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445A - 향미 흡인기 및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및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445A
KR20190021445A KR1020197002686A KR20197002686A KR20190021445A KR 20190021445 A KR20190021445 A KR 20190021445A KR 1020197002686 A KR1020197002686 A KR 1020197002686A KR 20197002686 A KR20197002686 A KR 20197002686A KR 20190021445 A KR20190021445 A KR 20190021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heat source
perfume
face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700B1 (ko
Inventor
타쿠마 나카노
타케시 아키야마
타카시 오다
마사아키 스즈키
키미타카 우치이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0703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4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10Devices with chem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2Cigarettes with integrated combustible heat sources, e.g. with carbonaceous heat sources
    • A24F47/004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5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comprising as heat source a carbon fuel or an oxidized or thermally degraded carbonaceous fuel, e.g. carbohydrates,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1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additives entrapped within capsules, sponge-like material or the like, for further release upon smok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60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80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7/04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smok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Toxic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향미 흡인기(11)는, 흡구단(12A)으로부터 선단(12B)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 모양의 홀더(12)와, 홀더(12) 내에 설치되는 향미원(16)과, 선단(12B)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13)으로서, 선단(12B)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4)와, 돌출부(14)에 담지된 향료(15)를 가지는 연소형 열원(1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 및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흡구단(吸口端)으로부터 향미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한 향미 흡인기 및 향미 흡인기에 이용되는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소63-164875호 공보에는, 개량된 연료 요소를 가지는 끽연 제품이 개시된다. 이 문헌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탄소질 연료 요소에는, 실질적으로 휘발성 유기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국 특표 2010-535530호 공보에는, 증류 베이스의 끽연 물품이 개시된다. 이 문헌에서는, 가연성 열원의 후부(後部) 단면에 1 이상의 향미료를 부가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된다.
본 발명이 과제로 하는 바는, 유저의 니즈에 응할 수 있는 향미 흡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는, 흡구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 모양의 홀더와, 상기 홀더 내에 설치되는 향미원과, 상기 선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으로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담지된 향료를 가지는 연소형 열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의 니즈에 응하는 것이 가능한 향미 흡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를 중심축(C)을 포함하는 면에서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향미 흡인기의 연소형 열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향미 흡인기의 연소형 열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의 연소형 열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5는, 제4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의 연소형 열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6은, 제5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의 연소형 열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향미 흡인기의 연소형 열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도 8은, 제6 실시형태 및 제7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의 연소형 열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9는, 제8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의 연소형 열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향미 흡인기의 연소형 열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향미 흡인기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향미 흡인기는, 예를 들면, 선단측에 위치하는 연소형 열원에 의해 향미원을 데워, 흡구측으로부터 흡인을 행함으로써 유저가 향미원으로부터의 향미를 맛볼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1)는, 흡구단(12A)으로부터 선단(12B)까지 연장되는 원통형의 홀더(12)와, 홀더(12)의 선단(12B)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13)과, 연소형 열원(13)의 돌출부(14)에 담지된 향료(15)와, 홀더(12) 내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원(16)과, 향미원(16)을 내부에 수납하는 컵(17)과, 홀더(12)의 내측에서 컵(17)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알루미늄 첩합지(貼合紙)(18)와, 홀더(12)의 내측에서 흡구단(12A)의 근방에 설치된 필터부(21)와, 필터부(21) 내부에 매립된 캡슐(22)을 구비한다.
홀더(12)는, 연소형 열원(13) 및 컵(17)을 유지하는 제1 부분(23)과, 제1 부분(23)과 흡구단(12A)측에 위치하는 필터부(21)를 연결하는 제2 부분(24)을 가진다. 제1 부분(23)은, 종이를 원통형으로 감아서 형성된 지관(紙管)이다. 제2 부분(24)은, 필터 부착 시가렛(궐련)에서 필터부를 싸는 종이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팁 페이퍼에 이용되는 종이이며, 해당 팁 페이퍼에 이용되는 종이를 원통형으로 감아 형성된다. 알루미늄 첩합지(18)는, 종이에 알루미늄을 붙여 형성되며, 통상의 종이에 비하여 내열성 및 열전도성이 향상되어 있다. 이 알루미늄 첩합지(18)에 의해, 연소형 열원(13)에 불을 붙였을 때에도 홀더(12)의 제1 부분(23)(지관)이 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홀더(12)의 중심축(C)은, 연소형 열원(13)의 중심축(C)과 합치한다.
향미원(16)은, 연소형 열원(13)에 인접한 위치에서, 연소형 열원(13)의 하류에 설치된다. 향미원(16)은, 담배 추출물 등으로 형성된 과립(顆粒)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향미원(16)은, 과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담배 잎 자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향미원(16)으로서는, 시가렛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살담배나, 코담배에 사용되는 입상(粒狀) 담배나, 롤 담배나, 성형 담배 등의 담배 원료를 채용할 수도 있다. 향미원(16)으로서, 다공질 소재나 비다공질 소재의 담지체에 향미를 담지시킨 것을 채용해도 된다. 롤 담배는, 시트 모양의 재생 담배를 롤 모양으로 성형하여 얻어지며, 내부에 유로(流路)를 가진다. 또한, 성형 담배는, 입상 담배를 금형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향미원(16)으로서 이용되는 담배 원료 또는 담지체에는, 원하는 향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향미원(16)은, 예를 들면, 산성 pH를 가진다.
향미원(16)의 pH 분석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우선, 향미원(16)을 400mg 채취하고, 순수(純水) 4mL를 첨가하여 60분간 진탕 추출한다. 추출액을 22℃의 실온으로 컨트롤된 실험실 내에서, 실온이 될 때까지 밀폐 용기 내에서 방치하여 온도 조화(調和)한다. 조화 후, 뚜껑을 열어서, pH 미터(METTLER TOLEDO사 제 : 세븐이지 S20)의 유리 전극을 포집액에 담가 측정을 개시한다. pH 미터는, 미리 pH 4.01, 6.87, 9.21의 pH 미터 교정액으로 교정한다. 센서로부터의 출력 변동이 5초간에서 0.1mV 이내로 안정된 점을, 그 추출 용액(향미원(16))의 pH로 한다. 또한, 향미원(16)의 pH 측정 방법은, 일례이며, 다른 수법을 채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컵(17)은, 금속 재료에 의해 바닥이 있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컵(17)의 저부(25)에는, 복수의 개공부(開孔部)(25A)가 형성되어 있다. 유저가 흡인을 행할 때에는, 담배 향미는, 공기와 함께 이 개공부(25A)를 통해서 홀더(12)의 하류측으로 흡인된다. 컵(17)의 연부(緣部)(26)는, 홀더(12)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곡(折曲)되어 있으며, 홀더(12) 및 알루미늄 첩합지(18)의 선단에 걸릴 수 있다. 컵(17)의 내주면에는, 연소형 열원(13)의 기단면(基端面)(29)에 맞닿는 단부(段部)(17A)가 마련되어 있다. 컵(17)의 내주면은, 단부(17A)와 함께 연소형 열원(13)의 본체 부분(27)을 수용하여 연소형 열원(13)이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컵(17)은, 종이제 컵이어도 된다. 종이제 컵은, 예를 들면, 상술한 금속제 컵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종이제 컵은, 펄프 사출 성형의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이제 컵은, 펄프와 바인더와 물을 포함하는 원료를 혼련(混練)하고, 가열된 금형에 주입하여 건조 고화(固化)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바인더로서는, 향미의 관점에서, CMC(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CMC-Na(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제 컵은, 금속제 컵과 비교하여, 향미원(16)으로의 열의 전도 속도가 늦다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종이제 컵은, 향미 흡인기의 경량화나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필터부(21)는, 시가렛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필터로 구성된다. 캡슐(22)도 마찬가지로, 시가렛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향료 캡슐이며, 내부에 멘톨 등의 향료를 포함하는 액이 저류(貯留)되어 있다.
필터부(21)는, 여러 가지 종류의 충전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필터부(21)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반(半)합성 섬유의 충전재로 구성되지만, 충전재로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충전재는, 예를 들면, 면, 마, 마닐라 삼, 야자, 골풀 등의 식물 섬유, 양모, 캐시미어 등의 동물 섬유,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계 재생 섬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섬유 혹은 그들을 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필터부(21)의 구성요소는, 상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로 이루어지는 충전물 외에, 차콜을 포함한 차콜 필터나 차콜 이외의 입상물이 들어간 필터여도 된다. 또한, 필터부(21)는, 상이한 종류의 세그먼트를 축방향으로 둘 이상 연접(連接)한 멀티 세그먼트 구조로 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형 열원(13)(탄소 열원)은, 식물 유래의 탄소 재료나 불연 첨가물이나 바인더(유기 바인더 또는 무기 바인더)나 물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인 연소 재료를, 타정(打錠), 압(壓) 주입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연소형 열원(13)은, 활성탄 및 바인더 등을 포함하는 연탄(練炭) 모양의 혼합물이다. 연소형 열원(13)은, 활성탄 중, 이른바 고부활탄(高賦活炭)으로 불리는 것을 포함한다. 고부활탄이란, 활성탄 중, ISO9277:2010, JISZ8830:2013으로 규격화된 브루나우어, 에메트 및 텔러의 방법(BET법)에 의해 측정된 비표면적(比表面積)이, 예를 들면 1300m2/g 이상인 것을 말한다. 연소형 열원(13)의 활성탄의 BET 비표면적은, 예를 들면, 1300m2/g 이상이고 2500m2/g 이하이다. 연소형 열원(13)에 이용하는 활성탄은, 복수의 마크로 포어 및 복수의 미크로 포어를 포함하는 다공질 구조를 가진다. 연소형 열원(13)은, 향미원(16)과는 상이하며, 예를 들면, 염기성 pH를 가진다.
연소형 열원(13)은, 일례로서, 이하의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235.5g의 고부활탄(BET 비표면적 : 2050m2/g)과 323.8g의 탄산칼슘과 28.1g의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혼합한 후, 5.4g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745.3g의 물을 가하고, 더 혼합한다. 이러한 혼합물을 혼련한 후, 외경 6.5mm의 원주(圓柱) 형상이 되도록 압출 성형을 행한다. 이러한 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성형물을 건조한 후, 13mm의 길이로 절단하여, 일차 성형체를 얻는다. 1.0mm 지름의 드릴로, 이러한 일차 성형체의 중심부에 내경 1.0mm의 관통 구멍을 마련한다. 이러한 일차 성형체의 한쪽 단면(端面)에, 다이아몬드 커팅 디스크로, 十자 홈 가공을 실시한다. 이들 공정을 거쳐 연소형 열원(13)이 완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연소형 열원(13)에 이용되는 활성탄은, 고부활탄으로서 분류되는 것이며, 통상의 활성탄보다 마크로 포어 및 미크로 포어의 양이 많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연소형 열원(13)에서 이용되는 활성탄은, 통상의 활성탄보다 부활도(賦活度)가 높다. 즉, 연소형 열원(13)에 이용되는 활성탄은, 탄소 재료를 가열 처리 등 하여 휘발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통상의 활성탄보다 활성도를 높임으로써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연소형 열원(13)에 함유되는 탄소 재료는, 고부활탄으로서 분류되는 활성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일반적인 탄, 혹은 고부활탄으로서는 분류되지 않는 일반적인 활성탄 등의 다른 종류의 탄소 재료여도 된다.
연소형 열원(13)은, 10중량%∼99중량%의 범위에서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분한 열량의 공급이나 재의 낙하 방지 등의 연소 특성의 관점에서, 연소형 열원(13)에 포함되는 활성탄의 농도는, 예를 들면, 30중량% 이상이고, 6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연소형 열원(13)에 포함되는 활성탄의 농도는, 30중량% 이상이고, 45중량% 이하이다.
유기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CMC(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Na(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긴산염, 에틸렌아세트산비닐(EVA),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아세트산비닐(PVAc) 및 당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精製) 벤토나이트 등의 광물계, 또는, 콜로이달실리카나 물유리나 규산칼슘 등의 실리카계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향미의 관점에서, 상술한 바인더가, 1중량%∼10중량%의 CMC 또는 CMC-N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8중량%의 CMC 또는 CMC-Na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불연 첨가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이나 칼륨이나 칼슘이나 마그네슘이나 규소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소염 또는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소형 열원(13)은, 40중량%∼89중량%의 불연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불연 첨가물로서, 탄산칼슘을 사용하고, 연소형 열원(13)이, 40중량%∼60중량%의 불연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형 열원(13)은, 연소 특성을 개선할 목적에서, 염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을, 1중량% 이하의 비율로 포함해도 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형 열원(13)은, 원주(圓柱)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소형 열원(13)은, 홀더(12) 내에 유지되는 본체 부분(27)과, 홀더(12)의 선단(12B)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14)(노출부)와, 돌출부(14)에 마련된 선단면(28)과, 선단면(28)과 대향한 기단면(29)과, 홀더(12)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기로(31)와, 선단면(28)과 인접한 외주면(32)과, 돌출부(14)에 마련된 홈부(33)를 가진다. 통기로(31)는, 연소형 열원(13)의 중심축(C)을 따라 마련되어 있고, 연소형 열원(13)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통기로(31)는, 선단면(28)과 기단면(29)을 연통시키고 있다. 통기로(31)는, 본체 부분(27)과, 돌출부(14)의 양쪽에 걸치도록 마련된다. 통기로(31)의 선단면(28)측의 부분은, 홈부(33)와 일체가 되어 있다. 돌출부(14)(노출부)는, 컵(17)의 선단으로부터도 돌출되어 있다.
연소형 열원(13)은, 선단면(28)과 외주면(32) 사이에 형성된 제1 면취부(面取部)(34)와, 기단면(29)과 외주면(32) 사이에 형성된 제2 면취부(35)를 가진다. 제1 면취부(34) 및 제2 면취부(35)에 의해, 연소형 열원(13)의 모서리부(角部)에 있어서의 균열이나 흠을 생기기 어렵게 하고 있다.
홈부(33)는, 선단면(28)측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부(33)의 형상은, 「十」자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홈부(33)의 개수는 임의이다. 또한, 홈부(33) 전체가 이루는 형상은,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기로(31)를 중심으로 외주면(32)을 향하여 복수의 홈부(33)가 방사상(放射狀)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인접하는 홈부(33)끼리가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5° 이상이고 95° 이하인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홈부(33)는, 선단면(28)과 외주면(32)에 걸치도록 이들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홈부(33)는, 통기로(31)와 연통하도록 마련된다. 연소형 열원(13)의 중심축(C) 방향에 관한 홈부(33)의 깊이(길이)는, 예를 들면, 중심축(C) 방향에 관한 전체 길이에 대하여 1/3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형 열원(13)은, 바람직하게는, 이하와 같은 치수로 형성된다. 연소형 열원(13)의 전체 길이(중심축(C) 방향에 관한 연소형 열원(13)의 길이)는, 예를 들면, 5mm 이상이고 30mm 이하인 범위 내, 더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이고 20mm 이하인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된다. 그 중, 중심축(C) 방향에 관한 돌출부(14)의 길이는, 예를 들면, 5mm 이상이고 15mm 이하인 범위 내, 더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이고 10mm 이하인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된다. 이 때문에, 돌출부(14)의 길이는, 예를 들면, 연소형 열원(13)의 전체 길이의 2/3 이상이고, 4/5 이하인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또한, 컵(17)에 대해서 연소형 열원(13)이 삽입된 부분의 길이(본체 부분(27)의 중심축(C) 방향에 관한 길이, 삽입 길이)는, 2mm 이상이고 10mm 이하인 범위 내, 더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이고 5mm 이하인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된다.
연소형 열원(13)의 직경(중심축(C)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연소형 열원(13)의 길이)은, 예를 들면, 3mm 이상이고, 15mm 이하인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된다. 중심축(C) 방향에 관한 홈부(33)의 깊이(길이)는, 예를 들면, 1mm 이상이고, 5mm 이하인 범위 내, 더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이고, 4mm 이하인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된다. 홈부(33)의 폭(내경)(W)은, 예를 들면, 0.5mm 이상이고, 1mm 이하인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된다.
홈부(33)는, 선단면(28) 및 외주면(32)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홈부(33)는, 선단면(28)으로부터 오목하게 통기로(31)에 연통하도록 마련되고, 외주면(32)측에는 개구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홈부(33)는, 외주면(32)으로부터 오목하게 통기로(31)에 연통하도록 마련되고, 선단면(28)측에 개구하지 않도록 마련되어도 된다. 후자의 예인 경우에는, 통기로(31)는 선단면(28)까지 연장되며, 선단면(28)에서 외부로 개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소형 열원(13)은, 통기로(31)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홀더(12)(제1 부분(23))에 통기용의 작은 구멍을 복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가 흡인을 행하는 경우에는, 해당 작은 구멍을 통해 홀더(12) 내 및 홀더(12) 내에 있는 향미원(16)에 공기가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향료(15)는,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에 담지된다. 향료(15)는 아네톨로 구성되지만, 그 이외의 향료여도 당연히 된다. 향료(15)는, 아네톨 대신에, 아니스알데히드, 2-피넨, 2-β-피넨, 사비넨, 리모넨, 1,8-시네올, m-시멘, 4-테르피네올, 미리스티신, β-시트로넬롤, 네롤, 페네틸 알코올, 아세트산리날릴, 아세트산벤질, 자스몬, 데카날, 리나롤 등이어도 된다. 아네톨 및 아네톨을 대신하는 이들 향료는, 예를 들면 4주간의 장치(藏置) 후에 있어서도 향료의 잔존율을 5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네톨 및 아네톨을 대신하는 이들 향료를 이용하면, 장치 안정성이 향상된다.
아네톨을 대신하는 향료로서, 더 바람직하게는, 아니스알데히드, 2-피넨, 2-β-피넨, 사비넨, 리모넨, 1,8-시네올, m-시멘, 4-테르피네올, 미리스티신, β-시트로넬롤, 페네틸 알코올, 아세트산리날릴, 아세트산벤질, 자스몬, 리나롤 등이어도 된다. 아네톨 및 아네톨을 대신하는 이들 향료는, 예를 들면 4주간의 장치 후에 있어서도 향료의 잔존율을 7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네톨 및 아네톨을 대신하는 이들 향료를 이용하면, 장치 안정성이 더 향상된다.
향료(15)는, 복수의 향료를 혼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한, 향료(15)는, 연소형 열원(13)의 기단면(29) 및 제2 면취부(35)에는 실질적으로 담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로부터 휘산 또는 확산한 향료(15)가 기단면(29) 및 제2 면취부(35)에 흡착되어 유지되는 것은 일어날 수 있다.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되는 향료(15)의 양은, 중심축(C)을 따라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에서 향료(15)의 담지량이 가장 많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향료(15)가 담지되는 양은,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서 균일하지는 않아도 된다. 향료(15)는, 선단면(28)으로부터 기단면(29)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향료(15)의 양이 감소하도록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 담지되어도 된다.
향료(15)를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면(28)에 대향하도록 노즐을 배치하고, 이 노즐로부터,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의 액적(液滴)을 노즐로부터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를 향하여 토출(적하)시켜서,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에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을 부착시켜도 된다.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은, 선단면(28)의 전체에 토출시켜도 되고, 선단면(28)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토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통기로(31)에 대응하는 부분(통기로(31) 및 통기로(31)의 외연(外緣)을 규정하는 벽부)에는, 향료(15)를 부착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통기로(31)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액이 선단면(28)으로부터 연소형 열원(13)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선단면(28) 부근에 향료(15)가 담지된다. 혹은,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의 기단면(29)측의 위치를 파지하여,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에 대하여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을 소정 시간 담금으로써,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 부근에 향료(15)를 담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향료(15)를 포함한 탄성이 있는 다공질체(예를 들면, 스펀지)에 대하여 선단면(28)을 눌러 붙임으로써,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1) 부근에 향료(15)를 담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의 액적의 토출에는 잉크젯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컵(17)에 연소형 열원(13)을 삽입한 후에, 연소형 열원(13)에 대하여 향료(15)를 담지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액적을 토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연소형 열원(13)만을 향하여 정확하게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을 토출시키는 방법(예를 들면, 잉크젯 방식),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에 대하여 연소형 열원(13)만을 담그는 방법, 혹은 향료(15)를 포함한 탄성이 있는 다공질체를 이용하는 경우는 연소형 열원(13)만이 다공질체에 접촉하고, 컵(17) 부분은 다공질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컵(17)이나 컵(17) 내에 있는 향미원에 향료(15)가 의도치않게 첨가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본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향미 흡인기(11)의 흡인에 앞서, 향미 흡인기(11)를 패키지로부터 취출하면, 유저는,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으로부터 발산되는 향(외향)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홀더(12)의 흡구(36)를 입술로 문 상태로, 연소형 열원(13)에 착화할 때 및 연소형 열원(13)에 착화한 후에 있어서, 착화원(着火源) 또는 연소형 열원(13)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선단면(28)으로부터 발산되는 향(외향)을 느낄 수 있다.
유저가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 부근에 착화를 행하고, 유저가 흡인을 개시하면, 연소형 열원(13)이 소정 온도(예를 들면 250℃∼900℃)까지 발열하고, 연소형 열원(13)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향미원(16)이 데워진다. 이에 의해, 향미원(16)에 포함되는 성분이 발산되어, 필터부(21)를 통해 유저의 입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향미원(16)으로부터의 향끽미를 즐길 수 있다. 이때, 선단면(28)에 담지된 향료는, 주변에 있는 공기와 함께 통기로(31)를 통하여 홀더(12) 내부로 취입되고, 컵(17) 내에서 향미원(16)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분과 혼합되며, 필터부(21)를 경유하여 유저의 입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선단면(28)에 담지된 향료(15)를 주류연(主流煙)에 포함되는 내향(內香)으로서도 느낄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필요에 따라 캡슐(22)을 손가락으로 눌러 깨뜨림으로써, 주류연의 향끽미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유저가 소정 시간 흡인을 행하여, 연소형 열원(13)이 모두 연소되었을 때, 혹은 향미원(16)으로부터의 향끽미가 없어졌을 때, 흡인이 완료된다. 이때, 연소형 열원(13)의 재는, 지면으로 낙하하는 일없이 홀더(12)의 선단에 유지되므로, 주변 환경에 대한 부하가 작다. 또한, 향미 흡인기(11)로부터 발생하는 연기는, 종래의 궐련(시가렛)에 비하여 현저하게 적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대한 부하가 작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향미 흡인기(11)는, 흡구단(12A)으로부터 선단(12B)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 모양의 홀더(12)와, 홀더(12) 내에 설치되는 향미원(16)과, 선단(12B)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13)으로서, 선단(12B)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4)와, 돌출부(14)에 담지된 향료(15)를 가지는 연소형 열원(13)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향료가 연소형 열원(13)의 외부에 노출된 위치에 담지된다. 이 때문에, 향료(15)는, 주류연에 취입되어 유저의 구강을 경유하여 느낄 수 있는 내향으로서의 기여뿐만 아니라, 돌출부(14)로부터 발산된 향이 직접 유저의 코에 닿게 되는 외향으로서도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연소형 열원(13)의 돌출부(14)는, 향미 흡인기(11)가 입술에 물려졌을 때, 유저의 코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소량의 향료(15)로도 효율적으로 유저의 코에 향(외향)을 보낼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유저의 기호에 합치한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내향은, 입(구강)을 경유한 후에 코(비강)로 딜리버리되는 향료 성분에 의해 느껴지는 향을 말한다. 또한, 외향은, 입(구강)을 경유하지 않고 코(비강)로 딜리버리되는 향료 성분에 의해 느껴지는 향을 말한다.
돌출부(14)는, 선단면(28)을 가지며, 향료(15)는, 선단면(28)에 담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에 의해 파지될 가능성이 적은 선단면(28)에 향료(15)를 담지시킬 수 있어, 유저가 향미 흡인기(11)를 흡인하기 전에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을 파지한 경우에도, 유저의 손가락 등에 향료(15)가 옮아 버리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형 열원(13)은, 고부활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부활탄은, 그 미세 구멍(미크로 포어) 내에 향료(15)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고부활탄의 높은 미립자 흡착 능력에 의해, 장치 후의 향미 흡인기(11)에 잔류하는 향료(15)의 총량을 많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부활탄의 다공질 구조에 의해 착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착화하기 쉬운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부활탄의 다공질 구조에 의해 연소형 열원(13)의 연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연소형 열원(13)에서 안정적인 연소를 계속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의 일부를 변형한 제2 실시형태로부터 제8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관하여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
도 4에 제2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연소형 열원(13)을 나타낸다. 연소형 열원(13)의 형상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형 열원(13)은,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에 담지되는 향료(15)와,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를 가진다. 제2 향료(41)는, 중심축(C) 방향에 관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32)에 형성된 복수의 환(環) 모양의 담지부(42)에서 담지된다. 복수의 담지부(42)는, 중심축(C) 방향에 관하여 소정 폭을 가지며 띠 모양으로 형성된다. 담지부(42)의 형상은, 복수의 환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담지부(42)는, 하나의 폭넓은 띠 모양(환 모양)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담지부(42)의 형상은 환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중심축(C)과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의 담지부(42)를 복수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담지부(42)는, 인접하는 다른 담지부(42)와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의 담지부(42)는, 중심축(C)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향료(41)는,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되는 위치가 향료와는 상이할 뿐만 아니라, 향료(15)와 같은 성분을 가진다. 즉, 향료(15) 및 제2 향료(41)는, 예를 들면, 아네톨로 구성된다. 향료(15) 및 제2 향료(41)는, 아네톨 이외의 향료로 제1 실시형태에 기재한 향료여도 당연히 된다. 향료(15) 및 제2 향료(41)는, 복수의 향료를 혼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의 양은, 연소형 열원(13)의 반경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면(32)에서 제2 향료(41)의 담지량이 가장 많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 향료(41)가 담지되는 양은,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서 균일하지는 않아도 된다. 제2 향료(41)는, 외주면(32)으로부터 중심축(C)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향료(15)의 양이 감소하도록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 담지되어도 된다.
향료(15)를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2 향료(41)를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향료(41)를 포함하는 액에 일부가 잠긴 복수의 미소한 롤러로, 서로 직렬로 늘어선 것을 준비한다. 각 롤러가 회전하는 방향은, 복수의 롤러가 직렬로 늘어서는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복수의 롤러에 대해 상측에서부터 걸치도록 연소형 열원(13)을 배치하여, 이들 복수의 롤러 상에서 연소형 열원(13)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외주면(32)에 대하여 복수의 띠 모양(환 모양)의 담지부(42)를 형성하도록, 제2 향료(41)를 전사(도포)할 수 있다. 혹은, 제2 향료(41)는, 회전시킨 연소형 열원(13)에 대하여, 외주면(32)에 근접한 노즐로부터 비교적 고점도의 제2 향료(41)를 포함하는 액을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것에 의해서도, 외주면(32)에 담지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제2 향료(41)를 외주면(32)에 도포하여 외주면(32)에 제2 향료(41)를 담지시키는 방법은, 잉크젯 방식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향미 흡인기(11)의 흡인에 앞서, 향미 흡인기(11)를 패키지로부터 취출하면, 유저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의 향료(15) 및 외주면(32)의 제2 향료(41)로부터 발산되는 향(외향)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홀더(12)의 흡구(36)를 입술로 문 상태로, 연소형 열원(13)에 착화를 하기 전후에서도, 선단면(28)의 향료(15) 및 외주면(32)의 제2 향료(41)로부터 발산되는 향(외향)을 느낄 수 있다.
유저가 연소형 열원(13)에 착화를 행하고, 유저가 흡인을 개시하면, 연소형 열원(13)이 소정 온도(예를 들면 250℃∼900℃)까지 발열하고, 연소형 열원(13)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향미원(16)이 데워진다. 이에 의해, 향미원(16)에 포함되는 성분이 발산되어, 필터부(21)를 통하여 유저의 입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향미원(16)으로부터의 향끽미를 즐길 수 있다. 이때, 선단면(28)에 담지된 향료는, 주변 공기와 함께 통기로(31)를 통하여 홀더(12) 내부에 취입되고, 컵(17) 내에서 향미원(16)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분과 섞이며, 필터부(21)를 경유하여 유저의 입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선단면(28)에 담지된 향료(15)를 내향으로서도 느낄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필요에 따라 캡슐(22)을 손가락으로 눌러 깨뜨림으로써, 주류연의 향끽미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유저가 소정 시간 흡인을 행하여, 연소형 열원(13)이 모두 연소되었을 때, 혹은 향미원(16)으로부터의 향끽미가 없어졌을 때, 향미 흡인기(11)의 이용이 완료된다.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부(14)는, 선단면(28)과 인접한 외주면(32)과, 외주면(32)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선단면(28)에 담지되는 향료(15)에 더하여, 외주면(32)에도 제2 향료(41)를 더 담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되는 향료(15) 및 제2 향료(41)의 총중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소형 열원(13)에 대하여 충분한 양의 향료(15) 및 제2 향료(41)를 담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주류연에 취입되는 내향이나 홀더(12) 내부를 통하지 않는 외향을 유저에 대하여 확실히 보낼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유저의 기호에 합치한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향료(41)는, 향료(15)와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향료(15)를 담지시키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향료(15)로부터 발생하는 향을 더 효과적으로 유저에게 보낼 수 있다.
외주면(32)은, 제2 향료(41)를 담지한 환 모양의 담지부(42)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환 모양의 담지부(42)의 폭(연소형 열원(13)의 중심축(C) 방향에 관한 길이) 혹은 환 모양의 담지부(42)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제2 향료(41)의 양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면(32)에 있는 복수의 환 모양의 담지부(42)는, 모두 같은 제2 향료(41)를 담지하고 있지만, 환 모양의 담지부(42)끼리 서로 상이한 향료를 담지하도록 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연소형 열원(13)은, 도 4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연소형 열원(13)과 같은 외관을 가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연소형 열원(13)의 형상은, 제2 실시형태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형 열원(13)은,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에 담지되는 향료(15)와,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를 가진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며, 제2 향료(41)는, 향료(15)와는 상이하다. 즉, 향료(15)는, 예를 들면, 아네톨로 구성된다. 제2 향료(41)는, 예를 들면, 리모넨으로 구성된다. 향료(15)는, 아네톨 이외의 향료로 제1 실시형태에 기재한 향료여도 된다. 제2 향료(41)는, 리모넨 이외의 향료로 제1 실시형태에 기재한 향료여도 된다. 향료(15) 및 제2 향료(41)는, 복수의 향료를 혼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상이하다」의 개념에는, 화합물의 종류가 상이한 것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상이하다」의 개념에는, 향료가 복수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1) 향료의 구성요소가 되는 화합물의 종류(조합)가 상이한 경우나, (2) 향료의 구성요소가 되는 화합물의 종류(조합)는 같지만, 화합물의 배합 비율이 서로 상이한 경우도 포함한다.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의 양은, 연소형 열원(13)의 반경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면(32)에서 제2 향료(41)의 담지량이 가장 많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 향료(41)가 담지되는 양은,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서 균일하지는 않아도 된다. 제2 향료(41)는, 외주면(32)으로부터 중심축(C)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향료(15)의 양이 감소하도록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 담지되어도 된다.
향료(15) 및 제2 향료(41)를 연소형 열원(13)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제2 실시형태와 같다. 본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작용도 제2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 향료(41)는, 향료(15)와는 상이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에 담지되는 향료(15)와 외주면(32)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 사이에서 종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연소형 열원(13)에 의하면, 복수 종류의 향료를 혼합하여 생성되는 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해져서, 제품 설계 시에 향의 조합의 선택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5에 제4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연소형 열원(13)을 나타낸다. 연소형 열원(13)의 형상은, 제1 실시형태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형 열원(13)은,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에 담지되는 향료(15)를 가진다. 또한,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에는, 어느 향료도 담지되지 않는다. 향료(15)는, 중심축(C) 방향에 관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32)에 형성된 복수의 환 모양의 담지부(42)에서 담지된다. 복수의 담지부(42)는, 중심축(C) 방향에 관하여 소정 폭을 가지며 띠 모양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담지부(42)는, 선단면(28) 및 홈부(33)보다 기단면(29)측(흡구단(12A)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담지부(42)는, 선단면(28)으로부터 3mm 이상 기단면(29)측(흡구단(12A)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담지부(42)는, 선단면(28)으로부터 5mm 이상 기단면(29)측(흡구단(12A)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담지부(42)의 배치에 의해, 유저가 선단면(28) 부근에 착화를 행한 경우라도, 착화에 의해 불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향료(15)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특히, 착화에 의해 향이 소실되기 쉬운 향료(15)를 담지부(42)에 담지시킬 때에 유용하다. 또한, 담지부(42)의 형상은, 복수의 환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담지부(42)는, 하나의 폭넓은 띠 모양(환 모양)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향료(15)는 아네톨로 구성되지만, 그 이외의 향료여도 당연히 된다. 향료(15)는, 아네톨 이외의 향료로 제1 실시형태에 기재한 향료여도 된다. 향료(15)는, 복수의 향료를 혼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되는 향료(15)의 양은, 연소형 열원(13)의 반경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면(32)에서 향료(15)의 담지량이 가장 많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 향료(15)가 담지되는 양은,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서 균일하지는 않아도 된다. 향료(15)는, 외주면(32)으로부터 중심축(C)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향료(15)의 양이 감소하도록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 담지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향료(15)의 도포 방법은, 제2 실시형태의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의 도포 방법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부(14)는, 외주면(32)을 가지며, 향료(15)는, 외주면(32)에 담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소형 열원(13)에 착화할 때의 착화면이 되는 선단면(28)에 굳이 향료(15)를 배치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 외주면(32)에만 향료(15)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착화에 의해 향이 소실되기 쉬운 향료(15)를 연소형 열원(13)에 담지시키고 싶은 경우 등에, 본 실시형태와 같은 향료(15)의 배치를 취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에 의해 향료의 선택지가 더 넓어져, 제품 설계의 자유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 6, 도 7에 제5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연소형 열원(13)을 나타낸다. 연소형 열원(13)의 형상은, 제1 실시형태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향료(15)는,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과, 제1 면취부(34)와, 홈부(33)의 내주면에 각각 담지된다.
향료(15)는 아네톨로 구성되지만, 그 이외의 향료여도 당연히 된다. 향료(15)는, 아네톨 이외의 향료로 제1 실시형태에 기재한 향료여도 된다. 향료(15)는, 복수의 향료를 혼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향료(15)를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 제1 면취부(34), 홈부(33)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임의의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면(28)에 대향하도록 노즐을 배치하고, 이 노즐로부터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의 액적(液滴)을 토출(적하)시켜서, 선단면(28), 제1 면취부(34), 및 홈부(33)에 향료를 포함하는 액을 부착시켜도 된다. 이 경우, 통기로(31)에 대응하는 부분(통기로(31) 및 통기로(31)의 외연(外緣)을 규정하는 벽부)에는, 향료(15)를 부착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통기로(3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액이 선단면(28) 및 홈부(33)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소형 열원(13)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선단면(28) 부근 및 홈부(33) 부근에 향료(15)가 담지된다. 혹은,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의 기단면(29)측의 위치를 파지하여,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측의 부분을 선단면(28) 및 홈부(33) 전체가 잠기는 위치까지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에 대하여 소정 시간 담금으로써,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 부근 및 홈부(33) 부근에 향료(15)를 담지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부(14)는, 선단면(28)과, 선단면(28)과 인접한 외주면(32)을 가지며, 연소형 열원(13)은, 홀더(12)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통기로(31)와, 선단면(28) 및 외주면(32)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오목하게 돌출부(14)에 마련됨과 아울러 통기로(31)와 연통한 홈부(33)를 가지며, 향료(15)는, 홈부(33)에 담지된다.
통기로(31)에 연통하도록 홈부(33)를 형성한 경우에, 유저가 흡구단(12A)으로부터 흡인을 행한 경우의 공기의 흐름에는, 통기로(31)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흐름과, 선단면(28)을 따라 통기로(31)로 향하는 흐름과, 홈부(33) 내를 통해서 통기로(31)로 향하는 흐름이 포함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기로(31)와 연통한 홈부(33)가 마련되고, 홈부(33)에 향료(15)가 담지되기 때문에, 선단면(28)에만 향료(15)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통기로(31)로 향하는 공기와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된 향료(15)가 접촉하는 면적(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더 효율적으로 향을 내향으로서 주류연에 실을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총중량의 향료(15)에 의해, 충분한 향을 유저의 구강 내로 보낼 수 있어, 향료 딜리버리에 관하여 비용 대비 효과가 높은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딜리버리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향료(15)의 총중량을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해지며, 이에 의해 향미 흡인기(11)의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향료(15)는, 선단면(28)에 담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홈부(33) 내의 향료(15)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향료(15)를 더 가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홈부(33) 내에 담지되는 향료(15)에 관해서는, 주로 주류연에 실리는 내향으로서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선단면(28)에 담지되는 향료(15)에 관해서는, 주로 유저의 코에 직접 닿게 하는 외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소형 열원(13)의 영역마다 용도를 변화시키도록 한, 더 치밀한 제품 설계가 가능해져, 향끽미에 깊이감을 지니게 한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통 모양의 홀더(12)의 선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13)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선단면(28) 및 선단면(28)으로부터 오목한 홈부(33)를 가지는 연소 재료를 성형하고, 상기 연소 재료에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을 접촉시켜, 선단면(28)과 홈부(33)에 향료(15)를 담지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의 침투를 이용한 간단한 방법에 의해, 연소형 열원(13)에 향료(15)를 담지시킬 수 있어, 향료 부착 연소형 열원(13)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연소 재료의 선단면(28) 및 홈부(33)에는,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의 액적이 선단면(28)측으로부터 부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소형 열원(13)에 대하여 액적을 부착시켜, 액의 침투를 이용한다고 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연소형 열원(13)에 향료를 담지시킬 수 있다.
상기 연소 재료는, 다공질 구조를 가진다. 이 다공질 구조는, 예를 들면, 연소형 열원(13)에 함유되는 고부활탄의 미세 구멍(미크로 포어)에 의해 실현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부활탄의 높은 미립자 흡착 능력에 의해, 장치 후의 향미 흡인기(11)에 잔류하는 향료(15)의 총량을 많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 구조에 대한 액의 침투를 이용하여 연소형 열원(13)에 향료를 담지시킬 수 있어, 간단하고 또 단시간인 공정으로 연소형 열원을 제조할 수 있다.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은, 상기 연소 재료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기로(3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선단면(28) 및 홈부(33)에 대하여 부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방법에 의해, 통기로(31)에 대하여 향료(15)를 담지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통기로(31)에는 굳이 향료(15)를 배치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어, 제품 설계시에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나의 변형에 따른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연소 재료의 선단면(28) 및 홈부(33)는,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에 대하여 담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방법에 의해, 연소형 열원(13)에 대하여 충분한 양의 향료(15)를 담지시킬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8에 제6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연소형 열원(13)을 나타낸다. 연소형 열원(13)의 형상은, 제1 실시형태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향료(15)는,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과, 제1 면취부(34)와, 홈부(33)의 내주면에 각각 담지된다.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에는, 제2 향료(41)가 담지된다.
제2 향료(41)는, 중심축(C) 방향에 관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32)에 형성된 복수의 환 모양의 담지부(42)에서 담지된다. 복수의 담지부(42)는, 중심축(C) 방향에 관하여 소정 폭을 가지며 띠 모양으로 형성된다. 담지부(42)의 형상은, 복수의 환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담지부(42)는, 하나의 폭넓은 띠 모양(환 모양)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향료(41)는,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되는 위치가 향료(15)와는 상이할 뿐이며, 향료(15)와 같은 성분을 가진다. 즉, 향료(15) 및 제2 향료(41)는, 예를 들면, 아네톨로 구성된다. 향료(15) 및 제2 향료(41)는, 아네톨 이외의 향료로 제1 실시형태에 기재한 향료여도 당연히 된다. 향료(15) 및 제2 향료(41)는, 복수의 향료를 혼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향료(15)를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 제1 면취부(34), 및 홈부(33)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제5 실시형태와 같다. 제2 향료(41)를 외주면(32)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2 향료(41)를 외주면(32)에 담지시키는 방법과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향료(15) 및 제2 향료(41)가 동일 향료로 실현되기 때문에, 잉크젯 방식 등을 이용하여, 선단면(28), 제1 면취부(34), 홈부(33), 외주면(32)에 향료(15)를 일괄적으로 도포하여 연소형 열원(13)에 향료(15)를 담지시켜도 된다. 그 밖에, 연소형 열원(13)에 향료(15) 및 제2 향료(41)를 담지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부(14)는, 외주면(32)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선단면(28), 제1 면취부(34), 및 홈부(33)에 있는 향료(15)에 더하여, 외주면(32)에 제2 향료(41)를 더 담지시킬 수 있다. 외주면(32)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는, 유저의 코에 직접 도달되는 외향으로서의 기여도가 크다. 이에 의해, 연소형 열원(13)에 대하여, 향료(15) 및 제2 향료(41)를 담지 가능한 면적을 더 증가시켜, 더 중후한 향의 향끽미가 얻어지는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향료(41)는, 향료(15)와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향료(15)를 담지할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더 중후한 향의 향끽미가 얻어지는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면(32)은, 제2 향료(41)를 담지한 환 모양의 담지부(42)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환 모양의 담지부(42)의 폭(연소형 열원(13)의 중심축(C) 방향에 관한 길이) 혹은 환 모양의 담지부(42)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제2 향료(41)의 양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 모양의 담지부(42)는, 모두 같은 제2 향료(41)를 담지하고 있지만, 환 모양의 담지부(42)끼리에서 서로 다른 향료를 담지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연소형 열원(13)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연소 재료의 선단면(28)과 인접하는 외주면(32)에 향료(15)와는 상이한 제2 향료(41)를 전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방법에 의해, 2종류의 향료(15)를 연소형 열원(13)에 대하여 담지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홈부(33) 내에 담지되는 향료(15)에 관해서는, 주로 주류연에 실리는 내향으로서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선단면(28) 및 외주면(32)에 담지되는 향료(15)에 관해서는, 주로 유저의 코에 직접 닿게 하는 외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소형 열원(13)의 영역마다 용도를 변경하도록 한, 더 치밀한 제품 설계가 가능해져, 향끽미에 깊이감이 있는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제7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연소형 열원은, 도 8에 나타내는 제6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연소형 열원(13)과 같은 외관을 가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7 실시형태의 연소형 열원(13)의 형상은, 제1 실시형태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형 열원(13)은,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에 담지되는 향료(15)와, 제1 면취부(34)에 담지되는 향료(15)와, 홈부(33)에 담지되는 향료(15)와,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를 가진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제6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며, 제2 향료(41)는, 향료(15)와는 상이하다. 즉, 향료(15)는, 예를 들면, 아네톨로 구성된다. 제2 향료(41)는, 예를 들면, 리모넨으로 구성된다. 향료(15)는, 아네톨 이외의 향료로 제1 실시형태에 기재한 향료여도 된다. 제2 향료(41)는, 리모넨 이외의 향료로 제1 실시형태에 기재한 향료여도 된다. 향료(15) 및 제2 향료(41)는, 복수의 향료를 혼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의 양은, 연소형 열원(13)의 반경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면(32)에서 제2 향료(41)의 담지량이 가장 많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 향료(41)가 담지되는 양은,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서 균일하지는 않아도 된다. 제2 향료(41)는, 외주면(32)으로부터 중심축(C)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향료(15)의 양이 감소하도록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 담지되어도 된다.
향료(15) 및 제2 향료(41)를 연소형 열원(13)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제6 실시형태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 향료(41)는, 향료(15)와는 상이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소형 열원(13)의 홈부(33)에 담지되는 향료(15)와 외주면(32)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 사이에서 종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 종류의 향료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향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해져, 제품 설계시에 있어서 향의 조합의 선택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홈부(33)에 담지되는 향료를 주로 내향으로서 활용하고, 외주면(32)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를 주로 외향으로 활용하는 등, 한층 더 치밀한 제품 설계가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향끽미에 깊이감이 있는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제8 실시형태]
도 9에 제8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1)의 연소형 열원을 나타낸다. 연소형 열원(13)의 형상은, 제1 실시형태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향료(15)는,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과, 제1 면취부(34)와, 홈부(33)의 내주면에 각각 담지된다.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에는, 제2 향료(41)가 담지된다. 통기로(31)(통기로(31)의 내주면)에는, 제3 향료(51)가 담지된다.
제8 실시형태에서는, 향료(15), 제2 향료(41), 및 제3 향료(51)는, 서로 상이하다. 향료(15)는, 예를 들면, 아네톨로 구성되지만, 아네톨 이외의 향료로 제1 실시형태에 기재한 향료여도 된다. 제2 향료(41)는, 예를 들면, 리모넨으로 구성되지만, 리모넨 이외의 향료로 제1 실시형태에 기재한 향료여도 된다. 제3 향료(51)는, 예를 들면, 아니스알데히드로 구성되지만, 아니스알데히드 이외의 향료로 제1 실시형태에 기재한 향료여도 된다.
향료(15)는, 제2 향료(41) 또는 제3 향료(51)와 동일해도 된다. 제2 향료(41)는, 제3 향료(51)와 동일해도 된다. 향료(15), 제2 향료(41), 및 제3 향료(51)는, 복수의 향료를 혼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되는 제2 향료(41)의 양은, 연소형 열원(13)의 반경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면(32)에서 제2 향료(41)의 담지량이 가장 많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 향료(41)가 담지되는 양은,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서 균일하지는 않아도 된다. 제2 향료(41)는, 외주면(32)으로부터 중심축(C)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향료(15)의 양이 감소하도록 연소형 열원(13)의 내부에 담지되어도 된다.
향료(15)를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 제1 면취부(34), 및 홈부(33)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제5 실시형태와 같다.
예를 들면, 선단면(28)에 대향하도록 노즐을 배치하고, 도 10에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노즐로부터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의 액적을 토출(적하)시켜, 선단면(28) 및 제1 면취부(34)에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을 부착시켜도 된다. 이 경우, 통기로(31)의 주위에는, 향료(15)를 부착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통기로(3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액이 선단면(28), 제1 면취부(34), 및 홈부(33)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소형 열원(13)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선단면(28) 부근 및 홈부(33) 부근에 향료(15)가 담지된다. 혹은, 연소형 열원(13)의 외주면(32)의 기단면(29)측의 위치를 파지하여, 연소형 열원(13)의 선단면(28)측의 부분을 선단면(28) 및 홈부(33) 전체가 잠기는 위치까지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에 대하여 소정 시간 담금으로써, 선단면(28) 부근 및 홈부(33) 부근에 향료(15)를 담지시켜도 된다.
제2 향료(41)를 외주면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2 향료(41)를 외주면(32)에 담지시키는 방법과 같다.
제3 향료(51)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통기로(31)에 담지된다. 즉, 통기로(31)에 대향하도록 노즐을 배치하고, 도 10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노즐로부터 제3 향료(51)를 포함하는 액의 액적을 토출(적하)시킨다. 이에 의해, 통기로(31)의 내주면에 제3 향료(51)를 포함하는 액을 부착시켜, 해당 액을 연소형 열원(13) 내부로 침투시킴으로써, 제3 향료(51)를 통기로(31)의 내주면 부근에 담지시킨다. 제3 향료(51)를 포함하는 액의 토출은,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의 토출과 동시에 행해도 되고, 향료(15)를 포함하는 액의 토출과는 시간을 어긋나게 하여 실시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부(14)는, 통기로(31)에 담지되는 제3 향료(51)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홈부(33)에 담지되는 향료(15)에 더하여, 통기로(31)에 담지되는 제3 향료(51)도 주류연에 실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되는 향료(15, 51)의 총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더 중후한 향끽미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향료(51)는, 향료(15)와는 상이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소형 열원(13)의 홈부(33)에 담지되는 향료(15)와 통기로(31)에 담지되는 제3 향료(51) 사이에서 종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 종류의 향료를 혼합하여 생성되는 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해져, 제품 설계시에 있어서 향의 조합의 선택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의 취향에 합치한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나의 변형에서는, 제3 향료(51)는, 향료(15)와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소형 열원(13)에서 향료(15)가 담지되는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연소형 열원(13)에 담지되는 향료(15)의 총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기로(31)에 제3 향료(51)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류연에 대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향을 부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 중후한 향끽미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 있다.
향미 흡인기(11)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12)의 형상은, 원통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사각 통 모양 혹은 그 밖의 다각형 단면(육각형, 팔각형 등)을 가지는 통 모양이어도 당연히 된다. 또한, 상기한 상이한 실시형태 중의 구성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하나의 향미 흡인기(11)를 실현할 수도 있다.
출원인은, 하기 사항도 발명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흡구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 모양의 홀더와,
상기 홀더 내에 설치되는 향미원과,
상기 선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으로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담지된 향료를 가지는 연소형 열원,
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면취부를 가지며,
상기 향료는, 상기 면취부에 담지되는 향미 흡인기.
이하에,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정리하여 나타낸다.
[1] 흡구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 모양의 홀더와,
상기 홀더 내에 설치되는 향미원과,
상기 선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으로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담지된 향료를 가지는 연소형 열원,
을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
[2] 상기 돌출부는, 선단면을 가지며,
상기 향료는, 상기 선단면에 담지되는 [1]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3]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선단면과 인접한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 담지되는 제2 향료를 가지는 [2]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4] 상기 제2 향료는, 상기 향료와 동일한 [3]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5] 상기 제2 향료는, 상기 향료와는 상이한 [3]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6]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2 향료를 담지한 환 모양의 담지부를 가지는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7] 상기 돌출부는,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향료는, 상기 외주면에 담지되는 [1]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8] 상기 돌출부는, 선단면과, 상기 선단면과 인접한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연소형 열원은,
상기 홀더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통기로와,
상기 선단면 및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오목하게 상기 돌출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통기로와 연통한 홈부
를 가지며,
상기 향료는, 상기 홈부에 담지되는 [1]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9] 상기 향료는, 상기 선단면에 담지되는 [8]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10]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주면에 담지되는 제2 향료를 가지는 [8] 또는 [9]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11] 상기 제2 향료는, 상기 향료와 동일한 [10]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12] 상기 제2 향료는, 상기 향료와는 상이한 [10]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13]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2 향료를 담지한 환 모양의 담지부를 가지는 [10]∼[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14] 상기 통기로는, 제3 향료를 담지하는 청구항 [8]∼[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15] 상기 제3 향료는, 상기 향료와 동일한 [14]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16] 상기 제3 향료는, 상기 향료와는 상이한 [14]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17] 상기 향료는, 아네톨, 2-피넨, β-시트로넬롤, 아세트산리날릴, 리모넨, 아니스알데히드, 4-테르피네올, 2-β-피넨, 자스몬, 사비넨, 리나롤, 1,8-시네올, 페네틸 알코올, 및 미리스티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1]∼[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18] 상기 제2 향료는, 아네톨, 2-피넨, β-시트로넬롤, 아세트산리날릴, 리모넨, 아니스알데히드, 4-테르피네올, 2-β-피넨, 자스몬, 사비넨, 리나롤, 1,8-시네올, 페네틸 알코올, 및 미리스티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3]∼[6] 및 [10]∼[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19] 상기 제3 향료는, 아네톨, 2-피넨, β-시트로넬롤, 아세트산리날릴, 리모넨, 아니스알데히드, 4-테르피네올, 2-β-피넨, 자스몬, 사비넨, 리나롤, 1,8-시네올, 페네틸 알코올, 및 미리스티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14]∼[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20] 상기 연소형 열원은, 원주(圓柱)형을 가지는 [1]∼[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21] 상기 연소형 열원은, 선단면과, 상기 선단면과 대향한 기단면과, 상기 선단면과 상기 기단면을 연결하는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선단면이, 상기 외주면과 인접하는 위치에 면취부를 가지는 [1]∼[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22] 상기 향료는,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과 대향한, 상기 돌출부의 기단면에 담지되지 않는 [1]∼[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23] 상기 연소형 열원은, 활성탄을 함유하는 [1]∼[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24] 상기 활성탄은, 고부활탄인 [23]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25] 상기 활성탄은, 1300m2/g 이상, 2500m2/g 이하의 BET 비표면적을 가지는 [23] 또는 [24]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26] 상기 연소형 열원은, 3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의 양으로 상기 활성탄을 함유하는 [23]∼[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27] 상기 연소형 열원은, 30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의 양으로 상기 활성탄을 함유하는 [23]∼[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28] 상기 홀더 내의 상기 흡구단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향료 캡슐을 가지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1]∼[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29] 상기 향료 캡슐 내에는, 멘톨이 봉입(封入)되는 [28]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30] 상기 홀더는, 지통(紙筒)인 [1]∼[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31] 상기 홀더의 내측에 첩합된 알루미늄을 더 구비한 [1]∼[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32] 상기 향미원은, 담배 원료인 [1]∼[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33] 상기 향미원을 내부에 수납하는 컵으로서, 상기 선단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 내에 삽입되고, 저부에 개공부를 가지는 컵을 더 구비한 [1]∼[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34] 상기 컵은, 금속제 또는 종이제인 [33]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
[35] 통 모양의 홀더의 선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으로서,
선단면 및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오목한 홈부를 가지는 연소 재료를 성형하고,
상기 연소 재료에 향료를 포함하는 액을 접촉시켜, 상기 선단면과 상기 홈부에 향료를 담지시키는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36] 상기 연소 재료의 상기 선단면 및 상기 홈부에는, 상기 향료를 포함하는 액의 액적이 상기 선단면측으로부터 부착되는 [35]에 기재된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37] 상기 연소 재료는,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35] 또는 [36]에 기재된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38] 상기 향료를 포함하는 액은, 상기 연소 재료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기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선단면 및 상기 홈부에 대하여 부착되는 [36]에 기재된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39] 상기 연소 재료의 상기 선단면 및 상기 홈부는, 상기 향료를 포함하는 액에 대하여 담그는 [35]에 기재된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40] 상기 연소 재료의 상기 선단면과 인접하는 외주면에 상기 향료와는 상이한 제2 향료를 전사하는 [35]∼[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Claims (23)

  1. 흡구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 모양의 홀더와,
    상기 홀더 내에 설치되는 향미원과,
    상기 선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으로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담지된 향료를 가지는 연소형 열원,
    을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선단면을 가지며,
    상기 향료는, 상기 선단면에 담지되는 향미 흡인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선단면과 인접한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 담지되는 제2 향료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향료는, 상기 향료와 동일한 향미 흡인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향료는, 상기 향료와는 상이한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2 향료를 담지한 환(環) 모양의 담지부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향료는, 상기 외주면에 담지되는 향미 흡인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선단면과, 상기 선단면과 인접한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연소형 열원은,
    상기 홀더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통기로와,
    상기 선단면 및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오목하게 상기 돌출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통기로와 연통한 홈부,
    를 가지며,
    상기 향료는, 상기 홈부에 담지되는 향미 흡인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상기 선단면에 담지되는 향미 흡인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주면에 담지되는 제2 향료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향료는, 상기 향료와 동일한 향미 흡인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향료는, 상기 향료와는 상이한 향미 흡인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2 향료를 담지한 환 모양의 담지부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는, 제3 향료를 담지하는 향미 흡인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3 향료는, 상기 향료와 동일한 향미 흡인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3 향료는, 상기 향료와는 상이한 향미 흡인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고부활탄인 향미 흡인기.
  18. 통 모양의 홀더의 선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으로서,
    선단면 및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오목한 홈부를 가지는 연소 재료를 성형하고,
    상기 연소 재료에 향료를 포함하는 액을 접촉시켜, 상기 선단면과 상기 홈부에 향료를 담지시키는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연소 재료의 상기 선단면 및 상기 홈부에는, 상기 향료를 포함하는 액의 액적이 상기 선단면측으로부터 부착되는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연소 재료는,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향료를 포함하는 액은, 상기 연소 재료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기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선단면 및 상기 홈부에 대하여 부착되는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연소 재료의 상기 선단면 및 상기 홈부는, 상기 향료를 포함하는 액에 대하여 담그는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23.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연소 재료의 상기 선단면과 인접하는 외주면에 상기 향료와는 상이한 제2 향료를 전사하는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KR1020197002686A 2016-07-01 2017-06-28 향미 흡인기 및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KR102290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37087A KR102410458B1 (ko) 2016-07-01 2017-06-28 향미 흡인기 및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1586 2016-07-01
JPJP-P-2016-131585 2016-07-01
JPJP-P-2016-131586 2016-07-01
JPJP-P-2016-131587 2016-07-01
JP2016131587 2016-07-01
JP2016131585 2016-07-01
PCT/JP2017/023780 WO2018003871A1 (ja) 2016-07-01 2017-06-28 香味吸引器および燃焼型熱源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087A Division KR102410458B1 (ko) 2016-07-01 2017-06-28 향미 흡인기 및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445A true KR20190021445A (ko) 2019-03-05
KR102290700B1 KR102290700B1 (ko) 2021-08-17

Family

ID=6078640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686A KR102290700B1 (ko) 2016-07-01 2017-06-28 향미 흡인기 및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KR1020197002499A KR102230512B1 (ko) 2016-07-01 2017-06-28 향미 흡인기, 연소형 열원
KR1020207037087A KR102410458B1 (ko) 2016-07-01 2017-06-28 향미 흡인기 및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KR1020197002247A KR102202365B1 (ko) 2016-07-01 2017-06-28 향미 흡인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499A KR102230512B1 (ko) 2016-07-01 2017-06-28 향미 흡인기, 연소형 열원
KR1020207037087A KR102410458B1 (ko) 2016-07-01 2017-06-28 향미 흡인기 및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KR1020197002247A KR102202365B1 (ko) 2016-07-01 2017-06-28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20190124972A1 (ko)
EP (3) EP3469931B1 (ko)
JP (3) JP6716696B2 (ko)
KR (4) KR102290700B1 (ko)
CN (4) CN109414071A (ko)
CA (3) CA3029155C (ko)
WO (3) WO20180038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676A1 (ko) 2019-02-22 2020-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3399B2 (en) 2018-07-13 2023-08-15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with detachable cartridge
CN110771945A (zh) * 2019-04-01 2020-02-11 株式会社东亚产业 受热芳香发生体组成物、使用组成物的受热芳香发生体及使用受热芳香发生体的熏香芯
KR20200144049A (ko)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
US11395510B2 (en) 2019-07-19 2022-07-2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rotatable enclosure for cartridge
US11330838B2 (en) 2019-07-19 2022-05-1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Holder for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detachable cartridge
JP7242967B2 (ja) * 2019-12-17 2023-03-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点火補助剤および結合剤を含む可燃性熱源
US11439185B2 (en) 2020-04-29 2022-09-1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sliding and transversely rotating locking mechanism
US11589616B2 (en) 2020-04-29 2023-02-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sliding and axially rotating locking mechanism
WO2022038667A1 (ja) * 2020-08-18 2022-02-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燃焼型熱源及び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
US11825872B2 (en) 2021-04-02 2023-11-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protective sleeve
US11953362B2 (en) 2021-05-12 2024-04-09 Conrad Franklin Montville Dispensing device
KR20220167142A (ko) *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20240014863A (ko) * 2022-07-26 2024-02-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활성탄을 포함한 가향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필터 및 흡연 물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7686A (en) * 1954-12-23 1959-10-06 Henry I Siegel Cigarette substitute and method
JP2010535530A (ja) * 2007-08-10 2010-11-2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蒸留ベースの喫煙物品
WO2013146951A2 (ja) * 2012-03-30 2013-10-0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炭素熱源及び香味吸引具
WO2013183761A1 (ja) * 2012-06-08 2013-12-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具
WO2015174442A1 (ja) * 2014-05-15 2015-11-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及びカップ部材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4331A (en) 1984-09-14 1989-08-0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5067499A (en) 1984-09-14 1991-11-26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4989619A (en) 1985-08-26 1991-02-05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with improved fuel element
GB8529851D0 (en) 1985-12-04 1986-01-15 Rothmans Of Pall Mall Linear layered cigarette
US4765347A (en) * 1986-05-09 1988-08-2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flavor delivery system
US4819665A (en) * 1987-01-23 1989-04-1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article
US5076296A (en) * 1988-07-22 1991-12-31 Philip Morris Incorporated Carbon heat source
US4966171A (en) * 1988-07-22 1990-10-30 Philip Morris Incorporated Smoking article
US4955399A (en) * 1988-11-30 1990-09-1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5082008A (en) * 1988-12-09 1992-01-21 Johnson Robert R Smoking article
US5247947A (en) * 1990-02-27 1993-09-2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JP3325591B2 (ja) * 1990-08-24 2002-09-1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喫煙物品
US5065776A (en) 1990-08-29 1991-11-19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with tobacco/glass fuel wrapper
US5327915A (en) * 1992-11-13 1994-07-12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 Smoking article
CN2414624Y (zh) * 2000-02-28 2001-01-17 吴杰 点燃端为芳香段的烟卷
JP3974898B2 (ja) * 2001-12-28 2007-09-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
US20030159703A1 (en) 2002-02-22 2003-08-28 Zuyin Yang Flavored carbon useful as filtering material of smoking article
US7836895B2 (en) 2003-06-23 2010-11-2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ed cigarette incorporating a breakable capsule
US7479098B2 (en) 2005-09-23 2009-01-20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Equipment for insertion of objects into smoking articles
US8282739B2 (en) * 2006-08-03 2012-10-09 Philip Morris Usa Inc. Preformed cigarette having a specifically defined immobilized flavorant additive insert positioned therein
US8739802B2 (en) * 2006-10-02 2014-06-0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ed cigarette
US8186360B2 (en) 2007-04-04 2012-05-29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comprising dark air-cured tobacco
US8113215B2 (en) * 2007-06-21 2012-02-14 Philip Morris Usa Inc. Smoking article filter having liquid additive containing tubes therein
US8186359B2 (en) 2008-02-01 2012-05-29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ystem for analyzing a filter element associated with a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JP5178829B2 (ja) 2008-06-25 2013-04-1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
JP5292461B2 (ja) * 2009-04-03 2013-09-1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喫煙物品用シートおよび非燃焼型喫煙物品、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8464726B2 (en) * 2009-08-24 2013-06-1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egmented smoking article with insulation mat
US8402978B2 (en) * 2009-10-09 2013-03-26 Philip Morris Usa Inc. Coated impregnated porous filter plug
UA112440C2 (uk) 2011-06-02 2016-09-12 Філіп Морріс Продактс С.А. Спалиме джерело тепла для курильного виробу
EP2738244B1 (en) * 2011-07-15 2019-03-20 Japan Tobacco Inc. Flavorant-carrying adsorbent particle, cigarette filter, filter-tipped cigarette, and method for producing flavorant-carrying adsorbent particle
WO2013121608A1 (ja) * 2012-02-16 2013-08-22 株式会社カマタ カプセル内蔵フィルターとこのフィルターを備えたタバコ及びタバコ代用品
KR20140126350A (ko) * 2012-03-07 2014-10-30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및 궐련
US20130255702A1 (en) 2012-03-28 2013-10-0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incorporating a conductive substrate
EP3300616B1 (en) * 2013-03-11 2021-11-24 Japan Tobacco Inc. Burning type heat source and flavor inhaler
WO2014140168A2 (en) * 2013-03-13 2014-09-18 TAVERNE, Georges Cigarette-like smoking article
US9788571B2 (en) 2013-09-25 2017-10-17 R.J. Reynolds Tobacco Company Heat generation apparatus for an aerosol-generation system of a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smoking article
CN106231931B (zh) * 2014-04-30 2019-07-30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耗材
JP2017169447A (ja) 2014-08-05 2017-09-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用の香味付与剤
CN205284980U (zh) * 2016-01-18 2016-06-08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可燃热源辅助加热提香的发烟制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7686A (en) * 1954-12-23 1959-10-06 Henry I Siegel Cigarette substitute and method
JP2010535530A (ja) * 2007-08-10 2010-11-2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蒸留ベースの喫煙物品
WO2013146951A2 (ja) * 2012-03-30 2013-10-0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炭素熱源及び香味吸引具
WO2013183761A1 (ja) * 2012-06-08 2013-12-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具
WO2015174442A1 (ja) * 2014-05-15 2015-11-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及びカップ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676A1 (ko) 2019-02-22 2020-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28943C (en) 2021-05-04
US11517040B2 (en) 2022-12-06
CA3029151A1 (en) 2018-01-04
US11819052B2 (en) 2023-11-21
CA3029155A1 (en) 2018-01-04
EP3469932A4 (en) 2020-01-15
CN109414070A (zh) 2019-03-01
CN109414069A (zh) 2019-03-01
EP3469931A4 (en) 2020-03-11
CA3029151C (en) 2021-05-18
JPWO2018003870A1 (ja) 2019-02-14
JP6716695B2 (ja) 2020-07-01
EP3469931B1 (en) 2021-12-15
EP3469931A1 (en) 2019-04-17
KR20190021424A (ko) 2019-03-05
WO2018003872A1 (ja) 2018-01-04
KR102202365B1 (ko) 2021-01-13
EP3469932B1 (en) 2021-11-10
KR20190021396A (ko) 2019-03-05
CN109414071A (zh) 2019-03-01
CN109414070B (zh) 2022-08-16
CA3029155C (en) 2021-07-13
KR102230512B1 (ko) 2021-03-19
EP3459374A4 (en) 2020-03-18
KR102410458B1 (ko) 2022-06-22
CA3028943A1 (en) 2018-01-04
JP6716694B2 (ja) 2020-07-01
US20190133176A1 (en) 2019-05-09
WO2018003871A1 (ja) 2018-01-04
KR20210000323A (ko) 2021-01-04
KR102290700B1 (ko) 2021-08-17
WO2018003870A1 (ja) 2018-01-04
US20190124973A1 (en) 2019-05-02
JPWO2018003872A1 (ja) 2019-02-14
CN112931985A (zh) 2021-06-11
EP3469932A1 (en) 2019-04-17
EP3459374A1 (en) 2019-03-27
EP3459374B1 (en) 2022-04-13
JP6716696B2 (ja) 2020-07-01
US20190124972A1 (en) 2019-05-02
JPWO2018003871A1 (ja) 2019-02-14
CN109414069B (zh)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700B1 (ko) 향미 흡인기 및 연소형 열원의 제조 방법
TW201143639A (en) Non-heating type cigarettes
TWI682728B (zh) 香味吸嚐器及燃燒型熱源的製造方法
TWI682726B (zh) 香味吸嚐器、燃燒型熱源
TWI693029B (zh) 香味吸嚐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