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709A - 탄약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탄약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709A
KR20190017709A KR1020180094026A KR20180094026A KR20190017709A KR 20190017709 A KR20190017709 A KR 20190017709A KR 1020180094026 A KR1020180094026 A KR 1020180094026A KR 20180094026 A KR20180094026 A KR 20180094026A KR 20190017709 A KR20190017709 A KR 20190017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unition
loading
canvas
stack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767B1 (ko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국방기술품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기술품질원 filed Critical 국방기술품질원
Publication of KR2019001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38Loading arrangements, i.e. for bringing the ammunition into the firing position
    • F41A9/39Ramm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1/00Tes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약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급속 또는 일반 장전이 가능한 화포의 장전 장치에 탄약을 공급하는 탄약 공급 장치에 있어서, 주행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적재 프레임과,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급속 장전용 탄약이 적재되는 제1 적재 트레이와,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일반 장전용 탄약이 적재되는 제2 적재 트레이와, 상기 적재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구동부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전진 시 일반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하는 제2 구동부 및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승 시 급속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고, 화포의 급속 장전 유무에 따라, 급속 장전용 탄약 또는 일반 장전용 탄약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탄약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탄약 공급 장치{Ammunition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탄약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총포·탄약시험장에서 사격시험을 수행 시 탄약의 장전은 인력으로 수행하고 있다. 탄약 장전을 인력으로 수행할 경우, 아래와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사격 시험 결과의 신뢰성에 영향을 끼친다. 사격시험 결과의 신뢰성은 그 정도에 따라 국가안보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은 시험 결과(포구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포신수명, 온도조건, 추진제약량, 장전 깊이 등을 통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장전 깊이는 다른 요인과 달리 인력이 수행하여 편차가 큰 편으로 통제가 쉽지 않아 신뢰성 있는 사격 시험을 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둘째, 사격 시험 요원의 근골격계 질환과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사격시험 시 탄약 장전은 약40kg의 탄약을 성인남성의 가슴위치 높이까지 올려 장전하므로 많은 물량의 시험을 수행할 시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장전 깊이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사격시험 시 근탄, 강내폭발, 탄두 고착 등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시험 지원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사격 시험 진행 시 탄약을 인력에 의해 탄약을 옮기는 방법이 아닌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탄약 이송 및 장전할 수 있는 장치를 모색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사격 시험 절차의 효율성, 안정성 및 경제성을 개선하고, 사격 시험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력에 의해 탄을 옮기는 방법이 아닌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탄약 이송 및 장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급속 또는 일반 장전이 가능한 화포의 장전 장치에 탄약을 공급하는 탄약 공급 장치에 있어서, 주행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급속 장전용 탄약이 적재되는 제1 적재 트레이;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일반 장전용 탄약이 적재되는 제2 적재 트레이; 상기 적재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구동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전진 시 일반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하는 제2 구동부; 및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승 시 급속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고, 화포의 급속 장전 유무에 따라, 급속 장전용 탄약 또는 일반 장전용 탄약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탄약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정렬선 포인터가 구비되고, 급속 또는 일반 장전이 가능한 화포의 장전 장치에 탄약을 공급하는 탄약 공급 장치에 있어서, 주행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급속 장전용 탄약이 적재되는 제1 적재 트레이;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일반 장전용 탄약이 적재되는 제2 적재 트레이; 상기 장전 장치와 적재 트레이가 정렬되기 위한 정렬선을 제공하는 정렬선 제공부; 상기 적재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구동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전진 시 일반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하는 제2 구동부; 및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승 시 급속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정렬선과 정렬선 포인터가 일치되도록 적재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탄약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탄약 공급 장치는, 기계적으로 화포 장전장치에 탄약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약 취급자의 신체적 어려움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약 장전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약 발사 시험시 경제성, 안전성, 효율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탄약 공급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탄약 공급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탄약 공급 장치의 제1 적재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탄약 공급 장치의 제2 적재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탄약 공급 장치의 제3 적재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급속 장전용 탄약이 공급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는 틸팅 장치의 구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약 공급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탄약 공급 장치의 정렬선 제공부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탄약 공급 장치가 적용되는 화포에 구비된 정렬선 포인터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화포에 장착되지 않은 독립된 탄약 공급 장치로, 상기 탄약 공급 장치는 탄약의 적재, 이송 및 장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공급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탄약 공급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탄약 공급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탄약 공급 장치의 제1 적재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탄약 공급 장치의 제2 적재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탄약 공급 장치의 제3 적재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급속 장전용 탄약이 공급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탄약 공급 장치(2)는, 급속 또는 일반 장전이 가능한 화포의 장전 장치(1)에 탄약(A, 이하에서 탄약의 종류가 다양하므로, 특정 탄약에 대한 기호는 생략하기로 한다)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화포는 급속 또는 일반 장전이 가능한 화포일 수 있다. 급속 장전이 가능한 화포는 자주포(예를 들어, K9) 이고, 일반 장전이 가능한 화포는 곡사포(예를 들어, KH179) 또는 전차포일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화포의 장전 장치(1)」는 화포의 약실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탄약 공급 시 실질적인 장전이 이루어지는 수단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반 장전이 가능한 곡사포의 경우 약실이 상기 수단에 해당하고, 급속 장전이 가능한 자주포의 경우 급속 장전 트레이가 상기 수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격발 제어 장치(2)는 탄약을 적재한 상태에서, 화포(1)의 인접 영역으로 탄약을 이송한 후 화포의 장전 장치(1)로 탄약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로써, 화포의 장전 장치(1)에 탄약이 장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공급」은 화포의 장전 장치(1)에 탄약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수단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탄약의 적재, 이송 및 장전을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탄약 공급 장치(2)는 메인 프레임(100), 적재 프레임(200), 제1 적재 트레이(300), 제2 적재 트레이(400), 제1 구동부(500), 제2 구동부(600), 제3 구동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탄약 공급 장치(2)의 몸체를 구성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주행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프레임(100)은 주행이 가능하도록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주행 모터가 마련된다. 또한, 주행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가 추가로 마련된다. 메인 프레임(100)의 주행 방향이 탄약 공급 장치(2)의 주행 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적재 프레임(20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적재 트레이(300)는 상기 적재 프레임(200) 상에 안착되며, 급속 장전용 탄약이 적재된다. 상기 급속 장전용 탄약은 급속 장전이 가능한 자주포(K9)의 급속 장전 트레이에 공급되는 탄약으로서, 예를 들어, 분리 장전 탄약일 수 있다.
상기 제2 적재 트레이(400)는 상기 적재 프레임(200) 상에 안착되며, 일반 장전용 탄약이 적재된다. 상기 일반 장전용 탄약은 일반 장전이 가능한 곡사포(KH179)의 약실에 공급되는 탄약일 수 있다. 상기 제2 적재 트레이(400)는 전단과 후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구동부(600)는 전진 시 상기 개방된 후단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제1 구동부(500)는 적재 프레임(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제1 구동부(500)는 적재 프레임(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재 트레이(300, 400)과 화포의 장전 장치가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정렬」은 탄약의 길이 방향에 따른 중심축이 약실 내부의 중심축과 일치하거나, 근접한 상태를 의미하며, 이 경우, 화포의 장전 장치로 탄약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이 최소화된다. 상기 제1 구동부(500)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제1 구동부(300)가 유압 실린더의 경우, 유압 파워팩(펌프) 및 유압 분배 밸브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500)는 리미트 스위치, 조작부 또는 후술하는 컨트롤러에 의해 높이 조절이 제어될 수 있다.
제2 구동부(600)는 전진 또는 후진하며, 전진 시 일반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한다. 상기 화포는 전술한 곡사포, 예를 들어, KH179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구동부(600)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제2 구동부(600)는 전진 시 균일한 속도(또는 힘), 균일한 이동 거리로 전진된다. 이는 부적절한 장전의 원인이 되는 탄약의 공급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급 편차로는, 장전 깊이 편차, 포구 속도 편차 등일 수 있다. 최소한의 공급 편차로 탄약이 공급되는 화포의 경우, 사격 시험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제3 구동부(700)는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승 시 급속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한다 (도 6 참조). 상기 화포는 급속 장전이 가능한 화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자주포(K9)일 수 있다.
상기 탄약 공급 장치(2)는 화포의 급속 장전 유무에 따라, 급속 장전용 탄약 또는 일반 장전용 탄약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급속 장전이 가능한 화포에 대해서는 제3 구동부(700)를 통해 급속 장전용 탄약을 급속 장전 트레이에 공급하고, 일반 장전이 가능한 화포에 대해서는 제2 구동부(600)를 구동시켜 일반 장전용 탄약을 약실로 공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1 구동부(500)는 화포의 장전 장치(1)와 적재 트레이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500)에 의해 화포의 장전 장치(1)와 적재 트레이(300, 400)가 일치됨에 따라, 탄약 공급 시 온전한 장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탄약 공급 장치(2)는, 화포의 장전 장치(1)와 적재 트레이(300, 400)의 높이가 일치된 상태에서, 제2 구동부(600)는 전진하고, 제3 구동부(700)는 상승할 수 있다. 이는 부적절한 장전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공급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탄약 공급 장치(2)는,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함에 따라, 화포의 장전 장치(1)로 탄약을 균일한 조건으로 공급할 수 있고, 이로써, 균일한 조건하에서 화포를 이용한 사격 시험이 가능하므로, 그 결과에 대한 신뢰성도 우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탄약 공급 장치(2)는 탑승자가 탑승하도록 메인 프레임(100)에 연결된 탑승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승부(900)는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주행 방향을 조작하기 위하여, 메인 프레임(100)의 측단 또는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승부(900)는 적재된 장전 탄약이 화포(1)의 장전 장치로 공급되도록 탄약 공급 장치(2)의 주행, 및 제1 내지 제3 구동부(500, 600, 700)을 조작하는 조작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910)는 핸들, 악셀, 브레이크를 통해 주행 방향, 주행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작동 스위치를 통해 제1 내지 제3 구동부(500, 600, 7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탄약 공급 장치(2)는 적재된 탄약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적재된 탄약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클램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약 공급 장치(2)는 바퀴에 연결되어 탄약 공급 장치(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화포의 인접 영역에서 탄약이 공급되는 동안 탄약 공급 장치(2)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스토퍼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2 구동부(600)는 일반 장전용 탄약이 전진하는 과정에서 탄약의 정렬 상태를 유지시키는 틸팅 장치(6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 장치(610)는 유압 실린더의 일 단에 결합되어, 유압 실린더가 전진하면 탄약의 후단에 접촉되어 탄약의 정렬 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7 참조).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탄약 공급 장치(2)는 상기 적재 프레임(200) 상에 안착되며, 이송 탄약이 적재되는 제3 적재 트레이(8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이송 탄약」은 화포의 인접 영역으로 이송하기 위한 탄약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전차포에 공급되는 탄약일 수 있다. 이송 탄약은 탄약 공급 장치(2)에 의해 화포의 인접 영역으로 이송된 후, 작업자(탑승자)에 의해 인력의 방법으로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3 적재 트레이(800)는 이송 탄약 이외, 분리 장전 탄약의 장약이(추진 장약)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제3 적재 트레이(800)는 이송 탄약 또는 장약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 부재(810)가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 부재는 이송 탄약 또는 장약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를 각각 감싸도록 'U' 자 또는 'V' 자 형상을 가지며, 이송 탄약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송 탄약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기 지지 부재 상에 적재된다.
본 출원에 따른 탄약 공급 장치(2)는, 1 명의 시험 요원(탑승자)이 탑승부(900)에 탑승한 상태에서 조작부(910)에 의해 주행 및 구동부의 조작이 가능하며, 특히, 구동부의 조작은, 원격으로도 조작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약 공급 장치(2)는 제1 내지 제3 구동부(500, 600, 7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탄약 공급 장치(2)는 컨트롤러를 통해 구동부의 원격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화포의 격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정렬선 포인터가 구비된 급속 또는 일반 장전이 가능한 화포의 장전 장치에 탄약을 공급하는 탄약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탄약 공급 장치는, 전술한 탄약 공급 장치의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약 공급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탄약 공급 장치의 정렬선 제공부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탄약 공급 장치가 적용되는 화포에 구비된 정렬선 포인터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탄약 공급 장치(2)는, 메인 프레임(100), 적재 프레임(200), 제1 적재 트레이(300), 제2 적재 트레이(400), 정렬선 제공부(1000), 제1 구동부(500), 제2 구동부(600), 제3 구동부(7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정렬선 포인터(11, 도 10 참조)가 구비되고, 급속 또는 일반 장전이 가능한 화포의 장전 장치에 탄약을 공급하는 탄약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주행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 프레임(20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적재 트레이(300)는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급속 장전용 탄약이 적재된다. 상기 제2 적재 트레이(400)는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일반 장전용 탄약이 적재된다. 상기 정렬선 제공부는 상기 장전 장치와 적재 트레이가 정렬되기 위한 정렬선(1000)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구동부(500)는 상기 적재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600)는 전진 또는 후진하며, 전진 시 일반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한다. 상기 제3 구동부(700)는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승 시 급속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600)는 정렬선(1000)과 정렬선 포인터(11)가 일치되도록 적재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탄약 공급 장치(2)는, 정렬선(1000)과 정렬선 포인터(11)가 일치된 상태에서, 화포의 급속 장전 유무에 따라, 급속 장전용 탄약 또는 일반 장전용 탄약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정렬선(1000)과 정렬선 포인터(11)가 일치된 상태에서, 탄약과 화포의 장전 장치가 정렬되므로, 탄약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렬선 제공부는 얼라인 레이저일 수 있고, 정렬선(1000)은 수평선과 수직선이 교차된 '십자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 참조). 또한, 화포에 구비된 정렬선 포인터(11)는 정렬선의 형상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표시되고, 예를 들어, 십자가 형상의 포인터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 참조).
제1 구동부(500)는 정렬선에 기초하여 적재 트레이(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500)는 십자가 형상의 정렬선과, 정렬선 포인터(11)에 표시된 십자가 형상의 포인터가 일치하도록 적재 프레임(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화포
11: 정렬선 포인터
2: 탄약 공급 장치
100: 메인 프레임
200: 적재 프레임
300: 제1 적재 트레이
400: 제2 적재 트레이
500: 제1 구동부
600: 제2 구동부
700: 제3 구동부
800: 제3 적재 트레이
900: 탑승부
1000: 정렬선

Claims (12)

  1. 급속 또는 일반 장전이 가능한 화포의 장전 장치에 탄약을 공급하는 탄약 공급 장치에 있어서,
    주행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급속 장전용 탄약이 적재되는 제1 적재 트레이;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일반 장전용 탄약이 적재되는 제2 적재 트레이;
    상기 적재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구동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전진 시 일반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하는 제2 구동부; 및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승 시 급속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고,
    화포의 급속 장전 유무에 따라, 급속 장전용 탄약 또는 일반 장전용 탄약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탄약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구동부는 화포의 장전 장치와 적재 트레이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탄약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화포의 장전 장치와 적재 트레이의 높이가 일치된 상태에서, 제2 구동부는 전진하고, 제3 구동부는 상승하는 탄약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탑승자가 탑승하도록 메인 프레임에 연결된 탑승부를 포함하는 탄약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탑승부는 탄약 공급 장치의 주행, 및 제1 내지 제3 구동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탄약 공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적재된 탄약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탄약 공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바퀴에 연결되어 탄약 공급 장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탄약 공급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제2 구동부는 일반 장전용 탄약이 전진하는 과정에서 탄약의 정렬 상태를 유지시키는 틸팅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탄약 공급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이송 탄약이 적재되는 제3 적재 트레이를 추가로 포함하는 탄약 공급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구동부를 원격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탄약 공급 장치.
  11. 정렬선 포인터가 구비되고, 급속 또는 일반 장전이 가능한 화포의 장전 장치에 탄약을 공급하는 탄약 공급 장치에 있어서,
    주행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급속 장전용 탄약이 적재되는 제1 적재 트레이;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일반 장전용 탄약이 적재되는 제2 적재 트레이;
    상기 장전 장치와 적재 트레이가 정렬되기 위한 정렬선을 제공하는 정렬선 제공부;
    상기 적재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구동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전진 시 일반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하는 제2 구동부; 및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승 시 급속 장전용 탄약을 화포의 장전 장치로 공급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정렬선과 정렬선 포인터가 일치되도록 적재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탄약 공급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정렬선과 정렬선 포인터가 일치된 상태에서, 화포의 급속 장전 유무에 따라, 급속 장전용 탄약 또는 일반 장전용 탄약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탄약 공급 장치.
KR1020180094026A 2017-08-10 2018-08-10 탄약 공급 장치 KR102015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1792 2017-08-10
KR1020170101792 2017-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709A true KR20190017709A (ko) 2019-02-20
KR102015767B1 KR102015767B1 (ko) 2019-08-29

Family

ID=6556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026A KR102015767B1 (ko) 2017-08-10 2018-08-10 탄약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7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5263A (zh) * 2019-11-05 2019-12-20 成都航天万欣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角度装填装置
KR102231201B1 (ko) * 2019-10-22 2021-03-24 현대위아 주식회사 탄약 유도장전장치
KR102326233B1 (ko) * 2021-05-27 2021-11-15 국방과학연구소 고정식 총포용 자율 이송 기반의 무인 탄약 장전 시스템 및 그것을 구성하는 자동장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510A (ja) * 1998-05-07 1999-11-16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作業機昇降制御装置
KR20010095840A (ko) * 2000-04-12 2001-11-07 유철진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KR101375176B1 (ko) * 2008-09-24 2014-03-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탄약 공급 장치
KR20160136147A (ko) * 2015-05-19 2016-11-29 국방과학연구소 포탄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510A (ja) * 1998-05-07 1999-11-16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作業機昇降制御装置
KR20010095840A (ko) * 2000-04-12 2001-11-07 유철진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KR101375176B1 (ko) * 2008-09-24 2014-03-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탄약 공급 장치
KR20160136147A (ko) * 2015-05-19 2016-11-29 국방과학연구소 포탄 이송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201B1 (ko) * 2019-10-22 2021-03-24 현대위아 주식회사 탄약 유도장전장치
CN110595263A (zh) * 2019-11-05 2019-12-20 成都航天万欣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角度装填装置
KR102326233B1 (ko) * 2021-05-27 2021-11-15 국방과학연구소 고정식 총포용 자율 이송 기반의 무인 탄약 장전 시스템 및 그것을 구성하는 자동장전장치
WO2022250290A1 (ko) * 2021-05-27 2022-12-01 국방과학연구소 고정식 총포용 자율 이송 기반의 무인 탄약 장전 시스템 및 그것을 구성하는 자동장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767B1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7709A (ko) 탄약 공급 장치
US2814453A (en) Air base
US7232092B2 (en) Flying vehicle-launching apparatus and method
US7926764B2 (en) Device for launching unmanned missiles from an aircraft
RU2578917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загрузки ракет в самоходную пусковую установку
CN105480738B (zh) 大型法兰自动装车机
CN104310009B (zh) 一种上下料机构
US4648305A (en) Armored vehicle for supplying ammunition to a self-propelled artillery weapon
KR101742589B1 (ko) 포탄 이송 장치
CN107352041A (zh) 无人机气动发射装置
KR101224754B1 (ko) 박격포의 포탄 자동장전장치
CN106184801A (zh) 一种航母飞机与战斗机的对接及补给技术
US7159504B2 (en) Firing module
JP7183084B2 (ja) 杭圧入システム及び杭圧入施工方法
US20230366646A1 (en) Autonomous transport-based unmanned ammunition loading system for stationary guns and automatic loading device constituting same
CN105411757A (zh) 自平衡担架
US10571208B2 (en) Ammunition feed for feeding a belted ammunition
KR20030070022A (ko) 고기동성 포 시스템
KR101529113B1 (ko) 전투기 탄약 공급 트레일러
CN209639616U (zh) 一种空空导弹单兵挂装装置
CN110239714B (zh) 一种机载多发解锁式灭火航弹快速自动投弹器
SE1630158A1 (sv) System och förfarande för påfyllning av ammunitiontill ett primärmagasin i en automatkanon
CN109297373A (zh) 一种空空导弹单兵挂装装置
KR101314735B1 (ko) 다목적 탄약운반차량
RU18300U1 (ru) Транспортно-заряжающая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