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561A -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장치, 판형 공작물을 가공하는 기계,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 및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방법 - Google Patents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장치, 판형 공작물을 가공하는 기계,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 및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561A
KR20190016561A KR1020197000677A KR20197000677A KR20190016561A KR 20190016561 A KR20190016561 A KR 20190016561A KR 1020197000677 A KR1020197000677 A KR 1020197000677A KR 20197000677 A KR20197000677 A KR 20197000677A KR 20190016561 A KR20190016561 A KR 20190016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orkpiece
loading
unload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819B1 (ko
Inventor
마그누스 다이스
피터 이펄린
프랑크 슈마우더
페이비언 객클
옌스 오트나트
하인츠-위르젠 프로코프
슈테판 스트로벨
월터 둥크만
토마스 아이슬
라이너 호온
더크 플라우엔
헤르만 라이니슈
Original Assignee
트룸프 베르크초이그마쉬넨 게엠베하 + 코. 카게
제이. 슈말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룸프 베르크초이그마쉬넨 게엠베하 + 코. 카게, 제이. 슈말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트룸프 베르크초이그마쉬넨 게엠베하 +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1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7Combined feeding and 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1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pneumatic or magnetic engagemen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40/00Machine tools specially suited for a specific kind of workpiece
    • B23Q2240/002Flat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용 로딩 및 언로딩 장치, 패널형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기계, 및 그러한 기계용 공작물 지지대, 및 그러한 기계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로딩 및 언로딩 모듈(31)을 가지되,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은, 절삭되지 않은 공작물 부분 (70)을 들어 올리기위한 수직 상향 지향된 상승 장치 (37), 및 미가공 패널형 공작물 (14)을 유지하기 위한 수직 하향 지향된 그리핑 장치 (38) 를 가진다.

Description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장치, 판형 공작물을 가공하는 기계,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 및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방법
본 발명은 판형 공작물의 분리(seperating) 가공을 위한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로딩과 언로딩 장치를 갖는 판형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판형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기계용 공작물 지지대 및 판형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 상에서 공작물 부분들(parts)을 언로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작물을 가공할 때 가공될 공작물을 지탱하고(bearing) 공작물을 가공할 때 가공물로부터 생성된 가공품을 지탱하기 위한 공작물 지지대를 갖는 판형 공작물을 가공하는 기계가 DE 10 2015 207 122에 공지되어 있으며, 공작물 지지대는 제1 지지부, 추가 지지부 및 공작물 이동 장치를 갖는다. 제 1 지지부는 로딩(loading)측 지지부로서 제공되고 기계의 로딩 영역에 배치된다. 추가 지지부는 로딩 영역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된 기계의 언로딩 영역에 제공된다. 제 1 지지부는 로딩 레벨 및 로딩 레벨 이상의 탈출(evasion) 레벨에서 이동 가능하다. 추가 지지부는 언로딩 영역으로부터 로딩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딩 영역 내의 제 1 지지부 아래에 로딩 장치가 제공되어, 로딩 장치에 의해 미처리된 공작물을 파지하여 상승시키며, 그 동안에, 처리되지 않은 공작물을 로딩 영역 내로 연장된 상기 추가 지지부 상에 적재한다. 그 후, 상기 추가 지지부는 다시 언로딩 영역으로 이동되고, 제 1 지지부는 하강되어, 상기 2 개의 지지부분들이 작동 레벨에 있게 된다.
별도의 핸들링 장치는 제 1 지지부로부터 가공된 공작물 부분들(parts)을 제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가공된 구성요소들(components)을 수동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보다 작은 공작물 부분들은 제 1 지지부와 추가 지지부 사이의 갭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가공된 공작물 부분의 배출은 DE 10 2013 226 818 B4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US 2003/0147729 A1에서 공작물 지지부를 갖는 기계가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핸들링 장치는 공작물 지지부의 옆에 배치된다. 가공되지 않은 공작물은 이 핸들링 장치에 의해 공작물 지지대에 공급된다. 피가공물은 공작물 이동 장치에 의해 공작물 지지부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가공될 피공작물은 가공에 필요한 방식으로 기계의 가공 공구에 대해 수평면으로 공급된다. 판형의 공작물을 가공한 후, 공작물 가공 중에 생성된 가공품 (남은 그리드)은 공작물 이동 장치에 의해 언로딩 측 지지부 상으로 이동된다. 처리된 가공품과 함께, 언로딩 측 지지부는 핸들링 장치의 수평 플랫폼을 가로질러 움직인다. 가공품은 핸들링 장치의 그리퍼(gripper)에 의해 검출된다. 언로딩 측 지지부는 가공품 아래로 인출된다. 처리된 가공품은 중력의 영향에 의해 처리 가공품 아래에 배치된 핸들링 장치의 수평 플랫폼 상에 적재된다.
또한, DE 10 2014 209 811 A1에서 판형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기계가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공작물 하부에 제공된 리프팅 장치는 판형 공작물로부터 공작물 부분을 분리한 후 제거될 공작물 부분에 대해 위치된다. 카운터 브래킷(counter bracket)은 제거할 공작물 부분 위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 한편으로는 리프팅 장치에 의해 공급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카운터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제거될 공작물 부분은, 리프팅 방향으로 제거 동작에 의해 공작물지지 표면에 수직으로 리프팅 장치에 의해 이동된다. 공작물 부분은 카운터 브래킷을 사용하여 로딩 및 언로딩 스테이션으로 이동 및 배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딩과 언로딩 장치, 판형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기계, 공작물 지지대, 공작물과 공작물 부분을 로딩과 언로딩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콤팩트한 구조적 형상 및 이동축과 이동 장치의 다양한 용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공작물 지지대와 관련하여, 자유롭게 분리된 공작물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해 수직 상향으로 정렬된 리프팅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을 갖는 판형 공작물의 분리 가공을 위한 기계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가공되지 않은 판형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 수직 아래쪽으로 정렬된 그리핑(gripping) 장치를 포함한다.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을 지지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지지 스트러트(struts)는 기계 베이스프레임 또는 개별 장치 상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은 로딩 레벨로 하강될 수 있어, 가공되지 않은 공작물을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다음 높은 레벨로 상승되어 공작물의 지지부 상에 판형 재료를 적재하게 한다. 또한,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은 동일한 축을 따라 그리고 동일한 이동 장치에 의해 상승되고, 공작물 지지대의 공작물 지지 표면에 대해 공작물 지지대의 지지 부분 상에 놓인 가공된 공작물을 들어 올리기 위해, 리프팅 레벨로 상승될 수 있다. 지지 스트러트는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이 쉬프트 가능하게(shiftably)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빔을 쉬프트 가능하게 지탱하는 폐쇄 지지 프레임 상에 형성 될 수 있다. 대안 적으로, 지지 스트러트는 상호 연결없이 장착되어 베이스프레임 내에 안내되거나 상호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를 가질 수 있다.
로딩 및 언로딩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리프팅 장치가 위에 위치되고, 그피핑 장치가 지지빔 아래 위치되며, 지지빔은 지지 스트러트 또는 지지 프레임 상에서 쉬프트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작물 지지대를 갖는 기계의 베이스프레임 내로 이러한 로딩 및 언로딩 장치를 통합 할 수 있도록 콤팩트한 구조 형상이 생성될 수 있다.
리프팅 장치 및 그리핑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공통 안내 섹션에 의해 서로 고정적으로 할당되고, 바람직하게는 안내 섹션에 의해 지지빔 상에 장착되고 지지빔을 따라 함께 시프트될 수 있다. 이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컴팩트한 구조 형상에 기여한다. 또한, 리프팅 장치 및/또는 그리핑 장치의 핸들링 작업에 대응하는 위치 설정 및 쉬프트 이동을 위한 제어가 간단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리프팅 장치 및 그리핑 장치가 지지 빔의 종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리프팅 장치가 지지빔에 대하여 로딩 및 언로딩의 종결 위치에서 지지 스트러트 위에 위치된다. 이는 예를 들어, 리프팅 장치가 가공 위치, 예를 들어, 공작물 지지대의 제 1 및 제 2 지지부 사이의 절삭갭(cutting gap)에 인접한 이러한 단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절삭갭의 옆에 위치된 공작물 부분들은 상승 및 언로딩될 수 있다.
다수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이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빔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은, 서로 관련하여 리프팅 장치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큰 표면적을 갖는 리프팅 유닛을 형성하는,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이는 언로딩 과정 중에 높은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빔에 제공된 개별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은 서로 다른 공작물 부분들에 각각 할당되거나 서로 이웃하는 리프팅 장치의 수에 따라 큰 표면적을 갖는 리프팅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빔 상에 배열된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은 공통 구동 장치(drive)에 의해 쉬프트 가능하게 동력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비용 효율적이고 컴팩트한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에 제어 가능한 커플링을 제공하여 지지빔을 따라 쉬프팅 이동을 위해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커플링은 상기 구동 장치(drive)에 결합될 수 있다.
먼저,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을 리프팅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제 1 쉬프팅 경로를 따라 개략적인 위치 설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개랴략적인 위치 설정은 로딩 및 언로딩 모듈용 구동 장치(drive)의 경로 측정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그런 다음 구동 장치(drive)의 경로 측정 장치의 측정값과 절대 측정값의 비교를 통해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정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후, 공작물 지지 표면에 대해 공작물 부분의 안전한 리프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지지빔을 따라 들어 올리는 장치에 대해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정확한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로딩 및 언로딩 장치에 있어서, 지지 스트러트 또는 지지 프레임을 따라 쉬프트 가능하게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빔, 및 이동 가능하고 비구동된 지지빔이, 지지 스트러트 또는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구동 지지빔은 소위 마스터-슬레이브 (master-slave) 원리에 따라 인접한 구동된 지지빔에 의해 충분히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드라이브가 필요없다. 비구동 지지 빔을 당김 방식으로 또한 쉬프트시킬 수 있도록, 2 개의 지지빔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지지 스트러트 또는 지지 프레임을 따라 쉬프트 가능하게 구동되는 2 개의 지지빔 및 다른 2 개의 지지빔 사이의 비구동된 지지빔이, 로딩 및 언로딩 장치 상에 배치됨으로써, 비구동 지지빔은 두 개의 구동 지지빔 중 하나에 의해 양 및 음의 방향으로 각각 푸싱(pushing)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고, 커플링 장치는 필요하지 않다.
또한, 비구동(non-driven) 지지빔이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장치만을 가지되, 리프팅 장치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핑 장치는 커다란 판형 공작물을 사용하여 처짐을 방지하도록 로딩 과정을 지원한다. 자유롭게 분리되거나 가공된 공작물 부분들이 미가공된 공작물보다 작기 때문에,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리프팅 장치의 개수는 그리핑(gripping) 장치의 수보다 적게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비구동 지지빔의 몇몇 그리핑 장치가 지지빔을 따라 쉬프트될 수 있는 운반대(carriage)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그리핑 장치는, 수평 이동될 때, 예를 들어 공작물 이동 유닛의 고정 클로 (clamping claw) 내로 이동할 때, 미가공된 공작물에 의해 역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그리핑 장치 또는 운반대를 시작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복귀 요소, 특히 공압 실린더(pneumatic cylinder) 또는 스프링이, 바람직하게는 지지빔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상기 리프팅 장치는, 상기 구동된 지지빔의 2 개의 리프팅 장치가, 2 개의 구동된 지지빔 및, 리프팅 장치 없이 중간에 놓이는 지지빔의 시퀀스로, 단부면 측에서 서로 (인접하여) 맞닿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빔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많은 양의 공작물 부분들을 파내기(excavate) 위해 몇 개의 리프팅 장치가 사용될 때 폐쇄된(closed) 리프팅 표면이 나타난다.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리프팅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 핀을 갖는 수 개의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핀 모듈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어는 바람직하게는 연장 가능하고 수축 가능한 방식의 제어이다. 이로 인해 리프팅 장치의 크기가 변경될 때, 개별 핀 모듈을 교환하고 추가 핀 모듈에 의해 리프팅 장치를 간단한 방식으로 보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프팅 핀의 연장 방향은 공기압으로 제어된다. 연장되는 리프팅 핀의 수에 따라 개별 리프팅 핀의 가압력이 조정될 수 있다. 각 리프팅 핀은 예를 들어 100 뉴턴의 힘을 가할 수 있다. 여러 개의 리프팅 핀을 사용하여 공작물 부분을 들어 올리면, 전체 힘이 고정된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도록 개별 리프팅 핀의 힘은 제한될 수 있다.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그리핑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부재, 특히 진공 흡입컵을 포함한다. 그리핑 장치의 수직 쉬프트 이동의 결과로서, 가공되지 않은 공작물의 스택(stack)으로부터 미가공된 공작물을 파지하고 들어 올릴 때, 올려질 공작물과 스택에 남아있는 공작물 사이에 증가된 접착력이 있더라도, 제거 전략이 가능하게 된다. 소위 스케일링 과정(scaling process)은 지지빔을 따라 여러 그리핑 장치의 시간 오프셋(time-offset) 수직 이동에 의해 시작되고 수행될 수 있다.
리프팅 핀의 이동과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그리핑 장치의 수직 이동은 공통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성이 보다 간단해지고 보다 콤팩트한 구조적 형태가 획득된다.
그리핑 장치에 인접하여, 홀드-다운(hold-down) 장치는 로딩 및 언로딩 모듈 상에 수직 방향으로 아래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승될 공작물은 공작물 스택으로부터 공작물의 스케일링을 지지하기 위해 그리핑 장치의 수직 상승 운동 중에 눌려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될 공작물을 지탱하고 가공된 공작물을 지탱하는 공작물 표면을 갖는 판형 공작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작물 표면 아래로 또는 상기 공작물 표면에 인접하여 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로딩 및 언 로딩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여기서 공작물 표면 또는 공작물 지지대의 표면 부분이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장치 위아래에서 수평으로 쉬프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제 1 실시 예에서, 상기 공작물 지지대는 제 1 지지부 및 추가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추가 지지부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장치는 제 1 지지부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로딩 및 언로딩 장치는 공간 절약 방식으로 기계의 기계베이스 프레임 내에 통합되고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스트러트 또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지지 프레임은 공작물 지지대의 제 1 지지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지지부는 높이에 관하여 로딩 및 언로딩 장치와 함께 쉬프트될 수 있어서, 추가 지지부는 미가공 공작물을 로딩하기 위해 제 1 지지부 아래 및 로딩 및 언로딩 장치 아래의 수평 쉬프팅 운동에 의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스트러트 또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지지 프레임은 추가 지지부가 그 위에 설정된 공작물을 갖는 그리핑 장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향 이동 가능해야 한다.
두 번째 대안, 특히 기존 기계에 따르면, 기계 베이스프레임 또는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 옆에 있는 고유한 프레임에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배치가 가능하여 로딩 및 언로딩이 자동화되므로, 이를 통해 사이클 시간 감소 및 프로세스 시간 최적화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요구 사항은 공작물 지지대 또는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수평으로 쉬프트되어,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위와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공작물 지지대 또는 기계의 지지부가, 각각 갭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몇 개의 프로파일 바디(profile bodies)에 의해 형성되고, 리프팅 장치가 신장 및 수축을 위한 몇 개의 리프팅 핀을 가질 때, 프로파일 바디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어, 상기 간격이 상기 갭들의 간격에 상응하므로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하나의 유연한 위치 설정이 가능해진다. 프로파일 바디들 사이의 갭에 평행한 방향으로,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은 임의의 스텝-레스(step-less, 덜한 단계)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프로파일 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공작물지지 표면을 갖는 판형 공작물의 분리 가공을 위한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에 의해 또한 해결되며, 각각은 각각 2 개의 인접한 프로파일 바디 사이에 갭을 형성한다. 프로파일 바디 각각은 공작물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볼 또는 롤러를 수용하거나, 또는 프로파일 바디를 따라 연장되고 공작물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공작물이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 요소를 수용한다. 이러한 공작물 지지대는 공작물 지지 표면의 프로파일 바디가 연장되는 X-Y 평면상의 방향으로 리프팅 장치의 리프팅 핀을 스텝-레스 방식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X-Y 평면의 방향으로, 공작물 지지대의 그리드 또는 홀(hole) 패턴과 독립적으로, 리프팅 위치는 리프팅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스텝없이 가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 바디들 사이에 형성된 갭은 기계의 가공 툴의 (주) 쉬프트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공작물 지지대 또는 지지대 부분 상에 판형 공작물의 생성된 쉬프트 이동은 XY 평면에서의 갭에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배치는 들어올릴 공작물 부분과 관련하여 리프팅 장치를 배치할 때 최대한의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 리프팅 장치가 공작물 표면의 갭의 그리드 상에 결합되고 스텝-레스 방식으로 위치될 수 없는, 갭에 직각인 방향에서, 공작물 (부분)은 스텝-레스 방식으로 션트될(shunted) 수 있다. 그 결과, 공작물 표면의 그리드에도 불구하고 공작물 부분에 대해 리프팅 장치의 스텝-레스 방의 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 바디들은 길이 방향 연장 방향으로 굴곡진 강성이 되도록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더 큰 공작물 지지 표면도 스팬될(spanned) 수 있고 평면 지지 표면이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파일 바디들은 직사각형 튜브 또는 T 자형 또는 H 자형 프로파일 바디로 형성된다. 프로파일의 충분히 굴곡진 강성을 보장하기 위해, 프로파일 바디의 폭에 대한 프로파일 바디의 길이의 비가 1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파일 바디는 따라서 프로파일 바디의 길이에 따라 최소폭을 갖도록 하여, 맞닿는 공작물의 이동 중에 마찰력에 의해 너무 크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공작물 지지 표면에 수직인 프로파일 바디의 충분한 굴곡진 강성을 얻기 위해, 프로파일 바디의 높이에 대한 길이의 비율은 100 미만이다.
프로파일 바디- 예를 들어, 공작물지지 표면의 중간이 교차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 여기서 설명한 임계값을 초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차 부재는 리프팅 핀의 위치 결정시 유연성을 감소시킨다. 리프팅 핀의 영향에 대한 데드 존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프로파일 바디는 바람직하게는 단부면 측이 브러시(brush) 요소가 제공된 공작물 지지 표면에 평행하게 정렬된 단부면 측을 갖는다. 그 결과, 가공될 공작물을 저마찰 방향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공작물 지지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브러시 요소가 수 개의 강모 번들들(bristle bundles)를 포함하고, 브러시 요소(element)의 외부 종 방향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강모 번들의 적어도 하나의 행(row)이 수직 정렬에 대해 측 방향 외향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작물 지지대의 수직으로부터 시작하여 이들 강모 번들의 경사각은 바람직하게는 45° 아래에 있으므로, 공작물 지지대를 가로 질러 이동된 공작물이 강모 번들과 걸리지 않는다.
프로파일 바디 상의 이들 브러시 요소의 결과로서, 이들 사이의 갭은 감소될 수 있어서, 충분히 밀폐된(sealed) 공작물 지지대가 형성되고, 어떤 윤곽이든 공작물들은 구부리지 않아도 공작물 지지대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비브러시 갭(unbrushed gap)이 공작물 지지대의 임의의 지점에 형성되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도 상기 갭을 따라 두 브러시 요소 사이에 남아있는 공간은 10mm보다 작아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갭을 통해 맞닿는 공작물 부분에 작용하는 리프팅 장치의 위치 설정을 위한 충분한 유연성을 보장하기 위해, 프로파일 바디들 사이에 형성된 갭들의 갭들 중심의 간격은 100 mm보다 작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형 공작물의 분리 가공을 위해 이전 단락에서 설명된 기계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수직 이동 및 공작물 지지대 또는 공작물 지지대의 지지부의 수평 이동은,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장치와 함께 자유롭게 분리된 공작물 부분의 언로딩, 및 새로운 공작물로의 공작물 지지대의 로딩 사이에 발생한다. 이에 따라 공작물 지지대 또는 공작물 부분은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의 결과로서, 이동 축 및 구동 장치(drive)의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법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프로파일 바디를 갖는 공작물 지지대 상에 구현되고, 프로파일 바디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 장치를 갖는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은 공작물 지지대에 접촉하고 들어 올려질 공작물 부분 아래의 언로딩 위치에 배치된다.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리프팅 장치가 리프팅 핀들을 갖는 경우, 공작물 부분을 리프팅하는 리프팅 핀들은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 내의 프로파일 바디들 사이에 형성된 갭들을 통해 안내될 수 있고, 들어 올려질 공작물 부분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이송될 수 있다. 이는 프로파일 바디에 평행한 방향으로 리프팅 장치를 유연하고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리프팅 장치의 리프팅 핀들은 예를 들어, 리프팅 장치로부터 연장 이동 중에, 적어도 지지부에 대해 공작물 부분의 아래쪽으로 이송되는 동안, 2 개의 프로파일 바디 사이의 각각의 갭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들어 올릴 때 몇 개의 리프팅 핀이 공작물 부분에 접하거나 맞물리면 틸트(tilt)없는 리프팅이 발생할 수 있다. 공작물 부분을 들어 올리려면, 승강 핀으로 공작물 부분을 들어 올리기 전에 유지(holding) 요소가 공작물 부분 위에서 위로부터 이동되고, 이 유지 요소가 그리핑(gripping) 위치로 이송된 다음, 리프팅 핀의 리프팅 운동이 제어되고, 리프팅 핀이 리프팅될 공작물 부분의 하부 측상의 지지부에 대해 안내되고, 이어서 유지 요소 및 리프팅 핀들이 공작물 지지 표면에 대해 함께 위로 안내된다. 결과적으로 안전한 리프팅이 이루어진다. 공작물 부분의 아래쪽에서 작용하는 리프팅 핀들에 의해 공작물 부분이 잔여 그리드(grid)에 걸리거나 걸리지 않고 들어 올려지도록 보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리프팅 핀들의 리프팅 운동은, 공작물 부분이 공작물 지지대에 대해 상승되고, 그 다음에 유지 요소가 공작물 부분 위로 제공되어, 잔여 그리드와 관련하여 상승된 공작물과 결합하여 예를 들어 언로딩 스테이션으로 이송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 예 및 전개는 도면들에 도시된 예들을 사용하여 다음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고 설명된다.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취해질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 표시된다:
도 1은 2 부분의 공작물 표면을 갖는 시트(sheet)를 절단하기 위한 기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의 제 1 지지부의 사시도.
도 3은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지지빔 상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사시도.
도 6은 지지빔 상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의 그리핑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작업 위치에 있는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지지빔 상의 다수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들의 배열의 사시도.
도 9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서로 옆에 배열된 몇몇 지지빔들의 사시도.
도 10은 제 1 및 추가 지지부의 공작물 지지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다양한 작업 상황에서 도 1에 따른 기계의 사시도.
도 15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다른 배치를 갖는 도 1에 따른 기계의 사시도.
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 기계로 형성될 수 있는, 기계 (1)가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로딩 영역 (2)과 언로딩 영역 (3)을 가진다. 가공 스테이션 (4)은 로딩 영역 (2)과 언로딩 영역 (3) 사이에 배치된다. 가공 스테이션 (4)은 포털 캐리어 (6)를 갖는 포털형 가이드 구조체 (5)를 포함한다. 가공 헤드 특히 레이저 커팅 헤드 (7)는 포털 캐리어 (6)를 따라 제 1 축 방향 (Y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워터 제트 절단 기계, 레이저 용접 기계, 펀칭 기계 또는 결합된 펀칭-레이저 절단 기계는 도 1에 따른 기계 (1)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기계(1)의 포털 캐리어 (6) 아래에, 가공 스테이션 (4)의 양 측면 상에 공작물 지지대 (8)가 연장된다. 공작물 지지대 (8)는 두 부분으로 형성되고, 제 2 축 방향 (X 축 방향)으로 로딩 측 지지부 (9)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추가 지지부 (10)뿐만 아니라 로딩 측 지지부 (9)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추가 지지부 (10)는 기계 (1)의 언로딩 영역 (3)에 배치된다.
도 1에서, 로딩 측 지지부 (9)는 기계(1)의 베이스프레임 (23)의 일부인 기계 (1)의 프레임 형 지지 구조체 (11) 상에 지지되어 있다. 도 1에서 가려진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 (도 2 및 도 3)는 로딩 측 지지부 (9) 아래에 배치된다.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는 도시된 예에서는 강판 팔레트 (13) 위에 공작물 장착부 위에 배치된다. 가공되지 않은 판형 공작물 또는 강판 (14)은 강판 팔레트(pallet) (13) 상에 적재된다. 대안적으로, 이미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공된 공작물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강판 팔레트 (13)는 프레임 형 지지 구조체 (11)의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에서 레일 (15)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제품 적재물로서 제공되는 잔여(remaining) 그리드 팔레트 (16)는 레일 (17)상의 기계 (1)의 언로딩 영역 (3)에서 프레임 형 지지 구조체 (11) 내부의 위치와 프레임 형 지지 구조체 (11) 외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 될 수 있다. 잔여 그리드 팔레트 (16)는 잔여 그리드들 (18)의 형태로 가공 제품들을 지탱한다.
또한, 도 1은 지지 구조체 (11)를 따라 X 방향으로 전동식으로 쉬프트 가능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공작물 이동 장치 (19)를 도시한다. 공작물 이동 장치 (19)의 클램핑 클로우(claws) (20)는 강판 (14) 또는 공작물 이동 장치 (19) 상의 잔여 그리드 (18)의 클램핑 고정을 제공한다.
로딩 영역 (2)의 지지부 (9)는 도 2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지지부 (9)의 공작물 지지대 (8)는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 (9)의 공작물 지지대 (8) 아래에 배치된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가 보인다.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는 기계 베이스프레임 (23) 상에 전동식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는 2 개의 지지 스트러트(struts) (26)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기계 베이스 프레임 (23)의 돌출부에 놓이는 지지 프레임 (25) (도 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 (25)은 2 개의 지지 스트러트 (26) 및 2 개의 교차-빔 (27)에 의해 전체 주위가 밀폐된(sealed) 프레임으로서 형성된다. 두 개의 교차-빔 (27) 사이에서 Y-방향 전후로 쉬프트 가능한 지지 스트러트 (26) 상에 수 개의 지지빔 (29)이 수용된다. 3 개의 지지 빔 (29) 중 2 개의 지지 빔 (29)은 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하나 이상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이 모터 구동지지 빔 (29) 상에 제공된다. 두 개의 구동된 지지 빔 (29) 사이에서 쉬프트 가능하게 위치되는 비구동 지지 빔 (30)은 하나 이상의 그리핑 장치 (33)를 수용한다. 예를 들어, 지지 빔 (30)을 따라 쉬프트될 수 있는 3 개의 그리핑 장치 (33)가 캐리지 (34) 상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지 (34)는 동력을 공급받지 않는다. 캐리지 (34)가 가공되지 않은 공작물 (14)을 공작물 이동 장치(19)의 클램핑 클로우 (20) 내로 쉬프트 할 때, 캐리지 (34)가 시작 위치와 다른 위치로 이송된다면, 캐리지 (34)가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공압 실린더(pneumatic cylinder)에 의해 시작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지지빔들 (29)은 보다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지지 스트러트 (26)를 따라 제어 가능하게 쉬프트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 1 및 제 3 지지빔 (29) 상에 결합되는 벨트 구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빔들 (29)과 벨트 구동 장치 사이에 제어 가능한 커플링이 각각 제공되어 쉬프트 이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중심 지지빔 (30)은 외부 지지빔들 (29) 중 하나에 의해 강제로 이동될 수 있다.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은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을 안내하기 위해 지지빔 (29)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안내 섹션 (36)을 구비한다. 리프팅 장치 (37)는 안내 섹션 (36) 위에 배치되고, 그리핑 장치 (38)는 안내 섹션 (36) 아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리프팅 장치 (37)와 그리핑 장치 (38)는 측판들(side plates) (39)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위치된다. 리프팅 장치 (37) 및 그리핑 장치 (38)는 지지빔 (29)의 종 방향에서 볼 때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도 5는 지지빔 (29) 상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다.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은 선형 가이드 (41)에 의해 지지빔 (29)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리프팅 장치 (37)는 직렬로 배열되어 제공되는 수 개의 핀 모듈 (42)을 포함한다. 각각의 핀 모듈 (42)은 예를 들어 3 개의 리프팅 핀 (43) (도 7)을 포함하며, 이들은 핀 모듈 (42)에서 공통 종축으로 배열된다. 핀 모듈 (42)의 길이 방향 축은 지지빔 (29)의 종 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직렬로 배열된 핀 모듈들 (42)은 Y 방향으로, 즉 지지빔 (29)의 쉬프트 방향에 평행하게 또는 지지빔 (29)의 폭에 걸쳐 지지빔 (29)의 종축을 가로질러 뻗어있다. 각각의 핀 모듈 (42)의 핀 (43)을 연장 및 수축시키기 위해, 이들은 공압 식으로 구동된다. 각각의 개별 리프팅 핀 (43)이 핀 모듈 (42)에서 개별적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핑 장치 (38)의 흡입(suction) 요소 (45)는 리프팅 장치 (37)에 대향하여 놓이고 아래를 향한다. 이 흡입 요소 (45)는, 예를 들면 진공 흡입컵으로서 형성된다. 흡입 요소 (45)는 구동 장치 (46)에 의해 수직으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지지빔 (29)의 대향 측면 상에 유리하게 그리핑 장치 (38)에 인접하여, 흡입 요소 (45)와 동일한 레벨에 제공되고 지지 롤러 (49)를 갖는 유지 장치 (48)가 제공된다.
도 6에 따른 지지빔 (29)의 아래에서 본 도면으로부터, 로딩 및 언로딩 모듈 (들)이 지지빔 (29)을 따라 모터에 의해 쉬프트될 수 있는 드라이버 (51)가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벨트 구동 장치에는 구동 벨트 (52)가 제공되며, 여기서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은 쉬프트 이동을 위해 구동 벨트 (52)에 연결될 수 있다.
연장된 리프팅 핀 (43)을 갖는 리프팅 장치 (37)의 도면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핀 모듈 (42)의 모든 리프팅 핀 (43)은 리프팅 핀 (43)이 완전히 연장된 작동 위치 (44)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빔 (29) 상에 배열된 다수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로, 이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빔 (29) 상에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리프팅 장치 (37) 또는 핀 모듈 (42)은 들어 올릴 큰 공작물 부분들을 위한 넓은 표면적을 갖는 리프팅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안내 섹션 (36)은 도 8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들이 서로 결합하거나 서로 위에 있도록 배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더 큰 리프팅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의 또 다른 배열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2 개의 외측의 모터 구동 지지빔 (29)은 서로를 향해 이동된다. 여기서, 좌측 및 우측 지지빔 (29)의 리프팅 장치 (37)의 각각의 단부면 측(sides)은 서로 밀착해 놓이고 비구동 지지빔 (30)을 스팬(span)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비구동 지지빔 (30)의 폭의 절반에 걸쳐 지지빔 (29)의 종방향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핀 모듈 (42)이 선택될 수 있다.
도 2의 공작물 지지대 (8)의 개략 단면도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공작물 지지대 (8)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프로파일 바디 (56)로부터 형성되며, 이들 프로파일 바디들은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갭 (57)과 함께 서로에 상대적인 위치에 배치된다. 프로파일 바디 (56)의 길이 방향 축은 Y-방향으로 정렬된다. 프로파일 바디 (56)는 길이 (I) (도 2)와 함께 공작물 지지대 (9)의 프레임 (58)까지 연장된다. 프로파일 바디 (56)는 예를 들어 폭 (d) 및 높이 (h)를 갖는 직사각형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파일 바디 (56)의 폭 (d)에 대한 프로파일 바디 (56)의 길이 (I)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100보다 작게 형성된다. 특히, 이러한 비율로, 인접한 공작물 (14) 또는 공작물 부분 (70)의 움직임으로 작용하는 힘을 수용하기 위해, 강성의 공작물 지지대 (9)를 전체적으로 형성하는 굴곡진 강성 프로파일 바디 (56)가 형성된다. 이들 직사각형 튜브는 공통 프레임 (58) 상에 또는 공통 프레임 (58) 내에 배열되고, 종방향 측면이 갭 (57)을 형성하도록 정렬되고, 상부 좁은 측 또는 단부 측 (65)은 브러시 요소 (59)에 대한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갭 폭 (57)은 리프팅 핀 (43)의 직경보다 크며, 갭 폭은 리프팅 핀 (43)의 직경의 1.5 배 내지 3 배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에 대한 갭 (57)의 간격 (68), 즉 갭 중심점의 간격은 100 mm보다 작다.
브러시 선반(ledge)의 형태로 형성된 브러시 요소 (59)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브러시 번들들 (61)을 가지며, 이들은 함께 공작물 지지대 (8)의 공작물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브러시 번들 (61)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행(row)은 브러시 요소 (59)의 길이 방향 측면을 따라 수직선에 대해 각도(α)로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정렬된다. 각도 α는 45°보다 작다. 바깥쪽으로 향한 이 브러시 번들 (61)은 갭의 폭 (57)을 감소시켜서, 공간 (67)이 10mm의 값 아래에 유지되게 하여, 그것에 밀착된 공작물 부분 (70)을 위한 충분히 밀폐된(sealed) 공작물 지지 표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공작물 지지 평면 또는 공작물 지지 표면에 대해 공작물 부분 (70)을 들어 올리기 위해, 리프팅 핀 (43)은 갭 (57)을 통해 위쪽으로 안내되고 브러시 번들 (61)을 지나서 안내될 수 있어, 공작물 지지대 (8)에 대한 공작물 부분 (70)의 들어 올리기가 가능해진다.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로 미가공된 공작물 또는 강판(sheet steel) (14)을 로딩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공된 공작물 (70)을 언로딩하기 위한 작업 시퀀스는 아래의 도 11 내지 도 1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에 따른 제 1 지지부 (9) 및 추가 지지부 (10)의 배열에 기초하여 강판 (14)으로 기계 (1)의 공작물 지지대 (8)를 로딩하기 위해,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는 낮은 호이스팅 레벨(hoisting level)로 낮아짐으로써, 로딩 및 언로딩 모듈(31)의 그리핑 장치 (38)에 의해 공작물 적재물 상에 제공된 강판 (14)이 파지된다. 그 다음,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는 로딩 레벨로 상승되고, 제 1 지지부 (9) 또한 동시에 상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지지부 (9)의 프레임 (58)은 지지면 또는 기계 베이스프레임 (23) 상의 지지점으로부터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의 지지 프레임 (25)에 의해 상승되어 상향 이동된다. 후속적으로, 추가 지지부 (10)는 적재 영역 (2) 내로 들어가고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 (도 11) 아래에 위치된다. 다음에, 강판 (14)은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에 의해 추가 지지부 (10) 상에 적재되어 공작물 이동 장치 (19)의 클램핑 클로 (20) 내로 밀어진다. 진공을 제거한 후에, 추가 지지부 (10)는 공작물 이동 장치 (19)와 함께 언로딩 영역 (3)으로 이동한다. 지지부 (9)는, 지지부 (9)와 추가 지지부 (1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레벨에 위치되도록 작업 레벨로 낮추어진다. 그 다음에, 더 자세하게 및/또는 개별 공작물 부분 (70)으로 도시되지 않은 강판 (14)의 가공이 발생한다. 보다 작은 공작물 부분들은 제 1 및 추가 지지부 (9, 10) 사이의 갭을 통해 기계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보다 큰 공작물 부분 (70)을 언로딩하기 위해,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은, 리프팅 장치 (37)가 공작물 지지부 (8)의 하부에 직접 접촉하여 위치되는 리프팅 레벨 상에 위치된다(도 13). 그 이후 또는 동시에, 유지 요소 (63)는 유지 요소 이동 장치 (64)의 수단들에 의해 들어 올릴 공작물 부분 (70) 위에 위치된다. 유지 요소 (63) 또는 유지 요소 (63)는 상승되어 당겨지도록 공작물 부분 (70) 상에 낮추어진다. 핀 모듈 (42)의 리프팅 핀 (43)은 공작물 지지대 (8)의 프로파일 바디들 (56) 사이의 갭 (57)을 통해 안내되어 공작물 부분 (70)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연장을 위해 공작물 부분 (7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어된다. 유지 요소 (63)는 바람직하게는 흡입 그리핑컵으로서 형성되어 공작물 부분 (70)을 파지한다. 이어서, 공작물 부분 (70)은 유지 요소 (63)와 함께 수직 상향(Z 방향)으로 이동된다. 리프팅 핀 (43) 상에 가압 작용하는 가압력(pressure force)으로 인해, 나머지 그리드 (18)와 관련하여 적절하게 공작물 부분 (70)의 리프팅 운동이 지지된다. 공작물 부분 (70)을 나머지 그리드 (18)와 함께 캔팅 (canting) 또는 후킹 (hooking)하는 경우에, 공작물 부분 (70)의 해제가 얻어질 수 있다. 그 다음, 유지 요소 (63)는 지지부 (9,10)의 외측 영역으로 이동되고, 공작물 부분 (70)이 적재된다. 예를 들어, 스태킹(stacking) 장치 또는 수납 장치 또는 팔레트(pallets)는 가공된 공작물 부분 (7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기계 베이스프레임 (23)의 단부면 측(66)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모든 절삭된 공작물 부분 (70)은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로 언로딩 공정에 의해 언로딩 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 (9)와 지지부 (10) 사이의 틈을 통해 안내될 수 없는 크기의 공작물 (70)만이 언로딩될 수 있다.
그 다음, 나머지 그리드 (18)는 언로딩 영역 (3)으로 이송된다. 언로딩 영역 (3) (도 14)에 배열된 나머지 그리드 (18)로부터 시작하여, 제 1 지지부 (9)는 적재 레벨로 상승된다. 추가 지지부 (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로 이동된다. 그 다음, 나머지 그리드 (18)는 아래쪽으로 공급되고 나머지 그리드 팔레트 (16) 상에 적재될 수 있다. 추가 로딩 싸이클이 시작될 수 있다.
기계 베이스프레임 (23)에 대해 위치된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를 갖는 기계 (1)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이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는 개별 프레임 (72)을 가지며, 예를 들어 기계 베이스프레임 (23)의 단부 측 (66)에 할당된다. 미가공된 공작물 또는 강판 (14) 및 절삭된 공작물 부분들 (70)의 로딩 및 언로딩 공정은 도 11 내지 도 14에 따라 전술한 절차와 유사하게 일어나며, 이 실시 예에서, 도 11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기계 (1)의 로딩 영역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 (9)만이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 내로 연장 및 수축하거나 지지 프레임 (25)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도록 X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해야 한다. 또 다른 대체 기계 (1)에서, 공작물 지지대 (8)는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쉬프트될 수 있다.
기계 (1)에 대한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의 개별 할당은 자동 로딩 및 언로딩으로 인해 처리 시간이 소급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26)

  1. 판형 공작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에 있어서,
    특히, 지지 프레임 (25) 상에 형성되고 베이스프레임 (23, 72)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배열된 2 개의 지지 스트러트 (26);
    상기 지지 스트러트 (26) 상에 수평 쉬프트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빔 (29); 및
    상기 지지 스트러트 (26) 상에 쉬프트 가능하게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을 포함하며,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은 자유롭게 분리된 공작물 부분 (70)을 상승시키기 위해 수직 상향으로 정렬된 리프팅 장치 (37), 및 미가공 판형 공작물 (14)을 유지하기 위해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배열된 그리핑 장치 (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 (37)는 상기 지지빔 (29)의 위쪽에 위치되고 상기 그리핑 장치 (38)는 상기 지지빔 (29)에 대해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3.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 (37)와 상기 그리핑 장치 (38)는, 공통 안내 섹션 (36)의 수단들에 의한 고정 방식으로 서로 할당되고, 상기 안내 섹션 (36)에 의해 지지빔 (29) 상에 쉬프트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4.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 (37)는 지지빔 (29)의 종방향으로 그리핑 장치 (28)에 대하여 오프셋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리프팅 장치 (37)가 상기 지지빔 (29) 상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지지 스트러트 (26)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5.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트러트 (29) 상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다수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은, 리프팅 장치 (37)가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서로에 대한 위치로 이송 가능하며, 큰 표면적을 갖는 리프팅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6.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스트러트 (26)를 따라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지지빔 (29)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고 비구동 지지빔 (30)이, 지지 스트러트 (26)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동 지지빔 (30)이, 단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리핑 장치들(3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동 지지빔 (30)의 복수의 그리핑 장치 (38)는, 지지빔 (30) 상에 안내되는 캐리지 (34) 상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복귀 요소로 시작 위치에 복귀되도록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9.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팅 장치 (37)는, 일련의 2 개의 구동된 지지빔들 (29) 및 그 사이의 비구동 지지빔 (30)과 함께, 상기 구동된 지지빔들 (29)의 2 개의 리프팅 장치 (37)가 단부면 측에서 서로 맞닿는 방식으로, 지지빔 (29)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0.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팅 장치 (37)는, 수축 및 연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리프팅 핀 (43), 바람직하게는 리프팅 핀 (43)의 수축 방향이 공기압으로 제어되는, 수 개의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핀 모듈들 (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1.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핑 장치 (38)는 수직 방향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요소 (4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 (37)의 제어 및 상기 그리핑 장치 (38)의 수직 이동을 위한 공통 압축 공기 공급 장치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3.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장치 (48)는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 상에서 수직 하향으로 정렬된 상기 그리핑 장치 (38)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4. 공작물 (14)의 가공 중에 가공될 공작물 (14)을 지탱하고 가공된 공작물 부분 (70)을 지탱하기 위한 공작물 지지대 (8)를 갖는 판형 공작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1)로서,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는 공작물 지지대 (8)에 인접해 아래 또는 측면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공작물 지지대 (8) 또는 공작물 지지대 (8)의 지지부 (10)는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의 위아래에서 수평으로 쉬프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공작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
  15. 제14항에 있어서,
    공작물 지지대 (8) 또는 상기 기계 (1)의 지지부 (9)의 공작물 지지 표면은 갭 (57)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의 프로파일 바디 (56)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프로파일 바디 (56)는 상기 프로파일 바디 (56)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볼 또는 롤러 또는 브러시 요소 (59)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공작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 (37)는 갭 (57)의 간격에 상응하는 프로파일 바디 (56)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간격을 갖는 수축 및 연장을 위한 복수의 리프팅핀 (4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공작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작물 지지대 (8)의 지지부 (9)의 하방에는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가 배치되고,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에 의해 상기 지지부 (9)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공작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
  18. 판형 공작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1), 특히 제14항에 따른 기계(14)를 위한 공작물 지지대에 있어서,
    공작물 지지대 (8)의 공작물 지지 표면은, 갭 (57)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의 프로파일 바디 (56)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프로파일 바디(56)는 프로파일 바디 (56)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볼 또는 롤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 요소 (59)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지지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바디 (56)는 종방향의 연장 방향으로 굴곡진 강성이며, 특히 직사각형이나 다각형 튜브 또는 T 또는 H 형상 프로파일 바디 (56)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지지대.
  20. 제19항에 있어서,
    프로파일 바디 (56)의 폭에 대한 프로파일 바디 (56)의 길이의 비는 150보다 작고, 특히 프로파일 바디 (56)의 높이에 대한 프로파일 바디 (56)가 10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지지대.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바디 (56)는, 단부면 측 (65)에 브러시 요소 (59)가 제공되는 공작물 지지 표면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단부면 측 (65)을, 바람직하게는 교환 가능하게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지지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요소 (59)는 강모 번들들 (61)의 다수의 갭 및/또는 행(row)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요소 (59)의 외측 종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강모 번들 (61)의 행이 수직 정렬에 대해 옆에서 내측으로 경사져있으며, 특히 공작물 지지대 (8)에 수직에 대한 각도(α)가 45 ° 보다 작게 옆에서 내측으로 경사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지지대.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갭 (57)을 따라 2 개의 브러시 요소 (59) 사이에 남아있는 공간 (67)은 10mm보다 작거나, 2 개의 브러시 세그먼트 (59)에 의해 상기 갭 (57)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지지대.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갭(57)에 해당하는 갭들의 중심 간 간격 (68) 이 100mm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지지대.
  25. 제14항에 따른 기계(1)의 공작물 지지대 (8) 상에 공작물들(14)과 가공된 공작물 부분을 로딩 및 언로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의 수직 이동과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 위 또는 아래의 공작물 지지대 (8) 또는 공작물 지지대 (8)의 지지부 (10)의 수평 이동이,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듈 (31)의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장치 (37)에 의한 자유롭게 분리된 공작물 부분 (70)의 언로딩과 공작물 지지대 (8))에 새로운 공작물 (14)의 로딩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 (37)는 리프팅 핀들 (43)을 가지며, 상기 리프팅 핀들 (43)은 공작물 부분 (70)을 들어 올리기 위해 공작물 지지대 (8)의 갭 (57)을 통해 안내되고 공작물 부분 (70)의 하부에 접촉하여 들어 올려지도록 이송되며,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 (63)로 공작물 (70)을 들어 올릴 때, 상기 리프팅 핀들 (43)은 가압력으로 공작물 지지대 (8)에 대해 상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방법.
KR1020197000677A 2016-06-08 2017-05-29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장치, 판형 공작물을 가공하는 기계,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 및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방법 KR102374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0542.2A DE102016110542B4 (de) 2016-06-08 2016-06-08 Be- und Entladevorrichtung für eine Maschine, Maschine zum Bearbeiten vo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sowie Werkstückauflage für eine solche Maschine und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einer solchen Maschine
DE102016110542.2 2016-06-08
PCT/EP2017/062928 WO2017211611A1 (de) 2016-06-08 2017-05-29 Be- und entladevorrichtung für eine maschine, maschine zum bearbeiten vo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sowie werkstückauflage für eine solche maschine und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einer solchen 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561A true KR20190016561A (ko) 2019-02-18
KR102374819B1 KR102374819B1 (ko) 2022-03-17

Family

ID=5903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677A KR102374819B1 (ko) 2016-06-08 2017-05-29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장치, 판형 공작물을 가공하는 기계,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 및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92167B2 (ko)
EP (1) EP3468730A1 (ko)
JP (1) JP7034147B2 (ko)
KR (1) KR102374819B1 (ko)
CN (1) CN109562431B (ko)
DE (1) DE102016110542B4 (ko)
WO (1) WO2017211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7122B3 (de) * 2015-04-20 2016-06-02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zeugmaschine mit einer Werkstückauflage und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einer Werkstückauflage einer Werkzeugmaschine
DE102017223574A1 (de) * 2017-12-21 2019-06-27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Verfahren zum Anheben eines plattenförmigen metallischen Werkstücks sowie Be- und/oder Entladevorrichtung
US11919152B2 (en) 2018-09-20 2024-03-05 Trumpf Maschinen Austria Gmbh & Co. Kg. Vacuum gripper, feed unit, and method for conveying flat components
DE102019004849B3 (de) * 2019-07-12 2020-12-31 Stopa Anlagenbau GmbH Justiervorrichtung zum Ausrichten von Blechstapeln und Justiersystem mit einer solchen Justiervorrichtung
CN112659014A (zh) * 2020-12-15 2021-04-16 芜湖通和汽车管路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管路用管件加工辅助工装
CN113681395A (zh) * 2021-09-29 2021-11-23 云南汇恒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光学镜片铣磨自动上下料装置
CN114178755B (zh) * 2021-12-27 2024-05-31 佛山市艾乐博机器人股份有限公司 五金容器复底对中移栽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075A (ko) * 1999-02-19 2000-09-25 안자키 사토루 열절단가공기에 있어서의 집진덕트장치 및 공작물의열절단가공방법
JP2001087829A (ja) * 1999-09-22 2001-04-03 Amada Co Ltd プレスブレーキ等のワークサポートテーブル
KR200435906Y1 (ko) * 2006-12-29 2007-03-14 한재형 소재 운반용 3차원 프레스 로봇
KR20150128504A (ko) * 2014-05-10 2015-11-18 주식회사 하기시스템 공작물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와 이를 채용하는 공작기계 장치
DE102015207122B3 (de) * 2015-04-20 2016-06-02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zeugmaschine mit einer Werkstückauflage und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einer Werkstückauflage einer Werkzeug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7333A (ja) * 1990-11-20 1992-07-06 Amada Co Ltd 板材加工装置の分離板材取出し装置
IT1267490B1 (it) * 1994-11-09 1997-02-05 Sapim Amada Spa Dispositivo di presa e movimentazione di pezzi di materiale in foglio e manipolatore di pezzi di materiale in foglio comprendente tale
IT1281070B1 (it) * 1995-12-12 1998-02-11 Crea Srl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il carico e lo scarico automatico di pezzi di lamiera.
US6835040B2 (en) * 2001-11-09 2004-12-28 Neil Quiring Laser cutting plate conveyor
US6606531B1 (en) 2002-02-07 2003-08-12 Trumpf, Inc. Sheet material loader/unloader for machine tools
DE102010031001A1 (de) 2009-07-31 2011-07-21 TRUMPF Sachsen GmbH, 01904 Maschinelle Anordnung, Flurförd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Handhaben eines Werkstückes für eine Werkzeugmaschine und Werkstückauflage für eine Werkzeugmaschine
CN102019329A (zh) * 2009-09-17 2011-04-20 张联合 一种新型数控冲床送料装置
CN102862805A (zh) * 2011-07-08 2013-01-09 无锡尚德太阳能电力有限公司 用于生产线的自动装卸载设备
DE102012207818A1 (de) * 2012-05-10 2013-11-14 Trumpf Sachs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ennen von Bearbeitungsprodukten an einer Werkzeugmaschine
DE102013226818B4 (de) 2013-12-20 2015-07-30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Maschine zum trennenden Bearbeiten vo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DE102014209811B4 (de) 2014-05-22 2016-07-28 J. Schmalz Gmbh Vorrichtung zum gegenseitigen Trennen zweier Werkstückteile eines plattenartigen Werkstücks
CN204396611U (zh) * 2014-11-28 2015-06-17 芜湖贝斯特新能源开发有限公司 用于打孔机的辅助装置
US10195767B2 (en) * 2015-11-02 2019-02-05 Artaic,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mosaic tile
WO2017104322A1 (ja) * 2015-12-18 2017-06-22 村田機械株式会社 ワーク搬送システム、及びワーク搬送方法
DE102016106408B4 (de) * 2016-04-07 2019-08-29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Verfahren zur trennenden Bearbeitung eines plattenförmigen Materials in einer Lasermaschine sowie eine Lasermaschine zur trennenden Bearbeitung des plattenförmigen Materials, insbesonder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6589035B2 (ja) * 2017-11-08 2019-10-09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製品搬送装置及び製品搬送システム
EP3632588B1 (en) * 2018-10-04 2021-08-18 Astes4 Sa Improved apparatus for handling metal sheet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075A (ko) * 1999-02-19 2000-09-25 안자키 사토루 열절단가공기에 있어서의 집진덕트장치 및 공작물의열절단가공방법
JP2001087829A (ja) * 1999-09-22 2001-04-03 Amada Co Ltd プレスブレーキ等のワークサポートテーブル
KR200435906Y1 (ko) * 2006-12-29 2007-03-14 한재형 소재 운반용 3차원 프레스 로봇
KR20150128504A (ko) * 2014-05-10 2015-11-18 주식회사 하기시스템 공작물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와 이를 채용하는 공작기계 장치
DE102015207122B3 (de) * 2015-04-20 2016-06-02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zeugmaschine mit einer Werkstückauflage und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einer Werkstückauflage einer Werkzeug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8730A1 (de) 2019-04-17
CN109562431B (zh) 2021-04-02
JP2019519389A (ja) 2019-07-11
US20190091754A1 (en) 2019-03-28
DE102016110542A1 (de) 2017-12-14
WO2017211611A1 (de) 2017-12-14
KR102374819B1 (ko) 2022-03-17
DE102016110542B4 (de) 2018-09-13
CN109562431A (zh) 2019-04-02
JP7034147B2 (ja) 2022-03-11
US11192167B2 (en)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819B1 (ko)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장치, 판형 공작물을 가공하는 기계, 기계의 공작물 지지대 및 기계의 로딩과 언로딩 방법
US202101785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a workpiece part from the remainder of the workpiece
CN110170752B (zh) 一种激光切割设备
CN108367450B (zh) 工件输送系统以及工件输送方法
KR20110095267A (ko) 고속 레이저 블랭킹을 위한 지지 테이블 프레임
WO2014077059A1 (ja) 熱切断加工システム
KR20110095269A (ko) 금속판의 레이저 절단 방법
JP3915923B2 (ja) ワークの搬送装置
EP3318363A1 (en) Laser processing machine, laser processing method, board material processing system, and board material processing method
CN109894739A (zh) 用于发动机气缸圈的全自动激光刻印装置
JP2866778B2 (ja) レーザ加工装置
JP5923347B2 (ja) 製品分離方法及び装置並びにスケルトン台車
CN112456140B (zh) 用于铝制吹胀均热板的自动送料系统
CN210126926U (zh) 一种激光切割设备用码垛机
CN211593832U (zh) 仓储设备
CN112041136B (zh) 板材加工设备、运行板材加工设备的方法以及控制和/或调节装置
CN109605217B (zh) 一种上下料机构及打磨设备
CN211163161U (zh) 自动加工生产线
CN214269317U (zh) 用于铝制吹胀均热板的自动送料系统
CN214569054U (zh) 一种自动上下料装置
CN114799354A (zh) 一种活塞开槽装置
EP3838475A1 (en) Improved work bench and machine including this bench
CN212553314U (zh) 自动化上下料装置和磨床
CN110039181A (zh) 一种中框镭焊设备
KR102637352B1 (ko) 트레이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라믹기판의 자동분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