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439A - 선박의 배전 장치를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배전 장치를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439A
KR20190018439A KR1020187036419A KR20187036419A KR20190018439A KR 20190018439 A KR20190018439 A KR 20190018439A KR 1020187036419 A KR1020187036419 A KR 1020187036419A KR 20187036419 A KR20187036419 A KR 20187036419A KR 20190018439 A KR20190018439 A KR 20190018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container
terrestrial
maste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994B1 (ko
Inventor
다비데 레알레
미카엘 브란델
Original Assignee
이팔코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팔코 비.브이. filed Critical 이팔코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9001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H02J3/00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02J3/0073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for providing alternative feeding paths between load and source when the main path fails, e.g. transformers, bus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63J2003/043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using shore connectors for electric power supply from shore-borne mains, or other electric energy sources external to the vessel, e.g. for docked, or moored vess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2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ships 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선박의 배전 시스템을 육상 전력 공급 장치(82)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은 선박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 14')를 포함한다. 이들 각각은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 16')을 포함한다.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를 형성하는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 스위치 패널(30)이 포함된다. 다른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는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스위치 패널(30)에 연결된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는 그 자신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을 통해 또는 이의 스위치 패널(30)에 연결된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를 통해 육상 전력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배전 장치를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선박의 배전 시스템을 육상(shore side)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각각의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을 각각 포함하는, 선박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및 이러한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선박의 배전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그러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본 출원의 출원인에게 양도된 US 2007/0251784 A1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종래기술의 시스템은 2개의 동일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이러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중 하나는 선박의 좌현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선박의 우현 측에 배치된다. 각각의 이러한 2개의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선내 케이블을 통해 선박의 전력 인입 장치에 연결된다. 선박의 이러한 전력 인입 장치는 다른 것들 중에서,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의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선박의 배전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 패널을 포함해야 할 뿐만 아니라,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및 선박의 전력 인입 장치를 연결하는 각각의 선내 케이블을 위한 회로 차단기 및 접지 장치를 포함해야 한다. 전기 인입 보호 및 유지보수 접지 설비가 각각의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회로 차단기 및 접지 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JP 2009023579는 유사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컨테이너(12)에 포함된 소위 급전 패키지(10)가 좌현 측을 따라 선박의 갑판 상에 배치되고, 동일한 급전 패키지(10)가 우현 측을 따라 선박의 갑판 상에 배치된다. 각각의 이러한 2개의 급전 패키지(10)는 선박의 갑판 상에 위치된 육상 급전 소켓(34)을 통해 선측 육상 급전 회로에 연결된다. 이러한 선측 육상 급전 회로는 급전 패키지(10) 아래의 선박의 선체에 위치되는 적어도 배전반(38) 및 선측 회로 차단기(3)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전반(38)은 선측 회로 차단기(3)를 통해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의 육상 급전 패키지(10)를 기존의 선측 배전 장치(1, 2)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선박을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JP 2009023579에서 제안된 급전 패키지(10)를 사용할 수 있기 이전에, 적어도 배전반(38) 및 선측 회로 차단기(3)를 포함하는 상술한 선측 육상 급전 회로가 선박에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배전 시스템을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치하기에 보다 용이하고 보다 효율적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선박의 배전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치 패널을 "마스터(master)"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이러한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중 하나에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다른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는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스위치 패널에 연결된 "슬레이브(slave)"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그 자신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을 통해 또는 이의 스위치 패널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통해 육상 전력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이러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쌍을 위한 스위치 패널은 선박의 전력 인입 장치에 더 이상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공장에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미리 연결될 수 있는 스위치 패널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내에 미리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공장에서도,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1) 제1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에 의한 선박의 배전 시스템으로의 연결을 위해; 그리고 (2) 제2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에 의한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로의 연결을 위해, 효율적으로 준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시스템을 선박에 설치하는 것은 주로, (1)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와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선박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고; (2)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선박의 배전 시스템의 전기 패널에 연결하며; 그리고 (3)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미리 사전-설치된 스위치 패널에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것을 단지 필요로 한다. 선박의 기존 배전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개입이 최소한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육상 전력 공급 장치를 기존 선박에 새로 장착하는 것이 훨씬 더 쉬워진다. 또한, 시스템의 보호, 안전 및 제어 설비의 대부분이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그러나 중요한 것으로서, 2개보다 더 많은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보다 대형 선박에 새로 장착하는 것이 더 쉬워진다.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선박의 배전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육상 전력 인출구(outlet), 및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육상 전력 인입구(inlet)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육상 전력 인출구" 또는 "육상 전력 인입구"는 예를 들어, 쉽게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케이블을 이에 연결하기 위한 쉽게 분리 가능한 연결 가능성(플러그형 또는 소켓형 연결과 같이)일 수 있거나, 또는 (보다) 영구적인 방식으로 케이블 또는 전력 버스를 이에 연결하기 위한 영구적인 연결 가능성(나사-단자 연결 등과 같이)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육상 전력 인입구" 및/또는 "육상 전력 인출구"는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포함된 스위치 패널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에 연결된 제1 전동 스위치, 및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육상 전력 인입구에 연결된 제2 전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1 전동 스위치는 이의 개방 위치에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의 접지로의 연결을 제공하고, 제2 전동 스위치는 이의 개방 위치에서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육상 전력 인입구의 접지로의 연결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서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전기 시스템 설비의 용이한 유지보수 접지를 포함하는, 스위치 패널 이전에 설치된 모든 전기 시스템 설비의 용이한 유지보수 접지 가능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제1 전동 스위치와 제2 전동 스위치가 동시에 폐쇄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인터로킹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안전 인터로킹 시스템은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이 육상 전력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무장력(tensionless) 상태에 있도록 신뢰 가능하게 보장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이의 스위치 패널과 이의 육상 전력 인출구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차단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하나의 회로 차단기가 선박에 부가된 전체 시스템을 전기적으로 보호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이의 회로 차단기와 이의 육상 전력 인출구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개폐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스위치 패널 이후에 설치된 모든 전기 시스템 설비의 용이한 유지보수 접지 가능성을 제공한다.
선박이 육상 전력의 장력과 상이한 장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스위치 패널과 육상 전력 인출구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강압 변압기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스위치 패널과 강압 변압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입 회로 차단기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배치되며; 강압 변압기와 육상 전력 인출구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출 회로 차단기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강압 변압기는 또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전기 설비는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전기 설비보다 훨씬 더 간단할 수 있다. 이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은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육상 전력 인출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는 추가적인 스위치, 회로 차단기 또는 유지보수 접지 장치가 불필요하다.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하나보다 더 많은 육상 전력 인입구를 포함하는 것이 배제되지 않으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포함된 스위치 패널은 각각의 이러한 육상 전력 인입구에 대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하나보다 더 많은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선박 상에 배치하여 이들을 단일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제1의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선박의 우현 측에 배치되고, 제2의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선박의 좌현 측에 배치된다.
각각의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권선된 케이블 릴을 포함하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일부이다.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유리하게는, 선박의 제어실과 통신하고 선박의 제어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마스터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각각의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마스터 제어 시스템과 통신하고 마스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슬레이브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바람직하게는 복합 수송(intermodal) 컨테이너이거나, 또는 복합 수송 컨테이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 및 고정 가능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술한 그리고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과 관련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들로서:
도 1은 배전 장치를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비된 컨테이너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안된 시스템을 도시하는 간략화된 전기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시스템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간략화된 전기 회로도이다.
이하의 설명 및 참조되는 도면은 예시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들은 청구 대상의 범주, 본질 또는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컨테이너 선박(10)의 좌현 측(1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선박(10)의 선미는 도시되지 않음). 이러한 선박(10)에는 이의 선내 배전 장치를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구비되며, 이에 의해 육상 전력이 정박된 선박(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컨테이너 선박(10)의 좌현 측(12)을 따라 배치된 제1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는 그 실시형태가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며, 케이블 릴(18)에 권선된 적어도 하나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15)을 포함한다.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은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을 부둣가의 6.6kV 육상 전력 공급 인출구(24)에 연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6.6kV 호환성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22)가 구비된 자유 단부를 갖는다. IEC 80005 고압 육상 연결(HVSC) 시스템에 따라, 육상 전력 공급 인출구(24)는 예를 들어, 60Hz에서 6.6kV 내지 7.5MVA의 총 전력을 제공해야 한다. 릴(18)의 회전 시에, 일반적으로 릴(18)에 결합된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이 릴(18) 상에 권선되거나 이로부터 풀려진다. 케이블 관리 시스템(15)은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부두-방향 측벽 근처에 배치된 케이블 가이드 아암(20)을 더 포함한다. 케이블 가이드 아암(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활성 위치와 도 4에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정지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케이블 가이드 아암(20)은 하나 이상의 신축부를 가질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아암(20)은, 활성 위치에 있는 경우, 컨테이너 선박(10)의 가장자리 위의 컨테이너(14)의 개방 컨테이너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을 안내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 컨테이너 도어가 폐쇄될 수 있도록 완전히 컨테이너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아암의 주요 기능은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이 선박의 가장자리 위로 끌려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은 수개의 번들형 전력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리 또는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제어 케이블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선내 시스템이 선박의 우현 측(12')을 따라 배치된 제2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이러한 제2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15)을 포함한다.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 14')는 모두 전형적으로 컨테이너 선박(10)에 의해 수송되는 바와 같은 복합 수송 화물 컨테이너(26)를 위한 전형적인 표준 ISO 치수 및 고정 설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 14')를 고정하기 위해, 복합 수송 화물 컨테이너(26)와 동일한 고정 해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 14')는 표준 부둣가 또는 선내 크레인과 같은, 복합 수송 화물 컨테이너(26)와 동일한 수송 설비로 이동될 수 있으며, 레일 또는 트럭에 의해 항구 내에서 또는 항구로 용이하게 수송될 수 있다.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의 자유 단부가 커넥터 장치(22)에 연결되는 반면에(도 4 참조),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의 다른 단부(즉, 케이블 릴(18)에 남아있는 이의 단부)는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 14') 모두에서, 슬립 링 연결 장치(28)에 연결된다(도 3 참조). 물론 슬립 링 연결 장치(28)는 회전식 케이블 릴로부터 고정식 배전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장치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로 지칭되는 제1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서, 이러한 슬립 링 연결 장치(28)(또는 이의 등가물)는 스위치 패널(30)의 제1 인입구(32)에 연결된다(예를 들어, 도 3 참조). 이러한 스위치 패널(30)의 인출구(34)는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육상 전력 인출구(36)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육상 전력 인출구(36)는 제1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38)을 통해 선박(10) 내부의 어딘가의 전력실(40)에 위치된 육상 전력 인입 패널에 연결된다. 육상 전력 인출구(36)는 예를 들어, 쉽게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제1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38)을 이에 연결하기 위한 쉽게 분리 가능한 연결 가능성(플러그형 또는 소켓형 연결과 같이)일 수 있거나, 또는 (보다) 영구적인 방식으로 제1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38)을 이에 연결하기 위한 영구적인 연결 가능성(예를 들어, 나사-단자 연결 등과 같이)일 수 있다. 육상 전력 인출구(36)는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로 지칭되는 제2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는, 제2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42)을 통해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육상 전력 인입구(44)에 연결된 이의 슬립 링 연결 장치(또는 회전식 케이블 릴로부터 고정식 배전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장치)를 갖는다(도 2 및 도 5 참조). 육상 전력 인입구(44)는 예를 들어, 쉽게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제2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42)을 이에 연결하기 위한 쉽게 분리 가능한 연결 가능성(플러그형 또는 소켓형 연결과 같이)일 수 있거나, 또는 (보다) 영구적인 방식으로 제2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42)을 이에 연결하기 위한 영구적인 연결 가능성(예를 들어, 나사-단자 연결 등과 같이)일 수 있다. 육상 전력 인입구(44)는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내부에서, 이러한 육상 전력 인입구(44)는 스위치 패널(30)의 제2 인입구(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도 3 및 도 5 참조). 이러한 스위치 패널(30)은 이의 제1 인입구(32)(및 이에 따른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15)의 슬립 링 연결 장치(28)) 또는 이의 제2 인입구(46)(및 이에 따른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15')의 슬립 링 연결 장치)를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육상 전력 인출구(36)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적응된다. 즉,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는, 그 자신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을 통해(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이 부둣가의 육상 전력 공급 인출구(24)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 이의 스위치 패널(30)에 연결된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를 통해(이러한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가 이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을 통해 부둣가의 육상 전력 공급 인출구(24)에 연결되는 경우), 육상 전력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여기서 점선 박스(14)로 개략적으로 표시됨)의 내부에 배치된 스위치 패널(30)은, 이의 제1 인입구(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동 스위치(48), 및 이의 제2 인입구(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동 스위치(50)를 포함한다는 점을 유의한다. 이러한 2개의 전동 스위치(48, 50)는 스위치 패널(30)의 공통 인출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들의 각각의 개방 위치(도 5에 도시됨)에서, 제1 스위치(48)는 제1 인입구(32)를 접지시키고, 제2 스위치(50)는 제2 인입구(46)를 접지시킨다. 이들의 각각의 폐쇄 위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제1 스위치(48)는 제1 인입구(32)를 스위치 패널(30)의 인출구(34)에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50)는 제2 인입구(46)를 스위치 패널(30)의 인출구(34)에 연결시킨다. 스위치 패널(30)의 인출구(34)는 회로 차단기(52)를 통해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육상 전력 인출구(36)에 연결된다.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육상 전력 인출구(36)와 회로 차단기(5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전 접지 개폐기(54)는 육상 전력 인출구(36) 및 이에 따른 제1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38)을 접지시킬 수 있게 한다(다른 것들 중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안전 인터로킹 시스템은 유리하게는 제1 전동 스위치(48)와 제2 전동 스위치(50)가 동시에 폐쇄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안전 인터로킹은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 16')이 육상 전력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항상 무장력 상태에 있도록 신뢰 가능하게 보장한다.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점선 박스(14')로 개략적으로 표시됨)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스위치 패널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한다. 케이블 관리 시스템(15')의 슬립 링 연결 장치는 사실상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육상 전력 인출구(56)에 직접 연결된다. 그러나,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서 (중복) 유지보수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케이블 관리 시스템(15')의 슬립 링 연결 장치와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육상 전력 인출구(56) 사이에 접지 개폐기(접지 개폐기(54)와 유사함)가 연결되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한다. 육상 전력 인출구(56)는 예를 들어, 쉽게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제2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42)을 이에 연결하기 위한 쉽게 분리 가능한 연결 가능성(플러그형 또는 소켓형 연결과 같이)일 수 있거나, 또는 (보다) 영구적인 방식으로 제2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42)을 이에 연결하기 위한 영구적인 연결 가능성(예를 들어, 나사-단자 연결 등과 같이)일 수 있다. 육상 전력 인출구(56)는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점선 박스(40)는 선박(10) 내부의 어딘가에 위치된 전력실 또는 특별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전력실 또는 특별실(40)에는 다른 것들 중에서, 몇몇 선박 발전기(621, 622, 623, 624); 선박 발전기(621, 622, 623, 624)와 연동되는 전기 제어 캐비닛(641, 642, 643, 644); 동기화 패널(66); 및 육상 전력 인입 패널(68)이 위치된다. 제1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38)(또는 메인 선내 육상 전력 공급 케이블(38))은 육상 전력 인입 패널(68)에 연결된다. 육상 전력 인입 패널(68)은 회로 차단기(70) 및 접지 개폐기(72)를 포함한다. 육상 전력 케이블(38)은 회로 차단기(70)를 통해, 선박 발전기(621, 622, 623, 62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버스 바 조립체(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동기화 패널(66)은 선박 발전기(621, 622, 623, 624) 중 적어도 하나를 육상 전력과 동기화하도록 적응된다.
도 5에서, 기본적인 육상 설비는 참조 번호 80으로 전체적으로 식별된다. 이는 예를 들어 6.6kV의 장력 및 50Hz 또는 60Hz의 주파수로 예컨대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육상 버스 바(82), 육상 회로 차단기(84), 및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16 또는 16')의 상보적인 커넥터 장치(22 또는 22')를 이에 연결하기 위한 예를 들어 2개의 커넥터 장치(소켓 또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육상 피트(86)를 포함한다.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참조 번호 90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 배치된 마스터 제어 패널을 나타낸다는 점을 유의한다. 이러한 마스터 제어 패널(90)은 내부 시스템 케이블(92)을 통해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 배치된 슬레이브 제어 패널(94)에 연결되고, 외부 시스템 케이블(96)을 통해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 배치된 슬레이브 제어 패널(94')에 연결된다. 각각의 슬레이브 제어 패널(94, 94')은 로컬 설비가 설치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 14')의 내부에서 로컬 설비의 신호를 수집하고, 이러한 로컬 설비의 작동(예를 들어, 케이블 관리 시스템(15, 15')의 작동, 그 뒤에 케이블 관리 시스템(15, 15')이 설치된 컨테이너 도어의 개방, 상이한 인터로킹 시스템, 상이한 안전 시스템 등)을 제어한다. 마스터 제어 패널(90)은 슬레이브 제어 패널(94, 94')로부터 피드백을 수집하고, 슬레이브 제어 패널(94, 94')로 명령을 제공하며, 외부 시스템 케이블(98)을 통해 선박(10)의 중앙 선내 제어 시스템과 통신한다. 시스템 케이블(92, 96 및 98)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케이블(구리 케이블 및/또는 광섬유 케이블일 수 있음), 및 일반적으로 육상 전력보다 훨씬 더 낮은 장력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보조 육상 전력 공급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시스템 케이블(98)은 유리하게는 제1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38)과 함께 케이블 번들에 포함되며, 외부 시스템 케이블(96)은 유리하게는 제2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42)과 함께 케이블 번들에 포함된다.
도 6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 수용된 설비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스위치 패널(30)과 육상 전력 인출구(36)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강압 변압기(100)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 배치된다. 스위치 패널(30)과 변압기(10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입 회로 차단기(102)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 배치되고, 변압기(100)와 육상 전력 인출구(36)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출 회로 차단기(104)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 배치된다.
제안된 시스템을 선박(10)에 설치하기 위하여, (1) 선박(10)의 적절한 위치에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 및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를 배치하고; (2) 케이블(38, 98)에 의해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를 전력실(40)에 연결하며; 그리고 (3) 케이블(42, 96)에 의해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를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에 연결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전에 설명된 시스템은 단지 하나의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14')를 포함하지만, 제안된 시스템은 또한 동일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연결된 수개의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 경우, 동일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각각의 이러한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대해, 하나의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육상 전력 인입구를 포함해야 하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포함된 스위치 패널은 각각의 이러한 육상 전력 인입구에 대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동 스위치를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솔루션에서,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그 자신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을 통해 또는 이의 스위치 패널에 연결된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육상 전력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10: 컨테이너 선박
12: 좌현 측
12': 우현 측
14: 제1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14': 제2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15, 15': 케이블 관리 시스템
16, 16':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
18: 케이블 릴
20: 15의 케이블 가이드 아암
22, 22': 16, 16'의 커넥터 장치
24: 부둣가의 육상 전력 공급 인출구
26: 복합 수송 화물 컨테이너
28: 슬립 링 연결 장치
30: 스위치 패널
32: 30의 제1 인입구
34: 30의 인출구
36: 14의 육상 전력 인출구
38: 제1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
40: 전력실(또는 특별실)
42: 제2 선내 육상 전력 시스템 케이블
44: 14의 육상 전력 인입구
46: 30의 제2 인입구
48: 제1 전동 스위치
50: 제2 전동 스위치
52: 회로 차단기
54: 안전 접지 개폐기
56: 14'의 육상 전력 인출구
62i: 선박 발전기
64i: 전기 제어 캐비닛
66: 동기화 패널
68: 육상 전력 인입 패널
70: 회로 차단기
72: 접지 개폐기
74: 버스 바 조립체
80: 육상 설비
82: 육상 버스 바
84: 육상 회로 차단기
86: 육상 피트
90: 14의 마스터 제어 패널
92: 케이블
94, 94': 슬레이브 제어 패널
96: 케이블
98: 케이블
100: 강압 변압기
102: 인입 회로 차단기
104: 인출 회로 차단기

Claims (15)

  1. 선박의 배전 시스템을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상기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선박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및
    상기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선박의 상기 배전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패널은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상기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중 하나에 포함되고,
    다른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상기 스위치 패널에 연결된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형성하여,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그 자신의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을 통해 또는 이의 스위치 패널에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통해 육상 전력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전 시스템을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상기 선박의 상기 배전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육상 전력 인출구; 및
    상기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육상 전력 인입구를 포함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포함된 상기 스위치 패널은,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상기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에 연결된 제1 전동 스위치; 및
    상기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육상 전력 인입구에 연결된 제2 전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동 스위치는 이의 개방 위치에서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상기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의 접지로의 연결을 제공하며,
    상기 제2 전동 스위치는 이의 개방 위치에서 상기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육상 전력 인입구의 접지로의 연결을 제공하는,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동 스위치와 상기 제2 전동 스위치가 동시에 폐쇄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인터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이의 스위치 패널과 이의 육상 전력 인출구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차단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이의 회로 차단기와 이의 육상 전력 인출구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개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패널과 상기 육상 전력 인출구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강압 변압기가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배치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패널과 상기 강압 변압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배치되는 인입 회로 차단기; 및
    상기 강압 변압기와 상기 육상 전력 인출구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배치되는 인출 회로 차단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상기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상기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육상 전력 인출구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하나보다 더 많은 육상 전력 인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에 포함된 상기 스위치 패널은 각각의 상기 육상 전력 인입구에 대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의 상기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상기 선박의 우현 측에 배치되며,
    제2의 상기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상기 선박의 좌현 측에 배치되는,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상기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육상 전력 전송 케이블은 권선된 케이블 릴을 포함하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일부인,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상기 선박의 제어실과 통신하며 상기 선박의 제어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마스터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슬레이브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상기 마스터 제어 시스템과 통신하며 상기 마스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슬레이브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가능한 육상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복합 수송 컨테이너이거나, 또는 복합 수송 컨테이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 및 고정 가능성을 갖는, 시스템.
KR1020187036419A 2016-06-14 2017-06-14 선박의 배전 장치를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219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93105A LU93105B1 (en) 2016-06-14 2016-06-14 A system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of a ship to a shore side electrical power supply
LU93105 2016-06-14
PCT/EP2017/064582 WO2017216244A1 (en) 2016-06-14 2017-06-14 A system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of a ship to a shore side electrical power supp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439A true KR20190018439A (ko) 2019-02-22
KR102219994B1 KR102219994B1 (ko) 2021-02-26

Family

ID=5628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419A KR102219994B1 (ko) 2016-06-14 2017-06-14 선박의 배전 장치를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468867B1 (ko)
JP (1) JP6929885B2 (ko)
KR (1) KR102219994B1 (ko)
CN (1) CN109311528B (ko)
ES (1) ES2814295T3 (ko)
LU (1) LU93105B1 (ko)
WO (1) WO2017216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1899A (zh) * 2019-04-28 2019-07-16 江苏镇安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低压岸电用电缆输送装置
EP3741658A1 (de) 2019-05-20 2020-11-25 HPE Hybrid Port Energy GmbH & Co. KG System und verfahren zur versorgung von wasserfahrzeugen, insbesondere schiffen, in einem hafen mit elektrischem strom und be- und entladevorrichtung für ein solches system und verfahren
CN111342468A (zh) * 2020-04-07 2020-06-26 江苏中智海洋工程装备有限公司 船舶岸电系统多回馈线安全回路
CN111668811B (zh) * 2020-06-04 2022-05-10 中船邮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防止带电硬脱开的应急切断保护装置及船舶
CN112701792A (zh) * 2020-12-30 2021-04-23 江苏中智海洋工程装备有限公司 港口多功能低压大容量岸电接电箱电路
CN113178779B (zh) * 2021-04-12 2022-11-22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一种基于岸基供电的海上油田岸电连接装置
CN113972744B (zh) * 2021-11-03 2022-04-22 威海中远造船科技有限公司 高压岸电集中监控系统
CN114142475A (zh) * 2021-12-28 2022-03-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青岛供电公司 一种岸电智能供电机器人、电控系统及控制方法
KR102564547B1 (ko) * 2022-12-27 2023-08-08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선박에 육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동형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상전원 공급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529A (ko) * 2004-07-20 2006-10-02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마린 유나이티드 선박
JP2008521694A (ja) * 2004-12-01 2008-06-26 イパルコ ビー ヴィ 海上給電システム
JP2009023579A (ja) * 2007-07-23 2009-02-05 Ihi Marine United Inc 船用給電パッケー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7176B2 (ja) * 2004-02-20 2007-07-18 株式会社日本無線電機サービス社 陸上から船舶への給電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3126684U (ja) * 2006-08-25 2006-11-02 株式会社日本無線電機サービス社 コンテナ載置型受電設備
JP4034816B1 (ja) * 2007-05-11 2008-01-16 渦潮電機株式会社 船舶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方法
CN103442981B (zh) * 2011-03-02 2017-06-09 西门子公司 供电设备
KR20130011233A (ko) * 2011-07-21 2013-01-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착탈식 축전지 및 추가 배전반을 구비한 선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529A (ko) * 2004-07-20 2006-10-02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마린 유나이티드 선박
JP2008521694A (ja) * 2004-12-01 2008-06-26 イパルコ ビー ヴィ 海上給電システム
JP2009023579A (ja) * 2007-07-23 2009-02-05 Ihi Marine United Inc 船用給電パッケ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14295T3 (es) 2021-03-26
WO2017216244A1 (en) 2017-12-21
CN109311528B (zh) 2021-03-05
EP3468867B1 (en) 2020-05-20
LU93105B1 (en) 2018-01-09
CN109311528A (zh) 2019-02-05
EP3468867A1 (en) 2019-04-17
JP6929885B2 (ja) 2021-09-01
KR102219994B1 (ko) 2021-02-26
JP2019519428A (ja)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994B1 (ko) 선박의 배전 장치를 육상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US9281666B2 (en) Subsea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having redundant circuit breaker control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US8122841B2 (en) Device and a method of connecting an electrical power line between a ship and a terminal
EP2377220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transfer to vessels
EP3229334B1 (en) An electric power system for supplying electric energy to a vessel
TWI329597B (ko)
KR20120024946A (ko) 움직이는 몸체, 특히 선박에 육지 측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40153159A1 (en) Subsea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Operable to Supply Power to Subsea Load from Plurality of Sources
KR101852232B1 (ko) 육지와 선박 사이의 전력 연결
Peterson et al. Tackling ship pollution from the shore
JP6710111B2 (ja) 陸電受電システム及び陸電受電設備
JP3126684U (ja) コンテナ載置型受電設備
CN111342468A (zh) 船舶岸电系统多回馈线安全回路
CN105322513B (zh) 将电气设备电连接到电力供应装置的安全系统及电气装置
GB2424161A (en) Offshore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KR20150038821A (ko) 트윈 아일랜드 구조를 갖는 대형 컨테이너선의 배전시스템
KR20190098456A (ko) 선박 배전 시스템
WO2022258787A1 (en) High voltage shore connection system with dual intake
KR20150019075A (ko) 컨테이너선의 배전시스템
Bolton THE ELECTRICAL POWER SYSTEM IN THE QUEEN ELIZABETH 2-DESIGN AND OPERATIONAL EXPERIENCE
PL240966B1 (pl) Mobilny system do bezprzerwowego zasilania sieci dystrybucyjnej średniego napięcia SN i sposób bezprzerwowego zasilania sieci średniego napięcia S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