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808A -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 Google Patents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808A
KR20190015808A KR1020170099454A KR20170099454A KR20190015808A KR 20190015808 A KR20190015808 A KR 20190015808A KR 1020170099454 A KR1020170099454 A KR 1020170099454A KR 20170099454 A KR20170099454 A KR 20170099454A KR 20190015808 A KR20190015808 A KR 20190015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retainer
ball
support
rotation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542B1 (ko
Inventor
진우 이
Original Assignee
진우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우 이 filed Critical 진우 이
Priority to KR102017009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5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5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8Ball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이 구름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볼 리테이너부와 이 볼 리테이너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지지부로 구성되어서 지지할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제공한다.
상기 볼 리테이너부는 구형의 볼, 볼이 구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볼 리테이너와 하부 볼 리테이너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 지지부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로 구성되고 중공형 원기둥체의 하부 볼 리테이너가 축회전하면서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 리테이너부의 하부 볼 리테이너에 수용된 볼이 회전 지지부의 하단부를 지나 돌출함으로써 구름운동 가능한 상태로 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이 회전 지지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지지부의 중공부 내로 이동함으로써 구름운동을 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서 전자 상태에서는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후자 상태에서는 물체가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Description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Supporting structure supporting an object in a movabl or fixabl manner}
본 발명은 가구, 집기와 같은 지지할 물체의 하부에 부착되어 물체를 지지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물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가구, 집기와 같은 물체는 자체의 바닥 또는 다리부에 의해 그 위치된 장소에 지지되나, 이들을 이동가능 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이동장치가 바닥 또는 다리부에 부착되기도 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266937호 및 20-214161호에는 가구, 집기와 같은 물체의 바닥 또는 다리부에 결합되는 구름운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름운동장치가 가구, 집기 등의 바닥 또는 다리부에 결합되면 이들을 이동시키는 것은 편리하나, 이들을 그 위치된 장소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구름운동장치가 오히려 장애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 집기와 같은 물체의 바닥 또는 다리부에 부착되어서 필요에 따라 이 물체를 이동시키거나 물체가 그 위치된 장소에 고정될 수 있는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볼이 구름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볼 리테이너부와 이 볼 리테이너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지지부로 구성되어서 지지할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볼 리테이너부는 구형의 볼, 볼이 구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볼 리테이너와 하부 볼 리테이너로 구성된다. 하부 볼 리테이너는 볼이 그 일부가 노출되어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중공형 원기둥체로 구성되며, 상부 볼 리테이너는 하부 볼 리테이너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볼을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원기둥 형상의 볼 지지부 및 지지할 물체와 결합할 수 있는 결착부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 지지부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로 구성되고 중공형 원기둥체의 하부 볼 리테이너가 축회전하면서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 리테이너부의 하부 볼 리테이너에 수용된 볼이 회전 지지부의 하단부를 지나 돌출함으로써 구름운동 가능한 상태로 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이 회전 지지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지지부의 중공부 내로 이동함으로써 구름운동을 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서 전자 상태에서는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후자 상태에서는 물체가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 볼 리테이너의 중공형 원기둥 체의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부의 중공부에도 하부 볼리테이너의 나사부와 맞물리는 나사부가 형성되어서 볼 리테이너부와 회전 지지부가 축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공형 원기둥체의 하부 볼 리테이너와 이 하부 볼 리테이너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상부 볼 리테이너의 볼 지지부가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며 이 관통공으로 봉이 삽입됨으로써 상부 볼 리테이너와 하부 볼 리테이너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함한다.
본 발명의 지지체는 가구, 집기와 같은 물체의 바닥 또는 다리부에 부착되어서 필요에 따라 이 물체를 이동시키거나 물체가 그 위치된 장소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볼 리테이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5에 도시된 상부 볼 리테이너의 반대방향 사시도이다.
도 6(a)~(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지지체(1)는 볼(50)이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볼 리테이너부(10)와, 이 볼 리테이너부(10)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지지부(4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지지체(1)의 분해 상태를 보여주는 도 2 및 도 2에 도시된 볼 리테이너부(10)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4를 참조하면, 볼 리테이너부(10)는 금속재질로 된 구형의 볼(50), 볼이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서로 협력하여 볼을 고정 및 유지하는 상부 볼 리테이너(20)와 하부 볼 리테이너(30)로 구성된다.
하부 볼 리테이너(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원기둥체로서 이 원기둥체의 외측에는 나사부(33)가 형성되며, 중공부(31)로는 볼(50)이 삽입되어 위치된다. 중공형 원기둥체의 일측, 즉 회전 지지부(40)로 삽입되는 하단부에는 중공부(31)의 원주방향으로 내측돌기(37)가 위치되어서 볼(50)은 이 중공형 원기둥체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그 일부만 노출된 채로 안착할 수 있다. 한편, 하부 볼 리테이너(30)의 다른 일측, 즉 상단부에는 홈부(36)가 형성되고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관통공(35)이 형성되며, 이들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부 볼 리테이너(20)는 원기둥 형상의 동체로 된 볼 지지부(21)와, 이 볼 지지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사각기둥 형태의 동체로 된 결착부(27)로 구성된다.
상부 볼 리테이너의 볼 지지부(21)는 하부 볼 리테이너(30)를 구성하는 중공형 원기둥체의 중공부(31)로 삽입되어 볼(50)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그 하단부에는 볼(50)이 원활하게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형 홈(23)이 형성된다. 볼 지지부(21)에는, 볼 지지부를 하부 볼 리테이너(30)의 중공부(31)로 완전히 삽입했을 때, 하부 볼 리테이너(30)에 형성된 관통공(35)과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25)이 형성되고 하부 볼 리테이너(30)에 형성된 홈부(36)와 결합하는 돌기부(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볼 리테이너의 볼 지지부(21)를 하부 볼 리테이너(30)의 중공부(31)로 삽입할 때, 하부 볼 리테이너(30)의 홈부(36)와 상부 볼 리테이너의 돌기부(26)가 결합하도록 하여 삽입하면 볼 지지부(21)가 중공부(31)로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 두 관통공(25,35)은 봉(53)을 삽입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있게 되므로, 상부 볼 리테이너(20)와 하부 볼 리테이너(30)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부 볼리테이너의 관통공(25)과 하부 볼리테이너의 관통공(35)으로 일정한 길이의 봉(53)을 삽입하면 상부 볼 리테이너와 하부 볼 리테이너는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이러한 결합에 의해 볼(50)은 하부 볼 리테이너의 중공부(31) 내에 위치되되 일측은 하부 볼 리테이너의 내측돌기(37)에 의해 그리고 다른 일측은 상부 볼 리테이너의 볼 지지부(21)의 구형 홈(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서 하부 볼 리테이너(30)의 하단부로 일부만 노출된 채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상부 볼 리테이너(20)의 결착부(27)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1)가 지지할 물체와 결합하는 부분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선반용 앵글(60)이 삽입되는 결착홈(28)을 갖도록 되어 있다. 결착부(27)는 지지할 물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결합부(27)가 직접 지지할 물체에 나사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지지부(40)는 지지부(41)와 회전부(44)로 구성된다.
회전부(44)는 중공부(45)를 갖는 사각기둥 형태의 동체로서 이 동체의 일측에는 동체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돌기(47)가 형성된다. 이 삽입돌기(47) 외측에는 원주방향으로 테두리 돌기(48)가 형성되어서 회전부(44) 동체와 이 테두리 돌기(48) 사이에 테두리 홈(49)이 형성된다. 이 테두리 돌기(48)는 회전부(44)의 하단부를 향해서는 부드럽게 경사지나 회전부의 상단부 방향은 평편하게 형성된다. 회전부(44)의 중공부(45)에는 볼 리테이너부(10)의 하부 볼 리테이너(30)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부(33)와 결합하는 나사부(46)가 형성된다.
지지부(41)는 회전부(44)의 삽입돌기(47)가 삽입되는 중공부(42)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의 동체로서 중공부(42)를 따라 내측에 턱(43)이 형성된다. 이 턱(43)은 회전부의 테두리 돌기(48)와 반대로 회전부(44)를 향하는 방향으로는 경사를 가지나 그 반대방향으로는 평편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41)의 중공부(42)로 회전부(44)의 삽입돌기(47)를 압박하면서 삽입하거나 역으로 회전부의 삽입돌기(47)로 지지부(41)를 강제로 삽입시키면 삽입돌기(47)의 테두리 돌기(48)는 지지부(41)에 형성된 턱(43)의 경사를 타고 넘어 턱(43)의 의 평편한 부분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지지부(41)의 턱(43)은 회전부 삽입돌기(47)의 테두리 홈(49)과 결합함으로써 지지부(41)와 회전부(44)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구성부의 결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내측 돌기(37)가 아래로 가도록 위치시킨 상태의 하부 볼 리테이너(30)의 중공부(31)로 볼(50)을 삽입한다. 다음에는, 하부 볼 리테이너(30)의 홈부(36)와 상부 볼 리테이너의 돌기부(26)가 결합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상부 볼 리테이너(20)의 볼 지지부(21)를 하부 볼 리테이너의 중공부(31)로 완전 삽입하면 상부 볼 리테이너와 하부 볼 리테이너의 두 관통공(25,35)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되며, 봉(53)을 이 관통공(25,35)으로 삽입한다. 이렇게 하여 볼 리테이너부(10)가 완성되며, 볼(50)은 그 일부가 하부 볼 리테이너(30)로부터 노출된 채로 구름운동할 수 있다. 다음에는, 지지부(41)의 중공부(42)로 회전부(44)의 삽입돌기(47)를 압박하면서 삽입하거나 회전부의 삽입돌기(47)로 지지부(41)를 강제로 삽입시켜서 지지부(41)와 회전부(44)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회전 지지부(40)가 완성된다. 마지막으로, 볼 리테이너부(10)의 하부 볼 리테이너(30)를 회전 지지부(40)의 회전부(44)의 중공부(45)로 삽입한다. 이때, 회전부의 중공부(45)에는 하부 볼 리테이너(30)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부(33)와 결합하는 나사부(4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 리테이너부(10)와 회전 지지부(40)는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1)가 완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1)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1)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즉, 볼 리테이너부(10)의 하부 볼 리테이너(30)가 회전 지지부(40)의 중공부 - 지지부(41)와 회전부(44)의 중공부(42,45) - 를 거의 관통함으로써 하부 볼 리테이너(30)에 수용된 볼(50)이 회전 지지부(40)의 하단부를 지나서 돌출하도록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는 볼(50)이 지지체(1)에 의해 지지된 물체 -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선반용 앵글(60) -가 위치하는 방바닥 또는 마루바닥을 따라 구름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물체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체(1)의 볼 리테이너부(10)와 회전 지지부(40)는 하부 볼 리테이너(3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33)와 회전부(44)의 중공부(45)에 형성된 나사부(47)의 결합에 의해 축회전 가능하며, 회전 지지부(40)의 지지부(41)와 회전부(44)는 지지부(41)의 턱(43)이 회전부 삽입돌기(47)의 테두리 홈(49)과 결합함으로써 상호 축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 지지부(40)의 지지부(41)를 손으로 붙잡아 고정 시킨 채로 회전 지지부의 회전부(44) - 볼 리테이너부(10)는 상부 볼 리테이너(20)에 의해 지지할 물체에 고정되므로 볼 리테이너부(10)를 회전시키는 것이 곤란함 - 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 리테이너부(10)와 회전 지지부(40)의 상호 축회전으로 볼 리테이너부(10)가 상부로 이동하며, 따라서 볼(50)이 회전 지지부(40)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도 6(b)는 볼(50)이 회전 지지부(40)의 상단부 방향으로 일부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c)는 볼(50)이 상당히 이동하여 회전 지지부(40)의 중공부 내로 완전히 이동함으로써 구름운동을 할 수 없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c)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지지체(1)에 의해 지지된 물체는 지지부(41)에 의해 방바닥 또는 마루바닥에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6(c)의 상태와 같이 지지체(1)에 의해 방바닥 또는 마루바닥에 고정된 물체를 다시 이동가능하도록 하려면, 사용자가 회전 지지부(40)의 지지부(41)를 손으로 붙잡은 채로 회전 지지부의 회전부(44)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 69(a)의 상태와 같이 볼 리테이너부(10)의 볼(50)이 회전 지지부(40)의 하단부를 지나서 돌출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1)는 지지할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회전 지지부(40)의 지지부(41)와 회전부(44)를 마찰력이 작은 재질로 제조하거나 이들 사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등에 의해 상호 원활한 축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3)

  1. 지지할 물체와 결합하여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가 볼이 구름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볼 리테이너부와 이 볼 리테이너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볼 리테이너부는 구형의 볼, 볼이 구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볼 리테이너와 하부 볼 리테이너로 구성되되, 하부 볼 리테이너는 볼이 그 일부가 노출되어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중공형 원기둥체로 구성되며, 상부 볼 리테이너는 하부 볼 리테이너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볼을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원기둥 형상의 볼 지지부 및 지지할 물체와 결합할 수 있는 결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로 구성되고 중공형 원기둥체의 하부 볼 리테이너가 축회전하면서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 리테이너부의 하부 볼 리테이너에 수용된 볼이 회전 지지부의 하단부를 지나 돌출함으로써 구름운동 가능한 상태로 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이 회전 지지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지지부의 중공부 내로 이동함으로써 구름운동을 할 수 없는 상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볼 리테이너의 중공형 원기둥 체의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부의 중공부에는 하부 볼리테이너의 나사부와 맞물리는 나사부가 형성되어서 볼 리테이너부와 회전 지지부가 축회전가능하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원기둥체의 하부 볼 리테이너와 이 하부 볼 리테이너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상부 볼 리테이너의 볼 지지부가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며 이 관통공으로 봉이 삽입됨으로써 상부 볼 리테이너와 하부 볼 리테이너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KR1020170099454A 2017-08-07 2017-08-07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KR10196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454A KR101967542B1 (ko) 2017-08-07 2017-08-07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454A KR101967542B1 (ko) 2017-08-07 2017-08-07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808A true KR20190015808A (ko) 2019-02-15
KR101967542B1 KR101967542B1 (ko) 2019-04-09

Family

ID=6536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454A KR101967542B1 (ko) 2017-08-07 2017-08-07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751B1 (ko) * 2021-11-26 2022-01-14 (주)청송퍼니처 수납가구용 받침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9180U (ko) * 1973-11-22 1975-07-09
JPS51100465U (ko) * 1975-02-12 1976-08-12
JPH068006U (ja) * 1992-07-09 1994-02-01 株式会社シモオカ キャスタ
JPH07228103A (ja) * 1994-02-16 1995-08-29 France Bed Co Ltd キャスタ装置
JP3033245U (ja) * 1996-07-04 1997-01-21 羽柏企業有限公司 椅子用自在輪
KR20000005643U (ko) * 1998-08-24 2000-03-25 박정훈 캐스터
KR20040026800A (ko) * 2002-09-26 2004-04-01 (주)오디오 데코 높낮이 조절 및 볼 커버 기능을 갖는 캐스터
JP2004244010A (ja) * 2003-01-22 2004-09-02 Parts Seiko:Kk キャスタ付きアジャス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245B2 (ja) 1991-04-30 2000-04-17 不二製油株式会社 オリゴペプチド組成物及びオリゴペプチド含有食品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9180U (ko) * 1973-11-22 1975-07-09
JPS51100465U (ko) * 1975-02-12 1976-08-12
JPH068006U (ja) * 1992-07-09 1994-02-01 株式会社シモオカ キャスタ
JPH07228103A (ja) * 1994-02-16 1995-08-29 France Bed Co Ltd キャスタ装置
JP3033245U (ja) * 1996-07-04 1997-01-21 羽柏企業有限公司 椅子用自在輪
KR20000005643U (ko) * 1998-08-24 2000-03-25 박정훈 캐스터
KR20040026800A (ko) * 2002-09-26 2004-04-01 (주)오디오 데코 높낮이 조절 및 볼 커버 기능을 갖는 캐스터
JP2004244010A (ja) * 2003-01-22 2004-09-02 Parts Seiko:Kk キャスタ付きアジャス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751B1 (ko) * 2021-11-26 2022-01-14 (주)청송퍼니처 수납가구용 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542B1 (ko)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61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многонаправленного движения
KR101309698B1 (ko) 조명 장치
KR100710078B1 (ko) 모니터장치
KR101967542B1 (ko)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KR20190004112A (ko) 가이드 홈을 따라 운동되는 볼 조인트 유닛
US7398710B1 (en) Rotary positioning structure of a ratchet screwdriver
JP2995183B1 (ja) ワンタッチ固定器具及びこれに用いる脱着機構体
CN202158071U (zh) 一种三脚架球型云台球体定中心结构
JP2007067774A (ja) ロッドアンテナのヒンジ機構
JP4770305B2 (ja) 画像表示装置
JP4540612B2 (ja) ケージ固定型直線案内装置
JP2005147218A (ja) 転がり免震支承体
TWI676197B (zh) 旋轉調節結構及電子設備
RU253019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предметов мебели, содержащее самоориентирующийся и самостопорящийся ролик
JP2018151066A (ja) 運動案内装置用クランパ機構
ITPD960018U1 (it) Struttura di supporto perfezionata particolarmente per visori, microscopi, monitor, televisori o simili
CN210960015U (zh) 可调节角度的连接装置及鱼竿支架
US6097370A (en) X-Y direction input device
JP2583647B2 (ja) 操作杆装置
WO2015118600A1 (ja) 回転ダイヤル装置
JP2735888B2 (ja) 球形表示器具
JPS6234076Y2 (ko)
JPS6140039Y2 (ko)
JP3029323U (ja) 回転体のつまみ取付け構造
JP2656218B2 (ja) 直動摩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