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768A -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768A
KR20190017768A KR1020187035304A KR20187035304A KR20190017768A KR 20190017768 A KR20190017768 A KR 20190017768A KR 1020187035304 A KR1020187035304 A KR 1020187035304A KR 20187035304 A KR20187035304 A KR 20187035304A KR 20190017768 A KR20190017768 A KR 20190017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ate
upper portion
lower portion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293B1 (ko
Inventor
히데유키 오타
Original Assignee
히데유키 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데유키 오타 filed Critical 히데유키 오타
Publication of KR2019001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05Large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e.g. with movable or adjustable walls or wall parts,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6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 B65D21/066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the movable parts being supports or feet, e.g. retractable feet, pivot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컨테이너(10)는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는 컨테이너 본체의 상반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 상부(10A)와, 컨테이너 본체의 하반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 하부(10B)와, 컨테이너 본체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는 4개의 지주(18)와, 각 지주(18)를 컨테이너 상부(10A) 또는 컨테이너 하부(10B) 중 적어도 한쪽의 네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힌지(20)를 구비한다. 컨테이너 본체는 컨테이너 상부(10A)를 컨테이너 하부(10B)에 대해 제1 높이로 유지하는 제1 상태와,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유지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다. 제2 상태에서는 각 지주(18)가 힌지(20)에 의해 컨테이너 본체의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 회전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본 발명은 화물 수송에 이용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화물 수송의 수요는 일반적으로 지역간에 있어서 비대칭이므로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화물 수송에서는 컨테이너가 왕로(往路) 또는 복로(復路)에서 공(empty) 컨테이너가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컨테이너는 화물의 적재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한 용적을 점유하므로 공 컨테이너를 대량으로 수송할 경우, 공간적인 허비가 크고 수송 효율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본원 발명자는 드라이 컨테이너의 네 모서리 지주의 상측 반을 하측 반을 따라 접을 수 있게 함으로써, 드라이 컨테이너를 상하 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하여 그 용적을 대략 50%까지 저감 가능하게 한 화물 컨테이너를 제안하였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표 2002-534327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과 같이 용적을 대략 50%까지 저감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도 컨테이너의 변형에 시간이 걸리면 작업 효율이 악화되어 수송 비용에 영향을 준다. 또한, 작업 효율의 향상을 위해 기구를 복잡하게 하면 컨테이너 자체의 코스트가 증대된다.
본 발명은 간단하게 용적을 변경할 수 있는 간략한 구성의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는 컨테이너 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 상부와, 컨테이너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 하부와, 컨테이너 본체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는 4개의 지주(支柱)와, 각 지주를 컨테이너 상부 또는 컨테이너 하부 중 적어도 한쪽의 네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컨테이너 본체는 컨테이너 상부를 컨테이너 하부에 대해 제1 높이로 유지하는 제1 상태와,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유지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고, 제2 상태에서는 각 지주가 상기 회전 유지 수단에 의해 컨테이너 본체의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상부 또는 컨테이너 하부는 제2 상태에서 컨테이너 상부를 컨테이너 하부로 지지하기 위한 4개의 보조 지주를 구비한다. 컨테이너는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보조 지주를 컨테이너 상부 또는 컨테이너 하부에 고정하는 보조 지주 록킹 기구를 구비한다. 컨테이너는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주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지주 록킹 기구를 구비한다. 컨테이너 본체의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지주는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지주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지주 경도 보조 기구를 구비한다.
회전 유지 수단은 각 지주를 컨테이너 상부 및 컨테이너 하부의 네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각 지주는 내측으로 굴곡 가능한 굴곡부를 구비한다.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지주의 굴곡부끼리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구비한다. 컨테이너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면은 문 또는 벽면을 구비하고, 문 또는 벽면은 지주로 유지된다. 컨테이너 본체의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측면은 변형 가능하다.
회전 유지 수단은 각 지주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한쪽을 컨테이너 상부의 네 모서리로 유지하고, 각 지주의 다른 쪽의 단부는 컨테이너 하부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상부의 중량에 대한 균형 기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게 용적을 변경할 수 있는 간략한 구성의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컨테이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컨테이너의 수평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컨테이너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하는 도중의 사시도.
도 5는 지주의 힌지부 근방의 확대 측면도.
도 6은 제2 상태의 지주의 힌지부 근방의 확대 측면도.
도 7은 지주의 하단부 부근에 설치되는 록킹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지주 경도 보조 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컨테이너 상부의 외벽 하변부와 컨테이너 하부의 외벽 상변부의 계합(係合)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컨테이너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컨테이너의 측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컨테이너의 지주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컨테이너에 이용되는 연동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3 실시형태의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면도.
도 15는 제3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의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면도.
도 16은 제3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의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면도.
도 17은 제3 실시형태의 제3 변형예의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변형 가능한 컨테이너의 변형 전후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의 컨테이너(10)는 예를 들면 화물 수송에 사용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드라이 컨테이너이다. 컨테이너(10)는 예를 들면 ISO 규격에 준거하는 컨테이너일 수 있으나, 그 외의 규격 또는 독자적인 사양으로 제조된 컨테이너일 수도 있다. 컨테이너(10)는 대략 절반의 높이로 상하로 이분되며, 상반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 상부(10A)와 하반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 하부(10B)로 주로 구성된다. 컨테이너 상부(10A)는 컨테이너 하부(10B)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컨테이너 상부(10A)가 하강되면 컨테이너 하부(10B)는 컨테이너 상부(10A)의 내측에 수용된다.
도 1(a)는 컨테이너 상부(10A)를 최대 높이(제1 높이)까지 상승시켜 컨테이너 용적을 최대로 한 제1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는 컨테이너 상부(10A)를 최소 높이(제2 높이)까지 하강시켜 컨테이너 용적을 최소로 한 제2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상태의 컨테이너(10)의 높이는 제1 상태일 때의 대략 반이며, 이로 인해 컨테이너 용적도 대략 반이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화물은 제1 상태로 된 컨테이너(10)에 적재되고, 공 컨테이너일 때의 컨테이너(10)는 제2 상태가 된다.
컨테이너(10)에는 길이 방향의 한쪽 면에 예를 들면 쌍여닫이문(12)이 설치되고, 다른 쪽 면에는 후벽(13, 13A, 13B)이 설치된다. 문(12) 및 후벽(13)은 컨테이너 상부(10A)에 장착되는 상부 문(12A), 상부 후벽(13A, 도 2 참조)과 컨테이너 하부(10B)에 장착되는 하부 문(12B), 하부 후벽(13B)으로 분할된다. 제1 실시형태의 컨테이너(10)에서는 상부 문(12A)의 각각은 컨테이너 상부(10A)의 개구부 양측 가장자리부(외벽, 30A)에 힌지 등을 통해 장착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부 문(12B)의 각각은 컨테이너 하부(10B)의 개구부 양측 가장자리부(외벽, 30B)에 힌지 등을 통해 장착된다. 한편, 상부 후벽(13A), 하부 후벽(13B, 도 2 참조)은 예를 들면 측벽과 일체로 구성된다.
도 2는 컨테이너(10)를 컨테이너 상부(10A)와 컨테이너 하부(10B)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상부(10A)는 천장면(14)의 네 변을 지지하는 장방형으로 짜여진 상부 프레임(16)을 구비하고, 상부 프레임(16)의 네 모서리는 4개의 지주(18)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지주(18)의 상단은 상부 프레임(16)의 네 모서리에 힌지(20)의 회전 기구를 통해 장착되고(도 5 참조), 각 지주(18)는 힌지(20)를 중심으로 컨테이너 본체의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 회동 가능하다. 또한, 각 지주(18)의 하단에는 각 지주(18)의 하단을 컨테이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롤러(22)가 설치된다.
한편, 컨테이너 하부(10B)는 바닥면(24)의 네 변을 지지하는 장방형으로 짜여진 하부 프레임(26)을 구비한다. 하부 프레임(26)의 바깥 치수 정도는 상부 프레임(16)과 대략 동일하며, 수직으로 세워진 4개의 지주(18)의 하단은 하부 프레임(26)의 네 모서리 상에 위치하는 바닥면(24)에 의해 지지된다.
4개의 지주(18) 중 문(12)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18A, 18A)의 하단부끼리 및/또는 상단부끼리는, 예를 들면 로드 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양 지주(18A, 18A)는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도 2의 예에서는 하단부끼리가 로드 부재(18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컨테이너(10)에서 문(12)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18B, 18B)도 하단부끼리, 상단부끼리 혹은 중간부끼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한 복수의 부분에서 로드(rod)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도 2의 예에서는 중간부끼리가 로드 부재(18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힌지(20, 도 5)를 중심으로 지주(18)가 회전할 때 지주(18A, 18A)의 쌍 및 지주(18B, 18B)의 쌍은 각각 일체적으로 회전된다.
도 3은 제2 상태에서의 컨테이너(10)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컨테이너 하부(10B)의 외곽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컨테이너 상부(10A)보다 약간 작고, 제2 상태에서 컨테이너 하부(10B)의 측벽 및 하부 문(12B)은 컨테이너 상부(10A)의 측벽 및 상부 문(12A)의 내측에 네스팅(nesting) 형태로 수용된다. 또한, 컨테이너 상부(10A)의 네 모서리에는 제2 상태에서 컨테이너 상부(10A)를 컨테이너 하부(10B)에 의해 지지하기 위한 4개의 보조 지주(19)를 구비한다. 보조 지주(19)는 예를 들면 컨테이너 상부(10A)의 프레임(16)에서 수직 하향으로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도 3에는 제1 상태에서 지주(18)의 배치를 나타내나, 보조 지주(19)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18)보다 길이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도 4는 컨테이너(10)가 제1 상태(도 1(a))에서 제2 상태(도 1(b))로 이행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10)는 지주(18A, 18A)의 하단과 지주(18B, 18B)의 하단을 컨테이너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컨테이너 상부(10A)를 컨테이너 하부(10B)를 향해 하강시켜 컨테이너 하부(10B)를 컨테이너 상부(10A)의 내측에 수용한다. 지주(18)는 제1 상태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면이 프레임(16)의 네 모서리의 하면에 맞닿아 프레임(16)을 지지한다. 한편, 지주(18A, 18A) 및 지주(18B, 18B)가 각각 내측에 압입되고, 그 하단이 양측 벽을 따라 바닥면(24) 위를 이동하면, 지주(18)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20)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컨테이너 상부(10A)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되며, 컨테이너 하부(10B)는 컨테이너 상부(10A)의 내측에 수용된다.
컨테이너 상부(10A)와 함께 프레임(16)의 네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각 보조 지주(19)도 하강되어 제2 상태의 높이에 도달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지주(19)의 하단이 컨테이너 하부(10B)의 프레임(26)의 네 모서리 또는 그 위의 바닥면(24)에 맞닿는다. 이로 인해, 컨테이너 상부(10A)의 네 모서리가 4개의 보조 지주(19)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컨테이너 하부(10B)의 프레임(26)의 네 모서리에는 보조 지주(19)의 하단과 계합(係合)되고, 보조 지주(19)를 프레임(26)에 고정하는 보조 지주 록킹 부재(21)가 각각 설치된다. 보조 지주 록킹 부재(21)는 예를 들면 프레임(26)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보조 지주(19)의 하단에 끼워 맞춰지고,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보조 지주(19)와 보조 지주 록킹 부재(21)가 고정된다. 이로 인해, 제2 상태에서 컨테이너 상부(10A)가 끌려 올라가도 컨테이너 상부(10A)가 컨테이너 하부(10B)에서 분리되지 않고 일체적으로 취급될 수 있다.
컨테이너(10)에 화물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지주(18)를 기립시켜 제1 상태에서 지주(18)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주(18)에는 기립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지주 록킹 기구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7의 부분 확대 파단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18)의 하단부 가까이에 컨테이너(10)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편(28)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지주(18A)가 직립될 때, 지주(18A)는 컨테이너 하부(10B)의 외벽의 일부이며 하부 문(12B)이 장착되는 양측 가장자리부(30B)에 인접하고, 돌기편(28)이 측가장자리부(30B)에 설치된 개구부(32)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된다. 돌기편(28)에는 볼트(34B) 등의 계지 부재가 통과하는 구멍(28A)이 마련된다. 지주를 고정할 때에는 돌기편(28)에 볼트(34B)가 삽입되고 너트(34N)가 나사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지주(18B)에도 각각 돌기편(28)이 마련되는 동시에 문(12)과 반대측의 벽면에는 지주(18B)의 돌기편(28)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볼트(34B)와 너트(34N)를 이용하여 직립되는 지주(18B)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1(a)의 제1 상태의 컨테이너(10)를 도 1(b)의 제2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볼트(34B) 등을 이용한 지주 록킹 기구에 의한 지주(18) 고정을 해제하고, 컨테이너(10)의 양단에서 지주(18A, 18A)와 지주(18B, 18B)를 컨테이너(10)의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 누르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2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기울인다. 일단, 지주(18)가 일정 각도 기울면 지주(18)는 컨테이너 상부(10A)의 무게로 자연스럽게 기울어지고, 컨테이너(10)는 자중으로 접혀 도 1(b)의 제2 상태가 된다. 이때, 지주(18)가 경도되는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 힌지(20)에 로터리 댐퍼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18)의 경도를 보조, 촉진하기 위한 지주 경도 보조 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에 용수철(36) 등의 가압 부재를 이용한 지주 경도 보조 기구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a)는 4개의 지주(18)를 직립시킨 제1 상태일 때의 컨테이너(10)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8(b)는 지주(18)를 모두 넘어뜨려 컨테이너 하부(10B)를 컨테이너 상부(10A)에 수용시킨 제2 상태의 컨테이너(10)의 모습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지주 록킹 기구에 의한 지주(18) 고정이 해제되면 지주 경사 보조 기구에 의해 지주(18)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슬라이딩된다.
도 8의 구성에서는 컨테이너 하부(10B)의 측벽에 가까우면서 바닥면(26) 가까이에 용수철(36)의 일단이 장착되는 고정 부재(38)를 마련하고, 용수철(36)의 타단을 지주(18)의 하단부에 장착한다. 즉, 용수철(36)은 지주(18)의 하단부와 고정 부재(38) 사이에서 신장 상태로 장착되어, 지주(18)를 컨테이너 하부(10B)의 길이 방향 하변을 따라 내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지주 록킹 기구를 개방하면 작업자는 지주(18A, 18B)를 양측에서 내측으로 간단히 넘어뜨릴 수 있다.
또한, 지주 경도 보조 기구로서, 예를 들면 용수철(36) 대신 와이어나 체인 등의 견인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본체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의 양측에, 예를 들면 크랭크 기구 등을 이용한 견인 장치를 설치하여 견인구를 감아 올리는 등 내측으로 견인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화물 적재시의 제1 상태에서 컨테이너(10)는 일정한 밀폐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10)는 외벽과 문(12)이 컨테이너 상부(10A)와 컨테이너 하부(10B)의 상하로 이분되어 있어, 컨테이너 상부(10A)와 컨테이너 하부(10B)의 접합부에서 일정한 밀폐성을 확보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것에는 컨테이너 상부(10A)의 외벽, 문(12A)과 컨테이너 하부(10B)의 외벽, 문(12B) 사이에서 클리어런스를 되도록 좁게 하고,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의 외벽의 측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 상부(10A)의 외벽, 문(12A)의 하변과 컨테이너 하부(10B)의 외벽, 문(12B) 상변을 제1 상태에서 계합시켜 상기 계합부에서의 밀폐성을 높이고 있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 상부(10A)의 외벽, 문(12A)의 하변을 내측을 향해 상측으로 절곡시키고, 컨테이너 하부(10B)의 외벽, 문(12B)의 상변을 외측을 향해 하측으로 절곡시켜 제1 상태에서는 양쪽 모두의 절곡부가 계합(끼워맞춤)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외벽이나 문(12A)의 하변 내측 및 외벽이나 문(12B)의 상변 외측을 따라 씰 부재 등을 마련하여 이들을 계합시켜 밀폐성을 높일 수도 있고, 이러한 구성을 조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컨테이너에 의하면 지주를 넘어뜨려 컨테이너 하부를 컨테이너 상부 내에 간단히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공 컨테이너일 때, 컨테이너 용적을 쉽게 줄일 수 있어 컨테이너의 수송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드라이 컨테이너의 변형예이다. 제1 실시형태의 컨테이너(10)에서는 하부 문(12B)이 컨테이너 하부(10B)의 개구부 양측 가장자리부(30B)에 힌지 등을 통해 장착되었다. 변형예에서는 하부 문(12B)이 지주(18A)에 힌지 등을 통해 장착되고, 하부 문(12B)의 반대측의 컨테이너 하부(10B)의 벽면이 지주(18B)에 체결구나 용접 등을 이용하여 장착된다. 이로 인해, 변형예에서는 지주(18A, 18B)를 넘어뜨려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할 때, 작업자는 컨테이너(10)의 외측에서 하부 문(12B)이나 하부 문(12B)의 반대측의 컨테이너 하부(10B)의 벽면을 내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지주(18A, 18B)를 기울일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컨테이너 상부(10A)의 양측 가장자리부(30A)를 구비하는 코너부의 외곽을 보조 지주(19)로 이용하고 제1 실시형태의 보조 지주(19)는 생략한다. 이때, 예를 들면 보조 기구 록킹 기구로 양측 가장자리부(30A) 및 양측 가장자리부(30B)의 하부에 구멍(19A, 31)을 마련하고, 제2 상태에서는 구멍(19A, 31)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삽입하여 컨테이너 상부(10A)와 컨테이너 하부(10B)를 고정한다.
한편, 도시예의 컨테이너 상부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 도 4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컨테이너 상부(10A)와 같이 구성되고, 상부 문(12A)은 측 가장자리부(30A)에 힌지 등을 통해 장착되고, 상부 문(12A)의 반대측의 컨테이너 상부(10A)의 벽면은 컨테이너 상부(10A)의 양측 면과 일체적으로 구성되나, 상부 문(12A)도 지주(18A)에 힌지 등을 통해 장착되고, 상부 문(12A)의 반대측의 컨테이너 상부(10A)의 벽면을 지주(18B)에 체결구나 용접 등을 이용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1의 컨테이너의 측단면도, 도 12의 확대 측면도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의 드라이 컨테이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컨테이너(50)는 지주에 관한 구성이 제1 실시형태의 지주(18)와 다르다. 또한, 문(12A, 12B) 및 후벽(13A, 13B)이 각각 지주에 장착되나,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a)에는 컨테이너(50)의 제1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에는 컨테이너(50)의 제2 상태를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의 컨테이너 상부(10A)를 네 모서리에서 지지하는 4개의 지주(52)는 상단이 힌지(54)를 통해 컨테이너 상부(10A)의 프레임(16)에 장착되고, 지주(52)의 하단은 힌지(56)를 통해 컨테이너 하부(10B)의 프레임(26)에 장착된다. 또한, 지주(52)는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상부 지주(52A)와 하부 지주(52B)로 분리되어 있고, 상부 지주(52A)의 하단과 하부 지주(52B)의 상단은 힌지(58)를 통해 연결된다. 즉, 지주(52)는 힌지(58)를 축으로 컨테이너 길이 방향의 내측을 향해 굴곡 가능하며, 컨테이너 상부(10A)가 제2 높이가 되는 제2 상태에서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곡된 상태가 된다. 한편, 힌지(58)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 댐퍼가 설치된다. 컨테이너(50)는 지주(52)를 직립시킨 제1 상태에서 각 지주(52)의 굴곡을 방지하기 위한 지주 록킹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지주 경도 보조 기구로, 예를 들면 도 13과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즉, 문(12)측 지주(52)의 힌지(굴곡부, 58)와 후벽(13)측 지주(52)의 힌지(굴곡부, 58)를 와이어(62) 등의 견인구로 연결하여 한쪽의 굴곡부가 길이 방향 내측으로 굴곡되면 그 이동에 의해 다른 쪽의 굴곡부가 와이어(62)에 의해 길이 방향 내측으로 끌려가 양자가 연동하여 굴곡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은, 예를 들면 한쪽의 힌지(58)에 와이어(62)의 일단을 장착하고, 컨테이너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해 팽팽하게 걸쳐진 와이어(62)를 활차(57) 등을 이용하여 측벽을 따라 컨테이너 길이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하고, 그 선단을 다른 쪽의 힌지(58)에 장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활차(57) 등은, 예를 들면 컨테이너 상부(10A)나 컨테이너 하부(10B) 등의 측벽이나 프레임 등에 장착된다. 또한, 지주 경도 보조 기구는 지주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되고, 지주를 견인하는 구성인 것뿐만 아니라, 반대로 내측으로 밀어 넣는 구성인 것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컨테이너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대략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의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를 참조하여 제3 실시형태의 드라이 컨테이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컨테이너(60)는 제1 실시형태나 제2 실시형태의 컨테이너의 구성에 카운터 밸런스 기능을 탑재한 것이다. 제1 실시형태나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a)는 컨테이너(60)가 최대 용적이 되는 제1 상태에서의 카운터 밸런스 기구(63)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b)는 컨테이너(60)가 최소 용적이 되는 제2 상태에서의 카운터 밸런스 기구(63)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 밸런스 기구(63)는, 예를 들면 그 중앙부 부근이 컨테이너 하부(60B)의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부재(64)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레버 부재(64)의 일단(계합단, 64A)은 컨테이너 상부(60A)의 천장면에 계합되고, 레버 부재(64)의 타단(웨이트단, 64B)에는 카운터 웨이트(66)가 장착된다. 도 14에 예시되는 컨테이너(60)에는 2조의 카운터 밸런스 기구(63)가 탑재되고, 각 카운터 밸런스 기구(63)는 컨테이너(60)의 길이 방향 중앙의 양측 벽에 고정된다.
일측의 1조의 카운터 밸런스 기구(63)는 회전축(6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레버 부재(64)를 구비하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컨테이너(60)는 총 4개의 레버 부재(64)를 구비한다. 4개의 레버 부재(64)에 설치된 4개의 카운터 웨이트(66)는 카운터 밸런스 기구(63)를 통해 컨테이너 상부(60A)와의 균형을 잡기 위한 것이며, 카운터 웨이트(66)의 중량, 레버 부재(64)의 수, 레버 비 등은 컨테이너 상부(60A)의 중량과의 사이에서 힘의 균형이 잡히도록 설정된다.
즉, 카운터 밸런스 기구(63)에 의해 컨테이너 상부(60A)의 중량은 카운터 웨이트(66)와의 사이에서 대략 균형이 잡혀져 있으므로, 컨테이너 상부(60A)는 근소한 상향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컨테이너 하부(60B)에 대해 상승하여 도 14(a)의 제1 상태로 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상태에서는 컨테이너(6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각 조의 카운터 밸런스 기구(63)는 X자 형상이 되고, 계합단(64A)은 각각 컨테이너 상부(60A)의 천장면에 맞닿고, 웨이트단(64B)은 카운터 웨이트(66)의 무게로 컨테이너 하부(60B)의 바닥면 가까이에 있다. 제1 상태에서는 주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지주(18, 52, 도 2, 도 11 참조) 등에 의해 컨테이너 상부(60A)가 지지된다.
도 14(a)에 나타내는 제1 상태에서 지주 록킹 기구를 해제하고 컨테이너 상부(60A)에 하향의 힘을 가하면, 좌우 2조의 카운터 밸런스 기구(63)에 의해 컨테이너 상부(60A)의 천장면이 지지되면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주(18, 52) 등이 힌지 주위에 회전·경사되고, 컨테이너 상부(60A)는 컨테이너 하부(60B)를 향해 천천히 하강된다. 그 후, 도 14(b)의 제2 상태에 도달하면, 각 레버 부재(64)는 수평 상태에 가까워지고, 컨테이너 상부(60A)는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 모서리의 보조 지주(19, 도 3 참조)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컨테이너 상부(60A)의 승강시 레버 부재(64)의 계합단(64A)은 컨테이너 상부(60A)에 압접되면서 측벽을 따라 컨테이너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계합단(64A)의 이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계합단(64A)에 롤러(64R)를 설치하고, 또한, 롤러(64R)가 주행하는 레일 부재(60R)를 측벽을 따라 컨테이너 상부(60A)의 천장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64R), 레일 부재(60R) 대신 슬라이드 가이드나 리니어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계합단(64A)을 슬라이드 가이드나 리니어 베어링 등의 가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2 실시형태의 효과에 더해 컨테이너 상부의 승강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7에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5의 제1 변형예는, 예를 들면 도 14의 컨테이너(60)보다 긴 규격의 컨테이너(70)에 카운터 밸런스 기구를 적용한 것이다. 제1 변형예에서는 제3 실시형태에서 4개의 레버 부재(64)를 각각의 측벽에서 별개의 축(72, 72)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것이다. 도시예에서는 각 측벽의 각각 2개의 레버 부재(64)가 컨테이너 길이 방향에서 컨테이너(70)의 단쪽의 위치(예를 들면, 단에서 약 1/4의 위치)에 각각 대칭으로 회전축(72, 72)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로 인해, 카운터 밸런스 기구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가 분산되어 보다 긴 컨테이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예에서는 각 계합단(64A) 측이 외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나, 반대로 내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6은 제2 변형예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제2 변형예는 제3 실시형태의 카운터 밸런스 기구(63)를 좌우 2조씩 총 4개의 카운터 밸런스 기구(63), 즉, 총 8개의 레버 부재(64)를 이용한 것이며, 제1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컨테이너 길이 방향에서 컨테이너(74)의 단쪽의 위치(예를 들면, 단에서 약 1/5의 위치)에 카운터 밸런스 기구(63)가 각각 배치된다. 제2 변형예에 있어서도 제1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7은 제3 변형예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제3 변형예는, 예를 들면 40피트의 컨테이너 등 상당히 긴 컨테이너(76)에 카운터 밸런스 기구를 적용한 것으로, 양측 면에 3조(총 6개)의 카운터 밸런스 기구(63)가 배치된 것(레버 부재(64)의 수로 12개가 배치된 것)이다. 단, 제3 변형예에서는 제1 변형예와 달리 도 17(a)에 나타내는 제1 상태에서 각 조의 한 쌍의 레버 부재(64, 64)는 각각 직립된다. 즉, 각 조의 한 쌍의 레버 부재(64, 64)의 계합단(64A, 64A)은 대략 동일한 위치에서 컨테이너 상부(76A)의 천장면에 계합되므로, 12개의 레버 부재(64)는 컨테이너 상부(76A)의 천장면에 6개소에서 계합된다.
또한, 제3 변형예에서는 도 17(c)에 나타낸 제2 상태에서 각 조의 한 쌍의 레버 부재(64, 64)는 대략 수평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7(b)에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중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제3 변형예에서도 제1, 제2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제1 상태에서 컨테이너 상부(76A)의 천장면과 컨테이너 하부(76B)의 바닥면 사이가 컨테이너 폭 방향으로 중첩된 2개의 레버 부재(64, 64)에 의해 지지되므로, 컨테이너(76)의 횡방에서의 하중에 대한 강도가 보다 높아진다. 한편, 제3 변형예의 그 외의 구성은 제1, 제2 변형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지주를 컨테이너 상부에 장착하였으나, 보조 지주는 컨테이너 하부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지주의 하단부에 롤러를 설치하였으나, 하단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면 베어링을 이용할 수도 있고, 롤러와 계합하는 레일을 측벽을 따라 배치할 수도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볼트와 너트를 지주 록킹 기구로 이용하였으나, 예를 들면 측벽을 통해 지주에 막대 형상 부재를 계합하는 구성 등, 지주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리 댐퍼를 이용하였으나, 지주 단부의 직선 운동을 감쇠하는 리니어 댐퍼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컨테이너는 지주 경도 보조 기구에 더해 컨테이너를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형하기 위해 지주를 기립시키는 기구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테이너를 상하로 2 분할하였으나, 상하로 3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더욱 공 컨테이너시의 컨테이너 용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로 대략 2 등분하였으나, 상하로의 분할은 균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테이너 하부가 컨테이너 상부에 대략 완전히 수용될 때까지 압축되었지만, 컨테이너 상부의 컨테이너 하부에 대한 제2 높이, 제1 높이의 비는 임의이며, 예를 들면 2/3이나 1/3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측벽을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를 구비하는 가요성 부재로 구성하거나, 혹은 접을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드라이 컨테이너는 한쪽에만 문을 구비하고 있으나,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문을 구비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 컨테이너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냉동 컨테이너 등 다른 형식의 컨테이너에 대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컨테이너의 프레임이나 벽면, 록킹 기구 등의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중량을 경감하고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한편, 각 구성부의 소재에는 강도, 중량, 내구성 등 각종 설계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면 공지의 어떠한 소재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 등을 예로 여기서 설명한 각 구성은 구조적인 모순이 없는 한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카운터 웨이트의 위치나 형태는 모식적인 것이며, 컨테이너 상부의 중량과의 균형이 일정 정도 잡히면 되고, 특정의 위치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버 부재에 직접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하는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예를 들면 레버 부재와 카운터 웨이트 사이에서 와이어 등의 링크 부재를 개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웨이트 대신 카운터 용수철을 사용한 균형 기구를 채용할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상부의 중량과의 균형이 일정 정도 잡히면 어떤 형태의 균형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와 여기서 예시한 예는 그 구성에 있어서 사정이 없는 한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10, 50, 60, 70, 74, 76 : 컨테이너
10A, 60A, 70A, 74A, 76A : 컨테이너 상부
10B, 60B, 70B, 74B, 76B : 컨테이너 하부
12 : 문
16, 26 : 프레임
18, 52 : 지주
19 : 보조 지주
20, 54, 56, 58 : 힌지
60R : 레일 부재
61 : 회전축
63 : 카운터 밸런스 기구
64 : 레버 부재
64R : 롤러
66 : 카운터 웨이트

Claims (12)

  1.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띠는 컨테이너 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 상부와,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 하부와,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는 4개의 지주와,
    상기 각 지주를 상기 컨테이너 상부 또는 상기 컨테이너 하부 중 적어도 한쪽의 네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는 상기 컨테이너 상부를 상기 컨테이너 하부에 대해 제1 높이로 유지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유지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각 지주가 상기 회전 유지 수단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상부 또는 상기 컨테이너 하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 상부를 상기 컨테이너 하부로 지지하기 위한 4개의 보조 지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 지주를 상기 컨테이너 상부 또는 상기 컨테이너 하부에 고정하는 보조 지주 록킹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지주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지주 록킹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상기 지주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지주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지주 경도(傾倒)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지 수단이, 상기 각 지주를 상기 컨테이너 상부 및 상기 컨테이너 하부의 네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각 지주가 내측으로 굴곡 가능한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상기 지주의 굴곡부끼리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면이 문 또는 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문 또는 상기 벽면이 상기 지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측면이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지 수단이 상기 각 지주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한쪽을 상기 컨테이너 상부의 네 모서리로 유지하고, 상기 각 지주의 다른 쪽의 단부가 상기 컨테이너 하부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상부의 중량에 대한 균형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KR1020187035304A 2016-06-07 2017-06-06 컨테이너 KR102224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13863 2016-06-07
JP2016113863 2016-06-07
JP2017045497 2017-03-09
JPJP-P-2017-045497 2017-03-09
PCT/JP2017/021029 WO2017213154A1 (ja) 2016-06-07 2017-06-06 コンテ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768A true KR20190017768A (ko) 2019-02-20
KR102224293B1 KR102224293B1 (ko) 2021-03-08

Family

ID=6057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304A KR102224293B1 (ko) 2016-06-07 2017-06-06 컨테이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36183B2 (ko)
EP (1) EP3466841A4 (ko)
JP (2) JP6311850B1 (ko)
KR (1) KR102224293B1 (ko)
CN (1) CN109311588B (ko)
WO (1) WO2017213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697A1 (ja) * 2018-09-20 2020-03-26 秀幸 太田 コンテナ
EP4186815A1 (en) * 2021-11-24 2023-05-31 Daniel Campeau Telescopic shipping container
EP4186816A1 (en) * 2021-11-24 2023-05-31 Daniel Campeau Telescopic shipping container
DE102022113698A1 (de) * 2022-05-31 2023-11-30 TRANSPOfix Transporthilfsmittel- und Bodenbeläge-Herstellungs - und Vertriebs- GmbH Stapelbare palet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268A (ja) * 1994-07-19 1996-01-3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折畳みコンテナ
JP2002534327A (ja) 1998-12-31 2002-10-15 秀幸 太田 潰し込み可能な積荷コンテナ
US20040232146A1 (en) * 2003-05-20 2004-11-25 Kessler John E.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KR101448826B1 (ko) * 2012-12-20 2014-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게차를 이용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접이 방법
US20150266666A1 (en) * 2014-03-21 2015-09-24 Leung Tim WONG Novel Freight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8407A (en) * 1956-01-12 1959-01-13 Ti Group Services Ltd Packing containers
JPS59124283A (ja) * 1982-12-31 1984-07-18 日綜産業株式会社 折りたたみ自在なコンテナ
JPS59175092U (ja) * 1983-05-12 1984-11-22 日本フルハ−フ株式会社 折りたゝみコンテナの端壁回動装置
GB8416713D0 (en) * 1984-06-30 1984-08-01 Forsyth I Fold away container
US4684034A (en) * 1985-01-10 1987-08-04 Nisso Sangyo Co., Ltd. Folding container
JPS6318611A (ja) 1986-07-11 1988-01-26 Hitachi Electronics Eng Co Ltd トロイダルコイル巻線機
JPH0619429B2 (ja) 1989-06-30 1994-03-16 古野電気株式会社 レーダ装置
US5509559A (en) 1993-02-22 1996-04-23 Asahi Glass Company Ltd.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JPH06321286A (ja) * 1993-02-22 1994-11-22 Asahi Glass Co Ltd 輸送用コンテナ
JPH09188188A (ja) 1996-01-12 1997-07-22 Masaki Yamamoto コンテナーバッグを搭載したコンテナー車両
JP2007137469A (ja) * 2005-11-17 2007-06-07 Matsuyama Sangyo Kk コンテナ用天蓋
CN102317180B (zh) * 2009-01-05 2014-01-01 因赛特奥普森私人有限公司 可折叠集装箱
CL2011003232A1 (es) * 2011-12-21 2012-07-13 Claudio De Los Sagrados Corazones Arteaga Reyes Contenedor plegable que comprende un piso, un panel frontal con puertas de acceso, un panel trasero, un techo, paredes laterales derecha e izquierda, juntas o uniones abisagradas, medios de anclaje laterales, medios para bloquear el abatimiento de los paneles y medios para bloquear o desbloquear el plegado; metodo; uso; sistema.
KR101258612B1 (ko) * 2013-01-10 2013-04-26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접이식 컨테이너
US20140246425A1 (en) * 2013-03-04 2014-09-04 Steven Janin Expandable and collapsable container
ES2421059B1 (es) * 2013-06-18 2014-03-18 Miguel Antonio NAVALÓN SIMÓN Nuevo contenedor plegab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268A (ja) * 1994-07-19 1996-01-3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折畳みコンテナ
JP2002534327A (ja) 1998-12-31 2002-10-15 秀幸 太田 潰し込み可能な積荷コンテナ
US20040232146A1 (en) * 2003-05-20 2004-11-25 Kessler John E.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KR101448826B1 (ko) * 2012-12-20 2014-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게차를 이용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접이 방법
US20150266666A1 (en) * 2014-03-21 2015-09-24 Leung Tim WONG Novel Freight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3154A1 (ja) 2017-12-14
EP3466841A4 (en) 2020-03-18
EP3466841A1 (en) 2019-04-10
JPWO2017213154A1 (ja) 2018-06-14
CN109311588B (zh) 2020-01-24
US20190263587A1 (en) 2019-08-29
KR102224293B1 (ko) 2021-03-08
CN109311588A (zh) 2019-02-05
JP6311850B1 (ja) 2018-04-18
US11136183B2 (en) 2021-10-05
JP2018144890A (ja)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7768A (ko) 컨테이너
US11618488B2 (en) Foldabl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same
US10407209B1 (en) Pallet apparatus for transportation of car glass
WO2020059697A1 (ja) コンテナ
US20080137997A1 (en) Bulk container
WO2011071076A1 (ja) パレットラック、パレットラックユニット及びパレットラックを備えたコンテナ
US20170362021A1 (en) Folding container
WO2016103391A1 (ja) エレベータかご用部品の組立体、かご製造方法、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
JP6933892B2 (ja) パレット
FI83200B (fi) Container.
CN112805228A (zh) 散装物料集装箱
US11952206B2 (en) Folding container
KR101955929B1 (ko) 붐지지대
CN110641849A (zh) 托盘箱
GB2376014A (en) Folding flatrack with outward bracing
JP2009023692A (ja) 折りたゝみ式通函
KR101632331B1 (ko)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0641080B1 (ko) 컨테이너
EP2397416B1 (de) Faltbare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EP3730419A1 (en) Container
WO2024053682A1 (ja) コンテナ
JP5083555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CN220221562U (zh) 托盘箱
KR102272292B1 (ko) 접이식 컨테이너
EP4227237A1 (e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