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711B1 -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711B1
KR101719711B1 KR1020160103694A KR20160103694A KR101719711B1 KR 101719711 B1 KR101719711 B1 KR 101719711B1 KR 1020160103694 A KR1020160103694 A KR 1020160103694A KR 20160103694 A KR20160103694 A KR 20160103694A KR 101719711 B1 KR101719711 B1 KR 101719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roof
steel plate
vegetation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김문겸
손희준
이정현
정병우
Original Assignee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청암건업 주식회사
테크스타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청암건업 주식회사, 테크스타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external support, e.g. wall f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식생부(400)가 지붕 상부에 형성된 본 발명의 방음터널(10)은 트러스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좌우방향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 지붕(200); 지붕(200)의 좌우 단부에 설치된 기둥(300); 전후방향을 따라 파형의 단면구조가 형성되도록 지붕(200)의 상현재(210) 상부에 설치되는 파형강판(100); 파형강판(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식생부(400)의 토양을 지지하기 위해 지붕(200)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식생부 지지대(900);를 포함한다.
파형강판(100)의 상면에는 파형강판(10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파형강판(100)은 좌우방향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구배가 형성된 지붕(200)에 전후방향을 따라 파형의 단면구조가 형성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식생부에서 발생하는 물을 파형강판의 파형단면 중 아래로 볼록한 파형부로 자연배수할 수 있다.
또한, 방음터널의 상부에 식생부(400)를 설치하여 친환경적인 미관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THE SOUNDPROOF TUNNEL HAVING PLANTING SPA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거지역에 인접한 도로는 방음을 위해 방음터널을 설치한다. 방음터널은 풍하중 및 설하중에 안정적으로 저항하기 위해 일정 강도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최근에는 차량 및 철도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설치지역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음터널 측면에 그림을 그리거나, 조명을 설치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방음터널 구조는 소음차단에 중점을 두고 있을 뿐 친환경적인 구조물로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개발되지 않고 있다.
한국특허 10-2008-0038726호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는 도로상에 설치되는 방음터널, 도로캐노피 등과 같이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골조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구조물의 횡단골조 중앙부 즉 도로의 중앙분리대를 부분에 연직으로 솟은 연직기둥을 다수 개의 횡단골조 마다 제공하여 횡단골조와 직교하는 방향 즉 도로의 종방향으로 인장부재나 기타의 구조부재를 제공하여 상기 연직기둥에 지지 되도록 한 후, 한 개의의 연직기둥에 도로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횡단골조가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 형식이다.
위 한국특허 10-2008-0038726호는 방음터널의 효과적인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설치하여 터널을 지지하는 기술이다.
한국특허 10-2011-0099851호 '경량방음터널'은 방음터널의 뼈대를 이루는 기둥 부재와 지붕 부재를 모두 강관으로 구성하여 경량화를 이루면서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지붕 부재에 설치되는 방음판의 설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기둥 부재에 설치되는 방음판의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토출 소음을 저감시켜 방음터널의 연장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경량 방음터널에 관한 것이다.
위 발명에 따른 경량 방음터널은, 도로의 양쪽 변을 따라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지는 강관 기둥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강관 기둥의 상단에 연결되는 트러스형 지붕 부재로 구성되어 방음터널의 뼈대를 이루고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 개의 골조 프레임, 이웃하는 2개의 골조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가새, 상기 트러스형 지붕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붕 방음판 및 상기 강관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측면 방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한국특허 10-2011-009851호 방음터널에 사용되는 구성부재를 경량화하고, 설치구조를 개선한 기술이다.
한국특허 10-2010-0062071호 '방음터널 및 방음터널의 설치방법'은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여 설치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이 편리하여 작업 속도가 신속하게 될 수 있는 방음터널 및 방음터널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구조물에 고정된 복수의 H빔들을 구비한 방음터널을 제공하는바, 상기 방음터널은: H빔을 따라서 H빔의 상면에 고정되고, 양쪽 상측 측부에 단차부가 형성된 종단부재; H빔에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종방향 외측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제1 횡단부재 및 제2 횡단부재; 상기 제1 횡단부재 및 제2 횡단부재의 종방향 내측이 각기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2개의 종단부들, 및 인접한 종단부재의 대향된 단차부들에 걸쳐지는 2개의 횡단부들을 구비한 방음판; 상기 종단부재와 함께 방음판의 횡단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종단부재 위에 고정되는 종단부재 캡; 및 서로 맞물린 제1 횡단부재 및 제2 횡단부재의 상측부를 함께 덮는 횡단부재캡;을 포함한다.
위 한국특허 10-2010-0062071호는 복수의 H빔과 방음판을 사용한 방음터널에 관한 기술로서, 작업공간 확보를 통해 방음터널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그 종래기술의 설명에 한정되어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풍하중 및 설하중에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경량화 방음터널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방음터널의 소음차단효과는 증대시키고, 친환경적인 구조물로서 설치지역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식생부(400)가 지붕 상부에 형성된 본 발명의 방음터널(10)은 트러스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좌우방향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 지붕(200); 상기 지붕(200)의 좌우 단부에 설치된 기둥(300); 전후방향을 따라 파형의 단면구조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붕(200)의 상현재(210) 상부에 설치되는 파형강판(100); 상기 파형강판(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식생부(400)의 토양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붕(200)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식생부 지지대(900);를 포함한다.
상기 지붕(200)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상현재(210); 상기 상현재(210)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하현재(220); 상기 상현재(210)와 상기 하현재(220)를 결합하는 사재(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형강판(100)은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상기 상현재(210)를 연결하는 결합부재(500)의 상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형강판(100)은 상기 식생부(400)를 형성하는 상기 토양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형강판(100)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돌출형성된 전단연결재(110)가 형성되되, 상기 구배에 따른 물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단연결재(110)는 상호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형강판(100)은 복수의 조각파형강판(100a)으로 제작되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조각파형강판(100a)이 상호 겹쳐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중첩부(120)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첩부(120)는 상부에 설치된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과 하부에 설치된 또 다른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의 사이 구간에 패킹재(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첩부(120)는 상부에 설치된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의 측면부, 상기 패킹재(600)의 측면부 및 하부에 설치된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의 상면에 모두 접촉하도록 방수부(70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은 상기 지붕(200)의 상기 구배를 따라 낮은 곳부터 차례로 설치되되, 높은 곳에 설치되는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의 상기 중첩부(120)가 낮은 곳에 설치되는 또 다른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의 상기 중첩부(120) 상부에 올려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과 상기 결합부재(500)의 결합은 상기 중첩부(120)에서 볼트결합부(80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첩부(120)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결합부(800)는 우레탄실런트에 의해 방수층(81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층(8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수층(810) 외부를 고무캡(820)으로 마감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붕(200)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로(31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500)는 상기 상현재(210)의 상부에 결합된 연결플레이트(211)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500)는 상기 상현재(210)의 측부에 결합되는 측방연결플레이트(212)의 측방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음터널 시공방법은 상기 기둥(300) 및 상기 지붕(200)을 설치하는 기둥-지붕설치단계; 복수의 상기 상현재(210)와 상기 결합부재(500)를 체결하는 결합부재체결단계; 상기 결합부재(500)의 상면에 상기 파형강판(100)을 결합하는 파형강판결합단계; 상기 식생부지지대(900)를 설치하는 식생부지지대설치단계; 상기 파형강판(100)의 상부에 상기 토양을 형성하고, 상기 식생부(400)를 형성하는 식생부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파형강판결합단계는 상기 중첩부(120)에 상기 패킹재(600), 상기 방수재(700), 상기 방수층(810), 상기 고무캡(820)을 형성하는 방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음터널은 구배를 갖는 트러스구조의 지붕과 지붕 상부에 파형강판을 결합하여, 고강성의 저중량의 방음터널을 형성한다.
또한 파형강판의 파형구조를 이용하여 구배가 형성된 지붕의 자연배수를 유도하여 지붕 상면에 정체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파형강판의 상부에는 식생부가 형성되어 방음터널이 설치되는 지역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도 1은 한국특허 10-2008-0038726호의 방음터널 횡단면도, 측면도 및 상세도.
도 2는 한국특허 10-2011-0099851호의 방음터널 사시도.
도 3은 한국특허 10-2010-0062071호의 방음터널 Y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음터널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음터널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생부 형성전의 방음터널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플레이트에 결합된 결합부재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방연결플레이트에 결합된 결합부재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단연결재가 설치된 파형강판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첩부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각파형강판의 결합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조각파형강판의 결합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조각파형강판이 결합된 파형강판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단연결재가 설치된 조각파형강판 결합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이 결합된 지붕 사시도.
본 발명인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 표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후좌우 방향은 도 6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한다.
식생부(400)가 지붕 상부에 형성된 본 발명의 방음터널(10)은 트러스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좌우방향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 지붕(200); 지붕(200)의 좌우 단부에 설치된 기둥(300); 전후방향을 따라 파형의 단면구조가 형성되도록 지붕(200)의 상현재(210) 상부에 설치되는 파형강판(100); 파형강판(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식생부(400)의 토양을 지지하기 위해 지붕(200)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식생부 지지대(9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파형강판(100)의 상면에는 파형강판(10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파형강판(100)은 좌우방향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구배가 형성된 지붕(200)에 전후방향을 따라 파형의 단면구조가 형성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식생부에서 발생하는 물을 파형강판의 파형단면 중 아래로 볼록한 파형부로 자연배수할 수 있다.
또한, 방음터널의 상부에 식생부(400)를 설치하여 친환경적인 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지붕(200)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상현재(210); 상현재(210)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하현재(220); 상현재(210)와 하현재(220)를 결합하는 사재(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트러스의 기하학적 특징으로 이용하여 저중량 고강성의 지붕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파형강판(100)은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상현재(210)를 연결하는 결합부재(500)의 상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현재(210)는 결합부재(500)에 의해 격자구조로 결합되기 때문에 풍하중 및 설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하고, 파형강판(10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파형강판은 복수의 조각파형강판(100a)으로 제작되어 시공되는데, 결합부재(500)가 격자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조각파형강판(100a)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파형강판(100)은 식생부(400)를 형성하는 토양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형강판(100)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돌출형성된 전단연결재(110)가 형성되되, 구배에 따른 물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단연결재(110)는 상호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단연결재(110)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형성되기 때문에 식생부에 발생하는 물은 지붕의 구배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전단연결재(110)는 전후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하여 물의 배출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다.
파형강판(100)은 복수의 조각파형강판(100a)으로 제작되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의 조각파형강판(100a)이 상호 겹쳐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중첩부(120)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조각파형강판(100a)은 기와구조와 유사하게 설치되고, 구배항향을 따라 물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중첩부(120)는 상부에 설치된 조각파형강판(100a)과 하부에 설치된 또 다른 조각파형강판(100a)의 사이 구간에 패킹재(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부에 설치된 조각파형강판(100a)과 하부에 설치된 또 다른 조각파형강판(100a)의 사이 구간에 패킹재(6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첩부(120)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중첩부(120)는 상부에 설치된 조각파형강판(100a)의 측면부, 패킹재(600)의 측면부 및 하부에 설치된 조각파형강판(100a)의 상면에 모두 접촉하도록 방수부(70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0과 같이 중첩부(120)의 측부에 방수부(700)를 추가로 설치하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각파형강판(100a)은 지붕(200)의 구배를 따라 낮은 곳부터 차례로 설치되되, 높은 곳에 설치되는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의 중첩부(120)가 낮은 곳에 설치되는 또 다른 조각파형강판(100a)의 중첩부(120) 상부에 올려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첩부는 조각파형강판(100a)이 기와구조로 중첩되기 때문에 구배를 따라 물의 배수가 용이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조각파형강판(100a)과 결합부재(500)의 결합은 중첩부(120)에서 볼트결합부(800)에 의해 결합되고, 중첩부(120)의 상부로 노출된 볼트결합부(800)는 우레탄실런트에 의해 방수층(81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볼트결합부(800)에 방수층(810)이 형성되기 때문에 볼트결합부(8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한다.
방수층(8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층(810) 외부를 고무캡(820)으로 마감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방수층의 외부에 고무캡(8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생부(400)형성시 방수층(8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붕(200)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로(31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배에 의해 파형강판(100)을 따라 흘러내린 물을 배수로(310)를 이용하여 일정장소로 이송할 수 있다.
결합부재(500)는 상현재(210)의 상부에 결합된 연결플레이트(211)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위 연결플레이트(211)는 상현재(210)의 상부에 결합되고, 결합부재(500)의 하부와 결합된다.
결합부재(500)는 상현재(210)의 측부에 결합되는 측방연결플레이트(212)의 측방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8과 같이 위 측방연결플레이트(212)는 상현재의 측부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방음터널 시공방법은 기둥(300) 및 지붕(200)을 설치하는 기둥-지붕설치단계; 복수의 상현재(210)와 결합부재(500)를 체결하는 결합부재체결단계; 결합부재(500)의 상면에 파형강판(100)을 결합하는 파형강판결합단계; 식생부지지대(900)를 설치하는 식생부지지대설치단계; 파형강판(100)의 상부에 토양을 형성하고, 식생부(400)를 형성하는 식생부형성단계;를 포함한다.
기둥-지붕설치단계에서 기둥(300)은 바닥면에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에 결합되고, 이후 트러스 구조의 지붕이 기둥에 결합된다.
파형강판결합단계는 중첩부(120)에 패킹재(600), 방수재(700), 방수층(810), 고무캡(820)을 형성하는 방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방음터널 100a : 조각파형강판
100 : 파형강판 120 : 중첩부
200 : 지붕 210 : 상현재
220 : 하현재 230 : 사재
300 : 기둥 400 : 식생부
500 : 결합부재 600 : 패킹재
700 : 방수부 800 : 볼트결합부
810 : 방수층 820 : 고무캡
900 : 식생부지지대

Claims (15)

  1. 식생부(400)가 지붕 상부에 형성된 방음터널(10)로서,
    트러스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좌우방향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 지붕(200);
    상기 지붕(200)의 좌우 단부에 설치된 기둥(300);
    전후방향을 따라 파형의 단면구조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붕(200)의 상현재(210) 상부에 설치되는 파형강판(100);
    상기 파형강판(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식생부(400)의 토양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붕(200)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식생부 지지대(900);
    상기 식생부(400)를 형성하는 상기 토양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형강판(100)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전단연결재(110);를 포함하되,
    상기 전단연결재(110)는
    상기 구배에 따른 물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호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상기 파형강판(100)은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상기 상현재(210)를 연결하는 결합부재(500)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파형강판(100)은
    복수의 조각파형강판(100a)으로 제작되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조각파형강판(100a)이 상호 겹쳐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중첩부(120)가 형성되고,
    상부에 설치된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과 하부에 설치된 또 다른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의 상기 중첩부(120) 사이 구간에는 패킹재(600)가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된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의 측면부, 상기 패킹재(600)의 측면부 및 하부에 설치된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의 상면에 모두 접촉하도록 방수부(700)가 형성되고,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과 상기 결합부재(500)의 결합은 상기 중첩부(120)에서 볼트결합부(80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중첩부(120)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결합부(800)는 우레탄실런트에 의해 방수층(810)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8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수층(810) 외부가 고무캡(820)으로 마감 처리되며,
    상기 지붕(200)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로(310)가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200)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상현재(210);
    상기 상현재(210)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하현재(220);
    상기 상현재(210)와 상기 하현재(220)를 결합하는 사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은
    상기 지붕(200)의 상기 구배를 따라 낮은 곳부터 차례로 설치되되, 높은 곳에 설치되는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의 상기 중첩부(120)가 낮은 곳에 설치되는 또 다른 상기 조각파형강판(100a)의 상기 중첩부(120) 상부에 올려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500)는
    상기 상현재(210)의 상부에 결합된 연결플레이트(211)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500)는
    상기 상현재(210)의 측부에 결합되는 측방연결플레이트(212)의 측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14. 제1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음터널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기둥(300) 및 상기 지붕(200)을 설치하는 기둥-지붕설치단계;
    복수의 상기 상현재(210)와 상기 결합부재(500)를 체결하는 결합부재체결단계;
    상기 결합부재(500)의 상면에 상기 파형강판(100)을 결합하는 파형강판결합단계;
    상기 식생부지지대(900)를 설치하는 식생부지지대설치단계;
    상기 파형강판(100)의 상부에 상기 토양을 형성하고, 상기 식생부(400)를 형성하는 식생부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결합단계는
    상기 중첩부(120)에 상기 패킹재(600), 상기 방수재(700), 상기 방수층(810), 상기 고무캡(820)을 형성하는 방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시공방법.
KR1020160103694A 2016-08-16 2016-08-16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719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94A KR101719711B1 (ko) 2016-08-16 2016-08-16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94A KR101719711B1 (ko) 2016-08-16 2016-08-16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711B1 true KR101719711B1 (ko) 2017-03-24

Family

ID=5850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694A KR101719711B1 (ko) 2016-08-16 2016-08-16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71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39B1 (ko) * 2017-10-31 2018-07-06 한재희 스프링 쿨러를 이용하는 녹화 지붕을 갖는 방음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97924B1 (ko) 2017-10-31 2018-09-12 한재희 친환경 매트를 이용한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50466B1 (ko) 2020-01-28 2020-09-01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터널용 파형강판 이탈 방지장치
KR102150468B1 (ko) 2020-03-02 2020-09-01 주식회사 에스티 시공이 용이한 파형강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448813B1 (ko) 2022-05-19 2022-09-29 주식회사 에스티 인조잔디가 구비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448812B1 (ko) 2022-05-16 2022-09-29 주식회사 에스티 점검로가 구비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513771B1 (ko) 2022-11-01 2023-03-27 주식회사 에스티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KR102666757B1 (ko) * 2023-05-02 2024-05-17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식생부가 구비된 방음터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0408A (en) * 1987-07-15 1989-01-24 Kaiyo Kagaku Gijutsu Center Its own-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unmanned diving machine
KR20030053637A (ko) * 2001-12-22 2003-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T형 보강재가 보강된 파형강판 구조물 및 그 보강방법
KR101025329B1 (ko) * 2010-11-03 2011-03-29 태성이엔씨(주) 조경 방음 터널
KR101188485B1 (ko) * 2011-09-30 2012-10-08 테크스타 코리아 주식회사 경량 방음터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0408A (en) * 1987-07-15 1989-01-24 Kaiyo Kagaku Gijutsu Center Its own-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unmanned diving machine
KR20030053637A (ko) * 2001-12-22 2003-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T형 보강재가 보강된 파형강판 구조물 및 그 보강방법
KR101025329B1 (ko) * 2010-11-03 2011-03-29 태성이엔씨(주) 조경 방음 터널
KR101188485B1 (ko) * 2011-09-30 2012-10-08 테크스타 코리아 주식회사 경량 방음터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39B1 (ko) * 2017-10-31 2018-07-06 한재희 스프링 쿨러를 이용하는 녹화 지붕을 갖는 방음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97924B1 (ko) 2017-10-31 2018-09-12 한재희 친환경 매트를 이용한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50466B1 (ko) 2020-01-28 2020-09-01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터널용 파형강판 이탈 방지장치
KR102150468B1 (ko) 2020-03-02 2020-09-01 주식회사 에스티 시공이 용이한 파형강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448812B1 (ko) 2022-05-16 2022-09-29 주식회사 에스티 점검로가 구비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448813B1 (ko) 2022-05-19 2022-09-29 주식회사 에스티 인조잔디가 구비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513771B1 (ko) 2022-11-01 2023-03-27 주식회사 에스티 인조잔디 지붕이 구비된 방음터널 구조체
KR102666757B1 (ko) * 2023-05-02 2024-05-17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식생부가 구비된 방음터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711B1 (ko) 식생부가 형성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RU2651723C2 (ru) Трехмерный легкий стальной каркас, образованный двусторонними непрерывными двойными балками
CN104532997B (zh) 一种装配式楼盖体系及其施工方法
CA2835247C (en) Improvements to modular dwellings
CN202866321U (zh) 坡屋顶轻钢结构活动房
CN202925931U (zh) 平屋顶轻钢结构活动房
MX2014001878A (es) Estructura estatica libre de gran envergadura.
US4335558A (en) Prefabricated polygonal building
CN106609562A (zh) 带底座的双坡屋顶活动房
CN103758221B (zh) 汽车坡道屋面变形缝构造
CN111270683A (zh) 一种大跨度的基坑土层临时支撑系统
KR101663591B1 (ko) 상부 두부를 보강한 브라켓 플레이트 거더 보도교
CN103132640B (zh) 可拆装钢-混凝土组合楼板
GB2495993A (en) A floor for a building with built in drainage
JP3869842B2 (ja) ヘリポートおよび土木建築用材料
CN115262834A (zh) 一种用于loft公寓隔层搭建的钢筋桁架楼承板组合结构
KR101213680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터널구조체
CN210031455U (zh) 一种小箱梁桥面连接结构
JP5944129B2 (ja) 切妻屋根建物
CN208167501U (zh) 一种铝合金人行天桥钢桥墩
JP2001107685A (ja) トンネル構造
WO2015114859A1 (ja) 分割式屋根材および屋根の設置方法
JP4758627B2 (ja) 小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CN219825879U (zh) 一种网架结构屋面中天沟结构
CN214738723U (zh) 一种绿色装配式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