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777A -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777A
KR20160010777A KR1020140090849A KR20140090849A KR20160010777A KR 20160010777 A KR20160010777 A KR 20160010777A KR 1020140090849 A KR1020140090849 A KR 1020140090849A KR 20140090849 A KR20140090849 A KR 20140090849A KR 20160010777 A KR20160010777 A KR 20160010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elvis
plate member
user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830B1 (ko
Inventor
박규남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8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는 사용자의 착석시 둔부 및 허벅지 부위를 받쳐주는 좌판부재, 좌판부재와 소정각도로 연결되어 좌판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사용자의 골반에 전달하는 골반지지부재, 좌판부재의 상하운동으로 골반지지부재의 전후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좌판부재의 하부측면에 부착되어 회동하는 축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A CHAIR AUXILIARY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본 발명의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좌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골반에 압력을 가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이나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은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공부 또는 업무를 의자에 앉은 상태로 테이블에서 수행하고 있다. 이때, 학생 또는 직장인과 같은 테이블 사용자들은 의자에 기대어 앉거나, 테이블 쪽으로 상체를 구부려서 수행하고 있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상체의 하중이 허리에 집중됨으로써, 쉽게 피로감을 끼게 될 뿐만 아니라, 자세가 올바르지 않아 척추측만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수험생과 같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공부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는 착석 시간이 점차 경과함에 따라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허리가 결리거나 척추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하여 팔에 힘이 들어가게 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되면 팔의 힘이 손으로 전달되어 글쓰기 등 불안한 자세가 발생함으로써 집중 불안 및 신체의 피로가 쌓이게 되어 사용자가 의자에서 오랜 시간을 버티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자세교정을 위한 의자들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특히 자세교정을 위해 인체의 요추부분을 곧바로 설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의자와 척추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기 위해 테이블 쪽으로 몸이 향하도록 하고, 테이블 방향으로 발걸이를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의자가 제작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처럼 자세교정을 위한 의자들에 적용되는 기술들은 실제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 모두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된다. 즉 실제 일반의자에서 곧은 자세로 앉아 있어 별다른 교정이 필요없는 사용자는 의도와는 관계없이 자세교정을 위한 의자에 앉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자세교정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의자인 테이블 쪽에 팔걸이를 설치해서 몸 전체가 테이블 쪽을 향하도록 하는 의자는 허리에 작용하는 하중은 줄어들지 모르나 어깨와 팔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하여 사용자의 몸전체에 전달되는 피로도는 경감하지 않는다.
더불어 자세교정을 위한 의자들 상당수가 사용자들의 신체 사이즈를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제작되어 신체의 피로도가 더욱 증가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착탈이 가능한 착좌 자세교정을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절가능한 착좌 자세교정을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는 사용자의 착석시 둔부 및 허벅지 부위를 받쳐주는 좌판부재, 좌판부재와 소정각도로 연결되어 좌판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사용자의 골반에 전달하는 골반지지부재, 좌판부재의 상하운동으로 골반지지부재의 전후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좌판부재의 하부측면에 부착되어 회동하는 축봉을 포함한다.
여기서, 좌판부재는 측면 소정영역에 조절톱니가 형성되며, 축봉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본체, 원통형 본체 내부에 삽입 체결되는 회전체 및 회전체와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회전체는 단부의 소정영역에 회전톱니가 형성되며, 좌판부재가 삽입되어 조절톱니와 회전톱니가 맞물리고, 좌판부재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원통형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체는 회전톱니를 포함하는 직경이 원통형 본체의 내경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골반지지부재의 골반과 맞닿는 영역에는 에틸렌초산비닐(EVA)소재의 완충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좌식의자는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를 포함하는 좌판 및 좌판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착좌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는 편안하고 곧은 자세로 착좌가 가능토록 하며, 의자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을 원하는 경우에만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서 곧은 자세 유지를 위한 기구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의자에 사용자가 곧은 자세 유지를 위한 의식없이 착좌하더라도 자연적으로 골반에 압력이 가해져서 올바른 착좌자세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의 실제 사용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가 포함하는 좌판부재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가 포함하는 축봉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를 포함하는 좌식의자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는 사용자의 착석시 둔부 및 허벅지 부위를 받쳐주는 좌판부재(100), 좌판부재(100)와 소정각도로 연결되어 좌판부재(1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사용자의 골반에 전달하는 골반지지부재(200), 좌판부재(100)의 상하운동으로 골반지지부재(200)의 전후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좌판부재(100)의 하부측면에 부착되어 회동하는 축봉(300)을 포함한다.
좌판부재(100)는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둔부와 허벅지가 닿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기 전에는 바닥면과 일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좌판부재(100)는 탄력성이 있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일 수 있으며, 좌판부재(100)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나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인 의자의 좌판 크기보다 작거나, 유사하게 제작될 수 있다. 좌판부재(100)는 탄력성을 갖되, 기계적으로 구부러지거나 깨지지 않는다.
좌판부재(100)의 두께는 1Cm 내지 5Cm일 수 있으며, 무게는 400g 내지 1000g일 수 있다.
사용자가 앉는 경우 좌판부재(100)는 밑으로 하중을 받아 좌판부재(100)의 하부면이 바닥면에 닿으면서 기존에 형성되어 있던 바닥면과의 일정각도는 0°에 가깝게 된다.
좌판부재(100)의 이러한 상하움직임은 하기 설명할 축봉(300)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골반지지부재(200)는 좌판부재(100)와 소정각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좌판부재(1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사용자의 골반에 전달한다. 골반지지부재(200)는 좌판부재(100)의 재질과 같은 재질일 수 있으나 좌판부재(100)의 중량보다는 무거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골반지지부재(200)는 좌판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골반지지부재(200)는 좌판부재(100)와 60°내지 100°의 각도로 구부러져 연결될 수 있으며, 골반지지부재(200)는 다양한 형태로 골반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골반지지부재(200)의 단부가 면을 형성하도록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으며, 골반지지부재(200)의 단부에 형성된 면은 직접 골반과 맞닿는 부분이다. 특히 골반과 맞닿는 부분에는 에틸렌초산비닐(EVA)소재의 완충폼(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완충폼(210)은 골반지지부재(200)의 외력에 의해서 골반을 편안한 상태에서 받쳐줄 수 있도록 유도한다.
골반지지부재(200)는 전후이동을 통해서 골반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한다. 특히 골반지지부재(200)의 전후이동은 좌판부재(100)의 상하운동에 의해서 유도된다.
골반지지부재(200)의 전체 중량은 좌판부재(100)의 전체 중량보다 무거워서 좌판부재(100)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축봉(300)을 기준으로 골반지지부재(200)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가 된다.
축봉(300)은 좌판부재(100)의 상하운동으로 골반지지부재(200)의 전후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좌판부재(100)의 하부측면에 부착된다. 축봉(300)은 원통형상일 수 있으며, 반원통형상일 수 있다. 축봉(300)은 사용자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 좌판부재(100)가 바닥면과 일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며,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현이 가능하나 길이방향으로는 좌판부재(100)의 폭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봉(300)은 일정범위내의 회동을 통해서 좌판부재(100)의 상하운동을 골반지지부재(200)의 전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좌판부재(100)는 축봉(300)을 기준으로 상하운동을 하고, 골반지지부재(200)는 좌판부재(100)와 일정한 각도로 구부러져 연결되어 있어 축봉(300)을 중심으로 전후운동이 가능하다.
축봉(300)의 직경은 3Cm 내지 5Cm일 수 있다. 축봉(300)의 직경이 5Cm를 초과하는 경우 좌판부재(100)와 바닥면 간에 과도한 각도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착좌시에 자세가 앞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축봉(300)은 실제 기구사용자의 하중이 상당부분 작용하는 곳으로서 축봉(300)에 작용하는 무게에 견딜 수 있도록 단단한 나무 재질,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축봉(300)은 좌판부재(100)의 하부에 고정 연결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의 실제 사용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는 사무용 의자, 좌식의자, 책상 의자 등 다양한 종류의 의자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의자의 좌판에 형성되는 바닥면(45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를 올려 놓는다. 의자와의 면밀한 고정을 위해서 클램프(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는 사용자가 좌판부재(100)에 앉는 경우 상하방향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중이 밑으로 작용하게 된다. 좌판부재(10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축봉(300)을 중심으로 골반지지부재(200)의 단부에 형성된 면은 사용자의 골반 방향으로 이동하여 골반에 일정한 하중을 작용한다. 이는 골반을 의자의 등받이(500) 반대방향으로 밀어줌으로 인해서 골반이 곧추서도록 한다. 골반 안에 허리뼈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골반의 올바른 자세에 의해서 의자 바닥과 가까운 골반이 바르게 되면 허리뼈도 자동으로 바르게 된다. 즉 골반의 바른 자세에 의해서 요추와 척추가 바로 서는 자세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가 포함하는 좌판부재의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부재(100)는 양측면 소정영역에 조절톱니(110)가 형성된다. 조절톱니(110)가 형성된 영역내에서 좌판부재(10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좌판부재(100)의 이동에 대해서는 하기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가 포함하는 축봉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의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300)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본체(320)와 원통형 본체(320) 내부에 삽입 체결되는 회전체(310) 및 회전체(310)와 연결되는 손잡이(330)를 포함한다.
원통형 본체(320)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슬롯(321)을 포함하고, 한 쌍의 슬롯(321)에 좌판부재(100)가 삽입된다. 회전체(310)는 단부의 소정영역에 회전톱니(311)가 형성된다. 회전체(310)의 길이는 원통형 본체(320)의 길이와 일치하며, 회전체(310)의 재질은 원통형 본체(32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310)와 연결된 손잡이(330)는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서 원통형 본체(32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330)는 회전체(310)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플라스틱 재질일 수도 있다. 손잡이(330)의 직경은 한 손으로 전면을 파지해서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3Cm 내지 5cm일 수 있으며 단면이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다각형의 형상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좌판부재(100)는 원통형 본체(320)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슬롯(321)을 통해 삽입되어 조절톱니(110)와 회전톱니(311)가 서로 맞물린다. 조절톱니(110)의 크기와 회전톱니(311)의 크기는 서로 일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슬롯(321)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본체(32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슬롯의 두께는 좌판부재(100)의 두께와 같거나 클 수 있다. 회전체(310)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330)를 통해 사용자는 회전체(3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조절톱니(110)의 범위 내에서 좌판부재(100)의 전후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회전체(310)의 회전톱니(311)를 포함하는 직경은 원통형 본체(320)의 내부직경과 일치할 수 있으며, 원통형 본체(320) 내부에서 회전체(310)는 고정된 상태로 회전만을 한다.
특히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부재(100)가 원통형 본체(320)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슬롯(321)을 통해서 삽입되고, 조절톱니(110)와 회전톱니(311)가 맞물린 상태에서 손잡이(330)를 회전시켜 회전체(310)의 회전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좌판부재(100)의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에 의한 좌판부재(100)의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키가 큰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좌판부재(100)를 등받이가 놓이는 방향으로 후퇴시켜 골반지지부재(200)가 사용자의 골반이 위치한 곳에 닿을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키가 작은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좌판부재(100)를 전진시켜 골반지지부재(200)의 골반이 닿는 부위를 낮춰서 요추부위가 아닌 골반 부위에 골반지지부재(200)가 닿을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는 좌판부재(100)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화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하고, 손잡이(330)를 회전시키는 간편한 조작을 통해 조절이 가능한 기구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를 포함하는 좌식의자의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는 각종 의자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닥면(450)을 형성하는 좌판(400) 및 등받이부(500)를 포함하는 좌식의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를 좌식의자에 탑재할 수도 있으나 좌식의자의 좌판(4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바닥면(450)을 형성하는 좌판(400)과 등받이부(500)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좌식의자를 구성할 수도 있다.
100 좌판부재 110 조절톱니
200 골반지지부재 210 완충폼
300 축봉 310 회전체
311 회전톱니 320 원통형 본체
321 한 쌍의 슬롯 330 손잡이
400 좌판 450 바닥면
500 등받이부

Claims (5)

  1. 사용자의 착석시 둔부 및 허벅지 부위를 받쳐주는 좌판부재;
    상기 좌판부재와 소정각도로 연결되어 상기 좌판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사용자의 골반에 전달하는 골반지지부재;
    상기 좌판부재의 상하운동으로 상기 골반지지부재의 전후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좌판부재의 하부측면에 부착되어 회동하는 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는 측면 소정영역에 조절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축봉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본체, 상기 원통형 본체 내부에 삽입 체결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는 단부의 소정영역에 회전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조절톱니와 상기 회전톱니가 맞물리고, 상기 좌판부재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형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톱니를 포함하는 직경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내경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지지부재의 골반과 맞닿는 영역에는 에틸렌초산비닐(EVA)소재의 완충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5. 제1항의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를 포함하는 좌판; 및
    상기 좌판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착좌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좌식의자.

KR1020140090849A 2014-07-18 2014-07-18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KR101605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49A KR101605830B1 (ko) 2014-07-18 2014-07-18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49A KR101605830B1 (ko) 2014-07-18 2014-07-18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777A true KR20160010777A (ko) 2016-01-28
KR101605830B1 KR101605830B1 (ko) 2016-03-24

Family

ID=5530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849A KR101605830B1 (ko) 2014-07-18 2014-07-18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8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9744A (zh) * 2017-11-22 2018-03-13 徐州三源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远红外线骨盆修复仪
CN114120762A (zh) * 2021-11-30 2022-03-01 陕西理工大学 一种教学辅助工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671A (ja) 1999-05-13 2000-11-21 Kokushin Sangyo Kk 腰掛座椅子
JP2009072292A (ja) * 2007-09-19 2009-04-09 Yukie Takahashi 着座具及び椅子
JP4769327B1 (ja) * 2010-06-07 2011-09-07 青柳 洪作 姿勢矯正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9744A (zh) * 2017-11-22 2018-03-13 徐州三源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远红外线骨盆修复仪
CN107789744B (zh) * 2017-11-22 2023-09-01 徐州三源医药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远红外线骨盆修复仪
CN114120762A (zh) * 2021-11-30 2022-03-01 陕西理工大学 一种教学辅助工具
CN114120762B (zh) * 2021-11-30 2023-12-12 陕西理工大学 一种教学辅助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830B1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303B2 (en) Customizable chair with multipoint adjustment
CA3048254C (en) Ergonomic workstation chair with sternum support
US9131775B1 (en) Adjustable seating
KR100768480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US9913541B2 (en) Adjustable seating assembly
US20130226053A1 (en) Adjustable Postural Support Device
KR20110082744A (k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장치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0763474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US20120098310A1 (en) Ergonomic seat assembly
KR101605830B1 (ko)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JP6550023B2 (ja) 姿勢保持装置
CN204683063U (zh) 一种脊椎保健椅
WO2012077837A1 (ko)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교정용 의자
JP2007000570A5 (ko)
KR20170095495A (ko)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
JP2007098007A (ja) 椅子
CN207803900U (zh) 坐姿矫正坐具
KR20160004334U (ko) 기능성 의자
JP2004049816A (ja) 胸部支持体付き椅子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胸あて
CN107136816B (zh) 一种坐姿矫正坐具
KR20210155151A (ko) 자세교정용 의자
CN208909432U (zh) 多功能坐姿矫正二联垫
JP6112768B2 (ja) 着座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