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142A - 유니트 체어 - Google Patents

유니트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142A
KR20190022142A KR1020170108061A KR20170108061A KR20190022142A KR 20190022142 A KR20190022142 A KR 20190022142A KR 1020170108061 A KR1020170108061 A KR 1020170108061A KR 20170108061 A KR20170108061 A KR 20170108061A KR 20190022142 A KR20190022142 A KR 20190022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lever
rotating body
uni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8009B1 (ko
Inventor
조상범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8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0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61G15/125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헤드레스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동작 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조정부는 회전체, 면접부, 및 면접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와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면접부는 상기 회전체에 면접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면접 조정부는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에 면접시키거나 또는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게 구비될 수 있고, 특히 상기 헤드레스트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면접부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니트 체어{Unit Chair}
본 발명은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동작 조정부를 구비하는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치과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니트 체어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환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등을 포함하고, 그리고 스켈러, 핸드피스 등과 같은 시술 공구, 시술 공구를 거치할 수 있는 닥터 테이블, 급수대 등을 구비하고 있는 치과 관련 치료 및 시술을 위한 전문 기구이다.
시트는 등받이와 다리받침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헤드레스트는 등받이의 상부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헤드레스트는 정방향으로는 회전이 자유롭지만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래치 기어(ratchet gear)를 사용하여 동작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레스트의 역방향으로의 동작은 래치 기어에 면접하고 있는 부재를 래치 기어로부터 이탈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래치 기어에 힘이 가해진 상태, 즉 헤드레스트에 머리가 받혀진 상태에서는 래치 기어에 면접하고 있는 부재를 래치 기어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헤드레스트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것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헤드레스트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를 역방향으로 쉽게 동작시킬 수 있는 동작 조정부를 구비하는 유니트 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헤드레스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동작 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조정부는 회전체, 면접부, 및 면접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와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면접부는 상기 회전체에 면접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면접 조정부는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에 면접시키거나 또는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게 구비될 수 있고, 특히 상기 헤드레스트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면접부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면접 조정부는 샤프트, 레버, 및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면접부의 양측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레버는 상기 면접부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샤프트의 양측 단부가 면접하면서 상기 샤프트가 움직이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샤프트의 양측 단부를 상기 몸체부의 양측벽에 밀착시킬 수 있는 밀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분에는 상기 레버가 상, 하로 움직일 때 상기 레버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 하로 활주할 수 있도록 활주 경로가 형성되는 활주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상기 활주 경로에 상기 레버의 단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헤드레스트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헤드레스트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머리를 헤드레스트로부터 들어 올려야 하는 종래와는 달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환자가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눕힌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를 역방향으로 쉽게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환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에 면접부가 면접하고 있어 회전체가 정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로부터 면접부를 이탈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로부터 면접부가 이탈하여 회전체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환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헤드레스트(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는 다리받침(11)과 등받이(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니트 체어(100)에는 스켈러, 핸드피스 등과 같은 시술 공구, 시술 공구를 거치할 수 있는 닥터 테이블, 환자에게 물을 급수할 수 있는 급수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레스트(15)는 등받이(13)의 상부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헤드레스트(15)와 등받이(13)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헤드레스트(1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동작 조정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레스트(15)의 정방향으로의 동작은 헤드레스트(15)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눕혀지는 상태로 위치시키는 것일 수 있고, 헤드레스트(15)의 역방향으로의 동작은 헤드레스트(15)가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세워지는 상태로 위치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헤드레스트(15)의 정방향으로의 동작은 헤드레스트(15)가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세워지는 상태로 위치시키는 것일 수 있고, 헤드레스트(15)의 역방향으로의 동작은 헤드레스트(15)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눕혀지는 상태로 위치시키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15)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로의 동작은 헤드레스트(15)의 일방향으로의 동작이 정방향일 경우 일방향과 반대되는 타방향을 역방향으로 보면 되는 것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조정부(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에 면접부가 면접하고 있어 회전체가 정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6 내지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로부터 면접부를 이탈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 내지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로부터 면접부가 이탈하여 회전체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조정부(200)는 회전체(21), 면접부(23), 면접 조정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21)는 헤드레스트(15)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체(21)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21)가 정회전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15)는 정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고, 회전체(21)가 역회전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15)는 역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면접부(23)는 회전체(21)에 면접하거나 또는 회전체(21)로부터 이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면접부(23)가 회전체(21)에 면접되어 있을 경우 회전체(21)는 오직 정회전만 할 수 있고, 면접부(23)가 회전체(21)로부터 이탈되어 있을 경우 회전체(21)는 역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회전체(21)는 레치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면접부(23)는 레치 기어의 기어홈에 끼워지는 걸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의 헤드레스트(15)는 정방향으로는 동작이 자유롭지만 역방향으로는 동작이 자유롭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면접 조정부(25)는 면접부(23)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면접 조정부(25)는 면접부(23)가 회전체(21)에 면접되게 면접부(23)의 동작을 조정하거나 또는 면접부(23)가 회전체(21)로부터 이탈되게 면접부(23)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면접 조정부(25)는 헤드레스트(15)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면접부(23)를 회전체(2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언급한 면접 조정부(25)가 구비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헤드레스트(15)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15)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헤드레스트(15)에 환자의 머리가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15)를 역방향으로 쉽게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헤드레스트(15)에 힘이 가해진 상태애서도 면접부(23)를 회전체(21)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는 면접 조정부(25)는 샤프트(27), 레버(29), 몸체부(31), 밀착부(35), 지지부(37), 활주 블록(41), 경사 돌기(45), 탄성부(47)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샤프트(27)는 면접부(23)의 양측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27)는 면접부(23)의 상부 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레버(29)는 면접부(23)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로서, 면접부(23)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버(29)가 면접부(23)의 주변부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경우 면접부(23)를 동작시키기 위한 힘이 한쪽으로 치우쳐져서 면접부(23)를 원활하게 동작시키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29)는 면접부(23)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조, 즉 면접부(23)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레버(29)는 면접부(23)의 하부 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면접부(23)의 상부 쪽에는 면접부(23)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 샤프트(27)가 구비될 수 있고, 면접부(23)의 하부 쪽에는 면접부(23)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 레버(29)가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31)는 면접부(23)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몸체부(31)는 면접부(23)를 수용할 때 샤프트(27)의 양측 단부가 면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몸체부(31)는 샤프트(27)의 양측 단부가 면접할 수 있는 벽체 및 벽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을 가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31)는 면접부(23)의 동작시 샤프트(27)가 움직이는 이동 경로(33)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몸체부(31)는 양측 단부가 벽체에 면접되어 있는 샤프트(27)가 벽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이동 경로(33)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언급한 샤프트(27), 레버(29), 몸체부(31)를 포함하는 면접 조정부(25)를 구비함으로서 헤드레스트(15)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면접부(23)를 회전체(21)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면접 조정부(25)의 레버(29)를 사용하여 면접부(23)를 동작시킴과 아울러 면접 조정부(25)의 샤프트(27) 및 몸체부(31)에 의해 면접부(23)가 이동 경로(33)를 따라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15)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면접부(23)를 회전체(21)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샤프트(27)가 몸체부(31)에 충분하게 면접되지 않는 상태에서 면접부(23)가 몸체부(31)의 이동 경로(33)를 따라 움직일 경우 이동 경로(33)에서 이탈함에 의해 면접부(23)의 움직임에 방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27)는 몸체부(31)에 충분하게 면접된 상태, 즉 몸체부(31)에 충분하게 밀착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샤프트(27)에는 샤프트(27)의 양측 단부를 몸체부(31)의 양측벽에 밀착시킬 수 있는 밀착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언급한 밀착부(35)는 몸체부(31)의 양측벽을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35)는 샤프트(27)에 내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레버(29)의 상, 하 움직임을 통하여 회전체(21)로부터 면접부(23)를 이탈시키거나 또는 회전체(21)로 면접부(23)를 면접시킬 수 있다. 특히, 레버(29)가 면접부(23)의 하부 쪽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레버(29)가 상부 쪽으로 위치하도록 움직일 경우에는 회전체(21)로부터 면접부(23)가 이탈될 수 있을 것이고, 레버(29)가 하부 쪽으로 위치하도록 움직일 경우에는 회전체(21)로 면접부(23)가 면접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레버(29)에는 레버(29)가 상, 하로 움직일 때 레버(29)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37)는 레버(29)가 상, 하로 움직일 때 지렛대 역할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레버(29)에 힌지 결합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7)가 레버(29)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분이 아닌 한쪽 방향으로 치우친 부분에 위치하게 구비될 경우에는 힘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레버(29)의 상, 하 움직임에 지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지지부(37)는 레버(29)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분에 위치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면접 조정부(25)는 레버(29)의 상, 하 움직임시 레버(29)가 상, 하로 활주할 수 있도록 활주 경로(43)가 형성되는 활주 블록(41)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29)가 상, 하로 움직이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활주 경로(43)의 경우에도 상, 하로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활주 경로(43)에 레버(29)의 단부(39)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활주 블록(41)을 좌, 우로 이동시킴에 의해 활주 경로(43)에 위치하는 레버(29)의 단부(39)가 활주 경로(43)를 따라 상, 하로 움직임으로써 레버(29)가 상, 하로 움직일 수 있고, 그 결과 면접부(23)가 회전체(21)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회전체(21)에 면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 면접 조정부(25)는 몸체부(31)의 벽체에 형성되는 경사 돌기(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면접 조정부(25)는 면접부(23)와 레버(29)가 연결되는 부분에 면접부(23)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서의 헤드레스트를 동작시키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별도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체(21)는 면접부(23)에 면접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체(21)는 정회전만 할 수 있다. 이에, 헤드레스트(15) 또한 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활주 블록(41)의 활주 경로(43) 하부 쪽에 레버(29)의 단부(39)가 위치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헤드레스트(15)에는 환자가 머리를 눕히고 있을 수 있는 상황일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황에서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활주 경로(43) 하부 쪽에 위치하는 레버(29)의 단부(39)가 활주 경로(43) 상부 쪽으로 위치하게 경사 블록을 이동시킨다. 그러면 면접부(23) 쪽의 레버(29)가 하부 쪽으로 내려가게 되고, 레버(29)와 연결되어 있는 면접부(23)가 회전체(21)의 하부 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또한, 샤프트(27)는 탄성부(47)의 밀어주는 힘에 의해 이동 경로(33)의 따라 내려가면서 경사 돌기(45) 상부 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계속해서, 도 10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레버(29)의 단부(39)가 활주 경로(43) 상부에 위치하게 경사 블록을 이동시키면 면접부(23) 쪽의 레버(29)가 하부 쪽으로 완전히 내려가게 되고, 레버(29)와 연결되어 있는 면접부(23)가 회전체(21)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에, 면접부(23)가 회전체(21)로부터 완전하게 이탈됨으로서 회전체(21)를 자유롭게 역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환자가 헤드레스트(15)에 머리를 눕힌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15)를 역방향으로 쉽게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활주 경로(43) 상부에 위치한 레버(29)의 단부(39)를 활주 경로(43) 하부에 위치하도록 활주 블록(41)을 이동시키면 면접부(23)가 회전체(21)에 다시 면접함으로서 회전체(21)는 정회전만 하게 되고, 그 결과 헤드레스트(15) 또한 정방향으로만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헤드레스트의 동작을 조정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헤드레스트의 동작을 조정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 다리받침 13 : 등받이
15 : 헤드레스트 21 : 회전체
23 : 면접부 25 : 면접 조정부
27 : 샤프트 29 :레버
31 : 몸체부 33 : 이동 경로
35 : 밀착부 37 : 지지부
39 : 레버의 단부 41 : 활주 블록
43 : 활주 경로 45 : 경사 돌기
47 : 탄성부 100 : 유니트 체어
200 : 동작 조정부

Claims (5)

  1. 헤드레스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동작 조정부를 구비하는 유니트 체어에 있어서,
    상기 동작 조정부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와 연결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면접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하도록 구비되는 면접부; 및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에 면접시키거나 또는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게 구비되면서 상기 헤드레스트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상기 면접부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면접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접 조정부는,
    상기 면접부의 양측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샤프트;
    상기 면접부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레버; 및
    상기 샤프트의 양측 단부가 면접하면서 상기 샤프트가 움직이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샤프트의 양측 단부를 상기 몸체부의 양측벽에 밀착시킬 수 있는 밀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분에는 상기 레버가 상, 하로 움직일 때 상기 레버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 하로 활주할 수 있도록 활주 경로가 형성되는 활주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활주 경로에 상기 레버의 단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하는 유니트 체어.
KR1020170108061A 2017-08-25 2017-08-25 유니트 체어 KR102028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061A KR102028009B1 (ko) 2017-08-25 2017-08-25 유니트 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061A KR102028009B1 (ko) 2017-08-25 2017-08-25 유니트 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142A true KR20190022142A (ko) 2019-03-06
KR102028009B1 KR102028009B1 (ko) 2019-10-04

Family

ID=6576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061A KR102028009B1 (ko) 2017-08-25 2017-08-25 유니트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8415A (zh) * 2020-07-07 2020-09-15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机械调控的牙科综合治疗椅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989A (ja) * 1993-04-14 1994-10-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用椅子
KR19980077703A (ko) * 1997-04-22 1998-11-16 김영귀 세퍼레이트 시트의 암레스트 회전각도 조절장치
KR100222165B1 (ko) * 1994-07-06 1999-10-01 정몽규 차량의 시트 백 조절장치
KR20140115715A (ko) * 2013-03-22 2014-10-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유니트 체어용 헤드레스트
KR101629400B1 (ko) * 2014-07-18 2016-06-1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용 유니트 체어
KR101880095B1 (ko) * 2017-05-17 2018-07-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유니트 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989A (ja) * 1993-04-14 1994-10-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用椅子
KR100222165B1 (ko) * 1994-07-06 1999-10-01 정몽규 차량의 시트 백 조절장치
KR19980077703A (ko) * 1997-04-22 1998-11-16 김영귀 세퍼레이트 시트의 암레스트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140115715A (ko) * 2013-03-22 2014-10-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유니트 체어용 헤드레스트
KR101629400B1 (ko) * 2014-07-18 2016-06-1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용 유니트 체어
KR101880095B1 (ko) * 2017-05-17 2018-07-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유니트 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8415A (zh) * 2020-07-07 2020-09-15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机械调控的牙科综合治疗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009B1 (ko) 2019-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6866B1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SE0301293L (sv) Patientstol med sits förskjutbar i höjdled
JP2006346273A5 (ko)
KR101378400B1 (ko)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KR20190022142A (ko) 유니트 체어
EP1652505A3 (de) Behandlungsstuhl, insbesondere dentalmedizinischer Behandlungsstuhl
KR100916753B1 (ko)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KR101440918B1 (ko) 의자용 팔걸이
JP2018057497A (ja) フッ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医療用診療装置
JP2024023393A (ja) ユニットチェア
JP4779637B2 (ja) マッサージ椅子
KR101880095B1 (ko) 유니트 체어
KR101629400B1 (ko) 의료용 유니트 체어
KR20110123294A (ko) 골반 보호용 의자
KR20140110558A (ko) 안마 의자
JP2009056268A (ja) 電動式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400428B1 (ko) 이미용 의자의 시트 지지대 및 그 시트 지지대 부착 세발기
CN209019200U (zh) 一种眼部填充手术用趴趴椅
JPH11164858A (ja) 医科・歯科用チェアユニットのヘッドレスト
KR20160010777A (ko)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KR20140089194A (ko) 허리운동장치가 구비된 의자
JP2007014454A (ja) 椅子の背もたれカバー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適用した患者用椅子
KR102361807B1 (ko) 유니트 체어
KR200431418Y1 (ko) 전동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치과용 유닛체어
JP3214656U (ja) 介護用歩行器の背当て支持機構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