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882A -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단말 장비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단말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882A
KR20190010882A KR1020187038038A KR20187038038A KR20190010882A KR 20190010882 A KR20190010882 A KR 20190010882A KR 1020187038038 A KR1020187038038 A KR 1020187038038A KR 20187038038 A KR20187038038 A KR 20187038038A KR 20190010882 A KR20190010882 A KR 20190010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quipment
frequency band
channel
connection
estab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437B1 (ko
Inventor
웨이창 류
통보 왕
쟝 천
윤 쟝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와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 장비가 판정하는 단계 - 제2 AP의 작동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임 -;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AP와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가 제2 AP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연결 요청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단말 장비가 성공 메시지 - 이 성공 메시지는 연결 요청에 따라 피드백되는 메시지로서 제2 AP에 의해 송신됨 - 를 수신하면,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의 과정에 필요한 지속시간이 줄어들 수 있고, 사용자가 핸드오버 과정을 인식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단말 장비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단말 장비에 관한 것이다.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기술은 IEEE 802.11 프로토콜 군(family)에 기반하고 있으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이다. 시스템은 주로 클라이언트(Station, "STA")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한다. STA와 AP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즉 무선 전송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AP는 STA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STA를 인터넷의 근거리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현재, 이중대역 AP의 적용이 점점 더 대중화되고 있다. 이중대역 AP는 2.4G 및 5G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STA는 이중대역 상의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다. 즉, STA는 2.4G 대역과 5G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시에 작동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일단 2.4G AP에 접속하면 STA가 2.4G 주파수 대역 상에서만 동작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을 위해 5G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STA를 바람직한 채널 상태에 있는 AP로 핸드오버하기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 방법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 오버를 위한 기존의 방법은, 현재의 AP로부터 STA를 연결을 끊은 후 새로운 AP에 STA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의 핸드오버 과정에 필요한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또한 사용중인 데이터 서비스가 중단되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핸드오버 과정에 필요한 지속시간을 줄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간 핸드오버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은, 핸드오버 과정에 필요한 지속시간을 줄이고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핸드오버 과정을 인식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게 하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은,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 장비가 판정하는 단계 - 제2 AP의 작동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임 -;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상기 단말 장비가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dual-band radio access device)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AP와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가 제2 AP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연결 요청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및 단말 장비가, 성공 메시지 - 이 성공 메시지는 연결 요청에 따라 피드백되는 메지지로서 제2 AP에 의해 송신된 것임 - 를 수신하면,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장비와 제1 AP 간의 프로토콜 계층 연결이 단말 장비와 제1 AP 간의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연결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AP는 단말 장비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 AP이며, 제1 AP는 원래의 AP라고도 할 수 있다. 제2 AP는 단말 장비가 핸드오버될 AP이며, 제2 AP는 타깃 AP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에서는, 단말 장비가 원래의 AP와 타깃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원래의 AP와 상기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가 타깃 AP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비를 액세스 포인트에 핸드오버하는 과정 동안, 사용자의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의 IP 연결이 제거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핸드오버 과정을 인지하지 못한다. 또한, 단말 장비가 타깃 AP와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핸드오버 과정에 필요한 지속시간을 줄이기 위해, 타깃 AP가 IP 주소를 단말 장비에 할당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상기 단말 장비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제1 AP와 제2 AP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와 비밀번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의 SSID 및/또는 비밀번호가 다르다고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서버를 공유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DHCP 서버를 공유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AP와 TCP/IP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는 제2 AP에 연결 요청을 송신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 장비가 성공 메시지 - 이 성공 메시지는 연결 요청에 따라 피드백되는 메시지로서 제2 AP에 의해 송신된 것임 - 를 수신하면, 단말 장비는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한다.
그러므로, 제1 AP와 제2 AP의 SSID 및/또는 비밀번호가 다르더라도,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DHCP 서버를 공유하기만 하면, 원래의 AP와 TCP/IP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는 타깃 AP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비를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의 IP 연결이 제거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핸드오버 과정을 인지하지 못한다. 또한, 타깃 AP와 연결을 구축할 때, 단말 장비는 핸드오버 과정에 필요한 지속시간을 줄이기 위해 제2 AP로부터 IP 주소를 재신청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단말 장비가 제1 AP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basic service set identifier, "BSSID")와 제2 AP의 BSSID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 장비가 제1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매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주소와 제2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제1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2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 장비가 판정하는 단계는,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단계; 및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한 결과에 따라,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 장비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채널 스캐닝 과정 동안, 단말 장비는 다른 AP에 대응하고 있는 수신 신호 강도 지수(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획득할 수 있으며, 단말 장비는 다른 AP에 대응하고 있는 RSSI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1 양태의 가능한 제2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3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단계는,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 중 임의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단계; 단말 장비가 임의의 채널의 스캐닝을 완료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송신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단말 장비가 송신될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 중 다른 채널을 계속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단말 장비는 백그라운드 스캐닝 방식으로 채널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채널 스캐닝 과정 동안, 단말 장비와 원래의 AP가 단말 장비 상의 스트림 중단을 초래하지 않고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양태의 가능한 제2 실시 형태 또는 제3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4 실시 형태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은, 단말 장비가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 제1 채널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제1 AP의 작동 채널이고, 제2 채널은 제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제2 AP의 작동 채널임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단계는, 단말 장비가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채널 스캐닝을 수행할 때, 단말 장비는 원래의 AP와 타깃 AP의 작동 채널만을 스캐닝하고, 원래의 AP와 타깃 AP의 작동 채널을 스캐닝한 결과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 장비는 채널 스캐닝의 시간 오버헤드가 줄어들 수 있도록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는 대신 2개의 채널만을 스캐닝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핸드오버 과정에 필요한 시간이 줄어들고 또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제4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5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 장비가 판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은, 단말 장비가 제1 AP의 제1 네트워크 구성 및 제2 AP의 제2 네트워크 구성을 저장하는 단계 - 제1 네트워크 구성은 제1 채널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2 네트워크 구성은 제2 채널을 포함하고 있음 -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 장비가 제1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제1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및 단말 장비가 제2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비가 미리 제1 AP 및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제1 AP의 네트워크 구성 및 제2 AP의 네트워크 구성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1 AP의 네트워크 구성은 제1 AP의 작동 채널뿐만 아니라 제1 AP의 SSID 및/또는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2 AP의 네트워크 구성은 제2 AP의 작동 채널뿐만 아니라 제2 AP의 SSID 및/또는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된 네트워크 구성을 조회함으로써, 단말 장비는, 채널 스캐닝 동안 상기 제1 AP와 상기 제2 AP의 상기 작동 채널 상에서만 스캐닝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1 AP와 제2 AP의 작동 채널을 미리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캐닝의 시간 오버헤드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5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6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2 AP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제2 AP에 재결합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재결합 요청 프레임은 제1 AP의 BSSID를 싣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상에서, 원래의 AP에 송신된 데이터 패킷이 타깃 AP에 포워딩되어 핸드오버 과정 동안의 패킷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6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7 실시 형태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은 2.4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5GHz이거나; 또는 제1 주파수 대역은 5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임의의 실시 형태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비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는 전술한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임의의 실시 형태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단말 장비가 제공된다. 상기 단말 장비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송수신기는 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단말 장비와 AP 간의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호출하여, 전술한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임의의 실시 형태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임의의 실시 형태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명백히,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낼 뿐이며, 당업자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여전히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용 시나리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인 해결책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 전부가 아니라 일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력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Terminal Equipment)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또는 클라이언트(Station, "STA") 등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비는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cellular)" 전화라고 함),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구비한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휴대용 장치이거나, 포켓 크기의 장치이거나, 핸드 헬드형 장치이거나, 컴퓨터 내장형 장치이거나, 또는 차량 내 이동 장치, 미래의 5G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의 진화된 PLMN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접속 장치는 무선-대-유선(Wireless-to-Wired) 브리징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dual-band radio access device)는 2개의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 무선 접속 장치이다. 현재의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는 2.4GHz 주파수 대역과 5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핫스팟"이라고 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인프라 관리를 위한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단말 장비로 하여금 분산 시스템에 접속하게 하는 워크 스테이션이다. 하나의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는 2개의 AP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4GHz 주파수 대역과 5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시에 작동하는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는 2.4GHz AP와 5GHz AP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용 시나리오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는 2.4GHz 주파수 대역과 5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5GHz 신호가 넓은 주파수 대역, 낮은 간섭, 및 높은 처리 속도라는 장점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5GHz 채널은 벽 투과력이 열악하다. 대조적으로, 2.4GHz 신호는 약간 좁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지만 바람직한 벽 투과 능력과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가지고 있다.
단말 장비와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단말 장비와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가 정보 전송을 수행할 때 점유되는 주파수 대역이 변경될 필요가 있다(단말 장비가 접속하는 AP가 변경된다는 것 또한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가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와 더 가깝다면(예를 들어, 10m 이내라면), 단말 장비는 5GHz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5GHz AP에 접속하여)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와 정보 전송을 수행한다. 이렇게 함으로로써, 통신 품질을 보장한다는 전제하에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로부터 멀어질수록(예를 들어, 10 미터 내지 100 미터), 채널 품질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며, 단말 장치는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오버되기로(2.4 GHz AP에 접속하기로) 선택하여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와 정보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신호의 장거리 커버리지를 보장한다.
이에 기반하여,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막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래의 AP와 타깃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기만 하면 원래의 AP에서 타깃 AP로의 원활하고 끊김없는 스위칭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무선 네트워크의 암호화 방식이 와이파이 보호 접속(Wireless Fidelity Protected Access, "WAP")이거나 또는 WAP2인 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은 다른 암호화 방식이 무선 네트워크의 암호화에 사용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암호화되지 않은 시나리오, 예를 들어 유선 동등 프라이버시(Wired Equivalent Privacy, "WEP") 방식 또는 개방형(Open) 방식이 무선 네트워크의 암호화에 사용되는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는 경우, "제1"과 "제2"가 설명되는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될 뿐이며, 설명된 대상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1000)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1100: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와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단말 장비가 판정한다. 여기서, 제2 AP의 작동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이다.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1 AP와 정보 전송을 수행한다는 것이 제1 주파수 대역이 제1 AP의 작동 주파수 대역이라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1 AP와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한다. 각각의 작동 주파수 대역이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응하고 있다. 단말 장비는 채널 스캐닝 결과에 따라,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은 2.4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5GHz이거나; 또는 제1 주파수 대역은 5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이다. 2.4GHz 주파수 대역은 13개의 채널에 대응하고 있으며, 5GHz 주파수 대역은 5개의 채널에 대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가 채널 스캐닝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 단말 장비는 단말 장비 주변의 AP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P에 관한 정보는 SSID,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Basic Service Set Identifier, "BSSID"), 작동 채널, AP의 대역폭, AP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 강도 지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및 다른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장비는 AP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단말 장비에 의한 채널 스캐닝 중에, 단말 장비는 백그라운드 스캐닝 방식을 사용하여 채널 스캐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비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임의의 채널을 스캐닝하기로 선택한다. 채널의 스캐닝을 완료한 후에, 단말 장비는 단말 장비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송신할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제1 AP의 작동 채널로 전환한다. 단말 장비가 버퍼링된 데이터를 송신하려면, 단말 장비는 버퍼링된 데이터를 제1 AP의 작동 채널 상에서 송신하거나, 또는 단말 장비가 데이터를 수신하려면, 단말 장비는 수신될 데이터를 제1 AP의 작동 채널 상에서 수신한 후 스캐닝을 위해 다음 채널로 전환한다. 따라서, 채널 스캐닝 과정 중에 단말 장비 상에서 스트림 중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채널 스캐닝 중에, 단말 장비는 2.4GHz 주파수 대역 상의 13개의 채널과 5GHz 주파수 대역 상의 5개의 채널 모두를 스캐닝하기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스캐닝 중에, 단말 장비가 2개의 채널만을, 즉 제1 AP의 작동 채널과 제2 AP의 작동 채널을 스캐닝할 수 있도록, 채널 스캐닝을 수행하기 전에 단말 장비는 제1 AP의 작동 채널과 제2 AP의 작동 채널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채널 스캐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비가 제1 AP 및 제2 AP와 연결을 미리 구축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제1 AP의 네트워크 구성과 제2 AP의 네트워크 구성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1 AP의 네트워크 구성은 제1 AP의 작동 채널을 포함하고, 제2 AP의 네트워크 구성은 제2 AP의 작동 채널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단말 장비에 의해 저장된 네트워크 구성을 단지 조회함으로써, 단말 장비는 제1 AP와 제2 AP의 작동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장비는 다른 단말 장비와 단말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구축함으로써 제1 AP의 네트워크 구성과 제2 AP의 네트워크 구성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제1 AP와 제2 AP의 네트워크 구성이 다른 단말 장비에 의해 저장되며, 다른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다.
대안적으로, 단말 장비는 클라우드 서버와 상호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달된 제1 AP의 네트워크 구성과 제2 AP의 네트워크 구성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AP의 네트워크 구성이 제1 AP의 작동 채널뿐만 아니라 SSID 및/또는 제1 AP의 비밀번호도 포함할 수 있고, 제2 AP의 네트워크 구성이 제2 AP의 작동 채널뿐만 아니라 SSID 및/또는 제2 AP의 비밀번호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1200: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단말 장비가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비가 제1 AP의 BSSID와 제2 AP의 BSSID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AP의 BSSID의 처음 16개의 비트와 제2 AP의 BSSID의 처음 16개의 비트가 동일한 경우,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장비는 제1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주소와 제2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와 제2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가 동일한 경우, 단말 장비는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한다.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을 본 명세서에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S1300: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AP와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가 연결 요청을 제2 AP에 송신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 장비와 제1 AP 간의 프로토콜 계층 연결은 단말 장비와 제1 AP 간의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연결이다.
S1400: 단말 장비가 성공 메시지 - 이 성공 메시지는 연결 요청에 따라 피드백되는 메시지로서 제2 AP에 의해 송신된 것임 - 를 수신하면,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한다.
제1 AP와 TCP/IP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는 단말 장비가 물리 채널 상에서 제1 AP와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연결 요청을 제2 AP에 송신하고, 제2 AP의 작동 채널로 전환하여 제2 AP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며, 제2 AP의 작동 채널 상에서 제2 AP로부터 긍정 피드백(positive feedback)을 수신하는 경우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한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에 단말 장비를 핸드오버하는 과정 중에, 단말 장비는 제1 AP와의 물리 계층 연결만을 제거하며, 제1 AP와의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제거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종료되지 않고, 사용자는 핸드오버 과정을 인식하지 못하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챗(WeChat)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비디오 통신을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제1 AP와의 TCP/IP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면, 단말 장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잠시 멈추지만, UI 상의 비디오 인터페이스가 자동적으로 중단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재시작하여 비디오 연결을 시작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핸드오버 과정을 인지하지 못하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또한, 단말 장비는 제1 AP와의 TCP/IP 연결을 유지하고, 단말 장비는 제1 AP가 단말 장비에 할당한 IP 주소를 저장한다.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제1 AP와 제2 AP는 동일한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서버를 공유한다. 따라서,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제2 AP로부터 IP 주소를 신청할 필요가 없으며, 핸드오버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한 후에, 단말 장비는 제1 AP와의 TCP/IP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자원이 절감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2000)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2100: 단말 장비가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프레임을 송신하고, 제2 AP에 의해 송신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수신한다.
도 3의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 단말 장비가 현재 연결을 구축하고 제1 AP와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 장비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고 AP에 의해 송신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여 채널 스캐닝을 수행한다. 단말 장비는 구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1000)의 S1100에서의 방식을 이용하여 채널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제2 AP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장비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 내의 제2 AP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비가 제2 AP로부터 수신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따라, 제2 AP에 대응하는 RSSI 값이 제1 AP에 대응하는 RSSI 값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단말 장비가 수신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따라, 제1 AP에 대응하는 RSSI 값이 다른 AP에 대응하는 RSSI 값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단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핸드오버될 필요는 없지만 제1 AP와의 연결을 여전히 유지한다고 결정한다.
S2100에서, 단말 장비는 브로드캐스트 모드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모드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제2 AP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S2100에서, 단말 장비는 제2 AP에 의해 송신되어 수신된 비콘 프레임(Beacon) 내의 제2 AP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비는 복수의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며, 각각의 비콘 프레임은 하나의 AP에 대응하고 있다. 비콘 프레임 내에 있는 RSSI 값으로서 제2 AP에 대응하고 있는 RSSI 값이 비콘 프레임 내에 있는 RSSI 값으로서 다른 AP에 대응하고 있는 RSSI 값보다 크면, 단말 장비는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비가 제2 AP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 장비가 제1 AP의 SSID와 비밀번호와 제2 AP의 SSID와 비밀번호 동일한지 여부, 및 제2 AP에 대응하는 RSSI 값이 제1 AP에 대응하는 RSSI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AP와 제2 AP의 SSID와 비밀번호가 동일하고 또한 제2 AP에 대응하는 RSSI 값이 제1 AP에 대응하는 RSSI 값보다 크면,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근거리 네트워크 상의 2개의 AP라는 것, 그리고 로밍을 통해 제1 AP에서 제2 AP로 단말 장비를 핸드오버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로밍 메커니즘이 직접 시작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2 AP에 대응하는 RSSI 값이 제1 AP에 대응하는 RSSI 값보다 크지만 제1 AP와 제2 AP의 SSID 및/또는 비밀번호가 다르면, 단말 장비는 추가적으로,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고 또한 제2 AP에 대응하는 RSSI 값이 제1 AP에 대응하는 RSSI 값보다 크다고 결정하면, 단계 S2200이 수행된다.
S2200: 단말 장비가 인증 요청(Authentication Request) 프레임을 제2 AP에 송신하고, 제2 AP에 의해 송신된 인증 응답(Authentication Response) 프레임을 수신한다.
S2300: 인증 응답 프레임이 단말 장비의 아이덴티티 인증이 성공한 것을 확인 응답(acknowledge)하면, 단말 장비가 재결합 요청(ReAssociation Request) 프레임을 제2 AP에 송신하고, 제2 AP에 의해 송신된 재결합 응답(ReAssociation Response) 프레임을 수신한다. 재결합 응답 프레임이 제2 AP가 단말 장비의 재결합 요청을 수락한 것을 확인 응답하면, 단말 장비가 제2 AP와 결합을 구축한다.
재결합 요청 프레임은 제1 AP의 주소 영역을 포함한다. 제1 AP의 주소 영역은 제1 AP의 BSSID를 싣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의 과정 동안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제1 AP에 송신된 데이터 패킷이 제1 AP의 BSSID에 따라 제2 AP에 포워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2300에서, 단말 장비가 결합 요청(Association Request) 프레임을 제2 AP에 송신하고, 제2 AP에 의해 송신된 결합 응답(Association Response) 프레임을 수신한다.
S2400: 단말 장비와 제2 AP가 확장 가능 인증 프로토콜(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를 이용하여 공동으로 키를 생성한다.
S2200 내지 S2400에서, 단말 장비가 제1 AP와의 TCP/IP 연결을 항상 유지하고, 사용자의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의 IP 연결이 끊어지지 않으며, 사용자의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종료되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전체 과정 동안, 사용자가 핸드오버 과정을 인지하지 못하며,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때, 단말 장비가 제2 AP로부터 IP 주소를 재신청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핸드오버 과정에 필요한 지속시간이 단축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표 1은 종래 기술의 방법이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에 사용되는 경우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방법이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에 사용되는 경우에 얻어진 각각의 절차에 필요한 시간 및 전체 핸드오버 과정에 필요한 총 시간을 나타낸다. 표 1에 표시한 데이터가 단일 테스트의 결과이고, 단일 테스트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 단말 장비와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 간의 거리가 10m보다 작으며, 환경에 다른 간섭이 없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이 핸드오버 과정 동안의 중단을 감소시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앞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10)는 ~를 포함한다: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와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11) - 제2 AP의 작동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임 -; 및
처리 유닛(11)이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AP와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유지하는 때 연결 요청을 제2 AP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처리 유닛(11)은 추가적으로,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통신 유닛(12)은 추가적으로, 성공 메시지 - 이 성공 메시지는 연결 요청에 따라 피드백되는 메시지로서 제2 AP에 의해 송신된 것임 - 를 수신하면, 제2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의 단말 장비에 따르면, 단말 장비가 현재 연결된 제1 AP 및 단말 장비가 핸드오버되기를 바라는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제1 AP와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는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한다. 이 경우, 단말 장비를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가 핸드오버 과정을 인지할 수 없도록, 사용자의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의 IP 연결이 제거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 장비가 타깃 AP와 연결을 구축할 때, 타깃 AP가 핸드오버 과정에 필요한 지속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IP 주소를 단말 장비에 할당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양테에서, 처리 유닛(11)은 구체적으로, 제1 AP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BSSID)와 제2 AP의 BSSID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또는 제1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매체 접속 제어(MAC) 주소와 제2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양태에서, 처리 유닛(11)은 구체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고,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한 결과에 따라,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양태에서, 처리 유닛(11)은 구체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 중 임의의 채널을 스캐닝하고, 임의의 채널의 스캐닝이 완료되는 경우, 송신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유닛(12)은 구체적으로, 처리 유닛(11)이 송신될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11)은 구체적으로, 통신 유닛(12)이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 중 다른 채널을 계속 스캔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11)은 추가적으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양태에서, 처리 유닛(11)은 구체적으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스캐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채널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제1 AP의 작동 채널이고, 제2 채널은 제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제2 AP의 작동 채널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11)이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통신 유닛(12)은 추가적으로, 제1 AP의 제1 네트워크 구성 및 제2 AP의 제2 네트워크 구성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제1 네트워크 구성은 제1 채널을 포함하고 있고, 제2 네트워크 구성은 제2 채널을 포함하고 있음 -;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결정하는 양태에서, 처리 유닛(12)은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제1 채널을 결정하고, 제2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제1 AP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는 양태에서, 통신 유닛(12)은 구체적으로, 재결합 요청 프레임을 제2 AP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재결합 요청 프레임은 제1 AP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BSSID)를 싣고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은 2.4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5GHz이거나; 또는 제1 주파수 대역은 5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이다.
여기서의 단말 장비(10)가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의 "유닛"이라는 용어가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전자 회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나 펌웨어 프로그램(예를 들어, 공유 프로세서(shared processor), 독점 프로세서(proprietary processor), 또는 그룹 프로세서)과 메모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병합 논리 회로(merged logic circuit), 및/또는 설명된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적절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선택적인 예에서, 단말 장비(10)가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1000)과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2000)에서의 각각의 과정 및/또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장비(100)를 더 제공한다. 단말 장비(100)는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103)를 포함한다. 여기서, RF 회로(103)는 송수신기라고도 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도 5에 도시된 단말 장비가 단말 장비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장비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장비 내에서 일부 구성 요소가 결합되거나, 또는 일부 구성 요소가 분할되거나, 또는 구성 요소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와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 AP의 작동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이다. 프로세서(101)는 추가적으로,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01)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하면, 제1 AP와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유지할 때, RF 회로(103)는 연결 요청을 제2 AP에 송신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RF 회로(103)가 성공 메시지 - 이 성공 메시지는 연결 요청에 따라 피드백되는 메시지로서 제2 AP에 의해 송신된 것임 - 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01)는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단말 장비에 따르면, 단말 장비가 현재 연결된 제1 AP 및 단말 장비가 핸드오버되기를 바라는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제1 AP와의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는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한다. 이 경우, 단말 장비를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가 핸드오버 과정을 인지할 수 없도록 사용자의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의 IP 연결이 제거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 장비가 타깃 AP와 연결을 구축할 때, 타깃 AP가 핸드오버 과정에 필요한 지속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IP 주소를 단말 장비에 할당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1)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101)가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discrete gate)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또는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어셈블리 등일 수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기존의 프로세서이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02)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메모리(10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모듈을 실행하여 단말 장비(100)의 다양한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102)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오디오 재생 기능 및 이미지 재생 기능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단말 장비(100) 등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오디오 데이터 및 전화번호부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장치(volatile solid-state storage de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103)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호출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고,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정보를 프로세서(101)에 송신하며, 또한 설계된 상향 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F 회로(103)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및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RF 회로(103)는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이메일,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어떠한 통신 표준이나 프로토콜도 무선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구현 과정 중, 전술한 방법의 단계가 프로세서(101)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나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memory) 또는 레지스터와 같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102)에 위치하며, 프로세서(101)는 메모리(102)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101)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양태에서, 프로세서(101)는 구체적으로, 제1 AP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BSSID)와 제2 AP의 BSSID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또는 제1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매체 접속 제어(MAC) 주소와 제2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양태에서, 프로세서(101)는 구체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고,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한 결과에 따라,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양태에서, 프로세서(101)는 구체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 중 임의의 채널을 스캐닝하고, 임의의 채널의 스캐닝이 완료된 경우, 송신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01)가 송신될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면, RF 회로(103)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한다. RF 회로(103)가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한 후, 프로세서(101)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 중 다른 채널을 계속 스캐닝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추가적으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제1 채널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제1 AP의 작동 채널이고, 제2 채널은 제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제2 AP의 작동 채널임 -;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양태에서, 프로세서(101)는 구체적으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스캐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1)가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메모리(102)는 추가적으로, 제1 AP의 제1 네트워크 구성 및 제2 AP의 제2 네트워크 구성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제1 네트워크 구성은 제1 채널을 포함하고 있고, 제2 네트워크 구성은 제2 채널을 포함하고 있음 -;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결정하는 양태에서, 프로세서(101)는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제1 채널을 결정하고, 제2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2 AP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는 양태에서, RF 회로(103)는 구체적으로, 재결합 요청 프레임을 제2 AP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재결합 요청 프레임은 제1 AP의 BSSID을 싣고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은 2.4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5GHz이거나; 또는 제1 주파수 대역은 5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100)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비(10)에 대응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1000)을 실행하는 단말 장비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단말 장비(100) 내 각각의 모듈의 전술한 동작과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이 도 2와 도 3의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에서의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단말 장비에 따르면, 단말 장비가 현재 연결된 제1 AP 및 단말 장비가 핸드오버되기를 바라는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제1 AP와의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는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한다. 이 경우, 단말 장비를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가 핸드오버 과정을 인지할 수 없도록 사용자의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의 IP 연결이 제거되지 않다. 또한, 단말 장비가 타깃 AP와 연결을 구축할 때 타깃 AP가 핸드오버 과정에 필요한 지속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IP 주소를 단말 장비에 할당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예와 결합하여, 유닛과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지 여부가 기술적인 해결책의 구체적인 적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구현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편리하고 단순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유닛 구분이 논리적인 기능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이와 다르게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연결 또는 직접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이 일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나 유닛 간의 간접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은 전자적 형태, 또는 기계적 형태,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개별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이 물리적으로 개별적일 수 있거나 개별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분이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실제 요구 사항에 따라 선택되어 본 실시예의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능 유닛이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되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유닛들이 각각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기능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해결책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인 해결책의 일부가 소프트웨어의 제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 지시하기 위한 몇몇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착탈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안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어떠한 변형이나 대체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른다.

Claims (17)

  1.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으로서,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 장비가 판정하는 단계 - 제2 AP의 작동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임 -;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상기 단말 장비가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dual-band radio access device)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AP와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유지할 때, 단말 장비가 제2 AP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연결 요청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및
    단말 장비가, 성공 메시지 - 이 성공 메시지는 연결 요청에 따라 피드백되는 메지지로서 제2 AP에 의해 송신된 것임 - 를 수신하면,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단말 장비가 제1 AP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basic service set identifier, BSSID)와 제2 AP의 BSSID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 장비가 제1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매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주소와 제2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 장비가 판정하는 단계는,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단계; 및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한 결과에 따라,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 장비가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단계는,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 중 임의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단계;
    단말 장비가 임의의 채널의 스캐닝을 완료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송신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단말 장비가 송신될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 중 다른 채널을 계속 스캐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은,
    단말 장비가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 제1 채널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제1 AP의 작동 채널이고, 제2 채널은 제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제2 AP의 작동 채널임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단계는,
    단말 장비가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스캐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 장비가 판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은,
    단말 장비가 제1 AP의 제1 네트워크 구성 및 제2 AP의 제2 네트워크 구성을 저장하는 단계 - 제1 네트워크 구성은 제1 채널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2 네트워크 구성은 제2 채널을 포함하고 있음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 장비가 제1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제1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및
    단말 장비가 제2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AP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제2 AP에 재결합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송신하는 단계 - 재결합 요청 프레임은 제1 AP의 BSSID를 싣고 있음 -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은 2.4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5GHz이거나; 또는
    제1 주파수 대역은 5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인,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9. 단말 장비로서,
    단말 장비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적으로,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제2 AP의 작동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임 -;
    상기 처리 유닛이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dual-band radio access device)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AP와 프로토콜 계층 연결을 유지할 때, 제2 AP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 - 연결 요청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성공 메시지 - 이 성공 메시지는 연결 요청에 따라 피드백되는 메시지로서 제2 AP에 의해 송신된 것임 - 를 수신하면,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양태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단말 장비가 제1 AP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basic service set identifier, BSSID)와 제2 AP의 BSSID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또는
    단말 장비가 제1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매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주소와 제2 AP의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 간의 관계에 따라, 제1 AP와 제2 AP가 동일한 이중대역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양태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고;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한 결과에 따라,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양태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 중 임의의 채널을 스캔하고, 임의의 채널의 스캐닝이 완료된 경우, 송신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이 송신될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이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 중 다른 채널을 계속 스캐닝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비.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적으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제1 채널은 제1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제1 AP의 작동 채널이고, 제2 채널은 제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제2 AP의 작동 채널임 -;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채널을 스캐닝하는 양태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스캐닝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이 단말 장비가 제2 AP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상기 통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제1 AP의 제1 네트워크 구성 및 제2 AP의 제2 네트워크 구성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제1 네트워크 구성은 제1 채널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2 네트워크 구성은 제2 채널을 포함하고 있음 -;
    상기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결정하는 양태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제1 채널을 결정하고;
    제2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비.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AP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는 양태에서,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2 AP에 재결합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재결합 요청 프레임은 제1 AP의 BSSID를 싣고 있는, 단말 장비.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은 2.4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5GHz이거나; 또는
    제1 주파수 대역은 5G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인, 단말 장비.
  17. 단말 장비로서,
    상기 단말 장비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송수신기는 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결됨 -;
    상기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단말 장비와 AP 간의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호출하여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비.
KR1020187038038A 2016-05-31 2016-05-31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단말 장비 KR102169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84136 WO2017206067A1 (zh) 2016-05-31 2016-05-31 切换接入点的方法和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882A true KR20190010882A (ko) 2019-01-31
KR102169437B1 KR102169437B1 (ko) 2020-10-23

Family

ID=6047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8038A KR102169437B1 (ko) 2016-05-31 2016-05-31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단말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880795B2 (ko)
EP (1) EP3457756B8 (ko)
JP (1) JP6622428B2 (ko)
KR (1) KR102169437B1 (ko)
CN (2) CN112689313B (ko)
WO (1) WO20172060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903A1 (ko) * 2021-12-10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대역들의 채널들을 스캔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8730A1 (en) * 2018-10-16 2020-04-23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asuring channel performanc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11343674B (zh) * 2018-12-18 2022-05-3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无线网络的多频段切换方法和装置
JP6888830B2 (ja) * 2018-12-20 2021-06-16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9951881B (zh) * 2019-03-26 2021-06-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道切换方法、终端设备及路由设备
WO2020232700A1 (zh) * 2019-05-23 2020-11-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177384B (zh) * 2019-07-15 2022-02-22 迈普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接入方法、装置、无线接入点及可读存储介质
CN112351461B (zh) * 2019-08-08 2023-08-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WiFi网络切换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TWI693838B (zh) * 2019-09-25 2020-05-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通信裝置及其測試方法
CN113518339B (zh) * 2020-04-10 2022-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漫游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456285B2 (ja) * 2020-05-26 2024-03-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CN111970750A (zh) * 2020-08-18 2020-11-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多频WiFi识别方法及装置
US11212683B1 (en) * 2020-08-24 2021-12-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prioritized connection of a multi-core chipset to external access points and vehicle using the same
CN112040525B (zh) * 2020-09-24 2023-07-0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漫游方法及装置
CN114339903A (zh) * 2020-09-30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及电子设备
CN114585028A (zh) * 2020-11-30 2022-06-03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切换方法及其相关设备
CN112788710B (zh) * 2020-12-30 2023-10-03 普联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的接入方法及接入装置
CN115087073A (zh) * 2021-03-10 2022-09-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认证Wi-Fi连接的方法、无线终端、接入节点及存储介质
KR102471682B1 (ko) 2021-03-29 2022-11-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액세스 포인트 간의 로밍 방법 및 로밍을 제공하는 단말기
CN115314966A (zh) * 2021-05-06 2022-11-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网络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316210A (zh) * 2021-05-28 2021-08-27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信号切换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727323B (zh) * 2021-07-28 2024-03-29 深圳市联洲国际技术有限公司 双频客户端的通信方法、设备、双频客户端和通信系统
CN116709438A (zh) * 2022-02-25 2023-09-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切换的方法,相关设备以及无线网络
WO2023229341A1 (en) * 2022-05-24 2023-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hot spot auto band selection
CN117062175B (zh) * 2023-10-13 2024-04-02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点ap的切换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5863A1 (en) * 2010-10-29 2013-08-22 Z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network in wireless network
KR20130119123A (ko) * 2012-04-23 2013-10-31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듀얼밴드의 와이파이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기 및 이의 와이파이 로밍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9751B (en) * 1999-05-28 2004-02-25 Nec Corp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7424268B2 (en) * 2002-04-22 2008-09-0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 shared frequency band
CA2524692A1 (en) 2002-12-19 2004-07-08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handover mechanism in frequency multiple band environment and equipment therefor
US7613160B2 (en) 2002-12-24 2009-11-0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277379C (zh) * 2003-05-23 2006-09-27 联想(北京)有限公司 基于关联的无线局域网通信系统及通信方法
JP4715750B2 (ja) 2004-11-04 2011-07-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インタフェース通信装置、端末、および経路切替方法
US7529203B2 (en) * 2005-05-26 2009-05-05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ad balancing of wireless switches to support layer 3 roam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20060268799A1 (en) * 2005-05-27 2006-11-30 Utstar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Fi TERMINAL WITH DUAL MAC STRUCTURE THAT ENABLES SEAMLESS VOICE COMMUNICATIONS HANDOVER
US8472359B2 (en) 2009-12-09 2013-06-25 Meru Networks Seamless mobility in wireless networks
US8160664B1 (en) * 2005-12-05 2012-04-17 Meru Networks Omni-directional antenna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multiple radios with narrow frequency separation
CN101083833A (zh) * 2006-06-02 2007-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在不同通信网络间实现无缝切换的终端及方法
US20080069065A1 (en) * 2006-09-20 2008-03-20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Method of seamlessly roaming between multiple wireless networks using a single wireless network adaptor
US8451752B2 (en) 2007-05-21 2013-05-28 Arrowspan, Inc. Seamless handoff scheme for multi-radio wireless mesh network
WO2009090953A1 (ja) 2008-01-17 2009-07-23 Nec Corporation 無線通信端末、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257429B (zh) 2008-04-14 2011-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漫游实现方法和装置
US9585069B2 (en) * 2008-06-19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terminal assisted node identifier confusion resolution
CN101765170B (zh) 2008-12-25 2013-08-21 上海寰创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射频模块wlan终端快速漫游的切换方法
CN101814924A (zh) * 2009-02-24 2010-08-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频段切换方法
US8812833B2 (en) * 2009-06-24 2014-08-19 Marvell World Trade Ltd. Wireless multiband security
CN101998689B (zh) * 2009-08-14 2013-10-02 联想(上海)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上的多频段天线及移动终端
US20120281544A1 (en) * 2010-11-05 2012-11-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obility For Multipoint Operations
FR2979784A1 (fr) 2011-09-02 2013-03-08 France Telecom Procede de selection de canal, equipement wifi et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s
US9026099B2 (en) 2011-12-08 2015-05-05 Apple Inc. Mechanisms to improve mobile device roaming in wireless networks
US9503927B2 (en) * 2012-06-13 2016-11-22 All Purpose Networks LLC Multiple-use wireless network
US8565689B1 (en) * 2012-06-13 2013-10-22 All Purpose Networks LLC Optimized broadband wireless network performance through base station application server
US9084143B2 (en) * 2012-06-13 2015-07-14 All Purpose Networks LLC Network migration queuing service in a wireless network
US8982901B2 (en) 2012-07-22 2015-03-17 Imagination Technologies, Limited Counter based fairness scheduling for QoS queues to prevent starvation
CN103582053B (zh) 2012-07-23 2016-09-1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信道切换方法、装置和系统
EP2901809A1 (en) 2012-09-27 2015-08-05 Telefonica S.A.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two independent wireless networks with an access point
US11102689B2 (en) * 2013-01-03 2021-08-24 Apple Inc. Packet data connec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420490B2 (en) * 2013-03-08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 data stream transfer during band switch between wireless stations
US20160050683A1 (en) 2013-03-15 2016-0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band operation of a single wi-fi radio
US9629071B2 (en) * 2013-09-25 2017-04-18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coordinated re-association of wireless devices
CN103561449B (zh) * 2013-11-08 2017-04-05 福建星网锐捷网络有限公司 无线接入方法和无线接入点
US20150207578A1 (en) * 2014-01-17 2015-07-23 Apple Inc. Multichannel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04797011B (zh) * 2014-01-20 2018-11-30 华为终端有限公司 双频移动WiFi终端的数据传输方法和移动WiFi终端
JP2015162861A (ja) 2014-02-28 2015-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6365017B2 (ja) 2014-06-30 2018-08-0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27861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채널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723639B2 (en) * 2014-10-29 2017-08-01 Xiaomi Inc.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CN104640166B (zh) * 2014-10-29 2018-11-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通信方法及装置
CN104822168B (zh) * 2015-04-22 2019-02-05 深圳市信锐网科技术有限公司 无线终端频段切换的引导方法和装置
CN104780592B (zh) * 2015-04-22 2020-02-11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链路选择方法及装置
CN105933942A (zh) * 2016-06-16 2016-09-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频段切换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5863A1 (en) * 2010-10-29 2013-08-22 Z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network in wireless network
KR20130119123A (ko) * 2012-04-23 2013-10-31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듀얼밴드의 와이파이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기 및 이의 와이파이 로밍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903A1 (ko) * 2021-12-10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대역들의 채널들을 스캔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7756B1 (en) 2021-05-05
US20210144598A1 (en) 2021-05-13
CN112689313B (zh) 2022-02-08
US20200154322A1 (en) 2020-05-14
US20230125004A1 (en) 2023-04-20
EP3457756A1 (en) 2019-03-20
JP2019520749A (ja) 2019-07-18
WO2017206067A1 (zh) 2017-12-07
KR102169437B1 (ko) 2020-10-23
CN107852655B (zh) 2021-02-09
CN107852655A (zh) 2018-03-27
US11558792B2 (en) 2023-01-17
US10880795B2 (en) 2020-12-29
EP3457756B8 (en) 2021-06-16
CN112689313A (zh) 2021-04-20
JP6622428B2 (ja) 2019-12-18
EP3457756A4 (en)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437B1 (ko)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단말 장비
EP2824870B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terminal
EP1929828B1 (en) Hard handoff from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o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20210250824A1 (en)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Mobile Terminals with Respect to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US20060098610A1 (en)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station with seamless coverage in a 2G/3G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LAN
US10015713B2 (en)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enhanced mobility betwee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s
JP2017511988A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間のアクセスステアリング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730252B2 (en) Quick connection between customized softap and STA
US20170064760A1 (en) Assisted wireless connection setup
US20190053058A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method, base station controller, and user equipment
KR20120002251A (ko) 이동통신망과 휴대인터넷망 간의 핸드 오버 방법 및 다중모드 단말 장치
EP2887744B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method and corresponding system
WO2016049806A1 (zh) 一种分流的方法及装置
EP2850878B1 (en) Wireless access point connected to two communication networks
US20160234808A1 (en) Wireless Device,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Deciding Whether or Not to Activate a WLAN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