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771B1 -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771B1
KR102513771B1 KR1020220143754A KR20220143754A KR102513771B1 KR 102513771 B1 KR102513771 B1 KR 102513771B1 KR 1020220143754 A KR1020220143754 A KR 1020220143754A KR 20220143754 A KR20220143754 A KR 20220143754A KR 102513771 B1 KR102513771 B1 KR 102513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oof
artificial turf
rainwater
soundproof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to KR102022014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9Artificial gr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터널 지붕에 인조잔디가 조성된 상태에서 빗물의 배수 안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방음터널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주(10)에 의해 도로 상부에 일정 높이로 지지되는 트러스 프레임(20)과, 상기 트러스 프레임(20) 상부에 교차 형태를 이루어 안착 지지되는 각파이프(40)와; 상기 각파이프(40) 상부에 안착 구성되는 지붕 방음판(30)을 포함하는 방음터널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각파이프(40)는 가로 각파이프(41)와 세로 각파이프(42)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 프레임(20) 상부에는 각파이프(40)를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지지구(60)가 안착 구성되며; 상기 각파이프(40)는 지붕 방음판(30) 틈새 부위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면에 우수 안내홈(40a)이 형성되고; 상기 지붕 방음판(30) 상부에는 인조잔디(50)가 구성되며; 상기 인조잔디(50)의 고정력 향상을 위해 지붕 방음판(30) 상면에는 고정 돌부(31)가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Soundproof tunnel structure with artificial turf roof}
본 발명은 방음터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터널의 지붕에 인조잔디를 시공함에 있어서 배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방음터널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량 소음이 주변 아파트 또는 주택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벽 등과 같은 방음시설이 설치된다.
최근에는 방음벽의 높이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방음터널의 적용사례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방음터널은 도로의 양측면 및 상부 지붕 부위를 완전히 밀폐시켜 도로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도로 내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행 소음 또한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방음터널의 친환경적인 외관 구현을 위해 터널 상부에 식생부가 구비된 방음터널이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방음터널에 조성된 식생부는 토양의 무게로 인해 터널 구조물의 하중을 증가시키면서 구조적 안전성을 저해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본 출원인의 선등록 기술(하기 선행 특허문헌 1)에서는 방음터널 지붕에 인조잔디를 시공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식생부 또는 인조잔디를 시공하는 경우 눈이나 비가 왔을 경우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식생부가 물기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방음터널의 구조적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448813호(2022.09.26.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719711호(2017.03.20.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인조잔디가 구비된 방음터널 지붕에서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방음터널 구조체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지주에 의해 도로 상부에 일정 높이로 지지되는 트러스 프레임과, 상기 트러스 프레임 상부에 교차 형태를 이루어 안착 지지되는 각파이프와; 상기 각파이프 상부에 안착 구성되는 지붕 방음판을 포함하는 방음터널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각파이프는 가로 각파이프와 세로 각파이프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 프레임 상부에는 각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지지구가 안착 구성되며; 상기 각파이프는 지붕 방음판 틈새 부위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면에 우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붕 방음판 상부에는 인조잔디가 구성되며; 상기 인조잔디의 고정력 향상을 위해 지붕 방음판 상면에는 고정 돌부가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음터널 구조체는, 터널 지붕에 인조잔디가 조성된 상태에서 빗물의 배수 안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방음터널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방음터널 개략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트러스 방음터널의 트러스 지지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지붕 방음판 단면 상세도.
도 4는 도 2의 A-A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각파이프 지지부 구성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파이프 지지구 상세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파이프 지지구와 각파이프 분리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각파이프 배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 구성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방음판 평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조잔디가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를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방음터널 구조체는, 지주(10)에 의해 도로 상부에 일정 높이로 지지되는 트러스 프레임(20)과, 상기 트러스 프레임(20) 상부에 교차 형태를 이루어 안착 지지되는 각파이프(40)와; 상기 각파이프(40) 상부에 안착 구성되는 지붕 방음판(30)을 포함하는 통상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상기 각파이프(40)는 가로 각파이프(41)와 세로 각파이프(42)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 프레임(20) 상부에는 각파이프(40)를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지지구(60)가 안착 구성되며, 상기 각파이프(40)는 지붕 방음판(30) 틈새 부위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면에 우수 안내홈(40a)이 형성되고, 상기 지붕 방음판(30) 상부에는 인조잔디(50)가 구성되며, 상기 인조잔디(50)의 고정력 향상을 위해 지붕 방음판(30) 상면에는 고정 돌부(31)가 돌출 구비된다.
특히, 상기 트러스 프레임(20)은 원형강관 형태의 단면 형상을 이루되, 상현재(21)와 하현재(22)가 경사재(23)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파이프 지지구(60) 하부에는 상현재(21)에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곡면 형상을 이루는 하부 안착홈(61)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가로 각파이프(4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안착홈(62)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세로 각파이프(42)가 거치될 수 있는 파이프 거치홈(63)이 좌우 대칭 형태를 이루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 지지구(60)에는 가로 각파이프(41)와 세로 각파이프(42)의 배수유로가 연결될 수 있도록 유로 안내공(6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로 안내공(64)과 대응되는 가로 프레임(41)에는 통공(44)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방음터널 구조체의 시공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음터널 구조체는 지붕 뼈대 구조를 이루게 되는 트러스 프레임(20)의 상부에 격자 구조를 이루는 각파이프(40)가 안착되고, 그 위에 철판 구조물인 지붕 방음판(30)이 구비됨과 함께 인조잔디(50)가 안착되는 과정을 통한 지붕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원형 강관 구조를 이루는 트러스 프레임(20)의 상현재(21)에는 파이프 지지구(60)의 안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각파이프(40)는 파이프 지지구(60)에 거치되는 형태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각파이프(40)를 이루는 가로 각파이프(41)와 세로 각파이프(42)가 상부에 우수 안내홈(40a)이 형성됨과 함께 상호간에 파이프 지지구(60) 부위에서 통공(44) 및 유로 안내공(64) 구조를 통한 배수로 연결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써 지붕 방음판(30) 틈새 부위를 통해 유입된 우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철판 구조를 이루는 지붕 방음판(30)은 각파이프(40) 상부에 지지되는 형태로 안착이 이루어지며, 인조잔디(50)는 지붕 방음판(30)에 돌출 구비된 고정돌부(31)에 의해 걸림상태를 이룸으로써 안정적인 위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공된 본 발명의 방음터널 구조체는, 비 또는 눈이 왔을 때 빗물이 지붕 방음판(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어 각파이프(40)를 통한 신속한 배수 유로를 형성하게 되어, 인조잔디(50)를 포함하는 지붕에 물이 고이는 현상으로 인한 방음터널의 하중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붕 방음판(30)을 지지하는 각파이프(40)가 배수관 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되어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음터널 구조체는, 터널 지붕에 인조잔디가 조성된 상태에서 빗물의 배수 안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방음터널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유로 안내공(64)에는 우수 안내관(70)이 삽입 구성되되, 상기 우수 안내관(70)은 가로 각파이프(41)를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우수 안내관(70)에는 다수의 통공부(71)가 형성된다.
또한, 각파이프(40) 내벽면에는 이물질의 오염 및 점착 방지를 위한 점착 방지층(43)이 코팅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점착 방지층(43)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오일 10~30중량%, 폴리카프로락톤 5~20중량%, 하이포아인산나트륨 1~10중량%,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30중량%, 카올린 1~10중량%, 다이메틸설폭시화물 10~20중량%,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5~20중량%, 세테아릴옥타노에이트 1~15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파이프 지지구(60) 설치 부위에서 가로 각파이프(41)와 세로 각파이프(42) 상호간에 유로가 우수 안내관(70)에 의해 안정적인 연통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우수의 배수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각파이프(40) 내벽면에는 점착 방지층(43)이 코팅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 과정에서 이물질 점착 및 물때 형성으로 인한 내부 오염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점착 방지층(43)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오일, 폴리카프로락톤, 하이포아인산나트륨,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카올린, 다이메틸설폭시화물,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세테아릴옥타노에이트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붕 방음판(30) 사이에는 우수가 유입될 수 있는 우수 유입공(3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공(32)에는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망(33)이 구성된다.
또한, 각파이프(40)에 형성되는 우수 안내홈(40a)은 우수 유입공(3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우수 유입공(32) 및 우수 안내홈(40a)을 통한 빗물의 유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인조잔디(50)가 조성된 지붕에 물고임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물질이 각파이프(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필터망(33)에 의해 차단되어 배수유로의 막힘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방음터널 구조체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지붕 트러스 구조물이 수평 상태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아치형태 또는 돔형태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지주 20 : 트러스 프레임
21 : 상현재 22 : 하현재
23 : 경사재 30 : 지붕 방음판
31 : 고정돌부 32 : 우수 유입공
40 : 각파이프 40a: 우수 안내홈
41 : 가로 각파이프 42 : 세로 각파이프
43 : 점착 방지층 44 : 통공
50 : 인조잔디 60 : 파이프 지지구
61 : 하부 안착홈 62 : 상부 안착홈
63 : 파이프 거치홈 64 : 유로 안내공
70 : 우수 안내관 71 : 통공부

Claims (8)

  1. 지주(10)에 의해 도로 상부에 일정 높이로 지지되는 트러스 프레임(20)과, 상기 트러스 프레임(20) 상부에 교차 형태를 이루어 안착 지지되는 각파이프(40)와; 상기 각파이프(40) 상부에 안착 구성되는 지붕 방음판(30)을 포함하는 방음터널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각파이프(40)는 가로 각파이프(41)와 세로 각파이프(42)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 프레임(20) 상부에는 각파이프(40)를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지지구(60)가 안착 구성되며;
    상기 각파이프(40)는 지붕 방음판(30) 틈새 부위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면에 우수 안내홈(40a)이 형성되고;
    상기 각파이프(40) 내벽면에는 이물질의 오염 및 점착 방지를 위한 점착 방지층(43)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점착 방지층(43)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오일, 폴리카프로락톤, 하이포아인산나트륨,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카올린, 다이메틸설폭시화물,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세테아릴옥타노에이트의 혼합 조성을 이루며;
    상기 지붕 방음판(30) 상부에는 인조잔디(50)가 구성되고;
    상기 인조잔디(50)의 고정력 향상을 위해 지붕 방음판(30) 상면에는 고정 돌부(31)가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프레임(20)은 원형강관 형태의 단면 형상을 이루되, 상현재(21)와 하현재(22)가 경사재(23)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파이프 지지구(60) 하부에는 상현재(21)에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곡면 형상을 이루는 하부 안착홈(61)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가로 각파이프(4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안착홈(62)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세로 각파이프(42)가 거치될 수 있는 파이프 거치홈(63)이 좌우 대칭 형태를 이루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지지구(60)에는 가로 각파이프(41)와 세로 각파이프(42)의 배수유로가 연결될 수 있도록 유로 안내공(6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로 안내공(64)과 대응되는 가로 프레임(41)에는 통공(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로 안내공(64)에는 우수 안내관(70)이 삽입 구성되되, 상기 우수 안내관(70)은 가로 각파이프(41)를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우수 안내관(70)에는 다수의 통공부(7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붕 방음판(30) 사이에는 우수가 유입될 수 있는 우수 유입공(3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공(32)에는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망(3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파이프(40)에 형성되는 우수 안내홈(40a)은 우수 유입공(3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7. 삭제
  8. 삭제
KR1020220143754A 2022-11-01 2022-11-01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KR102513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754A KR102513771B1 (ko) 2022-11-01 2022-11-01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754A KR102513771B1 (ko) 2022-11-01 2022-11-01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771B1 true KR102513771B1 (ko) 2023-03-27

Family

ID=8579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754A KR102513771B1 (ko) 2022-11-01 2022-11-01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7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711B1 (ko) 2016-08-16 2017-03-24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787567B1 (ko) * 2016-12-21 2017-10-18 설준영 건축물 옥상 패널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00701B1 (ko) * 2018-01-03 2018-11-02 신영기술개발(주) 장대지간형 트러스 방음터널 및 그 시공공법
KR102271197B1 (ko) * 2020-07-03 2021-07-01 포인텍이앤씨(주) 배수구조를 구비한 방음터널
KR102448813B1 (ko) 2022-05-19 2022-09-29 주식회사 에스티 인조잔디가 구비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711B1 (ko) 2016-08-16 2017-03-24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787567B1 (ko) * 2016-12-21 2017-10-18 설준영 건축물 옥상 패널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00701B1 (ko) * 2018-01-03 2018-11-02 신영기술개발(주) 장대지간형 트러스 방음터널 및 그 시공공법
KR102271197B1 (ko) * 2020-07-03 2021-07-01 포인텍이앤씨(주) 배수구조를 구비한 방음터널
KR102448813B1 (ko) 2022-05-19 2022-09-29 주식회사 에스티 인조잔디가 구비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5577A (en) Noise-absorbing construction having live plants
KR100243397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다단계 옹벽구조물의 구축시스템
KR101389111B1 (ko) 방음터널
KR101266440B1 (ko) 터널형 방음시설
US4907910A (en) Roof structure for tunnel
KR200246947Y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통수로암거 구조
KR102513771B1 (ko)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KR101849173B1 (ko) 방수 기능을 구비한 아치형 조립식 터널형 방음벽
KR102029231B1 (ko) 방음터널용 기와형 지붕구조
KR20110020020A (ko) 세련된 외관을 갖는 빔 지지 교량의 배수구조
KR102448813B1 (ko) 인조잔디가 구비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563359B1 (ko) 수밀도를 높인 방음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방음터널
KR101759150B1 (ko) 방음터널 녹화시공방법
JP3130944U (ja) 鉄枠及び鉄受枠不要の横断型側溝ユニットと側面排水型グレーチング蓋
CN114837077A (zh) 集成附属功能的天桥主梁构造
CN211116009U (zh) 一种多层多功能市政隧道
KR200422723Y1 (ko) 수퍼 그레이팅.
KR102103117B1 (ko) 목재패널을 구비하는 방음패널 조립체
KR200420547Y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101973983B1 (ko)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KR100572860B1 (ko) 관통공이 형성된 가로보를 이용한 장지간 가설교량
KR200381696Y1 (ko) 관통공이 형성된 가로보를 이용한 장지간 가설교량
CN218263457U (zh) 一种防漏水桁架梁结构
KR102405311B1 (ko) 배수유도형 누수방지 방음터널
CN216892745U (zh) 一种排水沟组件以及排水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