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060A - 압축된 주름 구성 필터에 대한 고정된 강성 벽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된 주름 구성 필터에 대한 고정된 강성 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060A
KR20190020060A KR1020197001568A KR20197001568A KR20190020060A KR 20190020060 A KR20190020060 A KR 20190020060A KR 1020197001568 A KR1020197001568 A KR 1020197001568A KR 20197001568 A KR20197001568 A KR 20197001568A KR 20190020060 A KR20190020060 A KR 20190020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ing
filter
receiving area
tool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 류
마이클 린치
리안 실비아
조셉 알마시안
살바토레 기글리아
룩 메지에르
Original Assignee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700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8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4Pleat-type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52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ith specific folds, e.g. having different 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2Pleated filters
    • B01D2201/122Pleated filters with pleats of different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3Open housings
    • B01D2313/2031Frame or cage-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5Specific hou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대규모 여과 장치의 여과 특성을 복제하기 위한 스케일링 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케일링 툴은,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하나 이상의 주름들을 구비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필터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수용 영역은 상기 멤브레인의 하나 이상의 주름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강성 벽 프레임워크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대규모 여과 장치의 여과 성능을 비례적으로 복제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상기 주름들을 압축한다. 또한, 스케일링 툴에 있어서 필터 수용 영역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축된 주름 구성 필터에 대한 고정된 강성 벽 장치
소규모 크기의 필터들은, 특히 완전하고도 철저한 동작을 위한 멤브레인 영역 요구사항들을 예측하기 위해, 공정 경로에 있어서의 대규모 여과 특성의 초기 평가를 위해 매우 유용하다. 선형 스케일 업(linear scale up)은, 예를 들어 플럭스 및 용량과 같은 여과 성능이 선택된 장치 포맷들과 무관하게 선형으로 스케일링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선형 스케일링은, 다수의 팩터들이 스케일링 예측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종종 부정확하다. 그 결과, 멤브레인 성능 및 공정 상태에 있어서의 가변성을 허용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많은 안전 팩터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원통형 여과 카트리지는 다공성 물질의 주름진 층들을 포함한다. 주름진 포맷들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멸균 등급 멤브레인 필터 적용예들에 사용되고, 다양한 주름 구성들이 가능하며, 이때 고밀도의 주름 구성들은 큰 멤브레인 표면들이 비교적 콤팩트한 장치에 내장되도록 한다. 그러나, 고밀도의 주름 구성들은 유동 제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주름들 간의 소정 두께 및 각도들의 주름들의 수는, 얼마나 많은 압축이 주름에 존재하는 지를 나타낸다. 주름 팩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압축이 증대하고; 이와 유사하게 보다 많은 주름들이 원통형 카트리지 또는 필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주름들 사이의 각도가 증가한다. 주름들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고 주름들 간의 압축이 증대함에 따라, 여과 특성들이 영향을 받는다. 보다 큰 면적의 주름진 여과 장치일수록, 주름들 간의 압축이 증대되고, (종종 스루풋 값들에 의해 측정되는) 플럭스 및 필터 용량과 같은 여과 특성을 변화시킨다.
즉, 주름진 구조의 밀도가 클수록, 큰 입자들이 주름진 멤브레인들의 하부 영역에 접근하기 위해 주름들 간에 이동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벤치 상부로부터 제조 스케일까지 스케일링 특성을 추정하도록 시도할 때 부정확한 스케일링을 야기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정상류 필터의 대규모 장치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이엠디 밀리포어의 Optiscale® 25 캡슐 여과 장치와 같은) 멤브레인의 평평한 디스크와 모델링의 조합이 사용된다.
그러나, 특히, 대규모 장치가 조밀한 주름 구조를 갖는 대면적(high area) 장치일 때, 대규모 장치들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단독으로의 평탄한 시트 멤브레인들의 특성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한 스케일링 툴(scaling tool)이 요망된다.
따라서, 더욱 대규모 여과 장치를 가리키는 여과 특성들을 나타내는 스케일링 장치를 제공하고, 모든 챌린징 스트림들에 있어서 대면적 주름진 장치에 대한 정확한 스케일링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규모 여과 장치의 성능을 정확히 예측하는 스케일링 툴에 대한 요망사항들을 결정하기 위한 모델링 방법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은 본 발명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극복되며, 본 발명은 소규모(small-scale) 여과 스케일링 툴에 관한 것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강성 벽 프레임워크(rigid wall framework)는, 여과 특성들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스케일링 툴 포맷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강성 벽 프레임워크는 필터 수용 영역을 규정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필터 수용 영역은 웨지 형상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스케일링 툴은 1회 사용이고, 상기 툴이 대규모(large-scale) 원통형 여과 장치의 여과 성능((예를 들어, 스루풋(throughput))을 비례적으로 복제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주름진 멤브레인의 주름들을 고정하는 강성 벽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비례적인 복제는 일 대 일, 또는 실질적으로 일 대 일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툴은, 내부 강성 벽 프레임워크 및 그에 의해 지지되는 주름진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1회 사용 툴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강성 벽 프레임워크는, 챌린징 스트림(challenging stream)이 장치에 도입되었을 때 상기 툴이 대규모 여과 장치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는 그와 같이 챌린징 되었을 때 장치 성능에 기초한 스케일 업을 용이하게 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스케일링 툴은 대규모 여과 장치의 여과 특성을 복제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하나 이상의 주름들을 구비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필터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수용 영역은 상기 멤브레인의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주름들과 같이 필터를 지지하고 상기 대규모 여과 장치의 여과 성능을 비례적으로 복제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상기 필터를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강성 벽 프레임워크에 의해 규정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강성 벽 프레임워크는, 소정 배향으로 상기 필터를 지지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 배향은 웨지 형상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필터 수용 영역의 치수는 대규모 장치의 구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대규모 장치에서 주름진 멤브레인의 주름들의 수, 이들 주름들의 높이, 및 상기 장치에서의 주름진 멤브레인의 압축은 공지된 파라미터들이며, 스케일링 툴에 사용된 주름진 멤브레인의 주름들의 수 및 주름들의 높이에 기초하여, 대규모 여과 장치의 성능을 비례적으로 복제하기에 필요한 스케일링 툴의 필터 수용 영역의 구성을 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필터 수용 영역의 이론적 구성이 대규모 장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면, 예를 들어, 대규모 장ㅊ와 종래 스케일링 장치의 비교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대규모 장치와의 간접적 비교에 의해, 스케일링 툴의 필터 수용 영역의 추가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규모 장치에 미리 상관적인) OptiScale®-25("OS-25") 장치와 같은 통상적인 스케일링 툴의 성능에 상기 스케일링 툴을 상관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상기 대규모 장치에 대해 스케일링 툴의 성능을 상관시키는 것 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대규모 장치를 구동하도록 비교적 큰 피드 볼륨(feed volume)을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스케일링 툴의 성능은, 동일한 로트로부터의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OptiScale®-25(OS-25) 장치와 같은 통상적인 스케일링 툴의 성능과 비교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스케일링 툴과 OS-25 장치 간의 성능의 변화가 평가된다. 만약 스케일링 툴의 성능이 OS-25 장치와 다른 경우, 스케일링 팩터가 적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스케일링 툴의 필터 수용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케일링 툴은, 스케일링 툴의 성능이 OS-25 장치와 어떻게 다른지에 따라, 다소 멤브레인의 주름들을 압축하도록 필터 수용 영역의 각도를 변ㄱ여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케일링 툴의 필터 수용 영역의 다른 치수는 이와 유사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스케일링 장치는 백분의 일 내지 천분의 일 정도로 대규모 장치로부터의 스케일 다운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어떤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툴 부재("퍽(Puck)" 디자인)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어떤 실시예에 따라, 주름진 멤브레임 및 칼라(collar)를 포함하는 도 1의 스케일링 툴 부재("퍽" 디자인)의 상면도이다.
도 1B는, 어떤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스케일링 툴 부재("퍽" 디자인)를 포함하는 스케일링 툴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스케일링 툴 부재("퍽" 디자인)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2-2선을 따라 취한 도 1의 스케일링 툴 부재("퍽" 디자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케일링 툴 부재("퍽" 디자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어떤 실시예에 따라, 제자리에 있는 주름진 멤브레인을 나타내는 스케일링 툴 부재("퍽" 디자인)의 제2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대안 실시예에 따라, 제자리에 있는 주름진 멤브레인을 갖는 스케일링 툴("컵(Cup)" 디자인)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적 상태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케일링 툴("컵" 디자인)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툴 부재 내로의 삽입에 앞서 주름진 멤브레인을 갖는 도 6의 스케일링 툴("컵" 디자인)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도로, 도 14의 입구 커버가 없는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제2 대안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툴("컴팩트(Compact)" 디자인)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9의 스케일링 툴("컴팩트" 디자인)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따라 취한 도 9의 스케일링 툴("컴팩트" 디자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기술된 실시예들의 스케일링 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챌린지 스트림들의 입자 크기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챌린지 스트림들의 스루풋 값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도 6의 스케일링 툴("컵" 디자인)에 대한 입구 커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각종 장치들의 스루풋 값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어떤 실시예에 따라, 10"의 대규모 장치와 스케일링 툴 부재("퍽" 디자인)의 물 투과성/스루 스케일링 팩터(through scaling factor)들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어떤 실시예에 따라, 10"의 대규모 장치와 스케일링 툴 장치("컵" 디자인)의 물 투과성/스루 스케일링 팩터들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8은, 각종 장치들의 스루풋 값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각종 장치들의 스루풋 값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A는, 어떤 실시예에 따른 필터 수용 영역의 정면도이다.
도 20B는, 어떤 실시예에 따른 필터 수용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20C는, 어떤 실시예에 따른 필터 수용 영역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M자 주름을 갖는 이엠디 밀리포어의 Express® High Area 대규모 여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어떤 실시예에 따른 각종 필터 수용 영역 구성들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도 6 내지 도 8("컵" 디자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실시예에 따른 위생 클램프 피팅 장치들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스케일링 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기술된 구성 요소들, 공정들 및 장치들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면들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편의성에 기초하여 예시된 개략적인 표현일 뿐이며, 이에 따라 장치들 또는 구성 요소들의 상대적 크기 및 치수의 지시 및/또는 예시적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을 규정하거나 한정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다.
비록 특정 용어들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 설명에서 사용되지만, 이들 용어들은 도면들에서의 예시를 위해 선택된 실시예들의 특정 구조에 대해서만 지칭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규정하거나 한정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다. ㅎ하기 도면들 및 하기 설명에 있어서, 유사한 수치적 표시는 유사한 기능의 구성 요소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일 형태를 나타내는 관사("a", "an", "the)들은 그 요지가 명백히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개념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각종 장치 및 부품들은 다른 구성 요소들을 "구비하는(comprising)"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들, "구비한다((comprise(s))", "포함한다((include(s))", "갖는(having)", "갖는다(has)", "할 수 있다(can)", "내포한다((contain(s))" 및 이들의 변형 예들은, 개방적 개념의 천이 상들, 용어들, 또는 단어들인 것으로 의도되며 이들은 부가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에서, 스케일링 툴로 반복 검증(replicate)하는 것이 요망되는 성능의 대규모(대형) 장치는 주름진 멤브레인 카트리지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대규모 장치는 10인치의 대면적 주름 여과 장치이며, 이는 예를 들어 이엠디 밀리포어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대규모 장치는 10인치의 대면적 주름 원통형 여과 장치로서 주름진 멤브레인이 M자형 주름 패턴으로 장치에 존재하며 이는 예를 들어 상표 MILLIPORE EXPRESS® High Area로서 이엠디 밀리포어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대규모 장치는 20인치 대면적의 주름진 여과 장치이고, 이는 예를 들어, 이엠디 밀리포어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대규모 장치는 30인치 대면적의 주름진 여과 장치이고, 이는 예를 들어, 이엠디 밀리포어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들은 통상적인 종래의 주름진 멤브레인 장치보다 약 100% 이상 큰 멤브레인을 갖는 무균(멸균) 등급 및 대용량을 갖는다. 어떤 실시예에서, 대규모 여과 장치는, 하우징, 유체 입구, 상기 유체 입구로부터 이격된 유체 츌구, 코어,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내장되어 밀봉되고 상기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 입구 내로 도입된 모든 것이 유체 출구를 통해 하우징에 잔존하기에 앞서 반드시 상기 멤브레인을 통해 흐르도록 하는 주름진 여과 멤브레인을 갖는 여과 카트리지이다.
상기 여과 카트리지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그의 혼합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주름지거나 또는 아코디언 모양의 구성 또는 나선형의 주름진 구성과 같은 다양한 구성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필터(filter)"는 멤브레인, 시트(sheet), 필터들, 필터 부재들, 여과 매체,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필터들은 주름지거나, 평탄하거나, 나선형으로 감기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필터들은 단일 층으로 되거나 다층으로 된 멤브레인 장치로 될 수 있고, 또한, 감염 미생물 및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물은 물론, 크기 배제 및 조합된 화학적 또는 물리적 흡수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환경상 독소 및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원치 않는 물질의 여과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물질은,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나일론, 셀룰로오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술폰,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리덴 불화물, 폴리프로필렌, 플루오로 카본,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코-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유리 섬유, 폴리카보네이트, 세라믹 및 금속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여과 장치는 그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부직물 또는 직물 지지 물질에 의해 지지되는 1층의 필터 물질로 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서의 필터 물질은 그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부직물 또는 직물 지지 물질에 의해 지지되는 2층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서의 필터 물질은 그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부직물 또는 직물 지지 물질에 의해 지지되는 3층으로 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치들에서의 필터 물질에 대한 지지 물질은, 상부 또는 저부, 또는 상부와 저부 모두, 및/또는 필터 매체 사이에서 부직물 또는 직물로 될 수 있다.
필터 물질은, 침지 침전, 열적으로 유기되는 상 분리, 산/알칼리 침출, 일렉트로스피닝, 일렉트로블로잉과 같은 종래 기술에 알려진 방법으로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로 될 수 있으나, 상기 방법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 매체는, 성유상 매트들의 형태로, 또는 Millipore EXPRESS® 및 Millipore Durapore® 멤브레인에서 발견되는 것들과 같은 전통적인 다공성 구조로 될 수 있다.
도 1 내지 5는, 대규모 장치의 여과 성능을 면밀히 반복 검증(replicate)하기 위해 스케일링 툴(scaling tool)(("퍽(Puck)" 디자인)에서 적절한 필터 수용 영역의 채용을 가능케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주름진 멤브레인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수용 영역은 베이스, 높이(또는 벽 높이), 벽 각도, 및 길이에 의해 규정된다. 각각의 규정된 부분은 웨지가 모방하기 위해 설계되는 대규모 장치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이는 도 20에 도시된다. 상기 베이스는 (보다 작은 측인) 필터 수용 영역의 하류측이다. 베이스의 치수는 모방되는 대규모 카트리지의 치수에 의해 규정되고 계산된다. 상기 베이스는 코어 둘레에 비례한다. 상기 베이스는 코어와 접하는 주름들의 카운트(count)에 의해 분할되는 카트리지 코어 둘레와 동일하다, 다음, 그 값은 스케일링 툴에서 요망되는 주름 카운트로 곱해진다. 상기 필터 수용 영역의 높이는, 모방되는 카트리지의 주름 높이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필터 수용 영역의 높이는, 모방되는 카트리지의 주름 높이와 같거나 크게 될 수 있다. 측벽 각도는 전체 원형 카트리지에 대한 스케일링 툴의 주름들의 수에 비례한다.
공지의 베이스 폭의 거리 및 공지의 각도(인접한 주름 중심들 사이) 및 주름들의 높이(도 20A)에 따라, 비대칭 사다리꼴이 도출된다. 이 각도는 상기 필터 수용 영역의 벽들의 기울기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벽은, 설계된 형상에 의해 규정되는 압축을 공급하도록 강성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주름들의 수에 부가하여, 목적하는 유효 여과 영역(effective filtration area: EFA)을 달성하기 위해 필터 수용 영역(도 20C)의 길이가 다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특성들의 모두는 스케일링 툴 장치 내에 소망의 여과 특성들을 조정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변경은, 필터 수용 영역의 벽의 형상(geometry)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벽의 형상은 선형, 만곡될 수 있고 옵셋 영역들을 가지며 상기 옵셋 영역들은 도 2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칭 등으로 될 수도 있고 또는 대칭 등으로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 내지 5에는, 유체 출구(도시되지 않음)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구멍(12)을 포함하는 도너츠형 부재(10)가 도시되어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도너츠형 부재(10)는 내측의 환상의 강성 비다공성 벽(18) 및 외측의 환상의 강성 비다공성 벽(16)에 의해 규정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슬롯(19)의 위치를 제외하고, 상기 내측의 환상의 강성 비다공성 벽(18)과 외측의 환상의 강성 비다공성 벽(16) 사이의 거리는 솔리드 형태로 될 수 있으며 또는 치수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이격된 외측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및 외측의 환상의 강성 비다공성 벽들(18, 16)은, 외측 벽(16)을 통해 상기 구멍(12)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롯(19)에 의해 형성되는 불연속 영역들을 갖는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슬롯(19)은 그것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외측으로 테이퍼지며, 이때 상기 슬롯의 폭은 내측 환상 벽(18)에서 최소로 되고, 외측 환상 벽(16)에서 최대로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롯(19)은 웨지 형상(wedge-shaped)으로 되고, 주름진 멤브레인(20)(도 1A)의 주름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필터 수용 영역(15)을 규정한다.
상기 필터 수용 영역(15)은 중요한 도너츠형 부재(10)의 특징이며; 상기 도너츠형 부재(10)의 나머지 구성은 필수적이지 않고 적절한 스케일링 툴에 수용되도록 주로 설계되며 필터 수용 영역(15)에 위치되는 주름진 멤브레인을 통해 유체가 흐르도록 한다.
베이스 폭 및 공지의 벽 각도를 갖는 상기 필터 수용 영역(15)은 대규모 카트리지들에서 보이는 주름 압축을 모방하기 위한 최소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 수용 영역(15)의 적절한 벽 각도(θ)들은 8°및 9°이며, 이는 모방되는 대규모 장치에 있어서의 주름진 멤브레인 압축에 따른다. 이와 유사하게, 웨지의 방사상 길이는 모방되는 대규모 장치에 있어서의 주름진 멤브레인 높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름진 멤브레인(20)은 내측 벽(16)과 외측 벽(18) 사이에 위치되고, 부재(10)의 외측으로부터 구멍(12)으로 흐르는 유체를 여과한다. 상기 주름진 멤브레인(20)은 제조 또는 대규모 주름진 멤브레인보다 작은 액티브 멤브레인 영역을 갖는다.
어떤 실시예에서, 슬롯(19)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 가까이에 있는 외측 환상 벽(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cut-out)(22)를 갖는다. 이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9) 내로의 주름진 멤브레인(20)의 삽입 및 삽입된 후 주름진 멤브레인(20)의 단부들의 밀봉을 용이하게 한다. 적절한 밀봉제들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에폭시, 실리콘, 아크릴 및 우레탄을 포함한다. 더욱이, 필터를 정착시키 해 열 본딩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제 위치에 주름진 멤브레인(20)을 갖고 필터 수용 영역(15) 내에 밀봉된 도너츠형 부재(10)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이격된, 방사상 리브들(24A-24N)이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강성 환상 벽(18)으로부터 외측 환상 벽(16)으로 연장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솔리드 바닥(26)에 의해 도 1A에서 볼 수 있는 리브들부터 분리된, 도너츠형 부재들의 대향측 상에 유사한 패턴의 리브들이 제공된다. 상기 리브들은 도너츠형 부재(10)를 보강하도록 작용하며 치수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1 A 및 도 5는 또한, 도너츠형 부재(10)를 둘러싸는 환상 칼라(29)를 도시하며, 상기 환상 칼라(29)에는 슬롯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개구들(30)이 형성되고, 유체가 툴 내로 흐르도록 하고 필터 수용 영역(15)에 있어서 주름진 멤브레인(20)과 접촉하도록 한다.
도 1 A 및 도 5는 또한, 인서트(28)를 도시하며, 상기 인서트는 절결부(22) 및 환상 칼라(29)의 내측 벽 내에 끼워진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인서트(28)는 개구들 또는 슬롯들(도시되지 않음)을 가지며, 상기 개구들 또는 슬롯들은 유체가 칼라(29)의 슬롯 또는 개구들(30)로부터 필터 수용 영역(15) 내로 흐르도록 한다. 상기 인서트(28)는 칼라(29)에 대한 적절한 위치에 필터 수용 영역(15)을 지지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작용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주름진 멤브레인(20)에 대한 적절한 필터 물질은 미세여과(microfiltration), 나노여과(nanofiltration) 또는 초미세여과 (ultrafiltration)에 적절한 멤브레인 필터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Durapore®, Virosolve® NFB, Virosolve® NFR. 및 Milliagard® 셀룰로오스 매체를 포함하며 이들은 이엠디 밀리포어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주름진 멤브레인(20)의 주름들은 "M자형 주름 패턴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도너츠형 부재(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링 툴 하우징(36)을 형성하기 위해, 엔드캡(35A, 35B) 등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스케일링 툴에 대한 구성 물질은 여과 도중 사용되는 유체와 유해하게 상충하지 않는 것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술폰, 폴리카보네이트 및 기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14는, 대규모 장치의 여과 성능을 면밀히 복제하는 스케일링 툴을 제공하기 위해 필터 수용 영역이 그 안에 채용될 수 있는 다른 장치("컵" 디자인"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케일링 툴(10')은 디스크 형상의 표면(40)을 가지며, 상기 디스크형 표면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19')을 포함하고 출구 부재(41)와 유체 연통하는 필터 수용 영역(15')을 규정한다. 상기 표면(40)에 대해 상부 하우징 또는 커버(90)(도 14)를 밀봉하기 위해 O-링 등을 내장하도록 외측 둘레 에지의 방사상 내측으로 환상 요홈(17)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O-링을 수용하기 위해 환상 요홈(17)과 정렬하는 대응하는 환상 요홈(17')을 갖는다. Tri-Clamp® 피팅(도 23)과 같은 위생 클램프 피팅(85)은 예를 들어,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도 14, 도 7 및 도 23).
과학 산업에서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1.5 인치 Tri-Clamp 연결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의 용이성 및 그들의 피드 스트림(feed stream)에 스케일링 툴을 연결하는 수많은 주문자 연결 가능성들을 허용한다. 도 14에 도시된 일반적인 스케일링 툴 커버는 테스트시 용이한 적응을 위해 입구 및 통풍 포트들을 갖도록 설계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커버(90)는 하나 이상의 유체 입구들(91, 92)을 가지며(하나 이상의 통풍구로 될 수도 있다) 이들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필터 수용 영역(15')과 유체 연통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슬롯(19')의 개구를 둘러싸는 절결부(42)가 주름진 멤브레인의 단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결부(42)는 보다 깊은 슬릿들(43A, 4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릿들 내로 주름진 멤브레인(20)이 제자리에 그를 고정하는데 일조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주름진 멤브레인의 주름들 또는 접힘부들은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수용 영역(15') 내로 삽입되고, 주름진 멤브레인의 단부들이 적절한 접착제로 절결부(42)에 접합될 수 있다. 슬롯(19')의 구성은 주름진 멤브레인을 적절히 배향시키고 압축하여 스케일링 툴(10')이 대규모 여과 장치를 복제하도록 한다.
스케일링 툴에 대한 구성의 물질은 여과도중 사용되는 유체와 유해하게 상충하지 않는 것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술폰, 폴리카보네이트 및 기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대규모 장치의 여과 성능을 면밀히 복제하는 스케일링 툴을 제공하기 위해 필터 수용 영역이 그 안에 채용될 수 있는 다른 장치("컴팩트" 디자인"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터 수용 영역(15")은 제1 및 제2 압축 부재들(60, 61)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압축 부재들(60, 61)은, 필터 수용 영역(15")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도록 형상화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축 부재(60)는 일반적으로 아치형이며, 그의 축방향 길이를 따른 사다리꼴 절결 영역(70)을 포함한다. 유체 입구 피팅(73)과 필터 수용 영역(15")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들(72)이 상기 제1 압축 부재(60)에 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압축 부재(61) 역시 일반적으로 아치형이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지 형상의 절결부로서 형성되는 필터 수용 영역(15")을 포함한다. 유체 출구 피팅(74)(및/또는 통풍구)과 필터 수용 영역(15")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들(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제2 압축 부재(61)에 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주름진 멤브레인의(20)의 주름들은 필터 수용 영역(15")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주름진 멤브레인의(20)의 날개부들 또는 단부들(20A, 20B)은 제2 압축 부재(61)의 삼각형 귀(ear) 부재들 위로 접혀지고, 제2 압축 부재(61)의 일반적으로 평평한 영역들(61C, 61D) 위로 연장된 상태로 된다. 주름진 멤브레인의(20)이 그와 같이 위치되면, 상기 제1 압축 부재(60)는 제2 압축 부재(61)와 정렬될 수 있으며, 제1 압축 부재(60)와 제2 압축 부재(61) 사이에 주름진 멤브레인의(20)의 단부들(20A, 20B)을 끼우고 필터 수용 영역(15")에 상기 주름진 멤브레인의(20)을 고정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필터 수용 영역(15")에 포함된 주름진 멤브레인을 갖는 제1 및 제2 압축 부재(60, 61)의 조립은 중공 원통형 칼라(80)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칼라는 조립체를 단단히 수용하도록 충분한 내부 직경의 내측 구멍(81)을 포함한다. 엔드캡(82) 등이 상기 칼라(80)에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칼라(80)는 개구들(83A, 83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들은 유체가 툴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압축 부재들(60, 61)에 있는 각각의 개구들과 정렬한다.
스케일링 툴에 대한 구성의 물질은 여과도중 사용되는 유체와 유해하게 상충하지 않는 것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술폰, 폴리카보네이트 및 기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필터 수용 영역의 주름 높이, 각도 및 베이스 폭의 변경에 따라, 작은 스케일링 장치가 임의의 특정 주름 구성의 스케일링 장치에 대해 스케일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대면적의 제품으로의 스케일링에 더하여, 이엠디 밀리포어의 Durapore II (폴리비닐리덴 불화물, PVDF), 큰 주름 밀도의 장치 역시 Soy T 및 물과 같은 상이한 스트림으로 OS-25와 같은 평평한 시트 멤브레인 장치로 유사한 여과 스케일링 현상을 가진다.
변경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케일링 툴 디자인은 또한, Durapore II에 대해 정확히 스케일링하며 상기 Durapore II 역시 OS-25와 같은 평평한 시트 멤브레인 장치가 정확히 스케일링할 수 없는 스트림들에 있어서의 고밀도 주름의 대규모 장치이다.
실시예 1. 필터 수용 영역 구성의 이론적 측정
예시적인 통상적 대규모 여과 장치(100)를 도 21에 도시했다. 대규모 장치 슬리이브(101)의 내측 직경(ID)은 2.62 인치이다. 대규모 장치 코어(102)의 외측 직경(OD)은 1.35 인치이다. 대규모 여과 장치(100)에 있어서의 멤브레인 주름들은 모두 159개가 있다. 주름(표준 주름)의 전체 높이는 0.63 인치이다. 보다 짧은 M-패턴 주름들은 표준 주름의 60%이다. M-패턴 주름에 대한 표준 주름의 비는 2:1이다. 짧은 주름들(M 주름)은 모두 52개이고 표준 주름들은 107개가 있다.
구성될 스케일링 툴은 1개의 M-패턴 주름과 2개의 표준 주름들을 포함하는 모두 3개의 주름들을 갖는다. 이에 기초하여, 필터 수용 영역의 이론적 다자인은 다음과 같다:
벽 두께는 360°/159*3=6.8°
대규모 장치에 있어서 주름에 의해 점유되는 베이스 길이는 2Πr/(주름 수)이고, 이는 1.35Π/159이다. 스케일링 툴에는 모두 3개의 주름들이 있기 때문에, 스케일링 툴의 베이스 길이(B)는 1.35Π/159*3=0.08 인치이다.
여과 수용 영역의 높이(H)는 대규모 장치(100)에 있는 주름의 전체 높이와 일치시키기 위해 0.63 인치이다.
여과 수용 영역의 폭(L)은 스케일 다운 멤브레인 영역의 요구사항에 따라, 1/2" 내지 1"로 선택된다. 그 목적은 스케일링 장치에 있어서의 멤브레인 영역을 최소화하면서 또한 스케일링 툴의 피드 볼륨을 촤소화하고, 또한 충분한 멤브레인 영역 및 피드 볼륨을 갖도록 하여 정확한 여과 성능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스케일링 툴의 여과 수용 영역의 치수는 사용될 피드 볼륨에 기초하여 적절한 유효 멤브레인 영역을 달성하기 위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인 이론적 디자인 구성이 기준치(baseline)이며 대규모 장치(100)의 여과 성능(예를 들어, 스루풋)에 비례하는 여과 성능을 생성할 것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그 비율은 일대일 또는 실질적으로 1:1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 비율은 일대일이 아니며, 스케일링 팩터는 정확한 스케일링 테스트에 기초하여 필터 수용 영역의 디자인을 변경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스케일링 툴이 적절한 물 스케일링을 제공할 경우, 스케일링 툴 역시 스트림들을 챌린징하기 위해 정확히 스케일링하여야 한다. 이 이론은, 다양한 프로세스 스트림에 대한 확장성(scalability)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물 스케일링이 달성된 후 테스트되었다.
상기 스케일링 툴의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 다른 필터 수용 영역 각도들을 나타낼 수 있으나, 스케일링의 경우에 이들은 물 투과성에 대한 통일성에 접근한다.
실시예 2. 필터 수용 영역의 각도에 대한 멤브레인의 절단 및 삽입의 설명
풀 10" Millipore Express® High Area SHC 장치를 외측 슬리이브로부터 제거하고 초음파 팩 커터 내에 위치시켰다. 상기 팩 커터는, 초음파 블레이드들이 소망의 단면으로 팩을 절단하는 동안 주름진 멤브레인들을 회전시켰다. 1/2 내지 1 인치의 폭을 갖는 상기 단면은 전형적으로, 필터 영역을 스케일링 툴에 대한 위치로 고정시키도록 사용되는 날개부(wing)들을 갖는 단일의 M자 주름을 수동으로 절단함으로써 추가로 감소된다. 상기 주름진 멤브레인은 수동으로 제자리에 위치시켜서, 중심을 맞추고 완전한 삽입을 이루었다.
이 단일의 M 주름은 스케일링 목적을 위해 웨지 각도의 개념을 따라 스케일링 툴 디자인에 걸쳐 사용되었다. 상기 필터 수용 영역, 예를 들어, 웨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uck(퍽), Cup(컵) 및 Compact(컴팩트) 디자인으로 실시되었다. 사용된 각각의 디자인은 필터 수용 영역의 강성 벽 내에 주름들을 고정하는 방법이 약간 다르다. 장치의 디자인에 무관하게, 필터 수용 영역은 여과 성능의 운전자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실시예 3. 도 1(Puck 디자인)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강성 웨지의 조립
도 1의 스케일링 툴 내로의 삽입 전에, 주름의 날개부들을 함께 멤브레인 측을 접착하도록 에지들에서 접합(seam)하고, 이어서 부재(10)의 필터 수용 영역(15) 내로 삽입했다. 저부의 주름진 멤브레인의 날개부들을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재(10)에 접착했다. 또한, 안전한 맞춤을 보장하기 위해 플라스틱 인서트(28)를 날개부의 상부에 접합했다. 엔드캐핑(endcapping)의 목적으로 부재(10)의 외측 두레에 플라스틱 칼라(29)를 위치시켰다. 다음, 장치를 제자리에 지지하기 위해 맞춤형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표준 엔드캐핑 공정으로 주름의 상부 및 저부를 밀봉했다. 상기 부재(10)의 상부 및 저부상의 리브들은 엔드캡들의 통일성 및 접착 강도에 일조하도록 기능했다.
실시예 4. 도 6(Cup 디자인)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강성 웨지의 조립
도 6의 스케일링 툴(10') 내로 삽입된 주름진 멤브레인에 따라, 멤브레인의 중심을 맞추고, 필터 수용 영역(15") 내로 완전히 밀어넣었다. 상기 주름들을 2 피트(two-part)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스케일링 툴(10')에 고정했다. 상기 에폭시를 먼저 플랫 팁 주사기 내로 투여했다. 상기 주사기는 완전히 찰때 까지 저부로부터 주름진 멤브레인의 어느 측 상에 위치된 공동 내로 분배했다. 다음, 웨지의 리지를 따라 에폭시의 비드를 분배함으로써 날개부들을 밀봉했다.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툴 연결은 표준 1.5" TC 연결이었다.
실시예 5. 도 9도(Compact 디자인)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강성 웨지의 조립
도 9에 의한 장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2 압축 부재(61)에 있어서 필터 수용 영역으로 되는 코어 부; 주름들 둘레에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진 멤브레인(20)의 날개부들을 클램프하도록 작용하는 제1 압축 부재(60); 및 제1 압축 부재(60)와 제2 압축 부재(61) 사이에 압축을 유지하고 전체적으로 장치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칼라(80). 상기 칼라(80)는 장치의 입구 및 출구로서도 기능한다.
M자형 주름의 한 반복 유닛은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Millipore Express® High Area SHC 주름진 카트리지로부터 취해졌다. 상기 M자형 주름은, 필터 수용 영역(15")의 길이와 일치하도록. 1 인치의 길이로 절단했다. 이 주름을 제1 압축 부재(60)와 제2 압축 부재(61) 사이에 위치시켰다. 주름 날개부의 밀봉에 일조하도록 에폭시를 도포했다.
제1 및 제2 압축 부재들(60, 61)이 주름을 밀폐하며; 이들을 칼라(80) 내로 삽입했다. 다음, 필름 위로 평탄하고 공지된 두께의 에폭시를 도포하기 위해 의료용급 블레이드 기술을 사용했다. 다음, 주름들의 에지를 시일/포트하기 위해 에폭시 내에 상기 장치를 위치시켰다. 다음, 상기 장치를 경화하도록 설정했다.
실시예 6. 챌린징 스트림 연구
3개의 챌린지 스트림들을 이 연구에 사용했다; 이들은 하기 표 1에 기록했다. 이들 스트림들은 작은, 중간의, 큰 입자 크기들 및 입자 크기 분포로 나타냈다. 이들 스트림들의 입자 크기 분포는 도 12에 도시했다. 공정 조건으로 액 30분 내에서 높은 등급의 플러깅(여과된 액체의 <1000 1/m2에서 >90% 유속 감쇠)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챌린지 스트림들을 농축했다.
표 1 - 스루풋 테스트를 위한 챌린지 스트림의 리스트
Figure pct00001
이들의 성분은 출원 노트(Application Note), "2016년 5월, Performance of High-Area Millipore Express® Cartridge Filters", www.emdmillipore.com,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채용되어 있다.
테스트 방법: OptiScale ® 25 및 10" 대면적 장치
모든 스케일 업 테스트는 동일한 로트로부터의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10 인치 카트리지와 동시에 테스트되는 OptiScale® 25 캡슐(EFA의 3.5 cm2)로 수행되었다. 카트리지들은 1.5 인치 직경의 입구 및 출구 위생 피팅들을 갖는 밀리포어 시리즈 3000 싱글 라운드 인-라인 스테인리스 스틸(이엠디 밀리포어, 빌레리카, 매사추세츠)내에 설치되었다. 얻어진 5개의 25 mm 샘플들을 각각의 10인치 카트리지에 대해 테스트했다.
모든 깨끗한 물 투과성(투수성) 시험을 위해 역삼투 정제수를 사용했다. 데드 엔드(정상류) 구성으로 약 21~25℃에서 69 kPad로 깨끗한 물 투과성을 위해 25 mm 디스크들과 10 인치 카트리지들 모두 먼저 테스트했다. 모든 투과도 값들은 23℃로 조정했다.
10 인치 부조립체에 대한 물 유속은 Micro Motion F-series Coriolis 유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25 mm 디스크들에 대해, 시간에 따른 투과된 물의 축적을 기록하기 위해 로드 셀(Tedea Huntleigh: Vishay Measurements Group, Malvern, PA, 0.5 kg)을 사용했다.
25 mm 및 10 인치 부조립체 모두에 대해, 물의 온도는 Anderson inline 온도 트랜스미터로 측정했고 공급 대 투과(feed-to-permeate) 차동 압력은 0-344.7 kPad 차동 압력 트랜스듀서(Cole Parmer, Vernon Hills, New Jersey)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모든 기기들은 10개 인터벌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수득 시스템에 연결했다. 일반적으로 5분 내에 있는, 기본적으로 정상 상태의 플럭스 조건이 달성될 때까지 투수성 테스트를 가동했다.
플러깅 용액을 수반하는 스루풋 테스트를 데드 엔드 모드에서, 69±7 kPad의 일정한 차동 압력으로 가동했다. 물 유량 여과액 볼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기기를 25 mm 디스크들과 10 인치 카트리지들에 대해 챌린지 스트림 유속 및 여과액 볼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했다. 공급 대 투과 차동 압력, 온도, 및 시간 데이터에 따른 축적된 투과 질량을 데이터 수득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집했다. 테스트들은, 멤브레인 투과도가 깨끗한 물 투과도에 비해 적어도 95%로 감소될 때까지 실시했다. 이 플러깅 레벨은 전형적으로 기술된 동작 조건에서 약 30-45분 내에 달성되었다.
케이킹(caking) 현상을 갖지 않는 중간 내지 높은 플러깅 스트림들은 대략 하나의 장치 비로 OS-25를 달성하는 반면, 케이킹 스트림 스루풋 값들은 OS-25 캡슐들과 대면적 장치 간에서 반전한다. SHC-HA에 대한 각 스트림에 대한 결과들은 도 13과 같이 도시될 수 있다. 이 케이킹 현상은 OS-25 캡슐들과 대면적 장치 간에스루풋 결과들을 반전시킨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illipore Express® High Area SHC에서 발견되는 압축은 OS-25 캡슐들과 비교했을 때 기대되는 스루풋 값들보다 낮게 제공한다.
투과도 및 스루풋 테스트 후, 각각의 10" 카트리지의 EFA는 카트리지의 분해, 주름 팩의 펼침, 및 여과액에 대해 가용상태에 있는 표면적을 측정함으로써 입증되었다.
멤브레인 및 장치 형태들의 각각에 대한 물 투과성 데이터는 표 2에 요약된다.
표 2. 물 투과성에 대한 카트리지 대 디스크 스케일링 팩터들
Figure pct00002
SHC-HA에 대한 물 투과성 스케일링 팩터는 OS-25와 비교하여 대략 0.5이다.
테스트 방법: OptiScale 25 및 스케일링 툴
다음, OS-25 캡슐과 유사하게 스케일링 툴을 테스트했을 때 비교 목적을 위해 대규모 스루풋 데이터를 사용했다. 성공적인 스케일링 툴은, OS-25 대 10 인치 대면적 장치의 물 투과성 및 스루풋 값들과 비슷한 비율을 제공해야 한다.
모든 테스트들은, 동일한 로트로부터의 멤브레인을 사용하여 스케일링 툴과 매니폴드상에 동시에 테스트되는 OptiScale® 25 캡슐(EFA의 3.5 cm2)로 수행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케일링 툴은 1.5 인치 직경의 입구 및 출구 위생 피팅들을 갖는 밀리포어 시리즈 3000 싱글 라운드 인-라인 스테인리스 스틸(이엠디 밀리포어, 빌레리카, 매사추세츠)내에 설치되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케일링 툴은, 테스트 매니폴드에 부착하기 위해 가스켓 및 클램프를 갖는 1.5 인치 직경의 어댑터에 8 밀리미터를 이용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케일링 툴은 자립식(self-contained)으로, 매니폴드 상에 고정하기 위해 루어(Luer) 로크를 이용한다.
OS-25 디스크들 및 스케일링 툴들에 대해, 시간에 따른 투과수의 축적을 기록하기 위해 로드 셀(캘리포니아, 산타 앤, 센트레이)을 사용했다. 25 mm 및 스케일링 테스트 모두에 대해, 물의 온도는 앤더슨 인라인 온도 트랜스미터로 측정했고 공급 대 투과 차동 압력은 앤더슨 인라인 온도로 측정했고 공급 대 투과 차동 압력은 앤더슨 인라인 온도로 측정했고 공급 대 투과 차동 압력은 0-344.7 kpad 차동 압력 트랜스듀서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모든 기기들은 10 인터벌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수득 시스템에 연결했다. 전형적으로 10분 내에 있는, 기본적으로 정상 상태의 플럭스 조건이 달성될 때까지 물 투과성 테스트를 가동했다.
플러깅 용액을 수반하는 스루풋 테스트를 데드 엔드 모드에서, 10 psi의 일정한 차동 압력으로 가동했다. 물 유량 여과액 볼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기기를, 25 mm 디스크들과 스케일링 툴 장치들에 대해 챌린지 스트림 유속 및 여과액 볼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했다. 공급 대 투과 차동 압력, 온도, 및 시간 데이터에 따른 축적된 투과 질량을 데이터 수득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집했다. 테스트들은, 멤브레인 투과도가 깨끗한 물 투과도에 비해 적어도 95%로 감소될 때까지 실시했다. 이 플러깅의 레벨은 전형적으로 상기 기술된 동작 조건에서 약 30-45분 내에 달성되었다.
도1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케일링 툴 모두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개의 상이한 매질 스트림의 스루풋 및 물 투과성에 있어서 정확히 스케일할 수 있었다.
테스트 방법: 스케일링 툴 및 10" 장치
OS-25 대 10 인치 대면적 장치를 비교하고 OS-25 및 스케일링 툴의 대한 그들의 비를 연관시키는 물 투과성 및 스루풋 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서는 10 인치 대면적 장치에 대한 스케일링 툴의 적절한 스케일링의 깨끗한 표시를 재공해야 한다. 을상기 챌린지 스트림을 사용한 10 인치 대면적 장치에 대한 계획된 애플리케이션 작업으로 인해, 이는 풀 10 인치 카트리지와 스케일링 툴을 직접 비교할 기회를 제공했다. 본 발명자들의 테스에 대해, 도 6의 실시예는 테스트된 10 인치 카트리지와 동일한 로트로부터의 멤브레인을 사용하여 선택되었다.
이 실험에 대한 테스트 방법은 상기와 같이 "테스트 방법: OptiScale ® 25 및 10" 대면적 장치"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설정을 사용하여 실시했으며, 이때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케일링 툴은 OS-25 캡슐과 동일한 매니폴드에 위치시켰다.
3개의 챌린지 스트림 중 하나는 사용시 모든 3개의 장치로 테스트했다. 하기 표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EMD Soy 스루풋 테스팅과 동일한 로트로부터의 SHC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모든 3개의 장치(10 인치 카트리지, OS-25, 및 스케일링 장치)를 나타낸다.
표 3: EMD Soy 스케일링(2g/L):SHC
Figure pct00003
다음, OptiScale® 25에 대한 상기 원시 데이터, 도 6의 실시예, 및 대규모 대면적 정치를 스케일링 정확도를 결정하기 위해 비교했다. 상기 섹션들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단위 영역당 10 인치 대면적 카트리지와 OS-25 사이의 스케일링은 물에 있어서 대략 절반이었다. 도 6의 스케일링 툴에 대한 카트리지의 비교는 5% 내에서의 물 투과성 값들을 나타낸다. EMD Soy는 비 케이킹(non-caking) 스트림이기 때문에 OS-25는 99% 정확도로 이 경우에 풀 SHC 카트리지에 대해 적절히 스케일링되었다.
풀 SHC 카트리지에 대한 도 6의 스케일링 툴의 비교 역시 99% 정확도 내에 서의 스케일링을 나타낸다. 이들 데이터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물 투과성 및 EMD Soy 스루풋 테스팅 모두에 있어서의 선형 확장성으로 인해 대면적 적용예들에 있어서 OS-25에 대해 보다 우수한 스케일링 특성을 제공하는 점에서 도 6의 스케일링 툴을 시사한다.
표 4: 스케일링 팩터 EMD Soy 스케일링(2g/L):SHC
Figure pct00004
OS-25, 스케일링 툴 및 10 인치 대면적 카트리지 장치의 스루풋 값들의 다른 기술을 도 18 및 도 19에 나타냈다. 도 18로부터, 그래프는 각 장치의 스루풋 대 시간을 나타내며, 이때 스케일링 툴과 카트리지는 실험예에 걸쳐 동일한 스루풋 경향 부근을 따르는 반면, OS-25는 카트리지로부터 반전 경향을 보이나, 실시의 끝에서는 통일성을 달성한다.
도 19는 시간 제로로부터 실시의 끝까지의 절대 유속 감쇠(absolute flux decay)의 추세를 나타내며, OS-25 대 카트리지 절대 유속 감쇠에 있어서의 불규칙에 비해 카트리지에 대한 스케일링 툴의 선형 스케일링을 다시 묘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종 태양들 및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상세한 설명의 판독 및 이해에 따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다른 태양들, 실시예들, 변경 예들 및 변형 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기술된 각종 태양들 및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며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기 태양들, 실시예들, 변경 예들 및 변형 예들이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그의 균등물 내에 들어오는 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태양들, 실시예들, 변경 예들 및 변형 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

  1. 대규모 여과 장치의 여과 특성을 복제하기 위한 스케일링 툴로서, 상기 스케일링 툴은,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하나 이상의 주름들을 구비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필터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수용 영역은 상기 멤브레인의 하나 이상의 주름들을 지지하고 상기 대규모 여과 장치의 여과 성능을 비례적으로 복제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상기 주름들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강성 벽 프레임워크에 의해 규정되는, 스케일링 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수용 영역은 웨지 형상의 형태로 있는, 스케일링 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진 멤브레인의 주름들은 M-주름 패턴으로 배향되는, 스케일링 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례 복제는 스루풋의 1:1 복제인, 스케일링 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체 입구를 갖는 커버, 및 상기 유체 출구 및 상기 필터 수용 영역을 갖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및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함께 밀봉되는, 스케일링 툴.
  6. 내측 코어 및 외측 슬리이브를 갖는 대규모 여과 장치의 여과 성능을 비례적으로 복제하기 위해 스케일링 툴의 필터 수용 영역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규모 스케일링 장치에 있어서의 필터는 상기 내측 코어와 상기 외측 슬리이브 사이에 영역을 점유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대규모 스케일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주름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규모 스케일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코어와 상기 외측 슬리이브 사이의 거리를 가로지르는 상기 대규모 스케일링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필터의 주름의 주름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규모 스케일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들의 인접한 주름 중심들 간의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규모 스케일링 장치에 있어서 주름에 의해 점유되는 베이스 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규모 스케일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들의 수보다 적은 다수의 주름 및 상기 대규모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코어와 상기 외측 슬리이브 사이의 거리를 가로지르는 상기 주름의 주름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스케일링 장치 필터를 제공하는 단계;
    (a) 상기 대규모 스케일링 장치에 있어서 주름에 의해 점유되는 상기 베이스 폭에 비례하는 폭을 갖는 베이스, (b) 상기 대규모 스케일링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주름들의 인접한 주름 중심들의 결정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벽들, 및 (c) 약 1/2 인치와 약 1 인치 사이의 길이를 갖도록, 상기 스케일링 장치의 상기 필터 수용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01568A 2016-08-29 2017-08-23 압축된 주름 구성 필터에 대한 고정된 강성 벽 장치 KR20190020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1408A KR102283852B1 (ko) 2016-08-29 2017-08-23 압축된 주름 구성 필터에 대한 고정된 강성 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80747P 2016-08-29 2016-08-29
US62/380,747 2016-08-29
PCT/US2017/048193 WO2018044648A1 (en) 2016-08-29 2017-08-23 Fixed rigid wall device for compressed pleat configuration filter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408A Division KR102283852B1 (ko) 2016-08-29 2017-08-23 압축된 주름 구성 필터에 대한 고정된 강성 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060A true KR20190020060A (ko) 2019-02-27

Family

ID=613014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408A KR102283852B1 (ko) 2016-08-29 2017-08-23 압축된 주름 구성 필터에 대한 고정된 강성 벽 장치
KR1020197001568A KR20190020060A (ko) 2016-08-29 2017-08-23 압축된 주름 구성 필터에 대한 고정된 강성 벽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408A KR102283852B1 (ko) 2016-08-29 2017-08-23 압축된 주름 구성 필터에 대한 고정된 강성 벽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52470B2 (ko)
EP (1) EP3503990B1 (ko)
JP (3) JP2019528166A (ko)
KR (2) KR102283852B1 (ko)
CN (1) CN109641167B (ko)
SG (1) SG11201811420VA (ko)
WO (1) WO2018044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648A1 (en) 2016-08-29 2018-03-08 Emd Millipore Corporation Fixed rigid wall device for compressed pleat configuration filters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3321A (en) 1963-08-26 1966-09-20 Cambridge Filter Corp Air filter having a replaceable cartridge
DE1576348C3 (de) * 1967-05-09 1982-05-2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Brennstoffilter für Brennkraftmaschinen
US3494465A (en) 1968-09-16 1970-02-10 Dorr Oliver Inc Selectively permeable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USRE29447E (en) 1969-06-17 1977-10-18 Whatman Reeve Angel Limited Self-sealing filter tube
US3698562A (en) 1969-06-17 1972-10-17 W & R Balston Ind Ltd Porous support core for disposable tube filter
US3722694A (en) 1970-06-10 1973-03-27 Romicon Inc Filtration device
GB1426173A (en) * 1972-03-11 1976-02-25 Gen Motors Ltd Fluid filter elements
US4244820A (en) 1978-05-16 1981-01-13 Gelman Instrument Company Fluid purification system
US4501663A (en) 1979-11-05 1985-02-26 Millipore Corporation Filter cartridges and methods and components for making them
US4839037A (en) 1987-03-09 1989-06-13 Osmonics, Inc. Tapered, spirally wound filter cartridg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3500141A (ja) 1987-07-28 1991-01-17 ミンテ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NL8702149A (nl) 1987-09-09 1989-04-03 Tno Membraanmodule voor hyperfiltratie of ultrafiltratie van vervuilende vloeistofstromen.
US4838901A (en) 1988-05-17 1989-06-13 Life Systems, Inc. Lightweight filter
US5178760A (en) * 1989-04-06 1993-01-12 Solberg Mfg. Co. Fluid filter construction with a corrugated and tapered filter strip
US4976857A (en) 1989-05-03 1990-12-11 Newport Filters, Inc. Filter element and fabrication methodology
US5041220A (en) 1990-01-09 1991-08-20 Minntech Corporation Hollow fiber filter cartridge for a standarized housing
US5112503A (en) 1990-04-09 1992-05-12 Systems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Corp. Modular filter assembly
GB2252922B (en) * 1991-02-19 1995-06-07 Toyo Roki Seizo Kk Filter element
US5366625A (en) 1992-03-04 1994-11-22 Pedersen Steven K Cartridge of hybrid unitary wafers of hollow fiber membranes and module containing a stack of post-potted cartridges
US5302354A (en) * 1992-06-26 1994-04-12 Pall Corporation Filtration device
CN1067291C (zh) 1992-11-06 2001-06-20 帕尔公司 过滤器
JPH06182161A (ja) 1992-12-21 1994-07-0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中空糸型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ー
GB9305788D0 (en) 1993-03-19 1993-05-05 Bellhouse Brian John Filter
US5376270A (en) * 1993-06-24 1994-12-27 Porous Media Corporation Box filter
US5460720A (en) 1993-08-12 1995-10-24 Schneider; Burnett M. Pleated membrane crossflow fluid separation device
US6165365A (en) 1994-08-15 2000-12-26 Spintek Systems, Lp Shear localized filtration system
DE4432628B4 (de) * 1994-09-14 2008-01-10 Sartorius Biotech Gmbh Dead-End-Filtrationseinheit zur Abtrennung von Stoffen mit Membranadsorbern
DE4432627B4 (de) * 1994-09-14 2008-09-25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Filtrationseinheit zur Abtrennung von Stoffen mit Membranadsorbern
ATE202008T1 (de) 1994-10-21 2001-06-15 Rochem Ultrafiltrations System Vorrichtung zum filtern und trennen von insbesondere biologisch-organischen strömungsmedien mittels nach art von membrankissen ausgebildeten filterelementen
US5580452A (en) 1994-12-02 1996-12-03 Lsr Technologies, Inc. Moving liquid membrane modules
US6143174A (en) 1996-09-05 2000-11-07 Sartorius Ag Filtration unit with pleated filtering elements
DE19636006A1 (de) * 1996-09-05 1998-03-12 Sartorius Gmbh Filtrationseinheit mit plissierten Filterelementen
JP3015854B2 (ja) * 1997-12-24 2000-03-06 株式会社アイ・デザイン 採血管
US6096207A (en) 1998-03-24 2000-08-01 Usf Filtration And Separations Group Inc. Filter cartridge assembly having a reusable support core structure
JP3924926B2 (ja) 1998-06-15 2007-06-06 東レ株式会社 中空糸膜型ろ過膜モジュール
JP2000153122A (ja) 1998-11-17 2000-06-06 Tonen Tapirusu Kk フィルタユニット
US6315130B1 (en) 1999-01-07 2001-11-13 Cuno Incorporated Pleated filter element
JP4252456B2 (ja) * 2001-11-02 2009-04-08 ミリポア・コーポレイション 膜吸着装置
AU2002343795C1 (en) 2001-11-05 2005-11-10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U2003221114A1 (en) 2002-04-05 2003-10-20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Filtration transition simulation method and filtration transition simulation device
US8262909B2 (en) 2004-07-06 2012-09-11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minimizing membrane fouling for microfluidic separators
JP2007275786A (ja) * 2006-04-07 2007-10-25 Aisan Ind Co Ltd 燃料フィルタ
US8110016B2 (en) 2008-12-11 2012-02-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uid filter assembly including seal
US8387256B2 (en) 2009-08-13 2013-03-05 Emd Millipore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ed scaling of filters
US8425773B2 (en) 2009-08-21 2013-04-2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nd cap assembly adapted for interconnecting filtration elements
DE102009040202B4 (de) 2009-09-07 2015-10-01 Mann + Hummel Gmbh Filter
JP6019722B2 (ja) 2012-05-08 2016-11-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液体濾過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装置
US10369507B2 (en) * 2012-09-12 2019-08-06 Camfil Ab Filter frame
US9205359B2 (en) * 2012-10-09 2015-12-08 W.L. Gore & Associates, Inc. V-panel filters
EP2919880A1 (de) 2012-11-14 2015-09-23 Hydac Filtertechnik GmbH Filterelement
DE102013002057B4 (de) * 2013-02-07 2014-07-03 Mann + Hummel Gmbh Filtereinrichtung, insbesondere Luftfilter
CN203342490U (zh) 2013-06-21 2013-12-18 亚美滤膜(南通)有限公司 M式摺叠构型改良型微孔滤芯
JP5811162B2 (ja) 2013-12-09 2015-11-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リーツフィルター、それを用いた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ES2793941T3 (es) 2015-01-06 2020-11-17 A L Filter Co Ltd Filtro de líquido resistente al congelamiento
WO2018044648A1 (en) 2016-08-29 2018-03-08 Emd Millipore Corporation Fixed rigid wall device for compressed pleat configuration fil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648A1 (en) 2018-03-08
US20190224626A1 (en) 2019-07-25
EP3503990A4 (en) 2020-04-01
KR20210008570A (ko) 2021-01-22
JP2019528166A (ja) 2019-10-10
KR102283852B1 (ko) 2021-08-02
US11752470B2 (en) 2023-09-12
JP7389884B2 (ja) 2023-11-30
JP2023029871A (ja) 2023-03-07
JP2021073081A (ja) 2021-05-13
CN109641167A (zh) 2019-04-16
CN109641167B (zh) 2021-05-25
EP3503990A1 (en) 2019-07-03
SG11201811420VA (en) 2019-01-30
EP3503990B1 (en)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0805B2 (en) Integrity testable multilayered filter device
EP1775002B1 (en) Integrity testable multilayered filtration device
EP0508645B1 (en) Filters and filter units
EP1779913B1 (en) Filtration device
EP2363197B1 (en) Filtration cartridge formed of stacked plates
US7404493B2 (en) Filter device including pleated filter incorporated in a housing
EP1974801A2 (en) Cassette-style filtration apparatus
CA1148094A (en) Filter cartridges and methods and components for making them
EP2227314B1 (en) Stacked plates filtration cartridge
US11654397B2 (en) Filter cassette article, and filter comprising same
US20080257813A1 (en) Cassette-style filtration apparatus
JP7389884B2 (ja) 圧縮されたプリーツ構成のフィルタ用の固定式の剛性壁装置
JP2003531720A (ja) 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を製造する方法
JP2000517240A (ja) ひだを付けられたフィルター要素を有する濾過ユニット
US7261817B2 (en) Filter module and device for static filtration of fluids with such a module
CN114901376A (zh) 位于袋中的过滤盒和使用它的方法
CN107835673B (zh) 薄膜粘合的扁平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