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726A - 외줄낚시 장치 - Google Patents

외줄낚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726A
KR20190017726A KR1020187030403A KR20187030403A KR20190017726A KR 20190017726 A KR20190017726 A KR 20190017726A KR 1020187030403 A KR1020187030403 A KR 1020187030403A KR 20187030403 A KR20187030403 A KR 20187030403A KR 20190017726 A KR20190017726 A KR 20190017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ing
torque
force
rotary drum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하마데
다이고 사와다
토모히로 미키
에리 하마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01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8Pole-less fishing apparatus, i.e. hand-held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과제]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의 움직임에 즉시 반응하게 함으로써 낚싯줄의 예기치 못한 절단을 방지하고, 또한, 일정한 범위에서의 유영은 허용하지만 제멋대로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는 외줄낚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회전 드럼과, 구동 모터와, 전자 클러치와, 인코더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당초는 감기 토크를 권상력 1로 한 권취 동작을 행하게 하고, 부하가 증대하여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이 미리 설정된 권상력 2 기준 회전수가 되었을 때, 감기 토크를 상기 권상력 1보다 작은 권상력 2로 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수의 증감에 맞추어 감기 토크를 증감시키는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운전 모드(운전 모드 1)를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줄낚시 장치
본 발명은 선상에 설치되는 외줄낚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랑어와 같이 달려들어 물었을 때, 물고기와의 주고받음, 소위 파이팅을 하는 물고기를 대상으로 하여,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 등의 움직임에 즉시 반응하게 함으로써 낚싯줄의 예기치 못한 절단을 방지하고, 또한 일정한 범위에서의 유영은 허용하지만 제멋대로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도록 연구한 것에 관한 것이다.
외줄낚시로 잡는 물고기로서 다랑어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미끼에 달려들어 문 다랑어는 낚싯바늘로부터 달아나려고 한다. 그때, 다랑어는 바닷속에서의 모든 방향으로 여기저기 도망쳐다녀, 포획자와의 사이에 주고받음, 소위 파이팅을 하기 때문에, 낚싯줄에 과도한 텐션이 걸리는 경우가 있고, 최악의 경우 낚싯줄이 절단되어 버린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종래는 직경이 큰 낚싯줄을 사용하여, 낚싯줄의 절단을 방지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는, 예를 들면, 100호(외경: 1.6mm), 200호(외경: 2.3mm) 정도의 낚싯줄을 사용하고 있었다.
일본 특개 평8-205725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84108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우선, 직경이 큰 낚싯줄을 사용하면, 미끼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게 되어, 동체시력이 좋다고 하는 다랑어에게 판별되어 버려, 다랑어가 달려들어 물기 어려워, 조과(釣果)를 올릴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에게 제멋대로의 동작을 하게 해 놓으면, 피로 과다로 소위 「육질변질(burnt)」을 일으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육질변질」이란 다랑어살 본래의 적색과 육질의 점조성, 보수성이 상실되어, 살의 색이 흰빛을 띠거나 또는 다갈색을 띤 상태로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상태로 된 어육은 「변질육(burnt meat)」이라고 불리며, pH값이 저하되어 산성화되기 때문에, 품질의 저하를 일으켜, 염가 요인이 된다. 변질육은 단백질의 변성 속도가 최대 약 300배나 빨라진다고 하는 연구 보고도 있다.
다랑어는 근력이 강하고 또한 빠르게 헤엄치는 동물로서, 아감딱지에 근육이 없기 때문에, 주둥이를 벌리고 헤엄침으로써 주둥이로부터 아가미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를 아가미의 표면으로부터 체 내로 받아들인다. 즉, 다랑어는 생애 계속해서 헤엄치는 물고기인 바, 낚싯바늘에 걸려들면, 도망치려고 하기 때문에, 강한 힘으로 낚싯줄을 끌어당기게 되고, 이것에 의해 체온이 상승하기 때문에 육질변질을 일으킨다. 즉, 다랑어의 육질변질은 물고기 몸체(근육) 스트레스에 의한 체온 상승에 기인한다고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 등의 움직임에 즉시 반응하게 함으로써 낚싯줄의 예기치 못한 절단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다랑어 등을 낚아 올리는 것에 있다. 또한, 일정한 범위에서의 유영은 허용하지만 제멋대로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는 외줄낚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이 종류의 문제에 대한 종래의 제안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가 있다. 본건 발명은 이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을 더욱 개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2는 본건 특허출원인에 의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낚싯줄이 권회되어 감기 방향 및 풀기 방향으로 정회전/역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회전 드럼과 상기 구동 모터 사이에 삽입되어 부하가 전달 토크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상기 회전 드럼에 전달하여 회전 드럼을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시키고, 부하가 전달 토크를 초과하면 상기 회전 드럼의 풀기 방향으로의 역회전을 허용하는 전자 클러치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검출하는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당초는 감기 토크를 권상력 1에 의한 통상 동작을 행하게 하고, 부하가 증대하여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이 미리 설정된 권상력 2 기준 회전수가 되었을 때, 감기 토크를 상기 권상력 1과의 관계에서 설정된 권상력 2로 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수의 증감에 맞추어 감기 토크를 증감시키는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운전 모드(운전 모드 1)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토크 동작의 감기 토크의 증감의 비율은 상기 권상력 2와, 미리 설정된 최대 토크인 권상력 3과, 상기 권상력 3에 도달하는 권상력 3 기준 회전수로부터 결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3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권상력 3 기준 회전수에 이르렀을 때는 상기 감기 토크를 권상력 3으로 하는 정(定)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4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풀기 방향으로의 역회전의 소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5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상 동작으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된 직후의 토크(상기 권상력 2의 토크)를 상기 권상력 1의 토크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6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7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감기 방향으로의 정회전의 소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8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청구항 7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토크 제어로 바뀌고 나서 상기 회전 드럼이 풀기 방향으로 역회전할 때까지의 동안은 감기 토크를 상기 권상력 2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9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클러치의 회전을 기어를 통하여 상기 회전 드럼측에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0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전체가 턴테이블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에 의하면, 낚싯줄이 권회되어 감기 방향 및 풀기 방향으로 정회전/역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회전 드럼과 상기 구동 모터 사이에 삽입되어 부하가 전달 토크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상기 회전 드럼에 전달하여 회전 드럼을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시키고, 부하가 전달 토크를 초과하면 상기 회전 드럼의 풀기 방향으로의 역회전을 허용하는 전자 클러치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검출하는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당초는 감기 토크를 권상력 1에 의한 통상 동작을 행하게 하고, 부하가 증대하여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이 미리 설정된 권상력 2 기준 회전수가 되었을 때, 감기 토크를 상기 권상력 1과의 관계에서 설정된 권상력 2로 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수의 증감에 맞추어 감기 토크를 증감시키는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운전 모드(운전 모드 1)를 실행하는 것이므로,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 등의 움직임에 즉시 반응하게 하여 낚싯줄의 예기치 못한 절단을 방지할 수 있어, 확실하게 다랑어 등을 낚아 올릴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범위에서의 유영은 허용하지만 제멋대로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그것에 의해, 다랑어 등의 육질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의 절단이 방지됨으로써, 보다 직경이 작은 낚싯줄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그것에 의해, 조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토크 동작의 감기 토크의 증감의 비율은 상기 권상력 2와, 미리 설정된 최대 토크인 권상력 3과, 상기 권상력 3에 도달하는 권상력 3 기준 회전수로부터 결정되는 것이므로, 임의의 비율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조과와의 관계에서 최적의 비율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권상력 3 기준 회전수에 이르렀을 때는 상기 감기 토크를 권상력 3으로 하는 정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했으므로, 다랑어 등의 제멋대로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신속한 인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풀기 방향으로의 역회전의 소정값이므로, 권상력 2 기준 회전수와 그것에 대한 출력 토크를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전환의 토크 배분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낚싯줄의 예기치 못한 절단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상 동작으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된 직후의 토크(상기 권상력 2의 토크)를 상기 권상력 1의 토크보다 작게 했으므로,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될 때의 토크를 완화할 수 있어, 낚싯줄의 예기치 못한 절단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0rpm」이므로, 낚싯줄의 예기치 못한 절단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감기 방향으로의 정회전의 소정값이므로, 라인 슬랙(line slack: 낚싯줄 느슨해짐)에 의한 낚싯줄의 절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7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토크 제어로 전환되고 나서 상기 회전 드럼이 풀기 방향으로 역회전할 때까지의 동안은 감기 토크를 상기 권상력 2로 고정하므로, 낚싯줄의 절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클러치의 회전을 기어를 통하여 상기 회전 드럼측에 전달하도록 했으므로, 동력 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다이렉트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줄낚시 장치에 있어서, 전체가 턴테이블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방향을 자유롭게, 또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외줄낚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외줄낚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외줄낚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외줄낚시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외줄낚시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외줄낚시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A)는 외줄낚시 장치의 정면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A)는 외부 누름 버튼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8(B)는 원격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운전 모드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당초의 감기 동작으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타이밍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리버스 토크 동작시의 감기 토크의 증감의 비율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현장의 작업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1에 도시하는 작업의 일부이며 자동 제어되는 부분의 정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운전 모드 1이며, 당초의 감기 동작으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타이밍을 「-1rpm」으로 설정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운전 모드 1이며, 당초의 감기 동작으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타이밍을 「0rpm」으로 설정했을 때의 운전 모드 1의 모습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운전 모드 1이며, 당초의 감기 동작으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타이밍을 「10rpm 또는 2rpm」으로 설정했을 때의 운전 모드 1의 모습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운전 모드 2의 모습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운전 모드 3의 모습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외줄낚시 장치는 선상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부착 베이스(1)가 있고, 이 부착 베이스(1) 위에는 턴테이블(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3) 위에는 본체 케이스(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5) 내에는 구동 모터(7)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 모터(7)에는 감속기(9)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9)의 도시하지 않은 출력축에는 스프로킷(도시 생략)이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3)에는 조작 핸들(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 핸들(4)을 파지하고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5) 내이며 상기 구동 모터(7) 위에는 전자 클러치로서의 파우더 클러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파우더 클러치(13)는 구동측 회전자(13a)와 종동측 회전자(13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13a)에는 스프로킷(15)(도 4에 가리킨다)이 고착되어 있다. 이 스프로킷(15)과 상기 감속기(9)측의 도시하지 않은 스프로킷에는 체인(17)이 권회되어 있고, 구동 모터(7)의 구동력이 파우더 클러치(13)를 거쳐, 나선 샤프트(19)를 통하여 주축(35)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종동측 회전자(13b)에는 나선 샤프트(19)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나선 샤프트(19)에는 나선 기어(21)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나선 샤프트(19)의 선단은 축받이(20)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나선 샤프트(19)는 엇새 장치의 동작을 하고, 동시에 주축(35)이 회전함으로써, 회전 드럼(37)에 낚싯줄(41)이 균등하게 권회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5) 내이며, 상기 나선 샤프트(19)의 측방에는 주축 기어(2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주축 기어(23)는 상기 나선 기어(21)에 맞물려 있다. 상기 나선 기어(21)와 주축 기어(23)는 한 쌍의 기어 플레이트(25, 27)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기어 플레이트(25, 27)는 4세트의 체결구(29)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어 플레이트(25)에는 클로우 홀더(31)가 고착되어 있고, 이 클로우 홀더(31) 내에는 나선 클로우(33)가 내장되어 있다. 이 나선 클로우(33)는 상기 나선 샤프트(19)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주축 기어(23)에는 주축(35)이 동축에 고착되어 있고, 이 주축(35)의 선단(도 1의 우단)에는 회전 드럼(37)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주축(35)의 기단(도 1의 좌단)은 상기 본체 케이스(5)를 관통·배치되어 있고, 본체 케이스(5)에 고착된 축받이 파이프(39)에 축지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주축(35)의 선단측의 상기 본체 케이스(5)의 관통부에도 축받이 파이프(40)에 고착되어 있고, 상기 주축(35)이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 드럼(37)에는 낚싯줄(41)이 권회되어 있고, 이 낚싯줄(41)의 선단에는 다랑어를 걸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바늘 등의 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축(35)에는, 인코더 브래킷(43)에 부착된 인코더(45)가 설치된다. 47은 인코더 체인이며, 파우더 클러치(13)를 통하여 토크가 전달되면, 나선 샤프트(19)가 회전함으로써 스프로킷(15)이 회전하여, 인코더 체인(47)을 통하여 동력을 인코더(45)에 전달한다.
상기 파우더 클러치(13)는 상기 구동측 회전자(13a)와 종동측 회전자(13b) 사이에 미세한 파우더(미세한 철분)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측 회전자(13a)와 종동측 회전자(13b)는 외부로부터 전자석에 의해 자화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측 회전자(13a)와 종동측 회전자(13b)가 자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구동측 회전자(13a)와 종동측 회전자(13b)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동력의 전달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구동측 회전자(13a)와 종동측 회전자(13b)가 자화되면, 구동측 회전자(13a)와 종동측 회전자(13b) 사이에 파우더(미세한 철분)가 끌어 당겨지고, 구동측 회전자(13a)와 종동측 회전자(13b) 사이가 메워진 상태가 된다. 그것에 의해, 동력의 전달이 행해진다.
또한, 파우더 클러치(13)는 어디까지나 전자 클러치의 일례이며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인코더(45)는 상기 회전 드럼(37)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부(51)에는, 입력 수단(53), 표시 수단(55), CPU(57), ROM(59), RAM(61), 회전수 검출 수단(63), 회전 방향 검출 수단(65), 토크 증감률 산출 수단(67), 전자 클러치 제어 수단(69)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수 산출 수단(63)은 인코더(4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 드럼(37)의 회전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회전 방향 판별 수단(65)은 인코더(4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 드럼(37)의 회전 방향(감기 방향/풀기 방향)을 판별한다. 또한, 상기 토크 증감률 산출 수단(67)은 상기 회전 드럼(37)이 풀기 방향으로 역회전하기 시작했을 때의 토크(권상력 2)와, 미리 설정된 최대 토크(권상력 3)와, 미리 설정된 상기 최대 토크(권상력 3)에 도달하는 권상력 3 기준 회전수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 시의 감기 토크의 증감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자 클러치 제어 수단(69)은 모든 운전 모드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클러치(13)에 의한 감기 토크를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리버스 토크 동작」 시에는, 상기 토크 증감률 산출 수단(67)에 의해 산출된 감기 토크의 증감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파우더 클러치(13)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입력 수단(53), 표시 수단(55)은 도 7에 도시하는 전면 패널(52)에 구현화되어 있다. 입력 수단(53)의 구성으로부터 설명한다. 우선, 권상력 1 설정 키(71), 권상력 2 설정 키(73), 권상력 3 설정 키(75), 권상 속도 설정 키(77), 권하 속도 설정 키(7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상력 3 설정 키(75)의 아래에는 수심 키(8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심 키(81)를 누름으로써 상기 표시 수단(55)을 수심 표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정지시에 수심 키(81)를 누름으로써 「0」 맞춤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리셋 키(83, 85, 87, 8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운트 키(91, 93)가 설치되어 있어, 각 설정값의 카운트 업/다운을 행한다. 또한, 기능 키(95)가 설치되어 있어, 각종 설정 모드 시에 사용한다. 상기 프리셋 키(83, 85, 87, 89)에서, 권상력 1, 권상력 2, 권상력 3 및 후술하는 권상 속도, 권하 속도의 각 설정값을 미리 입력해 두고, 상황에 따라 원터치로 상기 각 설정값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트 키(91, 93)로 상기 각 설정값을 「0」에서 「100」까지 디지털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수단(55)은 각종 설정값, 심도를 표시한다. 또한, 그 표시의 변환은 권상력 1 설정 키(71), 권상력 2 설정 키(73), 권상력 3 설정 키(75), 권상 속도 설정 키(77), 권하 속도 설정 키(79), 수심 키(81)에 의해 행한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52)은 이면 커버(54)로 피복되고, 도시하지 않은 패킹 등에 의해, 밀폐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수단(53), 표시 수단(55)의 하방에는, 외부 기기 접속 단자부(101, 103, 105, 107)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외부 기기 접속 단자(101, 103, 105, 107)에는, 예를 들면, 누름 버튼 유닛(121)(도 8에 도시함), 원격 조작 유닛(131)(도 8에 도시함), 풋 브레이크(도시 생략), 토출 장치(도시 생략) 등이 접속된다. 또한, 전원 접속부(10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전원 접속부(109)에는 전원 라인이 접속되게 된다. 또한, 메인 스위치(1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중 부호 56은 표시용 기판, 58은 CPU용 기판, 110은 파워용 기판, 113, 115는 로크 부착 드로우 래치이다.
또한,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미 기술한 누름 버튼 유닛(121)이 있고, 이 누름 버튼 유닛(121)에는 다운 버튼(123), 업 버튼(125), 정지 버튼(1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운 버튼(123)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풀기 상태가 되고, 이미 설명한 권하 속도 설정 키(79)에 의해 설정한 권하 속도로 낚싯줄(41)을 풀어간다. 한편, 상기 업 버튼(125)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감기 상태가 되고, 이미 설명한 권상력 1 설정 키(71), 권상력 2 설정 키(73), 권상력 3 설정 키(75)에 의해 설정한 토크, 권상 속도 설정 키(77)에 의해 설정한 권상 속도로, 낚싯줄(41)을 감는다. 또한, 상기 정지 버튼(127)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동작은 정지된다.
또한, 옵션으로서 이미 기술한 원격 조작 유닛(1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원격 조작 유닛(131)에는, 권상력 1 설정 다이얼(133), 권상력 2 설정 다이얼(135), 다운 버튼(137), 업 버튼(139), 정지 버튼(141)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운전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전 모드로서는 운전 모드 1(MR400), 운전 모드 2(MR-250), 운전 모드 3(MR-2)이 있다. 또한, 공장 출시시는 운전 모드 1(MR400)로 되어 있다.
「운전 모드 1(MR-400)」은 통상 동작으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적당하게 전환하는 운전 모드이다. 통상 동작은 「권상력 1」에 의한 감기 동작이며, 리버스 토크 동작은, 회전 드럼이 풀기 방향으로 역회전하고 있을 때, 역회전의 회전수의 증감에 따라 토크를 증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운전 모드이다. 즉, 당김이 강할 때에 토크를 증대시켜 낚싯줄의 「라인 슬랙」을 방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운전 모드이다. 이 운전 모드 1(MR-400)은 부하가 가벼워 회전 드럼(37)이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하고 있는 경우, 감기 토크를 미리 설정된 「권상력 1」로 한 감기 동작이 행해진다. 이에 대하여, 부하가 증대하여, 회전 드럼(37)의 회전수가 현저하게 저하된 경우 또는 역회전한 경우에는,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이행한다. 이 「리버스 토크 동작」에서는, 그 초기의 단계에서, 토크를 상기 「권상력 1」에 대하여 보다 작은 「권상력 2」로 전환할 수 있다. 그 후, 회전 드럼(37)의 풀기 방향으로의 역회전시의 회전의 증감에 따라 토크를 증감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그 때, 감기 토크의 증감의 비율은 미리 설정된 상기 「권상력 2」와, 미리 설정된 최대 토크 (「권상력 3」)와, 미리 설정된 상기 최대 토크(권상력 3)에 도달하는 권상력 3 기준 회전수에 의해 설정된다(도 14 내지 도 16 참조).
운전 모드 2(MR-250)는, 회전 드럼(37)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 토크가 자동적으로 변화되는 운전 모드이며, 회전 드럼(37)이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감기 토크를 미리 설정된 「권상력 1」로 한 운전이 행해지고, 회전 드럼(37)이 풀기 방향으로 역회전했을 때에는, 감기 토크를 미리 설정된 「권상력 2」로 한 운전이 행해진다(도 17 참조).
도 17의 경우에는, 상기 「권상력 2」는 상기 「권상력 1」보다 큰 값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운전 모드 3(MR-2)은, 항상, 감기 토크를 미리 설정된 「권상력 1」로 한 운전이 행해진다(도 18 참조).
또한, 각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권상력 1」, 「권상력 2」, 「권상력 3」의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된다.
동작 모드 권상력1 권상력2 권상력3
운전모드3(MR-2) 통상 동작시, 리버스 토크 동작시, 즉, 전체의 회전 영역에서의 토크 - -
운전모드2(MR-250) 통상 동작시, 즉, 정회전 영역에서의 토크 리버스 토크 동작시, 즉, 역회전 영역에서의 토크 -
운전모드1(MR-400) 통상 동작시, 즉, 정회전 영역에서의 토크 리버스 토크 동작시, 즉, 역회전 영역으로 돌입하기 시작한 때의 토크 역회전수가 빨라진 때의 토크 상승률과 역회전 영역의 토크 최대 제어값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력 1」, 「권상력 2」, 「권상력 3」은 각 운전 모드에서 소정의 내용으로 정의되어 있다.
상기 운전 모드의 선택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력 2 설정 키(73), 카운트 키(91, 93), 기능 키(95)를 사용하여 행한다.
우선, 권상력 2 설정 키(73)를 누르면서 메인 스위치(111)를 조작하여 전원을 투입한다. 그것에 의해, 표시 수단(55)에, 이미 설명한 3종류의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다. 그 상태에서, 카운트 키(91, 93)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운전 모드를 선택한다. 최후에, 기능 키(95)를 누름으로써 확정한다.
다음에 운전 모드 1에 있어서의 운전 모드의 변환의 타이밍의 설정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변환의 타이밍으로서는 미리 4종류가 준비되어 있다. 즉, 설정값 「-1」은 「-1rpm까지 감속하면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된다」, 설정값 「0」은 「0rpm까지 감속하면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된다」, 설정값 「2」는 「2rpm까지 감속하면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된다」, 설정값 「10」은 「10rpm까지 감속하면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된다」를 각각 의미한다.
즉 「-1rpm」의 경우,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에게 잡아 당겨져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회전 드럼(37)이 풀기 방향으로 1rpm까지 감속되면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되고, 「0rpm」의 경우, 동 회전 드럼(37)이 정지하면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되고, 「2rpm」의 경우, 동 감기 방향으로 2rpm까지 감속되면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되고, 「10rpm」의 경우, 동 감기 방향으로 10rpm까지 감속되면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된다.
또한, 공장 출시시는 설정값 「-1」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상력 3 설정 키(73)를 누르면서 메인 스위치(111)를 조작하여 전원을 투입한다. 그것에 의해, 표시 수단(55)에, 이미 설명한 4종류의 타이밍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다. 그 상태에서, 카운트 키(91, 93)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타이밍을 선택한다. 최후에, 기능 키(95)를 누름으로써 확정한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리버스 토크 동작시에 있어서의 권상 토크의 증감의 비율의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권상력 2」, 「권상력 3」, 권상력 3에 이르는 회전 드럼의 풀기 방향으로의 회전수(권상력 3 기준 회전수)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다.
상기 권상력 3 기준 회전수로서 미리 4종류가 준비되어 있다. 즉, 설정값 「1」은 「-100rpm」, 설정값 「2」는 「-150rpm」, 설정값 「3」은 「-200rpm」, 설정값 「4」는 「-250rpm」을 각각 의미하고, 그것들 4종류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공장 출시시는 설정값 「1」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100rpm」은 다랑어에게 잡아 당겨져, 회전 드럼(37)이 풀기 방향으로 100rpm으로 역회전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150rpm」은 동 풀기 방향으로 150rpm으로 역회전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200rpm」은 동 풀기 방향으로 200rpm으로 역회전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250rpm」은 동 풀기 방향으로 250rpm으로 역회전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상 속도 키(77)를 누르면서 메인 스위치(111)를 조작하여 전원을 투입한다. 그것에 의해, 표시 수단(55)에, 이미 설명한 4종류의 회전수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다. 그 상태에서, 카운트 키(91, 93)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회전수를 선택한다. 최후에, 기능 키(95)를 누름으로써 확정한다.
여기에서 프리셋에 대하여 설명한다. 권상력 1, 권상력 2, 권상력 3, 권상 속도 및 권하 속도의 설정에 있어서, 보존하고 싶은 설정값을 프리셋 키와 함께 선택하고, 카운트 키(91) 또는 카운트 키(93)를 조작함으로써 입력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권상력 1, 권상력 2, 권상력 3 및 권상 속도, 권하 속도의 각 설정값은 미리 설정한 것을 보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리셋 1에는, 권상력 1로서 「70」, 권상력 2로서 「30」, 권상력 3으로서 「50」, 권상 속도로서 「80」, 권하 속도로서 「100」과 같이, 각 설정값을 프리셋 키(83)를 조작하여 보존해 둔다. 마찬가지로 프리셋 키(85, 87, 89)를 조작함으로써, 5종류로 이루어지는 다른 설정값을 프리셋 2, 3, 4로서 보존해 둔다. 여기에서 권상 속도의 설정값은 구동 모터(7)의 출력전압을 설정하고 있다. 권상 속도의 설정값을 변화시킴으로써, 구동 모터(7)의 회전을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하거나 한다. 권상 시는, 구동 모터(7)의 회전과 파우더 클러치(13)에 대한 출력이 조합됨으로써, 권상 동작을 행한다. 한편, 권하 동작시는, 구동 모터(7)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부하에 의해 낚싯줄(41)이 풀려진다. 따라서 이 풀기 시에 권하 동작의 설정값(회전 속도)이 되도록, 회전 속도가 빠를 때는 파우더 클러치(13)를 강하게 하거나, 회전 속도가 느릴 때는 파우더 클러치(13)를 완화하거나 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보존된 특정 설정값은 해황(海況) 등의 상황에 따라 프리셋 키(83, 85, 87, 89)를 조작함으로써 호출, 리버스 토크 동작을 실행시킨다. 4가지의 프리셋의 각 설정값이 보존되어 있으므로, 해황 등의 상황에 따라 원터치로 프리셋 1에서 프리셋 4까지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어구, 미끼, 해황 등 시시각각 변화되는 선상 작업에 있어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프리셋 키(83, 85, 87, 89)는 권하 동작, 권상 동작, 정지 동작의 실행도 조작할 수 있다.
프리셋은 감기 동작중, 풀기 동작중, 정지 동작 중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의 타이밍은, 예를 들면, (A) 어획 과정의 초기 단계, 즉 다랑어를 발견 후 미끼의 투입시, (B) 어획 과정의 초기 내지 중기 단계, 즉 다랑어가 걸려 유영할 때, (C) 어획 과정의 후기 단계, 즉 걸린 다랑어가 약해졌을 때이며, 어획 과정의 각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한 설정값으로 원터치로 전환할 수 있다(도 12).
이상의 구성을 기초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현장에 있어서의 다랑어 외줄낚기의 작업 수순, 그들 작업 수순에 있어서 자동 제어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현장에 있어서의 다랑어 외줄낚기의 작업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우선, 전원을 투입한다. 단, 기계는 정지 상태로 한다. 이어서, 프리셋 1 내지 3으로 설정값을 입력한다. 이어서, 프리셋 1로 전환한다. 다음에 다랑어를 발견했는지 아닌를 판단한다. 현장 작업원이 다랑어를 발견한 경우에는 낚싯줄(41)을 바다에 던져 넣는다. 그리고, 누름 버튼 유닛(121)의 다운 버튼(123)을 누름·조작하여 낚싯줄(41)을 푼다. 그 후, 다랑어가 걸렸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현장 작업원에 의해 다랑어가 걸렸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낚싯줄(41)의 텐션 상태를 미세 조정한다. 이어서, 누름 버튼 유닛(121)의 업 버튼(125)을 누름·조작하여, 프리셋 2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기계는 후술하는 권상 동작으로 들어가 자동 제어된다. 이어서, 현장 작업원에 의해 다랑어가 약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약해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프리셋 3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다랑어를 끌어올려 일련의 작업을 종료한다.
상기 자동 제어되는 부분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장 작업원에 의한 업 버튼(125)의 누름·조작에 의해 기계는 권상 동작에 들어간다. 우선, 미리 설정된 「권상력 1」에 의한 권상 동작이 행해지고(스텝 S1), 이어서, 스텝 S2로 이행하고, 회전 드럼(37)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권상력 2 기준 회전수에 이르렀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권상력 2 기준 회전수에 이르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이행하고,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이행한다. 이에 반해, 아직 권상력 2 기준 회전수에 이르지 못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권상력 1」에 의한 권상 동작이 계속된다.
다음에 스텝 S4로 이행하고, 회전 드럼(37)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권상력 3 기준 회전수에 이르렀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권상력 3 기준 회전수에 이르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권상력 3에 의한 감기 동작으로 이행한다(스텝 S5). 이에 반해, 아직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리버스 토크 동작이 계속된다(스텝 S6). 리버스 토크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스텝 S7로 이행하고, 감기 동작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종료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종료한다. 이에 반해,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4로 되돌아온다.
다음에,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도 13에 도시한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14를 참조하여, 「운전 모드 1」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로서, 권상력 2 기준 회전수가 「-1rpm」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즉, 회전 드럼(37)이 풀기 방향으로 「1rpm」으로 역회전하기 시작했을 때, 통상 동작의 영역(N)으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의 영역(R)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가로축(x)에 감기 드럼(37)의 실제의 회전수를 잡고, 세로축(y)에 감기 토크를 잡아, 감기 토크의 회전수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면 중, a는 권상력 1의 설정값, b는 권상력 2의 설정값, c는 권상력 3의 설정값, d는 토크 상승선을 나타낸다. 또한 e는 권상력 2 기준 회전수이며, 본 예의 경우 0rpm으로 고정되어 있다. f는 동작 영역 전환점이며, 본 예의 경우-1rpm에 설정되어 있다. g는 권상력 3 기준 회전수를 나타낸다.
도 14에 있어서, 당초는 「권상력 1」에서의 감기 동작이 행해지고 있다. 그 후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의 끌어당김에 의해 부하가 증대해 감에 따라, 회전 드럼(37)의 감기 방향으로의 회전수는 감소해 가고, 「0 회전」(e점)을 통과하여, 「-1rpm」(f점), 즉, 풀기 방향으로 1rpm으로 역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한다. 이 영역(R)에서는, 리버스 토크 동작에 들어간 당초의 토크는 상기 「권상력 1」(a)에 대하여 보다 작은 「권상력 2」(b')로 된다. 그것에 의해, 낚싯줄(41)의 절단을 방지한다. 또한, 이 리버스 토크 동작에서, 다랑어의 도주 유영에 의해, 회전 드럼(37)이 풀기 방향으로 역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토크 상승선(d)에 따라, 역회전의 속도가 빨라지면 빨라질수록 감기 토크가 자동적으로 증가하고, 또한 역회전의 속도가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감기 토크가 자동적으로 감소해 간다.
즉, 역회전시, 다랑어가 고속으로 유영하면 「백래시」가 발생하기 때문에, 역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수가 고속으로 된 경우에는 토크를 강하게 하여, 낚싯줄(41)이 단번에 풀어지지 않도록 조정한다. 반대로, 역회전시의 회전수가 저속으로 된 경우에는 토크를 약하게 한다. 이리하여 다랑어와의 주고받기, 즉 파이팅이라고 불리는 다랑어의 모든 방향의 도망치기 위한 유영에 즉시 반응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랑어가 약해져, 회전 드럼(37)이 감기 방향으로의 정회전으로 되돌아와 다랑어를 끌어올리는 것이다.
감기 토크의 증감의 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상기 「권상력 2」의 토크(b)와, 미리 설정된 최대 토크(「권상력 3」)(c)와, 권상력 3에 도달하는 권상력 3 기준 회전수(g)로부터 결정된다. 즉 동작 영역 전환점(f)에 있어서의 토크(b')로부터 미리 설정된 최대 토크(c)인 권상력 3 기준 회전수(g)의 토크에 이를 때까지의 토크 상승선(d)에 의해 결정된다. 토크 상승선(d)은 회전 드럼(37)의 회전수(x)와 파우더 클러치(13)의 출력값(y)의 일차함수로서 직선 형상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회전 드럼(37)의 실회전수가 풀기 방향으로 x=-50rpm으로 되었을 때, 회전 드럼(37)의 권상력(y)은 토크 상승선(d) 상의 h값의 토크로 동작한다.
그리고, 회전 드럼(37)의 회전수가 권상력 3 기준 회전수(g)에 이르면, 권상력 3의 토크(c)에 의한 일정 토크 동작으로 이행한다.
여기에서 「백래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백래시」란 회전 드럼(37)의 회전과 낚싯줄(테그스)의 풀기가 대응되지 않아, 낚싯줄이 나오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관성력에 의해, 회전 드럼(37)이 회전되어, 회전 드럼(37) 내에서 낚싯줄이 얽히는 현상을 말한다. 다랑어가 고속이고 큰 토크로 유영하여 도망치는 경우, 회전 드럼(37)이 강한 외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백래시가 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 낚싯줄이 과도하게 풀어지는 「라인 슬랙」이 되어, 낚싯줄(41)이 얽히는 원인이 된다. 낚싯줄이 얽히면, 낚싯줄의 절단이라고 하는 최악의 사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여, 「운전 모드 1」이 선택되어 있을 경우이며, 동작 영역 전환점(f)이 권상력 2 기준 회전수와 동일하게 설정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e)는 「0rpm」으로 설정되고, 회전 드럼(37)의 회전수가 「0rpm」으로 되었을 때, 리버스 토크 동작(R)의 영역으로 전환한다.
도 15에 있어서, 당초는 「권상력 1」에서의 감기 동작이 행해지고 있다. 그 후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의 끌어당김에 의해 부하가 증대해 감에 따라, 회전 드럼(37)의 감기 방향으로의 정회전의 회전수는 감소해 가고, 마침내, 「0rpm」, 즉, 정지한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된다.
리버스 토크 동작의 내용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음에, 도 16을 참조하여, 「운전 모드 1」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이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가 「10rpm 또는 2rpm」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즉, 회전 드럼(37)의 감기 방향으로의 정회전의 회전수(동작 영역 전환점(f))이 「10rpm 또는 2rpm」으로 되었을 때,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 당초는, 「권상력 1」(a)에서의 감기 동작이 행해지고 있다. 그 후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의 끌어당김에 의해 부하가 증대해 감에 따라, 회전 드럼(37)의 감기 방향으로의 정회전의 회전수는 감소해 가고, 마침내, 「10rpm」 또는 「2rpm」의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된다.
리버스 토크 동작의 내용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이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37)이 풀기 방향으로 역회전하기 시작할 때까지, 즉 f점으로부터 e점까지, 토크 b에 설정된 「권상력 2」에서의 감기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에 도 17을 참조하여, 「운전 모드 2」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도 가로축(x)에 감기 드럼(37)의 실제의 회전수를 잡고, 세로축(y)에 감기 토크를 잡아, 감기 토크의 회전수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당초는 「권상력 1」(a)에서의 감기 동작이 행해지고 있다. 그 후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의 끌어당김에 의해 부하가 증대해 감에 따라, 회전 드럼(37)의 정회전 방향의 회전수는 감소해 가 정지하고, 동작 영역 전환점(f)에 이르러 역회전하기 시작한 경우에, 토크 b에 설정된 「권상력 2」에서의 감기 동작으로 이행한다. 운전 모드 2는 큰 부하(포획물)에 의해 회전 드럼(37)이 풀기 방향으로 역회전했을 때 전환하는 운전 모드이다.
다음에 도 18을 참조하여, 「운전 모드 3」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도 가로축(x)에 감기 드럼(37)의 실제의 회전수를 잡고, 세로축(y)에 감기 토크를 잡아, 감기 토크의 회전수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운전 모드 3은 드럼의 정회전·역회전에 관계없이, 항상 「권상력 1」(a)에서의 권취가 행해지는 운전 모드이다. 이 경우에는, 권상력 2, 권상력 3은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본 예에서는 「권상력 1」(a)의 설정값은 0rpm으로 되어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운전 모드 1을 선택함으로써,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의 움직임에 즉시 반응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회전 드럼(37)이 풀기 방향으로 역회전하고 있을 때, 속도가 빨라지면 빨라질수록 감기 토크가 자동적으로 증가하고, 속도가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감기 토크가 자동적으로 감소해 간다고 하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그 결과, 낚싯줄(41)의 예기치 못한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에 의해, 다랑어에게 부하를 걸어 피로해지게 하는 것이지만, 다랑어에게 과도한 부하를 걸지 않는 동안에 포획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에 의해, 다랑어의 일정한 범위에서의 유영은 허용하지만 제멋대로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고, 또한 이것에 의해, 다랑어의 육질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직경이 큰 낚싯줄(41)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므로, 조과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40호(외경: 1.050mm)의 낚싯줄(41)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운전 모드 1에 있어서, 통상 동작으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타이밍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조과와의 관계에서, 최적의 변환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다랑어가 도망칠 때의 타이밍에 역회전(풀기 방향)으로 회전 드럼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다랑어가 접근할 때의 타이밍에 정회전(감기 방향)에 회전 드럼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므로, 낚싯줄의 절단이나 백래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권상력 2 기준 회전수와 그것에 대한 출력 토크를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전환의 토크 배분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낚싯줄의 예기치 못한 절단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운전 모드 1에 있어서, 리버스 토크 동작에 있어서의 감기 토크의 증감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이것에 대해서도, 조과와의 관계에서, 최적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낚싯바늘에 걸린 다랑어의 당김이 강할 때에 토크를 증대시키고, 또 다랑어가 배 방향으로 되돌아와 유영을 할 때에 즉시 반응할 수 있어, 낚싯줄의 「라인 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의 경우, 통상 동작으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된 직후의 토크는 그때까지의 토크(권상력 1)보다 작은 (권상력 2)가 되므로,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될 때의 토크를 완화할 수 있어, 낚싯줄(41)의 예기치 못한 절단은 방지된다.
도 14의 경우,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풀기 방향으로의 역회전의 소정값이므로, 권상력 2 기준 회전수와 그것에 대한 출력 토크를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전환의 토크 배분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낚싯줄의 예기치 못한 절단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5의 경우,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0rpm」이므로, 낚싯줄의 예기치 못한 절단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6의 경우,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감기 방향으로의 정회전의 소정값이므로, 라인 슬랙에 의한 낚싯줄의 절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파우더 클러치(13)측으로부터 주축(35)측으로의 회전 전달을 나선 기어(21) 및 주축 기어(23)를 통하여 행하고 있으므로, 동력의 전달이 보다 다이렉트한 것으로 된다.
또한, 낚시기 전체가 턴테이블(3) 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핸들(4)을 파지하고 그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1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회전 드럼(37)의 토크 설정에 관하여, 도 14 내지 도 16에 있어서, 「권상력 2」는 「권상력 1」보다 큰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권상력 2」는 「권상력 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낚시기 본체의 기계 구성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동력의 전달은 스프로킷·체인, 기어군, 그 밖의 기구,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1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클러치로서 파우더 클러치를 사용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에, 각 부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다랑어 외줄낚기에 적합하며, 또한 다랑어와 같이 물었을 때, 물고기와의 주고받기 소위 파이팅을 하는 물고기의 포획에 이용 가능하다.
1 부착 베이스
3 턴테이블
4 조작 핸들
5 본체 케이스
7 구동 모터
9 감속기
13 파우더 클러치
13a 구동측 회전자
13b 종동측 회전자
15 스프로킷
17 체인
19 나선 샤프트
20 축받이
21 나선 기어
23 주축 기어
25 기어 플레이트
27 기어 플레이트
29 체결구
31 클로우 홀더
33 나선 클로우
35 주축
37 회전 드럼
39 축받이 파이프
40 축받이 파이프
41 낚싯줄
43 인코더 브래킷
45 인코더
47 인코더 체인
51 제어부
52 전면 패널
53 입력 수단
54 이면 커버
55 표시 수단
56 표시용 기판
57 CPU
58 CPU용 기판
59 ROM
61 RAM
63 회전수 검출 수단
65 회전 방향 검출 수단
67 토크 증감률 산출 수단
69 전자 클러치 제어수단
71 권상력 1 설정키
73 권상력 2 설정키
75 권상력 3 설정키
77 권상 속도 설정키
79 권하 속도 설정키
81 수심 키
83 프리셋 키
85 프리셋 키
87 프리셋 키
89 프리셋 키
91 카운트 키
93 카운트 키
95 기능 키
101 외부 기기 접속 단자부
103 외부 기기 접속 단자부
105 외부 기기 접속 단자부
107 외부 기기 접속 단자부
109 전원 접속부
110 파워용 기판
111 메인 스위치
113 로크 부착 드로우 래치
115 로크 부착 드로우 래치
121 누름 버튼 유닛
123 다운 버튼
125 업 버튼
127 정지 버튼
131 원격 조작 유닛
133 권상력 1 설정 다이얼
135 권상력 2 설정 다이얼
137 다운 버튼
139 업 버튼
141 정지 버튼

Claims (10)

  1. 낚싯줄이 권회되어 감기 방향 및 풀기 방향으로 정회전/역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회전 드럼과 상기 구동 모터 사이에 삽입되어 부하가 전달 토크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상기 회전 드럼에 전달하여 회전 드럼을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시키고, 부하가 전달 토크를 초과하면 상기 회전 드럼의 풀기 방향으로의 역회전을 허용하는 전자 클러치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검출하는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당초는 감기 토크를 권상력 1에 의한 통상 동작을 행하게 하고, 부하가 증대하여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이 미리 설정된 권상력 2 기준 회전수가 되었을 때, 감기 토크를 상기 권상력 1과의 관계에서 설정된 권상력 2로 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수의 증감에 맞추어 감기 토크를 증감시키는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운전 모드(운전 모드 1)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낚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토크 동작의 감기 토크의 증감의 비율은 상기 권상력 2와, 미리 설정된 최대 토크인 권상력 3과, 상기 권상력 3에 도달하는 권상력 3 기준 회전수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낚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권상력 3 기준 회전수에 이르렀을 때는 상기 감기 토크를 권상력 3으로 하는 정토크 동작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낚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풀기 방향으로의 역회전의 소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낚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동작으로부터 리버스 토크 동작으로 전환된 직후의 토크(상기 권상력 2의 토크)를 상기 권상력 1의 토크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낚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낚시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력 2 기준 회전수는 감기 방향으로의 정회전의 소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낚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토크 제어로 전환되고 나서 상기 회전 드럼이 풀기 방향으로 역회전할 때까지의 동안은 감기 토크를 상기 권상력 2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낚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클러치의 회전을 기어를 통하여 상기 회전 드럼측으로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낚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가 턴테이블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낚시 장치.
KR1020187030403A 2016-06-13 2017-05-15 외줄낚시 장치 KR201900177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6864A JP2017221112A (ja) 2016-06-13 2016-06-13 一本釣り機
JPJP-P-2016-116864 2016-06-13
PCT/JP2017/018242 WO2017217164A1 (ja) 2016-06-13 2017-05-15 一本釣り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726A true KR20190017726A (ko) 2019-02-20

Family

ID=6066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403A KR20190017726A (ko) 2016-06-13 2017-05-15 외줄낚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88077B2 (ko)
JP (1) JP2017221112A (ko)
KR (1) KR20190017726A (ko)
CN (1) CN109310073A (ko)
WO (1) WO20172171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717A (ko) * 2020-07-16 2022-01-25 문용호 엔코더를 이용한 조업용 양승기 및 이를 이용한 조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2312B1 (en) * 2016-04-25 2020-09-15 Amir Norton System for attracting and catching fis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725A (ja) 1995-02-01 1996-08-13 Daiwa Seiko Inc 糸張力計測装置を具備する魚釣り用リール
JP4584108B2 (ja) 2005-10-14 2010-11-17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魚釣り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6672A (en) * 1982-10-07 1986-05-06 King Instrument Corporation Machine for loading cassettes
JP3628686B1 (ja) * 2004-09-08 2005-03-16 金八神漁網株式会社 釣り糸巻取装置における巻上げ・巻下げ速度制御装置
JP5679469B2 (ja) * 2009-06-29 2015-03-04 タオ ホン 空間楔合摩擦オーバーランニング・クラッチ
US8894488B2 (en) * 2012-09-21 2014-11-25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Gaming machine and gaming system having control lever
JP2014100078A (ja) * 2012-11-19 2014-06-0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KR102099663B1 (ko) * 2012-11-19 2020-05-1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전동 릴
JP2014103868A (ja) * 2012-11-26 2014-06-09 Sanmei Denshi Sangyo Kk 釣糸巻取装置
US20150028145A1 (en) * 2013-07-26 2015-01-29 Invue Security Products Inc. Tether assembly for a security device
CN203934534U (zh) * 2014-04-10 2014-11-12 湛江胜浪海洋捕捞研究所 金枪鱼自动钓捕机声压发生装置
JP2017221113A (ja) * 2016-06-13 2017-12-21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一本釣り機
JP6715512B2 (ja) * 2016-06-15 2020-07-01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釣り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6935862B2 (ja) * 2017-06-30 2021-09-15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自動魚釣りシステム及び自動魚釣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725A (ja) 1995-02-01 1996-08-13 Daiwa Seiko Inc 糸張力計測装置を具備する魚釣り用リール
JP4584108B2 (ja) 2005-10-14 2010-11-17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魚釣り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717A (ko) * 2020-07-16 2022-01-25 문용호 엔코더를 이용한 조업용 양승기 및 이를 이용한 조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164A1 (ja) 2017-12-21
CN109310073A (zh) 2019-02-05
US20190183103A1 (en) 2019-06-20
US10888077B2 (en) 2021-01-12
JP2017221112A (ja)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8409A (ko) 외줄낚시 장치
US10813347B2 (en) Fi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fishing machine
KR20190017726A (ko) 외줄낚시 장치
US11278017B2 (en) Automatic fishing system and automatic fishing method
JP2011050270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H0956313A (ja) 延縄漁船の縄巻き揚げ装置
KR101736700B1 (ko) 낚시용 양승기
JP2006075052A (ja) 釣り糸巻取装置における巻上げ・巻下げ速度制御装置
JP6302349B2 (ja) 魚釣り用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4298454B2 (ja) 魚釣用リール
JP3065273U (ja) ウインチ
KR20140120824A (ko) 채낚기 조업용 조상기
JPH03236733A (ja) 釣具
JP2000139299A (ja) 電動リール
JPH11146744A (ja) トロールウインチ
JPH05219867A (ja) 電動リール
JP2004073089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S58134929A (ja) 綱等捲き取り揚網機
JP2005229963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H0576272U (ja) 釣り用リール
JPS60172248A (ja) 自動いか釣装置
JPH0580267U (ja) 釣り用リール
JPH0257136A (ja) イカ釣漁法
JPH0588269U (ja) 釣り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