 2017-03-14 주식회사 포스코 도어 클리너 스크래퍼 센터링 장치
CN108583278A (zh) * 2018-03-30 2018-09-28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带离合器的取力器继电器控制系统及其使用方法
KR20190023227A (ko) * 2017-08-28 2019-03-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139A (ja) * 1984-01-18 1985-08-09 Tokyu Car Corp ダンプトラツク操作警告装置
JP3475656B2 (ja) * 1996-05-15 2003-12-0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Pto制御装置
KR200169649Y1 (ko) * 1997-08-05 2000-03-02 임광철 차량설치용 동력인출장치의 안전제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587A (ko) 2015-09-04 2017-03-14 주식회사 포스코 도어 클리너 스크래퍼 센터링 장치
KR20190023227A (ko) * 2017-08-28 2019-03-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CN108583278A (zh) * 2018-03-30 2018-09-28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带离合器的取力器继电器控制系统及其使用方法
CN108583278B (zh) * 2018-03-30 2023-05-05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带离合器的取力器继电器控制系统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5982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8772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having idle stop function
US8689758B2 (en) Starter control apparatus
TW200615445A (en) Idling stop control apparatus
KR100475982B1 (ko)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KR20100058164A (ko) 차량 경고등 제어 시스템
US6271749B1 (en) Semi-automatic transmission for motor vehicles
US5519259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 motor vehicle
JPH08133066A (ja) 自動車用プログラム制御回路
KR20070092412A (ko) 차량용 버튼 시동장치
JP2010077994A (ja) 車両用制御装置
KR200169649Y1 (ko) 차량설치용 동력인출장치의 안전제어 시스템
EP0004437B2 (en) Motor vehicle fault indication system
KR20040036268A (ko) 차량의 급출발 방지장치
JPS6219455Y2 (ko)
KR20040031262A (ko) 차량용 동력인출 안전회로
EP0377341A1 (en) Engine starting device
KR200215482Y1 (ko) 엔진 운전 제어 장치
KR0132510Y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릴리저
JPS6214441Y2 (ko)
KR100391209B1 (ko) 자동차의 후진 경보장치
JPS6238820Y2 (ko)
KR20020030346A (ko) 차량의 엔진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CN202417637U (zh) 拖拉机传动系强制压力润滑系统压力报警装置
KR10065475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브레이크 램프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JPH0732233Y2 (ja) パワーテークオフ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