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635Y1 - 절첩식 텐트용 폴 - Google Patents

절첩식 텐트용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635Y1
KR200272635Y1 KR2020020000758U KR20020000758U KR200272635Y1 KR 200272635 Y1 KR200272635 Y1 KR 200272635Y1 KR 2020020000758 U KR2020020000758 U KR 2020020000758U KR 20020000758 U KR20020000758 U KR 20020000758U KR 200272635 Y1 KR200272635 Y1 KR 200272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ent
coupled
folding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대섭
Original Assignee
소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대섭 filed Critical 소대섭
Priority to KR2020020000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635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양막이 장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텐트를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절첩식 텐트용 폴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체 탄성을 갖지 않는 일반적인 폴로 사용하되, 차양막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수단과 펼침과 절첩이 용이하며 펼쳐진 상태에서 절첩을 방지하는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외력에 의하여 설치상태가 해체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결구에 다수의 상부폴이 결합되고, 상부폴에 하부폴이 결합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스프링에 탄력 지지되는 장력부를 상부폴의 일측 선단에 형성하고, 장력부의 측방에 하부폴이 결합되어 회동되는 절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절첩부를 고정시킴으로써 텐트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외부의 물리력으로 상기 텐트가 해체되지 않고, 조절폴의 출몰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텐트의 높이와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탄성을 갖지 않는 일반 폴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해지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텐트용 폴{Pole for Folding Type Tent}
본 고안은 절첩식 텐트용 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양막이 장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텐트를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절첩식 텐트용 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야영이나 낚시를 할 때 이슬 또는 햇빛을 차단하고 휴식이나 취침을 하기 위한 텐트를 설치하는 바, 이러한 텐트는 다수개의 폴을 서로 결합시켜 돔 또는 가옥의 형태가 되도록 하고, 이러한 폴에 차양막을 장착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폴은 다수개로 구비되므로 설치가 어렵고 복잡하며, 다수개의 폴 중 어느 하나가 분실되면 나머지 폴이 무용지물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근래에는 다수개의 폴을 서로 연결시켜 절첩되도록 하는 고안이 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예를 첨부한 도면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 형태로 된 연결구(102)에 탄성을 갖는 폴(101)의 일측 선단이 결합되고, 상기 폴(101)의 타측 선단은 결합구(103)의 일측에 결합되며, 결합구(103)의 타측에 다른 폴(101)이 결합되었다.
또한, 폴(101)과 연결구(102) 및 폴(101)과 결합구(103)는 결합핀(104) 으로 결합되어, 폴(101)이 상기 결합핀(10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절첩가능하게 되며, 연결구(102)의 하측에는 지지대(105)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폴(101)에 차양막(106)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지지대(105)를 밀어올리면 지지대(105)가 연결구(102)에 결합된 폴(101)을 밀어 올려 상기 폴(101)이 우산처럼펼쳐지게 되나, 다수개가 연결된 폴(101)들 중 최외측에 위치된 폴(101)의 선단이 차양막(106) 하측의 폭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폴(101)이 휘어지면서 차양막(106)이 펼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텐트(100)가 설치되는 것이며, 지지대(105)의 지지력과 폴(101)의 탄력에 의하여 텐트(100)가 설치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폴(101)은 텐트(100)가 설치된 상태로 되었을 때 그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자체 탄성력을 갖는 폴(101)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탄성을 갖는 폴은 구입비용이 비싸고, 결합구(103)나 연결구(102)에 절첩을 방지하는 수단이 없어 바람이나 외부의 물리력이 작용하게 되면 결합핀(104)를 중심으로 폴(101)들이 접혀지게 되어 텐트(100)의 설치상태가 해체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자체 탄성을 갖지 않는 일반적인 폴로 사용하되, 차양막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수단과 펼침과 절첩이 용이하며 펼쳐진 상태에서 절첩을 방지하는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외력에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절첩식 텐트용 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텐트용 폴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텐트용 폴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폴의 장력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폴의 절첩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폴의 높이조절수단인 조절폴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첩식 텐트용 폴 11 : 연결구 12 : 상부폴
13 : 장력부 14 : 가이드핀 15,29 : 스프링
16 : 몸체 17 : 가이드공 18 : 절첩부
19 : 고정체 20 : 멈춤턱 21 : 고정축
22 : 나사공 23,28 : 스프링홈 24 : 하부폴
25 : 회동체 26 : 축공 27 : 가이드편
30 : 볼트 31 : 고정구 32 : 절결부
33 : 조절폴 34 : 결합나사 35 : 상부차양막
36 : 하부차양막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결구에 다수의 상부폴이 결합되고, 상부폴에 하부폴이 결합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스프링에 탄력 지지되는 장력부를 상부폴의 일측 선단에 형성하고, 장력부의 측방에 하부폴이 결합되어 회동되는 절첩부를 구비하여서 되는 절첩식 텐트용 폴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자체 탄성과는 무관한 통상적인 폴을 사용함으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폴의 절첩이 방지되므로 설치된 텐트를 해체하지 않는 이상 무너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텐트용 폴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폴의 장력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폴의 절첩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폴의 높이조절수단인 조절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 형태로 되는 연결구(11)를 형성하고, 이러한 연결구(11)의 4방향으로 다수의 상부폴(12) 일측을 결합시키며, 상기 상부폴(12)의 타측 선단에 장력부(13)와 절첩부(18)를 형성한다.
상기 장력부(13)는 상부폴(12)의 선단에 가이드핀(14)을 형성하고, 이러한 가이드핀(14)이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공(17)이 형성된 몸체(16)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16)의 내측에 스프링(15)을 설치하여 몸체(16)를 탄력 지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절첩부(18)는 상부폴(12)의 장력부(13) 측방에 고정체(19)를 형성하고, 하부폴(24)의 선단에 회동체(25)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19)와 회동체(25)를 결합시켜서 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체(19)는 중앙에 나사공(22)을 갖는 고정축(21)을 형성하고 외주연에 멈춤턱(20)을 형성하며 일측에 스프링(29)의 일측 선단이 삽입되는 스프링홈(23)을 형성하여 구비하고, 회동체(25)는 중앙에 고정축(21)이 삽입되는 축공(26)을 형성하고 외주연에 가이드편(27)을 형성하며 일측에 스프링(29)의 타측 선단이 삽입되는 스프링홈(28)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19)와 회동체(25)의 사이에 스프링(29)을 개재시키고 나사공(22)에 볼트(30)를 체결하여 고정체(19)와 회동체(25)가 결합되도록 한다.
아울러 하부폴(24)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고정구(31)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31)의 상측에 절결부(32)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폴(24)의 내측에서 하측 선단으로 출몰되며 고정구(31)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34)가 상측 선단에 형성된 조절폴(33)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또한 상부폴(12)에 상부차양막(35)을 장착하되, 상기 상부차양막(35)의 산단은 장력부(13)에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볼트(30)를 풀고 이어서 절첩되어 있는 상부폴(12)과 하부폴(24)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벌리면 상기 상부폴(12)과 하부폴(24)은 절첩부(18)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그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부폴(12)은 연결구(11)를 중심으로 비스듬하게 하향하게 되고, 가이드편(27)은 고정체(19)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되어 멈춤턱(20)에 이르게 되며, 상부차양막(35)은 장력부(13)에 의하여 팽팽하게 장력이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30)를 조여 절첩부(18)를 고정시키고, 이어서 조절폴(33)을 회전시켜 고정구(31)의 절결부(32)에 까지 진입된 결합나사(34)가 상기 절결부(32)의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한 다음, 조절폴(33)을 잡아당겨 텐트(10)의 높이와 수평을 조절하며, 이어서 조절폴(33)을 상기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나사(34)가 고정구(31)의 절결부(32)에 까지 진입하여 상기 절결부(32)가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고정구(31)가 하부폴(24)의 내측을 압박하게 되어 조절폴(33)이 고정된다.
이어서 하부차양막(36)을 하부폴(24)에 장착하면 텐트(1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비스듬한 경사로 펼쳐진 상부폴(12)은 장력부(13)에 탄력 지지되어 팽팽한 상태로 장력이 유지되는 상부차양막(35)에 의하여 그 형태가 유지되는 것이며, 절첩부(18)가 볼트(30)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볼트(30)를 풀지 않는 한 텐트(10)의 설치상태가 외부의 물리력에 의하여 해체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설치된 텐트(10)를 해체시킬 때에는 먼저 하부폴(24)에서 하부차양막(36)을 제거하고, 이어서 조절폴(33)을 하부폴(24)에 삽입 고정시킨 다음, 볼트(30)를 풀어 상부폴(12)과 하부폴(24)이 절첩부(18)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며, 이어서 장력부(13)에서 지지되는 힘보다 강한 힘으로 연결구(11)를 누르면, 상기 연결구(11)가 하강하게 됨과 아울러 상부폴(12)과 하부폴(24)이 절첩부(18)를 중심으로 절첩되어 해체된다.
이때 상부폴(12)과 하부폴(24)을 수작업으로 절첩하지 않아도 절첩부(18)에 설치된 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하여 신속하게 자동 절첩된다.
한편, 본 고안은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차양막(36)을 장착시키지 않고 텐트(10)의 전, 후, 좌, 우가 완전 개방되도록 하여 파라솔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폴의 선단에 장력부를 형성하고, 장력부의 측방에절첩부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절첩부를 고정시킴으로써 텐트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외부의 물리력으로 상기 텐트가 해체되지 않고, 조절폴의 출몰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텐트의 높이와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탄성을 갖지 않는 일반 폴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해지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연결구(11)에 다수의 상부폴(12) 일측이 결합되고, 상부폴(12) 타측에 하부폴(24)이 결합되어 차양막(35,36)을 지지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부폴(12)의 일측 선단에 형성되며 스프링(15)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어 상부차양막(35)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부(13)와, 상부폴(12)의 하방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체(19)에 하부폴(24)의 회동체(25)가 결합되어 회동되는 절첩부(18)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텐트용 폴.
  2. 제 1 항에 있어서,
    장력부(13)는 상부폴(12)의 선단에 형성한 가이드핀(14)과, 상기 가이드핀(14)이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공(17)이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15)이 설치된 몸체(16)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텐트용 폴.
  3. 제 1 항에 있어서,
    절첩부(18)는 상부폴(12)에 형성되며 중앙에 나사공(22)을 갖는 고정축(21)과 외주연에 멈춤턱(20)과 일측에 스프링홈(23)으로 되는 고정체(19)와, 하부폴(24)에 형성되며 중앙에 축공(26)과 외주연에 가이드편(27)과 일측에 스프링홈(28)으로 되는 회동체(25)와, 고정체(19)와 회동체(25)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29)과, 나사공(22)에 체결되며 고정체(19)와 회동체(25)를 결합시키는 볼트(3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텐트용 폴.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폴(24)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측에 절결부(32)를 갖는 고정구(31)와, 상기 하부폴(24)에서 출몰되며 고정구(31)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34)가 일측 선단에 형성된 조절폴(33)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텐트용 폴.
KR2020020000758U 2002-01-10 2002-01-10 절첩식 텐트용 폴 KR200272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758U KR200272635Y1 (ko) 2002-01-10 2002-01-10 절첩식 텐트용 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758U KR200272635Y1 (ko) 2002-01-10 2002-01-10 절첩식 텐트용 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635Y1 true KR200272635Y1 (ko) 2002-04-20

Family

ID=7311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758U KR200272635Y1 (ko) 2002-01-10 2002-01-10 절첩식 텐트용 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6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851B1 (ko) 2011-11-28 2012-06-18 오성듀랄루민(주) 텐트 폴용 회전모울드
KR101574419B1 (ko) * 2014-04-01 2015-12-03 박재실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장치
KR101852882B1 (ko) * 2016-11-07 2018-04-30 주식회사 우진 차량의 역주행 방지를 위한 중앙분리대
KR20230029362A (ko)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알마센인앤아웃 텐트용 접이식 폴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851B1 (ko) 2011-11-28 2012-06-18 오성듀랄루민(주) 텐트 폴용 회전모울드
KR101574419B1 (ko) * 2014-04-01 2015-12-03 박재실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장치
KR101852882B1 (ko) * 2016-11-07 2018-04-30 주식회사 우진 차량의 역주행 방지를 위한 중앙분리대
KR20230029362A (ko)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알마센인앤아웃 텐트용 접이식 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3173C (en) Canopy tent
US7178537B2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US20070240746A1 (en) Adjustable tension type of sunshade awning
US20070012344A1 (en) Personal shelter device
KR200272635Y1 (ko) 절첩식 텐트용 폴
US20020092555A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un tent extension canopy
JP3375897B2 (ja) オーニング装置
KR200406921Y1 (ko) 텐트
KR200204956Y1 (ko) 낚시보트용 텐트
KR200293682Y1 (ko) 파라솔 지지장치
JP2007327322A (ja) 日除け装置
KR200404427Y1 (ko) 텐트 로프의 길이조절장치
KR200350316Y1 (ko) 조립식 천막의 절첩식 지지프레임 결합구조
KR200425987Y1 (ko) 어닝의 지주 및 수평지지대 고정구조
KR200175249Y1 (ko) 절첩식 차양을 가진 텐트
KR200359126Y1 (ko) 대형 차양막 프레임 구조체의 삼각 보강 지지수단
KR100291080B1 (ko) 그늘막 프레임
KR200267594Y1 (ko) 천막용 절첩식 차양막
KR101929707B1 (ko) 텐트용 연결 장치
JP2728860B2 (ja) テント用庇構造
KR200245696Y1 (ko) 리치바가 일체로 형성된 절첩식 텐트의 폴대
KR200391967Y1 (ko) 텐트의 차양막 설치 구조
CN215485106U (zh) 一种篷面及其应用的多功能篷
KR102538015B1 (ko) 캠핑용 차량의 어닝으로 탈부착이 용이한 사이드월 시스템
KR101148633B1 (ko) 절첩식 캐노피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