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807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807A
KR20190012807A KR1020170096354A KR20170096354A KR20190012807A KR 20190012807 A KR20190012807 A KR 20190012807A KR 1020170096354 A KR1020170096354 A KR 1020170096354A KR 20170096354 A KR20170096354 A KR 20170096354A KR 20190012807 A KR20190012807 A KR 20190012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light
region
light emitting
de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546B1 (ko
Inventor
신기해
김형도
최낙정
김종운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546B1/ko
Priority to US16/020,604 priority patent/US10351049B2/en
Priority to CN201810735039.6A priority patent/CN109309996B/zh
Priority to DE102018211977.5A priority patent/DE102018211977B4/de
Publication of KR2019001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2Emergency driving lights in the event of failure of the principal lighting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changing their light transmissivity, e.g. by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 F21S41/64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changing their light transmissivity, e.g. by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by electro-optic means, e.g.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ing device, e.g. to detect failure of a light source or to provide feedback to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Othe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6Abnormalities, e.g. fail-saf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함으로 인한 암영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개별적으로 발생되는 광의 밝기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으로부터 제1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여 소정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을 포함하는 결함 영역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부터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밝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함으로 인한 암영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조명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 중에서 헤드 램프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 등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에, 차량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드 램프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이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되는데, 로우 빔 패턴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소정 형상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게 된다.
이때, 헤드 램프는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이 형성되도록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를 비롯하여 빔 패턴의 전환을 위하여 쉴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헤드 램프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의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빔 패턴에 불필요한 암영대가 발생되어 운전자의 시야가 저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함이 발생한 구성 요소의 교체 등으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결함으로 인하여 암영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교체 등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20063호 (2013.01.08.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결함으로 인하여 빔 패턴에 암영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개별적으로 발생되는 광의 밝기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으로부터 제1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여 소정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을 포함하는 결함 영역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부터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밝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복수의 발광 영역 중 결함 영역 주변에 위치하는 발광 영역의 밝기를 높임으로써 결함 영역으로 인하여 암영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등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광원부의 발광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 상태의 마이크로 미러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 상태의 마이크로 미러가 도시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미러에 인가되는 동작 주파수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에 인가되는 동작 신호가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영역을 보완하는 보완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 결함 검출부(200) 및 밝기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차량 전방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뿐만 아니라, 주간 주행 램프, 포그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어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이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둘 이상의 용도로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용도에 따라 광량이나 색상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발광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0)는 복수의 발광 영역(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 영역(A) 각각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구성하는 픽셀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빔 패턴을 구성하는 픽셀은 빔 패턴에서 개별적으로 광의 밝기 제어가 가능한 단위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발광 영역(A) 각각이 개별적으로 광의 밝기 제어가 가능한 픽셀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에 따라 복수의 발광 영역(A)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부터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발광 영역(A) 각각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픽셀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발광 영역(A)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며,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복수의 발광 영역(A) 중 제1 그룹(G1)에 포함되는 발광 영역에서는 광이 발생되는 반면, 제2 그룹(G2)에 포함되는 발광 영역에서는 광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그룹(G1)이 상측에 위치하는 것은 렌즈로서 프로젝션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 렌즈를 통과하여 광이 조사되는 영역은 역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에 따라 제1 그룹(G1) 및 제2 그룹(G2)에 포함되는 발광 영역은 달라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1 그룹(G1) 및 제2 그룹(G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0)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 영역(A) 각각은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원부(100)에 포함되는 마이크로 미러의 개수는 복수의 발광 영역(A)의 개수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 각각은 구동부(112)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각도에 따라 온(ON) 상태 및 오프(OFF)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가질 수 있있다.
이때, 온 상태는 반사된 광이 렌즈로 입사되도록 하는 상태이고, 오프 상태는 반사된 광이 렌즈로 입사되지 않도록 하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온 상태는 반사된 광이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상태이고, 오프 상태는 반사된 광이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지 않도록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 각각은 도 5와 같이 구동부(112)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θ°의 각도로 회동되어 위치하는 경우 입사광이 렌즈로 입사되는 유효 광이 되도록 반사시키는 온 상태가 되며, 이와 반대로 도 6과 같이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 각각이 x축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θ°의 각도로 회동되어 위치하는 경우 입사광이 렌즈로 입사되지 않는 무효광이 되도록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광원부(100)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가 온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경우 일정한 밝기의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가 단위 시간 동안 소정 주기로 온/오프되도록 인가되는 동작 주파수에 따라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광원부(100)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로 인가되는 동작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가 오프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평균 밝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인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 중 동작 주파수가 인가되는 마이크로 미러는 전술한 제1 그룹(G1)에 포함되는 마이크로 미러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2 그룹(G2)에 포함되는 마이크로 미러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로 인가되는 동작 주파수가 A1인 경우 단위 시간(T) 동안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가 온 상태가 되는 횟수에 비하여 A1보다 높은 A2의 동작 주파수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가 온 상태가 되는 횟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평균 밝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인지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단위 시간(T)동안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가 온/오프되는 주기가 짧아질수록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가 오프 상태가 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가 오프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밝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인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따라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로 인가되는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여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0)는 복수의 광원(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121)은 일반적인 LED보다 길이가 10분의 1, 면적은 100분의 1 정도로 대략 10 내지 100 마이크로 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마이크로 LED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발광 영역(A) 각각은 복수의 광원(121)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 영역(A)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는 복수의 광원(121) 각각에 인가되는 동작 신호의 듀티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21) 각각에 인가되는 동작 신호는 도 10과 같이 소정 주기(P) 동안 온 구간 및 오프 구간의 비를 나타내는 듀티비에 따라 밝기가 조절될 수 있으며, 온 구간이 클수록 밝기가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0)는 광원(131) 및 액정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패널(132)은 복수의 광 투과 영역(13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 영역(A) 각각은 복수의 광 투과 영역(132a)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광 투과 영역(132a) 각각은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액정의 배열 방향에 따라 광 투과율이 조절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광 투과 영역(132a)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는 복수의 광 투과 영역(132a) 각각의 광 투과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광원부(100)는 전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발광 영역(A)을 형성하고, 각 발광 영역(A)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 제어가 가능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결함 검출부(200)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복수의 발광 영역(A) 중 결함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A1)을 포함하는 결함 영역(D)을 검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불량 영역(A1)은 광원부(100)로서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가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 중 일부의 불량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광원부(100)로서 복수의 광원(121)이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광원(121) 중 일부의 불량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부(100)로서 액정 패널(132)이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광 투과 영역(132a) 중 일부의 불량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2는 결함 영역(D)이 단일의 불량 영역(A1)을 포함하는 경우의 일 예이고, 도 13은 결함 영역(D)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속된 복수의 불량 영역(A1)을 포함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결함 검출부(200)는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이나 광원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에 형성되는 암영대를 기초로 결함 영역(D)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함 검출부(200)가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이나 광원부(100)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결함 영역(D)을 검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부(100)의 제조 업체로부터 사전에 결함 영역(D)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밝기 제어부(300)는 복수의 발광 영역(A)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밝기 제어부(300)는 광원부(100)를 통해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의 발광 영역(A) 각각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광의 밝기 중 최대 밝기보다 낮은 제1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한다.
제1 밝기는 복수의 발광 영역(A)이 모두 정상인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이 형성될 때 발생되는 광의 밝기로 이해될 수 있다.
밝기 제어부(300)는 결함 검출부(20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A1)을 포함하는 결함 영역(D)이 검출된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에 결함 영역(D)으로 인한 암영대가 형성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함 영역(D)으로 인한 암영대가 보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밝기 제어부(300)가 결함 영역(D)의 적어도 일측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을 보완 영역으로 선별하고, 선별된 보완 영역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높임으로써, 빔 패턴에 결함 영역(D)으로 인한 암영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밝기 제어부(300)는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결함 영역(D)의 적어도 일측과 접하도록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을 보완 영역(A2)로 선별할 수 있으며,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보완 영역(A2)으로부터 제1 밝기보다 높은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여 결함 영역(D)으로 인한 암영대가 보완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결함 영역(D)이 단일의 불량 영역(A1)을 포함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밝기 제어부(300)는 도 14와 같이 결함 영역(D)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위치하는 발광 영역을 보완 영역(A2)으로 선별하여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15와 같이 결함 영역(D)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발광 영역을 보완 영역(A2)으로 선별하여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16과 같이 결함 영역(D)에 접하는 모든 발광 영역을 보완 영역(A2)으로 선별하여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밝기 제어부(300)가 결함 영역(D)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암영대가 보완될 수 있도록 보완 영역을 선별하는 선별 조건은 전술한 도 14 내지 도 16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밝기 제어부(300)에 의해 선별되는 보완 영역의 개수나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보완 영역(A2)에서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밝기 제어부(300)는 광원부(100)가 전술한 도 4와 같이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 중 보완 영역(A2)에 대응되는 마이크로 미러로는 전술한 도 8과 같이 제1 밝기보다 높은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제2 동작 주파수를 인가할 수 있다.
즉, 밝기 제어부(300)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11) 중 정상 상태인 마이크로 미러에는 전술한 도 7과 같이 제1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 동작 주파수를 인가하게 되나, 보완 영역(A2)에 대응되는 마이크로 미러에는 결함 영역(D)에 의한 암영대가 보완될 수 있도록 제2 동작 주파수를 인가하여 제1 밝기보다 높은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밝기 제어부(300)는 광원부(100)가 전술한 도 9와 같이 복수의 광원(121)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광원(121) 중 보완 영역(A2)에 대응되는 광원으로 인가되는 동작 신호의 듀티비를 증가시켜 제1 밝기보다 높은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밝기 제어부(300)는 광원부(100)가 전술한 도 11과 같이 광원(131) 및 액정 패널(132)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광 투과 영역(132a) 중 보완 영역(A2)에 대응되는 광 투과 영역의 광 투과율을 증가시켜 제1 밝기보다 높은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완 영역(A2)으로부터 제1 밝기보다 높은 동일한 밝기, 즉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밝기는 제1 밝기보다 높은 복수의 밝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완 영역(A2)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는 제1 밝기보다 높은 복수의 밝기 중 어느 하나의 밝기일 수 있다
이때, 보완 영역(A2)의 개수는 불량 영역(A1)의 개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보완 영역(A2)의 개수가 불량 영역(A1)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 암영대가 충분히 보완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밝기 제어부(300)는 도 17과 같이 연속된 복수의 불량 영역을 포함하는 결함 영역(D)이 검출되는 경우 전술한 도 14 내지 도 16과 유사하게 결함 영역(D)의 일측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을 보완 영역(A2)로 선별하여 제1 밝기보다 높은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도 14 내지 도 17에서 선별된 보완 영역(A2)의 개수가 사전 설정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보완 영역(A2)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을 추가 보완 영역(A3)으로 선별하여 제1 밝기보다 높은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과 같이 결함 영역(D)에 포함되는 불량 영역(A1)에 의한 암영대를 보완하기 위하여 선별된 보완 영역(A2)의 개수가 사전 설정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보완 영역(A2)에 적어도 일측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 추가 보완 영역(A3)로 선별하여 제1 밝기보다 높은 밝기를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보완 영역(A2) 및 추가 보완 영역(A3)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복수의 발광 영역(A) 중 불량 영역(A1)을 포함하는 결함 영역(D)에 의해 암영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결함 영역(D)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부터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밝기보다 높은 밝기를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하여 결함 영역(D)으로 인한 암영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함 영역(D)을 포함하는 광원부(100)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암영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함 영역(D)을 포함하는 광원부(100)의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함 영역(D)을 포함하는 광원부(100)의 교체 등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부
111: 마이크로 미러
112: 구동부
121: 광원
131: 광원
132: 액정 패널
200: 결함 검출부
300: 밝기 제어부
A: 발광 영역
A1: 불량 영역
A2: 보완 영역
A3: 추가 보완 영역

Claims (14)

  1. 개별적으로 발생되는 광의 밝기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으로부터 제1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여 소정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을 포함하는 결함 영역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부터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밝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밝기는,
    최대 밝기보다 낮은 밝기인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밝기는,
    상기 제1 밝기보다 높은 차량용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밝기는,
    상기 제1 밝기보다 높은 복수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영역은,
    단일의 불량 영역 또는 연속된 복수의 불량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제어부는,
    상기 결함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을 보완 영역으로 선별하며,
    상기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보완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완 영역은,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중 상기 결함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접하는 발광 영역인 차량용 램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영역의 개수는,
    상기 결함 영역에 포함되는 불량 영역의 개수 이상인 차량용 램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제어부는,
    상기 보완 영역의 개수가 사전 설정된 개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완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을 추가 보완 영역으로 선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보완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보완 영역은,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완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접하는 발광 영역인 차량용 램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밝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 각각이 온/오프되는 주기가 변경되도록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 각각으로 인가되는 동작 주파수를 가변시켜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밝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으로 인가되는 동작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광원; 및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광 투과율이 가변되는 복수의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밝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광 투과 영역 각각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시켜 상기 복수의 광 투과 영역 각각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영역을 검출하는 결함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함 검출부는,
    상기 광원부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에 포함되는 암영대로부터 상기 결함 영역을 검출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70096354A 2017-07-28 2017-07-28 차량용 램프 KR102384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354A KR102384546B1 (ko) 2017-07-28 2017-07-28 차량용 램프
US16/020,604 US10351049B2 (en) 2017-07-28 2018-06-27 Lamp for vehicle
CN201810735039.6A CN109309996B (zh) 2017-07-28 2018-07-06 车辆用灯具
DE102018211977.5A DE102018211977B4 (de) 2017-07-28 2018-07-18 Leuchte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354A KR102384546B1 (ko) 2017-07-28 2017-07-28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807A true KR20190012807A (ko) 2019-02-11
KR102384546B1 KR102384546B1 (ko) 2022-04-11

Family

ID=6500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354A KR102384546B1 (ko) 2017-07-28 2017-07-28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51049B2 (ko)
KR (1) KR102384546B1 (ko)
CN (1) CN109309996B (ko)
DE (1) DE102018211977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260B1 (ko) * 2023-05-18 2023-09-22 주식회사 디뮤지엄 Lcd패널을 이용한 광 분포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6491B4 (de) * 2020-10-09 2022-04-21 HELLA GmbH & Co. KGaA Scheinwerfersystem für Fahrzeuge
EP4348210A1 (en) * 2021-05-26 2024-04-10 HELLA GmbH & Co. KGaA Method for detecting a defective lighting element on a light source of a vehicle's headlight as compensable or as non-compensable
KR102557393B1 (ko) 2021-08-23 2023-07-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램프 및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250A (ja) * 2007-10-15 2009-05-07 Toyota Motor Corp 車両用照明装置
KR101220063B1 (ko) 2010-11-19 2013-01-08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차량의 지능형 헤드 램프 어셈블리
JP2014056746A (ja) * 2012-09-13 2014-03-2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および車両用灯具
KR20160073677A (ko) * 2014-12-17 2016-06-2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0483B2 (ja) * 2003-06-19 2009-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中間調表示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9414458B2 (en) * 2007-05-24 2016-08-09 Federal Law Enforcement Development Services, Inc. LED light control assembly and system
CN102252216A (zh) * 2010-05-19 2011-11-23 杰森医疗设备(上海)有限公司 带亮度补偿机构的无影照明灯
US9076357B2 (en) * 2012-11-16 2015-07-07 Apple Inc. Redundant operation of a backlight unit of a display device under a shorted LED condition
DE102013110840B4 (de) 2013-10-01 2023-12-21 HELLA GmbH & Co. KGa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agnose von LED's in einem LED-Array-System
CN104092941A (zh) * 2014-07-10 2014-10-08 深圳市得意自动化科技有限公司 摄像元件的摄像方法
EP3392685B1 (de) 2015-01-19 2021-03-03 SMR Patents S.à.r.l. Rückblic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20170106793A1 (en) 2015-10-19 2017-04-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system with dynamic beam pattern
CN106969311B (zh) * 2015-11-20 2020-09-25 Sl株式会社 车辆用灯具
US20170259729A1 (en) * 2016-03-08 2017-09-14 Spartan Motors, In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system diagnostics, reporting, and dot compli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250A (ja) * 2007-10-15 2009-05-07 Toyota Motor Corp 車両用照明装置
KR101220063B1 (ko) 2010-11-19 2013-01-08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차량의 지능형 헤드 램프 어셈블리
JP2014056746A (ja) * 2012-09-13 2014-03-2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および車両用灯具
KR20160073677A (ko) * 2014-12-17 2016-06-2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260B1 (ko) * 2023-05-18 2023-09-22 주식회사 디뮤지엄 Lcd패널을 이용한 광 분포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09996A (zh) 2019-02-05
DE102018211977A1 (de) 2019-01-31
CN109309996B (zh) 2020-04-10
DE102018211977B4 (de) 2024-05-29
KR102384546B1 (ko) 2022-04-11
US20190031087A1 (en) 2019-01-31
US10351049B2 (en)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4683B2 (en) Vehicle headlamp device having at least one region in its main beam disribution being selectively suppressed by deactivating light source
US9732926B2 (en) Illumination system for generating a boundary between a shaded area and an irradiated area
US9688184B2 (en) Vehicle lamp system
KR20190012807A (ko) 차량용 램프
CN109668116B (zh) 车辆用灯具
JP5199798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WO2015033764A1 (ja) 車両用灯具
JP2015022811A (ja) 車両用灯具
JP2020104561A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車両用灯具の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
JP2013097885A (ja) ヘッドライト装置、及びヘッドライトシステム
JP6782176B2 (ja) 点灯回路および車両用灯具
JP2012162105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7050779B2 (ja) 幾何学的特性を決定する照明システムならびに運転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7084392B2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車両用灯具の制御装置及び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
KR20170080240A (ko) 차량용 램프
WO2021039724A1 (ja) 車両用灯具
JP7009426B2 (ja) 車両用灯具、配光可変ランプの制御方法
WO2024057927A1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150125808A (ko) 차량용 램프
JP7492965B2 (ja) 車両用灯具
KR10160359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02382A1 (en) Vehicle headlight and vehicle headlight system
WO2023176490A1 (ja) ランプシステム、ランプ制御方法、ランプ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車両
US20240083348A1 (en) Vehicle lighting device
WO2021039725A1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