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762B1 - 페달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페달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762B1
KR102392762B1 KR1020170121927A KR20170121927A KR102392762B1 KR 102392762 B1 KR102392762 B1 KR 102392762B1 KR 1020170121927 A KR1020170121927 A KR 1020170121927A KR 20170121927 A KR20170121927 A KR 20170121927A KR 102392762 B1 KR102392762 B1 KR 102392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damper
cap
reaction force
pedal s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311A (ko
Inventor
민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12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7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9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페달 시뮬레이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답력에 따른 유압을 제공받아 운전자에게 페달감을 제공하는 페달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오일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공과 연통하도록 내부에 보어가 마련된 시뮬레이터블록; 상기 보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오일공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보어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캡;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 내에 설치되는 서브댐퍼; 일단이 피스톤에 설치되고 타단이 캡에 지지되어 상기 피스톤의 가압에 따라 탄성변형되며 반력을 제공하는 메인댐퍼; 상기 서브댐퍼와 메인댐퍼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피스톤과 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에 의해 압축되며 반력을 제공하는 반력 스프링;을 포함하는 페달 시뮬레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페달 시뮬레이터{Pedal simulator}
본 발명은 페달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반력을 제공하는 댐퍼의 내구성 및 페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페달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장착되는데, 이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 시 운전자에게 페달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유압식 페달 시뮬레이터(또는 '페달감 모사 장치'라고도 함)를 설치하여 페달감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페달 시뮬레이터는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른 유압에 의해 가압되며 브레이크 페달에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페달 시뮬레이터는 일반적인 유압 브레이크 장치(CBS : Conventional Brake System)의 페달 시뮬레이터와 유사한 반력을 제공하도록 복수의 스프링과 복수의 고무댐퍼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페달 시뮬레이터가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7-203927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문헌에 따르면, 페달 시뮬레이터는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피스톤이 전진하며 두 개의 스프링과 두 개의 고무댐퍼를 통해 반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페달 시뮬레이터는 복수의 스프링 및 복수의 고무댐퍼를 통해 페달감을 구현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리테이너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여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페달 시뮬레이터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스프링 리테이너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없어 스프링 리테이너가 치우치게 된다. 즉, 스프링 리테이너가 댐핑부재를 가압시 댐핑부재에 편하중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JP 공개특허 특개2007-203927 (TOYOTA MOTOR CORP) 2007. 08. 1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는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반력을 제공하는 댐퍼의 내구성 향상 및 유압 브레이크 장치와 유사한 페달감을 제공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답력에 따른 유압을 제공받아 운전자에게 페달감을 제공하는 페달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오일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공과 연통하도록 내부에 보어가 마련된 시뮬레이터블록; 상기 보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오일공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보어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캡;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 내에 설치되는 서브댐퍼; 일단이 피스톤에 설치되고 타단이 캡에 지지되어 상기 피스톤의 가압에 따라 탄성변형되며 반력을 제공하는 메인댐퍼; 상기 서브댐퍼와 메인댐퍼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피스톤과 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에 의해 압축되며 반력을 제공하는 반력 스프링;을 포함하는 페달 시뮬레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일측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일측 끝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반력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은 길이방향으로 제1 단차홈과 상기 제1 단차홈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단차홈을 갖추고, 상기 제1 단차홈에 상기 서브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단차홈에 지지부재 및 메인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단차홈과 제2 단차홈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턱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이 이동 시 상기 서브댐퍼가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탄성변형되며 반력을 제공하고, 상기 단차턱이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가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메인댐퍼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캡에는 상기 메인댐퍼가 가압되며 탄성변형 시 편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댐퍼는, 일단이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그루브(groove);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피스톤과 몸체부 사이의 공간을 상기 그루브와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댐퍼 및 서브댐퍼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의 하단에는 상기 캡이 상기 보어에 고정되도록 클립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는 구조를 단순화시켜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중량 및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스톤이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스프링의 지지를 위한 리테이너가 불필요하여 종래에 비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은 효과가 있다.
또한, 페달 시뮬레이터가 수평으로 설치되더라도 피스톤에 의해 스프링을 지지함으로써 댐퍼에 발생하는 편하중을 방지할 수 있어 댐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차 댐핑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져 제동 초기 구간에서는 낮은 반발력을 제공하고, 제동 말기 구간에서는 높은 반발력을 제공하여 브레이크 페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에 마련된 메인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00)는 브레이크 페달(11)에 의해 제동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실린더(10)와 연결되어 마스터실린더(10)로부터의 오일을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블록(110)과, 시뮬레이터블록(110)에 형성된 보어(112, 1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120)과, 피스톤(12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보어(112, 113)를 밀폐시키는 캡(170)과, 피스톤(120)과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댐퍼(130)와, 피스톤(120)에 설치되는 메인댐퍼(150)와, 상기 서브댐퍼(130)와 메인댐퍼(15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140) 및 피스톤(120)과 캡(170) 사이에 마련되는 반력 스프링(160)을 구비한다.
시뮬레이터블록(110)은 상부에 마스터실린더(10)로부터 유압이 유입되도록 오일공(111)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오일공(111)과 연통하는 보어(112, 113)가 형성된다. 상기 보어(112, 113)는 서로 직경이 다른 제1 보어(112)와 제2 보어(113)를 포함하여 단차진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보어(112)의 직경은 제2 보어(1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제1 보어(112)에는 피스톤(1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 보어(113)에는 피스톤(120)과 메인댐퍼(150)의 일부 및 반력 스프링(160)이 배치된다. 또한, 제2 보어(113)의 일측에는 리저버(40)와 연결되어 페달 시뮬레이터(100)의 동작에 따라 오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오일유로(114)가 마련되며, 제2 보어(113)의 하단부는 캡(170)에 의해 밀폐된다.
피스톤(120)은 제1 보어(1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피스톤(120)은 상부에 위치한 오일공(111)을 통해 오일이 유입되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피스톤(120)은 하부가 중공되어 내부에 장착홈(121)이 형성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피스톤(120)은 일측 즉, 하측 끝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126)를 구비한다. 이 플랜지부(126)는 반력 스프링(170)의 상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플랜지부(126)가 피스톤(120)과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페달 시뮬레이터(10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더라도 하측으로 치우치지 않게 된다. 즉, 피스톤(120)이 안정적으로 메인댐퍼(150)를 가압할 수 있어 메인댐퍼(150)의 편하중에 따른 내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장착홈(121)은 길이방향으로 제1 단차홈(123)과 상기 제1 단차홈(123)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단차홈(125)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단차홈(123)에는 서브댐퍼(130)가 설치되고, 제2 단차홈(125)에는 메인댐퍼(150)가 설치된다. 또한, 제2 단차홈(125)에는 상기 서브댐퍼(130) 및 메인댐퍼(150) 사이에 배치되도록 지지부재(140)가 설치된다. 이때, 지지부재(140)는 제1 단차홈(123)과 제2 단차홈(125)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턱(124)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제동초기 서브댐퍼(130)가 압축된 후 메인댐퍼(150)가 순차적으로 압축되도록 하기 위함으로서, 그 동작상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서브댐퍼(130)는 제1 단차홈(123)에 끼워져 설치되며 일부가 제2 단차홈(125)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서브댐퍼(130)는 지지부재(140)와 접촉되어 일정량 눌림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제2 단차홈(125)에 마련되어 일단이 서브댐퍼(130)와 접촉되고 타단이 메인댐퍼(150)와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지지부재(140)는 단차진 단차턱(124)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데, 단차턱(124)과 이격된 거리는 제동초기 서브댐퍼(130)가 압축되며 초기 반력을 제공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예컨대, 메인댐퍼(150)는 서브댐퍼(130) 보다 큰 경도를 갖도록 구성됨에 따라 피스톤(120)이 이동 시 서브댐퍼(130)가 지지부재(140)에 지지된 상태로 압축되며 탄성변형된다. 이때, 메인댐퍼(150)는 서브댐퍼(130)에 비해 큰 경도를 가짐으로써 압축되지 않게 된다. 이에, 서브댐퍼(130)가 압축되며 피스톤(120)의 단차턱(124)이 지지부재(140)와 접촉되면, 지지부재(140)가 피스톤(120)에 의해 가압되며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40)가 피스톤(120)에 의해 가압되면 지지부재(140)와 접촉된 메인댐퍼(150)도 피스톤(120)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며 반력을 제공하게 된다.
메인댐퍼(150)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 단차홈(125)에 끼워져 피스톤(120)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댐퍼(150)는 일단이 제2 단차홈(125)에 결합되고 타단이 캡(170)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메인댐퍼(150)의 타단은 후술할 캡(170)의 지지홈(175)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메인댐퍼(150)는 피스톤(120)과 캡 (170)사이에서 고정된다. 또한, 메인댐퍼(150)의 타단은 지지홈(175)에 삽입되어 캡(170)에 의해 일정량 눌려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시뮬레이터블록(110)의 보어(112, 113)에 오일이 채워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페달 시뮬레이터(100) 내에 공기가 잔존하지 않도록 에어 블리딩 작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메인댐퍼(150)와 피스톤(120) 사이 즉, 장착홈(121) 내의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메인댐퍼(150)는 피스톤(120)과 메인댐퍼(150) 사이의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댐퍼(150)는 일부가 피스톤(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캡(170)과 접촉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몸체부(151)를 구비한다. 몸체부(151)는 탄성변형되며 제2 단차홈(125)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몸체부(151)를 제2 단차홈(125)에 결합함에 있어 설치의 용이성과 작동성 및 페달 시뮬레이터(100)의 조립시 후속 공정(에어 블리딩)을 용이하도록 몸체부(151)에 복수의 그루브(153) 및 그루브(153)와 연통하는 연통부(155)가 마련된다.
복수의 그루브(153)는 몸체부(151)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연통부(155)는 몸체부(151)의 일단에 형성되어 피스톤(120)과 몸체부(151) 사이의 공간을 그루브(153)와 연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연통부(155)는 몸체부(151)의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중앙홈(155a)과, 상기 중앙홈(155a) 및 복수의 그루브(153)를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연결홈(155b)을 구비한다. 이러한 메인댐퍼(150)를 제2 단차홈(125)에 결합 시 그루브(153) 및 연통부(155)에 의해 탄성변형이 용이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장착홈(121) 내의 공기가 연통부(155) 및 그루브(153)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캡(170)은 피스톤(12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 보어(113)의 하단부에 조립된다. 이 캡(170)은 보어(112, 113) 내부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캡(170)은 상부 중앙에 메인댐퍼(15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지지홈(175)을 구비한다. 이에 메인댐퍼(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메인댐퍼(150)가 가압되어 탄성변형 시 편하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캡(170)의 가장자리 측에는 반력 스프링(160)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스프링 수용홈(17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캡(170)의 하단에는 캡(170)이 시뮬레이터블록(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클립(180)이 설치된다. 이에, 캡(170)은 클립(180)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129'는 제1 보어(112)와 피스톤(120)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기 위한 실링부재이고, 참조부호 '179'는 제2 보어(113)와 캡(170)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기 위한 실링부재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페달 시뮬레이터(100)의 작동 상태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도 1의 '11' 참조)을 밟아 마스터실린더(도 1의 '10' 참조)로부터 시뮬레이터블록(110)의 오일공(111)을 통해 유압이 유입되면, 피스톤(120)이 밀리면서 서브댐퍼(130)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서브댐퍼(130)는 지지부재(140)와 접촉되어 지지된 상태로서 서브댐퍼(130)가 눌리며 탄성변형됨에 따라 반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메인댐퍼(150)의 경도가 서브댐퍼(130)의 경도 보다 크기 때문에 메인댐퍼(150)는 압축되지 않게 된다.
한편, 반력 스프링(160)의 상단이 피스톤(120)의 플랜지부(126)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120)이 서브댐퍼(130)를 가압하며 이동 시 반력 스프링(160)이 함께 압축되며 반력을 제공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20)이 이동되어 단차턱(124)이 지지부재(140)와 접촉되면, 피스톤(120)은 지지부재(140) 및 메인댐퍼(150)를 가압하며 이동하게 된다. 즉, 메인댐퍼(150)가 탄성변형되며 이에 따른 반발력을 통해 운전자에게 반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피스톤(120)의 이동에 따라 반력 스프링(160)이 압축되면 반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동초기에 서브댐퍼(130)와 반력 스프링(160)을 통해 반력을 제공하고, 제동말기로 갈수록 메인댐퍼(150)의 반력을 더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일반적인 유압 브레이크 장치(CBS : Conventional Brake System)의 페달 시뮬레이터와 유사한 반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동 작동 후 제동 해제 시 메인댐퍼(150), 반력 스프링(160) 및 서브댐퍼(1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피스톤(120)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리저버(도 1의 '40' 참조)로 환원된 오일이 오일유로(114)를 통해 제2 보어(113) 내로 유입된다. 또한, 서브댐퍼(130)가 지지부재(140)에 일정량 눌림상태로 마련됨에 따라 피스톤(120)이 원위치까지 원활히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페달 시뮬레이터 110 : 시뮬레이터블록
120 : 피스톤 121 : 장착홈
123 : 제1 단차홈 124 : 단차턱
125 : 제2 단차홈 126 : 플랜지부
130 : 서브댐퍼 140 : 지지부재
150 : 메인댐퍼 160 : 반력 스프링
170 : 캡 180 : 클립

Claims (8)

  1.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답력에 따른 유압을 제공받아 운전자에게 페달감을 제공하는 페달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오일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공과 연통하도록 내부에 보어가 마련된 시뮬레이터블록;
    상기 보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오일공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보어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캡;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 내에 설치되는 서브댐퍼;
    일단이 피스톤에 설치되고 타단이 캡에 지지되어 상기 피스톤의 가압에 따라 탄성변형되며 반력을 제공하는 메인댐퍼;
    상기 서브댐퍼와 메인댐퍼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피스톤과 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에 의해 압축되며 반력을 제공하는 반력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댐퍼는,
    일단이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그루브(groove);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피스톤과 몸체부 사이의 공간을 상기 그루브와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구비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일측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일측 끝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반력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를 더 구비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길이방향으로 제1 단차홈과 상기 제1 단차홈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단차홈을 갖추고,
    상기 제1 단차홈에 상기 서브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단차홈에 지지부재 및 메인댐퍼가 설치되는 페달 시뮬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단차홈과 제2 단차홈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턱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이 이동 시 상기 서브댐퍼가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탄성변형되며 반력을 제공하고,
    상기 단차턱이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가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메인댐퍼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페달 시뮬레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캡에는 상기 메인댐퍼가 가압되며 탄성변형 시 편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페달 시뮬레이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댐퍼 및 서브댐퍼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페달 시뮬레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단에는 상기 캡이 상기 보어에 고정되도록 클립이 설치되는 페달 시뮬레이터.
KR1020170121927A 2017-09-21 2017-09-21 페달 시뮬레이터 KR102392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27A KR102392762B1 (ko) 2017-09-21 2017-09-21 페달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27A KR102392762B1 (ko) 2017-09-21 2017-09-21 페달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11A KR20190033311A (ko) 2019-03-29
KR102392762B1 true KR102392762B1 (ko) 2022-05-02

Family

ID=6589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927A KR102392762B1 (ko) 2017-09-21 2017-09-21 페달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7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086B1 (ko) * 2015-02-28 2016-05-1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회생제동 브레이크 시스템 페달 시뮬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039B1 (ko) * 2013-10-15 2017-05-11 주식회사 만도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086B1 (ko) * 2015-02-28 2016-05-1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회생제동 브레이크 시스템 페달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11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562B1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KR101585440B1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KR101734039B1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KR101402538B1 (ko) 페달 시뮬레이터
US9718448B2 (en) Pedal simulator
US20140360177A1 (en) Variable pedal feeling adjustment device
CN107399308B (zh) 包括踏板模拟器的制动系统
US10913440B2 (en) Pedal simulator
CN110562226A (zh) 踏板感觉模拟器以及线控制动系统
KR102392762B1 (ko) 페달 시뮬레이터
KR20180094274A (ko) 페달감 모사 장치
KR102180435B1 (ko)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KR102398041B1 (ko) 페달 시뮬레이터
KR101447467B1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KR102510629B1 (ko) 페달감 모사 장치
US20210394730A1 (en) Friction member and master cylinder comprising same
JP2009227173A (ja)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JP2016080140A (ja) 圧力緩衝装置
KR101913145B1 (ko) 페달 시뮬레이터
KR20190109098A (ko) 페달 시뮬레이터
KR20140142478A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KR101285550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KR20210048321A (ko)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KR20230046260A (ko) 페달 시뮬레이터
KR20230133140A (ko)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