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265A -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265A
KR20190016265A KR1020170100268A KR20170100268A KR20190016265A KR 20190016265 A KR20190016265 A KR 20190016265A KR 1020170100268 A KR1020170100268 A KR 1020170100268A KR 20170100268 A KR20170100268 A KR 20170100268A KR 20190016265 A KR20190016265 A KR 20190016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ousing
spring
brake system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375B1 (ko
Inventor
한상수
김진영
류동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10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3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레이크 시스템에 액압을 공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결되며 내부에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에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는 스프링지지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스프링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지지부와 상기 피스톤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Oil pressure generator for brake system}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스톤에 존재하는 공기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장착되는데, 최근에 보다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 위한 여러 종류의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 예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마스터 실린더와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한 액압 발생 장치를 통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강력한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2045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문헌에 따르면,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페달변위센서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여 모터가 작동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동유압을 발생시키는 액압 발생 장치와, 액압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힘으로 액압을 공급받아 제동동작을 제어하도록 복수의 밸브가 설치된 유압블록과, 페달에 반력을 제공하는 페달시뮬레이터 및 모터와 밸브들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액압 발생 장치는 피스톤의 전진 또는 후진 동작에 의해 액압을 발생하며, 피스톤의 전진 또는 후진 동작은 피스톤과 연결된 동력 전달부의 직선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액압 발생 장치의 피스톤은 스프링을 통해 탄성 지지되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동 해제 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스프링은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피스톤의 이동거리만큼 스프링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프링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 가이드 및 리테이너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액압 발생 장치의 피스톤은 작동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우징과 피스톤 사이의 유격이 감소되도록 설계되나 이로 인해 피스톤에 존재하는 공기 등의 이물질이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2045 (주식회사 만도) 2013. 08. 20.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액압 발생 장치의 제조 과정을 단순하게 함과 동시에 액압 발생 장치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피스톤에 존재하는 공기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레이크 시스템에 액압을 공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결되며 내부에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에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는 스프링지지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스프링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지지부와 상기 피스톤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지지부는 상기 피스톤의 내주면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삽입 지지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결합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과 상기 제1 하우징 사이의 유격을 보상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는 스프링이 복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의 스프링지지부는 피스톤에 설치되어 스프링을 지지하기 때문에 리테니어와 같은 별도의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의 스프링은 하우징 및 체결부재에 의해 삽입 지지되기 때문에 리테니어와 같은 별도의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는 피스톤 외주면에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피스톤과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더라도 공기 등의 이물질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의 단면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의 다른 형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로가 형성된 피스톤의 외주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로가 형성된 피스톤에 가이드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는 발생된 액압을 브레이크 시스템에 공급한다.
액압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액압은 각종 제어밸브를 거쳐 휠실린더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피스톤(130) 및 동력 전달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피스톤(130)을 수용한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수용부(111), 제1 유로(113) 및 제1 연장부(116)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111)는 피스톤(130)을 수용한다. 제1 수용부(111)의 단부에는 스프링(136)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113)는 제1 수용부(111)에 채워진 유체가 제1 하우징(110) 외부로 이동되도록 제1 수용부(111)와 연결된다. 제1 유로(113)는 제1 하우징(110) 외부의 유체가 제1 하우징(110) 내 제1 수용부(111)로 이동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유로(113)는 리저버에 저장된 유체가 제1 하우징(110) 내 제1 수용부(111)로 이동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유로(113)는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자제어밸브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에는 외부의 유체가 제1 하우징(110) 내 제1 수용부(111)로 이동되도록 별도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에는 리저버에 저장된 유체가 제1 하우징(110) 내 제1 수용부(111)로 이동되도록 별도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113)의 끝에는 제1 유로(113)와 제2 하우징(120)을 연결하는 연결관(114)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관(114)의 외주에는 실링부재(S1)가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관(114)은 제1 하우징(110)의 단부(115)에 홈이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연결관(114)은 제2 하우징(120)에 형성된 별도의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6)는 제1 하우징(110)의 단부(115)에 형성된다. 제1 연장부(116)는 제2 하우징(120)과 연결된다. 제1 연장부(116)는 제1 하우징(110) 단부(115)의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장부(116)는 제1 측부(117) 및 제1 단부(118)를 포함한다.
제1 측부(117) 및 제1 단부(118)는 일정 길이(L1) 및 폭(W1)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측부(117)에는 홈이 형성되어 실링부재(S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과 연결된다. 제2 하우징(12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2 하우징(12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피스톤(130) 및 동력 전달부(140)를 수용한다. 제2 하우징(120)은 제2 수용부(121) 및 제2 연장부(123)를 포함한다.
제2 수용부(121)는 피스톤(130) 및 동력 전달부(140)를 수용한다. 제2 수용부(121)는 개방된 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수용부(121)의 직경은 제1 수용부(111)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우징 단부(124)의 폭(W2)과 제1 단부(118)의 폭(W1)은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우징 단부(124)의 폭(W2)은 제1 단부(118)의 폭(W1)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수용부(121)의 단부에는 동력 전달부(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122)이 설치될 수 있다.
캡(122)은 동력 전달부(14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캡(122)의 이격 거리는 후술하는 충격흡수부(135)에 의해 줄어들 수 있다.
제2 수용부(121)의 내주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실링부재(S3)가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S3)는 제2 하우징(120)과 피스톤(13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오일의 누설을 방지한다. 실링부재(S3)는 피스톤(13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오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S3)는 컵실(Cup seal)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장부(123)는 제2 하우징(120)의 단부(124)에 형성된다. 제2 연장부(123)는 제1 하우징(110)과 연결된다. 제2 연장부(123)는 제2 하우징 단부(124)의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장부(123)는 제1 연장부(116)와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제1 연장부(116)가 제2 연장부(123)에 끼움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제1 연장부(116)가 제2 연장부(123)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23)는 제2 측부(125) 및 제2 단부(126)를 포함한다. 제2 측부(125)는 일정 길이(L2)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장부(123)는 제1 하우징(110)과 연결되어 제2 유로(127)를 형성한다.
제2 유로(127)는 제1 연장부(116)의 제1 단부(118)와 제2 하우징(120)의 단부(124)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로(127)는 제2 측부(125)의 길이가 제1 측부(117)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로(127)는 제1 수용부(111)에 채워진 유체가 제2 유로(127)를 통해 제1 하우징(110) 외부로 이동되도록 제1 수용부(111)와 연결된다. 제2 유로(127)는 제1 수용부(111)에 채워진 유체가 제2 하우징(120)을 통해 제1 하우징(110) 외부로 이동되는 통로이다. 제2 유로(127)는 제1 수용부(111)에 채워진 유체가 제2 하우징 유로(128)를 통해 제2 하우징(120) 외부로 이동되는 통로이다. 제2 유로(127)는 제2 하우징(120) 외부의 유체가 제2 하우징 유로(128)를 통해 제1 하우징(110) 내 제1 수용부(111)로 이동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유로(127)는 리저버에 저장된 유체가 제2 하우징 유로(128)를 통해 제1 하우징(110) 내 제1 수용부(111)로 이동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유로(128)는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자제어밸브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에는 외부의 유체가 제1 유로(113) 및/또는 제2 유로(127)를 지나 제1 하우징(110) 내 제1 수용부(111)로 이동되도록 별도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에는 리저버에 저장된 유체가 제1 유로(113) 및/또는 제2 유로(127)를 지나 제1 하우징(110) 내 제1 수용부(111)로 이동되도록 별도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별도의 유로는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자제어밸브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과 단이 형성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피스톤(1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1 하우징(110)과 단이 형성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피스톤(130)의 원점 위치 복귀 시 피스톤(13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하우징(110)과 단이 형성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13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피스톤(13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수용공간에 진퇴가능하게 수용된다. 피스톤(130)은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21)에 진퇴가능하게 수용된다. 피스톤(130)은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21)에 수용되어 액압을 발생한다. 피스톤(130)은 동력 전달부(1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130)은 동력 전달부(1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또는 후진 이동 시 액압을 발생할 수 있다.
피스톤(130) 전진 시 발생되는 액압은 제1 유로(113)를 통해 브레이크 시스템에 공급될 수 있다. 피스톤(130) 후진 시 발생되는 액압은 제2 유로(127)를 통해 브레이크 시스템에 공급될 수 있다.
피스톤(130)에는 동력 전달부(1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홀(H1)은 피스톤(13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130)에는 실링부재(S4), 가이드부(134), 충격흡수부(135), 스프링(136) 및 스프링지지부(137)가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S4)는 피스톤(130)과 제1 하우징(1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피스톤 이동 시 액압이 발생되도록 한다. 실링부재(S4)는 제1 하우징(110)과 피스톤(13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오일의 누설을 방지한다. 실링부재(S4)는 제1 하우징(11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오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S4)는 피스톤(130)에 홈이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S4)가 설치되는 홈은 피스톤(130) 외주에 제1 단턱부(131) 및 제2 단턱부(132)가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S4)는 제1 단턱부(131) 및 제2 단턱부(13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단턱부(131)와 제2 단턱부(132) 사이에는 실링부재(S4)를 지지하는 스냅링(R)이 설치될 수 있다. 스냅링(R)은 실링부재(S4)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단턱부(132)는 피스톤(1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단턱부(132)는 피스톤(130) 후진 시 제2 단턱부(132)가 제2 하우징(120)의 단부(124)에 걸림으로써 피스톤(1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링부재(S4)는 피스톤(130)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S4)가 복수 개 설치되는 경우, 실링부재(S4)가 설치되는 홈은 피스톤(130) 외주에 제1 단턱부(131), 제2 단턱부(132) 및 제3 단턱부(133)가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S4)는 제1 단턱부(131)와 제2 단턱부(132) 사이 및 제2 단턱부(132)와 제3 단턱부(13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단턱부(131)와 제2 단턱부(132) 사이 및 제2 단턱부(132)와 제3 단턱부(133)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S4)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스냅링(R)은 피스톤(130)의 가압 방향에 따라 실링부재(S4)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스냅링(R)은 제1 단턱부(131)의 양측에 설치되어 복수의 실링부재(S4)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134)는 피스톤(130)에 설치되어 피스톤(13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134)는 피스톤(13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피스톤(130)과 제1 하우징(110) 사이의 유격을 보상할 수 있다. 가이드부(134)는 일정 폭을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134)는 제1 단턱부(13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34)는 피스톤(130)의 전단부와 제1 단턱부(13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130)에 복수의 실링부재(S4)가 설치되는 경우 가이드부(134)는 피스톤(130)의 전단부와 제3 단턱부(13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5)는 피스톤(130)에 설치되어 피스톤(130) 이동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충격흡수부(135)는 피스톤(130)에 고정 설치되어 피스톤(13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5)는 피스톤(130)과 함께 이동되어 피스톤(130) 이동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5)는 피스톤(130)과 제2 하우징(120)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5)는 피스톤(130)과 제2 하우징(120)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이 동력 전달부(14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충격흡수부(135)는 피스톤(130) 후진 시 피스톤(130)이 과도하게 후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5)는 피스톤(130)이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력 전달부(140)와 캡(122)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력 전달부(140)와 캡(12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5)는 피스톤(130)과 제2 하우징 단부(124)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5)는 제2 단턱부(13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5)는 제2 단턱부(132)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단턱부(132)와 제2 하우징 단부(124)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5)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피스톤(130)의 외주면을 따라 제2 단턱부(13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5)에는 제1 수용부(111)의 유체가 제2 유로(127)를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홀 및/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135)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136)은 피스톤(130) 이동 시 피스톤(130)이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스프링(136)은 피스톤(130)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H1)에 설치된다. 스프링(136)은 일측이 돌출부(112)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피스톤(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136)은 제1 스프링(136a) 및 제2 스프링(136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지지부(137)는 제1 스프링(136a) 및 제2 스프링(136b)을 지지한다. 스프링지지부(137)의 일측은 제1 스프링(136a)을 지지하고, 타측은 제2 스프링(136b)을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지지부(137)는 피스톤(130)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H1)에 설치된다. 스프링지지부(137)는 피스톤(130)의 내주면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된다. 스프링지지부(137)는 외주면의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돌출된 부위가 피스톤(13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제1 스프링(136a)은 일측이 제1 하우징(110)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스프링지지부(13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스프링(136a)은 일측이 돌출부(112)에 의해 삽입 지지되고 타측이 스프링지지부(13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스프링(136b)은 일측이 스프링지지부(137)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피스톤(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스프링(136b)은 일측이 스프링지지부(137)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체결부재(143)에 의해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지지부(137)는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지지부(137)를 이용하여 스프링(136)을 지지할 경우 스프링의 자유장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스프링 가이드 및 리테이너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40)는 제2 하우징(12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동력 전달부(140)는 피스톤(130)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 전달부(140)는 피스톤(130)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 전달부(140)는 별도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피스톤(1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40)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피스톤(1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40)는 모터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피스톤(1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40)는 삽입부(141) 및 기어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부(141)는 피스톤(13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삽입부(141)는 피스톤(130)에 형성된 홀(H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141)는 피스톤(130)에 형성된 홀(H1)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141)에는 체결부재(143)가 체결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43)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부(141)는 피스톤(130)에 형성된 홀(H1)에 압입되어 고정된 후 체결부재(143)를 통해 피스톤(130)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141)에는 실링부재(S5)가 설치될 수 있다.
기어부(142)는 별도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피스톤(1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기어부(142)는 별도의 동력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기어부(142)는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바꿀 수 있다. 기어부(142)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바꿔 피스톤(1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기어부(142)는 랙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어부(142)의 외측에는 기어부(14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144)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피스톤(130)의 외주면에는 제3 유로(138)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로(138)는 하우징(110,120)과 피스톤(13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 등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이다. 제3 유로(138)는 오일 등의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제3 유로(138)는 제1 단턱부(131) 및 제2 단턱부(132) 사이의 공간 또는 제1 단턱부(131) 및 제3 단턱부(133)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 등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제3 유로(138)는 제1 단턱부(131) 및 제2 단턱부(132) 사이의 공간 또는 제1 단턱부(131) 및 제3 단턱부(133)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유로(138)는 피스톤(130)의 외주면에 홈 또는 슬롯이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유로(138)는 피스톤(130) 전단부부터 단턱부 사이의 공간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로(138)는 피스톤(130)의 외주면 중 가이드부(134)가 설치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로(138)는 가이드부(134)로 인해 배출되지 못하는 공기 등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134) 하부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로(138)는 단조 공법을 이용하여 피스톤(130) 제작 시 피스톤(130)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제1 하우징 120 : 제2 하우징
130 : 피스톤 136 : 스프링
137 : 스프링지지부

Claims (5)

  1. 브레이크 시스템에 액압을 공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결되며 내부에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에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는 스프링지지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스프링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지지부와 상기 피스톤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지지부는 상기 피스톤의 내주면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삽입 지지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결합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삽입 지지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과 상기 제1 하우징 사이의 유격을 보상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KR1020170100268A 2017-08-08 2017-08-08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KR102413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68A KR102413375B1 (ko) 2017-08-08 2017-08-08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68A KR102413375B1 (ko) 2017-08-08 2017-08-08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265A true KR20190016265A (ko) 2019-02-18
KR102413375B1 KR102413375B1 (ko) 2022-06-28

Family

ID=6556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268A KR102413375B1 (ko) 2017-08-08 2017-08-08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8993A (zh) * 2020-09-30 2021-01-2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液压制动系统的排气装置、液压制动系统及车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289A (ko) * 2001-11-19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피스톤 지지구조
KR20070043141A (ko) * 2005-10-20 2007-04-2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마스터 실린더
KR20130086440A (ko) * 2012-01-25 2013-08-02 주식회사 만도 제동감 향상을 위한 초기 유량 증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기 유량 증대 방법
KR20130092045A (ko)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JP6046700B2 (ja) * 2012-03-30 2016-12-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動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289A (ko) * 2001-11-19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피스톤 지지구조
KR20070043141A (ko) * 2005-10-20 2007-04-2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마스터 실린더
KR20130086440A (ko) * 2012-01-25 2013-08-02 주식회사 만도 제동감 향상을 위한 초기 유량 증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기 유량 증대 방법
KR20130092045A (ko)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JP6046700B2 (ja) * 2012-03-30 2016-12-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8993A (zh) * 2020-09-30 2021-01-2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液压制动系统的排气装置、液压制动系统及车辆
CN112248993B (zh) * 2020-09-30 2021-12-10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液压制动系统的排气装置、液压制动系统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375B1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3523B2 (en) Master cylinder system for an automotive hydraulic brake system and automotive hydraulic brake system
JP4563931B2 (ja) タンデム型マスタシリンダ装置
US7937940B2 (en) Master cylinder comprising a resupply-promoting seal
US11987221B2 (en)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of electronic brake system
JP4589358B2 (ja) タンデム型マスタシリンダ装置
KR20190016265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JP6600748B2 (ja)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JP5344164B2 (ja) 倍力装置
KR101673321B1 (ko) 유압 공급장치
KR20080074029A (ko) 유압 제어 해제장치
KR20180094659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KR20150068687A (ko)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유닛
KR102394154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EP1294601B1 (en) Output push rod and spring retainer
US10940834B2 (en) Electronic brake system
KR20120005969A (ko) 급속 충전 탠덤 마스터 실린더
US8539766B2 (en) Master cylinder with flow groove
KR20180128189A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체크 밸브
KR102392762B1 (ko) 페달 시뮬레이터
KR101283442B1 (ko) 브레이크 부스터
KR102398041B1 (ko) 페달 시뮬레이터
JP6179425B2 (ja) 気圧式倍力装置
KR20210128662A (ko) 플런저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 실린더
KR101285550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KR102035353B1 (ko) 차량용 마스터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