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488B1 -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488B1
KR102524488B1 KR1020200151762A KR20200151762A KR102524488B1 KR 102524488 B1 KR102524488 B1 KR 102524488B1 KR 1020200151762 A KR1020200151762 A KR 1020200151762A KR 20200151762 A KR20200151762 A KR 20200151762A KR 102524488 B1 KR102524488 B1 KR 102524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cup dispenser
present
assembly structure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5357A (ko
Inventor
추선경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4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08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10De-stacking nested articles
    • B65G59/107De-stacking nested articles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양한 컵을 모두 수용 및 홀딩하고 쉽게 취출할 수 있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각각 돌출부를 갖고, 용기를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 모듈; 및 내부에 원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에 대해 상대적 회전 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원형 공간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적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부를 따라 각각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이 상기 원형 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와,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컵을 홀딩하고 이를 취출할 수 있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 및 치료는 유니트 체어(unit chair)에 수진자가 누운 상태로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는 구강 내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 각종치료 도구가 구비된 닥터 테이블(doctor table), 구강 내부를 보여주거나 CT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TV 시청 등을 위한 모니터를 설치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급수 장치, 환자 편의를 위한 테이블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는 상기 여러 가지 장치나 기구들은 환자나 시술자의 동선과 편의 및 시술시 충분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효율이 좋은 동선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동작이 편리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는 환자가 입을 헹구기 위해 컵을 취출할 수 있는 컵 디스펜서가 일반적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구비된 컵 디스펜서는 일정 크기의 컵만 사용할 수 있고 컵의 크기(컵이 형성하는 원둘레 또는 직경)가 달라지면,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국가마다 치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컵의 크기가 달라 국가마다 서로 다른 컵을 수용할 수 있는 컵 디스펜서가 설치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3195호(2008년08월08일), 디스펜스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6131호(2015년07월27일), 유니트 체어용 편의 테이블
본 발명의 과제는, 크기가 다양한 여러 종류의 컵과 같은 용기를 홀딩할 수 있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다양한 크기의 컵을 쉽게 취출할 수 있는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크기가 서로 다른 컵을 사용하는 다양한 국가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는, 용기를 홀딩하기 위한 용기 홀딩 조립 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각각 돌출부를 갖고, 용기를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 모듈; 및 내부에 원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에 대해 상대적 회전 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원형 공간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적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부를 따라 각각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이 상기 원형 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홀딩 모듈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홀딩 모듈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용기의 존재 여부 및 용기의 취출 여부에 따라 좌우 회전 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치과용 컵 디스펜서는, 복수의 제1 수용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1 원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케이스;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 내에서 각각 이동 가능하며 하부에 각각 제1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1 원형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컵을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 모듈; 및 내부에 제2 원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 회전 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제1 돌출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원형 공간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적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를 따라 각각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이 상기 제1 또는 제2 원형 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치과용 컵 디스펜서는, 상기 제1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 및 상기 중간 부재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하부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는, 내부에 제3 원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하부에 원기둥 형상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하부 부재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홀딩 모듈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홀딩 모듈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컵의 존재 여부 및 컵의 취출 여부에 따라 좌우 회전 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측 하단에 제3 돌출부가 형성되어 컵이 취출될 때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홀딩 모듈의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타측 상단에 제4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3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용부는, 복수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홈 중 어느 홈에 안착하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상기 중간 부재의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홈에 안착 가능한 크기를 갖는 강구(鋼球) 및 플라스틱 후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개의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로 다양한 크기의 컵을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다양한 크기의 컵을 쉽게 취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크기의 컵을 사용하는 다양한 국가에서 한 개의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가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예에 의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디스펜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디스펜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딩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위치 고정 수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의 내부에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의 내부에 용기가 홀딩되어 있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에서 용기 또는 컵이 취출되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아울러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예에 의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Unit Chair, 10)는, 대표적으로 치과에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진자의 다리가 거치되는 시트, 수진자의 등이 기대어지는 등받이 및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및 상기 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수진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레스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등받이 및 상기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상기 수진자를 비추기 위한 조명 유닛, 수진자의 입을 행구기 위한 가글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유닛, 콘트롤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풋 컨트롤 유닛(20, Foot Control Unit),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작업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작업 테이블의 대표적인 예는, 치과에서 진료 및 치료를 위한 각종 기구류들을 거치하기 위한 닥터 테이블(doctor table)이다.
예를 들어, 상기 작업 테이블은, 치과에 방문한 수진자의 진료를 위한 시술 기구, 진료 차트 등을 거치하거나, 기구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작업 테이블에는 시술 기구의 동작에 사용될 전기, 공압 및 유압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된 전기로 시술 기구 중 하나인 구강용 라이트가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테이블은,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시술자의 위치를 고려할 때 상기 작업 테이블은 시술자가 손을 뻗어 쉽게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 테이블에는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각부를 제어할 수 있는 각종 스위치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수진자는 상기 급수 유닛을 이용하여 입을 헹구기 위해 컵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수진자가 컵을 취출할 수 있도록 컵 디스펜서(Cup Dispenser, 2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 디스펜서(20)는,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폴(pole, 11)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디스펜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디스펜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컵 디스펜서(20)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를 포함하고,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의 폴(11)에 장착하기 위해 제1 홀(hole, 1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가 상기 컵 디스펜서(2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컵 디스펜서(20)는, 상기 폴(11)이 상기 제1 홀(15)을 관통하되 단단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폴(11)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컵 디스펜서(20)가 상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10)에 장착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2의 참조번호 22는,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상부를 덮거나 보호하기 위한 덮개 또는 마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를 먼저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2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는, 기본적으로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및 중간 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은, 용기와 직접 컨택하여 상기 용기를 홀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각각 돌출부(34a, 34b)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42)는 내부에 제2 원형 공간(B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원형 공간(BB)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수용부(36a, 3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36a, 36b)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34a, 34b)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각각의 돌출부(34a, 34b)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42)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34a, 34b)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36a, 36b)에 의해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에 대한 상대적 회전 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중간 부재(42)와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간의 상대적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은 전진 및 후진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중간 부재(42)와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간의 상기 상대적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돌출부(34a, 34b)가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36a, 36b)를 따라 각각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34a, 34b)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이 상기 제2 원형 공간(BB)의 내부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후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부재(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은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2 수용부(36a, 36b)를 따라 도 5에 도시된 상태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부재(42)와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간의 상기 상대적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이 상기 제2 원형 공간(BB)의 내부를 향하여 전진할 수 있다.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중간 부재(4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은 다시 도 4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대응되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 부재(42)와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간의 상기 상대적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돌출부(34a, 34b)가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36a, 36b)를 따라 이동하는 구조가 좀 더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이 반드시 2개일 필요는 없고, 그 이상의 개수일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돌출부(34a, 34b) 및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36a, 36b)의 개수도 각각 이에 대응하여 증가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는, 제1 케이스(40),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및 상기 중간 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및 상기 중간 부재(42)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제1 케이스(40)는 복수의 제1 수용부(32a, 32b)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1 원형 공간(A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은,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32a, 32b)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은,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및 상기 중간 부재(42) 간의 상대적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32a, 32b) 내에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와 상기 제1 케이스(40)는 상대적 회전 운동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전술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및 상기 중간 부재(42) 간의 상대적 회전 운동은, 상기 중간 부재(42)와 상기 제1 케이스(40) 간의 상대적 회전 운동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는, 하부 부재(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재(44)는, 상기 제1 케이스(40)와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및 상기 중간 부재(42)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4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재(44)의 내부에는 제3 원형 공간(C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부재(42)는 하부에 원기둥 형상의 제2 돌출부(37)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돌출부(37)가 상기 제3 원형 공간(CC)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부재(44)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40)는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 부재(44)는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으나,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컵과 같은 용기를 홀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는, 다양한 용기를 홀딩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컵(예를 들어, 종이컵)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딩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 중 적어도 두 개의 홀딩 모듈은, 상기 홀딩 모듈에 대해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는 레버(55)와, 상기 홀딩 모듈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과 접촉하는 제1 탄성 부재(5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58)의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55)는, 제1 고정핀(56)이 상기 홀딩 모듈(35a, 35b)에 형성되는 제1 홀(61), 레버(55)에 형성되는 레버 홀(57) 및 상기 홀딩 모듈(35a, 35b)에 형성되는 제2 홀(62)을 순차적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홀딩 모듈(35a, 35b)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모듈(35a, 35b)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55)는, 상기 제1 탄성 부재(58)에 의해, 용기의 존재 여부 및 용기의 취출 여부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정도, 즉 회전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버(55)는 상기 제1 고정핀(5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또는 이를 이용한 컵 디스펜서(20)의 내부에 용기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레버(55)가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몸체와 이루는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또는 이를 이용한 컵 디스펜서(20)로부터 용기가 취출됨에 따라 상기 레버(55)가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몸체와 이루는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위치 고정 수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상기 하부 부재(44)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4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3 수용부 및 제4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수용부(73a, 73b)는 호를 형성하며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제1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부재(44)는, 제1 위치 고정 부재(66a, 66b)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고정 부재(66a, 66b)는 상기 복수의 제1 홈(73a, 73b)에 안착 가능한 크기를 갖는 강구(鋼球)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 고정 부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1 위치 고정 부재(66a, 66b)는, 상기 중간 부재(4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홈(73a, 73b)을 따라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고정 부재(66a, 66b)가 상기 복수의 제1 홈(73a, 73b)을 따라 각각 이동하면서 특정 홈에 안착하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상기 중간 부재(42)의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 부재(4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홈(73a, 73b)의 사이 벽에 상기 강구가 닿으면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강구가 뒤로 밀려났다가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홈에 안착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4 수용부(74a, 74b)는 호를 형성하며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제2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부재(44)는, 제2 위치 고정 부재(67a, 67b)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 고정 부재(67a, 67b)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2 홈(74a, 74b)에 안착 가능한 크기를 갖는 플라스틱 후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 고정 부재(67a, 67b)는, 상기 중간 부재(4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홈(74a, 74b)을 따라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 고정 부재(67a, 67b)가 상기 복수의 제2 홈(74a, 74b)을 따라 각각 이동하면서 특정 홈에 안착하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상기 중간 부재(42)의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 부재(4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홈(74a, 74b)의 사이 벽에 상기 플라스틱 후크가 닿으면 플라스틱 탄성에 의해 상기 후크가 벽 높이 간섭되는 만큼 밀려났다가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홈에 안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및 컵 디스펜서(20)를 상기 레버(55)의 동작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의 내부에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또는 컵 디스펜서(20)의 내부에 컵과 같은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레버(55)는 상기 제1 탄성 부재(58)로 인하여 상기 제1 탄성 부재(58)와 접촉하는 일측이 상기 제1 탄성 부재(58)와 접촉하지 않는 타측보다 밀려 나와 있다(도 18에서 “E1”).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의 내부에 용기가 홀딩되어 있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또는 상기 컵 디스펜서(20)의 내부에 컵(80, 81)과 같은 용기가 삽입되면, 상기 레버(55)의 우측이 상기 삽입된 용기(80, 81)에 의해 상기 홀딩 모듈(35a, 35b)을 향해 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55)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핀(5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상기 레버(55)는 상기 삽입된 용기(80, 81)에 의해 상기 홀딩 모듈(35a, 35b)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58)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55)는, 도 10을 참조하면, 일측 하단에 제3 돌출부(59)가 형성되고, 타측 상단에 제4 돌출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5)의 우측 하단에 상기 제3 돌출부(59)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55)의 좌측 상단에 상기 제4 돌출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돌출부(59) 및 상기 제4 돌출부(6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된 용기(80, 81)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서, 상기 제3 돌출부(59)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종이컵(80) 상단의 돌기를 받쳐주고, 상기 제4 돌출부(60)는 위쪽에 위치하는 종이컵(81) 상단의 돌기를 받쳐줄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또는 컵 디스펜서에서 용기 또는 컵이 취출되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또는 상기 컵 디스펜서(20)로부터 종이컵(80)이 취출되는 경우, 상기 종이컵(80)이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 또는 상기 컵 디스펜서(20)를 빠져나오기 위해 상기 종이컵(80)의 상단, 특히 상기 종이컵(80)의 상단 돌기가 상기 제3 돌출부(59)를 밀게 되어 상기 레버(55)가 상기 홀딩 모듈(35a, 35b)을 향해 최대한 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탄성 부재(58)의 길이가 제일 짧아지고, 상기 종이컵(80)이 완전히 취출되면 상기 레버(55)는 도 15 또는 도 17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는,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이 상기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홀딩 조립 구조(30)에 의하면, 직경이 다양한 컵을 홀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직경이 작은 컵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이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의 끝단이 형성하는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는, 직경이 큰 컵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이 외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35a, 35b)의 끝단이 형성하는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치과용 유니트 체어 11: 폴(pole)
15: 제1 홀(hole) 20: 컵 디스펜서
22: 마개 30: 용기 홀딩 조립 구조
32a, 32b: 제1 수용부 34a, 34b: 제1 돌출부
35a, 35b: 홀딩 모듈 36a, 36b: 제2 수용부
37: 제2 돌출부 40: 제1 케이스
42: 중간 부재 55: 레버
56: 제1 고정핀 57: 레버 홀
58: 제1 탄성 부재 59: 제3 돌출부
60: 제4 돌출부 61: 제1 홀
62: 제2 홀 80, 81: 컵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복수의 제1 수용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1 원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케이스;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 내에서 각각 이동 가능하며 하부에 각각 제1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1 원형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컵을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 모듈;
    내부에 제2 원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 회전 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제1 돌출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원형 공간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중간 부재; 및
    상기 제1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 및 상기 중간 부재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3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수용부는 상기 중간 부재의 최외곽에 호를 형성하며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상대적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를 따라 각각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이 상기 제1 또는 제2 원형 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5. 삭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는,
    내부에 제3 원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하부에 원기둥 형상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하부 부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딩 모듈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홀딩 모듈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모듈의 일단에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홀딩 모듈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컵의 존재 여부 및 컵의 취출 여부에 따라 좌우 회전 정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측 하단에 제3 돌출부가 형성되어 컵이 취출될 때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홀딩 모듈의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타측 상단에 제4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12. 삭제
  13. 삭제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홈 중 어느 홈에 안착하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상기 중간 부재의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홈에 안착 가능한 크기를 갖는 강구(鋼球) 및 플라스틱 후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과용 컵 디스펜서.
KR1020200151762A 2020-11-13 2020-11-13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KR10252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762A KR102524488B1 (ko) 2020-11-13 2020-11-13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762A KR102524488B1 (ko) 2020-11-13 2020-11-13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357A KR20220065357A (ko) 2022-05-20
KR102524488B1 true KR102524488B1 (ko) 2023-04-28

Family

ID=8179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762A KR102524488B1 (ko) 2020-11-13 2020-11-13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14738A (ja) 2022-07-21 2024-02-01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組成物及び化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419B1 (ko) * 2020-06-15 2020-07-21 주식회사 오디너리코퍼레이션 컵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86U (ko) * 1998-09-23 2000-04-25 홍종만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80003195U (ko) 2007-02-05 2008-08-08 임양래 디스펜스
KR20110086334A (ko) * 2010-01-22 2011-07-28 홍순민 컵 인출장치
KR101612843B1 (ko) 2014-01-17 2016-04-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유니트 체어용 편의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419B1 (ko) * 2020-06-15 2020-07-21 주식회사 오디너리코퍼레이션 컵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357A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488B1 (ko)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KR20130103988A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CN107080667B (zh) 设置在座椅式按摩器上的遥控装置
JP2007267928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2500874B1 (ko)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JP2024023393A (ja) ユニットチェア
KR102511108B1 (ko) 용기 홀딩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컵 디스펜서
US20230270532A1 (en) Instrument holder
KR102364722B1 (ko) 유니트 체어
JP2012201140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KR102461558B1 (ko) 치과 유니트 체어용 풋 컨트롤러
KR20220000234A (ko) 밸런스 아암 및 밸런스 아암 시스템
JP6727112B2 (ja) ヘッドレスト及び医療用診療台
JP2009233090A (ja) 座席昇降車椅子の立ち上がり用把持部
KR102361807B1 (ko) 유니트 체어
KR102379526B1 (ko) 유니트 체어
KR102319877B1 (ko) 유니트 체어
KR102552952B1 (ko) 핸드피스 홀더 교체가 용이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장치
KR20200042096A (ko) 유니트 체어
KR102336843B1 (ko) 유니트 체어
JP2008080054A (ja) 多機能台
KR20140014038A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JP2017012364A (ja) 歯科用診療装置
JP2006087616A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における背凭れの傾動装置
JP2006087618A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における背凭れの傾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