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750Y1 -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 Google Patents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750Y1
KR200380750Y1 KR20-2004-0037665U KR20040037665U KR200380750Y1 KR 200380750 Y1 KR200380750 Y1 KR 200380750Y1 KR 20040037665 U KR20040037665 U KR 20040037665U KR 200380750 Y1 KR200380750 Y1 KR 200380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ent
film
fixing memb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합자회사 우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합자회사 우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4-0037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 E04H15/646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the fixing members being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사이의 통로에 설치되거나 대지에 단독으로 설치되는 천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막 프레임의 크로스바 선단에 일정간격을 고정볼트를 연속하여 형성하고, 그 상측에는 양측에 차양막 고정부와 인장막 고정부를 갖는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그 고정부재 일측에는 차양막 단부가 삽입 고정되게 하고, 타측에는 인장막 단부가 삽입고정되게 하여, 이를 별도의 인장수단에 의해 잡아당겨 차양막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프레임과 고정부재를 고정 형성함으로서,
작업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그 차양막 전체면을 고르게 잡아당겨 균일하고 강인한 장력이 부여되게 함은 물론 그 장력부여시 사용된 인장막을 이용하여 건물간 경계부를 마감하는 연결천막으로 사용되게 하거나, 단독 설치상태의 천막에는 측면 방풍막으로 사용되게 하여 그 효율성을 배가시킨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Tent frame with tension adjusting device}
본 고안은 건물 사이의 통로에 설치되거나 대지에 단독으로 설치되는 천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천막의 차양막을 설치함에 있어 그 차양막의 장력을 용이하고 강인하게 부여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천막프레임을 제안하면서도, 그 장력조절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연결천막을 이용하여 건물 경계의 연결부재로 사용되게 하거나 천막 측면의 방풍막으로도 사용되게 한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막은 임시설치물 또는 간이설치물로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저가의 자재비로서 차광은 물론 비나 눈으로부터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천막은 통상적으로 야외에서의 각종 행사시에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시장 통로나 임시 작업장 또는 휴식장소 등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천막의 설치 형태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통로 또는 보행로에 대형으로 설치되는 형태가 있고, 그 천막 단독으로 대지에 설치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천막은 그 천막의 지붕으로 사용되는 차양막이 자중 및 중력에 의해 느슨하게 처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차양막의 처짐은 천막 전체의 외형을 부자연스럽게 하면서도, 빗물이나 눈 또는 이물질 등이 함몰된 차양막에 수거되어 프레임의 변형이나 붕괴 또는 급작스런 낙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차양막은 강인한 장력을 갖도록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대부분의 천막은 작업자가 인위적인 힘에 의해 그 천막을 가장자리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이를 로프로 권취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으므로, 충분한 장력이 부여되지 않게 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그 차양막의 처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천막의 완성후에도 일측으로부터 잡아당긴 차양막의 장력 불균일에 의해 그 차양막이 주름지거나 평평하지 못해 미관상 좋지 못한 것이다.
또한, 기본적인 천막의 설치가 완성된 이후, 건물과의 경계를 마감하거나 그 천막의 측면에 방풍막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번거롭게 새로운 차양막을 덧대어 연결하거나 고정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작업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어 매우 비경제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천막 프레임의 크로스바 선단에 일정간격을 고정볼트를 연속하여 형성하고, 그 상측에는 양측에 차양막 고정부와 인장막 고정부를 갖는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그 고정부재 일측에는 차양막 단부가 삽입 고정되게 하고, 타측에는 인장막 단부가 삽입고정되게 하여, 이를 별도의 인장수단에 의해 잡아당겨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프레임과 고정부재를 고정 형성함으로서,
작업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그 차양막 전체면을 고르게 잡아당겨 균일하고 강인한 장력이 부여되게 함은 물론 그 장력부여시 사용된 인장막을 이용하여 건물간 경계부를 마감하는 연결천막으로 사용되게 하거나, 단독 설치상태의 천막에는 측면 방풍막으로 사용되게 하여 그 효율성을 배가시킨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천막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막프레임의 분리사시도이다.
복수의 지지각(1)(1')과 그 지지각(1)(1')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크로스바(2)로 되며, 상기 크로스바(2)의 상측에 설치되는 차양막(20)으로 된 공지의 천막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2)의 선단에는 일정간격의 고정볼트(4)(4')를 연속하여 형성하고, 그 크로스바(2)의 상측에는 별도의 고정부재(10)를 고정 형성하되,
상기한 고정부재(10)는, 중앙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장공(11)(11')을 갖고, 그 일측에는 차양막(20)의 마감단부(21)가 삽입되는 개구상의 차양요홈조(22)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인장막(30)의 마감단부(31)가 삽입되는 개구상의 인장요홈조(32)를 각각 형성하여,
별도의 클램프(40)로부터 상기 인장막(30)의 타측 단부를 인장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너트(5)를 상기 고정부재(10)의 장공(11)(11')으로 노출된 고정볼트(4)(4')에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차양막(20)과 인장막(30)의 마감단부(21)(31)에는 로프(3)가 길이방향으로 재봉 형성되어 인장 고정력을 배가시키는 것이며,
상기한 인장막(30)을, 인접된 건물 측벽에 고정하여 이에 의해 건물간 경계가 마감되게 하면서도, 경사상의 차양막(20)과 인장막(30)에 의해 천막의 배수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게 하는 것이며,
상기한 인장막(30)을, 크로스바(2)의 일측으로 하향되게 늘어트려 이에 의해 방풍막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천막프레임은 그 차양막(20)을 종래와 같이 권취되는 로프에 의해 크로스바(2)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고정부재(10)를 이용하여 보다 균일하면서도 안정된 장력을 그 차양막(20)에 부여하는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a의 도시와 같이 크로스바(2)의 상부에 형성된 일정간격의 고정볼트(4)(4')에 고정부재(10)에 형성된 장공(11)(11')을 대응 삽입하여 거치하면 그 고정부재(10)는 크로스바(2)의 상부면에서 장공(11)(11')을 따라 좌,우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재(10)의 일측에 형성된 차양요홈조(22)에 차양막(20)의 측단을 삽입하되, 그 차양막(20)의 마감단부(21)에는 로프(3)가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재봉 또는 융착되어 있으므로 그 로프(3)가 내장된 마감단부(21)를 차양요홈조(22)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재(10)의 타측에 형성된 인장요홈조(32)에는 별도의 인장막(30)를 삽압하되, 그 인장막(30)의 마감단부(31)에도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은 로프(3)가 삽입되어 있어, 그 인장요홈조(32)의 측단으로부터 그 인장막(30)의 마감단부(31)를 슬라이딩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고정부재(10)의 양측에 차양막(20)과 인장막(30)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 차양막(20)에 장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도 3b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인장막(30)의 타측단에 별도의 클램프(40)를 고정하여 이를 별도의 인장기 에 고정하여 그 인장막(30)을 잡아당기면 인장막(30)의 장력이 차양막(20)으로 전해져 그 차양막(20)은 고정부재(10)를 통해 전체면이 고르게 잡아당겨지는 것이다.
따라서, 그 차양막(20) 전체면에 인장력이 부여되므로 장력의 편심없이 고르게 장력이 부여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때의 고정부재(10)는 크로스바(2)의 고정볼트(4)(4')로부터 고정부재(10)의 장공(11)(11')이 일측으로 편심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그 장공(11)(11')의 상측으로 노출된 고정볼트(4)(4')의 단부에 고정너트(5)를 견고하게 각각 결합하여 고정하면 그 차양막(20)에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크로스바(2)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인장막(30)의 단부에 물려 있던 클램프(40)를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인장막(30)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차양막(20)의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연결천막으로 사용되다가, 이를 이용하여 건물간 경계마감막으로 사용하거나 천막 측면의 방풍막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먼저, 건물간 경계마감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a의 도시와 같이 차양막(20)에 장력에 부여된 상태에서 그 인장막(30)을 상향 위치시켜 이를 도 4b의 도시와 같이 인정된 건물의 측벽에 고정하게 되면, 보다 넓은 천막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도, 천막과 건물 사이의 경계부를 마감할 수 있어 누수되거나 이물질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며, 서로 반대의 경사면을 갖고 있는 차양막(20)과 인장막(30)에 의해 그 천막의 양측단에는 자연스럽게 배수로가 확보되므로 이를 통해 빗물 등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인장막을 천막의 방풍막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양막(20)에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그 인장막(30)을 천막의 측면으로 그대로 늘어트려 방풍막의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으나, 방수 등의 문제점을 고려할 때 도 5a 내지 도 5b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마감부재(10)를 크로스바(2)의 외측면에 고정 형성하여, 상측의 차양요홈조(22)에는 차양막(20)의 하측 마감단부(21)가 삽입 고정되게 하고, 하측의 인장요홈조(32)에는 인장막(30)의 상측 마감단부(31)가 각각 삽입 고정되게 함으로서,
선술한 장력부여과정을 통해 그 차양막(20)에 장력을 부여시킨 다음, 클램프(40)를 제거하게 되면 그 인장막(30)은 자연스럽게 하향으로 늘어지며 천막의 측면 방풍막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건물간 연결상태로 천막을 설치하거나 독립적인 개체의 천막으로도 각각 적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며, 차양막에 균일하고도 안정된 장력을 부여함에 따라 천막의 안정된 설치가 장기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은, 작업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그 차양막 전체면을 고르게 잡아당겨 균일하고 강인한 장력이 부여되게 함은 물론 그 장력부여시 사용된 인장막을 이용하여 건물간 경계부를 마감하는 연결천막으로 사용되게 하거나, 단독 설치상태의 천막에는 측면 방풍막으로 사용되게 하여 그 효율성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천막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막프레임의 분리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 천막프레임으로부터 그 천막에 장력을 부여하는 과정도로서,
도 3a는 천막에 장력이 부여되기 전의 측단면 상세도
도 3b는 천막에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된 측단면 상세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 천막프레임에 의해 시공된 천막의 사용상태예도로서,
도 4a는 인장천막을 건물간 경계 연결부재로 사용되게 한 확대단면도
도 4b는 경계 연결부재로 사용된 인장천막의 사용상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 천막프레임에 의해 시공된 천막의 또다른 사용상태예도로서,
도 5a는 인장천막을 천막 측면을 방풍막으로 사용되게 한 확대단면도
도 5b는 방풍막으로 사용된 인장천막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지지각 2 : 크로스바
3 : 로프 4,4' : 고정볼트
5 : 고정너트
10 : 고정부재 11,11' : 장공
20 : 차양막 21 : 마감단부
22 : 차양요홈조
30 : 인장막 31 : 마감단부
32 : 인장요홈조
40 : 클램프

Claims (4)

  1. 복수의 지지각(1)(1')과, 그 지지각(1)(1')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크로스바(2)와, 상기 크로스바(2)의 상측에 설치되는 차양막(20)으로 된 공지의 천막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2)의 선단에는 일정간격의 고정볼트(4)(4')를 연속하여 형성하고, 그 크로스바(2)의 상측에는 별도의 고정부재(10)를 고정 형성하되,
    상기한 고정부재(10)는, 중앙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장공(11)(11')을 갖고, 그 일측에는 차양막(20)의 마감단부(21)가 삽입되는 개구상의 차양요홈조(22)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인장막(30)의 마감단부(31)가 삽입되는 개구상의 인장요홈조(32)를 각각 형성하여,
    별도의 클램프(40)로부터 상기 인장막(30)의 타측 단부를 인장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너트(5)를 상기 고정부재(10)의 장공(11)(11')으로 노출된 고정볼트(4)(4')에 결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차양막(20)과 인장막(30)의 마감단부(21)(31)에는, 로프(3)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마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인장막(30)을, 인접된 건물 측벽에 고정하여 이에 의해 경사상의 차양막(20)과 인장막(30)에 의해 천막의 배수로가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고정부재(10)를, 크로스바(2)의 외측면에 고정되게 하여 그 인장막(30)에 의해 천막의 방풍막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KR20-2004-0037665U 2004-12-31 2004-12-31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KR200380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65U KR200380750Y1 (ko) 2004-12-31 2004-12-31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65U KR200380750Y1 (ko) 2004-12-31 2004-12-31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750Y1 true KR200380750Y1 (ko) 2005-04-07

Family

ID=4368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665U KR200380750Y1 (ko) 2004-12-31 2004-12-31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75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15B1 (ko) * 2005-04-26 2008-01-07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야외용 천막구조물
KR102291127B1 (ko) * 2021-05-11 2021-08-19 주식회사 에이스돔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KR102349172B1 (ko) * 2021-04-21 2022-01-11 주식회사 맥스플랜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
KR102528234B1 (ko) 2022-09-23 2023-05-03 매이크앤 주식회사 막장력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15B1 (ko) * 2005-04-26 2008-01-07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야외용 천막구조물
KR102349172B1 (ko) * 2021-04-21 2022-01-11 주식회사 맥스플랜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
KR102291127B1 (ko) * 2021-05-11 2021-08-19 주식회사 에이스돔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KR102528234B1 (ko) 2022-09-23 2023-05-03 매이크앤 주식회사 막장력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562B1 (ko)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차양 시스템
US5613543A (en) Temporary protective covering system
US4191361A (en) Lockbar for fence post mounting
KR200380750Y1 (ko)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EP2136016A1 (en) Bower
KR101397640B1 (ko) 스탠드용 막 구조물
US10378787B2 (en) Dry open window (DOW) apparatus
KR200320122Y1 (ko) 파고라 조형물의 차양막 테두리 장력조절구조
KR100528577B1 (ko) 사면설치 가능한 차양시스템
JP2000096877A (ja) オーニング装置
KR200386358Y1 (ko)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JP7133529B2 (ja) 日除けの支持構造
US10876759B2 (en) Dry open window (DOW) apparatus
KR100725840B1 (ko) 천막의 구조
JP3967643B2 (ja) 建築現場用テント
US6644610B1 (en) Bracket for sun shade and assembly using it
JP6151833B1 (ja) テントの雨水の排水具
KR102349172B1 (ko) 구조물용 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고정방법
KR100760614B1 (ko) 말안장 형태로 된 입체지붕과 그 입체지붕으로부터슬라이딩되는 개폐지붕을 갖는 막구조물
KR20180002574U (ko) 전동식 수평이동 차양장치
KR200234887Y1 (ko) 행사용 대형천막의 천막고정프레임
US20110120029A1 (en) Flexible material greenhouse or building "umbrella vent" system
KR200367707Y1 (ko) 지붕 개폐가 가능한 가설 천막 구조
KR200174933Y1 (ko) 차양막의 기밀구조
KR200320120Y1 (ko) 파고라 조형물의 차양막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