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172B1 -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172B1
KR102349172B1 KR1020210051705A KR20210051705A KR102349172B1 KR 102349172 B1 KR102349172 B1 KR 102349172B1 KR 1020210051705 A KR1020210051705 A KR 1020210051705A KR 20210051705 A KR20210051705 A KR 20210051705A KR 102349172 B1 KR102349172 B1 KR 10234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frame
auxiliary
t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플랜
Priority to KR1020210051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되며 2중막 구조도 가능한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에 과한 기술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구조물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후크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물의 막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프레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가이드가 구비되되, 상기 후크가이드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이드의 절개부가 인접한 후크프레임에 구비된 후크가이드의 절개부와 서로 마주보면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은, 구조물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에 후크프레임을 대면시킨 후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후크프레임에 형성된 볼트홀을 아이볼트와 아이너트로 체결하는 단계; 서로 인접한 후크프레임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양측 자장자리에는 상기 후크가이드의 중공부에 대응하는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천막의 상기 확장부를 서로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마주보는 후크가이드의 일단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상기 후크가이드에 장착된 천막을 타측방향으로 당겨서 펼치는 단계; 상기 아이볼트와 아이너트에 견인장치를 장착하여 장착된 천막의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단계; 상기 견인장치에 의하여 상기 천막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후크프레임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아이볼트와 아이너트를 해체하는 단계; 동일한 후크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가이드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보조가이드의 보조중공부에 대응하는 보조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천막의 상기 보조확장부를 상기 동일한 후크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가이드의 일단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보조가이드에 장착된 보조천막을 타측방향으로 당겨셔 펼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Membrane fixing device for structures, a membrane fix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되며 2중막 구조도 가능한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에 운동장이나 야외공연장 및 체육관 등의 구조물에서 지붕을 천막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막 주조물은 천막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지붕이나 측벽을 고장력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공기(工期)를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드럽고 독특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건축물의 미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천막을 지붕이나 측벽에 고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까다로운 작업이다. 대형 구조물의 지붕 등을 구성하는 천막은 넓게 재단되어 상기 구조물의 지붕 위에 펼쳐진 상테에서 가장자리를 상기 구조물의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어렇게 설치된 천막을 접히거나 구겨지는 부분이 없도록 고장력으로 팽팽하게 당겨서 설치되어야 한다.
이처럼 넓고 무거운 천막을 고장력으로 팽팽하게 당겨서 구조물에 고정하는 작업은 그 자체로도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바람이 부는 날에는 사실상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넓은 천막을 펼치면 그 자체가 돛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작은 바람에도 엄청난 힘으로 날아가려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천막을 설치할 때는 바람의 저항을 받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KR 10-2007080 B1 KR 10-10762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물에 설치되는 천막을 비교적 느슨한 상태로 신속하게 고정한 후에 가장자리를 팽팽하게 당겨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은 천막을 완전히 펼친 상테에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천막이 순차적으로 고정되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바람이 부는 날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천막과 천막의 연결부위를 매끈하게 마무리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천막을 2중 구조로 시공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구조물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후크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물의 막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프레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가이드가 구비되되, 상기 후크가이드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이드의 절개부가 인접한 후크프레임에 구비된 후크가이드의 절개부와 서로 마주보면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후크가이드는 상기 후크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후크가이드의 상부에는 보조가이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보조가이드는 내부에 보조중공부가 형성되고 둘레방향의 어느 한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보조가이드의 보조절개부는 외측면 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가이드의 외측면은 상기 후크가이드의 외측면과 동일하거나 상기 후크가이드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지지대에 의하여 상기 구조물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이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프레임의 폭 방향의 가운데부분에는 상기 장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후크프레임의 하면을 대면시킨 후에 상기 볼트홀과 상기 장공을 아이볼트와 아이너트로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은, 구조물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에 후크프레임을 대면시킨 후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후크프레임에 형성된 볼트홀을 아이볼트와 아이너트로 체결하는 단계; 서로 인접한 후크프레임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양측 자장자리에는 상기 후크가이드의 중공부에 대응하는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천막의 상기 확장부를 서로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마주보는 후크가이드의 일단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상기 후크가이드에 장착된 천막을 타측방향으로 당겨서 펼치는 단계; 상기 아이볼트와 아이너트에 견인장치를 장착하여 장착된 천막의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단계; 상기 견인장치에 의하여 상기 천막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후크프레임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아이볼트와 아이너트를 해체하는 단계; 동일한 후크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가이드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보조가이드의 보조중공부에 대응하는 보조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천막의 상기 보조확장부를 상기 동일한 후크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가이드의 일단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보조가이드에 장착된 보조천막을 타측방향으로 당겨셔 펼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막의 가장자리를 후크가이드에 끼워서 연속적으로 프레임에 고정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천막이 펼쳐짐과 동시에 자장자리가 상기 후크가이드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바람이 부는 날에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는 후크가이드가 2중으로 구비되어 인접한 천막이 고정되는 부위를 천막으로 가려서 전체적인 외관이 연속적으로 유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물의 내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중 구조의 후크가이드는 사용방법에 따라 천막을 2중으로 설치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에 천막과 보조천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에 천막이 설치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는 구조물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후크프레임(150)으로 구성된다.
구조물프레임(100)은 막 구조물이 설치되는 건물이나 시설물 중에 천막(10)이 장착되는 부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구조물프레임(100)은 속이 비어 있고 양단이 막혀 있는 강관(鋼管)이 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구조물프레임(100)은 베이스프레임(110)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재질이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 고정장치가 적용되는 구조물프레임(100)은 주로 건축물의 지붕일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측벽에 적용될 수도 있다. 구조물프레임(100)에 막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천막(10)을 장착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구조물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구조물프레임(100)에 고정된다. 구조물프레임(100)에 베이스프레임(110)이 구비되는 방향은 상기 구조물프레임(100)에 천막(10)이 장착되는 방향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붕을 천막(10)으로 시공하는 경우에 상기 구조물프레임(100)의 상부(외측)에 천막(10)을 장착하여 상기 구조물프레임(100)이 천막(10)에 가려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조물프레임(100)의 외측에 천막(10)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베이스프레임(110)이 구조물프레임(100)의 상부(외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구조물프레임(100)의 내측에 천막(10)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베이스프레임(110)이 상기 구조물프레임의 하부(내측)에 구비될 것이다.
베이스프레임(110)은 지지대(130)를 이용하여 구조물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구조물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사이에 후술하여 설명할 아이볼트(140) 등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아이볼트(140)의 이용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상면이 평면으로 구성되며,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상의 구조가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된다. 건축물의 지붕을 구성하는 구조물프레임(100)은 길이가 매우 길고 전부나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도 4 참조). 또한, 구조물프레임(100)은 전부가 일체로 구성되거나 여러 개의 프레임을 일체로 연결하여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구조물프레임(100) 중에 천막(10)이 설치되는 구간과 동일한 길이로 성형하여 장착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구조물프레임(100)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여러 개의 베이스프레임(110)을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복수의 베이스프레임(110)을 구조물프레임(100)에 장착하는 경우에 후술하여 설명할 후크프레임(150)의 후크가이드(170)가 연통되면서 연속적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다만, 구조물프레임(10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베이스프레임(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133)이 형성된다. 각각의 장공(13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장공(133)들 사이에는 체결구(미도시)가 결합되는 베이스체결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장공(133)의 역할과 체결구를 이용하여 베이스프레임(110)에 후크프레임(150)을 장착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후크프레임(150)은 하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후크프레임(150)의 하면을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대면시켜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후크프레임(150)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베이스프레임(110)의 베이스체결홀(135)에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의 후크체결홀(15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후크프레임(150)을 베이스프레임(110)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후크프레임(150)의 폭 방향의 가운데 부분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베이스프레임(110)의 장공(133)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1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홀(153)은 후술하여 설명할 아이볼트(140)의 지름에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아이볼트 등이 그대로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베이스프레임(110)에 후크프레임(150)을 대면시킨 후에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미도시)를 이용하여 볼트홀(153)과 장공(133)을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프레임(110)과 후크프레임(150)을 아이볼트(140)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후크프레임(150)이 움직이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아이볼트(140) 등이 장공(133)의 영역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하는 것을 말한다. 아이볼트(140, Eye bolt)와 아이너트(Eye nut)는 공지의 구성으로 외측에 링(ring) 형상이 구비되어 있는 볼트와 너트를 말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이 구조물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이유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아이볼트(140) 또는 아이너트의 링(ring) 부분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아이볼트와 아이너트가 베이스프레임 등에 장착되는 방향은 무관하다.
상기와 같이 후크프레임(150)을 베이스프레임(110)에 볼트홀(153)과 장공(133)이 일치하도록 대면시킨 후에 상기 볼트홀(153)과 장공(133)을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로 체결하면 아이볼트(140)가 장착된 후크프레임(150)이 장공(133)의 범위 내에서 폭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는 천막(10)을 장착하여 고정하는 과정에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한다.
후크프레임(15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가이드(170)가 구비된다. 후크가이드(170)는 내부에 중공부(173)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75)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측면이란 후크프레임(15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측(좌측에 구비된 후크가이드의 경우)과 우측(우측에 구비된 후크가이드의 경우)의 수평방향을 말한다.
후크가이드(17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프레임(15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후크가이드(170)가 후크프레임(150)의 일면(상부면)에 구비된 형태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후크프레임(150)을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할 때 상기 후크가이드(170)가 베이스프레임(110)에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후크프레임(15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폭 보다 넓어서 간섭받을 염려가 없는 경우 등에는 상기 후크가이드(170)가 상기 후크프레임(150)의 외측면이나 하부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후크프레임(15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구성되며,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후크프레임(15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후크가이드(170)가 후크프레임(150)의 상부면에 구비된 형태로 일례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후크프레임(150)의 상부에는 보조가이드(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가이드(190)는 전술하여 설명한 후크가이드(17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보조중공부(19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중공부(193)의 둘레방향의 어느 한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절개부(195)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절개부(195)의 방향은 후술하여 설명할 보조천막(30)의 역할과 결합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보조가이드(190)의 보조절개부(195)는 전술하여 설명한 후크가이드(170)의 절개부와 동일하게 외측면방향으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인접한 후크프레임(150)에 구비된 보조가이드(190)와 보조절개부(195)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보조천막(30)의 다양한 결합방식에 유용한 것으로, 보조가이드(190)와 보조천막(30)의 다양한 결합과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보조가이드(190)는 외측면이 후크가이드(170)의 외측면과 동일하거나 상기 후크가이드(170)의 외측면보다 외측방향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가이드(190)의 일 용도로 상기 보조가이드(190)에 장착된 보조천막(30)이 후크프레임(150)을 가려주어 상기 후크프레임(150) 방향으로 빗물이 유입되거나 상기 후크프레임(150)이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이다. 이러한 용도에서는 보조가이드(190)에 장착되는 보조천막(30)이 상기 후크프레임(150)을 모두 가려주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보조가이드(190)의 외측이 후크가이드(170)의 외측과 동일하거나 측면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보조가이드(190)가 후크가이드(170)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보조가이드(190)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상기 후크가이드(170)와 동일하거나 크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후크프레임(150)은 서로 인접한 2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천막(10)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따라서 후크프레임(150)은 여러 개가 일정한 간격(천막(1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나란하게 구조물프레임(100)을 따라 구비된다(도 4에서 도면번호 100번을 따라 설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에 천막과 보조천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에 천막이 설치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며, 천막(1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후크가이드(170)의 중공부(173)와 동일하거나 상기 중공부(173) 보다는 작고 절개부(175) 보다는 큰 확장부(15)가 구비된다. 그리고 후크가이드(170)의 절개부(175)는 상기 중공부(173) 보다는 좁고 천막(10)의 두께보다는 다소 크게 구성되어 천막(10)의 확장부(15)가 후크가이드(170)의 중공부(173)에 삽입되면 절개부(175)를 통하여 상기 천막(10)이 후크가이드(17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하여 천막(10)이 후크가이드(17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으나 절개부(175)의 외측으로 빠지지는 않는 구조로 결합된다.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지붕이나 벽면으로 사용되는 천막(10)은 공지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에 천막(10)이 설치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구조물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10)에 후크프레임(150)을 대면시킨 후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형성된 장공(133)과 상기 후크프레임(150)에 형성된 볼트홀(153)을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미도시)로 체결한다. 이때,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프레임(150)은 베이스프레임(110)에 움직이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만 느슨하게 체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아이볼트(140)가 결합된 후크프레임(150)이 장공(133)의 범위에서 폭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된다.
후크프레임(150)을 베이스프레임(110)에 유동가능하게 고정한 후에 천막(10)의 양측에 구비된 확장부(15)를 후크가이드(170)의 일단에서 중공부(173)를 통하여 각각 삽입한다. 그런 후에 후크가이드(170)에 장착된 천막(10)을 타측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천막(10)의 확장부(15)가 후크가이드(170)를 따라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천막(10)이 펼쳐지게 된다.
천막(10)은 서로 인접한 후크프레임(15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천막(10)이 후크프레임(150)의 후크가이드(1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프레임(150)이 베이스프레임(110)에 완전히 고정되면 상기 천막(10)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후크프레임(150)을 베이스프레임(110)에 완전히 고정한 상태에서 후크가이드(170)에 천막(10)의 양측을 삽입면 상기 천막(10)이 팽팽히 당겨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천막(10)을 장착하는 것도 어려울 뿐만 아리라 타측방향으로 당겨도 쉽게 펼쳐지지 않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은 후크프레임(150)을 아이볼트(140) 및 아이너트로 느슨하게 고정한 후에 상기 후크프레임(150)을 장공(133)을 따라 천막(10)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인접한 후크프레임(150) 사이의 폭이 천막(10)의 폭 보다 좁게하여 후크가이드(170)에 천막(10)의 확장부(15)를 삽입하기 때문에 천막(10)이 쉽게 장착되고 펼쳐지게 된다.
이때, 천막(10)의 양측에 구비된 후크프레임(150)은 모두가 아이볼트(140) 및 아이너트로 고정하여 느슨하게 할 수도 있고, 한 쪽은 체결홀(135, 155)을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로 완전히 고정하고 다른 한 쪽은 아이볼트(140) 등으로 느슨하게 고정하여 천막(10)을 삽입할 수도 있다. 특히, 넓은 구조물에 일정한 폭의 천막(10)을 여러 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아이볼트(140) 등으록 느슨하게 체결하여 순차적으로 작업을 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천막(10)의 확장부(15)를 후크가이드(170)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천막(10)이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후크가이드(170)에 의하여 가장자리가 지지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다. 특히, 바람이 부는 날에도 천막(10)이 펼쳐지면서 후크가이드(170)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천막(10)이 날아갈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종래에는 넓은 천막(10)을 지붕에 펼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넓고 무거운 천막(10)을 균일하고 정확하게 펼쳐서 고정하는 작업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바람이 부는 날에는 천막(10)을 넓게 펼치는 것 조차 매우 어려웠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천막(10)을 펼치면서 곧바로 후크가이드(170)에 고정하면 바람이 불더라도 천막(10)이 날아갈 염려가 없어지고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후크프레임(150)이 아이볼트(140) 등에 의하여 느슨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천막(10)의 양측을 후크가이드(170)에 장착한 후에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에 견인장치를 장착하여 천막(10)의 반대방향으로 당긴다. 견인장치는 공지의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와이어를 이용하여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를 견인장치에 연결하여 견인할 수 있다.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를 견인하면 후크프레임(150)이 장공(133)의 범위에서 천막(10)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천막(10)이 팽팽하게 펼쳐진다.
견인장치에 의하여 천막(10)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10)과 후크프레임(150)을 체결하여 고정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과 후크프레임(150)에는 베이스체결홀(135)과 후크체결홀(15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견인장치에 의하여 후크프레임(150)을 당겨서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후크프레임(150)의 체결홀(135, 155))이 일치되도록 한 후에 상기 체결홀(135, 155))을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를 순차적으로 제거하면서 체결구를 이용하여 볼트홀(155)과 장공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베이스프레임(110)과 후크프레임(150)이 완전히 체결되면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를 해체한다.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는 후크프레임(150)을 견인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상기 후크프레임(150)이 완전히 고정된 후에는 더 이상 필요가 없어지게 되며, 보조가이드(190)에 보조천막(30)을 장착하는 데도 방해가 되기 때문에 해체를 하여야 한다.
베이스프레임(110)과 후크프레임(150)이 완전히 고정되고,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가 해체된 후에는 보조가이드(190)에 보조천막(30)을 장착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천막(10)은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인접한 후크프레임(150)의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장착되지만 보조천막(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후크프레임(150)에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보조가이드(190)에 양측 가장자리가 장착된다. 즉, 보조가이드(19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양측에 보조가이드(190)의 중공부(173)에 대응하는 확장부(15)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천막(30)의 양측 가장자리를 전술하여 설명한 천막(10)의 장착방법과 유사하게 보조가이드(190)의 일단에 삽입한다. 그런 후에 상기 보조가이드(190)에 장착된 천막(10)을 타측방향으로 당겨서 펼치면 상기 보조천막(30)의 확장부(15)가 보조가이드(190)의 중공부(173)를 따라 이동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가이드(190)에 보조천막(30)을 장착하면 후크프레임(150)이 완전히 가려지기 때문에 상기 후크프레임(150)으로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후크프레임(15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조물의 지붕 등을 천막(10)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후크프레임(150) 등이 외부로 노출되면 외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보조천막(30)을 설치하면 전체적으로 천막(10)과 일체성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후크프레임(1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가이드(190)의 보조절개부(195)가 양쪽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보ㅗ조천막(30)의 가장자리가 상기 보조가이드(190)의 상부와 외측의 일부를 감싸면서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후크프레임(15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도 유용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조가이드(190)에 보조천막(30)을 장착하는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조천막(30)은 천막(10)과 마찬가지로 인접한 후크프레임(150)의 보조가이드(190)와 연결되어 상기 천막(10)을 2중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후크가이드(170)에 장착된 천막(10)과 동일한 형태의 보조천막(30)을 일측은 한쪽 후크프레임(150)에 구비된 보조가이드(190)의 일측에 장착하고, 타측은 인접한 다른 후크프레임(150)에 구비된 보조가이드(190)의 타측에 장착하여 내측의 천막(10)과 동일한 형태로 장착되도록 하면 2개의 천막(10)이 서로 이격된 2중구조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천막(10)을 2중구조로 하는 경우에 단열성능이 향상되어 임시구조물이나 임시건물 등을 만들때 매우 용이할 것이다. 천막(10)을 2중 구조로 하는 경우에 후크프레임(150)을 가리기 위한 추가적인 보조가이드(190)와 보조천막(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보조가이드(190)의 내측 또는 상부에 추가적으로 보조가이드(190)를 더 구비하여 후크프레임(150)을 가릴 수 있는 보조천막(30)을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전술하여 설명한 후크프레임(150) 등을 구조물프레임(100)의 상하에 설치하거나 상기 후크프레임(150)을 2개 겹쳐서 베이스프레임(110)에 장착하는 구조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천막(10)이 2겹으로 설치되면서 구조물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은 물론, 후크프레임까지 모두 가려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구조물프레임
110: 베이스프레임
130: 지지대
133: 장공
135: 베이스체결홀
140: 아이볼트
150: 후크프레임
153: 볼트홀
155: 후크체결홀
170: 후크가이드
173: 중공부
175: 절개부
190: 보조가이드
193: 보조중공부
195: 보조절개부

Claims (7)

  1. 구조물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후크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물의 막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프레임(15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가이드(170)가 구비되되, 상기 후크가이드(170)는 내부에 중공부(173)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75)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이드(170)의 절개부(175)가 인접한 후크프레임(150)에 구비된 후크가이드(170)의 절개부(175)와 서로 마주보면서 나란하게 구비되고,
    상기 후크가이드(170)는 상기 후크프레임(15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후크가이드(170)의 상부에는 보조가이드(19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가이드(190)는 내부에 보조중공부(193)가 형성되고 둘레방향의 어느 한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절개부(195)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가이드(190)의 보조절개부(195)는 외측면 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가이드(190)의 외측면은 상기 후크가이드(170)의 외측면과 동일하거나 상기 후크가이드(17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지지대(130)에 의하여 상기 구조물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133)이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프레임(150)의 폭 방향의 가운데부분에는 상기 장공(133)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153)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상기 후크프레임(150)의 하면을 대면시킨 후에 상기 볼트홀(153)과 상기 장공(133)을 아이볼트(140)와 아이너트로 체결하도록 구성되며,
    동일한 후크프레임(150)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가이드(19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보조가이드(190)의 보조중공부(193)에 대응하는 보조확장부(35)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천막(30)의 상기 보조확장부(35)가 상기 동일한 후크프레임(150)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가이드(190)의 일단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51705A 2021-04-21 2021-04-21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 KR102349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05A KR102349172B1 (ko) 2021-04-21 2021-04-21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05A KR102349172B1 (ko) 2021-04-21 2021-04-21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172B1 true KR102349172B1 (ko) 2022-01-11

Family

ID=7935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705A KR102349172B1 (ko) 2021-04-21 2021-04-21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1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750Y1 (ko) * 2004-12-31 2005-04-07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KR20160011333A (ko) * 2014-07-21 2016-02-01 주식회사 타이가 지붕막 연결장치
JP2018178373A (ja) * 2017-04-03 2018-11-15 環境商事株式会社 シート取付用金具
KR102007080B1 (ko) 2017-07-27 2019-10-01 조병욱 막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750Y1 (ko) * 2004-12-31 2005-04-07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KR20160011333A (ko) * 2014-07-21 2016-02-01 주식회사 타이가 지붕막 연결장치
JP2018178373A (ja) * 2017-04-03 2018-11-15 環境商事株式会社 シート取付用金具
KR102007080B1 (ko) 2017-07-27 2019-10-01 조병욱 막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5068B1 (en) Temporary protective covering system
US5311699A (en) Shade house
US4191361A (en) Lockbar for fence post mounting
US20090229646A1 (en) Tent Rafter End Cap and Tent Incorporating Same
KR102349172B1 (ko)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
KR101605469B1 (ko) 천막구조물
JPH1150666A (ja) シートの展張装置
JP2017002705A (ja) 開閉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KR101183155B1 (ko) 막 구조물의 막 장력 조절 장치
NZ227858A (en) Tent-like enclosure with specific openable end assembly
US8745907B2 (en) Panel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display an advertising panel
JP4361557B2 (ja) 組立式骨組膜構造物
KR200380750Y1 (ko)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KR100586225B1 (ko) 조립식 막 구조물 및 막 구조물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JP3640194B2 (ja) 大規模建築構造物の屋根構造および屋根構築方法
KR200304653Y1 (ko)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JP2001207690A (ja) ストラット式張力膜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立体骨組構造
JP2623072B2 (ja) ドーム型仮設テントとその組立方法
JP3493015B2 (ja) エアーチューブ式テント
JPH06280422A (ja) テント用膜材
KR102379820B1 (ko) 막 구조물의 초기장력 도입 및 횡보강 시스템
JPH04213671A (ja) 寄せ棟型テント
JP2865998B2 (ja) 膜屋根構築方法と膜屋根構築体
JP6783967B1 (ja) 膜材の張力調整機構
KR200367707Y1 (ko) 지붕 개폐가 가능한 가설 천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