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323A - 막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막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323A
KR20190012323A KR1020170095042A KR20170095042A KR20190012323A KR 20190012323 A KR20190012323 A KR 20190012323A KR 1020170095042 A KR1020170095042 A KR 1020170095042A KR 20170095042 A KR20170095042 A KR 20170095042A KR 20190012323 A KR20190012323 A KR 20190012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embrane
mounting hole
press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080B1 (ko
Inventor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조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욱 filed Critical 조병욱
Priority to KR102017009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0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막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막 고정장치는: 막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고, 장착공이 형성되는 브라켓부재와, 막을 압입 지지하고, 장착공에 설치되는 막의 인장력에 의한 회전으로 막을 브라켓부재에 고정하는 압입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막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FABRIC}
본 발명은 막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부재에 막을 고정하는 데 있어 막의 인장에 의한 회전 지지력을 이용하여 걸림 고정하므로 막구조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막의 단부를 융착하거나 체결하는 것 없이도 막을 감싸면서 발생하는 마찰 압입력을 이용하여 고정하므로 막이 느슨해진 경우, 막의 인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막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구조물은 골조 막구조물, 공기 막구조물 그리고 텐션 막구조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막구조는 주로 지붕에 적용되며 수시로 방향이 변하는 바람의 힘을 잘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반이 약하고, 바람이 센 지역에서 합리적인 지붕구조로 선택된다.
막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지지되며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막(幕,fabric)과, 막을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막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막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막구조는 그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고 자체 내구성도 우수하여 미래 지향적인 건축양식의 하나로 자리 잡는 추세이다.
그런데, 기존의 막 고정장치는 막을 고정한 상태에서 막이 늘어나는 경우, 막이 융착 또는 나사 결합으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막의 장력을 다시 조절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막이 늘어진 상태로 사용해야 하거나 막구조를 재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4864호(2004.05.27, 발명의 명칭: 지붕막의 인장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부재에 막을 고정하는 데 있어 막의 인장에 의한 회전 지지력을 이용하여 걸림 고정하므로 막구조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막의 단부를 융착하거나 체결하는 것 없이도 막을 감싸면서 발생하는 마찰 압입력을 이용하여 고정하므로 막이 느슨해진 경우, 막의 인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막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막 고정장치는, 막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장착공이 형성되는 브라켓부재; 및 상기 막을 압입 지지하고, 상기 장착공에 설치되는 상기 막의 인장력에 의한 회전으로 상기 막을 상기 브라켓부재에 고정하는 압입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공은 상기 브라켓부재에서 수평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이 한 쌍 형성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알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부재는 상기 막을 지지하도록 상기 장착공의 외측 가장지리에서 더 연장된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굴곡지다가 경사지게 연장되는 굴곡경사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입고정부는, 상기 막을 둘레면에 감아주는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막을 삽입공에 압입 고정하면서 상기 막을 절개부를 거쳐 외부로 연결하고, 상기 장착공에 구비되는 압입부재; 및 상기 압입부재에 설치된 상기 막의 인장력에 의한 회전으로 상기 압입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걸림 장착하는 걸림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장착부는, 상기 장착공에서 상기 막이 접하는 반대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 및 상기 제1걸림부재에 걸리도록 상기 압입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장착공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쟈는 상기 막의 인장력 조절을 위해 상기 제1걸림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며,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에는 상기 압입부재의 진입을 도와주도록 진입안내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재에는 상기 압입부재의 절개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막과의 접촉 마찰 면적을 넓혀 상기 막을 보강 고정시키는 보강고정돌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 고정장치는, 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부재에 막을 고정하는 데 있어 막의 인장에 의한 회전 지지력을 이용하여 걸림 고정하므로 막구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막의 단부를 융착하거나 체결하는 것 없이도 막을 감싸면서 발생하는 마찰 압입력을 이용하여 막을 고정하므로 막이 느슨해진 경우, 막의 인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재와 압입고정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막의 결합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재와 압입고정부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막의 결합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는, 프레임(100), 브라켓부재(200) 및 압입고정부(3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막(20)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지붕 구조물의 형태를 이루고, 지붕 또는 천장을 이루는 막(20)의 하중을 지지하는 철골구조이다.
프레임(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는 일 예를 보인 것이다.
브라켓부재(200)는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장착공(210)이 형성된다.
브라켓부재(20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부재(200)는 금속재를 적용하는 경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스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브라켓부재(200)는 철강 재질에 도색을 입혀 사용할 수도 있다.
브라켓부재(200)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된다.
장착공(210)은 브라켓부재(200)에서 수평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착공(210)이 한 쌍 형성되는 경우, 브라켓부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좌측부위를 참조하면, 프레임(10)에 측면으로 설치된 브라켓부재(200)는 장착공(210)이 1개 형성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때, 장착공(210)의 경사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향 경사지거나, 우측에서 좌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부재(200)는 막(20)을 지지하도록 장착공(210)의 외측 가장지리에서 더 연장된 지지부(220)를 형성한다.
지지부(220)의 단부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굴곡지다가 경사지게 연장되는 굴곡경사돌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굴곡경사돌부(230)는 지지부(220)의 외측면에 대해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굴곡경사돌부(230)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다가 설정거리 이동 후 지지부(220)의 외측면으로 함몰되어 원상 복귀한다.
굴곡경사돌부(230)는 막(20)의 접촉면적을 넓혀주어 막(20)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굴곡경사돌부(230)는 막(20)에 가해지는 집중하중을 분산시키므로 막(20)의 어느 한 곳에 가해지는 집중하중에 의해 막(20)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굴곡경사돌부(230)를 거쳐 연결되는 막(20)은 수평을 기준으로 상측, 중간, 하측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브라켓부재(200)는 결속부(250)에 의해 프레임(100)에 설치된다.
결속부(250)는, 브라켓부재(200)에서 프레임(100) 측으로 개방되면서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공(252)과, 걸림공(252)과 연결되도록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끼움공(254)과, 걸림공(252)에 머리부가 걸려지고, 나사부가 끼움공(254)을 통해 하측으로 끼워지는 볼트부재(256)와, 볼트부재(256)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브라켓부재(200)를 프레임(100)에 고정하는 너트부재(258)를 포함한다.
걸림공(252)은 측면에서 볼 때, 볼트부재(256)의 머리부 양측 저면이 걸리도록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압입고정부(300)는 막(20)을 압입 지지하고, 장착공(210)에 설치되는 막(20)의 인장력에 의한 회전으로 막(20)을 브라켓부재(200)에 고정하는 구성이다.
압입고정부(300)는, 막(20)을 둘레면에 감아주는 로드부재(310)와, 로드부재(310)와 막(20)을 삽입공(324)에 압입 고정하면서 막(20)을 절개부(322)를 거쳐 외부로 연결하고, 장착공(210)에 구비되는 압입부재(320)와, 압입부재(320)에 설치된 막(20)의 인장력에 의한 회전으로 압입부재(320)를 장착공(210)에 걸림 장착하는 걸림장착부(330)를 포함한다.
로드부재(310)는 금속재의 봉 또는 합성수지재의 봉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로드부재(31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적용하도록 한다.
압입부재(320)는 금속재 도는 견고한 합성수지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걸림장착부(330)는, 장착공(210)에서 막(20)이 접하는 반대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332)와, 제1걸림부재(332)에 걸리도록 압입부재(320)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324)를 포함한다.
제1걸림부재(332)는 장착공(210)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재(334)는 막(20)의 인장력 조절을 위해 제1걸림부재(33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다.
제1걸림부재(332)와 제2걸림부재(334)에는 압입부재(320)의 진입을 도와주도록 진입안내면부(3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재(332)와 제2걸림부재(334)는 래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래치의 개수와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진입안내면부(336)는 압입부재(320)가 장착공(210)을 통해 진입할 때, 제1걸림부재(332)의 진입안내면부(336)가 제2걸림부재(334)의 진입안내면부(336)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조립을 도와줄 수 있다.
제1걸림부재(332)의 진입안내면부(336)와 제2걸림부재(334)의 진입안내면부(336)는 상호 마주보게 형성된다.
로드부재(310)에는 압입부재(320)의 절개부(322) 측으로 돌출되어 막(20)과의 접촉 마찰 면적을 넓혀 막(20)을 보강 고정시키는 보강고정돌기부(3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고정돌기부(312)는 원형의 로드부재(310)에서 절개부(322) 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더 돌출되므로 절개부(322) 및 삽입공(324)의 진입측에서 막(20)과의 접촉 면적을 더 확장하여 마찰지지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삽입공(324)의 진입측 내주면에는 보강고정돌기부(312)와 어긋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막(20)을 마찰 지지하는 내측돌기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부재(310)에는 막(20)의 인장력에 의해 걸림 고정된 압입부재(320)를 젖혀주도록 공구가 삽입되는 걸림홈부(328)가 형성된다. 걸림홈부(328)는 사각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 등의 뾰족한 공구를 걸림홈부(326)에 삽입하여 압입부재(320)를 걸림 반대방향으로 젖혀주면 제1걸림부재(322)에서 제2걸림부재(334)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압입부재(320)를 장착공(2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로써, 압입부재(320)에서 막(20)의 인장력을 재조절한 후, 압입부재(320)를 장착공(210)에 다시 설치하므로 막(200)의 인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막(20)의 결합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브라켓부재(200)의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볼트부재(256)의 머리부를 브라켓부재(200)의 걸림공(252)에 삽입 설치하고, 볼트부재(256)의 나사부를 프레임(100)에 형성된 끼움공(254)에 삽입 설치한다.
연이어, 볼트부재(256)의 나사부에 와셔를 삽입하고, 너트부재(258)를 이용하여 체결하므로 브라켓부재(200)를 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브라켓부재(200)와 압입고정부(300)를 이용하여 막(20)의 설치 과정을 살펴 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재(310)에 막을 감아주고, 막(20)이 감겨진 로드부재(310)를 압입부재(320)의 삽입공(324)에 설치한다. 이때, 로드부재(310)는 삽입공(324)의 측면으로 삽입하거나 절개부(320)를 통해 벌려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막(20)이 삽입공(324)에 삽입 설치된 후, 브라켓부재(200)의 장착공(210) 측으로 압입부재(320)를 이동하게 되면, 지지부(220)에 막(20)이 지지 되면서 막(20)에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고, 당겨진 막(20)이 삽입공(324)에서 절개부(322) 측으로 로드부재(310)를 당겨주어 절개부(322)의 진입측과의 마찰력에 의해 막(20)이 삽입공(324)에 압입 고정된다.
이때, 로드부재(310)의 보강고정돌기부(312)는 절개부(322) 측으로 더 돌출됨에 따라 마찰 면적을 증진시키고, 이와 더불어 보강고정돌기부(312)와 어긋나게 돌출된 내측돌기부(326)에 의해 막(20)은 더욱더 삽입공(324)과 절개부(322)에 견고하게 압입 고정된다.
연이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210)으로 압입부재(320)를 타격공구 등의 타격을 이용하여 진입시킴에 따라 막(20)의 인장력에 의해 압입부재(320)를 회전(도면상 시계방향)시켜 제2걸림부재(334)를 제1걸림부재(322)에 걸어 주어 압입부재(320)를 브라켓부재(200)의 장착공(210)에 고정한다.
이때, 압입부재(320)를 타격공구로 타격하는 경우, 제2걸림부재(334)의 진입안내면부(336)는 제1걸림부재(332)의 진입안내면부(336)을 따라서 경사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막(20)은 압입부재(320)와 브라켓부재(200)를 통해 작업자의 의지대로 설정 인장력을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고정장치는, 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부재에 막을 고정하는 데 있어 막의 인장에 의한 회전 지지력을 이용하여 걸림 고정하므로 막구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막의 단부를 융착하거나 체결하는 것 없이도 막을 감싸면서 발생하는 마찰 압입력을 이용하여 막을 고정하므로 막이 느슨해진 경우, 막의 인장력을 간편하게 다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 막 100 : 프레임
200 : 브라켓부재 210 : 장착공
220 : 지지부 230 : 굴곡경사돌부
250 : 결속부 252 : 걸림공
254 : 끼움공 256 : 볼트부재
258 : 너트부재 300 : 압입고정부
310 : 로드부재 312 : 보강고정돌기부
320 : 압입부재 322 : 절개부
324 : 삽입공 326 : 내측돌기부
328 : 걸림홈부 330 : 걸림장착부
332 : 제1걸림부재 334 : 제2걸림부재
336 : 진입안내면부
:

Claims (7)

  1. 막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장착공이 형성되는 브라켓부재; 및
    상기 막을 압입 지지하고, 상기 장착공에 설치되는 상기 막의 인장력에 의한 회전으로 상기 막을 상기 브라켓부재에 고정하는 압입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은 상기 브라켓부재에서 수평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이 한 쌍 형성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알 특징으로 하는 막 고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재는 상기 막을 지지하도록 상기 장착공의 외측 가장지리에서 더 연장된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굴곡지다가 경사지게 연장되는 굴곡경사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고정부는,
    상기 막을 둘레면에 감아주는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막을 삽입공에 압입 고정하면서 상기 막을 절개부를 거쳐 외부로 연결하고, 상기 장착공에 구비되는 압입부재; 및
    상기 압입부재에 설치된 상기 막의 인장력에 의한 회전으로 상기 압입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걸림 장착하는 걸림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착부는,
    상기 장착공에서 상기 막이 접하는 반대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 및
    상기 제1걸림부재에 걸리도록 상기 압입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고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장착공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쟈는 상기 막의 인장력 조절을 위해 상기 제1걸림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며,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에는 상기 압입부재의 진입을 도와주도록 진입안내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고정장치.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에는 상기 압입부재의 절개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막과의 접촉 마찰 면적을 넓혀 상기 막을 보강 고정시키는 보강고정돌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고정장치.
KR1020170095042A 2017-07-27 2017-07-27 막 고정장치 KR10200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042A KR102007080B1 (ko) 2017-07-27 2017-07-27 막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042A KR102007080B1 (ko) 2017-07-27 2017-07-27 막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323A true KR20190012323A (ko) 2019-02-11
KR102007080B1 KR102007080B1 (ko) 2019-10-01

Family

ID=6536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042A KR102007080B1 (ko) 2017-07-27 2017-07-27 막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172B1 (ko) 2021-04-21 2022-01-11 주식회사 맥스플랜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510A (ko) * 2012-06-19 2013-12-30 김태희 건축물용 스트레치 시트의 설치 구조물
KR20160011333A (ko) * 2014-07-21 2016-02-01 주식회사 타이가 지붕막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510A (ko) * 2012-06-19 2013-12-30 김태희 건축물용 스트레치 시트의 설치 구조물
KR20160011333A (ko) * 2014-07-21 2016-02-01 주식회사 타이가 지붕막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080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1657B2 (en) Fastening element and assembly with such a fastening element and a receiving element
KR101447630B1 (ko)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JP2002193159A (ja) 自転車のシートポストを固定するためのクランプ
WO2016121893A1 (ja) 車両にオーディオスピーカを取り付けるための改善された器具およびそれの取り付け構造物
KR20190012323A (ko) 막 고정장치
KR101828945B1 (ko) 블라인드 볼트
JP2007510576A (ja) 車両用ドアのための、一体式ロック固定装置を有するユニットキャリア
US8974138B2 (en) Fast disassembly fastening apparatus for musical instruments
JP2007158933A (ja) スピーカユニット
KR101474273B1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JP2017110335A (ja) 壁面の取付ユニット
KR101533829B1 (ko) 다기능 빔 클램프
JP2006200551A (ja) 分岐管継ぎ手の固定装置
JP5615037B2 (ja) 取付金具
KR101869859B1 (ko)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GB2431542A (en) Anchor structure for a fire-proof steel frame of a ceiling speaker
JP2010048322A (ja) 樹脂ヘッダーの固定構造、及び樹脂ヘッダーシステム
WO2017018469A1 (ja) シートの展張装置
JP2016129582A (ja) 垂れ壁部材と垂れ壁
JP4906661B2 (ja) スピーカ取付け構造
JP2008150794A (ja) 外装用具、外装構造及び外装方法
JP3566189B2 (ja) 外装板の取付金具
KR20110103689A (ko) 방충망 어셈블리
KR102079810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60088071A (ko) 선박용 잔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