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375A - 치열 교정 장치를 위한 일체로 형성된 자가­결찰 브래킷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 장치를 위한 일체로 형성된 자가­결찰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375A
KR20190015375A KR1020187037830A KR20187037830A KR20190015375A KR 20190015375 A KR20190015375 A KR 20190015375A KR 1020187037830 A KR1020187037830 A KR 1020187037830A KR 20187037830 A KR20187037830 A KR 20187037830A KR 20190015375 A KR20190015375 A KR 20190015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lot
tooth
arc wire
c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민 조
Original Assignee
용민 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민 조 filed Critical 용민 조
Publication of KR2019001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3Production methods using stereolithographic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7Material properties using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 교정 장치를 위한 브래킷(1)에 관한 것으로, 이는 치아의 연관 표면에 브래킷(1)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표면(3)을 갖는 브래킷 베이스(2); 치열 교정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원호 와이어를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슬롯(4)으로서, 브래킷 슬롯(4)은 체결 표면(3)으로부터의 브래킷 베이스(2)의 대향면 상에 위치되는, 브래킷 슬롯; 및 원호 와이어가 상기 브래킷 슬롯(4) 외부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브래킷 슬롯(4)을 로킹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수단(5)을 포함하며, 브래킷(1)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환자의 치열 교정 치료를 근본적으로 단순화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브래킷(1)은 그 체결 표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후방면(30) 상에 볼록한 구근 형상부(12)를 가지며, 이는 브래킷(1)의 수직 축(7)에 평행하게 측정된 브래킷(1)의 전체 높이(10)의 적어도 50%에 걸쳐 연장된다.

Description

치열 교정 장치를 위한 일체로 형성된 자가­결찰 브래킷
본 출원은 치열 교정 장치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브래킷은 치아의 연관 표면에 브래킷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표면을 포함하는 브래킷 베이스; 치열 교정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원호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슬롯으로서, 부착 표면으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브래킷 베이스의 측면에 배열되는, 브래킷 슬롯; 및 원호 와이어가 브래킷 슬롯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브래킷 슬롯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킹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장치를 포함하며, 브래킷은 단일편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출원은 치열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 와이어; 및 원호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브래킷을 포함하고, 브래킷은 힘 전달 방식으로 치아의 각각의 표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원호 와이어는 힘 전달 연결이 원호 와이어와 브래킷과 협력하는 치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브래킷에 의해 수용 가능하고, 브래킷은 원호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슬롯을 포함하고, 원호 와이어는 브래킷 슬롯에 대한 원호 와이어의 이동이 적어도 원호 와이어의 종방향 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차단되도록 로킹 장치에 의해 브래킷 슬롯 내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브래킷 슬롯은 브래킷의 삽입 개구와 협력하고, 원호 와이어는 삽입 개구를 통해 브래킷 슬롯 내로 삽입 가능하며, 브래킷은 각각 단일편으로 일체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은 브래킷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열 교정 장치는 환자의 치아 오정렬을 능동적으로 치료하도록 구성된 브레이스(brace)이다. 이는 원호 와이어와 치료될 각각의 치아 사이에 힘 전달이 제공될 수 있도록 브레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원호 와이어가 브래킷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행된다. 치열 교정 장치로 치아 오정렬을 치료하기 위해, 많은 유형의 브레이스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원호 와이어에 힘 정보를 직접 저장하고 브래킷을 통해 힘 정보를 치아에 전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브래킷의 브래킷 슬롯을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하여 재설정력이 원호 와이어에 형성되도록 다소 강성적인 원호 와이어를 삽입함으로써 변형이 미리 결정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재설정력은 그후 브래킷에 의해 치아에 전달되고 궁극적으로 각각의 턱뼈에서 치아의 이동이 야기된다. 어떠한 유형의 치열 교정 장치가 사용되는지는 본 출원과 관련이 없다.
브래킷 베이스는 각각의 치아와 직접 접촉하는 브래킷 부분을 설명한다. 이 목적을 위해, 브래킷 베이스는 브래킷 베이스와 치아의 각각의 표면 사이에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각각의 부착 표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부착 표면은 브래킷 베이스의 전용 부착 섹션에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 슬롯은 각각의 원호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브래킷 부분이다. 유리하게는, 에지를 갖는 원호 와이어가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어서, 브래킷용 브래킷 슬롯 또한 통상적으로 코너를 갖도록 구성된다. 브래킷 슬롯의 구성에 대하여, 특히 원호 와이어와 브래킷 사이의 힘 전달이 손실 없이- 이는 브래킷 슬롯 내의 원호 와이어의 제어되지 않은 이동이 없음을 의미함 - 제공될 수 있도록 브래킷 슬롯이 각각의 원호 와이어의 치수에 적응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개별 브래킷이 복수의 원호 와이어를 위한 복수의 브래킷 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출원에 따른 로킹 장치는 각각의 원호 와이어를 브래킷 슬롯에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이다. 원호 와이어 고정은 반드시 완전한 고정- 이는 브래킷 또는 브래킷 슬롯에 대한 원호 와이어의 이동이 모든 방향에서 차단됨을 의미함 -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로킹 장치가 브래킷 슬롯을 폐쇄하여 브래킷 슬롯으로부터의 원호 와이어의 이동이 방지되지만, 원호 와이어의 종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원호 와이어와 브래킷 사이의 상대 이동은 가능하게 되는 것 만으로 이미 충분할 수 있다. 장치는 원호 와이어와 각각의 브래킷 사이의 임의의 상대 이동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본 출원에 따른 로킹 장치일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호 와이어는 개별 브래킷을 서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세장형 원호형 요소이다. 치열 교정 장치의 유형에 따라 원호 와이어는 능동적 또는 수동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일반적으로 원호 와이어가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통상적으로 그러하기는 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따른 단일편의 일체형 구성은 브래킷이 단일 재료 블록으로 제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브래킷이 예를 들어, 레이저로 절단하거나, 워터 제트 절단 또는 밀링에 의해 재료 블록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워터 제트 절단은 재료 블록이 특정 두께를 가질 때 특히 유리하며, 워터 제트 절단은 재료 단편이 가열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주조하거나 3-D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단일편 구성요소를 마스터 포밍(master form)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이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완성된 브래킷은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고 여러 부품으로부터 조립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은 브래킷이 완성될 때 브래킷의 개별 구성요소를 서로 구별할 수 있게 하지 않는다. 대신 브래킷의 모든 섹션 또는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이들이 직접적으로 서로간에 전이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은 전체가 재료의 단일편으로부터 제조되며, 따라서, 단일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 브래킷을 생성하는 동안 몇몇 구성요소가 서로 분리되어 제조되고 단일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그후 결합되는 단일편 구성에 대해서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원래 분리된 구성요소 사이의 전이는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더 이상 식별할 수 없도록 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특히, 원래 분리된 구성요소가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용융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것이 특히 고려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일반적인 유형의 브래킷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 WO 96/09015 A1 및 WO 2011/012486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첫 번째 문헌은 브래킷 베이스 및 브래킷 슬롯을 포함하는 자가-결찰 브래킷을 개시한다. 로브가 브래킷의 부착 표면으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측면에서 브래킷 베이스에 배열되고, 로브는 브래킷의 브래킷 슬롯을 측방향으로 한정한다. 로브는 브래킷 베이스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로브의 단부에 로킹 장치를 구비하며, 로킹 장치는 브래킷 슬롯 내로 삽입되는 원호 와이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장치는 브래킷 슬롯의 삽입 개구 내로 돌출하는 돌출 러그의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브래킷 슬롯 내로 삽입되는 원호 와이어가 우발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브래킷 슬롯으로부터의 제거는 브래킷 슬롯의 배향에 수직하게 배향되는 방향으로 시도된다. 이 문헌에 소개된 브래킷은 서로 오프셋된 브래킷 베이스에 배열된 총 2개의 로브 쌍을 포함한다. 이 로브들 사이에서 로브 쌍에 의해 형성된 브래킷 슬롯 또는 브래킷 슬롯들에 삽입된 원호 와이어가 자유롭게 지지된다. 설명된 브래킷은 특히 합성 재료로부터 단일편으로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두 번째 국제 특허 출원은 또한 자가-결찰식으로 구성된 브래킷을 설명한다. 이 브래킷의 특별한 특징은 브래킷이 니티놀에 의해 단일편으로 일체로 제조된다는 것이며, 특히 브래킷의 측면 로브는 브래킷 베이스와 함께 일체로 단일편으로 제조된다. 브래킷 슬롯은 원호 와이어가 브래킷 슬롯에 고정되도록 후크 형상의 로킹 장치로 로킹된다.
공지된 브래킷은 처음에는 고전적인 치열 교정 장치를 사용하고 이어서 치열 교정 장치로 치료를 완료한 후에 제거해야 하는 레일 요법을 사용하는 조합형 치열 교정 치료 과정에서 특히 단점이 있다. 전체 치료 방법의 단계의 이러한 시간 순서는 실제 응용에서 매우 일반적이다. 따라서, 많은 경우에, 각각의 치아 오정렬의 일반적인 방향이 통상적인 브레이스로 제1 치료 단계에서 치료되고, 작은 잔여 치아 오정렬은 치아 레일로 제2 치료 단계에서 치료된다. 후자의 방법은 치아의 큰 이동을 야기하여 더 큰 치아 오정렬을 완전히 치료하기에 거의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레일 요법 동안 착용해야 하는 치아 레일이 환자에게 특히 수용 수준이 높으며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동시에 후속 레일 요법을 위해 치료될 치아에 소위 부착물이 위치되며, 부착물은 각각의 레일의 효율성을 증가시켜서 레일 요법의 치료 성공을 가속화한다. 전체 치료는 매우 복잡하며 복수의 단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출원의 목적은 환자의 치열 교정 치료를 단순화하는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브래킷에 부착 표면으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이면 측면에 볼록한 캠버가 브래킷에 제공되고, 볼록한 캠버는 브래킷 수직 축과 평행하게 측정된 브래킷 전체 높이의 적어도 50%에 걸쳐 연장하는, 앞서 설명한 일반적 유형의 브래킷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개선에 의해 달성된다.
본 출원에 따른 캠버는 브래킷의 외부 윤곽이 캠버형으로 구성되는 브래킷의 일부이며, 브래킷의 이면 측면은 특히 브래킷의 수직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하나의 치수가 만곡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버는 볼록하게 구성된다.
브래킷의 수직 축은 한편으로는 브래킷 슬롯의 종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브래킷 베이스의 부착 표면의 상부 및 하부 단부 위치를 포함하는 축이다. 따라서, 부착 표면은 브래킷 또는 브래킷 베이스가 각각의 대면하는 치아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표면을 나타낸다. 따라서, 부착 표면은 브래킷과 치아의 각각의 표면 사이의 접촉 표면이다. 따라서, 부착 표면은 치료될 각각의 치아의 앙각 축에 대하여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를 가지며, 각각의 치아 표면과 부착 표면 사이의 접촉 구역은 상부 단부 및 하부 단부에서 종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상적으로, 부착 표면은 치료될 각각의 치아의 혀쪽 표면의 볼록한 형상에 적응되는 약간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대응하는 치아 표면도 평탄하지 않기 때문에 부착 표면은 완전히 평면 내에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직 축의 정의는 부착 표면의 평면과 수직 축의 평행한 정렬을 포함하지 않고, 오히려, 부착 표면의 상부 에지 및 하부 단부 위치- 이는 브래킷 베이스와 각각의 접촉하는 치아 표면 사이의 대향 단부 위치를 의미함 -를 포함하는 평면과의 평행한 정렬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부 위치는 브래킷이 그 자체로 전용 부착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브래킷에서 각각의 브래킷과 치아의 연결과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로부터 예시적인 방식으로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은 많은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아가 치열 교정 장치에 의해 치료되는 제1 치료 단계를 위한 부착물로서 직접 기능하고 제2 치료 단계, 즉 레일 요법에 재사용되도록 브래킷을 구성하는 개념에 기초한다. 브래킷은 레일 요법에 사용되는 치아 레일의 맞물림 지점으로서 사용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그 캠버로 인해 부착물로서 적합하다. 설명된 캠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제1 치료 단계의 완료 후에 각각의 치아로부터 브래킷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구강 공동 내에 남겨두고 이어서 후속 레일 요법을 위한 부착물의 기능으로 이를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브래킷의 이면측면은 캠버의 부분에 오목한 견부 없이 완전히 구성된다. 본 출원에 따라 오목한 견부 없이 구성된다는 것은 브래킷의 이면 측면이 연속적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이면 측면의 윤곽에 도약부(leap)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본 기술 분야에는 브래킷 베이스를 향해 배향된 후방 도약부이 공지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유형의 후방 도약부는 브래킷 슬롯을 위한 삽입 개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면 측면에는 캠버의 부분에 노치, 슬롯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없다. 유리하게는, 브래킷의 이면 측면은 언더컷 없이 제공된다.
언더컷이 없는 캠버의 구성은 다소 얇은 벽을 갖는 치아 레일 자체가 브래킷에서 조여질 수 없기 때문에 치아 레일을 다른 치아 레일로 전환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레일 요법 동안 복수의 브래킷이 미리 결정된 순서로 사용되며, 각각의 치아 레일은 치료될 치아의 미리 결정된 이동 증분을 유발하여 모든 치아 레일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치아의 원하는 최종 위치가 최종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능동적 치열 교정 치료의 종료를 나타낸다. 브래킷이 캠버의 부분에 오목한 견부 또는 심지어 언더컷을 갖는 경우, 통상적인 치아 레일의 호일 재료가 이 리세스 내로 당겨져서 치아 레일을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워질 위험이 있다.
캠버의 추가 구성에서, 캠버는 브래킷 높이의 적어도 60%에 걸쳐, 유리하게는 적어도 70%에 걸쳐, 더욱 유리하게는 적어도 80%에 걸쳐 연장된다. 브래킷이 종종 매우 작기 때문에, 다소 큰 구성의 캠버는 부착물로서 기능하는 브래킷에서 각각의 치아 레일의 접촉 표면이 의도된 힘을 전달하거나 충분한 레버리지를 제공하기에 충분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은, 브래킷의 수직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된 브래킷의 두께가, 캠버의 외측에 있는 브래킷의 평균 두께로서의 캠버의 부분의 두께의 적어도 1.5 배, 유리하게는 적어도 2 배일 때 특히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브래킷은 그 캠버가 치아 표면에서 멀어지게 배향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혀쪽에 배열된 브래킷에서 볼 때, 각각의 환자의 혀를 향한 방향으로 캠버가 연장한다. 이 유형의 캠버는 레일 요법에 사용되는 치아 레일의 맞물림 지점으로 특히 매우 적합하다. 달리 말하면, 적절하게 구성된 브래킷은 부착물로서의 기능에 특히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브래킷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리하게는, 완전히 고도의 탄성 재료, 유리하게는 형상 기억 재료로 형성된다. 본 출원에 따른 고도의 탄성 재료는 매우 두드러진 탄성 범위를 갖는 재료이며, 이는 재료가 영구적- 이는 소성 변형을 의미함 -이지 않게 상당한 탄성 변형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러한 유형의 재료는 소성 변형을 받지 않고 적어도 1%, 유리하게는 적어도 2%,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3%의 신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설명된 고도의 탄성 특성을 갖는 재료 유형은 소위 형상 기억 재료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상 기억 재료는 초탄성 재료이다. 이러한 유형의 재료는 때로는 본 기술분야에서 형상 기억 합금으로 지칭된다. 이 유형의 재료는 특히 그 의사 탄성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이 재료에 의해 형성된 구성요소가 소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변형될 수 있는 극도로 두드러진 탄성 구역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그 "마르텐사이트-상태"와 "오스테나이트-상태" 사이의 변환은 소성 변형이 역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왔다갔다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은 이러한 유형의 재료에 대해서 통상적이다.
고도의 탄성 재료에 특수 합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수 합성 재료는 언급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이는 이 유형의 재료가 3-D 인쇄 방법에 의해 가공될 수 있을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는 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이 이 방법에 의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아래에서 언급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은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케톤, 특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으로부터, 열가소성 플루오르 합성 재료, 특히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FD), 폴리옥시메틸렌(POM) 또는 폴리이미드, 특히 폴리에테르이미드(PEI)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브래킷이 고도의 탄성 재료, 특히 형상 기억 재료로 전체가 제조되지 않은 경우에도, 적어도 고도의 탄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이 니티놀, PEEK, PVFD, POM 또는 PEI로 제조될 때 적어도 유리하다. 고도의 탄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일체형 구성에 특히 유리하다. 그 이유는 이 유형의 재료가 적어도 본질적으로 소성 변형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설명된 특히 두드러진 범위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단일편으로 일체로 제공된 브래킷 때문에 브래킷에 구성된 연결 장치가 전체적으로 잔여 브래킷에 대해 특정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로킹 장치는 삽입되는 원호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해 변위 가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잔여 브래킷에 대한 전용 이동 축에 의해, 예를 들어 회전 축에 의해 로킹 장치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에, 단일편 구성으로 인해 로킹 장치의 부분에서 브래킷의 특정량의 가역적 변형성이 요구된다. 고도의 탄성 재료의 특히 탄성 특성으로 인해, 따라서, 이 재료로 형성된 브래킷이 유리하다.
니티놀을 사용하는 것은 또한 높은 수준의 생체 적합성을 가지므로 유리하다. 이는 앞서 설명한 합성 재료, 특히 PEEK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이는 또한 브래킷이 거의 보이지 않도록 치아 색상과 유사한 색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는 브래킷이 혀(볼(buccal))로부터 먼쪽에 배향되는 치아의 측면에 배열되는 치열 교정 장치에 특히 중요하다.
적어도 브래킷의 로킹 장치가 고도의 탄성 재료로 형성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는 브래킷 슬롯의 삽입 개구가 확장되어 원호 와이어의 단면이 통과하여 끼워지도록 원호 와이어가 브래킷 슬롯에 삽입되는 동안 로킹 장치가 이동하여야 한다는 개념에 기반한다. 원호 와이어가 브래킷 슬롯에 삽입되자 마자 로킹 장치가 재성형되어 삽입 개구를 다시 차단해야 한다. 고도의 탄성 재료, 특히 형상 기억 재료를 사용할 때, 로킹 장치는 그 탄성 특성으로 인해, 말하자면, 저장된 재설정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삽입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특히, 로킹 장치의 변형은 소성 변형 부분 없이도 작용하기 때문에, 브래킷을 손상시키지 않고 이러한 유형의 로킹 장치를 여러 번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은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다수의 원호 와이어가 사용되는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원호 와이어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에 의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고 다시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삽입 개구는 적어도 브래킷의 수직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원호 와이어를 브래킷 슬롯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지도록 브래킷에 구성된다. 따라서, 삽입 개구는 원호 와이어가 그를 통해 브래킷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브래킷의 개구를 설명한다. 브래킷은 예를 들어, 다수의 원호 와이어가 사용될 때, 다수의 삽입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설명된 삽입 개구의 배향은 원호 와이어가 브래킷의 수직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브래킷 슬롯 내로 삽입되는 효과를 갖는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원호 와이어를 브래킷에 삽입할 때, 이는 종래 기술에 따라 이를 치아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브래킷 슬롯 내로 삽입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아니며, 치아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원호 와이어의 이러한 삽입 방향으로 인해, 브래킷은 특히 상단부에, 예를 들어, 상단 측면에 그 삽입 개구를 가지지만, 그 이면 측면에는 갖지 않는다는 결과가 얻어진다. 이 구성은 이면 측면의 부분에서, 그리고, 따라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캠버에서, 오목한 견부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추가적 이점으로서, 각각의 치아에 대한 원호 와이어의 유리한 이동 방향이 치아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브래킷 슬롯으로부터의 원호 와이어의 우발적인 이동은 훨씬 덜 빈번하게 발생한다. 설명된 삽입 개구의 배향으로 인해, 브래킷 슬롯은 대응하는 벽에 의해 이 위치에서 완전히 차단되어, 삽입 개구를 통한 각각의 원호 와이어의 우발적인 이탈은 예상되지 않는다.
브래킷 슬롯이 로킹 장치에 의해 측면 표면에 형성되고 대향 측면 표면에서 브래킷 베이스에 의해 형성될 때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브래킷 슬롯은 원론적으로 복수의 벽을 가져야 하고, 벽은 각각의 원호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벽은 로킹 장치에 의해 형성되어, 원호 와이어를 각각의 브래킷 슬롯에 삽입하거나 원호 와이어를 다시 제거하기 위해 벽이 로킹 장치의 이동에 의해 해제될 수 있도록 로킹 장치에 의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브래킷 슬롯의 적어도 하나의 벽이 브래킷 베이스에 의해 직접 형성되는 경우- 이는 벽이 브래킷 전체를 각각의 치아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고 이미 브래킷 슬롯의 일부로서 작용함을 의미함 -,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특히 간단한 구성을 위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로킹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 말하자면 브래킷 베이스 주위의 부분만을 둘러쌀 수 있으며, 브래킷 베이스와 로킹 장치는 공동으로 자유 단면을 형성하고, 이 자유 단면이 궁극적으로 브래킷 슬롯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의 특별한 이점은 각각의 치아 표면에 수직으로 측정된 브래킷의 두께가 캠버에도 불구하고 다소 작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전체 브래킷 베이스에 별도의 브래킷 슬롯을 배열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더 작은 치수는 특히 증가된 착용 쾌적성 및 각각의 브래킷이 씹는 힘 등을 통해 치아 표면으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위험이 더 작아지는 것에 기여한다. 부착물로서 이렇게 구성된 브래킷의 적합성은 브래킷이 브래킷의 캠버에 의해 각각의 치아의 표면을 상당히 초과하여 돌출하기 때문에 유지된다. 브래킷의 대응 실시예는 후속 실시예로부터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브래킷 베이스는 로킹 장치 내로 직접적으로 전이한다. 따라서, 브래킷 베이스로부터 로킹 장치로의 전이는 유리하게는 그 단면이 가장 두꺼운 위치에서 브래킷의 수직 축에 평행하게 측정된 높이의 최대 50%, 유리하게는 최대 40%,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최대 30%인 바아에 의해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바아는 잔여 브래킷에 비교하여 다소 작은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는 브래킷이 바아의 일부에서 감소된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로킹 장치의 탄성 변형성과 관련하여 특히 유리하다. 이는 브래킷이 브래킷 베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거나 변형 가능하여 원호 와이어 또는 브래킷 슬롯을 위한 삽입 개구가 확장되어 결국 해제될 수 있다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브래킷 베이스는 부착 표면이 잔여 부착 표면에 대해 후방의 오목한 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채움(fill-in)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 표면의 섹션과 각각의 접촉하는 치아의 표면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은 적어도 하나의 채움 부분에서 방지된다. 이는 브래킷이 각각의 치아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채움 부분 내의 부착 표면이 각각의 치아 표면과 어떠한 직접적인 접촉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브래킷은 채움 부분을 형성하는 브래킷의 에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채움 부분은 각각의 치아와 브래킷의 힘 전달 연결을 정립하도록 구성된 연결 수단을 수용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특히, 이러한 유형의 연결 수단은 액체 상태에서 치아 표면에 적용되고 이후에 경화되어 각각의 치아와 브래킷 사이에 힘의 흐름이 정립되게 하는 합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채움 부분은 각각의 연결 수단이 이 부분에 들어갈 수 있고 브래킷과 치아 사이에 보다 양호한 상호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채움 부분 또는 채움 부분을 형성하는 리세스가 언더컷, 예컨대 도브테일형(dove-tailed)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추가 구성에서, 브래킷의 단면은 브래킷 슬롯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측정된 브래킷의 전체 폭에 걸쳐 일정하므로 브래킷 슬롯의 종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모든 단면은 동일하다. 이러한 유형의 브래킷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임의의 복잡한 3-D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항상 동일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진 "2차원" 브래킷을 제조하는 것이 특히 간단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다른 구성과는 독립적으로, 브래킷 슬롯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측정된 브래킷의 폭이 브래킷 슬롯의 부분에서 적어도 1.5㎜, 유리하게는 적어도 2㎜,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2.5㎜인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원호 와이어가 브래킷 슬롯에서 그를 따라 연속적으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브래킷 슬롯의 지지 길이가 적어도 1.5㎜ 이상, 유리하게는 적어도 2㎜,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2.5㎜인 것이 원론적으로 유리하다. 원호 와이어를 브래킷 슬롯의 미리 결정된 지지 길이에 걸쳐 결합시키는 것은 원호 와이어를 통해 브래킷에 힘 쌍을 인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달리 말하면, 원호 와이어와 각 브래킷 사이에 굴곡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의 단일편 구성에 의해서만 각각의 치아 표면에 하나의 브래킷을 배열하고 그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치아 오정렬을 위한 특히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과 함께 매우 잘 작용하며,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치아 오정렬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며,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i) 브레이스 치료 단계에서 치열 교정 장치로 치아 오정렬을 치료하는 단계로서, 치열 교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 와이어 및 치아와 협력하는 복수의 브래킷을 포함하고, 브래킷에 의해 원호 와이어로부터 치아로 힘이 전달되는, 단계;
ii) 브레이스 치료 단계를 완료한 후, 레일 치료 단계에서 복수의 순차적으로 삽입된 치아 레일을 이용하여 치아 오정렬을 치료하는 단계로서, 치아 레일의 삽입 순간에 특정 치아 위치에 적응되는 치아 레일은 치료될 치아와 맞물려 치아와 치아를 향해 배향된 치아 레일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 힘 전달이 가능해지게 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라, 치료 방법은 다음의 치료 단계로 보완된다:
iii) 브레이스 치료 단계가 완료된 후에 각각의 치아와 맞물린 브레이스 치료 단계에 사용되는 브래킷의 적어도 일부를 남겨두고, 레일 치료 단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치아 레일을 위한 전달 요소 또는 부착물로서 사용하는 단계.
이 방법은 특히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초기에 치아 오정렬은 통상적인 브레이스로 치료되며,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유리하게는 복수의 브래킷이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에 의해 형성된다. 치료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원호 와이어가 기존 브래킷에 삽입된다. 통상적으로, 복수의 상이한 원호 와이어가 순서대로 사용되며, 각각의 원호 와이어는 치료될 치아의 특정 이동 증분을 유발한다. 개별 원호 와이어는 기존 브래킷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다시 회수되어 다음 원호 와이어로 교체된다. 브래킷은 이상적으로 각각의 치아에 영구적으로 배열된 상태로 유지된다. 브래킷의 교체는 일상적인 작업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고도의 탄성 재료, 특히, 형상 기억 재료로 형성된 브래킷의 이점은 브래킷의 재료, 특히 로킹 장치의 재료가 재료 피로를 겪지 않고, 따라서 각각의 원호 와이어를 위한 삽입 개구가 마음대로 다시 확장 및 폐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브레이스 치료의 완료시, 마지막 원호 와이어는 브래킷으로부터 제거되지만, 브래킷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치아에 남겨진다. 후속하는 레일 요법 치료 단계에서, 치아의 다른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치아 레일, 통상적으로는 복수의 치아 레일이 사용된다. 따라서, 각각의 치아 레일이 치아 위에 배치되고, 치아 레일의 내부 표면은 브래킷이 소위 부착물로서 기능하도록 각각의 브래킷과 협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은 치료 중에 이중 기능을 수행하는 데, 즉 처음에 이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원호 와이어에 대한 고정 장치로서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후에) 이들은 레일 요법을 위한 전달 요소로서 작용한다.
앞서 언급한 치열 교정 장치에 대한 개선하는,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이 부착 표면으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이면측면에서 볼록한 캠버를 갖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달성되며, 볼록한 캠버는 브래킷의 수직 축에 평행하게 측정된 브래킷의 전체 높이의 적어도 50%에 걸쳐 오목한 견부 없이 연장된다. 이점은 앞서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후술된 방법에 의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a) CAD 방법을 사용하여 브래킷을 가상으로 설계하는 단계;
b) 제조 완료 후 브래킷이 단일편으로 일체로 제공되고 그 최종 사용 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브래킷이 재료 단편에서 절단되는 CAM 방법으로 가상으로 설계된 브래킷을 생산하는 단계.
b)에 따른 방법 단계에 대한 대안으로서, 후속 방법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c) 3-D 인쇄 방법으로 가상으로 설계된 브래킷을 마스터 포밍하여 3-D 인쇄 방법 완료 후 브래킷이 단일편으로 일체로 제공되고 브래킷이 즉시 그 최종 사용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하는 단계.
유리하게는 방법 단계 b)에 따라 재료 브래킷이 단편으로부터 절단되거나 또는 방법 단계 c)에 따라 인쇄되는 것과 독립적으로, 그리고,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추가 방법 단계를 포함한다:
d) 스캐닝 장치에 의해 치료될 치아를 검출하고 이어서 스캐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치아의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e) 디지털 모델에서 적어도 가상 브래킷을 설계하는 단계로서, 가상 브래킷(1)의 부착 표면(3)이, 부착 표면(3)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각각의 치아의 표면에 그 전체 표면이 적용될 수 있도록 적어도 본질적으로 각각의 치아의 대응하는 표면에 따라 성형되도록 디지털 모델의 각각의 치아에 가상 브래킷이 적응되는 단계;
f) 가상 브래킷(1)에 기초하여, 재료 단편으로부터 대응하는 실제 브래킷(1)을 절단하거나 3-D 인쇄 방법에 의해 이를 마스터 포밍하여 브래킷이 절단 또는 마스터 포밍 이후 단일편으로 일체로 제공되고 그 최종 사용 가능한 형상으로 즉시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
약어 "CAD"는 본 맥락에서 "컴퓨터 보조 설계(Computer Aided Design)"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가상 설계 생성을 설명한다. "CAM"은 "컴퓨터 보조 제조(Computer Aided Manufacturing)"를 나타내며, 가공 도구가 통상적으로 각각의 작업편에 대해 컴퓨터 제어식으로 이동되는 작업편의 자동화된 제조를 설명한다. 이는 제조 프로세스에 대해 어떠한 조작자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수동 제조보다 정밀도가 훨씬 높다. 또한 우수한 재현성이 제공된다.
본 출원에 따른 "3-D 인쇄"는 3차원 작업편의 층상 축조이다. 이 유형의 방법은 통상적으로 디지털 방식으로 생성된 모델을 기반으로 컴퓨터 제어식으로 수행된다. 원론적으로 3-D 인쇄 방법으로 다양한 재료, 특히 합성 재료, 합성 수지, 세라믹 및 금속에 따라 다른 재료가 처리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3-D 인쇄의 가장 중요한 기술은 선택적 레이저 용융, 선택된 레이저 소결, 스테레오 리소그래피 및 합성 재료 용융(용융 필라멘트 제조)이며, 특히 후자의 3 가지 방법은 또한 합성 재료를 위해 사용되고, 심지어 대부분 합성 재료에 사용된다.
이 방법을 완료한 후에, 각각의 브래킷은 그 최종 형상으로 직접 제공된다. 브래킷 캐리어에서 브래킷을 해제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브래킷 자체의 형상은 더 이상 변경되지 않는다. 동일한 이유로, 예를 들어, 3-D 인쇄 방법의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브래킷이 마감가공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의 최종 형상은 더 이상 변경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많은 이점을 갖는다. 특히, 각각의 브래킷은 즉시 완성되며 상당한 추가 마감가공 또는 조립이 필요하지 않는다. 이는 브래킷이 어떤 경우든 여러 구성요소로부터 조립되는 종래 기술과는 상당히 다르다. 단일편 구성은 제조 시간을 절약하고 또한 조립 중 오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상호로킹 요소를 브래킷에서 단일편으로 일체로 브래킷에 직접 형성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래 기술에서 상당히 보편적인 별도의 결찰선을 생략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별도의 결찰선이 각각의 원호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 브래킷에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방법의 유리한 실시예는 각각의 대응하는 치아 표면에 각각의 브래킷의 부착 표면을 직접적으로 적응시키기는 것을 또한 용이하게 한다. 이는 원호 와이어의 신뢰성 있는 고정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치아 표면에 수직으로 측정된 폭을 실제로 브래킷이 가지기만 하면 된다는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종래 기술과 달리, 개별적인 치아 표면에 표준화된 브래킷 베이스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적응 또는 보상 층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유형의 보상 층은 종래 기술에서 각각의 브래킷이 전체적으로 매우 넓어지고, 따라서, 씹는 힘으로 인해 찢어지는 경향을 갖는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구강 공동내에서의 넓은 브래킷의 감각은 환자에게 다소 불편하다. "본질적으로" 각각의 치아 표면에서 브래킷의 부착 표면을 형성하는 것은 실제 브래킷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전체 치아 표면에서 각각의 치아와 접촉하는 결과를 갖는 성형을 설명한다. 이는 브래킷의 전체 부착 표면에 걸쳐 브래킷의 부착 표면의 근위 위치와 치아 표면의 각각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0.5㎜ 이하, 유리하게는 0.4㎜ 이하, 보다 유리하게는 0.3㎜ 이하임을 의미한다.
특히 유리한 방법에서, 브래킷은 재료 단편으로부터 절단되고, 특히 시트 금속 단편으로부터 절단되며, 시트 금속 단편의 표면은 후속 브래킷의 측면 표면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달리 말하면, 브래킷은 예를 들어 레이저 또는 워터 빔의 일시적인 절단 축이 브래킷의 폭 축 또는 브래킷 슬롯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재료 단편으로부터 유리하게 절단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을 사용할 때 완성된 브래킷은 브래킷의 폭 축에 직교하는 형상의 단면이 동일한 재료 단편으로부터 절단된 직후의 형상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완성된 브래킷의 단면은 설명된 방법을 사용할 때 브래킷의 전체 폭에 걸쳐 일정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은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후속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브래킷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브래킷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브래킷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브래킷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브래킷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종래 기술의 브래킷이 배열된 치아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이 제공되어 있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는, 도 1은 브래킷 베이스(2) 및 로킹 장치(5)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을 포함한다. 브래킷 베이스(2)와 로킹 장치(5)는 바아(8)에 의해 서로 직접 연결된다. 브래킷(1)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치아(27)의 표면(28)에 부착 표면(3)을 포함하고, 부착 표면은 적어도 간접적으로, 유리하게는 직접적으로 브래킷(1)의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표면(28)과 연결된다.
브래킷(1)과 각각의 치아(27)의 각각의 표면(28) 사이의 보다 양호한 상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브래킷 베이스(2)는 표면(28)을 향해 배향된 부분에서 복수의 언더컷을 포함하며, 언더컷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브테일형으로 구성된다. 이들 언더컷은 각각 브래킷(1)을 각각의 치아(27)에 부착하는 부착 매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움 부분(11)을 형성한다. 특히, 각각의 치아(27)에서 합성 재료로 브래킷(1)을 부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유형의 합성 재료는 각각의 치아(27)의 각각의 표면(28)에 액체 상태로 적용되고 각각의 브래킷(1)과 연결된다. 이어서 합성 재료가 경화되는데 경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가 작용을 일으키거나 열처리와 같은 특별한 처리에 의해 개시/가속된다. 채움 부분(11)은 초기 액체 합성 재료가 채움 부분(11)에 들어가게 한 다음, 합성 재료의 경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과 각각의 표면(28) 사이에 특히 내구성있는 상호 연결 부분을 형성한다.
부착 표면(3)은 캠버형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명백하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예는, 브래킷(1)의 삽입된 상태에서 전체 부착 표면(3)에 걸쳐 대응 표면(28)으로부터의 부착 표면(3)의 각각의 스폿의 짧은 거리는 0.5㎜ 이하, 유리하게는 0.4 이하, 보다 유리하게는 0.3㎜ 이하이도록 치아(27)의 각각의 표면(28)에 개별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각각의 치아(27)의 형상 및 윤곽의 함수로서의 부착 표면(3)의 개별적인 구성은 각각의 치아(27)가 예를 들어 구강내 스캔에 의해 개별적으로 검출되고 브래킷(1)이 포착된 데이터의 함수로서 설계 및 결과적으로 제조되는 개별적 제조 방법에 의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표준 브래킷과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 사이의 비교는 도 7 및 도 8로부터 명백하다.
브래킷(1)은 브래킷 베이스(2)의 부착 표면(3)으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측면 상의 브래킷 슬롯(4)을 포함한다. 브래킷 슬롯(4)은 형상 로킹 방식으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원호 와이어(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각각의 원호 와이어(20)가 브래킷 슬롯(4) 외부로 쉽게 이동하지 않도록 브래킷 슬롯(4) 내로 삽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각각의 원호 와이어(20)의 이동은 그 종방향 축(24)에 수직하게 배향되는 것- 이는 도 1의 도면 평면에 이들이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함 -이 방지된다. 브래킷 슬롯(4) 내의 원호 와이어(20)의 고정은 본질적으로 로킹 장치(5)에 의해 야기된다. 로킹 장치는 브래킷(1)의 하부 부분으로부터 브래킷 베이스(2)에 평행하게 본질적으로 수직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프 핀서(half pincer)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은 단일편으로 일체로 제공된다. 따라서, 로킹 장치(5) 및 브래킷 베이스(2)는 동일한 단편으로부터 직접 형성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의 상이한 부분을 지시하는 것일 뿐이다. 로킹 장치(5)와 브래킷 베이스(2) 사이의 전이 부분은 바아(8)로 명명된다. 도시된 브래킷(1)을 형성하는 재료는 형상 기억 재료, 즉 니켈-티타늄 합금(Nitinol®)으로 구성된 고도의 탄성 재료이다. 이 재료는 특별히 두드러진 탄성 부분을 가지며 따라서 소성 변형이 불가능한 소위 초탄성 재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유형의 고도의 탄성 재료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의 단일편 구성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원호 와이어(20)를 브래킷 슬롯(4)으로 반복적으로 삽입하고 예를 들어 피로에 의해 재료를 손상시키지 않고 원호 와이어를 다시 회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브래킷 슬롯(4)의 삽입 개구(6)는 브래킷 슬롯(4) 위에 배열된다. 이는 각각의 원호 와이어(20)가 말하자면 브래킷을 향해 배향된 치아(27)의 표면(28)에 평행한 방향으로 브래킷 슬롯(4) 내로 삽입되는 결과를 갖는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원호 와이어(20)의 조립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에 대해 브래킷(1)의 수직 축(7)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배향된다.
각각의 원호 와이어(20)를 브래킷 슬롯(4) 내로 삽입할 때, 브래킷(1)은 삽입 개구(6)의 부분에서 신장되며, 이는 로킹 장치(5)가 삽입 개구(6)가 확장되도록 각각의 치아(27)의 표면(28)으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방향으로 브래킷 베이스(2)에 대해 로킹 장치(5)가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확장은 결국 원호 와이어(20)가 확장된 삽입 개구(6)를 통해 브래킷 슬롯(4)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치수에 도달한다. 고도의 탄성 재료로부터의 브래킷(1)의 구성으로 인해, 브래킷(1)의 소성 변형 없이 로킹 장치(5)와 브래킷 베이스(2) 사이의 확장 또는 상대 이동이 발생한다. 달리 말하면, 브래킷(1)의 재료는 잔류 변형이 남아 있지 않고 완전히 가역성인 탄성 변형을 거친다. 로킹 장치(5)가 브래킷 베이스(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바아(8)의 부분의 브래킷(1)의 재료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신장된다. 각각의 원호 와이어(20)를 브래킷 슬롯(4) 내로 삽입한 후에, 추가적인 힘이 로킹 장치(5)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브래킷(1)의 재료는 탄성적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고, 그래서, 재료는 결국 다시 도 1에 도시된 그 시작 위치로 제공되며, 여기서, 로킹 장치(5)는 브래킷 슬롯(4)을 폐쇄하고 내부에 배열된 원호 와이어(20)를 유지한다.
로킹 장치(5)에 약간의 가요성을 제공하기 위해, 로킹 장치(5)와 브래킷 베이스(2) 사이의 바아(8)가 너무 두껍거나 너무 넓게 구성되지 않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아(8)의 높이(9)는 브래킷(1)의 전체 높이(10)의 절반보다 작다. 브래킷(1) 전체, 그리고, 따라서 또한 로킹 장치(5)는 브래킷(1)의 바아가 더 높은 높이(9)를 갖는 경우 훨씬 더 강성적이 됨을 알 수 있다. 브래킷(1)의 보다 큰 강성은 또한 로킹 장치(5)가 브래킷 베이스(2)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되지 않아서 삽입 개구(6)가 확장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의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래킷(1)은 부착 표면(3)으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이면측면(30)에 캠버(12)를 가지며, 캠버는 브래킷(1)의 연관 부분(17)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캠버(12)는 각각의 치아(27)와 각각의 원호 와이어(20)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기 위한 부착 요소로서의 브래킷(1)의 기능에 대해 보조적 연관성만을 갖는다. 주로 캠버(12)는 치료될 각각의 치아가 하나 또는 복수의 원호 와이어(20)에 의해 이동되는 치료 단계의 완료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을 이동시키기 위해, 따라서, 치아 레일을 사용하는 다른 치료 단계 동안 브래킷(1)을 재사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치아 레일은 치료될 치아 위에 배치되며, 각각의 치아 레일은 치료될 치아 위에 정확하게 끼워져 미끄러질 수 없도록 크기 설정된다. 치아 레일과 치아 사이에 형성되고 두 구성요소 사이의 맞춤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은 치아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결과를 야기한다. 치료 과정에 유리한 치아의 이러한 정확한 이동은 치아 레일이 그에 따라 구성될 때 야기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치아와 치아 레일 사이의 보다 양호한 힘 전달을 발생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소위 "부착물"이 사용된다. 부착물은 각각의 치아 표면에 적용되고 말하자면 각각의 치아 레일에 대한 접촉 요소로 사용된다. 이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부착물은 통상적으로 각각의 치아 레일과 직접 접촉하는 접촉 표면이 적어도 치료될 치아의 각각의 치아 표면으로부터 특정 거리에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제 치아 표면과 각각의 부착물의 접촉 표면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부착물이 덜 유용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부착물이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치아 표면 자체가 각각의 치아 레일을 위한 접촉 표면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의 캠버(1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이 원호 와이어 치료의 완료 후에 재사용되어 전달 요소 또는 부착물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캠버(12)는 각각의 치아 레일에 대한 정지부로서 접촉 표면(22)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재사용되는 동안 부착물로서 기능하기 위해, 브래킷(1)은 캠버(12)의 부분(17)에서 최대 두께(13)를 가지며, 최대 두께는 캠버(12)의 부분(17) 외측의 브래킷(1)의 평균 두께(19)의 크기의 대략 1.5배를 갖는다. 따라서 브래킷(1)의 각각의 두께(13, 19)는 수직 축(7)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되고, 브래킷(1)의 치료될 치아를 향해 배향된 측면 상에서 수직 축(7)에 평행하게 배향된 접선(18)이 기준선으로 사용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캠버(12)는 브래킷(1)의 높이(10)의 대략 60%에 대응하는 높이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또한, 도시된 브래킷(1)은 그 이면측면(30)이 오목한 견부 없이 전체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뚜렷한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치아 레일은 오목한 부분 내로 후퇴할 능력이 없으며, 이로 인해 치아 레일을 제거하는 것이 훨씬 어렵고 잠재적으로 불가능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의 브래킷 슬롯(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 측면 표면(31) 중 하나에서 브래킷 베이스(2)에 의해 형성되고 대향 측면 표면(32)에서 로킹 장치(5)에 의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1)과 비교하여, 특히, 브래킷(1)의 브래킷 슬롯(4)에 삽입되는 원호 와이어의 조립 방향이 적어도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1)에서와 마찬가지로 브래킷(1)의 수직 축(7)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지 않고 본질적으로 그에 수직으로 배향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브래킷(1)의 삽입 개구(6)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1)의 이면측면(30)에 배열된다. 이는 적어도 이면측면(30)이 오목한 견부 없이는 구성되지 않는다는 위험을 발생시킨다. 이는 적어도 각각의 치아 레일이 삽입 개구(6)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견부 내로 이동하여 치아 레일을 제거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 위험을 발생시킨다.
제2 브래킷(1)은 각각 브래킷 슬롯(4)의 측면을 형성하는 2개의 로킹 장치(5)를 갖는다. 로킹 장치(5)는 브래킷 베이스(2)와 각각 바아(8)에 의해 연결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1)과 달리, 브래킷 슬롯(4)은 로킹 장치(5) 및 브래킷 베이스(2)의 공동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로킹 장치(5)에 의해 형성된다. 브래킷 베이스(2)는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브래킷 슬롯(4)에 삽입된 각각의 원호 와이어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브래킷(1)의 기능은 브래킷(1)의 기능,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의 기능과 비슷하며 캠버(12)를 갖는다. 로킹 장치(5)의 바아(8)는 브래킷 베이스(2)에 대해 로킹 장치(5)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것, 특히, 삽입 개구(6)를 확장시킴으로써 각각의 원호 와이어(20)가 브래킷 슬롯(4)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도록 서로에 대해 이들을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높이(9)를 갖는다. 재료의 탄성으로 인해, 각각의 원호 와이어(20)를 브래킷 슬롯으로부터 다시 제거하고 예를 들어 다른 원호 와이어(20)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달리 말하면, 브래킷(1)은 마음대로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브래킷(1)과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브래킷(1)은 또한 로킹 장치(5)에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캠버(12)를 갖는다. 캠버(12)의 부분(17)에서, 브래킷(1)의 최대 두께(13)는 리세스(12)의 부분(17) 외측의 두께(19)의 크기의 대략 1.5배이다. 또한, 캠버(1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을 전달 요소 또는 부착물로서 기능하는 치아 레일을 사용하는 치료 단계에서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브래킷(1)의 브래킷 슬롯(4)으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브래킷(1)의 측면 상에서, 브래킷 베이스는 브래킷(1)의 부착 표면(3)이 구성되는 부착 섹션(25)을 포함한다. 부착 섹션(25)은 차례로 잔여 브래킷 베이스(2)와 바아(23)에 의해 연결되어, 부착 섹션(25)과 잔여 브래킷 베이스(2) 사이에 특정 양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이는 부착 표면(3)을 포함하는 부착 섹션(25)이 치료될 치아의 자연적 윤곽에 따라 특히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3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브래킷(1)을 도시한다. 이 브래킷에서, 연관 브래킷 슬롯(4)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로킹 장치(5)에 의해 일 측면에서 형성되고, 브래킷 베이스(2)에 의해 다른 측면 상에서 형성된다. 도시된 브래킷(1)의 기능은 이전에 언급된 두 가지 실시예의 기능과 유사하며, 여기서, 원호 와이어(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1)의 수직 축(7)에 평행한 수직 방향으로 브래킷 슬롯(4) 내로 삽입된다. 제3 실시예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브래킷의 개별 설계가 청구된 재료 조합의 기술적 이점을 잃지 않고 상당히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캠버(12)는 브래킷(1)의 높이(10)의 대략 50%에 걸쳐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의 사시도가 또한 도 4 내지 도 6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면에서, 개별 브래킷(1)은 각각의 원호 와이어의 종방향 축(24)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15)을 각각 갖는 것이 특히 명백하다. 각각의 브래킷(1)의 폭(15)은 통상적으로 각각의 원호 와이어(20)가 각각의 브래킷(1)의 브래킷 슬롯(4)에서 지지되는 지지 길이(16)와 직접적으로 상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시된 브래킷(1)의 폭(15)과 각각의 원호 와이어(20)의 지지 길이(16)는 동일한 크기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도면에서 화살표(21)로 도시된 브래킷(20)의 각 조립 방향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도시한다. 또한, 브래킷(1)은 각각의 원호 와이어의 기하형상 또는 단면 형상과는 원론적으로 독립적인 문제임이 명백하다.
도 6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은 특히 큰 폭(15)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별하다. 이 폭은 대략 2.5㎜이다. 따라서, 연관 브래킷(1)의 지지 길이(16)도 2.5㎜이다. 그 크기를 갖는 지지 길이(16)는 각각의 원호 와이어(20)를 신뢰성있게 지지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원호 와이어(20)와 각각의 브래킷(1) 사이의 양호한 힘 전달을 정립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폭(15)은 원론적으로 각각의 브래킷(1)의 다른 특징과 독립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또한 본 명세서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의 잔여 특징들에 대해서도 원론적으로 적용된다.
마지막으로, 2개의 브래킷(1)이 도 7 및 도 8에서 비교되며,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지된 브래킷(26)을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을 도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들은 단지 개략적인 것이며, 브래킷(1)의 부착 표면(3)의 개별적 구성 옵션의 이점을 강조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종래 기술에서, 브래킷(26)은 비교적 두꺼운 부착 층(29)에 의해 연관 치아(27) 또는 그 표면에 적응되어야 한다. 공지된 브래킷(26)의 부착 표면(3)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표준 및 직선에 따라 구성된다. 치아(27)의 표면(28)에 대한 적응을 달성하기 위해, 부착 표면(3)은 부착 표면(29)에 의해 치아(27)의 표면(28)에 따라 성형된다. 결과적으로, 브래킷(26)은 치아(27)로부터 다소 멀리 떨어져 있고, 따라서 다소 큰 힘, 특히 씹는 힘에 노출된다. 이는 종종 브래킷(26)을 치아(27)의 표면(28)으로부터 찢어지게 한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에서, 그러나, 부착 표면(3)은 치아(27)의 표면(28)에 개별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은 부착 층(29)이 매우 얇게 구성되기 때문에 표면(28)에 매우 가깝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은 훨씬 적은 양으로 구강 공동내로 돌출하고 씹는 동안보다 쾌적하다. 또한, 브래킷(1)은 이물감이 덜하기 때문에 종래의 브래킷보다 훨씬 쾌적함을 느낀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의 개별적인 특징은 각각의 실시예의 다른 특징과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특징들의 필수적인 연계성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이 다른 경우라면 실시할 수 없어질 때에만 존재하게 된다.
1 브래킷
2 브래킷 베이스
3 부착 표면
4 브래킷 슬롯
5 로킹 장치
6 삽입 개구
7 수직 축
8 바아
9 바아 높이
10 브래킷 높이
11 채움 부분
12 캠버
13 브래킷의 최대 두께
14 브래킷 슬롯의 종방향 축
15 브래킷의 폭
16 지지 길이
17 캠버의 부분
18 접선
19 브래킷의 평균 두께
20 원호 와이어
21 화살표
22 접촉 표면
23 바아
24 원호 와이어의 종방향 축
25 부착 섹션
26 종래 기술 브래킷
27 치아
28 치아 표면
29 부착 층
30 브래킷의 이면측면
31 브래킷 슬롯의 제1 측면 표면
32 브래킷 슬롯의 제2 측면 표면.

Claims (16)

  1. 치열 교정 장치용 브래킷(1)으로서, 브래킷은
    - 치아의 연관 표면에 브래킷(1)을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 표면(3)을 포함하는 브래킷 베이스(2);
    - 치열 교정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원호 와이어(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슬롯(4)으로서, 브래킷 슬롯은 부착 표면(3)으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브래킷 베이스(2)의 측면 상에 배열되는, 브래킷 슬롯; 및
    - 적어도 브래킷 슬롯(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킹하여 원호 와이어가 브래킷 슬롯(4)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장치로서, 브래킷은 단일편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로킹 장치를 포함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브래킷(1)은 부착 표면(3)으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이면 측면(30)에 볼록한 캠버(12)를 갖도록 구성되고, 볼록한 캠버는 브래킷(1)의 수직 축(7)에 평행하게 측정된 브래킷의 높이(10)의 적어도 50%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1).
  2. 제1항에 있어서, 캠버(12)는, 오목한 견부 없이, 특히 언더컷 없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캠버(12)는 브래킷(1)의 높이(10)의 적어도 60%, 유리하게는 적어도 70%,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80%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래킷(1)의 수직 축(7)에 수직으로 측정된 브래킷(1)의 최대 두께(13)는 캠버(12)의 부분(17) 외측의 브래킷(1)의 평균 두께(19)에 비해 캠버(12)의 부분(17)에서 증가되고,
    캠버(12)의 부분(17)의 최대 두께(13)는 캠버(12)의 부분(17)의 외측의 평균 두께(19)의 양의 적어도 1.5배,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호 와이어(20)가 삽입 개구를 통해 브래킷 슬롯(4)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브래킷(1)의 삽입 개구(6)가 브래킷(1)에 배열되고,
    삽입 개구는 특히, 브래킷(1)의 이면 측면(3)에 삽입 개구(6)가 없어 브래킷 슬롯(4) 내로의 원호 와이어의 삽입이 브래킷(1)의 수직 축(7)에 적어도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용이해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래킷(1)은 니티놀 또는 열가소성 합성 재료, 유리하게는 폴리에테르케톤, 특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열가소성 플루오르 합성 재료, 특히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옥시메틸렌 또는 폴리이미드, 특히 폴리에테르이미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1).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브래킷 슬롯(4)의 적어도 제1 측면 표면(31)은 브래킷 베이스(2)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측면 표면(31)에 대향하여 배열되는 제2 측면 표면(32)은 적어도 하나의 상호로킹 요소(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래킷(1)의 단면은 브래킷 슬롯(4)의 종방향 축(14)에 평행하게 측정된 브래킷(1)의 전체 폭(15)에 걸쳐 일정하여, 브래킷 슬롯(4)의 종방향 축(14)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브래킷(1)을 통한 모든 단면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래킷 슬롯(4)의 종방향 축(14)에 평행하게 측정된 브래킷(1)의 폭(15)은 적어도 브래킷 슬롯(4)의 부분에서 적어도 1.5㎜, 유리하게는 적어도 2㎜,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호 와이어(20)가 브래킷 슬롯(4) 내에서 연속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브래킷 슬롯(4)의 지지 길이(16)는 적어도 1.5㎜, 유리하게는 적어도 2.0㎜,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1).
  11. 치열 교정 장치로서,
    - 적어도 하나의 원호 와이어(20);
    - 원호 와이어(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브래킷(1)을 포함하고,
    브래킷(1)은 힘 전달 방식으로 치아(27)의 표면(28)과 연결되도록 각각 구성되고,
    원호 와이어(20)는, 브래킷과 협력하는 치아(27)와 원호 와이어(20) 사이에 힘 전달 연결이 정립될 수 있도록 브래킷(1)에 의해 수용될 수 있으며,
    브래킷은 원호 와이어(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슬롯(4)을 포함하고, 원호 와이어(20)는 로킹 장치(5)에 의해 각각의 브래킷 슬롯(4)에 고정될 수 있어서 원호 와이어(20)의 브래킷 슬롯(4)에 대한 이동이 적어도 원호 와이어의 종방향 축(24)에 수직인 방향에서 차단되고,
    브래킷 슬롯(4)은 브래킷(1)의 삽입 개구(6)와 협력하고, 원호 와이어(20)는 삽입 개구를 통해 브래킷 슬롯(4) 내로 삽입 가능하며,
    브래킷(1)은 각각 단일편으로 일체로 구성되는, 치열 교정 장치에 있어서,
    브래킷(1) 중 적어도 하나는 부착 표면(3)으로부터 먼쪽에 배향된 이면 측면(30)에서 볼록한 캠버(12)를 갖도록 구성되고, 볼록한 캠버는 각각의 브래킷(1)의 수직 축(7)에 평행하게 측정된 브래킷(1)의 전체 높이(10)의 적어도 50%에 걸쳐 오목한 견부 없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장치.
  12. 치열 교정 장치용 브래킷(1)의 제조 방법이며,
    a) CAD 방법으로 브래킷(1)을 가상 설계하는 단계; 및
    b) 가상 설계된 브래킷(1)을 CAM 방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브래킷(1)은 재료의 단편으로부터 절단되어, 브래킷은 절단 완료 후에, 단일편으로 일체로 제공되고 그 최종 사용 가능한 형상을 갖는, 브래킷 제조 방법.
  13. 치열 교정 장치용 브래킷(1)의 제조 방법이며,
    a) CAD 방법으로 브래킷(1)을 가상 설계하는 단계; 및
    c) 3-D 방법의 완료 이후 브래킷이 단일편으로 일체로 제공되도록, 그리고, 브래킷이 그 최종 사용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3-D 인쇄 방법에 의해 가상 설계된 브래킷(1)을 마스터 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래킷 제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원호 와이어(20)가 브래킷 슬롯(4)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래킷(1)의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슬롯(4)을 로킹할 수 있는 로킹 장치(5)가 잔여 브래킷(1)에서 단일편으로 직접적으로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 스캐닝 장치에 의해 치료될 치아를 검출하고 이어서 스캐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치아의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e) 디지털 모델에서 적어도 가상 브래킷(1)을 설계하는 단계로서, 가상 브래킷(1)의 부착 표면(3)이, 부착 표면(3)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각각의 치아(27)의 표면(28)에 그 전체 표면이 적용될 수 있도록 적어도 본질적으로 각각의 치아(27)의 대응하는 표면(28)에 따라 성형되도록 디지털 모델의 각각의 치아(27)에 가상 브래킷이 적응되는, 단계;
    f) 가상 브래킷(1)에 기초하여, 재료 단편으로부터 대응하는 실제 브래킷(1)을 절단하거나 3-D 인쇄 방법에 의해 이를 마스터 포밍하여 브래킷이 절단 또는 마스터 포밍 이후 단일편으로 일체로 제공되고 그 최종 사용 가능한 형상으로 즉시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2항, 제14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래킷(1)은 특히 레이저 절단 또는 워터 제트 절단에 의해 재료 요소, 특히 니티놀 시트 재료의 단편으로부터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7037830A 2016-06-02 2017-05-31 치열 교정 장치를 위한 일체로 형성된 자가­결찰 브래킷 KR201900153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0161.3 2016-06-02
DE102016110161.3A DE102016110161A1 (de) 2016-06-02 2016-06-02 Bracket für eine kieferorthopädische Vorrichtung
PCT/EP2017/063217 WO2017207665A2 (de) 2016-06-02 2017-05-31 Bracket für eine kieferorthopädische 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375A true KR20190015375A (ko) 2019-02-13

Family

ID=5901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830A KR20190015375A (ko) 2016-06-02 2017-05-31 치열 교정 장치를 위한 일체로 형성된 자가­결찰 브래킷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090989A1 (ko)
EP (1) EP3463171A2 (ko)
JP (1) JP2019517318A (ko)
KR (1) KR20190015375A (ko)
CN (1) CN109475391A (ko)
DE (1) DE102016110161A1 (ko)
WO (1) WO201720766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4200B1 (en) 2012-10-30 2019-05-22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EP3547951A4 (en) 2016-12-02 2020-07-01 Swift Health Systems Inc. SYSTEM FOR INDIRECT ORTHODONTIC BINDING AND METHOD FOR BRACKET PLACEMENT
WO2018144634A1 (en) 2017-01-31 2018-08-09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US11612458B1 (en) * 2017-03-31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CN110740704B (zh) 2017-04-21 2021-10-29 斯威夫特健康系统有限公司 间接粘接托盘、非滑动正畸矫正器和使用其的配准系统
US10932889B2 (en) * 2017-09-27 2021-03-02 Cheng-Hsiang Hung Orthodontic bracket
US10786334B2 (en) * 2018-06-12 2020-09-29 Lightforce Orthodontics, Inc. Ceramic processing and design for the direct manufacture of customized labial and lingual orthodontic clear aligner attachments
WO2020223714A1 (en) 2019-05-02 2020-11-05 Brius Technologies, Inc. Dental appliances, systems and methods
CN110345138B (zh) * 2019-06-21 2021-02-26 华中科技大学 基于4d打印的仿生智能分离连接装置
EP4142642A1 (en) * 2020-05-02 2023-03-08 Brius Technologies, Inc.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3007A (en) * 1959-06-02 1962-07-10 Wallshein Melvin Orthodontic brackets
US3052028A (en) * 1960-09-27 1962-09-04 Wallshein Melvin Orthodontic brackets
DE4434209A1 (de) * 1994-09-24 1996-03-28 Foerster Rolf Vorrichtung zum Regulieren der Zahnstellung
DE10035992A1 (de) * 2000-07-24 2002-02-07 Norbert Abels Orthodontisches Bracket
WO2002064049A1 (en) * 2001-02-15 2002-08-22 Norbert Abels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including a ligation cover biased toward an open or closed position
US6776614B2 (en) * 2002-02-13 2004-08-17 Lingualcare, Inc. Modular system for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s
DE10300010B4 (de) * 2003-01-02 2007-08-09 Fricke, Clemens, Dr. Brackets sowi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20080138758A1 (en) * 2004-06-11 2008-06-12 Clemens Fricke Brackets
US7175428B2 (en) 2004-07-02 2007-02-13 Nicholson James A Shape memory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CN100586611C (zh) * 2008-02-27 2010-02-03 华南理工大学 定制化舌侧正畸托槽的选区激光熔化直接制造方法
WO2009141825A2 (en) * 2008-05-22 2009-11-26 Rgb Orthodontics Ltd.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WO2010119880A1 (ja) * 2009-04-16 2010-10-21 株式会社ジーシー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CH701510A2 (de) * 2009-07-31 2011-01-31 Tena Dr Med Dent Eichenberg Selbstligierendes Bracket und darin aufzunehmender Drahtbogen.
WO2011068601A1 (en) 2009-12-02 2011-06-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dontic appliance with low profile clip
US9566134B2 (en) * 2010-02-20 2017-02-14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Orthodontic applicance with radiused wire slot
US8807995B2 (en) * 2010-02-20 2014-08-19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Tooth top part
JP2012080969A (ja) * 2010-10-07 2012-04-26 Toshiaki Ko 歯列矯正用結紮用具
CN202136432U (zh) * 2011-06-23 2012-02-08 广州瑞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带正轴功能的个性化正畸矫治器
CN105517504B (zh) * 2013-09-06 2020-08-04 奥姆科公司 正畸矫治器以及制造和使用该正畸矫治器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90989A1 (en) 2019-03-28
EP3463171A2 (de) 2019-04-10
WO2017207665A2 (de) 2017-12-07
CN109475391A (zh) 2019-03-15
JP2019517318A (ja) 2019-06-24
DE102016110161A1 (de) 2017-12-07
WO2017207665A3 (de)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5375A (ko) 치열 교정 장치를 위한 일체로 형성된 자가­결찰 브래킷
CN109069226B (zh) 保持器及其制造方法
US894481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ized orthodontic device
US7831322B2 (en) Producing wrinkled dental aligner for dental treatment
US10136966B2 (en) Orthodontic appliance
US8535580B2 (en) Digitally forming a dental model for fabricating orthodontic laboratory appliances
KR102182300B1 (ko) 오정렬 치아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322698B2 (ja) 人工歯
US9907630B2 (en) Method for producing dentures comprising shortening by machining of pre-fabricated tooth blanks
WO2006096558A2 (en) Variations of dental aligners
US20210169616A1 (en) Method of producing and deploying orthodontic brackets or attachments
EP3443932B1 (en) Bar manufacturing and denture reference and registration system
EP2120778B1 (en) An impression tray for dental use
EP3982870B1 (en) Additively manufactured denture base with bracing body
US11890151B2 (en) Method for designing denture, method for producing denture and positioning means
WO2002069832A1 (en) Instrument for interproximal contact between a plastic filling and an adjacent tooth surface
US20230355355A1 (en) Reg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240081953A1 (en) Orthodontic appliances, attachments, systems including appliances and attachments, and methods for orthodontic appliance and attachment fabrication
KR102669075B1 (ko) 스페이서 및 그의 제조방법
EP4356868A1 (en) Orthodontic appliances, attachments, systems including appliances and attachments, and methods for orthodontic appliance and attachment fabrication
JP2003038525A (ja) 人工歯アセンブリおよび入れ歯の製造方法
JP5121961B2 (ja) 歯科矯正用器具作製治具及び歯科矯正用器具作製方法
KR20210154808A (ko) 치아교정용 및 정형외과 나사 및 치아교정용 및 정형외과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