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714A - 에너지 절약형 온실 스크린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약형 온실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714A
KR20190015714A KR1020187035398A KR20187035398A KR20190015714A KR 20190015714 A KR20190015714 A KR 20190015714A KR 1020187035398 A KR1020187035398 A KR 1020187035398A KR 20187035398 A KR20187035398 A KR 20187035398A KR 20190015714 A KR20190015714 A KR 20190015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film
film material
layer
anti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728B1 (ko
Inventor
페르 홀거슨
다니엘 아스프룬드
Original Assignee
에이비 루드빅 스벤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8008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1571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 루드빅 스벤쏜 filed Critical 에이비 루드빅 스벤쏜
Publication of KR20190015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8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A47H23/14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woven textile with reinforcing bars, e.g. made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7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10Block or graft 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03D15/46Flat yarns, e.g. tapes or fil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optical functions other than colour, e.g. comprising light-emitting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04B21/165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with yarns stitched through one or more layers or tows, e.g. stitch-bond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with halides or oxyhalides of silicon; with fluorosilic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01G2009/1446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with perf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25Resistance to light or sun, i.e. protection of the textile itself as well as UV shielding materials or treatment compositions therefor; Anti-yellowing treat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07Comprisin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10T442/322Warp differs from we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10T442/322Warp differs from weft
    • Y10T442/3228Materials dif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2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431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material i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5Knit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knit pattern other than open knit fabric or a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is specified
    • Y10T442/456Including additional strand inserted within knit fabric
    • Y10T442/463Warp knit insert stra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oven Fabrics (AREA)
  • Hydropon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연속적인 제품을 형성하도록 편직, 경편직 또는 제직 공정에 의해 횡방향 씨실(12, 14, 18)과 종방향 날실(13a, 13b; 15; 19)의 얀 시스템에 의해 상호 연결된 필름 재료의 스트립(11)을 포함하고, 스트립(11)의 적어도 일부는 단층 또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형태의 필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이 개시된다. 필름 재료는 적어도 93.5%의 투명도를 가지며, 필름 재료의 제1 면 상에 적어도 제1 반사 방지 코팅 또는 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절약형 온실 스크린
본 발명은 연속적인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편직, 경편직(warp-knitting) 또는 제직(weaving) 공정을 통해 얀 프레임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필름 재료의 복수의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하는 유형의 온실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광 투과율에 관한 요구가 높은 작물의 배양에 적합한 에너지 절약형 온실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은 특정 투명도 특성과 높은 UV 안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온실 필름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실에서 보호되는 재배의 목적은 자연 환경을 변경하여 특히 수확량을 증가시키고, 생산품 품질을 향상시키며, 자원을 보존하고, 생산 지역 및 작물 주기를 연장하는 것이다. 온실 및 그 안에서 성장된 작물의 위치에 따라, 생산을 낮추는 유해한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연중 전체 또는 일부 동안 작물을 보호해야 한다.
한가지 공지된 유형의 온실 스크린은, 평행하게 연장되고 편직, 경편직 또는 제직 공정을 통해 얀 시스템이 상호 연결되어 연속적인 제품을 형성하는 필름 재료의 복수의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하고, 스트립은 제품 표면적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그러한 온실 스크린은, 예를 들어 EP 0 109 951호를 통해 공지되어 있다. 이 유형의 스크린의 다른 예는 FR 2 071 064호, EP 1 342 824호 및 WO 2008/091192호에 제시되어 있다. 가요성 재료의 스트립은 광 및/또는 열 전달 및 반사와 관련하여 원하는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된 재료일 수 있다.
온실 스크린은 흔히 에너지 절약, 음영 및 온도 제어에 사용된다. 그러한 스크린은 다수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한편으로는, 광이 식물에 도달할 수 있도록 스크린을 통과해야 한다. 야간 시간 동안, 특히 이른 아침 시간에, 온실의 에너지 절약형 스크린은 대류로 인해 온실 내부의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열을 온실 내에서의 반사뿐만 아니라 재복사에 의해 보유해야 한다. 온실의 에너지 절약형 스크린이 없으면, 온실 내에서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고 이상적인 기후 설정이 어렵다.
그러나, 스크린의 단점은 태양의 광선 경로에 추가 층을 형성하고, 이 추가 층이 이용 가능한 광의 양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정오에, 에너지 절약형 스크린이 올라갈 수 있거나, 또는 광이 과도한 경우에, 에너지 절약형 스크린이 냉각에 사용될 수도 있다.
아침 시간 동안, 에너지 절약형 스크린은, 최적의 식물 성장 온도에 도달하는 동시에, 가열에 과도한 양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높은 광합성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최대의 광량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아침 시간에, 태양이 여전히 수평선 근처의 낮은 각도에 있는 경우, 나중에 태양이 수평선 위로 더 높게 상승하는 낮 동안보다 스크린 표면으로의 광의 반사율이 높다.
온실 스크린은 또한 현저한 황변(yellowing), 취화(embrittlement), 표면의 균열, 또는 투명도 또는 기계적 특성의 심각한 약화없이 온실 환경에서 적어도 5년의 사용을 보장하도록 우수한 UV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첫번째 개선의 관점에서, 본 교시는 열을 온실의 내측에, 또는 냉각의 경우에 외측에 유지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는 동시에, 우수한 UV 안정성 특성을 갖고 광의 최대 투과율을 제공하여 높은 광합성 활동을 보장하는 특성을 온실 스크린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교시는 연속적인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편직, 경편직 또는 제직 공정에 의해 횡방향 씨실과 종방향 날실의 얀 시스템에 의해 상호 연결된 필름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온실 스크린을 제공한다. 스트립의 적어도 일부는 필름의 제1 면 상에 제1 반사 방지 코팅이 마련되고 필름의 제2 면 상에 또한 제2 반사 방지 코팅 또는 반사 방지층이 마련되는 단층 또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형태의 필름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재료는 적어도 93.5%의 투명도를 갖는다. 상기 반사 방지 코팅(들)은 기계 방향(MD)에서 측정했을 때에 589 nm의 파장에서 1.64 미만인 굴절률을 갖고, 상기 반사 방지층은 589 nm의 파장에서 1.64 미만인 굴절률을 갖는다.
온실 스크린의 예시적인 배열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경편직 스크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편직 스크린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3은 직조 스크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조 스크린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얀 프레임워크(12, 13a, 13b; 14, 15; 18, 19)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복수의 좁은 필름 스트립(11)을 포함하는 온실 스크린(10)을 개시한다. 스트립들은 바람직하게는 에지끼리 가깝게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한다. 모든 실시예에서, 스트립들 사이의 거리는 얀 시스템을 알아볼 수 있게 하도록 명료성을 위해 과장되어 있다. 스크린은 종방향(y) 및 횡방향(x)을 가지며, 스트립(11)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트립(11')은 또한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트립의 통상적인 폭은 2 mm 내지 10 mm이다.
도 1에서, 필름 스트립은 EP 0 109 95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경편직 절차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얀 프레임워크는 루프(loop) 또는 스티치(stitch)를 형성하고 종방향(y)으로 주로 연장되는 날실(12; warp thread)을 포함한다. 날실(12)은 필름 스트립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씨실(13a, 13b; weft thread)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1은 4개의 안내봉이 사용되는 경편직 공정을 통해 제조된 직물의 메시 패턴의 예를 도시하는데, 1개의 안내봉은 스트립(11)을 위한 것이고, 2개의 안내봉은 필름 스트립에 대해 가로질러 연장되는 연결 씨실(13a, 13b)을 위한 것이며, 1개의 안내봉은 종방향 날실(12)을 위한 것이다.
필름 스트립(11)들 사이의 공간은 메시 패턴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매우 과장되어 있다. 보통, 필름 스트립(11)은 에지끼지 가깝게 배치된다. 종방향 날실(12)은 스크린의 일면, 즉 하면에 배치되고, 횡방향 연결 씨실(13a, 13b)은 직물의 양면, 즉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횡방향"이라는 용어는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씨실(13a, 13b)이 필름 스트립(11)을 가로질러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방향 날실과 횡방향 씨실 사이의 연결은 직물의 하면에서 이루어진다. 필름 스트립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종방향 날실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에지끼리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종방향 날실(12)은, 소위 개방 필라 스티치(open pillar stitch)의 형태로 일련의 편직 스티치에서 인접한 필름 스트립의 대향 에지를 따라 단절되지 않은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횡방향 씨실(13a, 13b)은 동일한 위치에서 필름 스트립의 위아래를 통과하고, 즉 서로 대향되어 필름 스트립을 고정식으로 포획한다. 종방향 날실(12)의 각각의 편직 스티치는 편직 스티치와 맞물리는 그러한 2개의 횡방향 씨실(13a, 13b)을 갖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직물의 메시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차이점은 횡방향 씨실(13a, 13b)이 1개의 필름 스트립(11)과 2개의 필름 스트립 위치를 번갈아서 지나간다는 것이다.
도 3은 필름 스트립(11)이 종방향(y)으로 연장되는 날실(14)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주로 횡방향(x)으로 필름 스트립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씨실(15)과 인터위빙된 직조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4는 종방향(y)으로 연장되는 필름 스트립(11)(세로 스트립) 및 횡방향(x)으로 연장되는 필름 스트립(11')(가로 스트립)을 포함하는, US 5,288,545호에 설명된 직조 스크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의 가로 스트립(11')은 항상 종방향의 세로 스트립(11)의 동일한 면 상에 있을 수 있거나 종방향 세로 스트립(11)의 상면 및 하면 상에 번갈아 있을 수 있다. 세로 및 가로 스트립(11, 11')은 종방향 날실(18) 및 횡방향 씨실(18, 19)을 포함하는 얀 프레임워크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스크린은 스크린 아래의 열 축적을 감소시키도록 스트립이 없는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 특성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필름 재료는 적어도 93.5%, 예를 들어 적어도 94.5%의 투명도를 갖거나, 투명도는 적어도 95.3%이다. 투명도가 높을수록 온실 내에서 식물이 더 잘 성장된다.
온실 스크린의 높은 투명도는 아래에 설명되는 원료 및 입자 함량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주로, 증가된 투명도는 온실 스크린에 사용되는 단층 또는 다층 필름 재료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반사 방지 코팅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대안적으로, 단층 또는 다층 필름 재료는 제1 면 상에 하나의 반사 방지 코팅이 마련되고 제2 면 상에 반사 방지층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러한 반사 방지 코팅 또는 층에 관한 특정 특성을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된 온실 스크린에서, 스트립의 적어도 일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층 또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재료로 제조된다. 단층 필름 재료는 또한 기저층이라고 명명되는 단층 필름으로만 이루어진다. 다층의 실시예에서, 필름은 기저층(B층)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층을 포함한다. 필름에서의 위치에 따라, 추가 층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층이 2개의 표면 각각에 배치될 때에 중간층으로 지칭되고, 필름의 상부층을 형성할 때에 외부층으로 지칭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필름 재료는 적어도 기저층(B 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B 층은 기저층의 제1 면 상에 공동 압출된 제1 층 A(공동 압출 A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B 층은 제2 면 상에 공동 압출된 추가 층 C(공동 압출 C 층)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B 층, 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 공동 압출 A 층 및 공동 압출 C 층을 포함하는 필름 재료는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1개 또는 2개의 반사 방지 코팅이 코팅될 수 있다. 공동 압출 A 층 및/또는 공동 압출 C 층이 필름에서 외부층을 형성하는 경우, 이들 층은 유리하게는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반사 방지 특성을 갖는다.
기저층, 임의의 공동 압출 층, 반사 방지 코팅 및/또는 반사 방지 공동 압출 층을 포함하는 필름 재료의 전체 두께는 25 마이크로미터 이하이다. 단층 또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스트립의 최소 두께는 적어도 10 마이크로미터, 예를 들어 14 마이크로미터 이상 23 마이크로미터 이하, 또는 14.5 마이크로미터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이어야 한다. 필름 두께가 10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온실에서의 최종 적용 중에 균열 형성으로 인한 필름 손상의 위험이 증가하고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사용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스크린에서의 잡아 당기는 힘을 수용하기에 더 이상 충분하지 않게 된다. 4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면, 필름이 너무 뻣뻣하게되고 개방된 인발 상태에서 번들 크기가 너무 커져 과도한 음영을 제공한다.
다층 실시예에서, 기저층의 두께는 적어도 나머지 층(공동 압출 A 층 및/또는 C 층)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다. 유리하게는, 기저층의 두께는 전체 필름 두께의 적어도 55%이고 이상적으로는 전체 필름 두께의 적어도 63%이다.
다층 필름에서, 외부층(즉, 공동 압출 A 층 및 C 층)의 두께는 적어도 0.5 마이크로미터, 예를 들어 적어도 0.6 마이크로미터 또는 적어도 0.5 마이크로미터이다. 외부층의 두께는 3 마이크로미터 이하, 예를 들어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예를 들어 1.5 마이크로미터 이하이다. 0.5 마이크로미터 미만에서는, 공정 안정성 및 외부층의 두께 균일성이 감소된다. 0.7 마이크로미터에서부터 매우 우수한 공정 안정성이 얻어진다.
외부층이 너무 두꺼우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재생 물질이 기저층에 추가되어야 하므로 비용 효과가 감소하고, 기저층 두께가 필름의 전체 두께에 비해 너무 얇으면, 큰 비율의 재생 물질이 이 층에 추가되어야 한다.
기저층 및 다른 층들의 중합체
필름의 기저층 및 다른 층들(공동 압출 A 층 및 C 층)의 중합체(임의의 UV 안정제, 입자, 난연제, 폴리올레핀, 및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기타 첨가제 제외)는 적어도 80 중량%까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다. 이 목적에 적합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특히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의 폴리에스테르, 에틸렌 글리콜 및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PEN)의 폴리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상기 카르복실산 및 디올의 임의의 혼합물이다.
적어도 85 몰%, 예를 들어 적어도 90 몰% 또는 적어도 92 몰%의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 단위 또는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가 특히 선호된다. 나머지 모노머 단위는 다른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올 또는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다.
적합한 다른 지방족 디올은, 예를 들어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화학식 HO-(CH2)n-OH의 지방족 글리콜(n은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부탄디올, 프로판디올 등이다. 다른 적합한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IPA), 아디프산 등이다.
필름이 2 중량% 미만, 예를 들어 1.5 중량% 미만의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온실 용례에서 신뢰성 및 내후성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동일한 이유로, 필름이 12 몰% 미만, 예를 들어 8 몰% 미만, 또는 5 몰% 미만의 이소프탈산(IPA)을 함유하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다층 실시예에서, 필름, A 또는 C 공동 압출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는 8 몰% 초과의 IPA를 함유할 수 있고, 이상적으로는 10 몰% 초과 23 몰% 미만의 IPA, 예를 들어 19 몰% 미만, 이상적으로는 15 몰% 미만(이 변형은 아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필름의 투명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함)의 IPA를 함유할 수 있다.
층이 8 몰% 초과의 IPA 함량을 갖는 경우, 유리하게는 IPA 함량이 보다 높은 층에서 보다 낮은 UV 안정성을 보상하기 위해 적어도 1.5 중량%, 예를 들어 2.1 중량% 초과의 유기 UV 안정제(아래에서 더 설명됨)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의 중량%가 3 중량% 미만, 이상적으로는 1 중량% 미만인 경우 필름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그 이유는 CHDM의 UV 안정성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이소프탈산, 디에틸렌 글리콜 및 CHDM의 총 함량(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함)은 7 중량% 이하이어야 하고, 이상적으로는 6 중량% 미만이어야 한다. 상기 코-모노머, 특히 CHDM의 함량이 상기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필름으로 제조된 스크린의 UV 안정성은 한계값을 초과한 실시예에서보다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발명의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의 표준 점도(SV) 값은 필름이 이상적으로 SV 값>700, SV>650, 예를 들어 SV>600을 갖도록 선택된다. 필름의 SV 값은 950 미만, 예를 들어 850 미만이어야 한다. SV 값이 600 미만이면, 필름이 부서지기 쉽고 제조 중에 빈번한 파손을 유발한다. 또한, 온실 내부에서, 점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추가로 필름의 가요성이 손실되어 스크린의 파손 및 조기 고장을 일으킨다. 또한, 아래에 언급된 기계적 특성은 600 미만의 SV 값으로는 더 이상 달성될 수 없다.
필름이 950보다 높은 SV를 갖는 경우, 중합체는 압출기에서의 높은 입자 하중으로 인해 압출기-전기 모터의 작동 중에 과도하게 높은 전류가 발생할 수 있을 정도의 인성을 갖고 압출 동안 압력 변동을 유발한다. 이로 인해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압출 다이 및 커팅 공구의 마모가 불균형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의 표준 점도(SV) 값은 유리하게는 700 내지 850 사이에서 선택된다.
UV 광 보호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온실 스크린에 사용되는 필름 재료는 370 nm 미만 내지 300 nm(즉, UV 광 범위 내)의 파장 범위에서 낮은 투과율을 갖는다. 이 특정 범위 내의 임의의 파장에서, 투과율은 40% 미만, 예를 들어 30% 미만, 또는 15% 미만이어야 한다. 이는 취화와 황변에 대해 스크린을 보호하며, 이런 방식으로 온실 내의 식물과 설비가 UV 광에 대해 보호된다. 390 nm 내지 400 nm에서, 투명도는 20%보다 크고, 예를 들어 30%보다 크거나 40%보다 커야 되는데, 그 이유는, 이 파장을 초과하면, 명백한 광합성 활동이 있고 식물 성장이 이 파장 위에서 과도한 광 필터링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낮은 UV 투과성은 하나 이상의 유기 UV 안정제의 첨가에 의해 달성된다. UV 광에 대한 낮은 투과성은 필름 및 그 안에 함유된 난연제를 급속한 열화 및 극심한 황변으로부터 보호한다. 유기 UV 안정제는 트리아진(triazine),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또는 벤족사지논(benzoxazino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트리아진 2-(4,6-디페닐-1,3,5-트리아진 -2-일)-5-(헥실)옥시-페놀(Tinuvin® 1577) 또는 Tinuvin® 1600이라는 상표명으로 BASF가 시판하는 2-(2'-히드록시페닐)-4,6-비스(4-페닐페닐)이 사용되는 경우, 370 nm 미만에서의 투명도가 더 낮은 UV 안정제 레벨에서 달성될 수 있는 동시에, 390 nm 초과의 파장에서 더 높은 투명도가 달성된다.
기저층, 또는 다층 필름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외부층(공동 압출 A 또는 C), 또는 양쪽 외부층(공동 압출 A 및 C)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UV 안정제를 함유한다. 전술한 UV 안정화 트리아진 유도체는 275 내지 310℃의 통상적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가공 온도에서 양호한 열 안정성 및 스크린으로부터의 낮은 탈기체율을 갖는다.
UV 안정제는 안정제가 첨가되는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3 중량%, 예를 들어 0.75 내지 2.8 중량%, 또는 1.2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외부층(공동 압출 A 및/또는 C)에 또는 기저층에 함유된다. 다층 실시예에서, 외부층에 추가하여, 또한 기저층이 UV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로 UV 안정제의 함량은 외부층(들)에서보다 기저층에서 더 낮다. 층들에서 이들 특정 함량은 트리아진과 관련된다. 트리아진 유도체 대신에,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족사지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UV 안정제가 사용되는 경우, 트리아진 성분은 1.5배의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족사지논 성분의 양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와인딩 능력의 향상을 위한 입자
기저층 및 외부 공동 압출 A 및/또는 C 층(들)은 또한 필름의 와인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무기 또는 유기 입자는, 예를 들어, 탄산 칼슘, 아파타이트(apatite),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가교 폴리스티렌,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 레이트(PMMA), 제올라이트, 및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와 같은 다른 실리케이트, 또는 또한 TiO2 또는 BaSO4와 같은 백색 안료이다.
이들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와인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 공동 압출 A 및/또는 C 층에 첨가된다. 그러한 입자가 첨가되는 경우, 실리카계 입자의 사용이 투명도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입자는 후방 산란에 의해 투명도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입자의 비율이 외부층에서 너무 큰 경우, 높은 투명도 특성을 달성하는 것이 현저하게 더 어렵다. 따라서, 이들 다른 입자의 비율은 각각 관련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의 층에서 3 중량% 이하, 예를 들어 각각의 층에서 1 중량% 미만, 또는 0.2 중량% 미만이다.
백색-착색 중합체, 예를 들어 TiO2 또는 BaSO4는 또한 필름 재료의 와인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백색-착색 안료는 폴리프로필렌,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COC; cyclic olefin copolymer),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의 주성분과 양립할 수 없으므로, 0.3 중량%(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 미만의 양으로 첨가되고, 이상적으로 전혀 첨가되지 않는다(즉, 0 중량%). 백색-착색 중합체는 투명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필름의 연소 거동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백색-착색 중합체는 UV 광에 의해 영향을 받아 과도한 황변을 일으키므로, 상당한 추가 양의 UV 안정제를 필요로 하고, 이는 스크린의 경제성을 현저하게 악화시킨다.
2층 필름의 경우, 이들 입자는 하나의 층(공동 압출 A 또는 C)에만 첨가되거나, 또는 다층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외부층(공동 압출 A 및 C)에만 첨가된다. 따라서, 이들 입자는 일반적으로 기저층에 첨가된 재생 물질에 비해 소량만 기저층에 도달한다. 따라서, 와인딩에 필요한 입자에 의해 투명도의 최소 감소만이 달성된다.
난연제
온실의 스크린은 잠재적인 화재 위험이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전기 고장에 의해 시작된 화재가 스크린을 통해 전체 온실로 확산되어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수년이 지난 현재의 최첨단 기술은 난연 스크린이다. 온실 커튼에 적합한 화재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광 산란 입자 및 다른 입자, 뿐만 아니라 백색 안료 및 비양립성 중합체의 수준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 내에 있으면 난연제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한 스크린은 4 이하의 화재 테스트 점수를 획득한다.
언급된 그룹 중 하나의 레벨이 제시된 레벨보다 높거나, 특별한 온실 용례를 위해 훨씬 더 가연성 감소가 요구되는 경우, 필름이 유기 인 화합물(organophosphorus compound)에 기초한 난연제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들 난연제는 인산(phosphoric acid) 또는 아인산(phosphorous acid)의 에스테르이다. 인 함유 화합물이 폴리에스테르의 일부인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아데카 봉(Adeka rod) 700(4,4'-(이소프로필 리덴-디페닐) - (디페닐 포스페이트))와 같은 중합화된 인 함유 난연제는 제조 과정에서 난연제의 탈기체의 단점에 추가하여 필름, 즉 폴리에스테르의 가수 분해 안정성에 매우 강한 악영향을 미치므로, 습기가 많은 온실 기후에서, 필름의 빠른 취화를 일으키고, 이에 따라 스크린을 더 자주 교체해야 한다. 이러한 효과는 내장 폴리에스테르 체인 인 화합물(built-in polyester chain phosphorus compound)의 사용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된다.
인 화합물은 2-카르복시에틸-메틸포스핀산(다른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DE-A-23 46 787호에 기술되어 있음)의 사용과 같은 메인 체인의 일부일 수 있다. 그러나, 인이 측면 체인에 있는 인 화합물은 온실 조건 하에서 가수 분해되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그러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1은 -COOR4, -OR5 및 -OCOR6에서 선택되는 에스테르 형성기이고;
R2 및 R3은 할로겐 원자,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기(hydrocarbon group) 및 R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는 수소 원자, 카르보닐기, 또는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기이고;
R5는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 할 수 있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기이고;
R6은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기이고;
A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또는 3가 탄화수소기이고;
n1은 1 또는 2이고;
n2 및 n3은 각각 0, 1, 2, 3 또는 4이고, 특히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2개의 에스테르 형성 작용기를 함유한다.
모노머 6-옥소-디벤조 [c, e] - [1,2] 옥사포스포린-6-일메틸-숙신산-비스(2-히드록시에틸) 에스테르(CAS 63562-34-5 No.)는 폴리에스테르 제조에서 비교적 낮은 가수 분해 민감성을 나타내고, 이는 필름 제조 공정에서 양호한 작동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난연제의 양은 필름 중의 인의 비율이 적어도 500 ppm, 예를 들어 적어도 1200 ppm, 또는 적어도 1600 ppm이 되도록 조절된다. 인의 비율은 5000 ppm 미만, 예를 들어 4000 ppm 미만 또는 3000 ppm 미만(사용된 모든 성분의 각 중량, 즉 물질의 양(몰 단위)을 기준으로 함)이어야 한다. 인 함량이 500 ppm 미만이면, 필름이 너무 빨리 연소된다. 인의 비율이 높을수록 연소 속도가 느려지지만, 가수 분해 안정성도 낮아진다. 5000 ppm 초과에서는 최대 1년 동안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3000 ppm 미만에서는 가수 분해 속도가 충분히 느르기 때문에, 가수 분해에 의한 분해가 수 년의 사용 내에 예상되지 않는다.
인 함량은 층들 간에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분포될 수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외부 공동 압출 A 및/또는 C 층은 내부층(들)의 인 농도의 적어도 75%를 함유하거나, 또는 이들 층은 동일한 농도의 인을 함유할 수 있거나, 또는 외부층이 기저층보다 적어도 5% 많은 인을 함유한다. 이는 특히 바람직한 연소 거동을 초래하고 전체적으로 더 적은 양의 인이 요구된다.
반사 방지 코팅
본 명세서에에 기재된 필름 재료는 적어도 93.5%, 예를 들어 적어도 94.5%, 또는 적어도 95.3%의 투명도를 갖는다. 투명도가 높을수록 온실 내에서 식물의 성장이 더 우수하다. 1% 더 많은 광이 식물에 도달하면, 생산량이 1% 증가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개선된 온실 스크린의 경우, 스크린은 광이 200 W/m2에 도달할 때까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광 손실로 인해 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필름 재료의 투명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원료 및 입자 함량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주로, 증가된 투명도는 필름의 적어도 일면 또는 양면에 반사 방지 코팅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반사 방지 코팅은 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의 표면에 적용되는 일종의 광학 코팅이다. 반사 방지 코팅 또는 층은 기저층 또는 중간층(들)과 비교했을 대에 대비되는 굴절률을 갖는 투명한 박막 구조로 이루어진다. 층 또는 코팅 두께는 계면에서 반사된 빔에 상쇄 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을 일으키고 대응하는 투과된 빔에 보강 간섭(constructive interference)을 일으키도록 선택된다.
기저층, 및 다층 실시예에서 또한 임의의 외부층/중간층(공동 압출 A 및/또는 C)을 포함하는 필름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자체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반사 방지 재료로 코팅된다. 반사 방지 코팅 재료는, 기계 방향에서 측정했을 때, 1.64 미만, 예를 들어 1.60 미만 또는 1.58 미만인, 589 nm의 파장에서의 굴절률을 갖는다.
단층 또는 다층 필름 재료의 2개의 면은 상이한 반사 방지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거나, 필름 재료는 양면이 동일한 반사 방지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반사 방지 코팅 재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 알콜(PVOH),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EP-A-0144948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적합한 실리콘은, 예를 들어 EP-A-0769540호에 기술되어 있다. 아크릴레이트에 기초한 반사 방지 코팅 재료는 온실에 설치하는 동안에 흐르거나 벗겨지지 않는 경향이 있지만, 실리콘에 기초한 코팅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흐르거나 벗겨질 수 있다(또는 폴리비닐 알코올로 세척될 수 있음). 제1 및/또는 제2 반사 방지 코팅은 일 실시예에서 폴리아크릴 레이트를 기초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반사 방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코팅(들)은 7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80 중량% 초과, 또는 93 중량% 초과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 반복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50 중량% 초과의 아크릴레이트 코팅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반복 단위를 함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크릴레이트 코팅은 방향족 구조 원소를 함유하는 10 중량% 미만, 예를 들어 5 중량% 미만, 또는 1 중량% 미만의 반복 단위를 함유한다. 방향족 구조 원소를 갖는 반복 단위의 함량이 10 중량% 초과인 경우, 반사 방지 코팅의 내후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반사 방지 코팅은 실리콘-아크릴 레이트 공중합체 코팅이다.
반사 방지 코팅(들)의 두께는 적어도 60 nm, 예를 들어 적어도 70 nm 또는 적어도 78 nm이다. 반사 방지 코팅(들)의 두께는 최대 130 nm, 예를 들어 115 nm 이하, 이상적으로는 110 nm 이하이다. 이는 원하는 파장 범위에서 이상적인 투명도 증가를 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사 방지 코팅의 두께는 87 nm 초과, 예를 들어 95 nm 초과이다. 이 실시예에서, 반사 방지 코팅의 두께는 115 nm 미만이고 이상적으로는 110 nm 미만이다. 95 내지 110 nm의 좁은 두께 범위에서, 양쪽 투명도 증가가 최적 범위에 있고 동시에 가시 스펙트럼의 나머지에 대한 광의 UV 및 청색 범위의 반사가 증가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UV 안정제를 절약하지만, 청색/적색 파장 비율이 적색 성분에 유리하게 변화한다는 점을 주로 초래한다. 이로 인해 식물 성장이 향상되고, 개화(flowering) 및 착과(fruit setting)가 증가되며, 식물의 황화(etiolation)가 억제된다.
반사 방지 코팅(들)은 공지된 방법(역 그라비어 롤(reverse gravure roll) 또는 메이어 바(meyer bar))에 의한 필름의 횡방향 연신 전에 인라인 수성 분산액으로부터 필름 재료에 도포된다. 일 실시예에서, 반사 방지 코팅은 적어도 1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의 UV 안정제, 예를 들어 Tinuvin® 479 또는 Tinuvin® 5333 DW를 함유한다.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는 재생(제조로부터의 필름 잔류물의 재활용) 및 재료의 현저한 황변을 초래하고, 이에 따라 투명도를 감소시키므로 덜 바람직하다.
필름 재료의 적어도 제1 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반사 방지 코팅이 마련된다. 그러나, 전술한 필름 재료의 반대쪽 면, 즉 제2 표면에도 반사 방지 코팅이 마련될 수 있다(하기 표 1의 예 2, 3, VB2 및 4 참조). 일 실시예에서, 제1 반사 방지 코팅과 동일한 반사 방지 코팅이 제2 필름 표면에도 도포되고, 즉 제1 및 제2 필름 표면 모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반사 방지 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다(하기 표 1의 예 2, 3 및 VB2 참조).
변형예에서, 제2 반사 방지 코팅은 제1 반사 방지 코팅과 비교하여 변경되었고, 즉 일면이 아크릴레이트 기반 코팅을 갖고 다른 면에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코팅이 도포된다(하기 표 1의 VB4 참조). 실리콘-아크릴 레이트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Dow Corning USA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전술한 양면 반사 방지 코팅의 경우, 95.3% 초과의 투명도 값이 달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특성을 갖는 공동 압출 외부층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필름의 제1 반사 방지 코팅면의 반대쪽인 제2 면은 제2 반사 방지 코팅 대신에 기저층(B)의 상부에 반사 방지 특성을 갖는 코-모노머(co-monomer)를 포함하는 공동 압출된(공동 압출) 외부층이 마련될 수 있다(하기 표 1의 예 1 및 VB1 참조). 이 실시예에서, 공동 압출 층은 배향된 호모-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보다 굴절률이 낮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기계 방향에서 측정했을 때 589 nm의 파장에서의 굴절률은 1.70 미만, 예를 들어 1.65 미만, 이상적으로는 1.60 미만이다. 이 굴절률은 코-모노머가 적어도 2 몰%, 예를 들어 적어도 3 몰%의 함량으로 첨가되는 중합체에 의해 달성되고, 이상적으로는 중합체는 적어도 6 몰%의 코-모노머를 함유한다. 2 몰% 미만에서는, 원하는 굴절률의 값이 달성될 수 없다. 코-모노머는 일 실시예에서 20 몰% 미만, 예를 들어 18 몰% 미만, 이상적으로는 16 몰% 미만이다. 16 몰% 초과에서는 UV 안정성이 필름의 비정질 물성으로 인해 현저히 나빠지고, 20 몰%를 초과하면 UV 안정제의 증가된 비율이 코-모노머에 의해 야기된 UV 안정성의 감소를 보상할 수 없다.
코-모노머로서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모든 모노머가 포함된다. 코-모노머의 비율은 항상 모든 코-모노머의 합을 가리킨다. 2개 이하의 코-모노머가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사용된다.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코-모노머는 이소프탈산(IPA; isophthalic acid)이다. 일 실시예에서, 공동 압출 층은 6 몰% 초과의 IPA, 예를 들어 9 몰% 초과의 IPA를 함유하지만, 23 몰% 미만, 예를 들어 19 몰% 미만, 또는 15 몰% 미만의 IPA를 함유한다. 6 중량% 초과의 코-모노머 함량을 갖는 공동 압출 층은 일 실시예에서 증가된 코-모노머 함량을 갖는 층의 안정성을 보상하기 위해 적어도 1.5 중량%, 예를 들어 2.1 중량% 초과의 유기 UV 안정제(전술한 바와 같음)를 함유한다.
일면에 반사 방지 코팅(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이 그리고 반대쪽 면에 층이 마련된 필름 재료와 코-모노머를 포함하는(즉, 공중합체 층을 형성하는) 중합체를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필름의 투명도는 적어도 93.5%이지만 95.3% 초과의 높은 투명도 값에는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코팅과 비교하여 공중합체 층을 첨가하는 이점은, 필름 재료에 보다 높은 내마모성이 제공되어, 온실의 높은 응력 영역(종종 세정된 영역)에서 유리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필름의 제조 공정
개별 층들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는 디카르복실산 및 디올로부터 출발하거나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디메틸 및 디올로부터 출발하여 중축합(poly condensation)에 의해 제조된다. 적합한 폴리에스테르는 500 내지 1300 범위의 표준 점도(SV; standard viscosity) 값을 갖는데, 여기서 개별 값은 덜 중요하지만, 사용된 재료의 평균 SV 값은 700보다 크거나, 예를 들어 750보다 커야 한다.
안료, 및/또는 입자, 뿐만 아니라 UV 안정제는 폴리에스테르의 실제 제조 동안 첨가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입자는 디올 내에 분산되고, 선택적으로 분쇄되며, 옮겨 붓고 및/또는 여과되며, (트랜스) 에스테르화 단계 중에 또는 중축합 단계에서 반응기에 첨가된다. 농축된 입자 함유 또는 첨가제 함유 폴리에스테르 마스터배치(masterbatch)는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screw extruder)로 제조될 수 있으며 입자가 없는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필름 압출에서 희석될 수 있다. 30 중량% 미만의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가 사용될 때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마스터배치에 함유된 SiO2 입자의 양은 20 중량%의 순수 SiO2(겔 형성의 위험성)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또 다른 옵션은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필름 압출 동안 입자와 첨가제를 직접 첨가하는 것이다.
스크류 압출기가 사용되는 경우, 사전에 폴리에스테르를 건조시킨다. 탈기체 영역을 갖는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는 경우, 건조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의 개별 층들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이 압출기에서 압축 및 액화된다. 단층 또는 다층의 용융물(들)은 이후 평탄한 용융 필름으로 형성되고, 슬롯 다이를 통해 가압되어 냉각 롤 및 하나 이상의 테이크 오프 롤(take-off roll)에서 인발되며, 그 결과 냉각되고 응고된다.
본 발명의 필름은 2축 배향, 즉 2축 연신된다. 필름의 2축 배향은 가장 빈번하게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필름은 먼저 종방향으로(즉, 기계 방향으로 = MD), 그 다음 횡방향으로(즉, 기계 방향에 수직으로 = TD) 연신된다. 종방향 배향 연신은 원하는 연신율에 대응하여 상이한 속도로 동작하는 2개의 롤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횡방향 연신의 경우, 적절한 텐터 프레임(tenter frame)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연신이 수행되는 온도는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고 필름의 원하는 특성에 따라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종방향에서의 연신은 80 내지 130℃의 온도 범위(가열 온도 80 내지 130℃)에서 수행되고 횡방향 연신은 90℃(연신 시작) 내지 140℃(연신 종료)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종방향 연신율은 2.5: 1 내지 5: 1, 바람직하게는 2.8: 1 내지 4: 1의 범위 내에 있다. 5를 초과하는 연신율은 제조 능력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파열).
횡방향 연신율은 일반적으로 2.5: 1 내지 5: 1, 바람직하게는 3.2: 1 내지 4: 1의 범위 내에 있다. 4.8보다 높은 횡방향 연신율은 제조 능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므로(파열), 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보다 높은 면적 연신율(종방향 x 횡 방향)은 필름에 대해 더 높은 굴절률을 제공하고, 그 결과 더 낮은 필름 투명도를 초래한다. 따라서, 면적 연신율(= 연신율 MD × 연신율 TD)는 일 실시예에서 20 미만, 예를 들어 18 미만이다.
원하는 필름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연신 온도(MD 및 TD에서)가 125℃, 바람직하게는 118℃ 미만일 때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횡방향 연신 전에,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 표면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인라인 코팅될 수 있다. 인라인 코팅은 투명도(반사 방지)를 증가시키기 위해 코팅을 도포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필름의 인라인 반사 방지 코팅은 반사 방지 코팅이 별개의 오프라인 단계에서 적용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필름의 전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후속 열 세팅에서, 필름은 15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약 0.1 내지 10초의 기간에 걸쳐 장력 하에 유지되고, 수축 및 신장 값을 달성하기 위해 횡방향에서 적어도 1%, 예를 들어 적어도 3% 또는 적어도 4% 이완된다.
이 이완은 150 내지 190℃의 온도 범위에서 발생하게 된다. 투명도 보우(transparency bow)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고정 영역에서의 온도는 220℃ 미만, 예를 들어 220℃ 미만이다. 게다가, 동일한 이유로, 총 횡방향 연신율의 적어도 1%, 예를 들어 적어도 2%는 일반적으로 연신되지 않는 제1 고정 영역에 위치해야 한다. 그 다음, 필름은 관습적인 방식으로 와인딩된다.
다른 필름 특성
전술한 방법에 따른 필름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150℃에서 5% 미만, 예를 들어 2% 미만 또는 1.5% 미만의 수축을 갖는다. 이 필름은 100℃에서 3% 미만, 예를 들어 1% 미만 또는 0.3% 미만 정도까지 추가 수축을 갖는다. 이 치수 안정성은, 예를 들어 필름의 적절한 이완에 의해 와인딩 전에 획득될 수 있다(공정 설명 참조). 이 치수 안정성은 스크린에서 사용될 때에 필름 스트립의 후속 수축을 피하기 위해 중요한데, 이에 의해 스트립들 사이에서 공기의 통과가 증가하게 된다(즉, 에너지 절약 효과의 감소). 이완은 롤러 스크린 뿐만 아니라 온실 스크린의 제조 과정 모두에서 수행되는데, 그 이유는 너무 큰 수축 또는 확장은 완제품에 파형 변경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3000 N/mm2 초과, 예를 들어 3500 N/mm2 초과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방향에서) 4500 N/mm2 초과의 탄성 계수를 필름의 양방향에서 더 포함한다. F5 값(5% 확장 시의 힘)은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약 80 N/mm2, 예를 들어 약 90 N/mm2이다. 이러한 기계적 특성은 전술한 공정 조건과 관련하여 필름의 2축 연신의 파라미터를 변경시킴으로써 설정되고 획득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특성을 갖는 필름은 사용 중에 잡아당겼을 때에 과도하게 연장되지 않고 쉽게 관리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투명도 값을 달성하기 위해, 필름의 헤이즈(haze)가 18% 미만, 예를 들어 8% 미만, 또는 3% 미만이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탁도(turbidity)가 낮을수록, 광의 후방 산란이 적어지고 이에 따라 투명도가 손실된다. 본 발명의 입자 함량 및 중합체 조성에 따라, 이들 헤이즈 값에 도달한다.
용례
필름은 폭이 2 내지 10 mm인 좁은 스트립으로 절단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어서 이 스트립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얀(폴리 에스테르 얀은 UV 안정화되어야 함)과 함께 온실에 매달리는 직물 또는 스크린이 제조된다. 필름의 스트립은 다른 필름의 스트립과, 특히 광 산란 효과를 갖는 필름과 결합될 수 있다.
원하는 투명도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스크린의 표면적의 적어도 10%, 예를 들어 적어도 20%, 적어도 30%, 적어도 40%,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또는 적어도 90%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의 스트립(11)이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의 모든 스트립(11)은 설명된 단층 또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고, 스트립(11)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하도록 에지끼리 가깝게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름 자체가 온실에 설치되거나, 또는 편직, 경편직 또는 제직 필름 스트립이 얀 네트워크에 접착되어 보강된 스크린 재료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필름 재료의 스트립은 모세관 작용에 의한 액체 운반 용량을 갖는 얀 프레임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얀 프레임워크는 편직, 경편직 또는 제직 필름 재료의 스트립의 적어도 일면에 열적으로 접합될 수 있고, 또한 스트립에 열적으로 접합된 얀 프레임워크의 부분은 모세관 작용에 의한 액체 운반 용량을 갖는다.
전술한 이들 설비는 야간 동안에 에너지 손실을 줄여주며, 특히 이른 아침에 식물에 양호한 광 공급을 보장한다.
예들
다음 조건은 예 1-3 및 VB1-5에 적용된다.
중합체 혼합물은 292℃에서 용융되고 슬롯 다이를 통해 50℃로 제어된 온도의 냉각 롤 상에 정전기적으로 도포된다. 그후, 결과적인 필름은 아래의 조건 하에서 종방향으로 그 다음에 횡방향으로 연신된다.
종방향 연신:
가열 75-115℃
연신 온도 115℃
종방향 연신율 3.8
횡방향 연신:
가열 100℃
연신 온도 112℃
방향 연신율(제1 고정 영역에서의 연신을 포함) 3.9
설정:
온도 237-150℃
지속 시간 3초
200-150℃에서 TD의 이완 5%
예에서, 아래의 원료가 사용된다:
PET1 = 820의 SV 값 및 0.9 중량%의 DEG 함량(모노머로서 디에틸렌 글리콜)을 갖는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2 = 730의 SV 값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코-모노머로서의 (6-옥소-디벤조 [c, e] - [1,2]-옥사포스포린-6-일메틸) 숙신산 비스(2-히드록시에틸), 그로부터 인의 비율은 원료에서 18000 ppm이다.
PET3 = 20 중량%의 Tinuvin® 1577을 함유하는, 700의 SV 값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UV 안정제는 아래의 조성, 즉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 옥시-페놀(독일 루드빅샤펜 소재의 BASF사의 Tinuvin® 1577)을 갖는다. Tinuvin® 1577은 149℃의 용융점을 갖고 330℃에서 열적으로 안정적이다.
PET 4 = 700의 SV 및 d50이 2.7 미크론인 15 중량%의 실리카 Sylysia 310 P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조원: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 소재의 FUJI SILYSIA CHEMICAL사). SiO2는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혼입된다.
PET 5 = 710의 SV 값, 코-모노머로서 25 몰%의 이소프탈산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하기 표 1은 제형, 제조 조건 및 결과적인 필름 특성(중량%는 각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됨)을 요약한 것이다:
[표 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테스트 방법의 설명
아래의 분석 방법은 사용된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평균 입자 직경 d50의 측정
평균 입자 크기 d50의 결정은 Malvern Mastersizer 2000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입자를 물에 분산시키고 미터 단위로 분석되는 큐벳(cuvette)으로 전달하였으며, 입자 크기는 레이저 회절 법에 의해 결정되었다. 일반적으로, 검출기가 수학적 상관 함수를 사용하여 각도 종속 광 강도로부터 회절된 레이저 광의 이미지 강도를 포착하는 동안, 입자 크기 분포가 계산된다. 입자 크기 분포는 중간값 d50 (= 평균값에 대한 위치의 측정) 및 산포도 SPAN98 (= 입자 직경의 산포의 측정)의 2개의 파라미터를 특징으로 한다. 테스트 절차는 자동으로 수행되었으며 d50 값의 수학적 결정을 포함하였다.
이들 입자로 제조된 필름의 측정 결과에 따르면 제조 시작 전의 입자 초기값에 비해 d50 값이 15 내지 25% 낮아진다.
UV/Vis 스펙트럼 또는 파장 x에서의 투과율
필름의 투과율은 UV/Vis 이중 빔 분광 광도계(Lambda 12 또는 35)(Perkin Elmer USA)로 측정하였다. 약 3 x 5 cm 폭의 필름 시편이 빔 경로의 측정 빔에 수직인 평탄한 샘플 홀더에 삽입된다. 측정 빔은 50 mm 적분구를 통해 검출기쪽으로 향하게 되고, 여기서 강도는 원하는 파장에서 투명도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배경은 공기이다. 원하는 파장에서 투과율이 판독된다.
투명도
투명도는 BYK-Gardner GmbH(독일)로부터의 헤이즈-가드 플러스(haze-Gard plus)에 의해 ASTM-D 1003-61(방법 A)에 따라 측정되었다.
선명도
선명도의 결정은 ASTM-D-1003에 따라 그리고 BYK-Gardner GmbH로부터의 헤이즈-가드 플러스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광은 산란된 광의 양이 좁은 로브(lobe)에 집중되도록 작은 입체각 내에서 편향된다. 선명도는 2.5° 미만의 각도 범위에서 측정된다. 선명도를 측정하기 위해, 필름이 광 출구 개구 근처에 적용된다(이미지 선예도).
SV (표준 점도)
표준 점도 SV는 25℃에서 우베로데(Ubbelohde) 점도계에서 디클로로아세트산(DCA) 중 1%의 농도로 DIN 53 726을 기준으로 측정되었는데, 점도계는 용액이 모세관을 통과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한다. 용해된 필름을 포함하는 DCA 용액의 점도는 사용된 중합체의 평균 체인 길이에 대응한다. 무기 입자(예를 들어, TiO2 또는 SiO2)와 같은 불용성 물질은 점도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샘플 중량 측정(아래 참조) 중에 고려되어야 한다. 상대 점도 (ηrel)로부터, 무차원 SV 값은 아래와 같이 결정된다.
SV = (ηrel-1) × 1000
미충전 필름에 사용되는 중합체의 체인 길이와 충전 필름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필름이 그러한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에 불용성 물질의 양이 고려되어야 한다. 중합체 원료 또는 불용성 입자를 함유한 필름을 DCA에 용해시키고, 불용성 안료를 측정 전에 원심 분리하였다. 불용성 입자의 비율은 회분 측정에 의해 결정되었다. 충전 필름을 분석할 경우, 미충전 필름에 비해 많은 양의 충전 필름이 디클로로아세트산에 용해되어야 한다. 필름이 불용성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DCA에 용해될 샘플의 중량을 계산한다.
DCA에 용해될 샘플(충전 필름)의 총 중량 = (미충전 필름의 샘플 중량) / ((100 - (충전 필름 중에 불용성 입자 함량(중량%)) / 100). 예를 들어, 표준 미충전 필름의 0.4g이 DCA 40ml에 용해되고 분석될 충진 필름이 5%의 불용성 입자(회분 결정에 의해 결정됨)를 함유하면, 충진 필름의 0.42g이 불용성 입자의 중량을 보상하기 위해 DCA에 용해되어야 한다:
0.4g/((100-5)/100) = 0.42g
기계적 특성
기계적 특성은 100 mm x 15 mm 필름 스트립에 대한 인장 테스트 DIN EN ISO 572-1 및 -3(시편 유형 2)에 따라 결정되었다.
수축
열 수축은 에지 길이가 10 cm인 정사각형 필름 샘플에서 결정되었다. 하나의 에지가 기계 방향과 평행하고 하나의 에지가 기계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샘플을 절단하였다. 샘플은 정확하게 측정되었고(에지 길이 L0는 각각의 기계 방향 TD 및 MD에 대해 측정됨, 즉 L0 TD 및 L0 MD) 대류 오븐에서 규정된 수축 온도(여기서는 150℃)로 15분 동안 어닐링되었다. 샘플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정확하게 측정하였다(에지 길이 LTD 및 LMD). 수축은 다음 방정식으로 계산된다.
수축[%] MD = 100 × (L0 MD-LMD) / L0 MD, 또는
수축[%] TD = 100 × (L0 TD-LTD) / L0 TD
팽창
열 팽창은 에지 길이가 10 cm인 정사각형 필름 샘플에서 결정되었다. 샘플을 정확하게 측정하고(에지 길이 L0) 대류 오븐에서 100℃로 15분 동안 어닐링한 다음 실온 정확하게 측정하였다(에지 길이 L). 팽창은 다음 방정식으로 얻어진다.
팽창[%] = 100 × (L - L0) / L0
그리고, 필름의 각 방향에서 별개로 결정되었다.
UV 안정성
UV 안정성 및 UTS 값은 노출 시간이 1000 시간이 아니라 2000 시간이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DE 69731750호(WO 9806575호의 DE)의 8쪽에서와 같이 결정되고 초기값의 %로 특정되었다.
난연성
30 x 30 cm 피스의 필름을 코너에서 2개의 클립으로 고정하고 수직으로 매달았다. 일반적으로, 현수 지점에서 필름 피스를 움직이는 공기 이동이 없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위쪽으로부터의 약간의 공기는 허용 가능하다. 이어서, 필름 피스를 아래쪽 중앙에서 하방으로부터의 화염에 노출시켰다. 화염 처리를 위해, 상용 담배 라이터 또는 보다 양호한 분젠 버너(Bunsen burner)가 사용된다. 화염은 1 cm보다 길고 3 cm보다 작아야 한다. 화염은 점화 불꽃없이 계속 연소될 때까지(적어도 3 초) 필름에 대해 충분히 오래 유지되었다. 이에 의해, 화염은 최대 5 초 동안 최대로 유지되었고, 그 후에 연소 및 수축을 검사하였다. 4회의 그러한 점화 공정을 수행하였다.
여기에 제공된 예에서, 난연성은 다음 등급으로 평가된다:
1 = 필름이 4회 점화하는 동안 점화되었고, 3 초 이상 연소되지 않았음.
2 = 필름이 점화되고 15 초 이내에 소화되었고 필름 표면의 30% 이상이 남아 있음.
3 = 필름이 점화되고 20 초 이내에 소화되었고 필름 표면의 30% 이상이 남아 있음.
4 = 필름이 점화되고 40 초 이내에 소화되었고 필름 표면의 30% 이상이 남아 있음.
5 = 필름이 점화되고 40 초 이내에 소화되었고 필름 표면의 10% 이상이 남아 있음.
6 = 필름이 점화되고 40 초 이상 연소되었거나, 소화 후에 필름 표면의 10% 미만이 남아 있음.
파장의 함수로서 굴절률의 결정
필름 기재 및 적용 코팅 또는 재료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공동 압출된(공동 압출) 층의 굴절률을 파장의 함수로서 결정하기 위해, 분광 타원법(spectroscopic ellipsometry)이 사용된다. 이 방법의 배경 정보 및 배경 이론은, 예를 들어 아래의 간행물에서 찾을 수 있다. J. A. Woollam 등, 가변 각도 분광 타원법(VASE)의 개요: I. 기본 이론 및 일반적인 응용, Proc. SPIE Vol. CR72, p. 3-28, Optical Metrology, Ghanim A. Al-Jumaily; Ed.
첫 번째는 코팅(들) 또는 변형된 공동 압출 층(들)없이 기저 필름을 분석한다. 필름의 후면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 후면(분석되지 않는 면)은 미세한 입자 크기 (예를 들어, P1000)를 갖는 연마지에 의해 거칠게 만든다. 이어서, 시트는 회전 보정기, 예를 들어, J. A. Woollam Co., Inc.의 M-2000이 장착된 분광 엘립소미터(spectroscopic ellips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샘플 필름의 기계 방향은 광선에 평행하다. 측정된 파장은 370 내지 1000 nm 범위이며, 측정 각도는 65, 70 및 75°이다.
그후에, 타원 해석 데이터 Ψ와 Δ는 실험 데이터와 일치하도록 모델링된다. 코시 모델(Cauchy model)이 본 경우에 적합하다.
Figure pct00004
(파장 λ는 미크론 단위)
여기서 n(λ)는 파장 λ에서의 굴절률이다. 파라미터 A, B 및 C는 데이터가 측정된 스펙트럼 Ψ 및 Δ에 가능한 한 근접하게 일치하도록 변경된다.
모델의 품질을 테스트하기 위해, 측정 데이터 (Ψ(λ) 및 Δ(λ))와 모델을 비교하도록 MSE(Mean Squared Error) 값이 포함될 수 있다. MSE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05
n = 파장의 수,
m = 피팅 파라미터 수
N = cos (2Ψ),
C = sin (2Ψ) cos (Δ),
S = sin (2Ψ) sin (Δ) [1]
기저 필름에 대한 결과적인 코시 파라미터 A, B 및 C는 370 내지 1000 nm의 측정 범위에서 유효한 파장의 함수로서 굴절률(n)을 계산하게 한다.
코팅 또는 변경된 공동 압출 층은 유사하게 분석될 수 있다. 기저 필름의 파라미터는 이미 분석되고 잘 알려져 있으며 추가 층의 모델링 중에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코팅 또는 공동 압출 층의 굴절률을 결정하기 위해, 필름 후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칠게 되어야 한다. 다시, 추가 층의 파장에 따라 굴절률을 설명하기 위해 코시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제, 층은 모델링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기재 상에 있다. 층의 두께는 획득한 스펙트럼에 영향을 주며 또한 모델링 공정에도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32)

  1. 온실 스크린으로서,
    연속적인 제품을 형성하도록 편직 공정, 경편직 공정 또는 제직 공정에 의해 횡방향 씨실(12, 14, 18)과 종방향 날실(13a, 13b; 15; 19)의 얀 시스템에 의해 상호 연결된 필름 재료의 스트립(11)
    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11)의 적어도 일부는, 필름의 제1 면 상에 제1 반사 방지 코팅이 마련되고 필름의 제2 면 상에 제2 반사 방지 코팅 또는 반사 방지층이 마련되는 단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형태의 필름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재료는 적어도 93.5%의 투명도를 가지며,
    기계 방향(MD)에서 측정했을 때에 상기 반사 방지 코팅(들)은 589 nm의 파장에서 1.64 미만인 굴절률을 갖고, 상기 반사 방지층은 589 nm의 파장에서 1.64 미만인 굴절률을 갖는 것인 온실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재료는 적어도 94.5%, 예를 들어 적어도 95.3%의 투명도를 갖는 것인 온실 스크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재료는 적어도 10 마이크로미터 그리고 최대 40 마이크로미터, 예를 들어 적어도 11 마이크로미터 그리고 최대 25 마이크로미터, 예를 들어 적어도 14 마이크로미터 그리고 최대 23 마이크로미터, 예를 들어 적어도 14.5 마이크로미터 그리고 최대 20 마이크로미터의 총 두께를 갖는 것인 온실 스크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재료의 제2 면에는 반사 방지 코팅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온실 스크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방지 코팅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 코팅은 기계 방향(MD)에서 측정했을 때에 589 nm의 파장에서 1.60 미만, 예를 들어 1.58 미만인 굴절률을 갖는 것인 온실 스크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방지 코팅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 코팅은 폴리아크릴레이트, 실리콘(silicones),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 알콜(PVOH),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재료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온실 스크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방지 코팅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 코팅은 폴리아크릴레이트를 기초로 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반사 방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코팅 및 제2 반사 방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코팅은 70 중량% 초과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 반복 단위, 80 중량% 초과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 반복 단위, 93 중량% 초과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방지 코팅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 코팅은 50 중량% 초과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반사 방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코팅 및 제2 반사 방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코팅은 방향족 구조 원소를 함유하는 10 중량% 미만, 5 중량% 미만, 1 중량% 미만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
  11.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 방지 코팅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코팅(silicone-acrylate copolymer coating)인 것인 온실 스크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방지 코팅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 코팅은 두께가 적어도 60 nm이지만 130 nm 미만이고, 예를 들어 적어도 70 nm이지만 115 nm 미만이며, 예를 들어 적어도 78 nm이지만 110 nm 미만이고, 예를 들어 110 nm 미만이지만 95 nm 초과인 것인 온실 스크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 코팅은 Tinuvin® 479 및 Tinuvin® 5333 DW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의 UV 안정제를 함유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방지 코팅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 코팅은 필름 재료의 횡방향 연신 전에 필름 재료에 적용되는 것인 온실 스크린.
  15.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재료는 기저층의 상부 상에 공동 압출된 반사 방지층을 갖는 것인 온실 스크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압출된 반사 방지층은 기계 방향(MD)에서 측정했을 때에 589 nm의 파장에서 1.65 미만, 예를 들어 1.60 미만인 굴절률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인 온실 스크린.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압출된 반사 방지층은 적어도 2 몰%이지만 20 몰% 미만, 적어도 3 몰%이지만 18 몰% 미만, 적어도 6 몰%이지만 16 몰% 미만의 함량의 코-모노머(co-monomer)를 포함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모노머는 이소프탈산(IPA; isophthalic acid)이고, 6 몰% 초과이지만 23 몰% 미만, 예를 들어 9 몰% 초과이지만 19 몰% 미만, 예를 들어 15 몰% 미만의 IPA의 농도로, 공동 압출된 반사 방지층에 첨가되는 것인 온실 스크린.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 몰% 초과의 코-모노머 함량을 함유하는 공동 압출된 반사 방지층은 적어도 1.5 중량%, 예를 들어 2.1 중량%의 유기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재료는 370 nm 내지 300 nm 범위의 파장에서 40% 미만, 예를 들어 30% 미만, 예를 들어 15% 미만의 투과율을 갖는 것인 온실 스크린.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재료는 600 초과, 예를 들어 650 초과, 예를 들어 700 초과의 표준 점도(SV; standard viscosity) 값을 갖는 것인 온실 스크린.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재료는 18% 미만, 예를 들어 8% 미만, 예를 들어 3% 미만의 헤이즈(haze)를 나타내는 것인 온실 스크린.
  23.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층의 적어도 전부는 적어도 0.3 중량%의 유기 UV 안정제(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를 함유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UV 안정제는 트리아진(triazine),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또는 벤족사지논(benzoxazino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온실 스크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UV 안정제는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yl))-5-(헥실)옥시-페놀(Tinuvin® 1577) 또는 2-(2'-히드록시페닐)-4,6-비스(4-페닐페닐)(Tinuvin® 1600)인 것인 온실 스크린.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재료는 다층형이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층을 포함하며, 이 외부층의 폴리에스테르는 8 내지 23 중량% IPA의 이소프탈산(IPA) 함량을 갖는 것인 온실 스크린.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재료의 스트립(11) 중 하나 이상은 종방향 날실(13a, 13b; 15; 19)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인 온실 스크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트립(11) 및 인접한 스트립(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은 상기 온실 스크린을 통한 환기를 허용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실 스크린에서 스트립(11)의 적어도 10%, 예를 들어 적어도 20%, 예를 들어 적어도 30%, 예를 들어 적어도 40%, 예를 들어 적어도 50%, 예를 들어 적어도 60%, 예를 들어 적어도 70%, 예를 들어 적어도 80%, 예를 들어 적어도 90%는 상기 단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재료 또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실 스크린의 모든 스트립(11)이 상기 단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재료 또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재료로 되어 있는 것인 온실 스크린.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직 스트립, 경편직 스트립 또는 제직 스트립이 얀 네트워크 상에 접착되어, 보강된 스크린 재료를 형성하는 것인 온실 스크린.
  32. 온실에서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온실 스크린의 용도.
KR1020187035398A 2016-05-30 2017-05-30 에너지 절약형 온실 스크린 KR102508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650748 2016-05-30
SE1650748-5 2016-05-30
PCT/EP2017/063035 WO2017207568A1 (en) 2016-05-30 2017-05-30 Energy saving greenhouse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714A true KR20190015714A (ko) 2019-02-14
KR102508728B1 KR102508728B1 (ko) 2023-03-10

Family

ID=5880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398A KR102508728B1 (ko) 2016-05-30 2017-05-30 에너지 절약형 온실 스크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11723319B2 (ko)
EP (1) EP3462839B2 (ko)
JP (1) JP7004388B2 (ko)
KR (1) KR102508728B1 (ko)
CN (1) CN109310055B (ko)
AU (1) AU2017272602B2 (ko)
BR (1) BR112018074404B1 (ko)
CA (1) CA3025819A1 (ko)
CO (1) CO2018012515A2 (ko)
DK (1) DK3462839T4 (ko)
EA (1) EA035379B1 (ko)
ES (1) ES2784437T5 (ko)
FI (1) FI3462839T4 (ko)
IL (1) IL263087B (ko)
MA (1) MA45096B1 (ko)
MX (1) MX2018013594A (ko)
PL (1) PL3462839T5 (ko)
UA (1) UA127342C2 (ko)
WO (1) WO20172075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5220C1 (ru) * 2020-04-21 2020-10-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ородские агротехнологии" (ООО "Городские агротехнологии")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еводческой продукции в вертикально ориентированных тепличных комплекса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9294A1 (de) * 2016-05-30 2017-11-3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UV-stabilisierte, ein- oder mehrschichtige Polyesterfolie mit mindestens einseitiger antireflex-Beschichtung (antiglare) und einer Transparenz von mindestens 93,5 %
MX2021008448A (es) * 2019-01-18 2021-08-19 Svensson Ludvig Ab Malla de ahorro de energia para invernaderos.
CN114845545B (zh) * 2019-12-25 2023-09-22 富士胶片株式会社 农用采光部件及农产用箱体
US20230125876A1 (en) * 2020-02-24 2023-04-27 Infrascreen Sa A foldable screen for greenhouse
WO2021171205A1 (en) 2020-02-24 2021-09-02 Infrascreen Sa A screen for greenhouse or for outdoor cultivations
DE102020213101A1 (de) * 2020-10-16 2022-04-2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Ein- oder mehrschichtige Polyesterfolie mit einer permanenten Antifog-Beschichtung und einer Transparenz von mindestens 92%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8638A1 (en) * 2004-07-06 2006-01-12 Thorsten Kiehne Multilayer, matt, thermoformable, IR-reflective polyester film
KR20140088524A (ko) * 2011-09-22 2014-07-10 에이비 루드빅 스벤쏜 온실 스크린
CN105058934A (zh) * 2015-08-25 2015-11-18 苏州飞翔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高透光率的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71064A5 (en) 1969-12-17 1971-09-17 Barthelemy Jean Woven fabric - with plastic tape warp, used for plant protection
DE2346787C3 (de) 1973-09-17 1980-05-08 Hoechst Ag, 6000 Frankfurt Schwer entflammbare lineare Polyester,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FR2432580A1 (fr) 1978-03-07 1980-02-29 Ardorel Ets Procede et revetement pour isoler thermiquement et proteger une construction
ZA796430B (en) 1978-12-21 1980-12-31 Ici Ltd Double-glazing assemblies
SE436164B (sv) 1982-11-10 1984-11-19 Svensson Ludvig Bv Vexthusgardin
US4571363A (en) * 1983-12-12 1986-02-18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Polyester film primed with crosslinked acrylic polymers
US4626465A (en) 1984-07-03 1986-12-02 Ludwig Svensson International B.V. Curtain fabrics for greenhouses and shade halls
JPS63153134A (ja) 1986-12-17 1988-06-25 三菱化成ビニル株式会社 農業用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フィルム
BE1002802A3 (nl) 1989-01-31 1991-06-11 Bonar Phormium Schaduw- en isolatiescherm voorzien van waterabsorberende textieldraden.
US5672428A (en) 1995-10-17 1997-09-30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Silicone release coated polyester film and a process for coating the film
GB9617185D0 (en) 1996-08-15 1996-09-25 Ici Plc Polymeric film
CN1106421C (zh) * 1997-12-22 2003-04-23 住化普拉斯技术株式会社 树脂薄膜
US6531230B1 (en) 1998-01-13 2003-03-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lor shifting film
EP1038905A3 (de) 1999-03-26 2001-01-3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UV-stabilisiert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
DE10002171A1 (de) * 2000-01-20 2001-07-2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07722A1 (de) 2000-02-19 2001-08-2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Einseitig matte, siegelfähige, UV stabilisierte, koextrudierte, biaxial orientierte 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BE1014679A3 (nl) * 2002-03-05 2004-03-02 Bonar Technical Fabrics Nv Scherm met regelbare schermingsgraad en klimaatregeling gebruik makend van zo'n scherm.
JP4352934B2 (ja) 2004-03-03 2009-10-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反射防止膜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表示装置,光記録媒体,太陽発電モジュール並びに反射防止膜形成方法
DE102004061390A1 (de) * 2004-12-21 2006-07-0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at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JP2007025078A (ja) 2005-07-13 2007-02-01 Asahi Kasei Corp 反射防止積層体
JP4723974B2 (ja) * 2005-10-24 2011-07-1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SE0700230L (sv) 2007-01-28 2007-10-23 Xperitech Sarl Växthusskärm eller liknande
JP4074884B1 (ja) 2007-04-02 2008-04-16 株式会社カズマ 光透過性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519033U (zh) * 2009-01-23 2010-07-07 程立明 免洗阻燃反射节能幕帘
JP2009211078A (ja) 2009-04-10 2009-09-17 Hitachi Ltd 反射防止膜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表示装置,光記録媒体,太陽発電モジュール並びに反射防止膜形成方法
NL2004024C2 (en) 2009-12-29 2011-06-30 Omt Solutions Beheer B V A coated translucent substrate for a greenhouse and a freezer door.
CN102753010B (zh) 2010-02-05 2015-04-08 卢德维格·斯文森股份公司 温室屏风
JP2011217681A (ja) 2010-04-12 2011-11-04 Fujifilm Corp 農業用被覆材
JP5429086B2 (ja) 2010-07-13 2014-02-26 旭硝子株式会社 農業用ハウス
JP2014534289A (ja) * 2011-10-06 2014-12-18 ソルヴェイ(ソシエテ アノニム) 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
JP2013190635A (ja) 2012-03-14 2013-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赤外線抑制フィルム
EP2880475B1 (en) * 2012-07-30 2023-10-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V STABLE ASSEMBLIES COMPRISING MULTI-LAYER OPTICAL FILMs
CN104837624A (zh) * 2012-12-04 2015-08-12 拜耳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高隔热性和降低的红外辐射透射率的隔绝玻璃窗
CN104918485A (zh) * 2013-01-18 2015-09-16 拜耳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防鸟玻璃
KR101631670B1 (ko) 2014-08-22 2016-06-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고투명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04513403A (zh) * 2014-12-19 2015-04-15 佛山杜邦鸿基薄膜有限公司 一种在线涂布水性增透涂层的bopet薄膜及其制备方法
FR3038811B1 (fr) 2015-07-13 2018-02-23 Les Serres Tonneau Serre avec aeration par le dessus et procede de fabrication
DE102016200875A1 (de) * 2016-01-22 2017-07-27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UV-stabilisierte, ein- oder mehrschichtige Polyesterfolie mit einer Kombination aus Siliziumdioxidpartikeln als Lichtstreupartikel und einem UV-Stabilisator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Gewächshausschattenmatt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8638A1 (en) * 2004-07-06 2006-01-12 Thorsten Kiehne Multilayer, matt, thermoformable, IR-reflective polyester film
KR20140088524A (ko) * 2011-09-22 2014-07-10 에이비 루드빅 스벤쏜 온실 스크린
CN105058934A (zh) * 2015-08-25 2015-11-18 苏州飞翔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高透光率的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5220C1 (ru) * 2020-04-21 2020-10-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ородские агротехнологии" (ООО "Городские агротехнологии")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еводческой продукции в вертикально ориентированных тепличных комплекса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7792A (ja) 2019-06-27
UA127342C2 (uk) 2023-07-26
BR112018074404B1 (pt) 2022-11-08
EP3462839B2 (en) 2023-03-15
KR102508728B1 (ko) 2023-03-10
EA201892543A1 (ru) 2019-05-31
WO2017207568A1 (en) 2017-12-07
MX2018013594A (es) 2019-03-14
BR112018074404A2 (pt) 2019-03-06
PL3462839T5 (pl) 2023-07-03
ES2784437T5 (es) 2023-07-11
US11723319B2 (en) 2023-08-15
EA035379B1 (ru) 2020-06-04
DK3462839T4 (da) 2023-06-06
EP3462839A1 (en) 2019-04-10
FI3462839T4 (fi) 2023-08-31
AU2017272602B2 (en) 2022-08-04
MA45096B1 (fr) 2020-06-30
EP3462839B1 (en) 2020-03-11
CO2018012515A2 (es) 2019-02-19
AU2017272602A1 (en) 2018-12-06
CN109310055B (zh) 2022-10-18
ES2784437T3 (es) 2020-09-25
IL263087B (en) 2021-10-31
CN109310055A (zh) 2019-02-05
IL263087A (en) 2018-12-31
JP7004388B2 (ja) 2022-01-21
PL3462839T3 (pl) 2020-07-27
DK3462839T3 (da) 2020-04-06
US20200315102A1 (en) 2020-10-08
CA3025819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8728B1 (ko) 에너지 절약형 온실 스크린
JP6779298B2 (ja) 温室スクリーン
EP3681268B1 (en) Greenhouse screen
EP3911146B1 (en) Energy saving greenhouse screen
RU2774219C2 (ru) Экран для теплицы
EA041237B1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ий экран для теплиц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