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273B1 -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273B1
KR101474273B1 KR1020140051540A KR20140051540A KR101474273B1 KR 101474273 B1 KR101474273 B1 KR 101474273B1 KR 1020140051540 A KR1020140051540 A KR 1020140051540A KR 20140051540 A KR20140051540 A KR 20140051540A KR 101474273 B1 KR101474273 B1 KR 101474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support body
support
ston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엔케이
Priority to KR102014005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볼트와, 지지체와, 지지체 조립부재를 포함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앵커볼트는 벽체에 고정되며 단열재의 표면으로 노출된다. 지지체는 앵커볼트에 끼워져 고정되며 석재를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지지한다. 지지체 조립부재는 앵커볼트에 나사결합되어 공구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지지체를 가압하여 지지체가 단열재의 내부로 파고들게 하여 지지체를 조립한다.
이와 같은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에 의하면, 앵커볼트에 지지체 조립부재를 나사식으로 조립하여, 지지체를 가압함에 따라 지지체가 단열재에 파고들게 하여 단열재의 파편이 생기지 않게 하고 조립성을 높이므로, 건물벽체 시공업계의 작업환경 개선과 작업성을 크게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and assembling a stone fixation bracket}
본 발명은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용 석재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지지체를 단열재에 조립할 때 단열재의 파편이 생기지 않게 하여 친환경적으로 지지체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 표면에 대리석과 같은 석재들을 고정시키는 구성은 벽체에 부착되는 단열재의 표면으로 받침 앵글의 수직판을 접촉시킨 다음, 벽체에 고정된 앵커볼트에 수직판의 수직장공을 끼워 너트에 의해 고정하고, 받침 앵글의 수평판에 석재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앵커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도중에 단열재의 탄력에 의해 받침앵글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틀어지거나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어지게 된다. 받침앵글이 틀어지거나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면 석재를 수평판에 고정할 시에 질서정연한 상태로 고정할 수 없게 되고, 받침앵글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면 석재가 불안정한 상태로 부착되어 결국 석재가 떨어져 나가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가 한국등록특허 제10-1077844호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77844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재(16)를 받쳐주는 받침앵글(11)을 건물의 벽체(14)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받침앵글(11)을 벽체에 부착시 단열재(15)의 손상을 줄여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는 지지체(20)가 너트(13)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지지체(20)는 앵커볼트(12)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나사공(21a)이 형성된 보스부(21)와, 보스부(21)의 외측에 위치한 원통(22)과, 지지체(2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단열재(15)를 뚫고 삽입되어 벽체(14)와 접촉하면서 지지되도록 원통(22)의 일단부에 형성된 커팅날부(23)와, 커팅날부(23)와 단열재(15) 사이로 공기가 유통되어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스부(21)와 원통(22)을 연결하여 돌출되는 플랜지(24)와, 공구가 삽입되어 지지체(20)를 앵커볼트(12)에 나사결합시킬 수 있도록 보스부(21)의 외측에 형성된 공구 삽입부(2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는, 지지체(20)를 조립할 때 지지체(20)를 공구로 회전시켜 앵커볼트(12)에 직접 나사결합하면서 단열재(15)를 파내게 됨에 따라, 단열재의 파편으로 인해 작업환경이 열악하게 되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며 지지체(20)를 조립하는 작업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용 석재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지지체를 단열재에 조립할 때 단열재의 파편이 생기지 않게 하여 친환경적으로 지지체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및 조립장치는 벽체에 고정되며 단열재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앵커볼트와, 앵커볼트에 끼워져 고정되며 석재를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앵커볼트에 나사결합되어 공구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지지체를 가압하여 지지체가 단열재의 내부로 파고들게 하여 지지체를 조립하는 지지체 조립부재를 포함한다.
지지체 조립부재는 지지체에 삽입되어 앵커볼트에 나사결합되는 삽입관부와, 삽입관부가 앵커볼트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지지체를 가압하는 가압 플랜지부와, 공구로 홀딩하여 지지체 조립부재를 회전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한다.
지지체는 단열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단열재의 표면에 밀착하는 밀착부를 구비하며, 밀착부에는 벽체의 기울기에 따라 지지체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지지체의 밀착부를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조정하는 조정부재가 결합된다.
앵커볼트는 밀착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조정부재는 밀착부의 상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구비한다.
밀착부의 내면에는 앵커볼트의 나사부가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관부가 고정되고, 삽입부의 중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띠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에 의하면, 앵커볼트에 지지체 조립부재를 나사식으로 조립하여, 지지체를 가압함에 따라 지지체가 단열재에 파고들게 하여 단열재의 파편이 생기지 않게 하고 조립성을 높이므로, 건물벽체 시공업계의 작업환경 개선과 작업성을 크게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정부재를 결합하여 기울어진 벽체에 건축용 석재를 설치할 때 조정부재로 조정하여 지지체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별도의 석재 고정용 브라켓을 사용하거나 석재 고정용 브라켓을 변형하지 않고 석재를 간단히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을 편리하게 하고 시공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앵글에 석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지지체를 단열재에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지지체를 조립하고 조정부재를 결합하여 브라켓에 석재가 고정된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지지체를 조립하고 조정부재를 결합하여 기울어진 벽체에 설치할 때의 지지체를 조정하는 시공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지지 조립장치에서 지지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지지 조립장치에서 지지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가 적용되는 다양한 지지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지지체를 조립하고 조정부재를 결합하여 브라켓에 석재가 고정된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100)는 석재(51)를 고정하는 브라켓(52)을 건물의 벽체(53)에 고정시키기 위해 단열재(54)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앵커볼트(110)와, 지지체(120)와, 지지체 조립부재(130)와, 조정부재(140)를 포함한다.
석재(51)는 브라켓(52)에 끼워져 고정된다. 브라켓(52)은 장공(52a)이 형성된 앵글 형태의 받침대로서 지지체(120)에 고정된다. 벽체(53)에는 스티로폴 등의 단열재(54)가 부착된다. 석재(51)와 브라켓(52)과 벽체(53) 및 단열재(54)는 종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앵커볼트(110)는 벽체(53)에 고정되며 단열재(54)의 표면으로 노출된다. 앵커볼트(110)에는 지지체(120)가 끼워진 다음, 지지체(120)에 밀착되는 브라켓(52)이 끼워진 후, 너트(115)에 의해 지지체(120)와 브라켓(52)이 고정된다. 앵커볼트(110)는 벽체(53)에 심어지는 뿌리부(111)에서 나사부(112)가 외부로 돌출되며, 지지체(120)와 브라켓(52)이 나사부(112)에 차례로 끼워진다.
지지체(120)는 앵커볼트(110)의 나사부(112)에 끼워져 고정되며, 석재(51)를 고정시키는 브라켓(52)과 함께 너트(115)에 의해 고정되어, 브라켓(52)을 지지한다. 지지체(120)는 단열재(54)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121)와, 단열재(54)의 표면에 밀착하는 밀착부(122)와, 앵커볼트(110)의 나사부(112)가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관부(123)를 구비한다. 지지체(120)는 삽입부(121)와 밀착부(122)로 앵글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안내관부(123)는 밀착부(122)의 내면에서 내부로 돌출하여 단열재(54)의 내부로 삽입된다.
삽입부(121)의 중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띠(121a)가 형성되어 단열재(54)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게 한다. 또한, 삽입부(121)의 단부에는 칼날(121b)이 형성되어 단열재를 커팅하면서 단열재(54)의 내부로 더욱 용이하게 삽입되게 한다.
밀착부(122)의 하부에는 앵커볼트(110)의 나사부(112)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22a)이 형성되고, 밀착부(122)의 상부에는 조정부재(14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구멍(122b)이 형성되다.
안내관부(123)는 상기 관통구멍(122a)에 맞추어져 밀착부(122)의 내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관통구멍(122a)의 내경과 안내관부(123)의 내경은 앵커볼트(110)의 나사부(112)의 나사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공간 간격(C)이 형성되게 한다. 공간 간격(C)은 지지체(120)가 조정부재(130)에 의해 조정되어 기울어질 때 그 앵커볼트(110) 사이의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지지체 조립부재(130)의 후술하는 삽입관부가 삽입되는 여유공간을 제공한다. 안내관부(123)의 길이는 삽입부(1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삽입부(121)의 길이는 단열재(54)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하다.
지지체(1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21)와 밀착부(122)를 연결하는 보강부(124)에 의해 보강될 수도 있다. 보강부(124)는 지지체(120)의 폭방향 일측단, 양측단 또는 중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로드 등 다양한 형태로 삽입부(121)와 밀착부(122)를 연결하여 지지체(120)를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부(124)가 삼각판 형태로 되어 있다. 보강부(124)가 구비된 지지체(120)는 삽입부(121)와 밀착부(122)의 판 두께를 작게 하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한다.
또한, 지지체(12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부(122)의 양단 가장자리 변을 따라 플랜지(122c)가 형성되어 보강되고, 삽입부(121)의 양단 가장자리 변을 따라 플랜지(121c)가 형성되어 보강될 수도 있다.
지지체 조립부재(130)는 앵커볼트(110)에 나사결합되어 공구(T: 도 3에 도시)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지지체(120)를 가압하여 지지체(120)가 단열재(54)의 내부로 파고들게 하여 지지체(120)를 조립한다. 지지체 조립부재(130)는 지지체(120)의 관통구멍(122a)에 삽입되어 앵커볼트(110)에 나사결합되는 삽입관부(131)와, 삽입관부(131)가 앵커볼트(1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지지체(120)를 가압하는 가압 플랜지부(132)와, 공구(T)로 홀딩하여 지지체 조립부재(130)를 회전시키는 홀딩부(133)를 포함한다.
지지체 조립부재(130)의 내부에는 앵커볼트(11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구멍(130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나사구멍(130a)의 암나사는 삽입관부(131)의 단부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홀딩부(133)는 육각볼트 머리 형태로 되어 있으나 공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정부재(140)는 나사구멍(122b)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지지체(120)를 기울어지게 하는 부재로서, 조정이 완료된 후 움직이지 않도록 로크너트(145)에 의해 지지체(120)의 밀착부(122)에 고정된다. 조정부재(140)는 나사부(141)의 단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끝단에는 팁부(142)가 형성된다. 조정부재(140)가 회전함에 따라 그 팁부(142)가 벽체(53)에 닿아, 나사구멍(122b)을 통해 나사결합된 지지체(120)가 기울어지게 된다. 팁부(142)는 끝단이 뾰족하거나 둥근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지지체(120)를 단열재(54)에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53)에 앵커볼트(110)가 고정되고, 벽체(53)의 표면에 단열재(54)가 부착되며, 앵커볼트(110)가 단열재(54)의 표면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지지체(120)를 설치한다. 이때 지지체(120)에는 조정부재(140)가 가고정된다.
지지체(120)의 안내관부(123)를 앵커볼트(110)의 나사부(112)에 맞추어 끼우는 한편, 지지체(120)의 관통구멍(122a)에 지지체 조립부재(130)의 삽입관부(131)를 삽입하여 전동 공구(T)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면, 지지체 조립부재(130)의 나사구멍(130a)에 의해 앵커볼트(110)에 나사결합되면서 가압 플랜지부(132)가 지지체(120)의 밀착부(122)를 가압하게 됨에 따라, 조정부재(140)의 팁부(142)와, 지지체(120)의 안내관부(123)와 삽입부(121)가 단열재(54)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삽입부(121)의 칼날(121b)과 조정부재(140)의 뾰족한 팁부(132)는 단열재(54)의 내부로 쉽게 파고들게 한다. 삽입부(121)의 칼날(121b)과 조정부재(140)의 팁부(142)가 벽체(53)에 닿게 되면,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지지체(120)는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다음에 지지체 조립부재(1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빼낸 후, 이어서 로크너트(145)를 조여 조정부재(140)가 풀리지 않게 하고, 지지체(120)의 관통구멍(122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앵커볼트(110)에 브라켓(52)을 끼우고, 너트(115)로 고정한다. 지지체(120)를 견고히 고정한 후, 석재(51)를 브라켓(52)에 올려 놓고 고정시킨다. 이때, 너트(115)는 와셔와 함께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시공된 상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100)에 의하면, 앵커볼트(110)에 지지체 조립부재(130)를 나사식으로 조립하여, 지지체(120)를 가압함에 따라 지지체(120)가 단열재(54)에 파고들게 하여 단열재의 파편이 생기지 않게 하고 조립성을 높이므로, 건물벽체 시공업계의 작업환경 개선과 작업성을 크게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장치를 기울어진 벽체에 설치할 때의 지지체를 조정하는 시공 상태도이다. 도 5a는 벽체(54)의 상측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벽체(54)의 하측이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을 경우에는 지지체(120)를 끼운 다음, 지지체(120)를 가압하거나 조정부재(140)를 회전시켜 지지체(120)의 밀착부(122)를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조정한 다음, 로크너트(145)를 조여 조정부재(140)가 풀리지 않게 하고, 지지체(120)의 관통구멍(122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앵커볼트(110)에 브라켓(52)을 끼우고, 너트(115)로 고정한다.
이때, 지지체(120)를 기울여 수직방향을 조정하게 되면, 앵커볼트(110)는 지지체(120)와 브라켓(52)에 대해 기울어져 있으므로, 너트(115)는 변형이 가능한 스프링 와셔나 플렉시블 와셔와 함께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정부재(140)를 사용함에 따라, 기울어진 벽체에 건축용 석재를 설치할 때 조정부재(140)로 조정하여 지지체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별도의 석재 고정용 브라켓을 사용하거나 석재 고정용 브라켓을 변형하지 않고 석재를 간단히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을 편리하게 하고 시공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의 지지체 조립부재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지지체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8의 지지체(220)는 밀착부(222)의 양측에 삽입부(221)가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찬넬 형태를 이루고, 밀착부(222)에는 앵커 볼트 및 지지체 조립부재가 통과하는 관통구멍(222a)이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는 지지체 조립부재(130)를 지지체 조립 뿐만 아니라 석재 고정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지지 조립장치
51 : 석재 52 : 브라켓
53 : 벽체 54 : 단열재
110 : 앵커볼트 111 : 뿌리부
112 : 나사부 115 : 너트
120 : 지지체 121 : 삽입부
121a : 요입띠 121b : 칼날
122 : 밀착부 122a : 관통구멍
122b : 나사구멍 123 : 안내관부
130 : 지지체 조립부재 131 : 삽입관부
132 : 가압 플랜지부 133 : 홀딩부
140 : 조정부재 141 : 나사부
142 : 팁부 145 : 로크너트
C : 공간 간격

Claims (5)

  1. 벽체에 고정되며 단열재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에 끼워져 고정되며 석재를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앵커볼트에 나사결합되어 공구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지지체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체가 상기 단열재의 내부로 파고들게 하여 상기 지지체를 조립하는 지지체 조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단열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 밀착하는 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벽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지지체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체의 밀착부를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조정하는 조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조립부재는 상기 지지체에 삽입되어 상기 앵커볼트에 나사결합되는 삽입관부와,
    상기 삽입관부가 상기 앵커볼트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체를 가압하는 가압 플랜지부와,
    공구로 홀딩하여 상기 지지체 조립부재를 회전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밀착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조정부재는 상기 밀착부의 상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내면에는 상기 앵커볼트의 나사부가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관부가 고정되고, 상기 삽입부의 중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띠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KR1020140051540A 2014-04-29 2014-04-29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KR10147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540A KR101474273B1 (ko) 2014-04-29 2014-04-29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540A KR101474273B1 (ko) 2014-04-29 2014-04-29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273B1 true KR101474273B1 (ko) 2014-12-18

Family

ID=5267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540A KR101474273B1 (ko) 2014-04-29 2014-04-29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2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823B1 (ko) * 2016-01-13 2017-07-26 김유나 앵글받침 설치 유닛
KR20190038039A (ko) * 2017-09-29 2019-04-08 (주)우리들하이텍 지지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KR102098645B1 (ko) * 2018-11-14 2020-04-08 주식회사 피엔티 수직벽용 지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48B1 (ko) 2011-09-23 2012-06-13 김세직 가설시트 앵커볼트
KR101257364B1 (ko) 2012-05-23 2013-04-23 서대양 건축물용 패널 고정장치
KR101270436B1 (ko) 2012-11-13 2013-06-04 박재민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48B1 (ko) 2011-09-23 2012-06-13 김세직 가설시트 앵커볼트
KR101257364B1 (ko) 2012-05-23 2013-04-23 서대양 건축물용 패널 고정장치
KR101270436B1 (ko) 2012-11-13 2013-06-04 박재민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823B1 (ko) * 2016-01-13 2017-07-26 김유나 앵글받침 설치 유닛
KR20190038039A (ko) * 2017-09-29 2019-04-08 (주)우리들하이텍 지지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KR102183626B1 (ko) 2017-09-29 2020-11-26 (주)우리들하이텍 지지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KR102098645B1 (ko) * 2018-11-14 2020-04-08 주식회사 피엔티 수직벽용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862B1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장치
KR101515937B1 (ko)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KR101474273B1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 조립장치
KR101842931B1 (ko) 마감재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
KR102018224B1 (ko) 석재 설치용 앵커볼트 어셈블리
RU2014127690A (ru) Державка и способ закрепления режущей пластины в ней
JP2013090054A (ja) 取付装置
KR101492594B1 (ko) 마감재 지지앵커 시공장치, 마감재 지지앵커 시공방법 및 마감재 지지앵커
JP7001335B2 (ja) 単管パイプの取り付け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締付具
KR101533829B1 (ko) 다기능 빔 클램프
EP2317160A2 (en) Double-thread screw for concrete
JP4616060B2 (ja) 胴縁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物の外壁構造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JP5411593B2 (ja) ワイヤー張設具
KR200493966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US20070196168A1 (en) Holding element for gratings
KR101743207B1 (ko) 건축외장재 설치 기구
JP2006152611A (ja) コンクリート天端表示具
KR102002062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고정장치
KR20170025928A (ko) 밴드 클램프 장치
KR20190002896U (ko) 천장용 세트앵커
JP3186887U (ja) 取付金具
JP6445103B1 (ja) 管体固定具
JP3180947U (ja) 中間保持具、伝送システム及び雄ネジ部材
KR100816297B1 (ko) 쇠톱대용 지지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