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860A -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이를 구비한 차량 및 제조 - Google Patents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이를 구비한 차량 및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860A
KR20190013860A KR1020187037007A KR20187037007A KR20190013860A KR 20190013860 A KR20190013860 A KR 20190013860A KR 1020187037007 A KR1020187037007 A KR 1020187037007A KR 20187037007 A KR20187037007 A KR 20187037007A KR 20190013860 A KR20190013860 A KR 20190013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diode
glazing
layer
pv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6050B1 (ko
Inventor
파스칼 바우얼레
슈테판 길레센
쟝 쟈끄 브리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9001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41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or a light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7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 B32B17/10385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for ohmic resistance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08Sun roof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1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 F21V19/002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engaging the encapsulation or the packaging of the semiconductor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2Light emitting di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8Ligh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5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relation to the windshield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적층형 자동차 차유리(1000)를 형성하는 발광식 자동차 시그널링 글레이징에 관한 것으로서, 면(F1) 및 면(F2)을 갖는 외부 제1 글레이징(1'); 폴리머 재료로 제조된 적층 사이층(2) 및 면(FA) 또는 면(FB)인, 적층 사이층의 면(Fw)이라 칭하는 면 상에 고정되는 전기 전도성 와이어(5)의 세트; 면(F3) 및 면(F4)을 갖는 내부 제2 글레이징(1)으로서, 면(F2) 및 면(F3)은 적층형 글레이징의 내부면인, 내부 제2 글레이징(1); 및 내부 유리의 방향으로 발광하는 다이오드(4)의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다이오드에 있어서, 적층 사이층은 면(Fw)에 대향하는 면(F')이라 칭하는 면 내에 블라인드 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이를 구비한 차량 및 제조
본 발명은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luminous signaling glazing) 및 이러한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러한 글레이징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전면 차유리(front windshield)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s: HUDs)를 점점 더 통합하고 있다.
문헌 DE102013003686호는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발광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다이오드를 통합하는, 자동차의 전면 차유리를 형성하는 발광식 적층형 글레이징(luminous laminated glazing)을 설명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이 문헌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 발광식 시그널링 전면 차유리는:
- 적층형 글레이징으로서,
- 제1 및 제2 주면(main face)을 갖는, 외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제1 글레이징;
- 적층 사이층(interlayer); 및
- 제3 및 제4 주면을 갖는, 내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제2 글레이징을 포함하고;
제2 및 제3 면은 글레이징의 내부면인,
적층형 글레이징; 및
- 인쇄 회로 기판 상의 다이오드의 세트로서, 상기 다이오드는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적색 시그널링 라이트(signaling light)를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고,
- 각각의 다이오드는 내부 유리의 방향으로 발광하는 발광면을 갖고,
적층 사이층은 PCB 기판이 그 통합을 위해 배치되어 있는 관통-개구를 포함하는, 다이오드의 세트를 포함한다.
이 글레이징의 불량률은 향상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그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이 목적으로, 본 출원의 제1 주제는 차량 전면 차유리를 위한 발광식 (내부) 시그널링 글레이징이며:
- 적층형 글레이징으로서,
- 외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선택적으로 투명한, 초투명한 또는 착색된, 특히 회색 또는 녹색의,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미네랄 유리로 제조되고, 면(F1) 및 면(F2)이라 칭하는 제1 및 제2 주면을 각각 갖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mm, 심지어 최대 2.2 mm -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 또는 심지어 최대 1.3 mm 또는 최대 1 mm의 자동차 글레이징을 위한 두께의 제1 글레이징;
- 내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또는 초투명한 또는 심지어 착색된 미네랄 유리로 제조되고, 면(F3) 및 면(F4)인 제3 및 제4 주면을 각각 갖고, 바람직하게는 제1 글레이징의 것보다 작은, 심지어 최대 2.2 mm -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 또는 심지어 최대 1.3 mm 또는 최대 1 mm의 자동차 글레이징을 위한 두께의 제2 글레이징으로서, 제1 및 제2 글레이징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정밀하게는 4 mm 미만 및 심지어 3.7 mm 미만인, 제2 글레이징;
- 적층형 글레이징의 내부면인 면(F2) 및 면(F3) 사이의,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심지어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1.8 mm, 더 양호하게는 최대 1.2 mm 및 심지어 최대 0.9 mm(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적어도 0.3 mm 및 심지어 적어도 0.5 mm)의 자동차 글레이징을 위한 두께(e1)를 갖고, 특히 최대 2 mm만큼 제1 글레이징의 에지면으로부터 후퇴되고 최대 2 mm만큼 제2 글레이징의 에지면으로부터 후퇴되어 있는, 선택적으로 투명한, 초투명한 또는 착색된, 특히 회색 또는 녹색의 적층 사이층으로서, 적층 사이층은 주면(FA) 면(F2)측(및 심지어 접착식 접촉하게 됨) 및 주면(FB) 면(F3)측(및 심지어 접착식 접촉하게 됨)을 갖는, 적층 사이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
- 예를 들어 면(F3)에 대면하는 소위 정면, 즉 다이오드 캐리어의 정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무기 발광 다이오드 및 바람직하게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의 세트로서, 각각의 다이오드는 면(F3)의 방향에서 시그널링 라이트를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고(발광면을 가짐), -각각의 다이오드는 에지면을 갖고 - 각각의 다이오드(광학계를 갖거나 갖지 않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2 mm의 1 밀리미터 이하 크기의 두께(e2)를 갖고 선택적 다이오드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0.2 mm의 두께(e'2)를 갖고, e'2≤e1 - 특히 e2+e'2≤e1 - 인, 무기 발광 다이오드 및 바람직하게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의 세트를 포함하고;
적층 사이층은 개구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글레이징은 면(FA) 또는 면(FB)(바람직하게는)인 적층 사이층의 Fw라 칭하는 면 상에 고정된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세트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의 다이오드에 있어서, 적층 사이층은, 면(Fw)에 대향하는, 면(F')(바람직하게는 면(FA))이라 칭하는 면 상에, 다이오드를 수용하는(다이오드의 에지면을 둘러싸는) 블라인드 개구를 포함하고, 특히 적층 사이층은 개별 블라인드 개구 내에 있는 이웃하는 다이오드들 사이의 소위 다이오드간 공간 내에 있고,
그리고/또는, 다이오드의 그룹에 있어서, 적층 사이층은, 면(Fw)에 대향하는, 면(F')(바람직하게는 면(FA))이라 칭하는 면 상에, 상기 다이오드의 그룹을 수용하는(둘러싸는), 블라인드형이고 공통인 개구를 포함하고,
Fw와 블라인드 개구의 저부 사이에서, 적층 사이층의 나머지 두께(Hf)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mm이고 및 심지어 0.2 mm 및 최대 0.5 mm 및 심지어 최대 0.3 mm이고,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또는 상기 그룹의 각각의 다이오드)(의 정면)는 블라인드 개구를 경계한정하는 저부와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최대 0.2 mm 또는 최대 0.1 mm만큼 저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PCB 기판이 그 전체로 끼워질 것인 개구를 절단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 행해진 바와 같이, 결함 조립체(기포, 층간박리, 미관 결함)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열화하지 않기 위해 블라인드가 되도록 더 선택되는 국부 절결부를 적층 사이층 내에 생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유사하게, 본 출원의 제2 주제는 후면 차유리 및 도어 유리로부터 선택된 자동차 (외부) 시그널링 글레이징이고,
- 적층형 글레이징으로서,
- 외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특히 만곡된 그리고 선택적으로 투명한, 초투명한 또는 (바람직하게는) 착색된, 특히 회색 또는 녹색의 미네랄 유리로 제조되고, 면(F1) 및 면(F2)이라 칭하는 제1 및 제2 주면을 각각 갖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mm 및 심지어 최대 2.2 mm -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 또는 심지어 최대 1.3 mm 또는 최대 1 mm의 자동차 글레이징을 위한 두께의 제1 글레이징;
- 내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특히 만곡된 그리고 선택적으로 투명한, 초투명한 또는 심지어 착색된, 특히 회색 또는 녹색의 미네랄 유리로 제조되고, 면(F3) 및 면(F4)인 제3 및 제4 주면을 각각 갖고, 바람직하게는 제1 글레이징의 것보다 작은, 심지어 최대 2 mm -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 또는 심지어 최대 1.3 mm 또는 최대 1 mm의 자동차 글레이징을 위한 두께의 제2 글레이징으로서, 제1 및 제2 글레이징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정밀하게는 4 mm 미만 및 심지어 3.7 mm 미만인, 제2 글레이징;
- 적층형 글레이징의 내부면인 면(F2) 및 면(F3) 사이의,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심지어 PVB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1.8 mm, 더 양호하게는 최대 1.2 mm 및 심지어 최대 0.9 mm(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적어도 0.3 mm 또는 0.38 mm 및 심지어 적어도 0.7 mm)의 자동차 글레이징을 위한 두께(e1)를 갖고, 특히 최대 2 mm만큼 제1 글레이징의 에지면으로부터 후퇴되고 최대 2 mm만큼 제2 글레이징의 에지면으로부터 후퇴되어 있는, 선택적으로 투명한, 초투명한 또는 착색된, 특히 회색 또는 녹색의 적층 사이층으로서, 적층 사이층은 주면(FA) 면(F2)측(및 심지어 접착식 접촉하게 됨) 및 주면(FB) 면(F3)측(및 심지어 접착식 접촉하게 됨)을 갖는, 적층 사이층
을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
- 면(F2)의 방향으로 시그널링 라이트를 발광하는 것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무기 발광 다이오드 및 바람직하게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의 세트로서, - 각각의 다이오드는 발광면(반도체칩의)을 갖고 - 각각의 다이오드는 에지면을 갖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 및 무기 발광 다이오드의 세트를 포함하고,
적층 사이층은 블라인드 개구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글레이징은 면(FA)(바람직하게는) 또는 면(FB)인 적층 사이층의 Fw라 칭하는 면 상에 고정된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세트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의 다이오드에 있어서, 적층 사이층은, 면(Fw)에 대향하는, 면(F')(바람직하게는 면(FB))이라 칭하는 면 상에, 다이오드를 수용하는(다이오드의 에지면을 둘러싸는) 블라인드 개구를 포함하고, 특히 적층 사이층은 개별 블라인드 개구 내에 있는 이웃하는 다이오드들 사이의 소위 다이오드간 공간 내에 있고,
그리고/또는, 다이오드의 그룹에 있어서, 적층 사이층은, 면(Fw)에 대향하는, 면(F')(바람직하게는 면(FB))이라 칭하는 면 상에, 상기 다이오드의 그룹을 수용하는(둘러싸는), 블라인드형이고 공통인 개구를 포함하고,
Fw와 블라인드 개구의 저부 사이에서, 적층 사이층의 나머지 두께(Hf)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mm이고 및 심지어 0.2 mm 및 최대 0.5 mm 및 심지어 최대 0.3 mm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의 정면)는 블라인드 개구에 접경하는 저부와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최대 0.2 mm 또는 최대 0.1 mm만큼 저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표현 "도어 유리"는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 및 쿼터 윈도우(quarter window)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글레이징의 가열 구역은 "버스바아(busbar)"를 함께 접속하는 "가열 금속 와이어"라 칭하는 복수의 이러한 개별 금속 와이어를 포함한다. 가열 전류는 이들 개별 금속 와이어를 통과한다. 와이어는 유리하게는 글레이징의 투명성을 감소시키지 않도록, 또는 단지 매우 약간 감소시키도록 매우 얇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와이어는 0.1 mm 이하, 특히 0.02 내지 0.04 mm, 이상적으로는 0.024 mm 내지 0.029 mm의 두께를 갖는다. 금속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구리, 텅스텐, 금, 은 또는 알루미늄 또는 이들 금속의 적어도 2개의 합금을 포함한다. 합금은 또한 몰리브덴, 루테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또는 플래티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금속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클래딩에 의해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이는 와이어가 글레이징 전압 하에 있을 때 특히 유용하다.
적층 사이층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에 가능한 한 근접하고, 절단 중에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의 위치에 공차가 주어지면, 절결부(들)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들)의 폭보다 넓도록 선택된다(사이층이 가단성이더라도).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히 PVB(또는 전기 전도층/PVB를 갖거나 갖지 않는 PET 필름과 같은 PVB/플라스틱 필름)로 제조된 적층 사이층은 다이오드 에지면으로부터 최대 0.5 mm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0.2 mm 또는 심지어 최대 0.1 mm만큼 이격되고 심지어 다이오드 에지면과 접촉하게 된다. 특히, 블라인드 개구가 남아 있더라도,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의 그룹에 의해 충전되고, 이는 적층 전에보다 적층 후에 더 작은 폭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사이층은 다이오드의(다이오드의 그룹의 다이오드들의) 에지면까지 적층 중에 유동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다이오드(다이오드의 그룹의 다이오드들의) 정면과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e1은 1 센티미터 이하의 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0.9 mm(특히 통상의 PVB에 대해 적어도 0.6 mm 및 예를 들어 음향 PVB에 대해 적어도 0.8 mm)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e1-e2<0.5 mm이고 심지어 바람직하게는 e1-e2는 0.1 내지 0.3 mm의 범위이다. e1은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면(F2)과 면(F3) 사이의 두께이다.
특히,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층 사이층은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를 갖는 단일의, 바람직하게는 PVB(투명한, 초투명한 또는 착색된) 리프(leaf)로부터 형성되고, PCB 기판의 이면은 전면 차유리의 면(F2)에 또는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의 면(F3)에 기대거나 접착식으로 접합된다.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PVB(특히 음향 및/또는 웨지형 PVB) 사이층 내에 생성된다.
이는 (단일의) 복합 리프, 특히 미리조립된 리프: 전기 전도성 층/PVB를 갖거나 갖지 않는 PET 기능성 필름과 같은 PVB/플라스틱 필름의 문제일 수도 있다. PVB 또는 PVB/선택적으로 기능성 PET 사이층 내에 각각의 관통 구멍을 제조하기보다는 각각의 블라인드 개구가 이 리프 내에 생성되고 그에는 상기 와이어를 갖는 다른 PVB가 적층 전에 추가되어 블라인드 개구를 형성한다. PVB 중 하나는 음향성일 수도 있다. PVB 중 하나는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한다. 특히, 플라스틱 필름은 블라인드 개구와 면(Fw) 사이에 있고 또는 면(Fw)은 블라인드 홀과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있다.
전기 전도층을 갖거나 갖지 않는 기능성 플라스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적층형 글레이징의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도 있다. 기능성 플라스틱 필름 단독은 예를 들어 착색되고 그리고/또는 (의도적으로) 채색될 수도 있다. 전기 전도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은 투명하고 무색일 수도 있다.
전기 전도층은 바람직하게는 블라인드 또는 관통 구멍 없이 - 따라서 상기 블라인드 개구의 부분 없이 - 그대로 남아 있고(미관적 목적으로, 핫스폿 등을 회피하기 위해) 그리고 심지어 PET와 같은 플라스틱의 필름이 그대로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적층 사이층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를 갖는 전기 전도층/PVB를 갖는 PET와 같은 플라스틱의 PVB/필름을 포함하고;
- (특히 투명한) 전기 전도층은 개구 형성되지 않고 예를 들어, 관통 구멍의 저부와 면(Fw)(바람직하게는 전면 차유리에 대해 면(FB), 및 측면 윈도우 또는 후면 차유리에 대해 면(FB)) 사이에서 그리고 특히 블라인드 개구 또는 각각의 블라인드 개구에 대면하는 PVB와 접촉하게 되고;
- 그리고/또는 플라스틱 필름은 PET와 같은 플라스틱의 개구 형성되지 않은(특히, 투명한) 필름이고, 예를 들어 관통 구멍의 저부와 면(Fw)(바람직하게는 전면 차유리에 대해 면(FB), 및 측면 윈도우 또는 후면 차유리에 대해 면(FB)) 사이에 있다.
예를 들어, 적층 사이층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층/PVB를 갖는 PET와 같은 플라스틱의 필름/상기 와이어를 갖는 PVB를 포함하고;
- (특히 투명한) 전기 전도층은 개구 형성되지 않고;
- 그리고/또는 (특히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은 PET와 같은 플라스틱의 개구 형성되지 않은 필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PVB 적층 사이층이 PCB 기판의 이면과 전면 차유리의 면(F2) 사이에 또는 PCB 기판의 이면과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의 면(F3) 사이에 또한 존재할 수도 있다. (특히 투명한, 초투명한 또는 착색된) 리프(예를 들어, 최대 0.4 mm 및 심지어 최대 0.2 mm의 두께의 더 얇을 수도 있음)는 예를 들어, PCB 기판의 이면측에 추가된다. 이 리프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를 갖는 리프와 동일한 넓이 - 특히 PVB(또는 전기 전도층/PVB를 갖거나 갖지 않는 PVB/PET)를 갖는다.
너무 많은 공기 기포를 발생하는 위험을 야기하지 않기 위해, 사이층의 초과의 두께(다이오드에 대한)는 가능한 한 작을 수도 있다.
경제적 이유로(재료 및 단순히 제조될 국부 절결부의 하나의 시리즈의 비용)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를 갖는 사이층을 위해 하나의 시트(PVB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준 두께, 즉 0.6 mm 또는 0.9 mm(더 큰 안전을 위해 0.38 mm보다는)의 단일 시트(PVB의)의 사용은 단지 매우 최근에 시장에서 입수 가능해진 신규한 초박형 전력 다이오드의 선택에 의해 가능해진다.
블라인드 개구는, 특히 전면 차유리에 대해 선택적으로 음향성 및/또는 웨지형 PVB 내에, 또는 특히 전기 전도성(태양열 제어 등) 기능층을 지지하는, 심지어 (미리 조립된, 접착식으로 접합된) PVB/PVB 또는 플라스틱 필름/플라스틱 필름/PVB, 플라스틱 필름, 바람직하게는 PET 내에 있을 수도 있다. 제조를 간단화하기 위해, 복합 요소는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의 형성에 의해 미리조립된 요소일 수도 있다. 특히, (전기 전도성) 기능층은 바람직하게는 개구 형성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에 의해 통과되지 않는다.
블라인드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mm 및 심지어 최대 15 mm의 폭(및 길이)을 갖는다.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들 중 하나는 F2와 F3 사이 또는 면(F4) 상의 바람직한 용량성 터치 온/오프 스위치의 발광식 지시기일 수도 있다. 발광식 지시기는 면(F3)에 대면하고 또한 다른 기능을 위한 다이오드를 지지하는 다이오드 캐리어의 정면 상에 있을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기계적 보강을 위해 지시기로서 2개(또는 그 초과의) 리프(바람직하게는 PVB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 최대 0.5 mm의 두께의 블라인드 개구를 갖는 리프,
- 최대 0.4 mm, 특히 0.38 mm, 심지어 최대 0.2 mm, 특히 0.19 mm의 두께(e'1)의 다른 리프.
다이오드(및 PCB 기판)가 충분히 얇으면, 이는 심지어 두께를 반전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 최대 0.4 mm, 특히 0.38 mm 및 심지어 최대 0.2 mm, 및 특히 0.19 mm의 두께의 블라인드 개구를 갖는 리프(바람직하게는 PVB 시트); 및
- 최대 0.4 mm의, 특히 0.38 mm의 두께의 다른 시트(바람직하게는 PVB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바람직하게는 전력 다이오드는 반도체칩을 포함하는 전자 구성요소이고, 전자 구성요소의 에지면을 캡슐화하는(그리고 다이오드의 에지면을 형성하는) 주연 폴리머 또는 세라믹 패키지를 구비하고, 상기 패키지는 구성요소의 에지면 위에 돌출되고 반도체칩을 에워싸고, 적층 사이층(적층 중에 유동에 기인하여)은 패키지의 상기 정면과 전면 차유리의 면(F3) 또는 도어 유리 또는 후면 차유리의 면(F2) 사이의 정면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 연장된다.
다이오드는 칩-온-보드형(chip-on-board type) 또는 심지어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어서 주변 패키지를 갖는 표면 실장 디바이스(SMD)일 수도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바람직하게는 전력 다이오드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칩을 포함하는 전자 구성요소이고, 전자 구성요소의 에지면을 캡슐화하는(그리고 다이오드의 에지면을 형성하는) 폴리머 또는 세라믹 주변 패키지를 구비하고, 상기 패키지는 반도체칩을 둘러싼다.
패키지는 다이오드의 최대 두께(높이)(e2)에 대응할 수도 있다. 패키지는 예를 들어, 에폭시로 제조된다. 폴리머 패키지는 선택적으로 적층 중에 압축될 수도 있다(적층 후에 최종 두께가 초기 두께보다 작을 수도 있음). (폴리머) 패키지는 불투명할 수도 있다.
패키지(모노리식이거나, 2개의 부분으로 제조됨)는 칩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형성하는 부분 및 칩 위의 지지체로부터 거리를 갖고 확개하고(flare) 보호 수지 및/또는 색 변환 기능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반사체를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면은 칩을 커버하는 이 재료의 표면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고, 이 표면은 반사체의 "정면"과 동일 레벨이거나 후퇴되어 있다.
다이오드는 심지어 단지 반도체칩 상에, 보호 수지 또는 색 변환 기능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도체칩은 재료(수지 등) 내에 매립될 수도 있다.
(칩 온-보드 또는 SMD) 다이오드는 콤팩트성을 촉진하기 위해 반도체칩(선택적으로 재료 내에 매립됨) 위에 광학 요소가 결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는 특히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 예를 들어 PCB 기판의 정면 상에 실장된 표면 실장 디바이스이고, 다이오드는 램버티안(Lambertian) 또는 의사-램버티안(quasi-Lambertian) 발광 패턴을 갖는다.
다이오드 캐리어(PCB 기판)는 만곡된 적층형 글레이징의 곡률에 적응하도록 충분히 가요성(가단성)일 수도 있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글레이징의 에지면까지 연장되고 심지어 상기 에지면을 넘어 연장되는 편평한 커넥터와 연계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예를 들어, PEN 또는 폴리이미드)을 포함하는 글레이징의 곡률에 적응하는 것이 가능한 가요성 커넥터가 바람직하다. 편평한 커넥터의 폭(에지면을 따른 치수)은 특히 에지면을 따른 (다이오드) 캐리어의 치수보다 작거나 같을 수도 있다.
특히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는 글레이징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이는 전력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는데: 예를 들어, 적층형 글레이징 내에 전기 전원(글레이징의 면(F2 또는 F3) 상에 편평 케이블, 와이어, 전기 전도층 등)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는 국부적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특히, 적층형 글레이징(전면 차유리)의 주연 영역에서, 적층형 글레이징의 면적의 10% 미만을 커버할 수도 있다.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는 그렇지 않으면 적층형 글레이징의 면적의 10% 초과 및 심지어 전체를 커버할 수도 있다. 패키지는 다이오드의 최대 두께(높이)에 대응할 수도 있다. 패키지는 예를 들어, 에폭시로 제조된다. 폴리머 패키지는 선택적으로 적층 중에 압축될 수도 있다(적층 후에 최종 두께가 초기 두께보다 작을 수도 있음). (폴리머) 패키지는 불투명할 수도 있다.
다이오드는 콤팩트성을 촉진하기 위해 반도체칩 위에 광학 요소(렌즈 등)가 결여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광학 요소는 적층형 글레이징 내로 통합되도록 충분히 작을 수도 있다. 다이오드는 통상적으로 반도체칩 상에, 보호 수지 또는 색 변환 기능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도체칩은 재료(수지 등) 내에 매립될 수도 있다.
적층 사이층이 PCB 기판과 접촉하게 될 때, 적층 사이층은 다이오드의 에지면으로부터 최대 0.5 mm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0.1 mm만큼 이격될 수도 있고, 적층 후에, 유동에 기인하여, 적층 사이층은 반도체칩을 에워싸면서, 에지면에 더 근접하고 심지어 접촉하게 되고 심지어 구성요소의 정면 위로 돌출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는 PCB 기판의 정면 상에 실장된 표면 실장 디바이스이고, 심지어 다이오드는 램버티안 또는 의사-램버티안 발광 패턴을 갖는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층 사이층은 PVB로 제조되고, e1은 0.5 내지 0.9 mm의 범위이고, e'1은 관련되면, 최대 0.4 mm이고, 다이오드는 PCB 기판과 같은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의 정면 상에 실장된 표면 실장 디바이스이고, e'2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0.2 mm이고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0.15 mm, 심지어 최대 0.05 mm이다. 특히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는 글레이징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PCB 기판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5 cm,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2 cm, 심지어 최대 1 cm이다. 단일의 반도체칩을 갖는 다이오드의 폭(또는 길이)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5 mm이고, 이러한 다이오드는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이다. 복수의 반도체칩(통상적으로, 패키지에 의해 둘러싸인)을 갖는 다이오드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mm이고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10 mm이고, 이러한 다이오드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PCB 기판(바람직하게는 만곡된 적층형 글레이징의 곡률을 따르기 위해 충분히 가요성임)은 그 이면을 거쳐, 전면 차유리에 대해 면(F2)에 대해 또는 후면 차유리 또는 측면 윈도우에 대해 면(F3)에 접착식으로 접합되거나 유지될 수도 있고, 접착제 접합은 e3≤0.1 mm, 더 양호하게는 또한 e3≤0.05 mm를 갖는 두께(e3)의 접착제(아교 또는 바람직하게는 양면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 심지어 e3+e'2는 최대 0.15 mm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0.1 mm이다. 이 접착제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e3+e2+e'2≤e1이다(무엇보다도, 다이오드의 구역 내의 PCB의 이면 상에 존재하면).
접착식 접합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포함하지 않는 구역에서, 전체 길이에 걸치거나 또는 이산적이다.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적층 사이층의 폴리머 재료의 연화 온도 미만의 온도, 특히 최대 130℃,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120℃ 및 심지어 최대 100℃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및 심지어 적어도 20의 팩터(따라서, 전류/10 또는 심지어 전류/20)만큼 동작시에 전류가 전기적으로 부족 공급되는(undersupplied) 전력 다이오드이다.
이들 다이오드는 우수한 효율을 보장하고, 너무 많은 열을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A의 전류 정격을 갖는 다이오드에 있어서, 50 내지 100 mA의 전류가 선택된다.
무기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갈륨 포스파이드, 갈륨 니트라이드 및/또는 알루미늄 갈륨 니트라이드에 기초한다.
PCB 기판은 만곡된 적층형 글레이징의 곡률을 따르도록 충분히 가요성(굴곡성)일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PCB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한(필요하다면)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ET 또는 폴리이미드로 제조되고, 특히 금속 또는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로 제조된 전도성 트랙을 구비하는 필름을 포함하고, 이 트랙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고, 표면 실장 다이오드를 구비한다. 전도성 트랙은 인쇄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증착법, 예를 들어 물리적 기상 증착에 의해 증착된다. 전도성 트랙은 또한 와이어일 수도 있다. 전도성 트랙 및 필름은 이들이 가시성일 때, 즉 이들이 특히 전면 차유리를 위한 면(F4 또는 F3) 상에서 그리고 측면 윈도우 또는 후면 차유리를 위한 면(F2) 상에서 차폐 요소(층)(에나멜 또는 심지어 페인트의 코팅 등과 같은)에 의해 차폐되지 않을 때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트랙은 이들이 투명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또는 이들이 (거의) 비가시적이도록 충분히 얇기 때문에 투명할 수도 있다. 가시적일 수도 있는 트랙은 구리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라인에 의해 절연될 수도 있다(레이저 에칭 등에 의한 재료의 제거).
폴리이미드 필름은 대안적인 PET 또는 심지어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에 비해 더 고온에 대한 더 양호한 내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PCB 기판은 적어도 적층형 글레이징의 에지면까지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에지면(바람직하게는 도그 레그형 형상(dog-legged shape)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L-형)을 넘어 돌출되고, PCB 기판의 이면과 전면 차유리의 면(F2) 또는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의 면(F3) 사이에는, 최대 0.1 mm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0.05 mm의 두께의 액체수에 기밀한 접착제, 특히 양면 접착제가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오버몰딩 해결책에 바람직하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PCB 기판을 고정하는데 사용된 바람직한 투명한 접착제의 문제일 수도 있다.
다이오드 캐리어, 도그-레그형, 특히 L-형 PCB 기판은 다이오드를 지지하는 제1 (직사각형) 부분(굴곡부를 가짐) 및 적층형 글레이징의 에지면 상의 접속 개방 및 심지어 그를 넘어 돌출되기 위한 (직사각형) 제2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제2 부분은 제1 부분보다 (훨씬) 더 길 수도 있다.
글레이징(전면 차유리, 후면 차유리, 측면 윈도우)은 동일한 기능 또는 개별 기능을 갖는 복수의 시그널링 라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면 차유리는 동일한 기능 또는 개별 기능을 갖는 복수의 시그널링 라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 큰 시그널링 영역 및/또는 상이한 색을 얻기 위해, 소정의 PCB 기판 상에, 복수의 열의 다이오드를 갖거나 또는 심지어 2개의 PCB 기판을 나란히 배치하는 것(적어도 나란히 배치된 다이오드를 갖는 PCB의 구역)이 가능하다.
소정의 PCB 기판 상에서, 다이오드는 동일한 광 또는 상이한 색의 광을 바람직하게는 동시가 아니게 발광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다이오드는
- 전면 차유리(특히 운전석측)의 또는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의 종방향 에지로서, 다이오드 캐리어는 측방향 에지의 측방향 에지로부터 그리고 심지어 다른 측방향 에지로부터 돌출되거나 또는 심지어 종방향 에지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를 갖는, 종방향 에지를 따라
- 또는 전면 차유리(특히 운전석측)의 또는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의 측방향 에지로서, 다이오드 캐리어는 종방향 에지의 이면으로부터 그리고 심지어 다른 종방향 에지로부터 돌출되거나 그리고/또는 심지어 측방향 에지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를 갖는, 측방향 에지를 따라, 발광식 스트립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에 있다.
일반적으로, 적층 사이층은 면(F3)(면(F2) 각각)과 또는 이 면 상의 통상의 기능성 코팅, 특히 가열층, 안테나, 태양열-제어층 또는 저-E 층, 또는 일반적으로 흑색 에나멜의 층과 같은 장식 또는 (불투명) 차폐층과 같은 얇은 층(하나 이상의 실버 필름을 포함함)의 스택과 직접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다이오드 캐리어, 특히 PCB 기판은 글레이징 영역에 있고 선택적으로 불투명 에지(일반적으로 에나멜 프레임)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CB 기판은 하나의 측방향 또는 종방향 에지를 따라 또는 심지어 측방향 에지들 사이의 특히 실질적으로 중간에 더욱 더 중앙에 그리고 상부 종방향 에지보다는 저부 종방향 에지에 더욱 더 근접하여(끼워진 위치에) 배치된다. 가장 종종, 면(F2) 상에 불투명층 및 면(F4 또는 심지어 F3) 상에 불투명층이 존재한다. 이들의 폭은 동일하거나 별개이다.
다이오드 캐리어, 특히 PCB 기판(적어도 다이오드를 갖는 구역 또는 적어도 PCB가 도그-레그형 및 특히 L-형이면 다이오드를 갖지 않는 구역)은 일반적으로 면(F2) 및/또는 면(F4) 상에 또는 심지어 면(F2) 상에 및/또는 면(F3) 상에, 적층형 글레이징의 주연 에지를 따라, 불투명층, 특히 (흑색) 에나멜의 영역 내에 또는 부근에 배열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 PCB 기판은 심지어 전면 차유리의 영역에, 외부 유리가 바람직하게는 F2 상에서 (흑색) 에나멜과 같은 (최외부) 불투명층에 의해 완전히(또는 부분적으로) 불투명하게 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불투명층은 전면 차유리의 이 영역에서, 개구 형성되지 않은 층(연속적인 배경) 또는 예비품(불투명층을 갖지 않는 영역)을 갖는 층, 예를 들어 기하학적 형상(둥근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또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크기(에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감소하는 크기 및/또는 그 간격이 에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증가하는 패턴)를 갖는 비기하학적 패턴의 세트의 형태를 취하는 층일 수도 있다.
본 제1 실시예에서, 다이오드 또는 심지어 전체 PCB 기판은 전면 차유리를 통한 운전자의 시야를 제한하지 않고 정보 - 운전자 또는 심지어 임의의 다른 사람으로의 경고(충돌 방지)와 같은 - 를 표시하기 위해, 단지 내부로부터만 가시적일 수도 있다.
PCB 기판은 전면 차유리의 영역에, 내부 유리가 바람직하게는 F4 상에서 또는 심지어 F3 상에서 (흑색) 에나멜과 같은 불투명층(최내부)에 의해 불투명하게 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불투명층은 이어서 적어도 다이오드와 정렬된 예비품(적층시에 차폐에 의해 또는 특히 레이저에 의한 제거에 의해)을 포함한다. 이 불투명층은 예를 들어, 동일한 또는 별개의 크기(감소하는 크기 그리고/또는 에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점점 더 이격되는 패턴)를 갖는 선택적으로 기하학적 형상(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불투명 패턴의 세트의 형태를 취한다. 불투명 패턴들 사이의 구역은 다이오드와 정렬된다. 이들 구역에서, 백색 에나멜과 같은 산란층이 면(F4) 또는 심지어 F3에 추가될 수도 있다. 산란층은 이 (최내부) 불투명층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연속적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차유리는 게다가 면(F2) 상에 불투명층을 포함한다.
PCB 기판은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의 영역에, 내부 유리가 바람직하게는 F4 상에서 또는 심지어 F3 상에서 불투명층(최내부)에 의해 불투명하게 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이오드 또는 심지어 전체 PCB 기판은 임의의 종류의 광 또는 정보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로부터만 가시적이다. 이 불투명층은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의 이 영역에서, 개구 형성되지 않은 층(연속적인 배경) 또는 예비품(불투명층을 갖지 않는 영역)을 갖는 층, 예를 들어 기하학적 형상(둥근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또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크기(감소하는 크기 및/또는 그 간격이 에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증가하는 패턴)를 갖는 비기하학적 패턴의 세트의 형태를 취하는 층, 특히 에나멜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는 게다가 면(F4) 또는 심지어 F3 상에 불투명층을 포함한다.
PCB 기판은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의 영역에, 외부 유리가 바람직하게는 F2 상에서 (흑색) 에나멜과 같은 불투명층(최외부)에 의해 불투명하게 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불투명층은 이어서 적어도 다이오드와 정렬된 예비품(적층시에 차폐에 의해 또는 특히 레이저에 의한 제거에 의해)을 포함한다. 이 불투명층은 예를 들어, 동일한 또는 별개의 크기(감소하는 크기 그리고/또는 에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점점 더 이격되는 패턴)를 갖는 선택적으로 기하학적 형상(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불투명 패턴의 세트의 형태를 취한다. 불투명 패턴들 사이의 구역은 다이오드와 정렬된다. 이들 구역에서, 백색 에나멜과 같은 산란층이 면(F2)에 추가될 수도 있다. 산란층은 이 불투명층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연속적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는 게다가 면(F4)(또는 F3) 상에 불투명층을 포함한다.
특히 시각적 편안함을 위해, 전면 차유리는 면(F3) 또는 (더 양호하게는 또한) 다이오드에 대면하는 면(F4) 상에, 바람직하게는 백색 산란층, 특히 (백색) 에나멜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시각적 편안함을 위해, 측면 윈도우 또는 후면 차유리는 다이오드에 대면하여 면(F2)(또는 심지어 F1) 상에, 바람직하게는 백색 산란층, 특히 (백색) 에나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이오드의 크기의(바람직하게는 에지가 온 상태에서 어두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합한 크기의) (백색) 산란 패턴의 세트가 얻어질 수도 있다.
산란층은 다이오드와 정렬하는 예비품을 갖고, 글레이징 영역의 구역 내에 또는 전술된 바와 같이 흑색 에나멜과 같은 불투명층을 갖는 주연 구역 내에 있을 수도 있다.
특히,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에 있어서, 다이오드는 하나 이상의 PCB 기판 등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문자, 기호(삼각형, 고장 또는 위험 기호 등), 화살표 등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특히, 전면 차유리에 있어서, 다이오드는 하나 이상의 PCB 기판 등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문자, 기호(삼각형, 고장 또는 위험 기호 등), 하나 이상의 화살표(좌측 및 우측 점멸 지시기) 등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요구되는 바와 같이 전술된 것과 동수의 PCB 기판 및 다이오드의 세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 상부 종방향 에지보다 저부 종방향 에지에 바람직하게 더 근접한 좌측 측방향 에지를 따른 제1 세트;
- 상부 종방향 에지보다 저부 종방향 에지에 바람직하게 더 근접한 우측 측방향 에지를 따른 제2 세트;
- 바람직하게는 운전석측에서 저부 종방향 에지를 따른 제3 세트; 및
- 상부 종방향 에지보다 저부 종방향 에지에 바람직하게 더 근접한 중앙에서 제4 세트.
색은 위험 레벨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고 또는 더 많은 또는 적은 수의 다이오드가 심지어 위험 레벨에 따라 턴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물론 전술된 것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임의의 차량에 관한 것이고, 특히:
-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은 전면 차유리를 형성하고, 특히 전방의 자동차(또는 모터바이크,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교통 수단, 또는 심지어 동물)(또는 물체 또는 보행자와 같은 사람)까지의 거리가 너무 작을 때를 검출함으로써, 또는 심지어 자동차의 좌측 또는 우측의 물체 또는 사람 또는 자동차 또는 심지어 임의의 다른 교통 수단(자전거, 모터바이크 등)으로부터의 거리가 너무 작을 때를 검출함으로써 충돌을 방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색 또는 더 점진적으로 주황색(앰버) 이어서 적색 다이오드, 또는 심지어 3개 이상의 레벨 및 따라서 색을 갖는 다이오드를 턴온하는 (공도(고속도로) 또는 심지어 도시 도로) 충돌 방지 수단을 형성하고;
- 또는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은 후면 차유리를 형성하고 정지등(예를 들어, 적어도 60 cd), 제3 정지등(예를 들어, 25 내지 80 cd), 지시기(예를 들어, 적어도 50 cd), 위험 경고등 또는 차량을 로케이팅하기 위한 라이트를 포함하는 글레이징이고;
-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은 측면 윈도우를 형성하고 위험 경고등(차량이 고장날 때 등을 위한) 또는 차량을 로케이팅하기 위한 라이트(주차장에, 도시 내에 등에 정지될 때) 또는 측면 리피터(정면 윈도우, 특히 측면 미러 부근 - 차량이 추월할 때 보여지기 위해, 예를 들어 0.6 내지 20 cd)를 포함하는 글레이징이다.
위치등, 주차등 및/또는 측면등을 형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이오드로서, OSRAM에 의해 판매되는 OSLON BLACK FLAT 레인지가 언급될 수도 있다. 적색 라이트에 있어서, OSRAM에 의해 판매되는 이하의 다이오드: OSLON BLACK FLAT Lx H9PP가 언급될 수도 있다. 주황색(앰버) 라이트에 있어서, OSRAM에 의해 판매되는 이하의 다이오드: LCY H9PP가 언급될 수도 있다. 백색 라이트에 있어서, OSRAM에 의해 판매되는 이하의 다이오드: LUW H9QP 또는 KW HxL531.TE가 언급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x = 다이오드 내의 칩의 수(예를 들어, 4 또는 5)이다.
가요성 PCB를 경유하여, KREMPEL로부터의 제품(특히 PCL FW)의 AKAFLEX®이 언급될 수도 있다.
차량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는 다이오드를 조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 및 심지어 특히 위험한 상황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다이오드를 조종하기 위한 제어 유닛이 적층형 글레이징 내에, PCB 기판 상에 또는 벗어나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마지막으로 전술된 것과 같은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이하의 단계:
- 바람직하게는 존재하는 다이오드와 동수의(그리고 이하의) 국부적 블라인드 개구(기하학적 형상: 둥근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특히 다이오드와 동일한 형상의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최대 0.9 mm의 두께 및 심지어 최대 0.4 mm 두께의 시트인, 상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지지하는 시트(바람직하게는 PVB의)의 형태를 취하는 또는 국부적 블라인드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최대 0.9 mm의 두께의 제1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 사이층을 자동으로 절단하는 단계(로봇을 사용하여)로서, 적층 사이층은 특히 최대 0.4 mm 및 심지어 최대 0.2 mm의 두께의 제2 시트를 더 포함하고, 이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음향 및/또는 웨지형 PVB, 또는 기능성 PET 필름과 같은 PVB/플라스틱 필름 또는 특히 전기 전도성 층/PVB를 지지하는 기능성 PET 필름과 같은 PVB/플라스틱 필름, 최대 0.2 mm 및 심지어 최대 0.1 mm 또는 최대 0.05 mm의 두께의 PET와 같은 플라스틱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미리조립된 멀티리프인, 절단 단계, 및
- 다이오드의 크기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최대 1 mm, 더 양호하게는 또한 0.5 mm 또는 심지어 최대 0.2 mm 또는 0.1 mm만큼 큰 블라인드 개구를 갖는 적층형 글레이징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바람직하게는 PVB로 제조된 선택적 제2 시트가 최대 0.2 mm 및 심지어 최대 0.1 mm 또는 최대 0.05 mm의 두께의 특히 가요성의 국부적 다이오드 캐리어의 이면과 전면 차유리의 면(F2) 사이 또는 최대 0.2 mm 및 심지어 최대 0.1 mm 또는 최대 0.05 mm의 두께의 특히 가요성 국부적 다이오드 캐리어의 이면과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의 면(F3) 사이에 있다.
다이오드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더 높은 정밀도) 정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Solutia 또는 Eastman으로부터 RC41과 같은 자동차 분야에서 통상적인 PVB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이오드를 갖는 PCB 기판은 글레이징(이면측)에 관하여 위치설정되고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로 구멍이 있는 적층 사이층의 배치를 구속할 수도 있고, 적층 사이층은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의 에지를 지나는 잉여부가 존재하도록 절단되고(과잉부는 글레이징이 정면측에 끼워진 후에 절단되고, 또는 실제로 다이오드를 갖는 PCB 기판은 그 두께에서 부분적으로 구멍이 있는(블라인드 개구(들)) 적층 사이층에 관하여 위치설정될 수도 있음), 적층 사이층의 배치에 의해 구속되고, 적층 사이층은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적층형 글레이징의 정확한 형상으로 절단된다.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개구 형성되지 않은, 음향, 착색된, 웨지형 등) PVB 리프와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면(F3)(바람직하게는 전면 차유리에 대해) 또는 F2(바람직하게는 후면 차유리 또는 측면 윈도우에 대해)와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제1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층/PVB를 포함하는 PET와 같은 플라스틱의 PVB/필름으로 이루어진 미리조립된 멀티리프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는 전기 전도층에 도달하지 않고 PVB 내에 생성되고(전기 전도성 와이어에 대향하는 측면에, 따라서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전면 차유리에 대해 면(FA)측이고 측면 윈도우 또는 후면 차유리에 대해 FB측임), 바람직하게는 PET와 같은 (선택적으로 투명) 플라스틱의 필름은 최대 0.2 mm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0.15 mm 및 심지어 최대 0.05 mm의 두께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전기 전도성 층/PVB를 포함하는 PET와 같은 플라스틱의 PVB/필름을 갖는 경우에,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갖는 PVB는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를 포함하고, 다른 PVB는 (음향 등) 기능성을 추가하는 역할을 한다. 하나의 경우에,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를 갖는 PVB는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지 않고, 다른 PVB는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한다. PET 플라스틱 필름은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상보형 보호부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는 와이어를 고정하지 않고 PET/PVB 멀티리프와 같은 플라스틱의 미리조립된 PVB/필름(층을 갖거나 갖지 않는) 내에 생성될 수도 있고 또는 PVB 중 하나는 개구를 형성하기 전에 와이어를 가질 수도 있다.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미리조립된 멀티리프의 자유면 상에 또는 심지어 플라스틱 필름을 향해 배향된 표면 상에 있을 수도 있다.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미리조립된 멀티리프의 자유면 상에 있을 수도 있고, 이어서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다른(개구 형성되지 않은, 음향, 착색된, 웨지형 등) PVB 리프와 접촉하게 되고 또는 면(F2 또는 F3)과 접착식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전면 차유리에 대해, 면(FA)은 면(F')이고 바람직하게는 면(F2)과 접착식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또는 면(Fw)은 면(FB)이고, 바람직하게는 면(F3)과 접착식 접촉하게 되고, 또는 도어 유리 또는 후면 차유리에 대해, 면(FA)은 면(Fw)이고 바람직하게는 면(F2)과 접착식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면(FB)은 면(F')이고, 바람직하게는 면(F3)과 접착식 접촉하게 된다.
PET와 같은 플라스틱의 이 필름은 적층형 글레이징의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도 있고, 다이오드 캐리어(특히, PCB 기판, PET와 같은 투명 플라스틱의 필름, 폴리이미드)는 국부적일 수도 있다.
본 설명에서, 용어 측면 윈도우 또는 도어 유리는 동일한 것을 지시한다.
본 발명이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식 시그널링 수단을 구비하는, 도로 상의 자동차의 전면 차유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bis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식 시그널링 수단을 구비하는, 도로 상의 자동차의 다른 전면 차유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식 시그널링 수단을 구비하는, 도로 상의 자동차의 다른 전면 차유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ter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발광식 시그널링 후면 차유리의 개략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발광식 시그널링 전면 차유리의 개략 횡단면도이고, 도 2a, 도 2b, 도 2', 도 2''a, 도 3a, 도 3b, 도 4a, 도 4b, 도 5a, 도 5b, 도 6a, 도 6b도 마찬가지 도면이다.
도 7은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실장된 표면 실장 다이오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전방에 자동차가 있는 3차선 도로 상에서 주행 중인 자동차의 전면 차유리(1000)를 도시하고 있다(차량의 내부로부터 볼 때).
전면 차유리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식 시그널링 수단, 즉:
- 적층형 글레이징의 2개의 글레이징 사이에 통합된 제1 PCB 인쇄 회로 기판 상의 6개의 다이오드(4)의 제1 세트로서, 상기 다이오드는 일렬이고 저부 종방향 에지를 따라 전면 차유리의 에지 구역 내의 글레이징 영역 내에 그리고 선택적으로 외부 글레이징(도시 생략)의 주연 차폐 구역(불투명 에나멜 등) 내에 또는 부근에 또는 심지어 차폐 구역(불투명층, 불투명 에나멜과 같은) 및 투명 구역(다이오드에 대면하는)의 교호부를 포함하는, 외부 및/또는 내부 글레이징의 구역 내에 배치되는, 제1 세트;
- 적층형 글레이징의 2개의 글레이징 사이에 통합된 제2 PCB 인쇄 회로 기판 상의 6개의 다이오드(4)의 제2 세트로서, 상기 다이오드는 일렬이고 특히 운전자측(좌측) 측방향 에지를 따라 전면 차유리의 에지 구역 내의 글레이징 영역 내에 그리고 선택적으로 외부 글레이징의 주연 차폐 구역(불투명 에나멜 등) 내에 또는 부근에 또는 심지어 차폐 구역(불투명층, 불투명 에나멜과 같은) 및 투명 구역(다이오드에 대면하는)의 교호부를 포함하는, 외부 및/또는 내부 글레이징의 구역 내에 배치되는, 제2 세트; 및
- 적층형 글레이징의 2개의 글레이징 사이에 통합된 제3 PCB 인쇄 회로 기판 상의 6개의 다이오드(4)의 제3 세트로서, 상기 다이오드는 일렬이고 특히 승객측(좌측) 측방향 에지를 따라 전면 차유리의 에지 구역 내의 글레이징 영역 내에 그리고 선택적으로 외부 글레이징의 주연 차폐 구역(불투명 에나멜 등) 내에 또는 부근에 또는 심지어 차폐 구역(불투명층, 불투명 에나멜과 같은) 및 투명 구역(다이오드에 대면하는)의 교호부를 포함하는, 외부 및/또는 내부 글레이징의 구역 내에 배치되는, 제3 세트를 갖는 적층형 글레이징이다.
제1 세트의 다이오드는 특히 전방의 자동차(또는 임의의 다른 교통 수단 또는 심지어 동물)가 너무 근접한 것으로 검출될 때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적색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적색광은 점등하거나(continuous) 또는 점멸할(flash) 수도 있다. 라이트가 점등하도록 선택되면, 그 강도는 전방의 자동차가 근접함에 따라 또는 "고-위험"인 것으로 일컬어지는 미리설정된 거리로부터 증가할 수도 있다. 라이트가 점멸하도록 선택되면, 그 빈도는 전방의 자동차가 근접함에 따라 또는 "고-위험"인 것으로 일컬어지는 미리설정된 거리로부터 증가할 수도 있다.
전방의 자동차가 충분히 멀리 이격될 때(안전 거리 이격), 다이오드는 턴오프된다.
제2 세트의 다이오드는 특히 자동차(또는 임의의 다른 교통 수단 또는 심지어 동물)가 자동차의 좌측에 너무 근접한 것으로 검출될 때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적색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적색광은 점등하거나 또는 점멸할 수도 있다. 라이트가 점등하도록 선택되면, 그 강도는 측면의 자동차가 근접함에 따라 또는 "고-위험"인 것으로 일컬어지는 미리설정된 거리로부터 증가할 수도 있다. 라이트가 점멸하도록 선택되면, 그 빈도는 측면의 자동차가 근접함에 따라 또는 "고-위험"인 것으로 일컬어지는 미리설정된 거리로부터 증가할 수도 있다. 측면의 자동차가 충분히 멀리 이격될 때(안전 거리 이격), 다이오드는 턴오프된다.
제3 세트의 다이오드는 특히 자동차(또는 임의의 다른 교통 수단 또는 심지어 동물)가 자동차의 우측에 너무 근접한 것으로 검출될 때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적색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적색광은 점등하거나 또는 점멸할 수도 있다. 라이트가 점등하도록 선택되면, 그 강도는 측면의 자동차가 근접함에 따라 또는 "고-위험"인 것으로 일컬어지는 미리설정된 거리로부터 증가할 수도 있다. 라이트가 점멸하도록 선택되면, 그 빈도는 측면의 자동차가 근접함에 따라 또는 "고-위험"인 것으로 일컬어지는 미리설정된 거리로부터 증가할 수도 있다. 측면의 자동차가 충분히 멀리 이격될 때(안전 거리 이격), 다이오드는 턴오프된다.
충돌 방지 시스템이 임의의 도로: 도시 내의 고속도로 상에서 기능한다. 이 충돌 방지 시스템은 또한 너무 근접한 물체 또는 보행자의 존재를 경고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시그널링 라이트는 또한 차량이 위험이 있는 거리에 있을 때 하나의 색(예를 들어, 주황색 또는 앰버)으로부터 예를 들어, 차량이 더 작은 그리고 심지어 더 위험한 거리에 있을 때 적색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이들 경우에, 필요한 수와 동수의 다이오드, 예를 들어 교대로 적색 및 주황색 다이오드를 갖는 하나의 열, 또는 색마다 다이오드의 하나의 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적어도 3개의 시그널링 레벨(3개의 색)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차량은 이들 위험한 상황(특히, 안전하지 않은 거리)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의 세트당 하나) 및 다이오드를 조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을 통합한다.
다이오드는 반드시 일렬인 것은 아니고, 특히 글레이징의 에지에 평행하다.
다이오드를 갖는 하나 이상의 PCB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하부 4분면(lower quadrant) 운전자측에 있다. 글레이징된 영역에 있으면, 투명한 PCB 기판이 바람직하다.
전면 차유리는 선택적으로 직선형인 라인의 형태의 적층 사이층(전체 그 영역에 걸쳐)의 면(F3)측 상에 배치된 예를 들어 50 ㎛ 두께의 거의 비가시적인 금속 와이어(5)의 세트를 포함한다.
도 1b는 자동차의 다른 차유리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차유리(1000')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식 시그널링 수단을 구비한다. 이는 생성된 시그널링의 유형에 있어서 그리고 제2 및 제3 PCB 기판의 위치에 있어서 도 1의 차유리와는 상이하다.
캐리어(30C) 상의 다이오드(4c)의 제1 세트는 가능하면, 중앙 느낌표를 갖는 삼각형을 형성한다. 이는 따라서 위험 경고등을 형성한다.
다이오드(4a, 4b)의 제2 및 제3 세트는 그 각각의 캐리어(30a, 30b) 상에, 각각의 지시기가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화살표를 형성한다.
전면 차유리는 선택적으로 직선형인 라인의 형태의 적층 사이층(전체 그 영역에 걸쳐)의 면(F3)측 상에 배치된 예를 들어 50 ㎛ 두께의 거의 비가시적인 금속 와이어(5)의 세트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식 시그널링 수단을 구비하는, 도로 상의 자동차의 다른 전면 차유리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불투명할 수도 있는(불투명 캐리어 및/또는 불투명 전도성 (와이어 등) 트랙) 3개의 PCB 기판의 더 주연 위치에 있어서 도 1의 차유리와는 상이하다. 면(F2)은 바람직하게는 흑색 에나멜로 제조된 개구 형성되지 않은 차폐 프레임을 포함하고, 면(F4)(또는 F3)은 다이오드와 정렬된 개구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흑색 에나멜로 제조된 차폐 프레임을 포함한다.
전면 차유리는 선택적으로 직선형인 라인의 형태를 취하는 적층 사이층의 (전체 영역에 걸쳐) 면(F3)측 상에 배치된 예를 들어 50 ㎛ 두께의 거의 비가시적인 금속 와이어(5)의 세트를 포함한다.
도 1ter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외부 발광식 시그널링 후면 차유리(300)의 개략 정면도(면-F1 또는 면-12측)이다.
중앙 구역(L3)에서, 제3 정지등(101)이 예를 들어, 상부 종방향 에지를 따라 PCB 기판 상에 6개의 적색 다이오드를 갖고 형성된다.
각각의 측방향 구역(L4)에서, 지시기(102)가 예를 들어 해당 측방향 에지를 따라 PCB 기판 상에 황색으로 발광하는 6개의 다이오드를 갖고 형성되고, 또는 심지어 시그널링 라이트(103)가 예를 들어 해당 하부 종방향 에지를 따라 PCB 기판 상에 6개의 다이오드를 갖고 형성된다.
전면 차유리는 선택적으로 직선형인 라인의 형태의 적층 사이층(전체 그 영역에 걸쳐)의 면(F2)측 상에 배치된 예를 들어 50 ㎛의 거의 비가시적인 금속 와이어(5)의 세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측면 리피터가 동일한 방식으로 측면 윈도우 상에 형성된다.
도 2는 만곡된 적층형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발광식 시그널링 전면 차유리의 개략 단면도이고, 상기 글레이징은:
- 면(F1) 및 면(F2)이라 각각 칭하는 제1 및 제2 주면(11, 12), 및 에지면(10)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착색된 외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예를 들어 TSA 글래스로 제조되는 2.1 mm 두께의 제1 글레이징(1);
- 폴리머 재료,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1 밀리미터 이하 크기의 두께의 PVB, 예를 들어 약 0.76 mm 두께의 PVB(Solutia 또는 Eastman으로부터의 RC41) 또는 변형예로서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약 0.81 mm 두께의 (3층 또는 4층) 음향 PVB로 제조된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적층 사이층(20)으로서, 면(FB) 면(F3)측은 특히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에 대면하는 표면을 커버하는(실질적으로) 금속 와이어(5)의 세트를 지지하는, 적층 사이층(20);
- 면(F3) 및 면(F4)이라 각각 칭하는 제3 및 제4 주면(13, 14)을 갖는, 예를 들어 TSA(또는 투명 또는 초투명) 글래스로 제조되는 2.1 mm 두께 또는 심지어 1.6 mm 두께 또는 그 미만의 두께의, 내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제2 글레이징(1')으로서, 면(F4)은 선택적으로 기능층(저-E층 등)으로 코팅되어 있고, 면(F2) 및 면(F3)은 적층형 글레이징의 내부면(11, 11')인, 제2 글레이징(1'); 및
- 예를 들어 PCB 인쇄 회로 기판(3) 상에 적색으로 발광하는 표면 실장 디바이스(SMD)인 무기 발광 다이오드(4)의 세트로서, PCB 기판과 다이오드의 조립체는 총 두께 et2≤e1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0.5 mm 및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0.2 mm의 e1-et2를 갖고, 다이오드는 두께(e2)를 갖고 PCB 기판(3)은 두께(e'2)를 갖고, 정면(30)이라 칭하는 면은 면(F3)에 대면하고, 이면(30')은 면(F2) 또는 면(11)에 대향하고, 각각의 다이오드는 내부 글레이징(1')의 방향으로 발광하는 발광면을 갖고, 각각의 다이오드는 에지면을 갖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4)의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다이오드에 있어서, 적층 사이층은 다이오드의 에지면을 둘러싸고 에지면과 접촉하는 블라인드 개구 및 심지어 가능하게는 다이오드(4)와 접촉하게 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저부벽을 포함하는 영역(21)을 갖는다.
적층 사이층(20)은 다이오드를 제외한 PCB의 정면의 전체에 걸쳐 PCB 기판(3)의 정면과 면(F3) 사이에서 적층형 글레이징 내에 존재한다. 적층 사이층(22)은 또한 면(F2)과 이면(30') 사이에 존재한다.
다이오드(여기서 단일 반도체칩을 가짐)는 정사각형 형상이고 약 5 mm 이하의 폭을 갖는다.
예를 들어, PET, PEN 또는 폴리이미드의 필름과 같은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가능한 가장 얇은 그리고 심지어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가장 이산의 가요성 PCB 기판(3)(최소폭 또는 심지어 투명)이 선택될 것이고, 심지어 인쇄 회로에 있어서, 투명 접속 트랙이 선택될 수도 있다(이들이 충분히 얇게 제조되지 않으면 구리로 제조된 트랙보다는). PCB 기판은 에지면(10)으로부터 돌출된다.
전면 차유리는 면(F2) 상의 흑색 에나멜로 제조된 프레임(15) 및 면(F4) 상의 흑색 에나멜로 제조된 프레임(15')을 포함한다.
도 2a는 2개의 PVB 리프:
- 나머지 두께(Hf)를 갖는 블라인드 홀(20i)을 갖는 리프로서, 이 리프는 예를 들어 음향성인, 리프; 및
- 이면(30')의 측 상의, 소위 이면 리프인 리프(22)의 사용을 도시하고 있는 상기 글레이징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그 분해도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고 또는 그 조립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도 2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 소위 이면 리프는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3)의 이면(30') 상에 기밀 접착제(6)로 대체되고;
- 예비품(15a)이 여기서 더 주연측에 있는 다이오드(4)로부터 광이 통과하게 하기 위해 면(F4) 상에서 에나멜층(15') 내에 생성되고;
- 선택적으로 트랙(33)을 갖는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는 불투명하다(층(15, 15')에 의해 차폐되기 때문에).
그 분해도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도 2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 예를 들어, PET로 제조되고 (투명) 전도층(33)을 갖는 투명한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3)는 더 이상 국부적이지 않고 예를 들어 태양열-제어 기능을 위해 주면을 커버하고;
- 2개의 다이오드(4)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개별 블라인드 개구가 여기에 도시되어 있고;
- 2개의 PVB 리프(21, 22)는 따라서 여기서 분리되어 있다.
그 분해도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도 2a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 블라인드 개구(20i)를 갖는 리프는 웨지형이고, 다이오드(4)는 특히 PVB의 저부 부분(21b)보다 두꺼운 PVB의 소위 상부 부분(21a)(및 따라서 전면 차유리의 상부 부분) 내에 있다.
그 분해도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도 3a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 이면 리프는 제거되어, 예를 들어 구리로 제조된 트랙(33)을 갖는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3)의 이면(30') 상에 기밀 접착제(6)로 대체되고;
- 예비품(15a)이 여기서 더 주연측 다이오드(4)로부터 광이 통과하게 하기 위해 면(F4) 상에서 에나멜층(15') 내에 생성된다.
그 분해도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도 2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블라인드 개구를 갖는 예를 들어 리프는 (미리조립된) 다층: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갖는 전기 전도(태양열 제어 등, 특히 실버를 함유하는 스택) 층/PVB와 같은 기능층을 포함하는 PVB/PET 플라스틱 필름이다. 블라인드 개구(20i)는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T(3') 및 전기 전도층(33')(면(F3)측 또는 심지어 면(F2)측)을 천공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변형예에서, 전기 전도층(33') 및 심지어 PET(3')를 그대로 남겨둘 수도 있다.
도 4a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제1 PVB와 PET(3') 사이에 있다. 블라인드 개구는 따라서 와이어, PET 및 층(33') 앞에서 정지한다.
그 분해도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도 4a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 이면 리프는 제거되어 이면(30') 상에 기밀 접착제(6)로 대체되고;
- 예비품(15a)이 여기서 더 주연측 다이오드(4)로부터 광이 통과하게 하기 위해 면(F4) 상에서 에나멜층(15') 내에 생성된다.
블라인드 개구(20i)는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T 및 전기 전도층을 천공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변형예에서, 전기 전도층 및 심지어 PET를 그대로 남겨둘 수도 있다.
도 2, 도 2b, 도 2', 도 2"a, 도 3a, 도 3b, 도 4a 또는 도 4b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PVB 리프가 면(Fw)과 면(F3) 사이에 추가된다.
그 분해도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도 2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 이면 리프 및 다이오드 캐리어는 제거되고;
- 다이오드(4)는 예를 들어 땜납 또는 전도성 아교로 면(F2)을 커버하는 전기 전도(및 선택적으로 또한 태양열-제어) 층(18)의 표면 상에 실장된다.
그 분해도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도 5a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예를 들어 실버-함유 에나멜과 같이 불투명한 전기 전도(및 선택적으로 또한 태양열-제어) 층(18)이 차폐 에나멜(15) 상에 있다.
그 분해도가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도 2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 다이오드(4)는 면(F3)을 커버하는 전기 전도(및 선택적으로 또한 태양열-제어) 층(18)의 표면 상에 실장되고, 다이오드(4)는 역실장 다이오드이고;
- 전기 전도성 와이어(5)는 PVB 사이층의 면(FA F2)측에 있고 따라서 블라인드 개구는 F3측이다.
그 분해도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도 6a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 다이오드는 또한 역실장 다이오드(4)이지만 면(F3) 상의 PCB 캐리어(2) 상에 있고;
- 예비품(15a)이 여기서 더 주연측 다이오드(4)로부터 광이 통과하게 하기 위해 면(F4) 상에서 에나멜층(15') 내에 생성된다.
다이오드는 칩-온-보드형(chip-on-board type) 또는 심지어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어서 주변 패키지를 갖는 표면 실장 디바이스(SMD)일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다이오드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칩(41)을 포함하는 전자 구성요소이고, 전자 구성요소의 에지면(42a)을 캡슐화하는(그리고 다이오드의 에지면을 형성하는) 폴리머 또는 세라믹 주변 패키지(42)를 구비하고, 상기 패키지는 반도체칩을 둘러싼다.
패키지는 다이오드의 최대 두께(높이)(e2)에 대응할 수도 있다. 패키지는 예를 들어, 에폭시로 제조된다. 폴리머 패키지는 선택적으로 적층 중에 압축될 수도 있다(적층 후에 최종 두께가 초기 두께보다 작을 수도 있음). (폴리머) 패키지는 불투명할 수도 있다.
패키지(모노리식이거나 또는 2개의 부분으로 제조됨)는 칩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형성하는 부분 및 칩 위의 지지체로부터 거리를 갖고 확개하고(flare) 보호 수지(43) 및/또는 색 변환 기능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반사체를 형성하는 부분(4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면(40)은 칩을 커버하는 이 재료의 표면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고, 이 표면은 반사체의 "정면"과 동일 레벨이거나 후퇴되어 있다.
다이오드는 심지어 단지 반도체칩 상에, 보호 수지 또는 색 변환 기능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도체칩은 재료(수지 등) 내에 매립될 수도 있다.
애노드 및 캐소드 접점(44)이 절연된(33') 층(33) 상에 있다. 접점은 그 중 하나가 와이어에 의해 캐소드에 접속되어 있는 층 구역(44)까지 지지체 내로 "비아 홀(via hole)"에 의해 연장된다.

Claims (20)

  1. 차량 전면 차유리(1000, 1000')를 형성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이며,
    - 적층형 글레이징으로서,
    - 면(F1) 및 면(F2)이라 각각 칭하는 제1 및 제2 주면(11, 12)을 갖는, 외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미네랄 유리로 제조되는 제1 글레이징(1);
    - 면(F3) 및 면(F4)이라 각각 칭하는 제3 및 제4 주면(13, 14)을 갖는, 내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미네랄 유리로 제조되는 제2 글레이징(1');
    - 상기 적층형 글레이징의 내부면인 면(F2)과 면(F3) 사이에서:
    -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 제조된 적층 사이층(2)으로서, 상기 사이층은 주면(FA) 면(F2)측 및 주면(FB) 면(F3)측 및 특히 두께(e1)를 갖는, 적층 사이층(2)
    을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
    - 적어도 하나의 무기 발광 다이오드 및 바람직하게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4)의 세트로서, 각각의 다이오드는 1 밀리미터 이하 크기의 두께(e2)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2 mm의 두께를 갖고, 각각의 다이오드는 면(F3)의 방향에서 시그널링 라이트를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의 다이오드는 에지면을 갖고, 상기 적층 사이층은 개구(20)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 및 무기 발광 다이오드(4)의 세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징은 면(FA) 또는 면(FB)인 상기 적층 사이층의 Fw라 칭하는 면 상에 고정된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세트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적층 사이층은, 상기 면(Fw)에 대향하는, 면(F')이라 칭하는 면 상에, 상기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블라인드형인 개구(20)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다이오드의 그룹에 있어서, 상기 적층 사이층은, 상기 면(Fw)에 대향하는, 면(F')이라 칭하는 면 상에, 상기 다이오드의 그룹을 수용하는, 블라인드형이고 공통인 개구(20)를 포함하고,
    상기 Fw와 상기 블라인드 개구의 저부 사이에서, 상기 적층 사이층의 나머지 두께(Hf)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mm이고,
    상기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라인드 개구의 저부와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최대 0.2 mm 또는 최대 0.1 mm만큼 상기 저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2. 후면 차유리(2000) 및 도어 유리로부터 선택된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이며:
    - 적층형 글레이징으로서,
    - 면(F1) 및 면(F2)이라 각각 칭하는 제1 및 제2 주면(11)을 갖는, 외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제1 글레이징;
    - 열가소성 폴리머로 제조된 적층 사이층;
    - 면(F3) 및 면(F4)이라 각각 칭하는 제3 및 제4 주면을 갖는, 내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제2 글레이징(1');
    - 상기 적층형 글레이징의 내부면인 면(F2)과 면(F3) 사이의,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 제조된 적층 사이층(2)으로서, 상기 사이층은 주면(FA) 면(F2)측 및 주면(FB) 면(F3)측 및 특히 두께(e1)를 갖는, 적층 사이층(2)
    을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
    - 적어도 하나의 무기 발광 다이오드 및 바람직하게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4)의 세트로서, 각각의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는 0.2 mm의 1 밀리미터 이하 크기의 두께(e2)를 갖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 및 무기 발광 다이오드(4)의 세트를 포함하고,
    - 각각의 다이오드는 상기 면(F2)의 방향으로 시그널링 라이트를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적층 사이층은 개구(20)를 포함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징은 면(FA) 또는 면(FB)인 상기 적층 사이층의 Fw라 칭하는 면 상에 고정된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세트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적층 사이층은, 상기 면(Fw)에 대향하는, 면(F')이라 칭하는 면 상에, 상기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블라인드 개구(20)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다이오드의 그룹에 있어서, 상기 적층 사이층은, 상기 면(Fw)에 대향하는, 면(F')이라 칭하는 면 상에, 상기 다이오드의 그룹을 수용하는 블라인드 및 공통 개구(20)를 포함하고,
    상기 Fw와 상기 블라인드 개구의 저부 사이에서, 상기 적층 사이층의 나머지 두께(Hf)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mm이고,
    상기 다이오드의 정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라인드 개구의 저부와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최대 0.2 mm 또는 최대 0.1 mm만큼 상기 저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사이층(2)의 블라인드 개구의 벽은 상기 다이오드(4)의 에지면으로부터 최대 0.5 mm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0.1 mm만큼 이격되어 있고 심지어 상기 다이오드의 에지면과 접촉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적층 사이층(2)의 공통 블라인드 개구의 벽은 상기 다이오드(4)의 그룹으로부터 최대 0.5 mm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0.1 mm만큼 이격되어 있고 심지어 상기 다이오드의 에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사이층은 선택적으로 특히 전면 차유리를 위한 음향 및/또는 웨지형 폴리비닐 부티랄(PVB), 또는 심지어 복합 PVB/플라스틱 기능성 필름 또는 PVB/플라스틱 기능성 필름/PVB 요소, 특히 전기 전도성 기능층을 지지하는 플라스틱 기능성 필름, 바람직하게는 PET로 제조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특히 상기 블라인드 개구와 상기 면(Fw) 사이에 있고 또는 상기 면(Fw)은 상기 블라인드 홀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적층 사이층은 상기 면(Fw)에 대향하는, 면(F')이라 칭하는 면 상에, 상기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블라인드형인 개구(20)를 포함하고, 상기 블라인드 개구는 최대 20 mm 및 심지어 최대 15 mm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사이층(2)은 0.5 내지 0.9 mm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PVB로 제조되고,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4)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0.15 mm의 두께(e'2)의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바람직하게는 PCB 기판과 같은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의 정면 상에 실장된 표면 실장 디바이스이고, 상기 PCB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형 글레이징의 에지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글레이징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4)는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의 정면 상에 실장된 표면 실장 디바이스이고, 상기 다이오드 캐리어의 이면은 전면 차유리를 위한 면(F2)에 대해 또는 후면 차유리 또는 측면 윈도우를 위한 면(F3)에 대해 접착식으로 접합되거나 유지되고, 상기 접착식 접합은 두께 e3≤0.1 mm, 더 양호하게는 또한 e3≤0.05 mm의 접착제(6)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다이오드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형 글레이징의 에지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글레이징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4)는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의 정면 상에 실장된 표면 실장 디바이스이고, 적층 사이층은 또한 상기 다이오드 캐리어의 이면과 상기 전면 차유리의 면(F2) 사이에 있고 또는 적층 사이층은 또한 상기 다이오드 캐리어의 이면과 상기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의 면(F3)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4)는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의 정면 상에 장착된 표면 실장 디바이스이고, 상기 다이오드 캐리어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이미드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투명 전도성 트랙을 구비한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오드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형 글레이징의 에지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글레이징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4)는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의 면 상에 실장된 표면 실장 디바이스이고, 상기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는 상기 전면 차유리의 영역, 상기 외부 글레이징이 바람직하게는 면(F2) 상에서, 특히 에나멜로 제조된 불투명층에 의해 불투명하게 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내부 글레이징이 바람직하게는 면(F4) 상에서, 특히 에나멜로 제조된 불투명층에 의해 불투명하게 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이어서 상기 다이오드들과 정렬하는 적어도 개구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는 상기 후면 차유리 또는 도어 유리의 영역, 상기 내부 글레이징이 바람직하게는 면(F4) 상에서, 특히 에나멜로 제조된 불투명층에 의해 불투명하게 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외부 글레이징이 바람직하게는 면(F2) 상에서, 특히 에나멜로 제조된 불투명층에 의해 불투명하게 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이어서 적어도 상기 다이오드들과 정렬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4)는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의 정면이라 칭하는 면 상에 실장된 표면 실장 디바이스이고, 상기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는 적어도 상기 제1 글레이징(1)의 에지면(10)까지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의 이면(30')과 상기 전면 차유리의 면(F2) 또는 상기 후면 차유리의 또는 도어 유리의 면(F3) 사이에는, 액체수에 기밀성이고 최대 0.1 mm 및 더 양호하게는 또한 최대 0.05 mm의 두께를 갖는 접착제(6), 특히 양면 접착제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또는 상기 다이오드들 중 하나는 상기 면(F2, F3) 사이의 또는 상기 면(F4) 상의 바람직한 용량성 터치 온/오프 스위치의 발광식 지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전면 차유리를 형성하는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시그널링 라이트는 충돌 방지 수단이고, 또는 후면 차유리를 형성하는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은 정지등, 제3 정지등을 포함하는 글레이징이고, 또는 측면 윈도우를 형성하는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은 위험 경고등 또는 차량 또는 측면 리피터를 로케이팅하기 위한 라이트를 포함하는 글레이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하나 이상의 국부적 블라인드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최대 0.9 mm의 두께의 제1 열가소성 시트의 형태의 상기 와이어를 지탱하는 적층 사이층을 자동으로 절단하는 단계;
    - 특히 다이오드의 크기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최대 0.5 mm만큼 또는 심지어 최대 0.1 mm만큼 큰 블라인드 개구를 갖는 적층형 글레이징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4)는 정면이 제1 열가소성 시트에 대항하는 상태로,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의 정면 상에 실장된 표면 실장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PVB로 제조되고,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다른 바람직하게는 PVB 리프와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면 차유리를 위한 면(F3) 또는 바람직하게는 후면 차유리 또는 측면 윈도우를 위한 F2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선택적으로 음향 및/또는 웨지형 PVB로 제조되고 또는 기능성 PET 필름과 같은 PVB/플라스틱 필름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층/PVB를 포함하는 소위 기능성 PET 필름과 같은 PVB/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미리조립된 멀티리프이고, 상기 와이어는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조립된 멀티리프의 자유면 상에 있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특히 상기 블라인드 개구와 면(Fw) 사이에 있고 또는 상기 면(Fw)은 블라인드 홀과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전기 전도층/PVB를 포함하는 PVB/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미리조립된 멀티리프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개구는 상기 전기 전도층에 도달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에 도달하지 않고 상기 PVB 내에 생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조립된 멀티리프의 자유면 상에 있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특히 상기 블라인드 개구와 면(Fw) 사이에 있고 또는 상기 면(Fw)은 블라인드 홀과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차유리에 대해, 면(FA)은 면(F')이고 바람직하게는 면(F2)과 접착식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면(Fw)은 면(FB)이고, 바람직하게는 면(F3)과 접착식 접촉하게 되고, 또는 상기 도어 유리 또는 후면 차유리에 대해, 상기 면(FA)은 면(Fw)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F2)과 접착식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면(FB)은 면(F')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F3)과 접착식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4)는 특히 최대 0.2 mm의 두께(e'2)의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실장된 표면 실장 디바이스이고, 상기 다이오드는 면(F')에 대항하는 상기 가요성 다이오드 캐리어의 정면 상에 실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이오드 캐리어는 상기 적층형 글레이징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37007A 2016-05-26 2017-05-17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이를 구비한 차량 및 제조 KR102396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4732A FR3051727B1 (fr) 2016-05-26 2016-05-26 Vitrage de signalisation lumineus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FR1654732 2016-05-26
PCT/FR2017/051193 WO2017203132A1 (fr) 2016-05-26 2017-05-17 Vitrage de signalisation lumineus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860A true KR20190013860A (ko) 2019-02-11
KR102396050B1 KR102396050B1 (ko) 2022-05-10

Family

ID=5759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007A KR102396050B1 (ko) 2016-05-26 2017-05-17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이를 구비한 차량 및 제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703074B2 (ko)
EP (1) EP3463867B1 (ko)
JP (1) JP7051716B2 (ko)
KR (1) KR102396050B1 (ko)
CN (1) CN107660181B (ko)
BR (1) BR112018074260A2 (ko)
CA (1) CA3024669A1 (ko)
ES (1) ES2887999T3 (ko)
FR (1) FR3051727B1 (ko)
HU (1) HUE055710T2 (ko)
MA (1) MA45151A (ko)
MX (1) MX2018014489A (ko)
PL (1) PL3463867T3 (ko)
RU (1) RU2729993C2 (ko)
WO (1) WO2017203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4241A1 (en) * 2016-06-29 2018-01-03 Saint-Gobain Glass France Lighting laminated glazing with a capacitive touch sensitive device and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manufacturing
FR3058107B1 (fr) * 2016-10-28 2018-12-07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lumineux de vehicule, vehicule l'incorporant
DE102017127746B4 (de) * 2017-11-23 2023-09-07 Roof Systems Germany Gmbh Fahrzeugdachelement
CO2018000469A1 (es) * 2017-11-30 2018-04-30 Agp America Sa Laminado automotriz con capa de compensación de sustrato de borde sólido invisible
FR3077219B1 (fr) * 2018-01-31 2020-06-26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a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et fabrication
FR3077229A1 (fr) * 2018-01-31 2019-08-02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a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et fabrication
GB201814347D0 (en) * 2018-09-04 2018-10-17 Pilkington Group Ltd Electrical device, interlayer ply including an electrical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said electrical device and interlayer ply
BR112020025864A2 (pt) 2018-09-25 2021-03-23 Saint-Gobain Glass France componente com elementos funcionais elétricos para a produção de uma folha laminada
JP2020069919A (ja) * 2018-10-31 2020-05-0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FR3097163B1 (fr) * 2019-06-13 2021-06-18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é intégrant les antennes du système automatique d’aide à l’atterrissage
US20220288894A1 (en) * 2019-08-08 2022-09-15 Saint-Gobain Glass France Composite pane comprising electrical component with protective coating
GB201913460D0 (en) * 2019-09-18 2019-10-30 Pilkington Group Ltd Laminated glazing
EP4041545A1 (de) * 2019-10-10 2022-08-17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undscheibe mit funktionselement
GB2589852B (en) * 2019-12-06 2024-06-05 Pilkington Group Ltd Tile
DE202021004037U1 (de) 2020-04-29 2022-06-21 Saint-Gobain Glass France Fahrzeugscheibe mit einer elektrolumineszenten Vorrichtung und einem optischen Bandsperrfilter
FR3116021B1 (fr) 2020-11-12 2023-12-29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é pour véhicule, notamment automobile
CN216942139U (zh) * 2021-09-15 2022-07-12 法国圣戈班玻璃公司 夹层玻璃以及窗体总成
WO2024046729A1 (de) 2022-08-31 2024-03-07 Saint-Gobain Glass France Verbundscheibe mit integriertem funktionse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3737A (ja) * 2002-07-19 2005-11-10 ピルキントン パブリック リミテッド カンパニー 積層グレージングパネル
KR20080074899A (ko) * 2005-10-21 2008-08-13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 그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JP2010521353A (ja) * 2007-03-16 2010-06-24 ピルキントン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相互作用乗り物グレージング
JP2015527948A (ja) * 2012-06-19 2015-09-24 エージーシー グラス ユーロップ 照明手段を含むサンルー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560A (ja) 2001-07-19 2003-02-07 Nippon Sheet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送受信装置
BE1015302A3 (fr) * 2003-01-10 2005-01-11 Glaverbel Vitrage comportant des composants electroniques.
GB0600215D0 (en) * 2006-01-06 2006-02-15 Pilkington Automotive D Gmbh Vehicle glazing
GB0607743D0 (en) * 2006-04-20 2006-05-31 Pilkington Plc Laminated glazing
CN201053623Y (zh) * 2007-06-08 2008-04-30 上海耀华皮尔金顿玻璃股份有限公司 Led发光夹层玻璃
FR2982196B1 (fr) * 2011-11-07 2015-07-17 Saint Gobain Vitrage de signalisation lumineuse pour vehicule
FR2985042B1 (fr) * 2011-12-22 2014-01-17 Saint Gobain Dispositif de visualisation d'une image sur un support feuillete
BE1020716A3 (fr) * 2012-06-19 2014-04-01 Agc Glass Europe Toit vitre comportant des moyens d'eclairage et de controle de la transmission lumineuse.
FR2994125B1 (fr) * 2012-08-01 2014-08-2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itrage apte a produire un faisceau de lumiere selon une direction donnee au moyen de leds integrees.
EP2955164B1 (en) 2013-02-05 2021-02-17 Nippon Sheet Glass Co., Ltd. Laminated glass
DE102013003686A1 (de) * 2013-03-04 2014-09-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Verbundglaseinheit und Kraftfahrzeug mit einer Verbundglaseinheit
BE1021369B1 (fr) * 2013-12-13 2015-11-09 Agc Glass Europe Toit de vehicule vitre
CN106233065A (zh) 2014-04-24 2016-12-14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被照亮的开关表面和加热功能的玻璃窗
FR3028800B1 (fr) * 2014-11-21 2016-12-23 Saint Gobain Vitrage de signalisation lumineus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CN104791730A (zh) * 2015-05-06 2015-07-22 安徽亚盛技术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夹胶发光玻璃
EP3117991A1 (fr) * 2015-07-08 2017-01-18 AGC Glass Europe Vitrage automobile
RU2701519C1 (ru) * 2015-11-06 2019-09-27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Система стекл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обогреваемое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имеющее емкостную область коммутации
CN105599398B (zh) * 2015-12-28 2018-01-23 太仓耀华玻璃有限公司 一种led发光夹层玻璃及其制备方法
EP3439873B1 (en) * 2016-04-08 2023-11-01 Pilkington Group Limite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insulated glass unit including the same
CA3023061A1 (en) * 2016-05-02 2017-11-09 Corning Incorporated Laminated glass structures with bow resistance
WO2018041539A1 (de) * 2016-08-30 2018-03-08 Saint-Gobain Glass France Scheibenverb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3737A (ja) * 2002-07-19 2005-11-10 ピルキントン パブリック リミテッド カンパニー 積層グレージングパネル
KR20080074899A (ko) * 2005-10-21 2008-08-13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 그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JP2010521353A (ja) * 2007-03-16 2010-06-24 ピルキントン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相互作用乗り物グレージング
JP2015527948A (ja) * 2012-06-19 2015-09-24 エージーシー グラス ユーロップ 照明手段を含むサンルー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87999T3 (es) 2021-12-29
US20190134954A1 (en) 2019-05-09
RU2018146012A (ru) 2020-06-26
WO2017203132A1 (fr) 2017-11-30
CN107660181B (zh) 2021-01-22
US10703074B2 (en) 2020-07-07
HUE055710T2 (hu) 2021-12-28
JP7051716B2 (ja) 2022-04-11
MA45151A (fr) 2019-04-10
EP3463867B1 (fr) 2021-07-07
RU2018146012A3 (ko) 2020-06-26
EP3463867A1 (fr) 2019-04-10
CN107660181A (zh) 2018-02-02
FR3051727B1 (fr) 2018-05-18
MX2018014489A (es) 2019-02-21
RU2729993C2 (ru) 2020-08-13
BR112018074260A2 (pt) 2019-03-06
JP2019521063A (ja) 2019-07-25
KR102396050B1 (ko) 2022-05-10
PL3463867T3 (pl) 2021-12-06
FR3051727A1 (fr) 2017-12-01
CA3024669A1 (fr)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6050B1 (ko) 발광식 시그널링 글레이징, 이를 구비한 차량 및 제조
KR102591382B1 (ko) 광-시그널링 유리 패널,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및 제조
KR102396032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차량 차유리, 이를 구비한 차량 및 그 제조
CN108602323B (zh) 车辆的发光装配玻璃、并入了所述装配玻璃的车辆
JP7335700B2 (ja) 乗り物のための発光する積層グレージングルーフとそれを組み込んだ乗り物及び前記グレージングルーフの製造
CN1668461B (zh) 层压玻璃窗板
RU2764164C1 (ru) Ламинированное остекление с электрически управляемым устройством и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е
JP2019519421A (ja) 乗り物のための発光する積層グレージングルーフとそれを組み込んだ乗り物及び前記グレージングルーフの製造
US20200384740A1 (en) External luminous signaling vehicle glazing, vehicle incorporating same and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