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127B1 -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1127B1 KR102291127B1 KR1020210060531A KR20210060531A KR102291127B1 KR 102291127 B1 KR102291127 B1 KR 102291127B1 KR 1020210060531 A KR1020210060531 A KR 1020210060531A KR 20210060531 A KR20210060531 A KR 20210060531A KR 102291127 B1 KR102291127 B1 KR 1022911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kjae
- membrane
- membrane structure
- adjacent
- main arm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E04B7/10—Shell structures, e.g. of hyperbolic-parabolic shape; Grid-like formations acting as shell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포스트 상단에 종횡으로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메인암과, 이의 상측에 펼쳐지게 배치되되 상기 각 메인암 중 종방향으로 배치된 메인암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막재와, 상기 막재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 중공(中共)을 갖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막 구조물에서 상기 마감부의 중공에 삽입되는 케이블; 인접한 두 막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팅유닛; 인접한 두 막재의 하부 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암에 상기 커넥팅유닛을 장착하면서 상기 커넥팅유닛에 대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는 텐션조절유닛; 및 인접한 두 막재 사이로 유입된 우수(雨水)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수단;을 포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막 구조물 중 대형 막 구조물에서 지붕을 이루는 일정 크기의 막재와 막재 사이를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우수에 대한 배수가 가능하며, 막재에 대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막 구조물의 막재에서 인접한 두 막재 간의 연결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막재 간의 용이하고 견고한 연결은 물론 우수(雨水) 배수 구조를 갖는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막구조(membrane structure)란 코팅된 직물(coated fabrics)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구조로 건축적 표현가능성의 다양함과 아름다운 조형미 등에 기인하여 계속적인 증가추세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되는 막재료의 투광성 때문에 내부공간이 밝고 경량성, 시공성 등에서 이점이 있으며, 새로운 막재료의 개발에 따라 기존의 다른 구조 방식과 비교하여 동등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갖추고 있다. 대규모 스타디움, 실내경기장과 같은 대공간 구조물의 주요한 구조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야외 공연장, 박람회 관련시설 뿐만 아니라 재래시장 개량화, 파고라, 주택 등에 까지 그 적용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막 구조물을 이루는 막재는 통상 방수 및 발수 특성을 가진 합성섬유로 제조되며 그 크기가 매우 크고 지붕 형태에 따라 일정 크기의 원단으로 제작한 후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막재 원단을 서로 잇기 위한 연결 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68572호 (2007.10.12.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탄력성과 누수방지가 우수한 삽입막 지지용 연결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1은 복수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에 빗물이나 눈이 스며들지 않도록 삽입막(fabric)이 탄력성 있게 연결되어 설치됨으로써,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된 부위에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력성과 누수방지가 우수한 삽입막 지지용 연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128873호 (2010.12.08.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천막 연결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2는 천막을 끼울 수 있도록 일측면에 천막삽입홈이 형성되고 끝단이 걸이구로 구성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의 걸이구에 걸 수 있도록 걸이구와 천막을 끼울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제2체결부로 구성됨으로써,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서로 걸이구로 걸어서 연결할 수 있어 짧은 천막으로 대형천막에 사용할 수 있는 천막 연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05405호 (2016.03.1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지붕막 연결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3은 지붕막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구비되어 지붕막을 인장시키는 막장력유지부와, 구조물에 고정되는 지붕막의 고정부위를 커버하도록 구조물에 구비되는 막커버부와, 이 막커버부가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구조물에 탈착되는 커버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지붕막을 동시에 전개하여 설치할 수 있고 지붕막의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붕막의 연결부위로 빗물이나 눈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붕막의 연결부위를 커버하여 막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붕막 연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20949호 (2019.09.05.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4'라고 함) 『지붕막 방수형 연결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4는 마주보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가 중심부위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지붕막을 지지하는 하부플레이트와, 지붕막의 상측에 접하고, 하부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와, 지붕막에 연결되고,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를 커버하여 방수하는 한 쌍의 커버막과, 커버막을 각각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부플레이트 사이 또는 하부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는 착탈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면서 지붕막 연결부위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지붕막을 가압 및 실링하는 상,하부플레이트에 하중집중부를 형성하여 지붕막에 체결된 체결부재에 하중이 집중되어 지붕막이 쭈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붕막 방수형 연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인접한 두 막재 간의 테두리에 삽입된 케이블 측이 전후로 슬라이딩 삽입됨에 따라 결합 구조가 간단하면서 견고한 연결이 가능한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두 막재 간의 우수 유입 시 이를 배수할 수 있는 라인 구조를 형성하여 지붕을 이루는 막재가 쳐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인암과 이의 상부 측에 펼쳐진 막재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막재에 대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포스트 상단에 종횡으로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메인암과, 이의 상측에 펼쳐지게 배치되되 상기 각 메인암 중 종방향으로 배치된 메인암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막재와, 상기 막재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 중공(中共)을 갖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막 구조물에서 상기 마감부의 중공에 삽입되는 케이블;
인접한 두 막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팅유닛;
인접한 두 막재의 하부 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암에 상기 커넥팅유닛을 장착하면서 상기 커넥팅유닛에 대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는 텐션조절유닛; 및
인접한 두 막재 사이로 유입된 우수(雨水)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는,
막 구조물 중 대형 막 구조물에서 지붕을 이루는 일정 크기의 막재와 막재 사이를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우수에 대한 배수가 가능하며, 막재에 대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막 구조물 및 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연결 장치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 장치에 커버가 더 마련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 구성도,
도 6은 다른 예의 유통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정단면 구성도,
도 7은 드레인홀의 프론트 및 리어 슬로프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8은 다른 예의 유통홀 배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 장치에 커버가 더 마련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 구성도,
도 6은 다른 예의 유통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정단면 구성도,
도 7은 드레인홀의 프론트 및 리어 슬로프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8은 다른 예의 유통홀 배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를 기준으로 커넥팅유닛의 커넥팅바디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메인암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아울러 이하에서 언급할 막 구조물(S)은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포스트(1) 상단에 종횡으로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메인암(2)과, 이의 상측에 펼쳐지게 배치되되 상기 각 메인암(2) 중 종방향으로 배치된 메인암(2)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막재(3)와, 상기 막재(3)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 중공(中共)을 갖는 마감부(4)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는,
크게 케이블(10), 커넥팅유닛(20), 텐션조절유닛(30) 및 드레인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케이블(1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4)의 중공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막재(3)의 테두리 단부를 접어 재봉 또는 초음파 접착 등을 통해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마감부(4)의 중공 내로 삽입되는 단면이 원형인 케이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팅유닛(2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막재(3)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메인암(2)의 상부 측에 상기 메인암(2)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커넥팅바디(21), 그리고
상기 커넥팅바디(21)의 상단 좌우 측 내부 영역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면서 서로 마주하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開口)부(221)를 갖고 인접한 두 막재(3)에서 케이블(10)이 삽입된 마감부(4) 단부가 전후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한 쌍의 리세스(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리세스(22)는 상기 막재(3)의 마감부(4)에서 상기 케이블(10)이 배치된 중공과 상응하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갖고, 아울러 상기 각 리세스(22)의 개구부(221)는 상기 막재(3)의 마감부(4)에서 중공을 벗어난 부위와 상응하거나 다소 큰 공간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개구부(221)는 상기 리세스(22)에 배치된 마감부(4)의 단부가 측방향으로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의 공간 크기를 갖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접한 두 막재(3)에서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각 리세스(22) 내에 배치됨에 따라 인접한 두 막재(3)의 상호 연결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텐션조절유닛(3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막재(3)의 하부 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암(2)에 상기 커넥팅유닛(20)을 장착하면서 상기 커넥팅유닛(20)에 대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넥팅바디(21)의 하단에 하방 연장되는 중계부(31),
상기 중계부(31)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단면이 U자형인 토우브래킷(32),
상기 토우브래킷(32)의 양단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중계부(31)를 지나는 토우핀(tow pin)(33),
상기 커넥팅바디(21)의 하부 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메인암(2)의 상부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단면이 ┌┐자형인 서포트브래킷(34),
상기 토우브래킷(32)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브래킷(34)에 타단이 삽입되는 조절볼트(35), 그리고
상기 조절볼트(35)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서포트브래킷(34)의 내부면에 지지되는 조절너트(3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조절너트(36) 조임 시 상기 조절볼트(35)가 하강하게 되고, 이때에 상기 커넥팅유닛(20)은 물론 이에 의해 연결된 인접한 두 막재(3)가 함께 하부 측으로 당겨지면서 막재(3)에 대한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조절볼트(35)와 조절너트(36)는 상기 토우브래킷(32)과 상기 서포트브래킷(34)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이러한 간격이나 배치 수량은 막재(3)의 크기나 중량에 따라 적절히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브래킷(34)의 양 측벽에는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조절너트(36)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공구삽입홀(341)이 형성되는데, 이 공구삽입홀(341)은 상기 조절너트(36)를 조이거나 풀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작업자가 상기 조절너트(36)를 용이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아울러 상기 텐션조절유닛(30)에는 상기 토우브래킷(32)의 하부면과 상기 서포트브래킷(34)의 상부면 각각에 배치되면서 상기 조절볼트(35)에 체결되는 한 쌍의 홀딩너트(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수단(4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막재(3) 사이로 유입된 우수(雨水)를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넥팅바디(21)에서 상기 각 리세스(22)를 사이에 두고 하부 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면서 상기 커넥팅바디(21)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드레인홀(41), 그리고
상기 각 리세스(22)와 상기 드레인홀(41)을 상호 연통시키며 상기 리세스(22)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유통홀(4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각 리세스(22)와 상기 드레인홀(41) 각각은 원형의 홀 구조이고, 상기 각 유통홀(42)은 좌측 리세스(22)의 우측 하단과 드레인홀(41)의 좌측 상단을, 그리고 우측 리세스(22)의 좌측 하단과 드레인홀(41)의 우측 상단 각각을 상호 연통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각 리세스(22)에 우수 유입 시 우수가 리세스(22)의 바닥에 고여 정체될 수 있고, 이렇게 정체된 우수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모기 유충이 번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드레인홀(41)에도 완전히 배수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고인 우수에서도 전술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각 유통홀(42)은 상기 각 리세스(22)의 사분점 중 제3사분점 영역과 상기 드레인홀(41)의 사분면 중 제3 및 제4 사분면 영역을 상호 연통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한 '사분점'이라 함은 원의 90도 지점, 원의 180도 지점, 원의 270도 지점, 원의 360(또는 0)도 지점을 의미하고, 각 지점을 순서대로 제1사분점, 제2사분점, 제3사분점, 제4사분점이라고 한다. 결국 상기 각 리세스(22)의 사분점 중 제3사분점은 리세스(22)의 270도 지점에 해당하는 최하단 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한 '사분면'이라 함은 원의 0~90도 영역, 90~180도 영역, 180~270도 영역, 270~360도 영역을 의미하고, 각 영역을 순서대로 제1사분면, 제2사분면, 제3사분면, 제4사분면이라고 한다. 결국 상기 드레인홀(41)의 사분면 중 제3사분면은 드레인홀(41)의 180~270도 영역이고, 제4사분면은 드레인홀(41)의 270~360도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각 리세스(22)에 우수 유입 시 우수가 바닥 최하단 영역에 정체되지 않고 바로 상기 각 유통홀(42)을 따라 상기 드레인홀(41) 측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각 유통홀(42)에서 좌측 리세스(22)에 위치한 유통홀(42)들과 우측 리세스(22)에 위치한 유통홀(42)들이 서로 마주보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집중 호우 시 좌우 유통홀(42)로 우수가 집중되어 흐름의 정체가 발생할 수 있기에,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각 유통홀(42) 중 좌측에 위치한 리세스(22)의 유통홀(42)들과 우측에 위치한 리세스(22)의 유통홀(42)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우수의 흐름을 분산시켜 정체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드레인홀(41)에는 이의 바닥면을 전후로 분반(分半)하여 전방 측 분반 영역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는 프론트슬로프(411)와, 후방 측 분반 영역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는 리어슬로프(41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드레인홀(41)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슬로프(411, 412)를 따라 안내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됨에 따라 우수가 고여 머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는 커버(5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커버(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바디(21)의 상단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넥팅바디(21)의 상단 형상과 대응되는 하부면을 갖고 상면이 호형(弧形)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양단부에 후크 형태의 걸림부가 있어 이 걸림부가 상기 각 리세스(22)의 개구부(221) 일부에 탄성적으로 걸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장착이 가능하고, 외관상 보기가 좋으며 여러 색상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디자인적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막 구조물
1 : 포스트
2 : 메인암
3 : 막재
4 : 마감부
10 : 케이블
20 : 커넥팅유닛
21 : 커넥팅바디
22 : 리세스
221 : 개구부
30 : 텐션조절유닛
31 : 중계부
32 : 토우브래킷
33 : 토우핀
34 : 서포트브래킷
341 : 공구삽입홀
35 : 조절볼트
36 : 조절너트
37 : 홀딩너트
40 : 드레인수단
41 : 드레인홀
411 : 프론트슬로프
412 : 리어슬로프
42 : 유통홀
50 : 커버
1 : 포스트
2 : 메인암
3 : 막재
4 : 마감부
10 : 케이블
20 : 커넥팅유닛
21 : 커넥팅바디
22 : 리세스
221 : 개구부
30 : 텐션조절유닛
31 : 중계부
32 : 토우브래킷
33 : 토우핀
34 : 서포트브래킷
341 : 공구삽입홀
35 : 조절볼트
36 : 조절너트
37 : 홀딩너트
40 : 드레인수단
41 : 드레인홀
411 : 프론트슬로프
412 : 리어슬로프
42 : 유통홀
50 : 커버
Claims (7)
-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포스트(1) 상단에 종횡으로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메인암(2)과, 이의 상측에 펼쳐지게 배치되되 상기 각 메인암(2) 중 종방향으로 배치된 메인암(2)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막재(3)와, 상기 막재(3)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 중공(中共)을 갖는 마감부(4)를 포함하는 막 구조물(S)에서 상기 마감부(4)의 중공에 삽입되는 케이블(10);
인접한 두 막재(3)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팅유닛(20);
인접한 두 막재(3)의 하부 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암(2)에 상기 커넥팅유닛(20)을 장착하면서 상기 커넥팅유닛(20)에 대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는 텐션조절유닛(30); 및
인접한 두 막재(3) 사이로 유입된 우수(雨水)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수단(40);
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팅유닛(20)은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메인암(2)의 상부 측에 상기 메인암(2)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커넥팅바디(21)와, 상기 커넥팅바디(21)의 상단 좌우 측 내부 영역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면서 서로 마주하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開口)부(221)를 갖고 인접한 두 막재(3)에서 케이블(10)이 삽입된 마감부(4) 단부가 전후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한 쌍의 리세스(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레인수단(40)은 상기 커넥팅바디(21)에서 상기 각 리세스(22)를 사이에 두고 하부 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면서 상기 커넥팅바디(21)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드레인홀(41)과, 상기 각 리세스(22)와 상기 드레인홀(41)을 상호 연통시키며 상기 리세스(22)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유통홀(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리세스(22)와 상기 드레인홀(41) 각각은 원형의 홀 구조이고,
상기 각 유통홀(42)은 상기 각 리세스(22)의 사분점 중 제3사분점 영역과 상기 드레인홀(41)의 사분면 중 제3 및 제4 사분면 영역을 상호 연통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통홀(42) 중 좌측에 위치한 리세스(22)의 유통홀(42)들과 우측에 위치한 리세스(22)의 유통홀(42)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홀(41)에는 이의 바닥면을 전후로 분반(分半)하여 전방 측 분반 영역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는 프론트슬로프(411)와, 후방 측 분반 영역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는 리어슬로프(4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팅바디(21)의 상단을 덮어 보호하는 커버(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유닛(30)은
상기 커넥팅바디(21)의 하단에 하방 연장되는 중계부(31)와,
상기 중계부(31)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단면이 U자형인 토우브래킷(32)과,
상기 토우브래킷(32)의 양단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중계부(31)를 지나는 토우핀(tow pin)(33)과,
상기 커넥팅바디(21)의 하부 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메인암(2)의 상부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단면이 ┌┐자형인 서포트브래킷(34)과,
상기 토우브래킷(32)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브래킷(34)에 타단이 삽입되는 조절볼트(35)와,
상기 조절볼트(35)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서포트브래킷(34)의 내부면에 지지되는 조절너트(36)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0531A KR102291127B1 (ko) | 2021-05-11 | 2021-05-11 |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0531A KR102291127B1 (ko) | 2021-05-11 | 2021-05-11 |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1127B1 true KR102291127B1 (ko) | 2021-08-19 |
Family
ID=7749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0531A KR102291127B1 (ko) | 2021-05-11 | 2021-05-11 |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1127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750Y1 (ko) * | 2004-12-31 | 2005-04-07 |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
KR100768572B1 (ko) | 2006-12-29 | 2007-10-19 | 손영호 | 탄력성과 누수방지가 우수한 삽입막 지지용 연결장치 |
KR20100128873A (ko) | 2009-05-29 | 2010-12-08 | 허갑신 | 천막 연결장치 |
KR101397640B1 (ko) * | 2013-07-03 | 2014-05-23 | 주식회사 에이맥스 | 스탠드용 막 구조물 |
KR101605405B1 (ko) | 2014-07-21 | 2016-03-23 | 주식회사 타이가 | 지붕막 연결장치 |
KR102020949B1 (ko) | 2019-03-07 | 2019-09-11 | (주)타이가 | 지붕막 방수형 연결장치 |
-
2021
- 2021-05-11 KR KR1020210060531A patent/KR1022911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750Y1 (ko) * | 2004-12-31 | 2005-04-07 |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천막프레임 |
KR100768572B1 (ko) | 2006-12-29 | 2007-10-19 | 손영호 | 탄력성과 누수방지가 우수한 삽입막 지지용 연결장치 |
KR20100128873A (ko) | 2009-05-29 | 2010-12-08 | 허갑신 | 천막 연결장치 |
KR101397640B1 (ko) * | 2013-07-03 | 2014-05-23 | 주식회사 에이맥스 | 스탠드용 막 구조물 |
KR101605405B1 (ko) | 2014-07-21 | 2016-03-23 | 주식회사 타이가 | 지붕막 연결장치 |
KR102020949B1 (ko) | 2019-03-07 | 2019-09-11 | (주)타이가 | 지붕막 방수형 연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04980A (en) | Arched support structure with cover | |
US10858856B1 (en) | Modular tent construction and components thereof | |
AU2003292712A1 (en) | Crosswind-resistant outdoor tent | |
KR102291127B1 (ko) | 막 구조물의 막재 연결 장치 | |
AU624905B2 (en) | Tent construction | |
KR101397640B1 (ko) | 스탠드용 막 구조물 | |
US5709238A (en) | Tent-frame construction | |
KR101190055B1 (ko) | 막구조물에 대한 수직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 |
US8220475B2 (en) | Portable structure configured to drain rainwater | |
KR200386358Y1 (ko) |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 |
US10914096B1 (en) | Tent with transparent top | |
KR101114464B1 (ko) | 타프 | |
KR101517397B1 (ko) | 하이테크 클램핑 방식을 이용한 막 손상 방지형 막 구조물 | |
US20230235564A1 (en) | Watercraft Canopy Extension for Existing Covered Dock | |
CA2731430C (en) | Saddle shaped tent with portico | |
US20010042563A1 (en) | Fixed geometry shelter for use in camping and related outdoor activities | |
CN209780294U (zh) | 用于施工现场的挡雨集水棚 | |
CN209994975U (zh) | 通风避雨大棚 | |
CN218483366U (zh) | 一种拱杆结构及温室大棚 | |
RU98455U1 (ru) | Павильон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тентовый (варианты) | |
KR20110001625U (ko) | 플로우팅 텐트 | |
JP2623072B2 (ja) | ドーム型仮設テントとその組立方法 | |
US7182092B1 (en) | Tent eve | |
KR102513771B1 (ko) |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 |
KR200234887Y1 (ko) | 행사용 대형천막의 천막고정프레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