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702A -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702A
KR20190016702A KR1020170100966A KR20170100966A KR20190016702A KR 20190016702 A KR20190016702 A KR 20190016702A KR 1020170100966 A KR1020170100966 A KR 1020170100966A KR 20170100966 A KR20170100966 A KR 20170100966A KR 20190016702 A KR20190016702 A KR 20190016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de
composition according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302B1 (ko
Inventor
장동혁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0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302B1/ko
Priority to CN201880051240.0A priority patent/CN110996897A/zh
Priority to US16/637,354 priority patent/US11166899B2/en
Priority to PCT/KR2018/008902 priority patent/WO2019031790A1/ko
Publication of KR2019001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력 증진,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 ceramide, a derivative thereof and an extract of Hibisci Cortex}
본 발명은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력 증진,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에 효과적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의 표면은 기저층으로부터 분화되어 성숙된 각질생성세포(Keratinocytes)가 퇴화된 각질세포(Corneocytes)로 보호되어 있으며, 이들 각질세포들은 각질층에 다량 존재하는 세라마이드의 이중사슬 라멜라 구조에 의하여 피부표면에 결합되어 있어서 매끄럽고 탄력성 있는 피부를 유지하게 한다. 인간의 각질층에서 발견되는 세라마이드 화합물은 구조 내에 스핑고신(sphingosine)이나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 피부의 노화가 진행될수록 각질층 내의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감소되어 각질세포의 피부 표면에의 결합력이 감소하며 결국 각질층이 보호받지 못하게 된다. 즉, 각질층 내의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피부수분의 손실, 자외선이나 화학물질 등의 외부 자극에의 노출 및 각질세포의 박리현상이 발생하여 피부표면은 거칠어지게 된다.
피부노화 또는 외부의 자극에 의해 각질층이 손상되어 각질층 내의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감소할 경우, 세라마이드를 외부에서 보충함으로써 피부의 라멜라 구조를 회복시켜 피부를 정상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피부표면의 라멜라 구조는 세라마이드 단독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피부 각질층에 존재하는 다른 지질들, 예를 들면 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이 공존하는 경우에 형성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보고됨에 따라 외부에서 세라마이드를 보충할 목적으로, 천연 동식물 및 미생물계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세라마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동식물 및 미생물들이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동식물 및 미생물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는 극히 미량으로, 이를 추출할 경우에 생산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천연 유래의 세라마이드는 이러한 문제점외에도 여러 가지 용매 및 화장품, 세정용 제품에 사용하는 원료 등에의 용해도가 매우 낮아 이들 제품의 제조시 천연 세라마이드를 소량 밖에 사용하지 못하므로 그 본래의 효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 등록특허 제10-0236304호(1999년 12월 15일 공고) 2. 등록특허 제10-0181104호(1999년 5월 15일 공고) 3.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59302호(2010년 6월 4일 공개)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함께 사용시 천연 세라마이드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피부에 적용시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성분을 찾고자 하였으며, 천연 세라마이드, 및 합성에 의해 제조한 세라마이드 화합물과 더불어 목근피 추출물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손상된 피부의 회복 및 피부 보호 효과, 피부 보습력 증진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상승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보습력 증진, 피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키고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을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손상된 피부의 회복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의 탄력 상승,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 피부 보습력 증가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 세라마이드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화학식 9로 표현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구조내에 화학식 1의 스핑고신(sphingosine)이나 화학식 2의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을 포함하고 있다.
Figure pat00001
스핑고신
Figure pat00002
피토스핑고신
Figure pat00003
Type 1
Figure pat00004
Type 2
Figure pat00005
Type 3
Figure pat00006
Type 4
Figure pat00007
Type 5
Figure pat00008
Type 6I
Figure pat00009
Type 6II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 세라마이드는 식물, 동물, 미생물 등에서 추출된 것으로서, 기원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 세라마이드는 직접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시판되는 상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라마이드 유도체는 피부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이하, “P-104”라 함), 화학식 11의 화합물(이하, “P-102”라 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라마이드 유도체는 등록특허 제10-0236304호(1999년 12월 15일 공고)에 기재된 P-104, 등록특허 제10-0181104호(1999년 5월 15일 공고)에 기재된 P-10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Figure pat00010
(상기 식 중에서, n은 1 또는 2이며, R, R'는 탄소수 9~21개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다)
Figure pat00011
(상기 식 중에서, R, R'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C10∼C32의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또는 불포화, 수산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알킬기이고, R3 및 R4는 H 또는 C1∼C4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이며, R5는 -A 또는 -CH2CH2OA이고, 여기에서 A는 하기 구조의 치환기 중의 어느 하나이다:
A;
Figure pat00012
식 중에서, M, M1, M2는 알칼리 금속류 또는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니움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니움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며, L은 알칼리토금속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목근피(Hibisci Cortex)는 무궁화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인 무궁화(Hibiscus syriacus L.)의 뿌리껍질 또는 줄기껍질을 말린 것이다. 봄에 뿌리껍질 또는 줄기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간경, 비경, 대장경, 소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해독하고 살충한다. 또 혈을 잘 돌게 하고 출혈을 멈춘다. 장출혈, 이질, 탈항, 대하, 옴, 무좀, 치질 등에 쓴다. 하루 3~9g을 탕약으로 먹거나 외욕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술에 우려서 바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목근피는, 상업적으로 구입하거나 통상 사용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목근피 추출물은, 목근피를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목근피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목근피 추출물은 PPAR(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보다 구체적으로는 PPAR-α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PPAR의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피부 각질 세포의 분화를 유도함으로써, 피부 장벽 강화에 도움이 된다.
또한, 목근피 추출물은 피부 보습을 담당하는 천연보습 인자(NMF)의 전구 단백질인 필라그린(filaggrin)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피부 각화막(cornified envelope)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 1(TGase1)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피부 수분 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외 기질 성분인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담당하는 히알루론산합성효소 2(HAS2)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가지며, 따라서 피부 보습 증진에 도움이 된다.
또한, 목근피 추출물은, 해독작용에 관여하는 유전자 HMOX1 발현을 증가시키고, 염증인자인 IL-1β, TNFα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상처 치유 촉진 또는 항노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세라마이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7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목근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상기 목근피 추출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상기 화합물에 의한 피부 표피 분화 유도 효과, 피부 보습력 부여 효과, 및 항노화 효과 등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비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은 중량비로 1~300 : 1~500 : 1~500, 바람직하게는 1~100 : 1~300 : 1~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0~300 : 10~3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0 : 10~50 : 10~50의 조합비로 혼합될 수 있지만, 조합비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세라마이드 유도체 P-104와 P-102가 함께 포함되는 경우, 이들의 조합비율은 중량비율로 바람직하게는 1~10 :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 : 5~10, 가장 바람직하게는 8:7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표피 분화 유도; 피부 보습력 부여; 상처 치유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개선과 같은 항노화 효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그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독성,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보조제 또는 희석액 또는 다른 활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부형제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오일 또는 수성매질에서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로 제형화하거나, 사용하기 전에 무균상태이고 발열물질이 제거된 물에 녹여 사용하는 건조분말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천연 세라마이드의 준비
상기 화학식 3~9로 표시되는 6종의 천연 세라마이드 중에서, 화장품에는 소뇌(Bovine Brain) 유래)의 것인 화학식 5(Type 3)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천연 세라마이드로는 상기 화학식 5의 것을 준비하여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참고예 2-1] 세라마이드 유도체 1,3-비스(N-(2-히드록시에틸)-팔미토일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P-104(a))의 준비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500㎖의 둥근 플라스크에 에탄올아민 48.9g과 에탄올 200㎖를 가하여 잘 섞은 후, 1,3-이염화-2-히드록시프로판 12.9g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수산화칼륨 에탄올 용액을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용매와 미반응 에탄올아민을 제거한 후, 잔류물에 에탄올과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여과한 후 감압하에서 건조시켜 N,N´-비스(2-히드록시에틸)-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 13.1g을 얻었다.
다른 500㎖의 둥근 플라스크에 산화마그네슘 4.0g을 물 80g에 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위에서 제조한 N,N´-비스(2-히드록시에틸)-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 8.9g을 가한 후 1,4-디옥산 250㎖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격렬히 교반하면서 팔미토일클로라이드(palmitoyl chloride) 26.8g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2시간 더 교반한 후 여과하고 여과기상의 고체는 클로로포름 200㎖로 세척하였다. 여액과 세액을 합한 후 물층을 분리하여 버리고 유기층은 냉각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고체를 건조시킨 후 아세톤에서 재결정하여 1,3-비스(N-(2-히드록시에틸)-팔미토일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P-104(a)) 24.3g을 백색의 고체로 얻었다.
[참고예 2-2] 세라마이드 유도체 1,3-비스(N-(2-히드록시에틸)-라우로일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P-104(b))의 준비
500㎖의 둥근 플라스크에 산화마그네슘 4.0g을 물 80g에 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상기 참고예 2-1에서 제조한 N,N´-비스(2-히드록시에틸)-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 8.9g을 가한 후 1,4-디옥산 250㎖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격렬히 교반하면서 라우로일클로라이드(lauroyl chloride) 21.3g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2시간 더 교반한 후 여과하고 여과기상의 고체는 클로로포름 200㎖로 세척하였다. 여액과 세액을 합한 후 물층을 분리하여 버리고 유기층은 냉각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고체를 건조시킨 후 아세톤에서 재결정하여 1,3-비스(N-(2-히드록시에틸)-라우로일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P-104(b)) 19.5g을 백색의 고체로 얻었다.
[참고예 2-3] 세라마이드 유도체 1,3-비스(N-(2-히드록시에틸)-올레오일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P-104(c))의 준비
500㎖의 둥근 플라스크에 산화마그네슘 4.0g을 물 80g에 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N,N´-비스(2-히드록시에틸)-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 8.9g을 가한 후 1,4-디옥산 250㎖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격렬히 교반하면서 올레오일클로라이드(oleoyl chloride) 29.3g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2시간 더 교반한 후 여과하고 여과기상의 고체는 클로로포름 200㎖로 세척하였다. 여액과 세액을 합한 후 물층을 분리하여 버리고 유기층은 냉각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고체를 건조시킨 후 아세톤에서 재결정하여 1,3-비스(N-(2-히드록시에틸)-올레오일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P-104(c)) 27.2g을 백색의 고체로 얻었다.
[참고예 2-4] 세라마이드 유도체 N,N´-비스(2-히드록시에틸)-N-팔미토일-N´-1,3-디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P-104(d))의 준비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500㎖의 둥근 플라스크에 3-아미노-1-프로판올 59.0g과 에탄올 200㎖를 가하여 잘 섞은 후,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 9.3g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수산화칼륨 에탄올 용액을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용매와 미반응 3-아미노-1-프로판올을 제거한 후, 잔류물에 에탄올과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여과한 후 감압하에서 건조시켜 N,N´-비스(3-히드록시프로필)-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 18.2g을 얻었다.
다른 500㎖의 둥근 플라스크에 산화마그네슘 4.0g을 물 80g에 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위에서 제조한 N,N´-비스(3-히드록시프로필)-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 10.4g을 가한 후 1,4-디옥산 250㎖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격렬히 교반하면서 팔미토일클로라이드 13.4g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10℃에서 2시간 더 교반한 후 올레오일클로라이드 14.7g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2시간 더 교반한 후 여과하고 여과기상의 고체는 클로로포름 200㎖로 세척하였다. 여액과 세액을 합한 후 물층을 분리하여 버리고 유기층은 냉각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고체를 건조시킨 후 아세톤에서 재결정하여 N,N´-비스(2-히드록시에틸)-N-팔미토일-N´-1,3-디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P-104(d)) 26.5g을 백색의 고체로 얻었다.
[참고예 3-1] 세라마이드 유도체 N-(2-히드록시프로판)-N-헥사데실아민(P-102(a))의 준비
1l의 둥근 플라스크에 헥사데실아민 48.2g을 에탄올 700ml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1-염화-2-프로판올 18.9g을 40℃에서 서서히 가하였다. 동온도에서 3시간 더 교반한 후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을 가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한 후 에탄올에서 재결정하여 N-(2-히드록시프로판)-N-헥사데실아민(N-(2-hydroxypropane)-N-hexadecylamine) 36g(수율 : 60%; P-102(a))을 얻었다.
[참고예 3-2] 세라마이드 유도체 N-(2-메틸-2-히드록시프로판)-N-헥사데실아민(P-102(b))의 준비
참고예 3-1에서 1-염화-2-프로판올 대신, 1-염화-2-메틸-2-프로판올 22.6g을 사용하고 참고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백색 분말 48.3g(수율 : 77%; P-102(b))을 얻었다.
[참고예 3-3] 세라마이드 유도체 N-(2-에톡시-2-히드록시에탄)-N-헥사데실아민(P-102(c))의 준비
참고예 3-1에서 1-염화-2-프로판올 대신, 1-염화-2-에톡시-2-에탄올 23.2g을 사용하고 참고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백색 분말 45.6g(수율 : 69%; P-102(c))을 얻었다.
[참고예 3-4] 세라마이드 유도체 N-(2-히드록시프로판)-N-올레일아민(P-102(d))의 준비
참고예 3-1에서 헥사데실아민 대신, 올레일아민 53.5g을 사용하고 참고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백색 분말 35.2g(수율 : 78%; P-102(d))을 얻었다.
[참고예 3-5] 세라마이드 유도체 N-(2-메틸-2-히드록시프로판)-N-올레일아민(P-102(e))의 준비
참고예 3-2에서 헥사데실아민 대신, 올레일아민 53.5g을 사용하고 참고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백색 분말 35.2g(수율 : 78%; P-102(e))을 얻었다.
[참고예 3-6] 세라마이드 유도체 N-헥사데실-N-(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P-102(f))의 준비
환류냉각기가 설치된 250ml의 플라스크에 메틸팔미테이트 14.3g과 참고예 3-1에서 제조한 N-(2-히드록시프로판)-N-헥사데실아민 16g을 가하여 용융시킨 후, 탄산나트륨 2.6g을 가하고 120℃에서 3시간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반응종료 후, 실온에서 냉각하고 클로로포름 100ml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불용물을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헥산에서 재결정하여 N-헥사데실-N-(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N-hexadecyl-N-(2-hydroxypropane)hexadecanamide) 21.6g(수율 : 80%; P-102(f))을 백색의 고체로 얻었다.
[참고예 3-7] 세라마이드 유도체 N-헥사데실-N-(2-메틸-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P-102(g))의 준비
참고예 3-2에서 제조한 N-(2-메틸-2-히드록시프로판)-N-헥사데실아민 15.7g과 메틸팔미테이트 14.9g을 참고예 3-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N-헥사데실-N-(2-메틸-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Nhexadecyl-N-(2-methyl-2-hydroxypropane)hexadecanamide) 24.6g(수율 : 87%; P-102(g))을 백색의 고체로 얻었다.
[참고예 3-8] 세라마이드 유도체 N-헥사데실-N-(2-에톡시-2-히드록시에탄)헥사데칸아미드(P-102(h))의 준비
참고예 3-3에서 제조한 N-(2-에톡시-2-히드록시에탄)-N-헥사데실아민 16.5g과 메틸팔미테이트 14.9g을 참고예 3-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N-헥사데실-N-(2-에톡시-2-히드록시에탄)헥사데칸아미드(Nhexadecyl-N-(2-ethoxy-2-hydroxyethane)hexadecanamide) 24.2g(수율 : 83%; P-102(h))을 백색의 고체로 얻었다.
[참고예 3-9] 세라마이드 유도체 N-올레일-N-(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P-102(i))의 준비
참고예 3-4에서 제조한 N-(2-히드록시프로판)-N-올레일아민 16.3g과 메틸팔미테이트 14.9g을 참고예 3-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N-올레일-N-(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N-oleyl-N-(2-hydroxypropane)hexadecanamide) 21.6g(수율 : 78%; P-102(i))을 백색의 고체로 얻었다.
[참고예 3-10] 세라마이드 유도체 N-올레일-N-(2-메틸-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P-102(j))의 준비
참고예 3-5에서 제조한 N-(2-메틸-2-히드록시프로판)-N-올레일아민 17g과 메틸팔미테이트 14.9g을 참고예 3-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N-올레일-N-(2-메틸-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N-oleyl-N-(2-methyl-2-hydroxypropane)hexadecanamide) 21g(수율 : 71%; P-102(j))을 백색의 고체로 얻었다.
[참고예 3-11] 세라마이드 유도체 (N-헥사데실-N-팔미토일)-1-아미노프로판-2-인산나트륨(P-102(k))의 준비
참고예 3-6에서 제조한 N-헥사데실-N-(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 5.38g과 인산 1.15g을 디옥산 100ml에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여기에 오산화인 2.0g을 가하고 5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종료 후, 실온에서 냉각하고 4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8ml를 가하였다. 반응혼합액을 감압하에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에탄올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잔사를 감압하에 증류하고 칼럼 크래마토그래피하여 (N-헥사데실-N-팔미토일)-1-아미노프로판-2-인산나트륨 4.1g(수율 : 66%; P-102(k))을 얻었다.
[참고예 3-12] 세라마이드 유도체 (N-헥사데실-N-팔미토일)-1-아미노-2-메틸프로판-2-인산나트륨(P-102(l))의 준비
참고예 3-11에서 N-헥사데실-N-(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 대신에, 실시예 3-7에서 제조한 N-헥사데실-N-(2-메틸-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 5.7g을 사용하여 참고예 3-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산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4.3g, 수율 64%; P-102(l)).
[참고예 3-13] 세라마이드 유도체 (N-헥사데실-N-팔미토일)-1-아미노-2-에톡시에탄-2-인사나트륨(P-102(m))의 준비
참고예 3-11에서 N-헥사데실-N-(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 대신에, 참고예 3-8에서 제조한 N-헥사데실-N-(2-에톡시-2-히드록시에탄)헥사데칸아미드 5.8g을 사용하여 참고예 3-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산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4.4g, 수율 64%; P-102(m)).
[참고예 3-14] 세라마이드 유도체 (N-올레일-N-팔미토일)-1-아미노프로판-2-황산나트륨(P-102(n))의 준비
참고예 3-9에서 제조한 N-올레일-N-(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 5.8g을 디옥산 100ml에 가하고 교반하며, 염화설폰산 1.3g을 10∼15℃에서 서서히 적가하였다. 적가완료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종료 후, 4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0ml를 가하였다. 반응혼합액을 감압하에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에탄올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잔사를 감압하에 증류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N-올레일-N-팔미토일)-1-아미노프로판-2-황산나트륨 4.9g(수율 : 72%; P-102(n))을 얻었다.
[참고예 3-15] 세라마이드 유도체 (N-올레일-N-팔미토일)-1-아미노-2-메틸프로판-2-황산나트륨(P-102(o))의 준비
참고예 3-14에서 N-올레일-N-(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 대신에, 참고예 3-10에서 제조한 N-올레일-N-(2-메틸-2-히드록시프로판)헥사데칸아미드 5.9g과 염화설폰산 1.3g을 반응시켜 참고예 3-1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황산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5.1g, 수율 73%; P-102(o)).
[참고예 4] 목근피 추출물의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목근피 총 1kg을 80% 에탄올 수용액으로 24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45℃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60℃에서 3일 동안 동결 건조하였다.
감압 농축물이 목근피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로 포함되도록 에탄올을 사용하여 분산/용해하여 목근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단일 세라마이드 유도체의 PPARα 활성화 확인
인체 각질형성 세포주(human keratinocyte)인 HaCaT을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고, 페놀 레드의 에스트로겐에 의한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페놀 레드-프리(phenol red-free) 배지를 사용하였다. 플라스미드는, 일반적인 배양 조건에서도 발현되는 유니버설(universal) 프로모터 뒤에 PPARα, PPARβ/δ, PPARγ 유전자를 지닌 플라스미드와 리간드 결합형의 PPARs가 결합하여 활성화되는 PPARs 반응 요소(PPARs Response Element, “PPRE”)를 프로모터로 가지고 뒤에 리포터로서 역할을 하는 반디불(firefly) 루시퍼라제(luciferase) 유전자를 지닌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참조(reference)로 사용될 유니버설 프로모터에 β-갈락토시다제(β-galactosidase) 유전자가 결합된 플라스미드를 사용하였다.
HaCaT 세포를 5x104의 농도로 24 웰(well)형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상기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일시적 트랜스펙션(transient transfection)하였다. 24 시간 배양 후, 인산완충용액(PBS)으로 세척한 다음, 상기 참고예 2-1 내지 2-4, 참고예 3-11 내지 3-15를 10 ppm으로 처리하고, 양성대조군으로 기존에 알려진 PPARs 리간드(PPARα 리간드인 Wy-14643)를 10 μM로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시료들을 녹일 때 사용한 DMSO를 처리한 군을 이용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PBS로 세척하고 세포를 수확하여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HaCaT 세포주에 PPRE 프로모터 리포터 플라즈미드와 PPARα 발현 플라즈미드를 트랜스펙션시킨 후, 약물을 처리하고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 대비(%)
음성대조군 100
양성대조군(Wy-14643, 10 μM) 291
참고예 2-1 (10 ppm) 263
참고예 2-2 (10 ppm) 270
참고예 2-3 (10 ppm) 255
참고예 2-4 (10 ppm) 260
참고예 3-11 (10 ppm) 272
참고예 3-12 (10 ppm) 270
참고예 3-13 (10 ppm) 259
참고예 3-14 (10 ppm) 278
참고예 3-15 (10 ppm) 269
상기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라마이드 유도체의 경우 대체적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PPARα 활성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시험예에서는 각각의 세라마이드 유도체에 있어서 중간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P-104 화합물에 대하여는 참고예 2-1, P-102 화합물에 대하여는 참고예 3-11의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참고예 5]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의 제조
상기 참고예 1의 천연 세라마이드, 상기 참고예 2-1의 세라마이드 유도체(P-104) 또는 참고예 3-11의 세라마이드 유도체(P-102) 및 상기 참고예 4의 목근피 추출물을 하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다양한 조합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을 준비하였다.
(단위: 중량%)
성분 비교예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 2 3 4
세라마이드 P-102 1.9 0 0 1.4 1.4 0 1.6 1.6 1.81 1.4 1.1 1 1.33
세라마이드 P-104 2.1 0 0 1.6 1.6 0 1.83 1.83 2.06 1.6 1.25 1 1.53
천연 세라마이드 0 4 0 1 0 3 0.57 0 0.13 0.5 0.08 1 0.57
목근피
추출물
0 0 4 0 1 1 0 0.57 0 0.5 1.57 1 0.57
[시험예 2]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의 조합물의 PPARα 활성화 확인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P-102 및 P-104) 및 목근피 추출물의 조합물이 PPARα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으며, 다만 세포에 처리한 시료로는 상기 비교예 1 내지 9, 및 실시예 1 내지 4를 사용하고, 이들을 각각 4 ppm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음성대조군으로는 시료들을 녹일 때 사용한 DMSO를 처리한 군을 이용하였다.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PPARα 발현량
(대조군대비%)
대조군 100
비교예1 139
비교예2 128
비교예3 120
비교예4 159
비교예5 151
비교예6 132
비교예7 162
비교예8 160
비교예9 173
실시예1 285
실시예2 297
실시예3 236
실시예4 271
상기 표 3의 결과를 보면,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각각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이들 중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PPARα의 발현량이 증가하며, 이들 모두를 혼합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에는 성분의 조합에 따른 상승 작용으로 인하여 PPARα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예 6]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제형예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유상 세라마이드 P-102 0 1.9 0 0 1.4 1.4 0 1.6 1.6 1.81 1.4 1.1 1 1.33
세라마이드 P-104 0 2.1 0 0 1.6 1.6 0 1.83 1.83 2.06 1.6 1.25 1 1.53
천연 세라마이드 0 0 4 0 1 0 3 0.57 0 0.13 0.5 0.08 1 0.57
콜레스테롤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스테아르산 3 3 3 3 3 3 3 3 3 3 3 3 3 3
세테아릴 알코올 2 2 2 2 2 2 2 2 2 2 2 2 2 2
베헤닐 알코올 2 2 2 2 2 2 2 2 2 2 2 2 2 2
세틸에틸 헥사노에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수상 부틸렌 글리콜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5 5 5 5 5 5
카프릴 글리콜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트로메타민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목근피추출물 0 0 0 4 0 1 1 0 0.57 0 0.5 1.57 1 0.57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3] 관능평가 -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
피부 처짐으로 고민하는 25~35세의 여성 140명을 각각 10명씩 14조로 나누어 상기 비교제형예 1 내지 10,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각각 4주간 일반적인 화장료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도록 한 후, 사용 개시 후 1주 간격으로 사용자의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을 포함한 피부 리프팅 효능감 정도를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 매우 양호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약간의 개선 효과가 있음.
±: 개선 효과는 없으나 악화되지도 않음.
-: 개선 효과가 없고 오히려 악화됨.
시험물질 기간
1주 2주 3주 4주
비교제형예 1 ± ± ± +
비교제형예 2 + + + ++
비교제형예 3 + + + +
비교제형예 4 + + + +
비교제형예 5 + + ++ ++
비교제형예 6 + + ++ ++
비교제형예 7 + + + ++
비교제형예 8 + + ++ ++
비교제형예 9 + + ++ ++
비교제형예 10 + ++ ++ ++
제형예 1 ++ ++ +++ +++
제형예 2 ++ ++ +++ +++
제형예 3 ++ ++ ++ +++
제형예 4 ++ ++ +++ +++
상기 표 5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제형예 1 내지 4는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1종 또는 2종으로 포함하는 비교제형예 2 내지 10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을 포함한 피부 리프팅 효과가 현저하게 높은 정도로 나타나며, 또한 비교제형예 1 내지 10에 비하여 리프팅 효과가 보다 단시간 내에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관능평가 - 사용감 및 보습력
상기 비교제형예 1 내지 10, 및 제형예 1 내지 4 의 사용감 및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화장품 사용감 평가에 관한 전문 훈련을 받은 평가자 10명의 관능평가로서 수행하였다. 평가는 발림성, 끈적임 및 보습감에 대하여 수행하였고, 평가는 1~5점으로 하였으며, 발림성 평가는 발림성이 좋은 경우를 5점, 나쁜 경우를 1점으로 하였고, 끈적임 평가는 끈적임이 적은 경우를 1점, 많은 경우를 5점으로 하였으며, 보습감 평가는 보습감이 높은 경우를 5점, 낮은 경우를 1점으로 하였다. 각 제품에 대한 평가 후 각각의 평가 항목의 점수를 10명의 평균값으로 구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발림성 끈적임 보습감
비교제형예 1 4.1 1.5 1.8
비교제형예 2 3.6 2.3 2.9
비교제형예 3 3.5 2.4 2.7
비교제형예 4 3.8 1.8 3.1
비교제형예 5 4.1 1.9 3.5
비교제형예 6 4.2 1.8 3.6
비교제형예 7 4.1 1.9 3.2
비교제형예 8 4.0 2.1 3.8
비교제형예 9 4.2 2.0 3.7
비교제형예 10 4.2 2.2 3.9
제형예 1 4.7 1.2 4.8
제형예 2 4.8 1.2 4.9
제형예 3 4.4 1.3 4.3
제형예 4 4.5 1.2 4.5
상기 표 6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제형예 1 내지 4는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1종 또는 2종으로 포함하는 비교제형예 2 내지 10과 비교하여 발림성 및 끈적임과 같은 사용감은 유사하거나 보다 우수한 정도를 나타내면서, 보습력에 있어서는 현저하게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영양화장수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1
[제조예 2] 영양크림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 3.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제조예 3] 마사지 크림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 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제조예 4] 팩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 0.5
노닐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6.0
[제조예 5] 피부외용제 중 연고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 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Claims (11)

  1. 유효성분으로서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 화학식 11의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0]
    Figure pat00013

    (상기 식 중에서, n은 1 또는 2이며, R, R'는 탄소수 9~21개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14

    (상기 식 중에서, R, R'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C10∼C32의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또는 불포화, 수산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알킬기이고, R3, R4는 H 또는 C1∼C4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이며, R5는 -A 또는 -CH2CH2OA이며, 여기에서 A는 하기 구조의 치환기 중의 어느 하나이다 :
    A;
    Figure pat00015

    식 중에서, M, M1, M2는 알칼리 금속류 또는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니움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니움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며, L은 알칼리토금속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근피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세라마이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 유도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근피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은 1~300 : 1~500 : 1~500의 중량비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 유도체가 화학식 10의 화합물과 화학식 11의 화합물의 혼합물인 경우, 화학식 10의 화합물과 화학식 11의 화합물은 1~10 : 10~1의 중량비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00966A 2017-08-09 2017-08-09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7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966A KR102417302B1 (ko) 2017-08-09 2017-08-09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1880051240.0A CN110996897A (zh) 2017-08-09 2018-08-06 含有神经酰胺、其衍生物以及木槿皮提取物的皮肤外用剂组合物
US16/637,354 US11166899B2 (en) 2017-08-09 2018-08-06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 ceramide, a derivative thereof and an extract of Hibisci cortex
PCT/KR2018/008902 WO2019031790A1 (ko) 2017-08-09 2018-08-06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966A KR102417302B1 (ko) 2017-08-09 2017-08-09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702A true KR20190016702A (ko) 2019-02-19
KR102417302B1 KR102417302B1 (ko) 2022-07-06

Family

ID=6527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966A KR102417302B1 (ko) 2017-08-09 2017-08-09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66899B2 (ko)
KR (1) KR102417302B1 (ko)
CN (1) CN110996897A (ko)
WO (1) WO2019031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829B1 (ko) * 2019-09-26 2021-06-07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유사 세라마이드의 신규한 합성방법 및 그에 관한 중간체 화합물
CN114712285B (zh) * 2022-04-20 2022-11-25 皓雨(广州)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抗皱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104B1 (ko) 1996-12-26 1999-05-15 주식회사태평양 세라미드 유사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36304B1 (ko) 1997-07-23 1999-12-15 서경배 세라미드 유사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26143A (ko) * 2008-08-29 2010-03-10 (주)아모레퍼시픽 다층 라멜라 과립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00059302A (ko) 2008-11-26 2010-06-04 (주)아모레퍼시픽 목근피 추출물 함유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30030093A (ko) * 2011-09-16 2013-03-26 (주)아모레퍼시픽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0612A (en) 1996-12-26 2000-05-09 Pacific Corporation Ceramide-like compounds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2001270816A (ja) 2000-03-23 2001-10-02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EP2343273A4 (en) * 2008-09-30 2014-04-23 Kaneka Corp NEW TYPE I NATURAL CERAMIDE DERIVATIV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4523554A (zh) * 2014-11-20 2015-04-22 彩虹之巅电子商务(上海)有限公司 一种含有活性胜肽成份的抗皱保湿护肤品
KR20170011245A (ko) 2015-07-22 2017-02-02 성진에이블 주식회사 좌욕기
KR20170038249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투명성이 개선된 고함량 세라마이드 나노 에멀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5130B1 (ko) * 2016-03-31 2022-12-07 (주)아모레퍼시픽 펜타사이클릭 트리터펜 카페익 액씨드 에스터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104B1 (ko) 1996-12-26 1999-05-15 주식회사태평양 세라미드 유사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36304B1 (ko) 1997-07-23 1999-12-15 서경배 세라미드 유사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26143A (ko) * 2008-08-29 2010-03-10 (주)아모레퍼시픽 다층 라멜라 과립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00059302A (ko) 2008-11-26 2010-06-04 (주)아모레퍼시픽 목근피 추출물 함유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30030093A (ko) * 2011-09-16 2013-03-26 (주)아모레퍼시픽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ver Blog] Mamonde Mugunghwa Moisturizing Barrier Cream (2016.01.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1790A1 (ko) 2019-02-14
US20200179260A1 (en) 2020-06-11
KR102417302B1 (ko) 2022-07-06
US11166899B2 (en) 2021-11-09
CN110996897A (zh)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3206B1 (de) Verwendung von diphenylmethan-derivaten als tyrosinase-inhibitoren
KR101709619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WO2009084200A1 (ja) ニキビ肌用皮膚外用剤
KR100947638B1 (ko)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US20080293673A1 (en) N-acetyglucosam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KR101796866B1 (ko)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90016702A (ko)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134732A1 (de) [(4-oxo-4h-chromen-3-yl)-hydroxymethyl]- oder [(4-oxo-4h-chromen-3-yl)-methyl]-phosphonsäurederivate
KR101418986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551243B1 (ko) 말굽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5449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모발의 보호, 탈모 방지 및 모발개선용 조성물
EP3278790B1 (en) Anti-oxidative or anti-aging composition containing 5-adamantan-1-yl-n-(2,4-dihydroxybenzyl)-2,4-dimethoxybenzamide
KR101938877B1 (ko) 수딩크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5192501B (zh) 包含稻、芦苇、玉米须、欧锦葵及芦荟提取物的皮肤保护用化妆品组合物
EP2120855A2 (de) Verwendung von chroman-4-on-derivaten
KR101418979B1 (ko) 콜라겐 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6524A (ko) 동백씨오일 아미노프로판디올 아마이드/에스터를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4653513B2 (ja) 皮膚外用剤
KR20180090123A (ko) 리퀴댐버릭 락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610705B2 (ja) 皮膚外用剤
KR20120076168A (ko) 극지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 노화 개선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