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191A -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옥상용 식생 파레트 - Google Patents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옥상용 식생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191A
KR20190017191A KR1020170101633A KR20170101633A KR20190017191A KR 20190017191 A KR20190017191 A KR 20190017191A KR 1020170101633 A KR1020170101633 A KR 1020170101633A KR 20170101633 A KR20170101633 A KR 20170101633A KR 20190017191 A KR20190017191 A KR 20190017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pecies
pallet
bric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영기
Original Assignee
(주)봉황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봉황씨원 filed Critical (주)봉황씨원
Priority to KR102017010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191A/ko
Publication of KR2019001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벽돌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벽돌의 측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의 측벽(120)이 형성되며, 상기 벽돌의 하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바닥면(130)이 형성된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를 복수 개 형성시킨 식생 파레트(100)에 있어서, 복수 개 형성된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들 사이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물 식생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벽돌 지지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항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저장수 배수부(160)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는 저장수 공급홈(170)이 형성된 식생 파레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생 파레트는 식생 파레트에 형성된 잔디 식생부의 용적이 넓어 잔디 뿌리가 뻗어나갈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식생 파레트 내부에 물 저수공간을 구비하여 건물의 옥상 등 잔디 생육에 필요한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옥상용 식생 파레트{Vegetation Pallet for Housetop Possible Draining and Vegetation}
본 발명은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옥상용 식생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돌 안착 및 저수부, 식물 식생부, 벽돌 지지부, 저장수 배수부 및 저장수 공급홈을 포함하여 건물 옥상과 같이 잔디 생육을 위한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공간에서 잔디 식생에 필요한 물을 용이하게 저장하고 배수할 수 있는 옥상용 잔디 식생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보행도로, 주차장, 광장 등의 노면 위는 콘크리트 블록, 점토블록, 투수콘 등의 블록이 널리 시공되고 있으나, 건재만으로 된 블록들의 경우, 하절기에는 태양복사열에 의한 열섬현상을 야기하고 우천시에는 불투수층으로 작용하여 빗물이 지하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도시의 사막화를 가속화시고 토양 및 지하수 등의 토양생태계에 많은 문제점을 일으킨다.
이에 대비하여, 잔디는 잎이 흡수하는 빛의 양이 전체 복사의 50~80%에 달하고, 반사율은 콘크리트 포장의 35~40%인 반면 잔디표면은 22~26% 정도에 불과하며, 하절기에는 증산작용을 통해 대기의 온도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동절기에는 토양을 피복함으로써 토양의 냉각현상을 감소시켜 기온의 변화를 막기도 하며, 잔디밭의 경우 소음을 20~30%정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잔디는 공기를 정화시키고, 탄산가스, 오존 및 기타의 유해가스를 흡수하며 산소를 배출하는 한편, 신축 건축물에서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 유해물질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잔디는, 녹색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따른 미적 작용 이외에, 토양침식방지, 빗물의 일시적 보유 및 지하수 보충, 태양복사열의 분산, 햇빛의 반사율 감소, 유기화학물질의 분해, 대기오염 완화작용, 소음감소 등 각종 유용한 작용을 제공한다.
이러한 잔디의 기능적, 휴양 또는 미적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 보행도로, 주차장, 아파트 베란다, 건물 옥상 등의 생활환경 주변의 비토양면에 잔디밭을 조성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고, 이런 시도의 하나로서 다양한 방식의 잔디 식생블록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에도 각종 보행로 또는 주차장 등에 잔디 또는 기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식생블록(특허등록번호 10-0886952호)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식생 블록(1)은, 시공 면에 안착 시공되는 파레트(3)와, 상기 파레트(3) 상부에 끼워 맞춤식으로 시공되는 블록(2)과, 상기 파레트(3)의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공(8)과, 상기 파레트(3)의 상면에 격자 상으로 형성되는 블록결합부(10)와, 상기 블록결합부(10) 상간에 형성되는 잔디식생 벽(9)에 의해 구성되는 잔디식생부(11)를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파레트(3)에 형성되는 잔디식생벽(9)의 외면에는 하향 경사면을 갖는 스토퍼(12)가 형성되고, 상기 파레트(3)는 4변 중 2변에 형성되는 끼움돌기(4)와, 나머지 2변에 형성되는 끼움 홈(5)과, 상기 파레트(3) 저면부에 다수의 보강리브(6)와 수개의 앵커(7)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식생 블록은 잔디를 식생 시키기 위한 잔디식생 벽(9)이 4각형으로 상향되게 형성되고, 또 상기 잔디식생 벽(9)의 외면에는 하향 경사면을 갖는 스토퍼(12)가 잔디식생 벽(9)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잔디식생 벽(9)을 따라 형성된 스토퍼(12)와 스토퍼(12)의 사이에는 블록을 끼워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특허등록번호 10-1352549호의 방초 기능을 갖는 자연친화형 벽돌 설치용 잔디 식생 파레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벽돌이 안착 설치되며 벽돌과 벽돌의 사이에 잔디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된 잔디식생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잔디식생 파레트는 벽돌(B)의 하부 면을 지지하며 받쳐주는 4각형의 바닥면(10) 외곽에 벽돌의 이탈을 방지하는 각각의 외곽 벽(20)이 상호 연이어지며 상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잔디식생 파레트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벽돌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칸막이(40)를 형성시켜 복수 개의 벽돌안착부(30)를 형성하며, 상기 외곽 벽의 내측 면과 칸막이의 양측 면에는 벽돌안착부에 안착되는 벽돌의 측면과 면 접촉되어 벽돌의 지지 고정하며 그 지지 고정되는 벽돌의 측면과 외곽 벽의 내측 면 및 칸막이 간에 잔디가 자랄 수 있는 공간(S)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유지구(5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외곽 벽 중 2개의 외곽 벽 중앙 하단 바닥면의 가장자리에는 인접 연결설치되는 잔디식생 파레트의 외곽 벽에 형성된 결합구와 긴밀히 결합되는 결합부(60)가 하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외곽 벽 중 나머지 2개의 외곽 벽 중앙 하단 바닥면의 가장자리에는 인접 연결설치되는 잔디식생파레트의 외곽 벽에 형성된 결합부와 긴밀히 결합되는 결합구(70)가 하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간(S)의 바닥면에는 수분의 배수 및 기화와 잔디의 뿌리 활착을 위한 구멍(80)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잔디식생 파레트들은 잔디를 자랄 수 있도록 하여 환경친화적으로는 조성할 수 있으나, 파레트 내부에 물 저장 공간이 없어 건물 옥상과 같이 잔디 생육에 필요한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공간에서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 및 한번 설치하며 해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에 야외 주차장 등에서 사용되는 잔디 식생 파레트를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건물의 옥상에서 사용할 경우 식재된 잔디의 수명이 매우 짧다는 것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잔디 식생 파레트에 비해 식생 파레트에 형성된 잔디 식생부의 용적을 늘려 잔디 뿌리가 뻗어나갈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 주고, 벽돌이 안착되는 부위에 잔디 생육을 위해 필요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줄 경우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건물의 옥상에서도 잔디를 정상적으로 생육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상용 잔디 식생 파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잔디 식생 파레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에 야외 주차장 등에서 사용되는 잔디 식생 파레트를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건물의 옥상에서 사용할 경우 식재된 잔디의 수명이 매우 짧다는 것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잔디 식생 파레트에 비해 식생 파레트에 형성된 잔디 식생부의 용적을 늘려 잔디 뿌리가 뻗어나갈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 주고, 벽돌이 안착되는 부위에 잔디 생육을 위해 필요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줄 경우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건물의 옥상에서도 잔디를 정상적으로 생육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벽돌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벽돌의 측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의 측벽(120)이 형성되며, 상기 벽돌의 하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바닥면(130)이 형성된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를 복수 개 형성시킨 식생 파레트(100)에 있어서,
복수 개 형성된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들 사이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물 식생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벽돌 지지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항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저장수 배수부(160)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는 저장수 공급홈(170)이 형성된
식생 파레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식생 파레트’는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것은 물론, 특정 물건을 안착할 수 있는 물건 안착 장소를 구비한 일체의 화물 보관 틀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저수부’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일체의 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들 사이는 바람직하게는 0.5 cm 내지 5 cm 이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3 cm 이격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cm 내지 1.8 cm 이격되에 상기 식물 식생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들 사이가 0.5 cm 미만일 경우 겨울철에 잔디 뿌리가 얼어 잔디가 동사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들 사이가 5 cm 초과할 경우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들 사이에 여성용 구두의 굽이 빠져 보행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들 사이의 거리가 1.2 cm 내지 1.8 cm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다수의 실험 결과 상술한 수치 범위에서 잔디가 제일 잘 자라는 것은 물론, 여성용 구두의 뒷굽이 빠지지 않아 보행자들에게 최적의 보행 환경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식생 파레트의 바닥면(130)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180)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식생 파레트가 시공된 이후, 외부 압력 등에 의해 상기 식생 파레트의 본래 시공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잔디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켄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 종, 러브 블루그래스(Rough bluegrass) 종, 애뉴얼 블루그래스(Annuel bluegrass) 종, 캐나다 블루그래스(Canada bluegrass) 종, 크리핑 벤트그래스(Creeping bentgrass) 종, 콜로니얼 벤트그래스(Colonial bentgrass) 종, 벨벳 벤트그래스(Velvet bentgrass) 종, 레드톱(Red top) 종, 패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 종, 이탈리안 라이그래스(Italian ryegrass) 종, 톨훼스큐(Tall fescue) 종, 터프타입 톨훼스큐(Turf type Tall fescue) 종, 크리핑레드훼스큐(Creeping red fescue) 종, 츄잉훼스큐(Chewings fescue) 종, 하드훼스큐(Hard fescue) 종, 쉽훼스큐(Sheep fescue) 종, 한국잔디류(Zoysiagrass), 버뮤다그래스(Common Bermudagrass) 종 및 개량버뮤다그래스(Bermudagrass hybrid) 종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잔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항하도록 형성된 상기 저장수 배수부(160)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0.1 cm 내지 3.0 cm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cm 내지 1.0 cm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벽돌 지지부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벽돌 지지부 보다 0.1 cm 내지 0.2 cm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항하도록 형성된 상기 저장수 배수부(160)의 높이가 0.1 cm 미만을 경우 저장되는 물의 양이 부족한 문제가 있고, 상기 저장수 배수부(160)의 높이가 3.0 cm를 초과할 경우 식생 파레트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식생 파레트의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항하도록 형성된 상기 저장수 배수부(160)의 높이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벽돌 지지부 보다 0.1 cm 미만으로 낮을 경우 보행자의 보행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압력에 의해 상기 벽돌 지지부가 압축되어 상기 저장수 배수부가 막힐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항하도록 형성된 상기 저장수 배수부(160)의 높이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벽돌 지지부 보다 0.2 cm 초과하여 낮을 경우 저장되는 물의 양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항하도록 형성된 상기 저장수 배수부(160)의 높이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벽돌 지지부 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의 바닥면(13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저장수 배수부의 높이까지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수 배수부의 높이를 초과하여 유입된 물은 상기 저장수 배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식물 식생부를 통해 유입된 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수 공급홈(170)을 통해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 식생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저장수 공급홈(170)을 통해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로 이동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상기 식물 식생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측벽 하단에 형성된 상기 저장수 공급홈을 통해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로 이동할 경우 상술한 잔디 뿌리 전부가 물에 잠겨 잔디 뿌리 전체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잔디 뿌리 끝단에 고여 있는 물을 통해 항시 잔디 생육을 위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식생 파레트 바닥면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바람직하게는 인접되게 설치되는 또 다른 식생 파레트와 연이어 연결 설치할 수 있는 연결부(190)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식생 파레트는 바람직하게는 건물의 옥상 등 잔디 생육에 필요한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벽돌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벽돌의 측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의 측벽(120)이 형성되며, 상기 벽돌의 하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바닥면(130)이 형성된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를 복수 개 형성시킨 식생 파레트(100)에 있어서, 복수 개 형성된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들 사이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물 식생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벽돌 지지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항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저장수 배수부(160)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는 저장수 공급홈(170)이 형성된 식생 파레트를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식생 파레트는 식생 파레트에 형성된 잔디 식생부의 용적이 넓어 잔디 뿌리가 뻗어나갈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 본 발명의 식생 파레트는 식생 파레트 내부에 물 저수공간을 구비하여 건물의 옥상 등 잔디 생육에 필요한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 본 발명의 식생 파레트는 상기 잔디 식생부를 제외한 지역에는 일반적인 벽돌이 설치될 수 있어 보행자의 보행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제1실시 예의 식생블록 단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제2실시 예의 식생블록 단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인 옥상용 식생 파레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인 옥상용 식생 파레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인 옥상용 식생 파레트의 물 저장 및 배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옥상용 식생 파레트에 식재될 수 있는 잔디 종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파레트의 사시도, 단면도 및 상기 식생 파레트에 저장된 저장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파레트(100)는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 측벽(120), 바닥면(130), 식물 식생부(140), 벽돌 지지부(150), 저장수 배수부(160), 저장수 공급홈(170), 돌기(180) 및 연결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는 벽돌(200)이 안착되고, 후술하는 식물 식생부(140)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측벽(120) 및 바닥면(130)에 의해 상기 벽돌(200)의 4 측면 및 저면을 감싸고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는 1세트의 식생 파레트(100) 내에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120)은 상기 벽돌(200)의 4 측면을 감싸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인접하는 벽돌 안착 및 저수부에 형성된 측벽과 함께 후술하는 식물 식생부(140)를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측벽(120)에는 후술하는 저장수 공급홈(170)이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면(130)은 상기 벽돌(200)의 저면을 감싸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후술하는 벽돌 지지부(150)가 형성되어 상기 벽돌(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바닥면(130)에는 후술하는 저장수 배수부(160)가 형성되어 저장된 물을 식생 파레트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식물 식생부(140)는 인접하는 2개의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 측벽 사이의 공간이고, 상기 공간에 잔디를 포함하는 식물을 식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인접하는 2개의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 측벽 사이는 1.2 cm 내지 1.8 cm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돌 지지부(150)는 상술한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의 바닥면(130)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벽돌(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벽돌 지지부(150)는 상기 바닥면(130)의 4 모서리 위치 및 중심부에 형성하여 상기 벽돌(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수 배수부(160)는 상술한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의 바닥면(130)에 1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에 저장된 물이 저장량 이상으로 유입될 경우 초과 유입되는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수 배수부(160)의 높이는 상기 벽돌 지지부(150)보다 충분히 낮게 형성하여 상기 벽돌 지지부(150)가 보행자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압력에 의해 낮아져 상기 저장수 배수부(160)가 상기 벽돌(200)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수 공급홈(170)은 상기 측벽(120)에 1개 이상 형성되어 식물 식생부(140)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돌기(180)는 상기 식생 파레트(100)의 저면에 바깥을 향하게 형성되어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된 상기 식생 파레트(100)가 보행자 등의 보행에 의해 발생한 횡압력 및 수직압력에 의해 최초 설치 위치를 이탈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부(190)는 2개 이상의 상기 식생 파레트(10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부(190)의 구조 및 연결 방법에 대해서는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특허출원하여 등록된 KR 등록특허 제10-1404124호(발명의 명칭 :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불록)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니, 본원발명의 명세서가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파레트에 저장된 저장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가 도시되어 있다.
식생 파레트 100 벽돌 안착 및 저수부 110
측벽 120 바닥면 130
식물 식생부 140 벽돌 지지부 150
저장수 배수부 160 저장수 공급홈 170
돌기 180 연결부 190
200 벽돌 210 물
220 잔디 230 토양

Claims (10)

  1. 복수 개의 벽돌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벽돌의 측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의 측벽(120)이 형성되며, 상기 벽돌의 하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바닥면(130)이 형성된 벽돌 안착 및 저수부(110)를 복수 개 형성시킨 식생 파레트(100)에 있어서,
    복수 개 형성된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들 사이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물 식생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벽돌 지지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항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저장수 배수부(160)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는 저장수 공급홈(170)이 형성된
    식생 파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들 사이는 1 cm 내지 5 cm 이격되어 상기 식물 식생부(1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파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파레트의 바닥면(130)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180)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파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켄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 종, 러브 블루그래스(Rough bluegrass) 종, 애뉴얼 블루그래스(Annuel bluegrass) 종, 캐나다 블루그래스(Canada bluegrass) 종, 크리핑 벤트그래스(Creeping bentgrass) 종, 콜로니얼 벤트그래스(Colonial bentgrass) 종, 벨벳 벤트그래스(Velvet bentgrass) 종, 레드톱(Red top) 종, 패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 종, 이탈리안 라이그래스(Italian ryegrass) 종, 톨훼스큐(Tall fescue) 종, 터프타입 톨훼스큐(Turf type Tall fescue) 종, 크리핑레드훼스큐(Creeping red fescue) 종, 츄잉훼스큐(Chewings fescue) 종, 하드훼스큐(Hard fescue) 종, 쉽훼스큐(Sheep fescue) 종, 한국잔디류(Zoysiagrass), 버뮤다그래스(Common Bermudagrass) 종 및 개량버뮤다그래스(Bermudagrass hybrid) 종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잔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파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항하도록 형성된 상기 저장수 배수부(160)의 높이는 0.1 cm 내지 1.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파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항하도록 형성된 상기 저장수 배수부(160)의 높이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벽돌 지지부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파레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의 바닥면(130)에는 상기 저장수 배수부의 높이까지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수 배수부의 높이를 초과하여 유입된 물은 상기 저장수 배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파레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식생부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저장수 공급홈(170)을 통해 상기 벽돌 안착 및 저수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파레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파레트 바닥면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인접되게 설치되는 또 다른 식생 파레트와 연이어 연결 설치할 수 있는 연결부(190)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파레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파레트는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파레트.
KR1020170101633A 2017-08-10 2017-08-10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옥상용 식생 파레트 KR20190017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33A KR20190017191A (ko) 2017-08-10 2017-08-10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옥상용 식생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33A KR20190017191A (ko) 2017-08-10 2017-08-10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옥상용 식생 파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191A true KR20190017191A (ko) 2019-02-20

Family

ID=6556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633A KR20190017191A (ko) 2017-08-10 2017-08-10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옥상용 식생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3853A (zh) * 2021-01-25 2021-04-20 南京静旭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植被智能养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3853A (zh) * 2021-01-25 2021-04-20 南京静旭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植被智能养护装置
CN112673853B (zh) * 2021-01-25 2022-03-15 珠海正方市政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植被智能养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9851B2 (en) Modular interlocking pre-vegetated roof system
JPH083443Y2 (ja) 排水・保水装置
JP4418429B2 (ja) 緑化装置
EP2309839B1 (en) Modular green roof building element
KR100652252B1 (ko)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US20100043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with a Planting Module
US7752805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enabling tree root growth beneath adjacent surfaces
KR200381321Y1 (ko) 녹지 조성용 잔디블록
JP5246991B2 (ja) 珪藻頁岩を用いた舗装構造
JP2003047346A (ja) 緑化用植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17191A (ko)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옥상용 식생 파레트
JP2009077687A (ja) 緑化駐車場
KR101996068B1 (ko) 잔디를 이용한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의 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
KR200450786Y1 (ko) 녹지 조성용 컵잔디블록
JP3191153U (ja) 緑化用植栽基盤
KR20110112494A (ko)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JP2005046006A (ja) 埋設型植栽装置
US20210029901A1 (en) Plant System with Water Storage Chambers
KR100349557B1 (ko)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69540Y1 (ko) 벌집형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
KR101127630B1 (ko) 도로분리대 겸용 입체 조경 식생 상자
KR100579758B1 (ko)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JP2004201603A (ja) 温度上昇抑制構造
KR101297778B1 (ko) 주거단지의 도로에 설치되는 텃밭조성용 홈통
KR200434764Y1 (ko) 빗물을 이용한 녹지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