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807B1 - 유니트 체어 - Google Patents

유니트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807B1
KR102361807B1 KR1020190114225A KR20190114225A KR102361807B1 KR 102361807 B1 KR102361807 B1 KR 102361807B1 KR 1020190114225 A KR1020190114225 A KR 1020190114225A KR 20190114225 A KR20190114225 A KR 20190114225A KR 102361807 B1 KR102361807 B1 KR 10236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link member
button
uni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782A (ko
Inventor
박상용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807B1/ko
Priority to PCT/KR2020/012344 priority patent/WO2021054685A2/ko
Priority to CN202080065058.8A priority patent/CN114423392A/zh
Priority to EP20866600.8A priority patent/EP4032519A4/en
Priority to JP2022516752A priority patent/JP2022549411A/ja
Priority to US17/761,266 priority patent/US20220370277A1/en
Publication of KR20210032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807B1/ko
Priority to JP2023199056A priority patent/JP2024023393A/ja
Priority to JP2024099066A priority patent/JP2024120032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61G15/125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5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the patient is supported by a specific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부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유니트 체어의 백레스트부에 고정 가능한 제1 링크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제1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는 제1 래칫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1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부는,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형상 또는 위치가 변화되는 제1 변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변형부재의 형상 또는 위치의 변화량이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니트 체어{Unit Chair}
본 발명은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유니트 체어는 치과 등에서 수진자를 수용하는 장비로서, 수진자의 등을 받치는 백레스트(등받침) 및 엉덩이와 다리를 받치는 시트(다리받침)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머리받침), 수진자의 진료를 위해 핸드피스와 같은 치과용 시술공구를 거치하는 닥터 테이블이나 타구대, 급수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치과 진료 공간의 바닥면에 놓인 베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 및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시트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구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레스트는 상기 시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에 대하여 틸팅 동작을 할 수 있다. 백레스트를 전방으로 기립(起立)되도록 틸팅함으로써 상기 수진자를 앉은 상태로 만들고, 또한 백레스트를 후방으로 전도(顚倒)되도록 틸팅함으로써 상기 수진자를 누운 상태로 만들어 진료 상황에 맞는 수진자의 자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는 등받이의 상단에 형성되며, 진료의 목적이나 환자의 체형, 의료진의 편의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필요한 진료의 상황을 살펴 보면, 의료진이 시술 공구를 한 손에 들고 있어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거나, 수진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하중을 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수진자가 머리를 앞으로 숙이거나 전진시키는 방향(정방향)으로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을 하려는 경우에는 별도의 버튼이나 레버 조작을 하지 않고, 헤드레스트를 가볍게 미는 동작 만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반대로 상기 수진자의 머리를 세우거나 후진시키는 방향(역방향)으로 각도 조절을 하는 것은 별도의 버튼이나 레버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만 가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머리를 단단히 받치고 있는 편이 좋다.
상기와 버튼이나 레버의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반드시 버튼이나 레버가 적절한 힘으로 눌리는 경우에만 역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치과의 진료 특성상 상기 헤드레스트의 인근에서 의사의 손 동작이 많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상기 버튼이나 레버에 손이 닿아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 수진자의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수단의 강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정 방향 자세 조절이 가능하되, 역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유니트 체어를 제공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헤드레스트가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를, 필요에 따라 해제하는 기능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유니트 체어의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관절의 운동 구속 상태를 독립적으로 해제 가능하면서, 일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2관절 헤드레스트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부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유니트 체어의 백레스트부에 고정 가능한 제1 링크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제1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는 제1 래칫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1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부는,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형상 또는 위치가 변화되는 제1 변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변형부재의 형상 또는 위치의 변화량이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해제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1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변형부재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1-2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제1 버튼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버튼이 제1 기준변위를 초과하여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제1 기준변위를 초과하여 이동한 경우,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제1 버튼과 접촉 및 연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작동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제1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융기부의 외벽은 상기 제1 작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융기부에는, 상기 제1 버튼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융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버튼을 지지하고, 상기 제1 버튼의 이동 동작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래칫부재는, 상기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1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1 래칫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에 맞물리는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1 작동부재에 고정된 제1 래칫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제1 버튼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1 래칫회동부를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부와 제2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헤드레스트가 고정되는 제3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3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링크부재가 제2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는 제2 래칫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해제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2 해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해제부는,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형상 또는 위치가 변화되는 제2 변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형부재의 형상 또는 위치의 변화량이 소정의 제2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해제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2-1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변형부재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2-2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제2 버튼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버튼이 제1 기준변위를 초과하여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제2 기준변위를 초과하여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제2 버튼과 접촉 및 연동하고, 상기 제2 래칫부재는, 상기 제2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3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2 래칫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에 맞물리는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2 작동부재에 고정된 제2 래칫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제2 버튼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2 래칫회동부를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로부터 이격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백레스트부의 시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3 링크부재는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가 회전 가능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레스트의 정 방향 자세 조절이 가능하되, 역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구조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역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헤드레스트가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를, 필요에 따라 해제하는 기능의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두 개의 관절의 운동 구속 상태를 독립적으로 해제 가능하면서, 일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2관절 헤드레스트의 지지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제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10)는 치과 진료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진료 중에 수진자가 앉거나 눕는 장치이다. 유니트 체어(10)는, 진료 중 수진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체형에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10)는, 수진자의 다리가 거치되는 시트부(200) 및 수진자의 등이 기대어 지는 백레스트부(3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니트 체어(10)는,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부(600), 상기 시트부(20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700), 상기 백레스트부(300) 및 상기 시트부(20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00) 및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레스트부(300) 및 상기 시트부(20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수진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레스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 체어(10)는, 연계장치(Associated Device)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진자의 진료를 위한 시술 기구, 진료 차트 등을 거치하거나, 기구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춘 진료 테이블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진자를 비추기 위한 조명유닛(미도시), 수진자의 입을 행구기 위한 가글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유닛(미도시), 콘트롤유닛(미도시), 디스플레이유닛(미도시), 풋컨트롤유닛 (미도시, Foot Control Unit), 전원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200)는, 수진자의 엉덩이를 포함하는 하체에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시트부(200)는 베이스부(7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시트부(200)의 끝단에는 수진자의 발 부분을 지지하는 레그레스트(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시트부(200)에 결합된 레그레스트(미도시)는, 필요에 따라 각도 및/또는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진료자 및 수진자의 편의를 위해, 유니트 체어(10)의 일 부분은 다른 부분과 분리되어 동작할 수 있다.
백레스트부(300)는, 수진자의 등(back)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백레스트부(300)의 상측에는 헤드레스트부(60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백레스트부(300)에 연결된 헤드레스트부(600)는, 필요에 따라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부(600)의 각도는, 전동 및/또는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백레스트부(300)는, 시트부(200) 및/또는 베이스부(700)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부(600)는, 수진자의 머리 부분과 접촉되는 헤드레스트(61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610)는, 머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 부분이 오목한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암레스트는, 시트부(200) 또는 백레스트부(300)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암레스트는, 수진자가 안정적인 자세에서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시트부(200)에 착석한 수진자의 양 팔이 자연스럽게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진료테이블부(800)는, 유니트 체어(10)를 진료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각종 치과용 시술기구(Dental Instrumens)가 배치된 거치대(Cradle)일 수 있다. 진료 테이블부(800)에는 시술기구의 동작에 사용될 전기, 공압, 유압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된 전기로 시술기구 중 하나인 구강용 라이트를 점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진료 테이블부(800)는,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시술자의 위치를 고려할 때 진료 테이블부(800)는 시술자가 손을 뻗어 쉽게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진료 테이블부(800)에는 유니트 체어(10) 각부를 제어할 수 있는 각종 스위치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조명유닛(미도시)은, 시술자의 몸 등에 의하여 검진자의 구강 내부가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자리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진자가 상체를 움직여 수진자 구강 내부를 검진하는 경우에 구강 내부가 어두워지지 않는 상방 위치에 자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명유닛(미도시)은,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위 밝기 및/또는 검진내용에 따라서 밝기의 조절 및/또는 파장이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급수유닛(미도시)은, 검진자가 구강내부를 세척하는 등의 시술에 사용될 수 있다. 급수유닛(미도시)은, 배수장치 및/또는 침을 뱉는 타구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유닛(미도시)은, 검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진자 구강 상태를 촬영한 X-ray 영상, 수진자 구강 내부를 촬영한 영상 등이 실시간으로 표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유닛(207)은 검진자가 피로를 덜 느끼도록 필요에 따라 상하좌우로 위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풋컨트롤유닛(미도시)은,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 시술기구의 동작의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검진자는, 발로 풋컨트롤유닛(미도시)을 조작하여 시술기구를 제어하면서도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유니트 체어(10) 각 부분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유니트 체어(10) 각 부분이 유기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복수의 위치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800)에는 제1 제어부가 제어하고, 진료 테이블부(800)는 제2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다. 제1, 2 제어부는 일방 또는 상방간 신호를 송신하여 유니트 체어(10)가 전체적으로 조화롭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유니트 체어(10)의 연계장치(Associated Device)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800)에 제어부(100)가 위치하고 있을 때, 검진 시 베이스부(800)와 함께 사용되는 유니트 체어(10) 구성요소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계장치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원부(미도시)는, 유니트 체어(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교류/직류전원에 대한 변환기 및/또는 각 구성요소에 적절한 전압/전류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헤드레스트부(600)는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610)와 상기 헤드레스트(610)와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일단을 링크 연결하는 링크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900)는, 헤드레스트(610)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헤드레스트(610)를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일단에 연결하고 수진자의 머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으면서, 진료시 편의에 따라 수진자 머리의 앞 뒤 방향으로 상기 헤드레스트(310)를 숙이거나 펴는 각도 조절 동작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링크부(30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900)는, 일련의 제1 링크부재(910), 제2 링크부재(9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제3 링크부재(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910)는 상기 유니트 체어(10)의 백레스트부(300)에 고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링크부재(910)는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일단에 결합되어 반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링크부재(91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일단의 삽입공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부재(910)는, 상기 유니트 체어(10)가 키가 큰 수진자를 수용해야 하는 경우, 헤드레스트(610)가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상기 일단과 멀어지도록 슬라이딩되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부재(910)는, 상기 유니트 체어(10)가 키가 다소 작은 수진자를 수용해야 하는 경우, 헤드레스트(610)가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상기 일단과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되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92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910)와 제1 힌지핀(911)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일단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상기 일단부가 아닌 타단부와 제2 힌지핀(931)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링크부재의 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61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900)는, 상기 제1 링크부재(910) 및 상기 제2 링크부재(92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래칫부재(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래칫부재(940)는 상호 접촉하여 상호 상대적으로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두 개의 서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서브부재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1 래칫베이스부(941) 및 제1 래칫회동부(945)일 수 있다.
상기 제1 래칫부재(940)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을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제1 래칫부재(940)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가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도 4의 아래쪽 '+' 모양의 중심)을 중심으로 일 방향(도 4의 아래쪽 점선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부재(920)는, 제1 래칫부재(940)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해제부(9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외부 면 중, 상기 제2 링크부재(920)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선단이 되는 면(925)은, 상기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 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요입(凹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선단이 되는 면(925)은, 상기 헤드레스트부(600)의 측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후단이 되는 면을 향하여 내입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이 되는 면(925)은 상기 측면에서 관찰 시 'C'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이 되는 면(925)은 상기 측면에서 관찰 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부재(920)는 외형이 전체적으로 'C'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커브형으로 형성된 제2 링크부재(920)는, 어린이와 같이 매우 키가 작은 수진자에게 적합하도록, 백레스트부(300)의 시트면(310)에 밀착되는 위치로도 헤드레스트(6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링크부재(920)가 본 발명과 같이 커브형으로 형성된 경우의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이 연결되는 단부와 상기 제1 링크부재(910) 간의 거리는 어린이의 체형에 맞추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링크부재(910)가 상기 백레스트부(300)에 고정된 경우,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상기 타단부, 즉, 상기 제3 링크부재(930)가 결합되는 단부는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시트면(310)에 닿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시트면(310)에 닿은 후 상기 시트면(310)을 변형시키도록 전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트면(310)에 파묻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린이의 두부를 거치하기에 적합하도록 헤드레스트(610)의 높이(두께)를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시트면(310)은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외면 중 수진자의 등이 닿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링크부(900)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 및 상기 제3 링크부재(9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된 제2 래칫부재(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래칫부재(950)는, 상기 제3 링크부재(930)가 제2 힌지핀(93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제2 래칫부재(950)를 더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 상기 해제부(960)는, 상기 제2 래칫부재(950)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해제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부(960)는, 제1 해제부(97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해제부(970)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2 해제부(9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해제부(970)는, 상기 제1 래칫부재(940)에 외력(도 7(b)의 왼쪽 위 편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해제부(980)는, 상기 제2 래칫부재(950)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래칫부재(940)는, 제1 래칫베이스부(941) 및 제1 래칫회동부(9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래칫베이스부(941)는, 그 일면에 상기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9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면의 반대면은 상기 제1 링크부재(9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톱니바퀴의 톱니는 회전하는 양 방향에 대응하여 빗면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톱니(942)는 도 6 (c)의 타원형의 점선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는 경사진 빗면이 형성되고, 타방향으로는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직각은 기하학적인 의미가 아닌 실질적 의미에서의 직각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래칫회동부(945)는, 그 일면에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941)의 톱니(942)에 맞물리는 톱니(9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면의 반대면은 상기 제2 링크부재(9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형으로 배열된 톱니들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하는 것을 통해, 톱니의 수만큼 제1 래칫회동부(945)와 제1 래칫베이스부(941)가 상호 전달하는 힘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강한 힘으로 수진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 지며, 제1 래칫회동부(945)와 제1 래칫베이스부(941)의 수명을 길게 하여 내구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래칫회동부(945)와 제1 래칫베이스부(941)를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 계열의 소재로 형성하여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재료 및 가공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톱니(946) 또한 일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톱니들(942, 946)의 각각의 빗면에 상호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나, 직각인 면에 상호 미는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941) 및 제1 래칫회동부(945)의 상호 회전 또한 불가하다.
상기 제2 래칫부재(950)은, 구조적으로 상기 제1 래칫부재(96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래칫부재(950)는, 제2 래칫베이스부(951) 및 제2 래칫회동부(9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래칫베이스부(951)는, 그 일면에 상기 제2 힌지핀(931)의 중심축선(도 4의 위쪽 '+' 모양의 중심)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9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면의 반대면이 상기 제3 링크부재(9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래칫회동부(955)는, 그 일면에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951)의 톱니(952)에 맞물리는 톱니(953)가 형성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이 상기 제2 링크부재(9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해제부(970)는,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형상 또는 위치가 변화되는 제1 변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부재의 형상 또는 위치의 변화량이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래칫부재(940)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량은 상기 제1 변형부재가 변화하는 양의 수치화된 기준을 정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변형부재가 위치가 변하는 경우, 특정 기준의 변위값(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제1 변형부재가 형상이 변하는 경우, 형상이 변화하는 만큼에 해당하는 기준 부피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준량은 상기 제1 변형부재가 변화하는 양의 최대값보다 작은 범위에서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최대값의 절반에 미달하는 값으로 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에 해당하는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5%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기준량을 상기 최대값의 절반에 미달하는 값으로 정할 경우에 상기 제1 해제부(970)의 오동작 방지 효과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1 해제부(970)는, 제1 버튼(971) 및 제1 작동부재(9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971)은 제2 링크부재(920)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이 인가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972)는, 제2 링크부재(9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재(972)는, 제1-1 탄성부재(97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973)는, 코일 스프링, 판스프링, 토션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 탄성부재(973)의 일단은 상기 제1 작동부재(972)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973)의 타단은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9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1 탄성부재(973)는 상기 제1 버튼(971)에 인가되었던 외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제1 작동부재(972)를 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해제부(970)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1 탄성부재(973)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작동부재(97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변형부재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1-2 탄성부재(974)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버튼(971)을 포함할 수 있다(도 6 (a) 내지 (c) 참조)
상기 제1 작동부재(972)는 상기 제1 버튼(971)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버튼(971)이 제1 기준변위(975) 이상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제1 래칫부재(940)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도 6 (c) 참조).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버튼(971)이 상기 제1 기준변위(975) 이상 이동한 경우, 상기 제1 작동부재(972)는 상기 제1 버튼(971)과 접촉 및 연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버튼(971)의 이동량이 상기 제1 기준변위(975)가 상기 제1 기준변위(975)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제1 래칫부재(940)에는 외력이 전달되지 않고,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 구속 상태는 지속된다.
이에 따라 의사와 같은 사용자의 손이 버튼에 잘못 닿아 어느 정도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운동 구속 상태가 해제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하우징(921)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작동부재(972)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제1 융기부(9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융기부(922)의 외벽은 상기 제1 작동부재(972)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융기부(922)에는, 상기 제1 버튼(971)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홈(9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융기부(922)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융기부(922)가 상기 제1 작동부재(972) 및 상기 제1 버튼(971)의 이동 동작을 모두 정확한 궤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탄성부재(974)는, 일단이 상기 제1 융기부(92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버튼(97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버튼(971)을 지지하고, 상기 제1 버튼(971)의 이동 동작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2 탄성부재(974)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변형된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어 상기 제1 버튼(971)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작동부재(972)는, 상기 제1 버튼(971)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버튼(971)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를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941)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이격이 발생하는 경우, 제2 링크부재(920)의 일방향으로의 운동 구속이 해제된다.
상기 제2 링크부재(920)는, 상기 제1 해제부(970)와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래칫부재(950)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2 해제부(9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해제부(98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해제부(970)와 동등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해제부(980)는,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형상 또는 위치가 변화되는 제2 변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해제부(980)는, 상기 제2 변형부재의 형상 또는 위치의 변화량이 소정의 제2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래칫부재(950)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량은 상기 제1 기준량과 같은 성질을 가질 수 있고 동등한 값으로 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해제부(980)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2-1 탄성부재(983)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작동부재(9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작동부재(982)는, 제2 링크부재(9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작동부재(982)는, 제2-1 탄성부재(98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1 탄성부재(983)는, 코일 스프링, 판스프링, 토션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 탄성부재(983)의 일단은 상기 제2 작동부재(982)에 고정되고, 상기 제2-1 탄성부재(983)의 타단은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9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1 탄성부재(983)는 상기 제2 버튼(981)에 인가되었던 외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제2 작동부재(982)를 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변형부재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2-2 탄성부재(984)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버튼(9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981)은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이 인가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2 작동부재(982)는 상기 제2 버튼(981)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 버튼(971)이 제2 기준변위를 초과하여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제2 래칫부재(950)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변위는 상기 제1 기준 변위와 동등한 값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 버튼(971)이 상기 제2 기준변위(975) 이상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작동부재(972)는 상기 제2 버튼(971)과 접촉 및 연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버튼(981)의 이동량이 상기 제2 기준변위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제2 래칫부재(950)에는 외력이 전달되지 않고,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 구속 상태는 지속된다.
이에 따라 의사와 같은 사용자의 손이 버튼에 잘못 닿아 어느 정도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운동 구속 상태가 해제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하우징(921)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작동부재(982)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제2 융기부(926)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융기부(926)의 외벽은 상기 제2 작동부재(982)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융기부(926)에는, 상기 제2 버튼(981)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홈(9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융기부(926)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2 융기부(926)가 상기 제2 작동부재(982) 및 상기 제2 버튼(981)의 이동 동작을 모두 정확한 궤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2 탄성부재(984)는, 일단이 상기 제2 융기부(926)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버튼(981)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버튼(981)을 지지하고, 상기 제2 버튼(981)의 이동 동작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2-2 탄성부재(9884)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변형된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어 상기 제2 버튼(981)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작동부재(982)는, 상기 제2 버튼(981)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버튼(981)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를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941)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이격이 발생하는 경우, 제3 링크부재(930)의 일방향으로의 운동 구속이 해제된다.
상기 제1-1 탄성부재(973)는 상기 제1 융기부(922)의 외벽의 주위를 두르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제1-2 탄성부재(974)는 상기 제1 버튼(971)에 내입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제2-1 탄성부재(983)는 상기 제2 융기부(922)의 외벽의 주위를 두르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제2-2 탄성부재(984)는 상기 제1 버튼(981)에 내입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 1-2, 2-1, 2-2 탄성부재들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1 및 2-1 탄성부재는 각각 대응하는 융기부(922, 926)의 주위를 두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탄성부재(974)는 상기 제1 융기부(922)의 제1 가이드홈(923)에 내입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2 탄성부재(984)는 상기 제2 융기부(922)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927)에 내입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작동부재(972) 및 상기 제2 작동부재(98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921)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7 (a) 에는 상기 제1 작동부재(972) 및 상기 제2 작동부재(982)가 제3 힌지핀(961)을 공유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작동부재(972) 및 상기 제2 작동부재(98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하우징(921)과 힌지 결합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융기부(922) 또는 상기 제2 융기부(922)의 형상 또한 상기 기 제1 작동부재(972) 및 상기 제2 작동부재(982)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작동부재(972) 및 상기 제2 작동부재(982)의 각 일단이 상기 하우징(921)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작동부재(972) 및 상기 제2 작동부재(982)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작동부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력을 갖는 소재(예를 들면, 탄소강, 플라스틱 등)로 형성되어 상기 제1-1 탄성부재(973) 및 상기 제2-1 탄성부재(983)가 없이 구성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는 구조를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링크부재(920)는 상기 제1 래칫부재(940)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시트면(310)을 향하는 방향(도 5의 점선 화살표가 지시하는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링크부재(930)는 상기 제2 래칫부재(950)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920)가 회전 가능한 방향(도 4의 아래쪽 점선 화살표가 지시하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도 5의 위쪽 점선 화살표가 지시하는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 "아래"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유니트 체어 100: 제어부
200: 시트부 300: 백레스트부
310: 시트면
400: 구동부 600: 헤드레스트부
610: 헤드레스트
700: 베이스부 800: 진료테이블부
900: 링크부
910: 제1 링크부재 911: 제1 힌지핀
920: 제2 링크부재 921: 하우징
922: 제1 융기부 923: 제1 가이드홈
926: 제2 융기부 927: 제2 가이드홈
930: 제3 링크부재 931: 제2 힌지핀
940: 제1 래칫부재 941: 제1 래칫베이스부
942: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 945: 제1 래칫회동부
946: 제1 래칫회동부의 톱니
950: 제2 래칫부재 951: 제2 래칫베이스부
952: 제2 래칫베이스부의 톱니 955: 제2 래칫회동부
956: 제2 래칫회동부의 톱니
960: 해제부 961: 제3 힌지핀
970: 제1 해제부 971: 제1 버튼
972: 제1 작동부재 973: 제1-1 탄성부재
974: 제1-2 탄성부재 975: 제1 기준변위
980: 제2 해제부 981: 제2 버튼
982: 제2 작동부재 983: 제2-1 탄성부재
984: 제2-2 탄성부재

Claims (11)

  1. 헤드레스트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부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유니트 체어의 백레스트부에 고정 가능한 제1 링크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제1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는 제1 래칫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1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부는,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형상 또는 위치가 변화되는 제1 변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변형부재의 형상 또는 위치의 변화량이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해제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1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변형부재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1-2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제1 버튼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버튼이 제1 기준변위를 초과하여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제1 기준변위를 초과하여 이동한 경우,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제1 버튼과 접촉 및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작동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제1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융기부의 외벽은 상기 제1 작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융기부에는,
    상기 제1 버튼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융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버튼을 지지하고, 상기 제1 버튼의 이동 동작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칫부재는,
    상기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1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1 래칫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에 맞물리는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1 작동부재에 고정된 제1 래칫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상기 제1 버튼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1 래칫회동부를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부와 제2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헤드레스트가 고정되는 제3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3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링크부재가 제2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는 제2 래칫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해제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2 해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해제부는,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형상 또는 위치가 변화되는 제2 변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형부재의 형상 또는 위치의 변화량이 소정의 제2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해제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2-1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변형부재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2-2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제2 버튼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 버튼이 제2 기준변위를 초과하여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상기 인가된 외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제2 기준변위를 초과하여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제2 버튼과 접촉 및 연동하고,
    상기 제2 래칫부재는,
    상기 제2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3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2 래칫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에 맞물리는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2 작동부재에 고정된 제2 래칫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상기 제2 버튼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2 래칫회동부를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백레스트부의 시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3 링크부재는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가 회전 가능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KR1020190114225A 2019-09-17 2019-09-17 유니트 체어 KR102361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225A KR102361807B1 (ko) 2019-09-17 2019-09-17 유니트 체어
PCT/KR2020/012344 WO2021054685A2 (ko) 2019-09-17 2020-09-11 유니트 체어
CN202080065058.8A CN114423392A (zh) 2019-09-17 2020-09-11 诊疗椅
EP20866600.8A EP4032519A4 (en) 2019-09-17 2020-09-11 UNITARY ARMCHAIR
JP2022516752A JP2022549411A (ja) 2019-09-17 2020-09-11 ユニットチェア
US17/761,266 US20220370277A1 (en) 2019-09-17 2020-09-11 Unit Chair
JP2023199056A JP2024023393A (ja) 2019-09-17 2023-11-24 ユニットチェア
JP2024099066A JP2024120032A (ja) 2019-09-17 2024-06-19 ユニットチェア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225A KR102361807B1 (ko) 2019-09-17 2019-09-17 유니트 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782A KR20210032782A (ko) 2021-03-25
KR102361807B1 true KR102361807B1 (ko) 2022-02-11

Family

ID=7522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225A KR102361807B1 (ko) 2019-09-17 2019-09-17 유니트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8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1130B2 (en) 2009-02-11 2011-01-18 Dental Equipment, Llc Biarticulated headrest for chair
JP2018000331A (ja) * 2016-06-28 2018-01-11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326A (ko) * 1995-08-31 1997-03-27 김태구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KR101274451B1 (ko) * 2007-11-08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1130B2 (en) 2009-02-11 2011-01-18 Dental Equipment, Llc Biarticulated headrest for chair
JP2018000331A (ja) * 2016-06-28 2018-01-11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782A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120032A (ja) ユニットチェア
EP1442734A1 (en) Massage machine
US12042441B2 (en) Integrated patient support and equipment for medical procedures
KR102364722B1 (ko) 유니트 체어
KR102597733B1 (ko) 의자형 광 조사 장치
KR102361807B1 (ko) 유니트 체어
KR102379526B1 (ko) 유니트 체어
KR102319877B1 (ko) 유니트 체어
KR102524488B1 (ko)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KR102302247B1 (ko) 핸드 피스 및 그를 가지는 유니트 체어
KR102610927B1 (ko) 치과용 온기 공급 장치
JP2004337274A (ja) 検診台
KR102336843B1 (ko) 유니트 체어
KR102500874B1 (ko)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KR20200042096A (ko) 유니트 체어
KR101238029B1 (ko) 의료용 암레스트
KR102552952B1 (ko) 핸드피스 홀더 교체가 용이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장치
KR101187252B1 (ko) 치아미백장치
CN217430393U (zh) 一种妇科检查床床垫
CN213851824U (zh) 一种口腔科诊疗椅
KR102182961B1 (ko) 유니트 체어
KR20220009236A (ko) 밸런스 아암 및 밸런스 아암 시스템
KR20200121175A (ko) 진료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어 유니트
JP2023049291A (ja) 患者用椅子
KR20210022031A (ko) 핸드 피스 및 그를 가지는 유니트 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